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580B1 -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580B1
KR102375580B1 KR1020190129080A KR20190129080A KR102375580B1 KR 102375580 B1 KR102375580 B1 KR 102375580B1 KR 1020190129080 A KR1020190129080 A KR 1020190129080A KR 20190129080 A KR20190129080 A KR 20190129080A KR 102375580 B1 KR102375580 B1 KR 102375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ission
cognitive impairment
mild cognitive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707A (ko
KR102375580B9 (ko
Inventor
장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이언스
Priority to KR1020190129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5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580B1/ko
Publication of KR10237558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58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3Assessment of subject's compliance to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사용자가 착용하는 장치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 훈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센서부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상기 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수집된 신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파악하는 제 2 단계; 네트워크를 구축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장치가 미션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 3 단계; 상기 미션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미션 수행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를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신체 상황 정보 및 상기 분류된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장치의 통신부가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미리 설정된 외부로 전송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 {smart clothing type system for self-determinat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prevention training}
본 발명은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연결된 단말을 통하여 단계별로 심화되는 미션 콘텐츠를 수신한 사용자의 미션 수행과 관련하여, 미션 상의 콘텐츠에 반응하는 속도, 이해도(타임구간), 반응 시간 등을 기초로 사용자의 경도 인지 반응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경도 인지 장애에 대한 징후 자가 판별과 예방에 필요한 선별적 미션 수행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예방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도인지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에 대한 검사와 인지기능을 평가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통해 진단한다.
먼저, 혈액 검사로서,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호모시스테인혈증, 갑상선기능이상 여부 등의 내과적 질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한다.
다음으로, 유전자 검사로서, 아포지질단백질E4 (APOE4) 유전자 보유 여부에 대해 알기 위해 검사한다.
또한, 영상검사로서, 뇌자기 공명영상검사(MRI) 또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검사(PET)를 시행한다.
MRI 검사를 통해 뇌의 구조적인 변화를 알 수 있으며, 뇌실질의 위축 및 노화 상태, 동반된 뇌혈관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PET 검사는 뇌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로 뇌의 대사가 저하된 뇌의 영역을 확인함으로써 치매로의 진행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알츠하이머형 치매 원인 단백인 아밀로이드 침착 유뮤를 확인하기 위해 아밀로이드 PET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인지기능검사로서, 신경심리평가, 주의집중력, 기억력, 언어사용능력, 공간지각능력, 고위인지기능, 판단력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수행이 저하된 인지 영역을 확인하고, 인지기능 저하의 유무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경도인지장애는 개념의 정립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단계의 치매의 전 임상 상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많은 진단적 연구나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서로 약간씩 다른 기준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아직은 표준화된 신뢰성 있는 조기 진단의 방법이나 치료 지침은 확립되어 있지 않지만, 진단 기준의 확립과 생물학적 지표의 유용성 연구, 일부항 치매약물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들의 결과가 수 년 내에 모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결국, 경도인지장애는 치매 특히 알츠하이머병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최후의 보루라는 점에서 치매 치료의 가장 좋은 목표가 될 수 있는 대상이다.
