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991A - 체중계 - Google Patents

체중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991A
KR20180047991A KR1020160144995A KR20160144995A KR20180047991A KR 20180047991 A KR20180047991 A KR 20180047991A KR 1020160144995 A KR1020160144995 A KR 1020160144995A KR 20160144995 A KR20160144995 A KR 20160144995A KR 20180047991 A KR20180047991 A KR 20180047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unit
user
predetermin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to KR102016014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7991A/ko
Publication of KR2018004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는, 사용자가 올라 설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데이터를 센싱하는 복수 개의 센서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 하는지 여부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구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중계{Scal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체중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중계는 단순히 몸무게를 측정 및 표시만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사용되는 기구이다.
현대 사회생활의 특성상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각종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과체중은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체중을 관리할 수 있으며, 체중을 넘어서 사용자의 건강관리까지 보조해주는 체중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체중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체중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 관리까지도 보조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는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프로젝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체중을 기초로 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소정의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부의 전원의 ON 또는 OFF의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표시하는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표시하는 화면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제1 정보와 다른 제2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체중이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체중과 목표 체중간의 차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프로젝터부가 상기 본체부의 최외측 외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의 최외측 외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본체부의 최외측 외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소정의 기울기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체중을 기초로 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구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 상에 기 설정된 자세로 올라 섰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자세 판단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는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체중을 기초로 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발광하는 대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응부는,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체중에 대응하여 발광하는 제1 대응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체중에 대응하여 발광하는 제2 대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는 체중계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중뿐만 아니라 건강 관리까지도 보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개략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개략 후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가 전원이 ON이 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사용자 식별 필요 확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사용자 식별 입력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사용자 식별 피드백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자세 판단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응부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체중 측정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저장 확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전달 확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0 내지 도 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소정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략 개념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사용자 식별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자세 판단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히스토리 관리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
도 30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구성 및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개략 구성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개략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개략 후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10)는 사용자가 올라 설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데이터를 센싱하는 복수 개의 센서부(200), 상기 본체부(100)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0) 및 상기 체중계(10)가 구현하는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1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대응부(400), 상기 본체부(100)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프로젝터부(500) 및 상기 프로젝터부(500)의 전원의 ON 또는 OFF를 구현하는 프로젝터 센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다른 전자기기(P) 및 서버(M)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40), 상기 체중계(10)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20), 상기 체중계(10)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30) 및 소정의 정보를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스피커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사용자가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 올라설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체중계(10)의 작동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반도체, 배터리부(700), 스피커부(800) 등과 같은 구성이 배치될 수 있는 내부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내부영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자 형상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사용자가 올라서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200)는 무게, 심장박동 수, 체지방율, 발의 크기, 족문 등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200)는 사용자가 터치하였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서, 좌측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센서부(210), 좌측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센서부(220), 우측 상부에 위치하는 제3 센서부(230) 및 우측 하부에 위치하는 제4 센서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4 센서부(240)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좌우는 도1에서 볼 때,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 중심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로젝터 센서부(60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로젝터 센서부(600)는 사용자가 터치하였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고, 또는 적외선 센서로서 소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센싱된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기초로 산출된 정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일례로, 사용자의 체중, 심장박동 수, 체지방율 등을 의미하는 숫자, 도형, 문자, 영상 및/또는 이미지 등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대응부(40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체중계(10)와 관련된 상기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대응부(400)는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획득된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대응부(400)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대응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대응부(400) 상에 올라설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대응부(400)는 빛을 발광하는 LED일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대응부(400)는 상기 LED가 상기 본체부(100) 상에 복수 개로 이격 형성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본체부(100)의 상 방향에 표시하도록 상 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본체부(100) 및/또는 상기 대응부(400)의 최외측 외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100) 및/또는 상기 대응부(400)로부터 함입 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S)은 상기 프로젝터부(500)가 상기 수용공간(S)상에서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프로젝터부(500) 보다 충분히 큰 공간일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수용공간(S) 상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S) 상에서 여러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수용공간(S) 상에 배치되어 상기 소정의 정보를 벽면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기울기로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수용공간(S) 상에서 여러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 및/또는 상기 대응부(400)에 연결을 구현하는 연결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510)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프로젝터부(500)가 상기 수용공간(S) 상에서 여러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일 수도 있고, 모터, 톱니 등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프로젝터부(500)가 상기 수용공간(S) 상에서 여러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510)는 상기 프로젝터부(500)가 상기 수용공간(S) 상에서 여러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힌지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부(510)는 힌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프로젝터부(500)를 상기 본체부(100) 및/또는 상기 대응부(400)에 연결하되 상기 수용공간(S) 상에서 여러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구현하는 구성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S)은 상기 프로젝터부(500)가 여러 방향으로 최대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프로젝터부(500)가 발사하는 빛이 상기 본체부(100) 및/또는 상기 대응부(400)에 부딪히지 않도록 충분히 큰 공간일 수 있다.
