KR20180048008A -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008A
KR20180048008A KR1020160145033A KR20160145033A KR20180048008A KR 20180048008 A KR20180048008 A KR 20180048008A KR 1020160145033 A KR1020160145033 A KR 1020160145033A KR 20160145033 A KR20160145033 A KR 20160145033A KR 20180048008 A KR20180048008 A KR 20180048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care
service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500B1 (ko
Inventor
박성기
양견모
김동환
김창환
최종석
임윤섭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4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5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8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Abstract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에서, 상기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은 멀티 모달 센서부, 환자 특성 인식부, 케어서비스 저장부, 케어서비스 결정부 및 케어서비스 수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 모달 센서부는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환자특성 인식부는 상기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인식한다.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는 치매환자에게 제공되는 케어서비스가 저장된다. 상기 케어서비스 결정부는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상기 치매환자의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는 케어서비스를 결정한다. 상기 케어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결정된 케어서비스를 수행한다.

Description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 AND A METHOD FOR CARING THE DEMENTIA PATI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치매 환자에 대하여 치매 환자가 갖는 개인적인 특성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비용의 저감을 위한 고령자의 치료, 예방, 관리, 재활 등의 행위를 최근의 로봇 기술과의 연계를 통해 해결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한편, 치매는 고령화 사회의 핵심 질환 중으로 하나로서, 치매 환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어 치매 환자에 대한 진단, 모니터링 또는 치료 기술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7212호는 치매 환자에 대한 대소변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288호는 치매환자의 거주 영역에 장치를 설치하여 특정 영역으로부터의 치매 환자의 이탈을 감지하여 이를 보호자에게 알리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현재까지 치매 환자의 보호나 치료 등과 관련하여 개발되는 기술은 대부분 치매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치매 환자의 동선을 모니터링 하는 등의 모니터링 기술,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보호자나 의료인에게 알리는 정도의 저차원적인 기술에 불과하며, 치매 환자의 상태를 바탕으로 치매 환자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거나, 치료하는 등의 기술은 아직까지 개발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72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288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치매환자에 대하여 환자의 특성에 최적화되도록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거나 일상생활의 보조행위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시스템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은 멀티 모달 센서부, 환자 특성 인식부, 케어서비스 저장부, 케어서비스 결정부 및 케어서비스 수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 모달 센서부는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환자특성 인식부는 상기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인식한다.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는 치매환자에게 제공되는 케어서비스가 저장된다. 상기 케어서비스 결정부는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상기 치매환자의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는 케어서비스를 결정한다. 상기 케어서비스 수행부는 상기 결정된 케어서비스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어서비스 수행부는 로봇을 포함하며, 상기 로봇의 구동을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멀티 모달 센서부는, 치매환자의 상태를 촬영하는 영상센서, 치매환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센서, 치매환자의 생체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생체센서, 및 상기 로봇에 구비된 로봇내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치매환자의 정보를 해석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는, 기존 치매환자의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기존환자 정보부, 상기 기존 치매환자의 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되는 케어서비스들을 저장하는 주행동 저장부, 및 선택에 따라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케어서비스들을 저장하는 보조행동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 특성 인식부는, 상기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인식하는 해당 환자 특성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바탕으로 상기 기존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갱신된 정보를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 및 상기 케어 서비스 결정부로 제공하는 환자 특성 갱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어 서비스 결정부는, 상기 환자 특성 갱신부로부터 제공된 치매환자에 대한 갱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행동 저장부 및 상기 보조행동 저장부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상기 치매환자에 필요한 케어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어 서비스 결정부는, 상기 주행동 저장부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일부를 제외하거나, 상기 보조행동 저장부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케어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에는, 응급 상황 또는 이상 상황 대응 서비스, 개인 일정 알림 서비스, 시공간 정보 제공 서비스, 타인 정보 제공 서비스, 일상생활 활동 정보 제공 서비스, 상호 의사소통 제공 서비스, 화상통화 또는 SNS 제공 서비스, 기억 훈련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방법에서 멀티 모달 센서부에서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인식한다. 케어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상기 치매 환자의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는 케어서비스를 결정한다. 상기 결정된 케어서비스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어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치매환자의 개인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치매환자에 필요한 케어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멀티 모달 센서부를 통해 인식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바탕으로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는 케어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으로, 해당 치매환자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일상생활의 보조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초기 치매환자의 경우, 일상생활 중에서 일부 행위 등에 대한 망각이 발생하며, 망각되는 행위는 치매환자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므로, 해당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최적화된 케어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영상센서, 음성센서, 생체센서 등을 통해 파악함으로써, 치매환자의 행위, 음성 및 생체 상태 등을 바탕으로 개인 특성에 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환자 특성 인식부에서 인식된 해당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기존 환자들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환자 특성을 갱신하고, 갱신된 환자 특성을 바탕으로 주행동 저장부에 저장된 기존 환자들에 대한 정보 외에 보조행동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환자의 특성에 맞는 케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최적화된 치매환자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주행동 저장부 외에 보조행동 저장부에 추가적으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저장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서비스를 주행동 저장부에 저장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의 불필요한 서비스 제공 또는 과도한 서비스 저장공간의 문제를 해결하며, 다양한 종류의 환자의 서비스들 중 선택적으로 최적의 서비스만 제공하게 되어, 시스템 운영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 케어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매환자 케어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케어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된 케어서비스의 내용을 도시한 리스트이다.