즉, 적절한 치료가 있다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위험요소의 치료 등으로 환자의 남은 생활의 질을 높여 줄 수 있고, 국가와 같은 집단의 경제적, 사회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좋은 접근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 정신질환에 관련한 진단 및 치료는 전문병원이나 상담기관 방문에 의해 전문가와 1:1 대면을 통해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울러,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및 편견, 시간 및 경제적 문제 등으로 인해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 접근성이 높은 인터넷 진단에 기반한 치유 기법과 생체신호에 기반한 가상현실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생체신호 기반 가상/증강현실 기기는 위치정보 및 생체신호에 근거해 작업자의 안전용 작업 헬멧 또는 단순한 증강기술을 이용한 생체신호 표시 시스템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또한, 기존에 생체신호 분석을 활용한 정신건강 평가시스템이 있어서 시청각 이미지를 제공한 후 유선 형태의 별도 생체신호 측정센서 및 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신건강 평가를 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 10-2020598 호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연결된 단말을 통하여 단계별로 심화되는 미션 콘텐츠를 수신한 사용자의 미션 수행과 관련하여, 미션 상의 콘텐츠에 반응하는 속도, 이해도(타임구간), 반응 시간 등을 기초로 사용자의 경도 인지 반응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도 인지 장애에 대한 징후 자가 판별과 예방에 필요한 선별적 미션 수행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예방훈련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사용자가 착용하는 스마트 의류형 장치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 훈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의류형 장치의 센서부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마트 의류형 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수집된 신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파악하는 제 2 단계; 네트워크를 구축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스마트 의류형 장치가 미션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 3 단계; 상기 미션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미션 수행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를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신체 상황 정보 및 상기 분류된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의류형 장치의 통신부가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미리 설정된 외부로 전송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신체 정보는 활동 정도, 온도, 심장 박동 수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신체 상황은,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 상황, 상기 사용자의 온도 변화 상황 및 상기 사용자의 심장 박동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미션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반응 여부, 반응 속도 및 반응 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가 존재하는지, 경증인지 또는 중증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미션 콘텐츠는, 문장 구조를 변경하고, 상기 사용자가 재배치하도록 하는 제 1 미션, 시간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시간 구간에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수행한 행동을 기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미션, 텍스트 작성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양 이상의 텍스트량을 표현하는지 여부와 사용하는 단어량이 미리 지정된 숫자 이하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3 미션, 상기 사용자의 미션 실패율이 미리 지정된 숫자 이하로 연속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4 미션, 푸쉬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액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5 미션 및 복약 시간을 알리는 알람을 구성하고, 상기 알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기억과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미션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7 단계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기초로 결정되고, 미션 수행 성공에 따라 단계별로 심화되는 훈련 미션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훈련 미션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미션 수행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훈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훈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9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신체 상황 정보 및 상기 훈련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개선 여부 및 개선된 정도를 판단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인지 장애 개선 여부 및 개선된 정도를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로 전송하는 제 1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인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 훈련을 위해, 사용자가 착용하는 스마트 의류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상기 수집된 신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파악하는 제어부; 및 네트워크를 구축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미션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션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미션 수행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를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하며,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신체 상황 정보 및 상기 분류된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미리 설정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 정보는 활동 정도, 온도, 심장 박동 수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상황은,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 상황, 상기 사용자의 온도 변화 상황 및 상기 사용자의 심장 박동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미션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반응 여부, 반응 속도 및 반응 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가 존재하는지, 경증인지 또는 중증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션 콘텐츠는, 문장 구조를 변경하고, 상기 사용자가 재배치하도록 하는 제 1 미션, 시간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시간 구간에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수행한 행동을 기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미션, 텍스트 작성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양 이상의 텍스트량을 표현하는지 여부와 사용하는 단어량이 미리 지정된 숫자 이하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3 미션, 상기 사용자의 미션 실패율이 미리 지정된 숫자 이하로 연속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4 미션, 푸쉬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액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5 미션 및 복약 시간을 알리는 알람을 구성하고, 상기 알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기억과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미션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기초로 결정되고, 미션 수행 성공에 따라 단계별로 심화되는 훈련 미션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훈련 미션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미션 