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278A -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278A
KR20180045278A KR1020160139204A KR20160139204A KR20180045278A KR 20180045278 A KR20180045278 A KR 20180045278A KR 1020160139204 A KR1020160139204 A KR 1020160139204A KR 20160139204 A KR20160139204 A KR 20160139204A KR 20180045278 A KR20180045278 A KR 20180045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ser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영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9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5278A/ko
Priority to PCT/KR2017/011803 priority patent/WO2018080149A2/ko
Publication of KR20180045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4012
    • A61B5/0478
    • A61B5/048
    • A61B5/049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8Evalu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61B5/374Detec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e.g. detecting delta, theta, alpha, beta or gamma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eur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신호 센서를 연동하여 구동되는 스마트 글라스 장치에 가상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여 인지기능 예방 훈련 및 재활 치료를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인지재활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발산되는 영상광을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하는 광학 모듈로 이루어진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뇌파를 센싱하는 뇌파 센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근전도를 센싱하는 근전도 센서; 및 상기 뇌파 센서 및 근전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센싱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가 다른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Virtual Reality Recognition Rehabilitation System based on Bio Sensors}
본 발명은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신호 센서를 연동하여 구동되는 스마트 글라스 장치에 가상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여 인지기능 예방 훈련 및 재활 치료를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인지재활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이란 컴퓨터를 통해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입체감 있는 3D 컨텐츠로 제작하여, 그 3D 컨텐츠를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 등을 총칭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지각하는 입체감은 관찰하는 물체의 위치에 따른 수정체의 두께 변화 정도, 양쪽 눈과 대상물과의 각도 차이, 그리고 좌우 눈에 보이는 대상물의 위치 및 형태의 차이, 대상물의 운동에 따라 생기는 시차, 그 밖에 각종 심리 및 기억에 의한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생긴다.
그 중 사람이 입체감을 느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사람의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5㎝가량 떨어져 있음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이다. 즉, 양안 시차에 의해 대상물에 대한 각도 차이를 가지고 바라보게 되고, 이 차이로 인해 각각의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상을 갖게 되며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 두 개의 정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D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입체감 있는 3D 컨텐츠들은 이미 여러 미디어 분야에 두루 이용되어 소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아오고 있다. 예를 들어 3D 영화, 3D 게임 및 체험 디스플레이와 같은 것들이 대표적이다.
이와 같이 가상 현실 기술 3D 컨텐츠들의 보편화와 더불어, 더욱 몰입도 높은 가상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다각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눈과 매우 근접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영상광을 정밀한 광학 장치를 이용하여 먼 거리에 가상의 대형화면이 구성될 수 있도록 초점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확대된 허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말한다.
또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위 환경은 볼 수 없고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발산된 영상광만을 볼 수 있는 밀폐형(See-close)과, 윈도우를 통해 주위 환경을 볼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발산된 영상광을 동시에 볼 수 있는 투과식(See-through)으로 나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란 안경처럼 머리에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각종디지털 디바이스를 말한다.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량화 및 소량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가 개발되고 있으며, HMD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HMD는 단순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넘어 증강 현실 기술, N 스크린 기술 등과 조합되어 유저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장착되는 경우, 유저는 HMD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HMD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경우, 유저는 HMD를 착용한 상태에서, 유저가 원하는 방향의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현재, 전술한 가상 현실 기술을 인지재활 예방 및 치료훈련에 이용하는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인지재활 방법으로 컴퓨터기반 전산화 인지재활 시스템이 상용화 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별도의 컴퓨터 시스템이 필요하므로 특정 장소에서만 활용이 가능하고 컨텐츠로 구성된 인지기능 훈련에 기반한 정량화된 분석만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뇌파, 근전도, 심전도 센서와 같은 생체 센서 기술과 스마트글라스 기술, 가상현실 컨텐츠 기술이 융합된 기술로 개인이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시스템으로 장소에 구애 없이 인지재활 예방 및 치료훈련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0116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769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194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체신호 센서를 연동하여 구동되는 스마트 글라스 장치에 가상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여 인지기능 예방 훈련 및 재활 치료를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인지재활 훈련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인지재활 장치는 안경이나 헬멧처럼 착용하는 스마트 글라스에 가상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구조로, 장소의 구애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스마트 글라스에 내장된 뇌파센서나 사용자의 인체에 부착이 가능한 근전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지기능, 운동기능에 대한 실시간,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며 인지기능 정도에 따른 레벨별 인지기능 훈련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안하는 인재재활 장치는 스마트글라스에 내장된 모션센서, 카메라, 외부연동 가능한 키넥트 센서 등을 이용해 사용자 모션 및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므로 인지재활 뿐만 아니라 운동재활 시스템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인체부착 가능한 심전도 센서를 이용해 운동상태, 