도 4는 도 1의 치매환자 케어시스템을 통해 인식되는 환자 특성 및 환자 특성에 부합하도록 제공되는 케어 서비스의 내용을 도시한 일 예이다.
도 5는 도 1의 치매환자 케어시스템을 통해 인식되는 환자 특성 및 환자 특성에 부합하도록 제공되는 케어 서비스의 내용을 도시한 다른 예이다.
도 6은 도 1의 치매환자 케어시스템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케어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 케어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매환자 케어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치매환자 케어시스템(10)은 멀티모달 센서부(100), 환자 특성 인식부(200), 케어서비스 저장부(300), 케어서비스 결정부(400), 및 케어서비스 수행부(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치매환자 케어시스템(10)이 제공하는 케어서비스의 대상은 치매환자들 중, 초기 단계의 치매환자로서, 초기 단계의 치매환자들의 경우 일상생활의 다양한 행위들 중 일부의 행위를 선택적으로 망각하거나 실행하지 못하므로 해당 치매환자들이 주로 망각하거나 실행하지 못하는 행위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를 통해 해당 행위에 대하여만 알림이나 보조 서비스를 제공하여, 초기 단계의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을 보조할 수 있다.
상기 멀티모달 센서부(100)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여,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모달 센서부(100)는 영상센서(110), 음성센서(120), 생체센서(130) 및 로봇내부센서(14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센서(110)는 카메라 등을 포함하여 치매환자의 상태를 촬영하고, 이를 통해 치매환자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이 경우, 획득되는 치매환자의 영상정보는 치매환자의 얼굴 표정이나 몸 상태, 행동 상태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음성센서(120)는 음성인식 센서로서 치매환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치매환자에 대한 음성 정보를 획득한다. 이 경우, 획득되는 치매환자의 음성정보는 치매환자의 음성, 발화 톤, 발화 음압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생체센서(130)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센서로서 치매환자의 생체 상태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 치매환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한다. 이 경우, 획득되는 치매환자의 생체정보는 치매환자의 심박수, 체온, 자이로 신호, 전류 신호에 대한 반응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상센서(110) 및 상기 음성센서(120)는 치매환자가 위치하는 공간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봇내부센서(140)는 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영상센서 또는 음성센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치매환자가 위치하는 공간 및 로봇에 상기 센서들이 동시에 설치됨으로써,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로봇이 치매환자에 근접하지 않는 경우에도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멀티모달 센서부(100)는 상기 영상센서(110)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 상기 음성센서(120)로부터 획득된 음성 정보, 상기 생체센서(130)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 및 상기 로봇내부센서(140)로부터 획득된 정보들로부터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분석 또는 해석하는 정보처리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정보처리부(150)에서 해석 또는 분석된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환자 특성 인식부(200)로 제공된다.
상기 환자 특성 인식부(200)는 상기 제공받은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인식한다.
상기 환자 특성 인식부(200)는 해당환자 특성 인식부(210) 및 환자 특성 갱신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해당환자 특성 인식부(210)는 상기 제공받은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해당환자 특성 인식부(210)는 해당 치매환자가 언어 장애, 기억력 장애, 지남력 장애 등 어떠한 개인 특성을 갖고 있는지를 인식한다.