수행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훈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훈련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신체 상황 정보 및 상기 훈련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개선 여부 및 개선된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인지 장애 개선 여부 및 개선된 정도를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연결된 단말을 통하여 단계별로 심화되는 미션 콘텐츠를 수신한 사용자의 미션 수행과 관련하여, 미션 상의 콘텐츠에 반응하는 속도, 이해도(타임구간), 반응 시간 등을 기초로 사용자의 경도 인지 반응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도 인지 장애에 대한 징후 자가 판별과 예방에 필요한 선별적 미션 수행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예방훈련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예방훈련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설명한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방법의 구체적 일례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예방훈련 방법의 구체적 일례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과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 복수의 단말(2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신호, 영상 신호,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 동작할 수도 있고,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다음으로, A/V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의 개폐 상태,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의 방위,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특히, 센싱부(140)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과 관련된 사용자의 심전도, 혈압, 산소 포하도, 체온, 호흡, 혈액, 뇨 및 체액 성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센싱하고,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51)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이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영상 출력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 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2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광출력부(156)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외곽라인에 위치하며 발광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광출력부(156)는 외부로부터 경고(or 발신)신호 및 메시지 수신시 발광소자의 점멸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동강도표시부(157)와 키퍼모드 표시부(158)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는 착용자의 운동강도와 키퍼모드(keeper mode)의 작동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센싱부(140) 중 가속도 센서를 통해 착용자의 운동량과 운동강도가 감지되면, 그에 따른 레벨의 운동량(운동지속 시간)과 강도를 색상이나 숫자 혹은 바(bar)의 개수 등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운동강도와 키퍼모드(keeper mode)의 작동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별도의 표시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기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이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방법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기초로,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방법과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예방훈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부(140)가 활동, 온도, 심장 박동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가 진행된다.
이후, 제어부(180)는 S10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활동량, 단말 설치 부의 온도(체온) 변화, 심장박동상황 등을 체크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이후,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을 위해, 무선통신부(110)와 연결된 단말(200, 300)을 통하여 사용자가 단계별로 심화되는 미션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행하는 단계(S30)가 진행된다.
S30 단계 이후,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미션 수행을 기초로, 사용자의 인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수집된 데이터를, 미션 상의 콘텐츠에 반응하는 속도, 이해도(타임구간), 반응 시간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S50)하고, 상기 구분된 수집 데이터 및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의 경도 인지 반응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된다(S60).
이후,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는 판단 결과를 사용자 및 사용자와 연계된 외부 기관으로 알리는 단계(S70)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을 통한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예방훈련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예방훈련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따른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예방훈련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한 S60 단계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즉, S60 단계와 S70 단계 사이에 적용될 수도 있고, S70 단계 이후에 진행될 수도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도 2의 제어부가 상기 구분된 수집 데이터 및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의 경도 인지 반응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단계(S60) 이후에, 인지 장애 여부, 인지장애 정도, 인지속도, 인지 반응 시간, 반응 절차 오류, 문제의 난이도 등를 고려하여, 연결된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가 단계별로 심화되는 미션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행하는 단계(S100)가 진행된다.
이후, 제어부(180) 및 단말(200, 300)에 의해, 경도 인지 장애에 대한 징후 자가 판별과 예방에 필요한 선별적 미션 수행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S110).
또한,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는, 판단 결과 및 개선 결과를 사용자 및 사용자와 연계된 외부 기관으로 알리는 단계(S120)를 수행할 수 있다.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방법
도 2에서 설명한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방법과 관련하여, 도 4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의 S30 단계는, 도 4의 S31 단계 내지 S36 단계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단, 도 4의 S31 단계 내지 S36 단계의 순서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상호 간의 선후 관계가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80)가 문장 구조를 재 배열 하여 테스트하는 단계(S31)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가 시간 구간을 설정하고, 이전에 수행한 자신의 행동을 기억하는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S32)가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가 일기 작성과 관련하여, 매일 매일 글의 작성으로 일정 수준의 글량을 표현 못하거나 단어량이 현저하게 줄어더는지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S33)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가 미션 수행 방식을 숙지하지만 실패율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지 테스트하는 단계(S34)가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가 순간 미션으로서, 불끄기, 가스불끄기 등을 일상생활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푸쉬 메시지를 통해 테스트하는 단계(S35)를 수행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80)가 복약과 관련하여, 약 먹을 시간 알람을 구성하고, 자신 스스로 알람에 대한 기억과 반응을 테스트하는 단계(S36)가 진행될 수도 있다.