스트레스 지수 등 신체분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발산되는 영상광을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하는 광학 모듈로 이루어진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뇌파를 센싱하는 뇌파 센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근전도를 센싱하는 근전도 센서; 및 상기 뇌파 센서 및 근전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센싱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가 다른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자의 안구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상기 사용자의 헤드를 고정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상기 사용자의 헤드를 고정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는 고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파는, 알파파(α), 베타파(β), 세타파(θ), 감마파(γ), 델타파(δ), SMR파 및 Mid- β 파 등과 같은 원천데이터의 시간영역, 주파수 영역 분석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전도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끼워지는 손목 밴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지정된 조건은, 상기 뇌파 센서를 통해 센싱된 뇌파 중 인지재활 훈련을 위하여 고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원천데이터를 가공하여 산출한 분석지표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인 조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지정된 조건은, 상기 근전도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가이드 정보에 대응되는 조건일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뇌파 센서, 근전도 센서 및 심전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가진 사용자, 경도인지장애(MCI) 및 인지기능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예와 관련된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발산되는 영상광을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하는 광학 모듈로 이루어진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제 1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뇌파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뇌파를 센싱하고, 근전도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근전도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뇌파 센서 및 근전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보가 센싱된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가 다른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파는, 알파파(α), 베타파(β), 세타파(θ), 감마파(γ), 델타파(δ), SMR파 및 Mid- β 파 등과 같은 원천데이터의 시간영역, 주파수 영역 분석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지정된 조건은, 상기 뇌파 센서를 통해 센싱된 뇌파 중 인지재활 훈련을 위하여 고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원천데이터를 가공하여 산출한 분석지표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인 조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지정된 조건은, 상기 근전도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가이드 정보에 대응되는 조건일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뇌파 센서, 근전도 센서 및 심전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방법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가진 사용자, 경도인지장애(MCI) 및 치매 등과 같은 인지기능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체신호 센서를 연동하여 구동되는 스마트 글라스 장치에 가상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여 인지기능 예방 훈련 및 재활 치료를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인지재활 훈련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인지재활 장치는 안경이나 헬멧처럼 착용하는 스마트 글라스에 가상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구조로, 장소의 구애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스마트 글라스에 내장된 뇌파센서나 사용자의 인체에 부착이 가능한 근전도 센서, 심전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지기능, 운동기능에 대한 실시간,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며 인지기능 정도에 따른 레벨별 인지기능 훈련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안하는 인재재활 장치는 스마트글라스에 내장된 자이로센서, 카메라, 외부연동 가능한 키넥트 센서 등을 이용해 사용자 모션 및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므로 인지재활뿐만 아니라 운동재활 시스템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치료 관련하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예방 및 치료, 치매 예방 및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뇌기능 장애 예방 및 치료와 관련하여, 뇌기능 장애로 인한 인지기능 재활 및 운동기능 재활, 인지기능강화 훈련 및 기억력, 주의력, 집중력, 실행능력, 의사소통 훈련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시장과 관련하여, 생체신호를 이용한 집중력 게임에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 글라스의 블록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에 이용되는 근전도 센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한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을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예방 및 치료에 이용하는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예방 및 치료의 구체적인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을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치료에 이용하는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에서 설명한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치료의 구체적인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가상 현실 기술 3D 컨텐츠들의 보편화와 더불어, 더욱 몰입도 높은 가상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다각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뇌파센서, 근전도 센서, 심전도 센서 등과 같은 생체 센서 기술과 스마트글라스 기술, 가상현실 컨텐츠 기술이 융합된 기술로 개인이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시스템으로 장소에 구애 없이 인지재활 예방 및 치료훈련을 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기기와 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기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와이다이(Wi-Di; Wireless Display)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센싱부(140)의 센서로부터 발생된 센서 신호가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개폐 상태,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방위,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마이크로디스플레이,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마이크로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는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 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뇌파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뇌파(EEG, Electro-Encephalography)란 뇌에서 발생한 신호를 전극으로 측정한 것을 말하며, 뇌의 수많은 신경에서 발생한 전기적인 신호가 합성되어 나타나는 미세한 뇌 표면의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뇌파 신호는 뇌의 활동, 측정 시의 상태 및 뇌 기능에 따라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며, 이에 따라 뇌파 신호는 주파수에 따른 대역별 특성, 시간 영역에서의 특성, 뇌 기능과 관련된 공간적 특성을 가진다.
