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157B1 -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157B1
KR102019157B1 KR1020180061864A KR20180061864A KR102019157B1 KR 102019157 B1 KR102019157 B1 KR 102019157B1 KR 1020180061864 A KR1020180061864 A KR 1020180061864A KR 20180061864 A KR20180061864 A KR 20180061864A KR 102019157 B1 KR102019157 B1 KR 102019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training
cognitive rehabilitation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두
김휘창
Original Assignee
(주)휴먼아이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아이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휴먼아이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61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컨텐츠를 이용한 인지 재활 훈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분석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매칭되는 맞춤형 가상현실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고, 인지 재활 훈련을 위한 신체 움직임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여 가상현실 컨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 재활 훈련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장치, 분석 장치로부터 분석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추정하고, 현재 상태에 매칭되는 맞춤형 가상현실 컨텐츠를 분석 장치에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Virtual reality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이용한 인지 재활 훈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분석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매칭되는 맞춤형 가상현실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전체의 7.2%에 달하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18년에는 고령사회(고령인구 14%)에, 2026년에는 초고령화사회(고령인구 21%)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치매 환자도 매년 증가하여 2030년에는 약 백만명, 2050년에는 약 2백만명에 이르며, 그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이 매년 10~15%씩 치매로 이환되고 있으므로 적절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통한 조기치료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하고 있다.
현재 재활 치료사가 주도하는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정해진 장소와 시간에서 장시간(50분) 동안 별도의 교구를 사용하여 교육 형태로 실시되며, 이로 인해 참여자들에게 지루함과 거부감을 갖게 하여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고, 치료사들이 환자들과 일대일로 재활을 진행하기 때문에 병원 측에서는 인건비 부담이 큰 편이다.
이에 따라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1395호(2013.09.1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지 재활 훈련을 가상현실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분석 정보를 토대로 맞춤형 가상현실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고, 인지 재활 훈련을 위한 신체 움직임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 재활 훈련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장치, 상기 분석 장치로부터 상기 분석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추정하고, 현재 상태에 매칭되는 맞춤형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분석 장치에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고, 인지 재활 훈련을 위한 신체 움직임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상황의 재활 훈련을 용이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훈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은 가상현실 컨텐츠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분석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추정하고, 현재 상태에 매칭되는 맞춤형 가상현실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맞게 효과적으로 인지 재활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장치에서 제공되는 가상현실 영상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500)은 분석 장치(300) 및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분석 장치(300)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인지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장치(300)는 인지 재활 훈련 장치(10)를 포함한다.
인지 재활 훈련 장치(10)는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컨텐츠에 해당하는 인지 재활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토대로 인지 재활 훈련 중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대해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관리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지 재활 훈련 장치(10)는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맞춤형 가상현실 기반의 인지 재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인지 재활 훈련 장치(1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관리 서버(400)는 인지 재활 훈련 장치(10)로부터 분석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추정하고, 현재 상태에 매칭되는 맞춤형 가상현실 컨텐츠를 인지 재활 훈련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서버(400)는 인지 재활 훈련 장치(10)로부터 분석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평가한다.
여기서 관리 서버(400)는 인지 재활 훈련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분석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맞는 인지 재활 컨텐츠의 난이도를 결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분석 정보를 토대로 평가한 평가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맞는 맞춤형 가상현실 컨텐츠를 인지 재활 훈련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상현실 컨텐츠는 가상현실을 기반으로한 인지 재활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400)는 분석 정보를 토대로 평가한 평가 정보에 따라 다른 난이도의 인지 재활 컨텐츠를 분석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지 재활 훈련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장치(10)는 사용자가 착용하며, 사용자에게 인지 재활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0)와, 디스플레이부(2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30)와, 사용자가 인지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제공하는 영상생성 모듈(40)과, 모션 감지부(30)를 통해 감지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인지 재활 훈련 중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대해 분석하고, 분석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부(50)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본체(21)와, 사용자의 시야 범위 내의 본체(21)에 설치되어 가상현실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패널(22)과, 본체(21)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헤드 감지센서(23)와, 데이터 처리부(50) 및 영상생성 모듈(40)과 통신하는 통신부(24)를 더 구비한다