상기 환자 특성 갱신부(220)는 상기 인식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며, 이렇게 갱신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에 관한 정보를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300) 및 상기 케어서비스 결정부(400)로 제공한다.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300)는 치매환자에게 제공되는 케어서비스를 저장하며, 주행동 저장부(310), 기존환자 정보부(320) 및 보조행동 저장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기존환자 정보부(320)는 기존의 초기 치매환자들의 특성 또는 행동 양식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새로 인식된 치매환자들의 특성 또는 행동양식들에 관한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정보가 추가되어 기존환자에 대한 정보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한편, 치매환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상기 주행동 저장부(310) 또는 상기 보조행동 저장부(330)에 저장되는데, 치매환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종류가 증가할수록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며, 해당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싱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들 중 치매환자들이 주로 필요로하는 행동들은 상기 주행동 저장부(310)에 저장되고, 치매환자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필요한 행동들은 상기 보조행동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저장 공간을 분리하여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현한다.
즉, 상기 주행동 저장부(310)는 대다수의 치매환자들에게 제공되는 주요 케어서비스들이 저장되며, 이에 따라, 상기 주행동 저장부(310)는 상기 기존환자 정보부(320)에 저장된 기존환자의 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되는 케어서비스들이 선택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행동 저장부(330)는 상기 주행동 저장부(310)에 저장되는 주요 서비스들을 외에, 선택에 따라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케어서비스들을 저장한다. 상기 보조행동 저장부(330)에 저장되는 케어서비스들은 환자의 특성에 따라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인 초기 치매환자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 외에 초기 치매환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케어서비스들이 저장된다.
상기 케어서비스 결정부(400)는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300)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상기 치매환자의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는 케어서비스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어서비스 결정부(400)는 상기 환자특성 갱신부(220)로부터 제공된 해당 치매환자에 대한 갱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행동 저장부(310)에 저장된 대다수의 치매환자들에게 제공되는 주요 케어서비스들, 및 상기 보조행동 저장부(330)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해당 치매환자에게 필요한 케어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되는 케어서비스를 결정한다.
즉, 상기 케어서비스 결정부(400)는 해당 환자의 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행동 저장부(310)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일부를 제외하거나, 상기 보조행동 저장부(330)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일부를 선택하여, 해당 환자에게 제공되는 케어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케어서비스 수행부(500)는 상기 케어서비스 결정부(400)에서 결정된 케어서비스를 해당 치매환자에게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케어서비스 수행부(500)는 케어서비스를 수행하는 로봇을 포함하여, 로봇에 의해 케어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케어서비스 수행부(500)는 로봇 제어부(510)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제어부(510)를 통해 상기 로봇의 수행을 제어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케어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된 케어서비스의 내용을 도시한 리스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300)에는 도 3에 열거된 서비스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대응의 항목으로 이상상황 또는 응급 상황 대응 서비스가 저장될 수 있으며, 건강한 삶의 지원이란 항목으로 개인 일정 알림 서비스, 시공간 정보 제공 서비스, 타인 정보 서비스, 일상생활 활동 정보 제공서비스가 저장될 수 있으며, 개인화란 항목으로 개인 맞춤형 대화 지원 서비스 또는 상호 의사소통 제공 서비스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긍정 관여란 항목으로 칭찬 및 용기를 복돋아 주는 서비스가 저장될 수 있으며, 사회 연결성이란 항목으로 화상통화 또는 SNS 제공 서비스가 저장될 수 있고, 정신활동 지원이란 항목으로 기억 훈련 서비스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에 열거된 서비스들은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인 치매환자의 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되는 케어서비스로 주행동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선택에 따라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케어서비스로 보조행동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치매환자 케어시스템을 통해 인식되는 환자 특성 및 환자 특성에 부합하도록 제공되는 케어 서비스의 내용을 도시한 일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자 특성 인식부(200)를 통해 인식된 환자의 특성(201)이, 언어장애로서 상황에 맞지 않는 단어를 사용하고, 지남력 장애로서 반복적인 식사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케어 서비스 결정부(400)에서는 상기 인식된 해당 환자의 특성을 바탕으로, 도 3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에서, 도 4의 케어서비스(401)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어서비스 결정부(400)에서, 건강한 삶 지원의 항목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주행동 저장부(310)에 저장된 개인일정 알림으로서 투약/식사 시간 알림 서비스, 시공간 정보 제공 서비스, 타인 정보 제공 서비스 및 생활활동 정보 제공 서비스 외에, 상기 보조행동 저장부(330)에 저장된 개인일정 알림으로써 반복적인 식사 요청에 대한 대응으로 가족사진으로 주의를 전환하는 서비스나 식사 정보를 기록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치매환자 케어시스템을 통해 인식되는 환자 특성 및 환자 특성에 부합하도록 제공되는 케어 서비스의 내용을 도시한 다른 예이다.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자 특성 인식부(200)를 통해 인식된 환자의 특성(202)이, 언어장애로서 상황에 맞지 않는 단어를 사용하고, 지남력 장애로서 물건 위치 및 사용법을 반복적으로 질의하는 경우, 상기 케어 서비스 결정부(400)에서는 상기 인식된 해당 환자의 특성을 바탕으로, 도 3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에서, 도 5의 케어서비스(402)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어서비스 결정부(400)에서, 건강한 삶 지원의 항목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주행동 저장부(310)에 저장된 개인일정 알림 서비스, 시공간 정보 제공 서비스, 타인 정보 제공 서비스 및 생활활동 정보 제공 서비스로서 질의에 대한 물건정보 알림 서비스 외에, 상기 보조행동 저장부(330)에 저장된 생활활동 정보제공 서비스로써 물건을 사용할 상황에서 물건의 사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 케어시스템(10)에서는 해당 치매환자의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외에 해당 환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추가로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초기 치매환자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필요한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치매환자 케어시스템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케어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치매환자 케어시스템(10)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치매환자 케어시스템(10)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치매환자 케어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 케어방법에서, 우선, 상기 멀티모달 센서부(100)에서 치매 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10).