뇌파는 주파수와 전압의 범위에 따라 델타, 세타, 알파, 베타, 감마파 등으로 나뉘며, 뇌파의 주파수 대역과 신체 상태에 따른 파장을 살펴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은 뇌파의 주파수 대역과 신체 상태에 따른 파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뇌파센서(141)는 상기 복수의 뇌파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모션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센서(143)는 사물이나 사람의 움직임을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해 디지털로 옮기는 기술을 말한다.
모션센서(143)는 모션캡처의 방식에 따라 기계식, 자기식, 광학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근전도 센서(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전도는 골격근의 전기적 활동을 표면 전극 또는 침전극으로 검출하여 기록한 것이다.
근전도는 일반적으로 말초 신경계의 질병을 파악하는 데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중증 근무력증, 진행성 근디스트로피, 다발성 근염 등에서는 각각 특징 있는 근전도의 패턴이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센서(144)는 이러한 근전도의 변화를 센싱하여 좌/우, 전/후 방향조종, 선택 등과 같은 컨텐츠 연동 제어 기능을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심전도 센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표면 전극으로 검출하여 기록한 것이다.
심전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신호로부터 운동 시 심박 측정, 협심증, 심근경색과 같은 관동맥 질환, 부정맥, 전해질 이상 진단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센서는 이러한 심전도의 변화를 센싱하여 운동지표, 스트레스 지표 산출을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음향 출력 모듈(152)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글라스(15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글라스(156)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 글라스의 블록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156)는 디스플레이 유닛(1110), 커뮤니케이션 유닛(1120), 센싱유닛(1130), 카메라 유닛(1140), 프로세서(1150)를 포함할 수 있다.
HMD(156)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바디는 HMD(156)의 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유닛(1110),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 제 1 모션 센싱 유닛, 프로세서(1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바디는 HMD(156)의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바디로서, 제 2 모션 센싱 유닛, 카메라 유닛(1140), 제 2 커뮤니케이션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는 일 실시예로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에 일부 구성 유닛을 변경 또는 새로운 구성 유닛을 추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1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주얼 정보는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10)은 프로세서(11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10)은 HMD(156)의 제 1 바디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HMD(156)는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HMD(156)는 투시형(see-through) 방식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투시형(see-through) 방식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투명한 것으로, HMD(156)를 착용한 상태에서 유저가 주위 환경을 인식하면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낸다. 다른 일 예로서, HMD(156)는 전방 주사(front-light) 방식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 주사 방식은 빛이 눈에 직접 투사되지 않고 반사된 영상을 거울과 같은 반사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HMD(156)는 암막형(see-closed) 방식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암막형 방식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외부 환경을 볼 수 없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컨텐츠를 이용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HMD(156)는 투시형 또는 암막형 방식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12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12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 Wi-Fi, Wi-D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커뮤니케이션 유닛(1120)은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제 2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제 1 바디에 구비될 수 있고, 제 2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제 2 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제 2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제 1 바디에 포함된
프로세서(1150)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제 2 바디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1140)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싱 유닛(1130)은 HMD(156)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HMD(156)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이를 신호 형태로 프로세서(1150)에 전달할 수 있다.