본체(21)는 사용자의 머리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소정의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패널(22)은 본체(21)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본체(21)를 착용시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시야에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한다
헤드 감지센서(23)는 디스플레이부(20)에 대한 3축 각속도 데이터 및 3축 가속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관성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24)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영상생성 모듈(40)으로부터 평가영상을 제공받고, 헤드 감지센서(23)의 감지정보를 데이터 처리부(50) 및 영상생성 모듈(40)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24)는 영상생성 모듈(40)(40)로부터 제공받은 가상 영상을 표시패널(22)로 전달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사용자가 얼굴에 착용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 HMD)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션 감지부(30)는 상기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손 감지센서(31)를 구비한다 상기 손 감지센서(31)는 사용자의 양 손에 각각 착용되며, 양 손의 3축 각속도 데이터 및 3축 가속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관성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모션 감지부(30)는 손 감지센서(31)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처리부(50) 및 영상생성 모듈(40)로 전송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손 감지센서(31)가 사용자의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장갑형태의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손 감지센서(31)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의 컨트롤러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션 감지부(130)는 인지 재활 훈련 중 사용자 신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각 부위에 장착된 다수의 감지센서(131)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센서(131)는 사용자의 양 손, 팔꿈지, 어깨, 배, 허벅지 등의 각 신체 부위에 부착된다 여기서, 감지센서(131)는 설치된 신체 부위의 3축 각속도 데이터 및 3축 가속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관성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지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사용자에 대한 깊이 영상을 촬영하는 뎁스 카메라(141)와, 상기 뎁스 카메라(141)로부터 제공받은 깊이영상을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정보산출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뎁스 카메라(141)는 디스플레이부(20)를 착용한 사용자의 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대한 깊이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뎁스 카메라(141)는 컬러영상 및 깊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및 깊이 센서가 포함된 키넥트(Kinect)와 같은 기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산출부는 뎁스 카메라(141)로부터 전달받은 깊이 영상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한다. 이때,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는 사용자의 머리, 팔, 손, 다리, 몸통 등과 같은 각 신체 부위의 움직임 정보가 포함된다.
영상생성 모듈(40)은 다양한 인지 재활 훈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는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영상생성 모듈(40)은 인지 재활 훈련 상황에 대한 1인칭 시점의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헤드 감지센서(23)를 통해 감지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변화에 대응되게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변형한다. 즉, 영상생성 모듈(40)은 사용자가 고개를 돌리는 상황과 연계하여 뷰포인트가 변화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고개를 돌리는 동작에 따라 실제로 화면이 이동하는 형태로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영상생성 모듈(40)은 사용자의 머리 방향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상황의 전체 화면 중 일 부분만을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서 출력될 수 있게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에 제공한다.
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현재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면이며, 나머지 점선으로 표시도니 부분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고개를 좌우 또는 상호로 움직이게 되면 헤드 감지센서(23)에서 이러한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영상 생성 모듈(40)에 전달하고, 영상생성 모듈(40)은 사용자의 시선이 이동하는 방향에 맞춰 뷰포인트를 변경하여 실제 고개가 돌아가는 방향으로 화면이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훈련 상황에 대해 보다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
가상현실 영상은 인지 재활 훈련에 대한 영상으로서,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행동에 대한 영상이 적용된다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 영상은 도어락이 설치된 도어를 여는 상황에 대한 훈련 영상이 적용될 수 있다.
영상생성 모듈(40)은 손 감지센서(31)를 포함한 모션 감지부(140)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 외형을 변형시키거나 새로운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 제공한다.
영상생성 모듈(4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모션 감지부(140)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대응되게 움직이는 손 아이콘을 가상현실영상에 표시한다 또한, 영상생성 모듈(40)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제공되는 가상현실 영상의 훈련 내용의 통과 여부를 판별하고,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하거나 가상현실 영상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장치에서 제공되는 가상현실 영상에 대한 예시도이다.
즉, 도 5의 가상현실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된 경우, 사용자가 손 아이콘을 이동시켜 도어락의 비밀번호 입력부를 터치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잠금해제번호와 일치하고, 사용자가 손 아이콘으로 도어의 손잡이를 터치한 상태로 움직일 경우, 영상생성 모듈(40)은 도어가 열리도록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변경한다.