이 후, 상기 환자 특성 인식부(200)에서는 상기 치매 환자에 대하여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치매 환자의 개인 특성을 인식한다(단계 S20).
이 후, 상기 케어 서비스 결정부(400)에서는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300)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치매 환자의 개인 특성을 고려하여 치매환자에게 제공되는 케어서비스를 결정한다(단계 S3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자 특성 갱신부(220)는 상기 해당 환자 특성 인식부(210)로부터 제공받은 치매환자의 개인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갱신한다(단계 S31).
이 후, 상기 케어 서비스 결정부(400)는 상기 갱신된 치매환자의 개인특성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행동 저장부(310)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과 상기 보조행동 저장부(330)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환자의 특성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선택한다(단계 S32).
이 후, 상기 로봇 제어부(510)의 제어를 통해 로봇을 포함하는 케어서비스 수행부(500)는 상기 선택된 케어서비스를 치매환자에게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멀티 모달 센서부를 통해 인식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바탕으로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는 케어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으로, 해당 치매환자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일상생활의 보조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초기 치매환자의 경우, 일상생활 중에서 일부 행위 등에 대한 망각이 발생하며, 망각되는 행위는 치매환자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므로, 해당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최적화된 케어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영상센서, 음성센서, 생체센서 등을 통해 파악함으로써, 치매환자의 행위, 음성 및 생체 상태 등을 바탕으로 개인 특성에 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환자 특성 인식부에서 인식된 해당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기존 환자들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환자 특성을 갱신하고, 갱신된 환자 특성을 바탕으로 주행동 저장부에 저장된 기존 환자들에 대한 정보 외에 보조행동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환자의 특성에 맞는 케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최적화된 치매환자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주행동 저장부 외에 보조행동 저장부에 추가적으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저장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서비스를 주행동 저장부에 저장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의 불필요한 서비스 제공 또는 과도한 서비스 저장공간의 문제를 해결하며, 다양한 종류의 환자의 서비스들 중 선택적으로 최적의 서비스만 제공하게 되어, 시스템 운영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은 초기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의 케어 또는 보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치매환자 케어시스템
100 : 멀티 모달 센서부 110 : 영상센서
120 : 음성센서 130 : 생체센서
140 : 로봇 내부센서 150 : 정보 처리부
200 : 환자특성 인식부 210 : 해당 환자 특성 인식부
220 : 환자 특성 갱신부 300 : 케어서비스 저장부
310 : 주행동 저장부 320 : 기존 환자 정보부
330 : 보조행동 저장부 400 : 케어서비스 결정부
500 : 케어서비스 수행부 510 : 로봇 제어부

Claims (10)

  1.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멀티 모달 센서부;
    상기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인식하는 환자 특성 인식부;
    치매환자에게 제공되는 케어서비스가 저장된 케어서비스 저장부;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상기 치매환자의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는 케어서비스를 결정하는 케어 서비스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케어서비스를 수행하는 케어서비스 수행부를 포함하는 치매환자 케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서비스 수행부는 로봇을 포함하며, 상기 로봇의 구동을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케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모달 센서부는,
    치매환자의 상태를 촬영하는 영상센서, 치매환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센서, 치매환자의 생체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생체센서, 및 상기 로봇에 구비된 로봇내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치매환자의 정보를 해석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케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는,
    기존 치매환자의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기존환자 정보부;
    상기 기존 치매환자의 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되는 케어서비스들을 저장하는 주행동 저장부; 및
    선택에 따라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케어서비스들을 저장하는 보조행동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케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특성 인식부는,
    상기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인식하는 해당 환자 특성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바탕으로 상기 기존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갱신된 정보를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 및 상기 케어 서비스 결정부로 제공하는 환자 특성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케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서비스 결정부는,
    상기 환자 특성 갱신부로부터 제공된 치매환자에 대한 갱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행동 저장부 및 상기 보조행동 저장부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상기 치매환자에 필요한 케어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케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서비스 결정부는,
    상기 주행동 저장부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일부를 제외하거나, 상기 보조행동 저장부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케어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케어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서비스 저장부에는,
    응급 상황 또는 이상 상황 대응 서비스, 개인 일정 알림 서비스, 시공간 정보 제공 서비스, 타인 정보 제공 서비스, 일상생활 활동 정보 제공 서비스, 상호 의사소통 제공 서비스, 화상통화 또는 SNS 제공 서비스, 기억 훈련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케어시스템.