센싱 유닛(1130)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및 그립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 유닛(113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HMD(156)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15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HMD(156)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에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센싱 유닛(1130)은 각도 센싱 유닛(131) 및 입력 센싱 유닛(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도 센싱 유닛(131) 및 입력 센싱 유닛(132)는 각각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바디에 구비된 각도 센싱 유닛은 제 1 바디의 회전 각도를 센싱할 수 있고, 제 1 바디에 구비된 입력 센싱 유닛은 제 1 바디에 대한 유저의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바디에 구비된 각도 센싱 유닛은 제 2 바디의 회전 각도를 센싱할 수 있고, 제 2 바디에 구비된 입력 센싱 유닛은 제 2 바디에 대한 유저의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에 구비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하여, 제 1 바디와 제 2 바디 간의 분리 신호 및 장착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바디 또는 제 2 바디에 구비된 입력 센싱 유닛을 통하여, 이미지 캡쳐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140)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유닛(1140)은 앞 방향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앞 방향은 카메라 유닛(1140)이 향하고 있는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140)은 화각 영역 내의 이미지를 센싱하여 프로세서(115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각 영역은 이미지를 센싱하는 때에 일정한 화면 내에 포함시킬 수 있는 수평 및 수직 시야각의 범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유닛(1140)은 제 2 바디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유닛(1140)은 제 2 바디뿐만 아니라 제 1 바디에도 구비될 수 있다. 제 2 바디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1140)은 제 1 바디에 장착되어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바디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1140)은 제 1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50)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상술한 HMD(156)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1150)는 제 1 바디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50)는 제 1 바디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유닛(1110), 제 1 각도 센싱 유닛,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 뿐만 아니라, 제 2 바디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1140), 제 2 커뮤니케이션 유닛, 센서 유닛(1130), 제 2 각도 센싱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50)는 제 1 바디뿐만 아니라 제 2 바디에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2 바디가 제 1 바디로부터 분리된 경우, 프로세서(1150)는 제 1 회전 각도 및 제 2 회전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50)는 센싱된 이미지를 제 2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회전 보상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분리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50)는 제 1 캡쳐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50)는 센싱된 이미지를 캡쳐하고, 캡쳐된 이미지를 제 1 회전 각도 및 제 2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제 2 회전 보상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로서, HMD(156)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프로세서(1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HMD(156)가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HMD(156)는 파워 유닛, 스토리지 유닛, 오디오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유닛은 HMD(156)의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HMD(156)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유닛은 오디오, 사진,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은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유닛은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HMD(156)는 고글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이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기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기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무선통신부, A/V입력부, 사용자입력부, 센싱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부의 하드웨어를 동작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메모리에 저장 할 수 있다. 제어부에서는 센서신호를 분석하여 인지기능 지표, 운동기능 지표와 같은 분석지표를 산출하는 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메모리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a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에 이용되는 근전도 센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100)는 밴드 모양의 인터페이스부(170), 뇌파센서(142) 및 스마트글라스(15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100)는 근전도 센서(1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a을 참조하면, 밴드 모양의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마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사용자의 헤드에 결합되는 제 1 부분(170a)과 수평으로 사용자의 헤드에 결합되는 제 2 부분(170b)을 포함한다.