이때, 영상생성 모듈(40)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보호자가 인지 재활 훈련의 난이도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한다 상기 설정패널에 의해 설정된 난이도에 따라 영상생성 모듈(40)은 가상현실 영상을 변경한다. 일예로, 도 5의 가상현실 영상의 경우, 설정모듈을 통해 난이도를 "하"로 설정할 경우, 도어락의 잠금해제번호를 2자리로 설정하고, 설정모듈을 통해 난이도를 "상"으로 설정할 경우, 도어락의 잠금해제번호를 6자리로 설정할 수 있다
가상현실 영상은 보다 다양한 일상 생활의 상황이 적용되는데, 도 7에는 가상현실 영상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생성 모듈(40)은 전등과, 전등을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벽면에 마련된 방에서 전등을 조작하는 인지 재활 훈련의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영상생성 모듈(40)은 사용자가 손 아이콘을 이동시켜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전등이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점멸되도록 가상현실 영상을 변경한다.
한편, 도 8에는 가상현실 영상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상현실 영상은 편의점과 같은 가게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상황에 대한 인지 재활 훈련에 관한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손 아이콘을 이동시켜 가판대의 물품을 선택한 다음, 계산대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훈련할 수 있다. 이때, 영상생성 모듈(40)은 사용자가 손 아이콘을 가판대의 물품에 이동시, 손 아이콘과 함께 해당 물품이 이동되고, 물품이 계산대에 도착시 손 아이콘과 별개로 물품이 계산대 상측에 위치하도록 가상현실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가상현실 영상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상현실 영상은 컵라면에 조리하는 상황에 대한 인지 재활 훈련 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상현실 영상에는 컵라면과, 온수가 배출되는 배출밸브가 마련된 온수기가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컵라면을 배출밸브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배출밸브를 통해 온수를 컵라면에 주입하는 상황을 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생성 모듈(40)은 사용자가 손 아이콘을 컵라면에 중첩시, 손 아이콘과 함께 컵라면이 이동되고, 컵라면이 배출밸브 하측에 도달하면 손 아이콘과 별개로 컵라면이 배출밸브 하측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손 아이콘으로 배출밸브의 레버를 조작하는 동작을 구현하면, 배출밸브로부터 온수가 컵라면으로 주입되도록 가상현실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가상현실 영상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상현실 영상은 베란다에서 화분에 물을 주는 상황에 대한 인지 재활 훈련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상현실 영상에는 다수의 화분 및 물뿌리개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물뿌리개를 이용하여 화분에 물을 주는 상황을 훈련할 수 있다. 이때, 영상생성 모듈(40)은 사용자가 손 아이콘을 물뿌리개에 중첩시, 손 아이콘과 함께 물뿌리개가 이동되고, 물뿌리개가 화분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손아이콘이 회전될 경우, 물뿌리개에서 화분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가상현실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가상현실 영상은 도시된 예들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다양한 인지 재활 훈련 상황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영상생성 모듈(40)은 복수의 인지 재활 훈련 상황을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영상생성 모듈(40)은 도 5의 가상현실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 다음, 사용자가 해당 가상현실 영상의 훈련을 통과할 경우, 도 7의 가상현실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생성 모듈(40)은 도 8의 가상현실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 다음, 사용자가 해당 가상현실 영상의 훈련을 통과할 경우, 도 8의 가상현실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50)는 상기 모션 감지부(140)를 통해 감지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인지 재활 훈련 중 상기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대해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50)는 상기 모션 감지부(140)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인지 재활 훈련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숙련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50)는 각 가상현실 영상의 인지 재활 훈련에서 요구되는 숙련 행동 패턴 정보가 저장된 패턴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때, 숙련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는 각 인지 재활 훈련에서 훈련자의 가장 이상적인 행동 패턴 및 소요시간에 대한 정보이다 일예로, 도 5의 인지 재활 훈련 상황인 경우, 숙련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는 도어를 열기 위한 손 아이콘의 최단 이동 경로, 도어를 여는데 소요되는 최단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 처리부(50)는 모션 감지부(14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의 움직임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인지 재활 훈련에서 요구되는 기설정된 숙련 행동 패턴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의 일치도를 산출한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50)는 산출된 일치도가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지 재활 훈련에 대해 숙련된 것으로 판별한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50)는 상기 모션 감지부(140)에서 제공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인지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관절운동범위 정도를 분석할 수도 있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50)는 상기 모션 감지부(140)에서 제공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몸통을 기준으로 팔 또는 손의 이동 범위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의 팔 또는 손의 이동 범위를 기설정된 기준 이동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관절운동범위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보호자 또는 훈련을 진행하는 진행자는 사용자의 인지 재활 훈련이 시작되기 전에 데이터 처리부(50)에 상기 기준 이동 범위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50)는 상기 인지 재활 훈련을 시작하는 초기 시점에서 상기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를 기준위치로 설정하며, 상기 초기 시점 이후에 상기 기준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의 이동범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신체 부위의 이동범위를 기설정된 기준 이동 범위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관절운동범위 정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5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분석 정보를 표시 또는 출력하기 위해 모니터 또는 프린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장치(10)는 인지 재활 훈련 내용을 사용자가 착용한 디스플레이부(20)에 가상현실 영상으로 제공하므로 보다 다양한 상황의 재활 훈련을 용이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훈련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시지각 평가 및 처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S10 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분석 장치를 통해 인지 재활 훈련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S20 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분석 장치로부터 인지 재활 훈련을 토대로 분석된 사용자의 시지각 능력에 대한 분석 정보를 수집한다.