환언하자면,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수용공간(S) 상에서 상기 프로젝터부(500)가 발사하는 빛이 상기 본체부(100) 및/또는 상기 대응부(400)에 부딪히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입력부(3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리모컨과 같이 상기 본체부(100)와 별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30)를 통해 상기 체중계(10)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입력부(30)를 통해 체중계(10)의 전원을 ON/OFF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900)가 제어하는 일련의 동작에 대해 일련의 명령을 줄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중계(10)는 상기 통신부(40)를 통해 다른 전자기기(P) 및/또는 서버(M)와 통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른 전자기기(P)는 사용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상기 체중계(10)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체중계(10)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체중계(10)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나이, 키, 성별, 목표 체중량 등과 같은 사용자의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상기 체중계(10)는 상기 체중계(10)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달해 줄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체중계(10)는 사용자의 체중, 심장박동 수, 체지방율, 발의 크기, 족문 등과 같은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상기 체중계(10)는 상기 메모리부(20)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중, 심장박동 수, 체지방율, 발의 크기 등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동작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10)는 상기 체중계(10)의 전원ON 동작,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동작(S10),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자세 판단 동작(S20),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측정 동작(S30), 측정된 체중을 관리하는 히스토리 관리 동작(S40) 및 체중계(10)의 전원OFF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체중계(10)가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2-1. 상기 체중계의 전원 ON/OFF 동작
상기 체중계(10)는 전원의 ON 또는 OFF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체중계(10)의 ON 상태는 상기 체중계(10)가 구현할 수 있는 기능들이 구현되도록 스탠바이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중계(10)가 ON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 상에 올라서면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체중계(10)가 OFF 상태인 경우, 상기 체중계(10)의 기능들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중계(10)가 ON이 되는 경우, 상기 대응부(40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 사용자가 올라서는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대응부(400)는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4 센서부(240) 주위의 영역에 대해 원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4 센서부(240) 모두를 밟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대응부(400)는 상기 제1 센서부(210)와 대응하여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1 대응부(400), 상기 제2 센서부(220)와 대응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대응부(400), 상기 제3 센서부(230)와 대응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대응부(400) 및 상기 제4 센서부(240)와 대응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4 대응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대응부(400) 내지 상기 제4 대응부(400)는 각각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4 센서부(240)가 상기 본체부(100) 상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체중계(10)가 ON이 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체중계(10)의 전원이ON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2-2. 사용자 식별 동작(S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계(10)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하는 사용자 식별 동작(S10)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체중계(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여러 명인 경우, 현재 상기 체중계(10)를 사용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현재 상기 체중계(10)를 사용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식별 동작(S10)은 사용자에게 사용자 식별을 구현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식별 필요 확인 동작(S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식별 필요 확인 동작(S11)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체중계(10)의 상기 사용자 식별 동작(S10)이 더 이상 구현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하기의 일련의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사용자 식별 필요 확인 동작(S11)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체중계(10)의 사용자 식별이 필요한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하는 사용자 식별 입력 동작(S12)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 식별 입력 동작(S12)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입력 동작(S12) 상태에서 소정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900)는 현재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식별된 경우, 상기 체중계(10)는 식별된 사용자의 단말기와 데이터를 상호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중계(10)가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체중계(10) 및 상기 단말기에 생성 및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체중계(10)의 통신부(40)와 상기 단말기의 통신모듈을 통해 상호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식별 동작(S10)은 상기 사용자 식별 입력 동작(S12)으로 인해 도출된 사용자 식별 결과에 대해 피드백을 구현하는 사용자 식별 피드백 동작(S13)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피드백 동작(S13)은 사용자가 제대로 식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대로 식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사용자 식별 동작(S10)은 다시 상기 사용자 식별 입력 동작(S12)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프로젝터 센서부(600)에 의해 전원이 ON/OFF될 수도 있으나, 일례로, 사용자 식별 동작(S10)으로 인해 사용자가 식별이 된 경우 상기 프로젝터부(500)의 전원이 OFF에서 ON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사용자가 식별이 된 경우 전원이 자동으로 ON될 수 있다.