또한, 뇌파센서(142)는 사용자의 이마 또는 관자놀이 부근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뇌파센서(142)는 주파수와 전압의 범위에 따라 구분되는 델타, 세타, 알파, 베타, 감마파 등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글라스(156)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로, 고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글라스(156)를 통해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근전도 센서(144)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구조로, 사용자의 팔의 적어도 일부에 채워지는 팔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근전도 센서(144)를 통해 사용자의 골격근의 전기적 활동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한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마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사용자의 헤드에 결합되는 제 1 부분(170a)과 수평으로 사용자의 헤드에 결합되는 제 2 부분(170b)을 포함하는 밴드 모양의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구 정면에는 고글 형태의 스마트글라스(156)가 배치되고, 뇌파센서(142)는 사용자의 이마 혹은 관자놀이 부근에 배치되며, 근전도 센서(144)는 팔찌형태로 사용자의 팔에 채워지게 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100)는 대표적으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 치매와 같은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즉,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를 위해, 고글 형태의 스마트글라스(156)를 통해 가상현실의 콘텐츠를 표시하고, 근전도 센서(144) 신호 기반의 제어를 통해 콘텐츠에서 제시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사용자의 집중정도를 뇌파센서(142)를 통해 확인하고, 집중정도가 높은 경우에만 상기 가상현실의 콘텐츠가 변화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치매와 같은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치료를 위해 고글 형태의 스마트글라스(156)를 통해 가상현실의 콘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주어진 문제 및 동작을 해결하는 것을 근전도 센서(144)를 통해 확인하고, 해결하는 경우에만 상기 가상현실의 콘텐츠가 변화되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근력운동과 함께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매와 같은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재활치료를 위하여 뇌파, 근전도와 같은 생체신호 센서를 내장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술과 가상현실 콘텐츠를 융합한 생체신호연동 체감형 가상현실 기반 인지재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100)에서 인지재활 훈련용으로 제작된 가상현실 컨텐츠는 스마트 글라스(156)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고, 스마트글라스(156) 내에 장착된 뇌파센서(142)로부터 측정된 뇌파신호를 통해 뉴로피드백 훈련이 가능하다.
또한, 손목에 부착된 근전도 센서(144)를 이용해 인지재활 컨텐츠의 문제 수행을 위한 컨트롤이 가능하며 스마트글래스(156) 내에 장착된 모션센서 카메라 등의 신호와 연동하여 위치, 모션 기반 컨트롤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글라스(156)는 안경형, 헤드밴드형, 혹은 헬멧형 형태로 사용자가 손쉽게 착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컨텐츠는 인지기능강화 및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내용으로 인지 기능별(치매, ADHD등) 컨텐츠 내용구성, 인지기능별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며 뇌파신호와 같은 생체신호 분석을 통한 인지상태 분석 및 리포트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글라스(156)는 인지재활 컨텐츠를 사용자의 눈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뇌파센서(142), 모션센서(143), camera(121), audio(150), 유/무선통신모듈(110) 등이 내장되어 있어 생체신호, 위치기반 신호 및 sound 신호 등을 활용한 컨텐츠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뇌파신호를 이용한 뉴로피드백 훈련 및 인지기능 분석이 가능하고, 유/무선 송수신 모듈(110)을 이용해 컨텐츠의 업로드 및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144)는 손목밴드 형태의 다채널 근전도 측정 시스템이다.
근전도 센서(144)는 무선 송수신 모듈 내장으로 근전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모션센서(143), 위치센서(115)가 내장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 및 근력지표 산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100)는 가정용으로 이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을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예방 및 치료에 이용하는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100)는 ADHD, 치매 환자 인지기능 강화 훈련기로서 이용 가능하다.
즉, 가정에서 개인이 착용하고, 기억력, 주의력, 집중력 훈련을 수행하며, 난이도별 게임컨텐츠를 활용한 흥미 유도가 가능하고,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며, 신버전의 컨텐츠 유료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고, 인지기능 분석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자가진단을 통한 치료 및 예방 효과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예방 및 치료의 구체적인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뇌파 센서(142)를 통해 획득된 뇌파 신호를 이용하여 가상의 드론을 이륙 및 착륙시키는 단계(S110)가 진행된다.
즉, 스마트글래스(156)를 통해 가상의 드론이 사용자의 눈앞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가상의 드론에 대해 집중을 하여 뇌파 센서(142)에서 알파 파를 감지하는 경우에만 드론이 이륙 또는 착륙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몸을 움직이고, 이에 따라 근전도 센서(144)가 감지하는 근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가상의 드론의 방향을 조종하는 단계(S120)가 진행된다.