다음으로 S30 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분석 장치로부터 수집한 분석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추정한다. 즉 관리 서버는 인지 재활 훈련 장치로부터 수집한 분석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평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S40 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평가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매칭되는 맞춤형 가상현실 인지 재활 컨텐츠를 분석 장치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맞춤형 인지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 서버는 인지 재활 훈련 장치로부터 수신한 분석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맞는 인지 재활 컨텐츠의 난이도를 결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분석 정보를 토대로 평가한 평가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맞는 맞춤형 가상현실 컨텐츠를 분석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상현실 컨텐츠는 가상현실을 기반으로한 인지 재활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는 분석 정보를 토대로 평가한 평가 정보에 따라 다른 난이도의 인지 재활 컨텐츠를 분석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인지 재활 훈련 장치 20: 디스플레이부
21: 본체 22: 표시패널
23: 헤드 감지센서 24: 통신부
30: 모션 감지부 31: 손 감지센서
40: 영상생성 모듈 50: 데이터 처리부
300: 분석 장치 400 : 관리 서버
500 :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Claims (13)

  1.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고, 인지 재활 훈련을 위한 신체 움직임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 재활 훈련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장치;
    상기 분석 장치로부터 상기 분석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추정하고, 현재 상태에 매칭되는 맞춤형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분석 장치에 제공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장치는,
    사용자가 착용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인지 재활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착용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며, 손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모션 감지부;
    상기 사용자가 인지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영상생성 모듈;
    상기 모션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인지 재활 훈련 중 상기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대해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분석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맞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난이도를 결정하고, 상기 분석 정보를 토대로 평가한 평가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매칭되는 다른 난이도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분석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영상생성 모듈은 상기 손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대응되게 움직이는 손 아이콘을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하고, 상기 손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라 손 아이콘을 움직여 가상현실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 외형을 변형시키거나 새로운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고,
    상기 영상생성 모듈은 상기 손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대응되게 손 아이콘을 이동시켜 도어락의 비밀번호 입력부를 터치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고, 손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잠금해제번호와 일치하고, 손 아이콘으로 도어의 손잡이를 터치한 상태로 움직일 경우, 도어가 열리도록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영상생성 모듈은 전등과, 전등을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벽면에 마련된 방에서 전등을 조작하는 인지 재활 훈련의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손 감지센서를 통해 손 아이콘을 이동시켜 스위치를 이동시켜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전등이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점멸되도록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영상생성 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손 감지센서를 통해 가판대의 물품을 선택하고, 계산대로 이동시키는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하고, 손 아이콘을 가판대의 물품에 이동시, 손 아이콘과 함께 해당 물품이 이동되고, 물품이 계산대에 도착시 손 아이콘과 별개로 물품이 계산대 상측에 위치하도록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영상생성 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손 감지센서를 통해 컵라면을 배출밸브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배출밸브를 통해 온수를 컵라면에 주입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손 감지센서를 통해 손 아이콘을 컵라면에 중첩시, 손 아이콘과 함께 컵라면이 이동되고, 컵라면이 배출밸브 하측에 도달하면 손 아이콘과 별개로 컵라면이 배출밸브 하측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손 아이콘으로 배출밸브의 레버를 조작하는 동작을 구현하면, 배출밸브로부터 온수가 컵라면으로 주입되도록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영상생성 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손 감지센서를 통해 손 아이콘을 물뿌리개에 중첩시, 손 아이콘과 함께 물뿌리개가 이동되고, 물뿌리개가 화분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손 아이콘이 회전될 경우, 물뿌리개에서 화분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본체;
    상기 사용자의 시야 범위 내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패널;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헤드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생성 모듈은 인지 재활 훈련 상황에 대한 1인칭 시점의 상기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헤드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변화에 대응되게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감지부는 인지 재활 훈련 중 상기 사용자 신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각 부위에 장착된 다수의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감지부는,
    상기 인지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사용자에 대한 깊이 영상을 촬영하는 뎁스 카메라; 및