이 이외에도, 불특정 시간에 램덤으로 자극을 주거나 단말(200, 300)로 미션을 부여하거나 본 의류 시스템(100)을 통한 미션 부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약을 섭취하지 않았는지 여부, 걸음걸이의 파악, 방금 행한 행동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과정, 뜀뛰기, 가볍게 걷기, 앉았다 일어나기 등의 지시를 통한 피드백, 약을 먹었는지 여부, 엑셀레이터 및 자이로 센서를 통한 걸었느냐, 뛰었느냐 등을 기초로 미션 부여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S50 단계와 관련하여, 사용자 반응 미션은, 예를 들어, 약을 먹어라, 열 걸음을 걸어라, 빠른 걸음으로 5초간 걸어라 등을 구분하여 정리될 수 있다.
즉, 반응여부, 반응시간 및 반응을 구분할 수 있느냐 등을 기준으로 정리 및 S60 단계에서의 경도 인지 반응 장애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S60 단계에서, 경증인지 중증인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경도인지 장애 예방훈련 방법
도 3에서 설명한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예방훈련 방법과 관련하여, 도 5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의 S100 단계는, 도 5의 S101 단계 및 S102 단계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단, 도 5의 S101 단계 및 S102 단계의 순서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상호 간의 선후 관계가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5을 참조하면, 제어부(180)가 측정 평가 지표를 기준으로 지속적인 훈련 미션을 구성하는 단계(S101)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가, 미션에 해당하는 정보를 훈련 일지를 구성하여, 경도인지 장애의 지침인 매일매일 운동 30분 이상의 활동력과 비교하고, 예방 훈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02)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연결된 단말을 통하여 단계별로 심화되는 미션 콘텐츠를 수신한 사용자의 미션 수행과 관련하여, 미션 상의 콘텐츠에 반응하는 속도, 이해도(타임구간), 반응 시간 등을 기초로 사용자의 경도 인지 반응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도 인지 장애에 대한 징후 자가 판별과 예방에 필요한 선별적 미션 수행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예방훈련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0)

  1. 사용자가 착용하는 장치를 이용한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 훈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센서부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상기 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수집된 신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파악하는 제 2 단계;
    네트워크를 구축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장치가 미션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 3 단계;
    상기 미션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미션 수행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를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신체 상황 정보 및 상기 분류된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장치의 통신부가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미리 설정된 외부로 전송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미션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반응 여부, 반응 속도 및 반응 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가 존재하는지, 경증인지 또는 중증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 7 단계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기초로 결정되고, 미션 수행 성공에 따라 단계별로 심화되는 훈련 미션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훈련 미션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미션 수행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훈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훈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9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신체 상황 정보 및 상기 훈련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개선 여부 및 개선된 정도를 판단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인지 장애 개선 여부 및 개선된 정도를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로 전송하는 제 11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신체 정보는 활동 정도, 온도, 심장 박동 수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신체 상황은,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 상황, 상기 사용자의 온도 변화 상황 및 상기 사용자의 심장 박동 상황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미션 콘텐츠는,
    문장 구조를 변경하고, 상기 사용자가 재배치하도록 하는 제 1 미션,
    시간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시간 구간에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수행한 행동을 기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미션,
    텍스트 작성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양 이상의 텍스트량을 표현하는지 여부와 사용하는 단어량이 미리 지정된 숫자 이하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3 미션,
    상기 사용자의 미션 실패율이 미리 지정된 숫자 이하로 연속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4 미션,
    푸쉬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액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5 미션 및
    복약 시간을 알리는 알람을 구성하고, 상기 알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기억과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미션 을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사용자가 착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상기 수집된 신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파악하는 제어부; 및