2-3. 자세 판단 동작(S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중계(10)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중계(10) 상에 올라간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자세 판단 동작(S20)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상기 센서부(200)를 밟지 않는 경우, 상기 체중계(10)가 구현할 수 있는 체중, 심장박동수, 체지방율 등의 측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4 센서부(240) 중 어느 하나의 센서부(200)에 편중하여 가압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체중계(10)가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들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중계(1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 올라선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은 사용자에게 자세 판단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자세 판단 필요 확인 동작(S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자세 판단이 필요한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으로 자세 판단이 필요 없는 경우, 곧 바로 하기의 체중 측정 동작(S30)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자세 판단이 필요하다고 선택하는 경우,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은 상기 본체부(100) 상에 올라선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은 사용자가 상기 센서부(200)를 밟고 올라 섰는지 여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은, 사용자의 왼발이 상기 제1 센서부(210) 및 상기 제2 센서부(220)를 밟지 않고 오른발이 상기 제3 센서부(230) 및 상기 제4 센서부(240)를 밟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 상에 올라선 경우,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 상에 올바르지 않게 올라섰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응부(400)는 이러한 상기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센서부(210) 및 상기 제2 센서부(220)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 대응부(400) 및 상기 제2 대응부(400)는 어떠한 빛도 발광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3 센서부(230) 및 상기 제4 센서부(240)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3 대응부(400) 및 상기 제4 대응부(400)는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은 사용자가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4 센서부(240) 모두를 밟고 올라섰다 하더라도 어느 상기 센서부(200)에 편중하여 밟고 올라 섰는지 여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은, 사용자의 양 발이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4 센서부(240) 모두를 밟고 있으나 사용자의 왼발 보다 사용자의 오른발에 편중하여 밟고 올라선 경우, 이러한 편차가 소정의 편차보다 크다면,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 상에 올바르지 않게 올라섰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응부(400)는 이러한 상기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센서부(210) 및 상기 제2 센서부(220)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 대응부(400) 및 상기 제2 대응부(400)는 상기 제3 센서부(230) 및 상기 제4 센서부(240)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3 대응부(400) 및 상기 제4 대응부(400)보다 빛을 적게 발광하거나, 다른 색으로 발광하거나, 표시하는 원의 크기가 작도록 발광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4 센서부(240)를 밟고 각각의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4 센서부(240)에 가해지는 체중의 편차가 소정의 편차 이하 인 경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은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 상에 올바르게 올라 섰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응부(400)는 이러한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대응부(400) 내지 상기 제4 대응부(400)가 발광하는 빛의 색이 동일하거나, 빛의 크기가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대응부(400)는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센싱되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여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대응부(400) 내지 상기 제4 대응부(400)는 각각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4 센서부(240)로부터 센싱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표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제1 센서부(210) 및 상기 제4 센서부(240)에 많이 가해지고 상기 제2 센서부(220) 및 상기 제3 센서부(230)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부(210) 및 상기 제4 센서부(240)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 대응부(400) 및 상기 제4 대응부(400)는 큰 원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센서부(220) 및 상기 제3 센서부(230)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2 대응부(400) 및 상기 제3 대응부(400)는 상대적으로 작은 원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대응부(400)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및 상기 스피커부(800)도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프로젝터 센서부(600)에 의해 전원이 ON/OFF될 수도 있으나, 일례로,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으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 상에 올바르게 올라 섰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부(500)의 전원이 OFF에서 ON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사용자가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 상에 올바르게 올라선 경우 전원이 자동으로 ON될 수 있다.