    상기 뎁스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깊이영상을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정보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9. 상기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모션감지부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인지 재활 훈련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숙련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인지 재활 훈련에서 요구되는 기설정된 숙련 행동 패턴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의 일치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일치도가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지 재활 훈련에 대해 숙련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11. 상기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모션감지부에서 제공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인지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관절운동범위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모션감지부에서 제공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몸통을 기준으로 팔 또는 손의 이동 범위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의 팔 또는 손의 이동 범위를 기설정된 기준 이동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관절운동범위 정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인지 재활 훈련을 시작하는 초기 시점에서 상기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를 기준위치로 설정하며, 상기 초기 시점 이후에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의 이동범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신체 부위의 이동범위를 기설정된 기준 이동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관절운동범위 정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KR1020180061864A 2018-05-30 2018-05-30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KR102019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864A KR102019157B1 (ko) 2018-05-30 2018-05-30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864A KR102019157B1 (ko) 2018-05-30 2018-05-30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157B1 true KR102019157B1 (ko) 2019-09-09

Family

ID=6795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864A KR102019157B1 (ko) 2018-05-30 2018-05-30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1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350A (ko) * 2011-05-31 2012-12-10 주식회사 네오펙트 신경장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KR101267118B1 (ko) * 2012-03-13 2013-05-24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글러브 센서를 이용한 모션인식 가상현실 재활훈련 장치
KR20130101395A (ko) 2012-03-05 2013-09-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실감 인터랙션을 이용한 인지재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1688A (ko) * 2012-07-18 2014-01-29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모션 캡쳐 기술을 이용한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416282B1 (ko) * 2012-02-29 2014-08-12 디게이트 주식회사 네추럴 인터렉션 기반 건강 및 재활운동 기능성 측정 평가 시스템
KR20180045278A (ko) * 2016-10-25 2018-05-0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350A (ko) * 2011-05-31 2012-12-10 주식회사 네오펙트 신경장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KR101416282B1 (ko) * 2012-02-29 2014-08-12 디게이트 주식회사 네추럴 인터렉션 기반 건강 및 재활운동 기능성 측정 평가 시스템
KR20130101395A (ko) 2012-03-05 2013-09-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실감 인터랙션을 이용한 인지재활 시스템 및 방법
KR101267118B1 (ko) * 2012-03-13 2013-05-24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글러브 센서를 이용한 모션인식 가상현실 재활훈련 장치
KR20140011688A (ko) * 2012-07-18 2014-01-29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모션 캡쳐 기술을 이용한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80045278A (ko) * 2016-10-25 2018-05-0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7396A (ko)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KR102489677B1 (ko) 시각적 기능의 임상적 파라미터들을 통합적으로 측정하는 시스템
Durgin et al. Palm boards are not action measures: An alternative to the two-systems theory of geographical slant perception
US20130171601A1 (en) Exercise assisting system
KR101638819B1 (ko) 보행 교정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9693B1 (ko)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트니스 트레이너가 제공되는 피트니스 시스템
JP7373788B2 (ja) リハビリ支援装置、リハビリ支援システム及びリハビリ支援方法
KR20170010157A (ko) 인터랙티브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운동동작 유도 방법 및 그 장치
TWI496027B (zh) 動作引導提示方法、其系統及動作引導提示裝置
KR20190136314A (ko) 가상현실 기반 시지각 평가 및 처방 시스템
US2018025697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377674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90136313A (ko) 가상현실 기반 시지각 평가 관리 시스템
KR102019157B1 (ko)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관리 시스템
US20040059264A1 (en) Footprint analyzer
JP6694333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533999A (ja) オプションを提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9024579A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164821B (zh) 对肢体相关点在预定的3d空间中的运动进行评估的方法和系统
US10741095B2 (en) Teaching compatibility determining device,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066457B1 (ko) 가상현실 기반 시지각 평가 시스템
TWI533238B (zh) 動作偵測與判斷裝置及方法
WO2016135560A2 (en) Range of motion capture
Obo et al. Motion analysis for unilateral spatial neglect in computational system rehabilitation
EP3653120A1 (en) A rehabilitation device and a method of monitoring hand 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