    네트워크를 구축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미션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션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미션 수행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를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하며,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신체 상황 정보 및 상기 분류된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미리 설정된 외부로 전송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미션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반응 여부, 반응 속도 및 반응 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가 존재하는지, 경증인지 또는 중증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여부 및 정도를 기초로 결정되고, 미션 수행 성공에 따라 단계별로 심화되는 훈련 미션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훈련 미션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미션 수행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훈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훈련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신체 상황 정보 및 상기 훈련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 장애 개선 여부 및 개선된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인지 장애 개선 여부 및 개선된 정도를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로 전송하며,

    상기 신체 정보는 활동 정도, 온도, 심장 박동 수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상황은,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 상황, 상기 사용자의 온도 변화 상황 및 상기 사용자의 심장 박동 상황을 포함하고,

    상기 미션 콘텐츠는,
    문장 구조를 변경하고, 상기 사용자가 재배치하도록 하는 제 1 미션,
    시간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시간 구간에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수행한 행동을 기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미션,
    텍스트 작성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양 이상의 텍스트량을 표현하는지 여부와 사용하는 단어량이 미리 지정된 숫자 이하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3 미션,
    상기 사용자의 미션 실패율이 미리 지정된 숫자 이하로 연속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4 미션,
    푸쉬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액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5 미션 및
    복약 시간을 알리는 알람을 구성하고, 상기 알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기억과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미션 을 포함하는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29080A 2019-10-17 2019-10-17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 KR10237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80A KR102375580B1 (ko) 2019-10-17 2019-10-17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80A KR102375580B1 (ko) 2019-10-17 2019-10-17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707A KR20210045707A (ko) 2021-04-27
KR102375580B1 true KR102375580B1 (ko) 2022-03-17
KR102375580B9 KR102375580B9 (ko) 2022-12-05

Family

ID=7572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080A KR102375580B1 (ko) 2019-10-17 2019-10-17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5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593B1 (ko) * 2011-03-22 2013-11-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규준기반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
KR20180045278A (ko) * 2016-10-25 2018-05-0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KR102020598B1 (ko) 2018-12-11 2019-09-10 전자부품연구원 생체신호 센서 기반 정신질환 진단 및 치유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707A (ko) 2021-04-27
KR102375580B9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788B2 (en) Earpiece life monitor with capability of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220101710A1 (en)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accuracy of fall detection using multi-sensor fusion
US11024142B2 (en) Event detector for issuing a notification responsive to occurrence of an event
CN103561652B (zh) 用于辅助患者的方法和系统
RU2395228C2 (ru) Биосенсоры, коммуникаторы и контроллеры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движения глаз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US9044136B2 (en) Wearable mini-siz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US8094009B2 (en) Health-related signaling via wearable items
US8130095B2 (en) Health-related signaling via wearable items
US8284046B2 (en) Health-related signaling via wearable items
US20170010665A1 (en) Smart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for acquisition of sensorial information from wearable devices to activate functions in other devices
US20100052892A1 (en) Health-related signaling via wearable items
CN107438398A (zh) 移动式可穿戴的监控系统
CN107169309B (zh) 基于头戴式检测设备的视野检测方法、系统及检测装置
KR20130051922A (ko) 심리장애(psychological disorders)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684256B2 (en) Eye movement in response to visual stimuli for assessment of ophthalmic and neurological conditions
CN105768720A (zh) 一种镜面显示的智能健康监控系统及方法
KR20120036244A (ko) 생체 이식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656304A (zh) 通信方法及系统
US20150179079A1 (en) Mobile devices as neural sensors for improved health outcomes and efficacy of care
CN108697389A (zh) 用于支持神经状态评估和神经康复的系统和方法,尤其是认知和/或言语功能障碍
KR102171742B1 (ko) 노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5580B1 (ko)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
KR102366251B1 (ko)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US20220225949A1 (en) Wearable device network system
KR102188076B1 (ko) 노년층 피보호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IoT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