2-4. 체중 측정 동작(S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중계(10)는 상기 체중계(10) 상에 올라간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측정 동작(S30)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체중 측정 동작(S30)은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센싱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 및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및/또는 상기 대응부(400)는 측정된 체중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및 상기 대응부(400)는 측정된 체중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목표 체중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대응부(400)는 측정된 체중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및 상기 대응부(400)는 측정된 체중을 표시하는 것이 아닌 목표 체중과의 차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목표 체중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대응부(400)는 상기 목표 체중과 측정된 체중과의 차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체중 표시는 상기에서 언급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표시하는 것과 상기 대응부(400)가 표시하는 것이 서로 바뀔 수도 있고,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프로젝터 센서부(600)에 의해 전원이 ON/OFF될 수도 있으나, 일례로, 상기 체중 측정 동작(S30)으로 인해 사용자의 체중이 측정된 경우 상기 프로젝터부(500)의 전원이 OFF에서 ON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측정된 체중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목표 체중과 측정된 체중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측정된 체중을 표시하는 것이 아닌 목표 체중과의 차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표시하는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례로,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중 측정 동작(S30)에 의해 측정된 체중이 20kg 이하이면 아동이 좋아하는 캐릭터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측정된 체중이 20kg 초과이면 상기 캐릭터 화면이 아닌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표시하는 화면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례로,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중 측정 동작(S30)에 의해 측정된 체중이 20kg 이하이면 화면이 벽의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측정된 체중이 20kg 초과이면 화면이 벽의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게 화면을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측정된 체중에 따라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화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표시하는 정보와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제1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터부(500)는 상기 제1 정보와 다른 제2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정보는 측정된 체중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정보는 측정된 체중과 목표 체중간의 차이일 수 있다.
2-5. 히스토리 관리 동작(S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중계(10)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된 체중을 저장 및/또는 관리 하는 히스토리 관리 동작(S40)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히스토리 관리 동작(S40)은 측정된 체중을 저장할 지 여부를 확인하는 저장 확인 동작(S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 확인 동작(S4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및/또는 상기 대응부(400)를 통해 측정된 체중을 저장할지 여부를 피드백 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히스토리 관리 동작(S40)은 측정된 체중을 상기 단말기 및/또는 서버(M)로 전달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달 확인 동작(S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달 확인 동작(S43)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및/또는 상기 대응부(400)를 통해 측정된 체중을 상기 단말기 및/또는 서버(M)로 전달할지 여부를 피드백 할 수 있다.
상기 히스토리 관리 동작(S40)으로 인해,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측정된 체중을 저장(S42)하거나 상기 단말기 및/또는 상기 서버(M)로 전달(S44)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제어방법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체중계(10)가 구현하는 모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센싱되는 소정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로 상기 체중계(10)가 구현하는 모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입력부(3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체중계(10)가 구현하는 모든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센싱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는 사용자가 상기 센서부(200)를 터치하였는지 여부, 상기 센서부(200)에 가해지는 무게, 심장박동 수 및 체지방율, 발의 크기, 족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센싱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되는 조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센서부(200)가 가압되었는지 여부, 센서부(200)의 가압지속 시간, 복수의 상기 센서부(200) 중 몇 개가 가압되었는지 및/또는 복수의 상기 센서부(200)가 가압된 순서 등을 기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센서부(200)에 가해지는 전체 무게 정도 및/또는 복수의 상기 센서부(200) 각각에 센싱되는 무게 정도 등을 기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200)는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중량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4 센서부(240)는 각각 중량센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 및/또는 상기 대응부(400)에 올라선 경우 상기 본체부(100) 및/또는 상기 대응부(400)에 의해 가압되거나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발에 가압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1 센서부(210) 및 상기 제2 센서부(220)에 대해서만 체중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센서부(210) 및 상기 제2 센서부(220)는 상기 제3 센서부(230) 및 상기 제4 센서부(240)보다 상대적으로 큰 중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센서부(210) 및 상기 제2 센서부(220)가 감지한 중량의 크기가 기 설정된 중량 값(A) 보다 크며 상기 제3 센서부(230) 및 상기 제4 센서부(240)가 감지한 중량의 크기가 기 설정된 중량 값(A)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1 센서부(210) 및 상기 제2 센서부(220) 만이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1 센서부(210)에 대해서만 체중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센서부(210)는 상기 제2 센서부(220), 상기 제3 센서부(230) 및 상기 제4 센서부(240)보다 상대적으로 큰 중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센서부(210)가 감지한 중량의 크기가 기 설정된 중량 값(A) 보다 크며 상기 제2 센서부(220), 상기 제3 센서부(230) 및 상기 제4 센서부(240)가 감지한 중량의 크기가 기 설정된 중량 값(A)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1 센서부(210) 만이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가 센싱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는 중량을 감지하는 지속 시간일 수도 있다.
일례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센서부(210)를 일정 시간 가압하는 경우,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중계(10)는 가압된 시간(0-a)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제1 센서부(210)의 감지 중량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센서부(210)가 일정 시간(0-a) 가압된 경우, 그 중 기 설정된 중량 값(A)보다 큰 중량 값이 감지된 시간(b-c, t)만을 카운팅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센싱되는 소정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로 상기 체중계(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예들을 설명하겠다.