방향은 좌, 우, 앞, 뒤로 가능하고, 사용자의 근력을 향상시키거나 재활이 필요한 부위의 효과적인 운동을 서포트 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반복적으로 뇌파 신호 및 근전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미션을 수행하는 단계(S130)가 진행된다.
미션은 사용자의 현 상태에 따라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S130 단계 이후, 미션 수형 결과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40)가 진행된다.
더 나아가 사용자에게 정서반영 지표 피드백을 제공(S150)할 수 있다.
S150 단계는 사용자의 나이에서 평균적으로 요구되는 집중도, 체력 등과 사용자의 결과 피드백을 서로 비교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100)는 보건소 및 재활센터용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을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치료에 이용하는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100)는 보건소 및 재활센터에 비치되고, 개인 훈련 및 그룹훈련 기능을 제공하며, 인지기능 그룹별, 난이도별 인지재활 컨텐츠를 제공하고, 인지기능별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시스템 내에 장착되거나 연동 가능한 생체센서, 근전도 센서, 모션센서 등을 이용해 다양한 종류의 체감형 인지재활 컨텐츠 제작이 가능하므로 치매, ADHD, 뇌졸중 등을 위한 인지재활 전문 예방 및 치료에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뇌파신호를 이용한 인지기능 반영 지표 산출,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근력 지표 산출 등 사용자의 인지기능 및 운동기능 분석이 가능하므로 인지재활 전문 예방 및 치료에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인지기능 재활 및 예방을 위한 그룹 훈련 컨텐츠를 활용하여 보건소 및 재활센터에서 그룹 예방 훈련 및 치료에 활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7에서 설명한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치료의 구체적인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사용자가 뇌파 센서(142) 및 근전도 센서(144) 관련된 사전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S210)가 진행된다.
즉, 보건소 및 재활센터용으로 이용되는 만큼, 노인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뇌파 센서(142) 및 근전도 센서(144) 관련된 사전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조치한다.
이후, 사용자가 치매예방 및 치료 미션을 수행하는 단계(S220)가 진행된다.
S220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아들/딸 집 찾아가기 미션, 번호 선택을 통한 길찾기 미션 등을 제공할 수 있고, 레벨별 난이도 설정도 가능하다.
이후, 미션 수행 결과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230)가 제공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인지기능 지표 피드백을 제공(S240)할 수 있다.
S240 단계는 사용자의 나이에서 평균적으로 요구되는 인지기능과 사용자의 결과 피드백을 서로 비교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라 인지재활, 그룹치료가 가능하고, 전산화된 인지재활치료가 가능하며, 가상현실을 이용한 인지재활치료가 가능해짐으로써, 개인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 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가상현실 인지재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체신호 센서를 연동하여 구동되는 스마트 글라스 장치에 가상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여 인지기능 예방 훈련 및 재활 치료를 할 수 있는 가상현실 인지재활 훈련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인지재활 장치는 안경이나 헬멧처럼 착용하는 스마트 글라스에 가상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구조로, 장소의 구애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스마트 글라스에 내장된 뇌파센서나 사용자의 팔에 부착이 가능한 근전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지기능, 운동기능에 대한 실시간,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며 인지기능 정도에 따른 레벨별 인지기능 훈련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안하는 인재재활 장치는 스마트글라스에 내장된 자이로센서, 카메라, 외부연동 가능한 키넥트 센서 등을 이용해 사용자 모션 및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므로 인지재활뿐만 아니라 운동재활 시스템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치료 관련하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예방 및 치료 및 치매 예방 및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뇌기능장애 예방 및 치료와 관련하여, 뇌기능 장애로 인한 인지기능 재활 및 운동기능 재활, 인지기능강화 훈련 및 주의력, 집중력 훈련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시장과 관련하여, 생체신호를 이용한 집중력 게임에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발산되는 영상광을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하는 광학 모듈로 이루어진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뇌파를 센싱하는 뇌파 센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근전도를 센싱하는 근전도 센서; 및
    상기 뇌파 센서 및 근전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센싱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가 다른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를 센싱하는 심전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심전도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가 다른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자의 안구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상기 사용자의 헤드를 고정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상기 사용자의 헤드를 고정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는 고글 형태 또는 헬멧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파는,