  9. 멀티 모달 센서부에서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치매환자의 개인 특성을 인식하는 단계;
    케어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된 케어서비스들 중 상기 치매 환자의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는 케어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케어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매환자 케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치매환자의 개인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치매환자에 필요한 케어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케어방법.
KR1020160145033A 2016-11-02 2016-11-02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KR10188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033A KR101880500B1 (ko) 2016-11-02 2016-11-02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033A KR101880500B1 (ko) 2016-11-02 2016-11-02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008A true KR20180048008A (ko) 2018-05-10
KR101880500B1 KR101880500B1 (ko) 2018-08-16

Family

ID=6218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033A KR101880500B1 (ko) 2016-11-02 2016-11-02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50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182B1 (ko) * 2019-07-19 2020-0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US10789458B2 (en) 2018-08-28 2020-09-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uman behavior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10029623A (ko) *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허그케어앤테라퓨틱스 스마트 수제화를 이용한 치매환자 실버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71839A (ko) * 2019-12-06 2021-06-16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피노타입 스크립트 기반 치매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8924A (ko) * 2020-05-13 2021-11-22 류경희 치매 환자 케어 및 기록 지원 시스템
KR102526790B1 (ko) 2022-07-15 2023-04-27 헬로칠드런 주식회사 치매 환자를 위한 소통 케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277B1 (ko) 2021-05-26 2023-08-23 (주)와이즈에이아이 Ai 기반의 보컬 분석을 통한 치매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9458B2 (en) 2018-08-28 2020-09-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uman behavior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063182B1 (ko) * 2019-07-19 2020-0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KR20210029623A (ko) *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허그케어앤테라퓨틱스 스마트 수제화를 이용한 치매환자 실버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71839A (ko) * 2019-12-06 2021-06-16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피노타입 스크립트 기반 치매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8924A (ko) * 2020-05-13 2021-11-22 류경희 치매 환자 케어 및 기록 지원 시스템
KR20220065746A (ko) * 2020-05-13 2022-05-20 류경희 치매 환자의 기록 데이터 가공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KR102526790B1 (ko) 2022-07-15 2023-04-27 헬로칠드런 주식회사 치매 환자를 위한 소통 케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500B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500B1 (ko)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JP6346953B2 (ja) 補助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US10433788B2 (en) Earpiece life monitor with capability of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726846B2 (en) Virtual health assistant for promotion of well-being and independent living
KR20100137175A (ko) 자동으로 사용자의 감정 및 의도를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05924A (ko) 치매환자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7089953B2 (ja) 支援システム
JP728504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568445A (zh) 一种基于谵妄动态预测模型的谵妄风险监测方法及系统
CN110471534B (zh) 基于情绪识别的信息处理方法及远程医疗管理系统
WO2020005016A1 (ko) 배뇨에 관한 설문을 수행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Lutze et al. Model based dialogue control for smartwatches
JP6482764B2 (ja) 健康管理システム、健康管理方法、およ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JP2020022744A (ja) 認知機能判定システム
JP2019197509A (ja) 介護ロボット、介護ロボット制御方法及び介護ロボット制御プログラム
KR102063182B1 (ko)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US20190216406A1 (en) Wearable device to assist cognitive dysfunction suffer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7284325B2 (ja) 支援システム
WO2014037038A1 (en) Instant aid
JP2003339796A (ja) 介護ロボット
JP2010005058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Xefteris et al. Enabling risk assessment and analysis by event detection in dementia patients using a reconfigurable rule set
US20230124053A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bedsor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074858A1 (en) Method for tracking pupil for eye in various conditions, and health diagnosis system using same
KR102375580B1 (ko)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