3-1. 전원 ON/OFF 동작의 제어방법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체중계(10),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상기 프로젝터부(500), 상기 대응부(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원을 OFF에서 ON으로 전환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이 상기 센서부(200)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는 조건이며, 사용가자 상기 복수개의 상기 센서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원을 OFF에서 ON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200)가 가압된다는 것의 의미는 가압에 의해 감지되는 중량 값이 상기 기 설정된 중량 값(A) 보다 큰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센서부(200)의 소정의 가압 지속시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상기 센서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소정의 가압 지속시간 이상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센싱 조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원을 OFF에서 ON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원을 OFF에서 ON으로 제어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상기 센서부(200) 모두를 가압하는 것일 수도 있고,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원을 ON에서 OFF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원을 ON에서 OFF로 제어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복수 개의 상기 센서부(200) 모두가 가압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상기 센서부(200) 중 어느 하나도 가압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원을 ON에서 OFF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원을 ON에서 OFF로 제어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센서부(200)가 가압되지 않는 소정의 지속시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상기 센서부(200) 중 어느 하나도 상기 소정의 지속시간 이상 가압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원을 ON에서 OFF로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원을 ON에서 OFF로 제어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응부(400)의 전원 ON/OFF는 앞서 설명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원 ON/OFF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어부(9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3-2. 사용자 식별 동작(S10)의 제어방법
상기 사용자 식별 필요 확인 동작(S11)에 있어, 사용자는 사용자 식별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식별 입력 동작(S12)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도록, 일례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식별 필요 확인 동작(S11) 상에서 상기 제1 센서부(21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사용자 식별 입력 동작(S12)을 구현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식별 필요 확인 동작(S11) 상에서 상기 제2 센서부(22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사용자 식별 입력 동작(S12)을 구현하지 않고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필요 확인 동작(S11)과 동일한 원리로, 상기 사용자 식별 피드백 동작(S13)도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식별 입력 동작(S12)에 의해 사용자가 제대로 식별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센서부(210)를 가압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900)는 사용자가 제대로 식별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제대로 식별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2 센서부(220)를 가압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900)는 사용자가 제대로 식별되지 않았음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사용자 식별 입력 동작(S12)을 구현 하는 경우,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2 센서부(220)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의 패턴일 수 있다.
일례로,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를 식별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1 센서부(210)를 연속적으로 두 번 가압하는 것이 아버님으로, 상기 제1 센서부(210)를 가압한 후 상기 제2 센서부(220)를 가압하는 것이 어머님으로, 상기 제1 센서부(210)를 가압한 후 상기 제3 센서부(230)를 가압하는 것이 아드님으로 식별되도록 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제1 센서부(210)를 연속적으로 두 번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현재의 사용자가 아버님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측정된 체중이 기 설정된 무게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일 수도 있다.
사용자 마다 체중이 다를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의 체중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일례로, 아버님의 체중이 70kg, 어머님의 체중이 50kg으로 측정된 경우, 이러한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부(20)에 저장될 수 있다.
며칠 후에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현재 사용자의 체중이 48kg으로 센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48kg의 체중이 아버님이 아닌 어머님의 체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체지방율, 발의 크기 또는 족문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도 있으며,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3. 자세 판단 동작(S20) 제어방법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의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4 센서부(240) 모두 가압되고 있는지 여부 및/또는 상기 제1 센서부(210) 내지 상기 제4 센서부(240)에 각각 가해지는 체중의 편차가 소정의 편차 이하 인지 여부일 수 있다.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을 구현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상기 자세 판단 필요 확인 동작(S21)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 구현 전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및/또는 상기 대응부(400)를 통해 상기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을 구현할 것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2 센서부(220)를 가압하면, 상기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은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을 구현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상기 자세 판단 필요 확인 동작(S21)은 상기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을 먼저 구현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을 구현한 후 소정의 시간 이상 지속하여 사용자가 올바르게 올라서지 않았다고 판단된다면 그제서야 사용자에게 상기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을 지속하여 구현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상기 자세 판단 필요 확인 동작(S21)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센서부(210)와 상기 제2 센서부(220)를 동시에 밟을 수 없는 발의 크기를 가진 아기가 상기 체중계(10)에 상기 소정의 시간 이상 올라선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에 의해 상기 소정의 시간 이상 지속하여 올바르게 올라서지 않았다고 판단할 것이며, 상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자세 판단 입력 동작(S22)을 더 구현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상기 자세 판단 필요 확인 동작(S21)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의 결과로 사용자가 상기 체중계(10)에 올바르게 올라섰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체중 측정 동작(S30)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세 판단 동작(S20)의 결과로 사용자가 상기 체중계(10)에 올바르게 올라 올라서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체중 측정 동작(S30)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3-4. 체중 측정 동작(S30)의 제어방법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및 상기 대응부(400)는 상기 제어부(900)에 의해 측정된 체중을 표시할 수도 있고 목표 체중과의 차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1 제어부(900)가 가압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및 상기 대응부(400)에 측정된 체중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2 제어부(900)가 가압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및 상기 대응부(400)에 측정된 체중이 아닌 목표 체중과의 차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3-5. 히스토리 관리 동작(S40) 제어방법