    알파파(α), 베타파(β), 세타파(θ), 감마파(γ), 델타파(δ), SMR파 및 Mid- β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전도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끼워지는 손목 밴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조건은,
    상기 뇌파 센서를 통해 센싱된 뇌파 중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조건은,
    상기 근전도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가이드 정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뇌파 센서 및 근전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가진 사용자, 경도인지장애(MCI) 및 인지기능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11.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발산되는 영상광을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하는 광학 모듈로 이루어진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제 1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뇌파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뇌파를 센싱하고, 근전도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근전도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뇌파 센서 및 근전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보가 센싱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가 다른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파는,
    알파파(α), 베타파(β), 세타파(θ), 감마파(γ), 델타파(δ), SMR파 및 Mid- β 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조건은,
    상기 뇌파 센서를 통해 센싱된 뇌파 중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조건은,
    상기 근전도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가이드 정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뇌파 센서 및 근전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방법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가진 사용자, 경도인지장애(MCI) 및 인지기능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방법.
KR1020160139204A 2016-10-25 2016-10-25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KR20180045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204A KR20180045278A (ko) 2016-10-25 2016-10-25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PCT/KR2017/011803 WO2018080149A2 (ko) 2016-10-25 2017-10-25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204A KR20180045278A (ko) 2016-10-25 2016-10-25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278A true KR20180045278A (ko) 2018-05-04

Family

ID=6202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204A KR20180045278A (ko) 2016-10-25 2016-10-25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45278A (ko)
WO (1) WO2018080149A2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157B1 (ko) * 2018-05-30 2019-09-09 (주)휴먼아이티솔루션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KR102020598B1 (ko) * 2018-12-11 2019-09-10 전자부품연구원 생체신호 센서 기반 정신질환 진단 및 치유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KR102050917B1 (ko) * 2019-06-03 2019-12-02 (주)인스파이어팩토리 가상현실을 활용한 치매 재활 훈련 시스템 및 장치
KR20200002009A (ko) * 2018-06-28 2020-01-07 (의료)길의료재단 인지 능력 훈련을 위한 게임장치
KR20200017797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36838A (ko) * 2020-03-30 2020-04-07 최동훈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102104202B1 (ko) * 2019-03-13 2020-05-29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현실을 사용한 인지행동치료 장치
KR20200072099A (ko) * 2018-12-12 2020-06-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연동된 웨어러블 eeg 헤드셋을 구비하는 eeg 측정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
CN111569270A (zh) * 2020-05-27 2020-08-25 黄勇 一种复合光照疗法实施装置
KR20210045707A (ko) *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카이언스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
KR102271378B1 (ko) * 2020-01-07 2021-06-29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72850B1 (ko) * 2021-02-22 2021-07-05 서영철 인공지능을 이용한 멀티 테이블형 인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어 인식방법
KR20210090305A (ko) * 2020-01-09 2021-07-20 주식회사 휴메닉 멀티형 인지재활 훈련 시스템 및 방법
CN114796790A (zh) * 2022-06-23 2022-07-29 深圳市心流科技有限公司 基于脑电的大脑训练方法、装置、智能终端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2278A (zh) * 2018-08-28 2019-01-11 齐辉 基于虚拟现实的互动方法及系统
CN109616193A (zh) * 2018-12-21 2019-04-12 杭州颐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认知康复方法及系统
CN110478593A (zh) * 2019-05-15 2019-11-22 常州大学 基于vr技术的脑电注意力训练系统
WO2023112042A1 (en) * 2021-12-16 2023-06-22 Bhattacharyya Neha A multiple sensors integrating system for closer assess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of a subjec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043B1 (ko) * 2012-03-05 2013-12-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실감 인터랙션을 이용한 인지재활 시스템 및 방법
EP2916721A4 (en) * 2012-11-10 2016-10-26 Univ California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NEUROPATHOLOGIES
KR20140061170A (ko) * 2012-11-13 2014-05-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재활 훈련 시스템 및 방법
JP2016045815A (ja) * 2014-08-26 2016-04-04 泰章 岩井 仮想現実提示システム、仮想現実提示装置、仮想現実提示方法
KR101655792B1 (ko) * 2015-12-16 2016-09-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157B1 (ko) * 2018-05-30 2019-09-09 (주)휴먼아이티솔루션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KR20200002009A (ko) * 2018-06-28 2020-01-07 (의료)길의료재단 인지 능력 훈련을 위한 게임장치
KR20200017797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0598B1 (ko) * 2018-12-11 2019-09-10 전자부품연구원 생체신호 센서 기반 정신질환 진단 및 치유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KR20200072099A (ko) * 2018-12-12 2020-06-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연동된 웨어러블 eeg 헤드셋을 구비하는 eeg 측정 및 자극 시스템 및 방법
KR102104202B1 (ko) * 2019-03-13 2020-05-29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현실을 사용한 인지행동치료 장치
KR102050917B1 (ko) * 2019-06-03 2019-12-02 (주)인스파이어팩토리 가상현실을 활용한 치매 재활 훈련 시스템 및 장치
KR20210045707A (ko) *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카이언스 스마트의류형 경도인지 장애 자가 판별 및 예방훈련 시스템
WO2021141262A1 (ko) * 2020-01-07 2021-07-15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71378B1 (ko) * 2020-01-07 2021-06-29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090305A (ko) * 2020-01-09 2021-07-20 주식회사 휴메닉 멀티형 인지재활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6838A (ko) * 2020-03-30 2020-04-07 최동훈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CN111569270A (zh) * 2020-05-27 2020-08-25 黄勇 一种复合光照疗法实施装置
CN111569270B (zh) * 2020-05-27 2022-03-15 浙江莱恩海思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光照疗法实施装置
KR102272850B1 (ko) * 2021-02-22 2021-07-05 서영철 인공지능을 이용한 멀티 테이블형 인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어 인식방법
CN114796790A (zh) * 2022-06-23 2022-07-29 深圳市心流科技有限公司 基于脑电的大脑训练方法、装置、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4796790B (zh) * 2022-06-23 2022-09-27 深圳市心流科技有限公司 基于脑电的大脑训练方法、装置、智能终端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0149A2 (ko) 2018-05-03
WO2018080149A3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5278A (ko)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KR101988110B1 (ko)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및 방법
US109151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user's eye
US11061240B2 (en) Head-mountable apparatus and methods
CN106471419B (zh) 管理信息显示
WO201615767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330353A (zh) 头戴式显示器及其面部界面
CN110708533B (zh) 基于增强现实的视觉辅助方法及智能穿戴设备
KR2016012811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8474952A (zh) 头戴式电子设备
KR20170042877A (ko) 머리 장착형 전자 장치
US11460696B2 (en) Head-mountable apparatus and methods
KR101203921B1 (ko) 안구 추적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
US9805612B2 (en) Interest-attention feedback method for separating cognitive awareness into different left and right sensor displays
US20210081047A1 (en) Head-Mounted Display With Haptic Output
CN113811782A (zh) 与mri扫描仪兼容的虚拟现实系统
US20230229010A1 (en) Head-mountable device for posture detection
JP2017151576A (ja) 訓練装置、訓練方法、プログラム
EP4161387B1 (en) Sound-based attentive state assessment
EP4131276A1 (en) Patient care methods and system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onitoring
US20240104859A1 (en)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live communication sessions
US20240115831A1 (en) Enhanced meditation experience based on bio-feedback
US20230418372A1 (en) Gaze behavior detection
US20230288985A1 (en) Adjusting image content to improve user experience
JP2017148147A (ja) 訓練装置、対応領域特定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