일레로, 상기 저장 확인 동작(S41)에 있어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1 제어부(90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측정된 체중을 상기 메모리부(20)에 저장(S42)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제2 제어부(90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측정된 체중을 상기 메모리부(20)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 확인 동작(S41)에 있어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1 제어부(90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측정된 체중을 상기 단말기 및/또는 상기 서버(M)로 전달(S44)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제2 제어부(90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측정된 체중을 상기 단말기 및/또는 상기 서버(M)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체중계(10)가 구현할 수 있는 동작들을 제어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는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센싱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로 상기 체중계(10)가 구현할 수 있는 동작이 구현될 수도 있고 구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900)가 제어하는 앞서 설명한 일련의 동작의 제어방법은 상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 식별 동작(S20)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히스토리 관리 동작(S40)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 확인 동작(S41)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하여 상기 센서부(20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측정된 체중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S22)할 수도 있고, 사용가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센서부(200)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900)는 측정된 측정된 체중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본체부
200: 센서부
300: 디스플레이부
400: 대응부
500: 프로젝터부

Claims (12)

  1.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체중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프로젝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체중을 기초로 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소정의 동작이 구현되는 체중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전원의 ON 동작이 구현되는 체중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표시하는 정보가 변경되는 체중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표시하는 화면의 위치가 다른 체중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프로젝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제1 정보와 다른 제2 정보를 표시하는 체중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체중이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체중과 목표 체중간의 차이인 체중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프로젝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프로젝터부가 상기 본체부의 최외측 외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의 최외측 외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본체부의 최외측 외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는 체중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소정의 기울기로 조절되는 체중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체중을 기초로 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구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 상에 기 설정된 자세로 올라 섰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자세 판단 동작을 구현하는 체중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체중을 기초로 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구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동작을 구현하는 체중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체중을 기초로 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발광하는 대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응부는,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체중에 대응하여 발광하는 제1 대응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체중에 대응하여 발광하는 제2 대응부를 구비하는 체중계.
KR1020160144995A 2016-11-02 2016-11-02 체중계 KR20180047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995A KR20180047991A (ko) 2016-11-02 2016-11-02 체중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995A KR20180047991A (ko) 2016-11-02 2016-11-02 체중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991A true KR20180047991A (ko) 2018-05-10

Family

ID=6218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995A KR20180047991A (ko) 2016-11-02 2016-11-02 체중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79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418B1 (ko) 스마트 트레이닝 장치
JP4384596B2 (ja) 秤の動作状況をモニタするための装置
US7100439B2 (en) Balance control system for weight scales
KR101985963B1 (ko) 인공 암벽에서의 클라이밍 시스템
CN210158250U (zh) 可移动工作表面设备
KR101453054B1 (ko) 하이브리드형 미니 피시 스마트 테이블 시스템
US9990468B2 (en) Medical instrument with remaining visits indicator
KR890012614A (ko) 건강관리 측정 장치
JP2011139829A (ja) 手首血圧計
US9347820B2 (en) Body weight measuring techniques
JP2009082362A (ja) 生体測定装置
WO2018166362A1 (zh) 药物监测装置、系统及方法
JP2001204704A5 (ko)
CN102119853B (zh) 腕式血压监测器
KR20160031315A (ko) 사물인터넷 및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웰니스플랫폼 시스템
KR20180047991A (ko) 체중계
JP5080592B2 (ja) 手首血圧計
US201803687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Body Movement of A Person With Impaired Sensation
KR101151056B1 (ko) 냉장고의 체중관리장치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KR101531869B1 (ko)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9724664A (zh) 测量设备和测量系统
US9658333B1 (en) Height measuring device
KR101798727B1 (ko) 헬스케어체어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작동방법
JP2001012997A (ja) 体重計
KR20180028849A (ko) 스마트 체중계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