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969A -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969A
KR20180047969A KR1020160144941A KR20160144941A KR20180047969A KR 20180047969 A KR20180047969 A KR 20180047969A KR 1020160144941 A KR1020160144941 A KR 1020160144941A KR 20160144941 A KR20160144941 A KR 20160144941A KR 20180047969 A KR20180047969 A KR 20180047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otoplast
plant
fragment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욱
이은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6014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7969A/ko
Publication of KR20180047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화장료 등의 조성물의 식물 유래 유효성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능성과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된 식물 유래 유효성분으로서의 식물 원형질체 파쇄물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세포 내 구성물들을 모두 포함하면서도 피부 외용제 제형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라멜라 구조를 갖는 유효성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일반 식물 추출물에 비해 기능성이 현저히 우수하면서도 안정한 라멜라 구조를 갖는 식물 유래 유효성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lysate of protoplast from a differentiated plant cell}
본 명세서에는, 기능성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기능성과 안정성이 동시에 향상된 식물 유래 유효성분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화장품 분야에서는 항노화, 미백등 피부에 유용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생리활성 소재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리활성 소재를 얻기 위한 천연의 원천물질로서 식물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또한 약학 분야에서도 천연물 유래의 의약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천연 식물소재를 다양한 추출방법, 즉 물추출, 용매추출, 열수추출, 고압추출, 초고압추출, 아임계추출, 초임계추출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있으며, 이 소재들은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는 생리활성이 우수한 유용한 물질을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으나, 추출방법에 따라 안정성에 문제가 야기되는 경우가 많으며. 추출하는 용매에 따라 추출되는 생리활성 물질의 종류도 달라지게 되어 식물체가 함유하고 있는 유용한 성분 전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식물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경우에는 수용성 추출물이 주로 추출되어 이는 생리활성 지질로 구성된 피부장벽을 효과적으로 침투하여 들어가 기능을 나타내기가 어렵다. 한편 알코올 등의 용매에 의해 추출되는 유용성 물질은 화장품에 사용하기 위하여 리포좀과 같은 전달체에 포집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물로 추출한 추출물이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은 극성에 따라 추출되는 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효과가 좋은 식물 성분을 모두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3-003003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식물의 유효성분 전체를 활용하기 위해 식물의 원형질체의 파쇄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식물의 유용한 영양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현저히 향상된 기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구비한 식물 유래 유효성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유효성분으로서,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조성물의 식물 유래 유효성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은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이고, 상기 방법은, 식물의 분화된 조직에 세포벽 분해 효소 처리를 하여 세포벽을 분해하는 효소 처리 단계; 상기 효소 처리물을 원심분리하여 원형질체를 수득하는 원형질체 수득 단계; 및 상기 얻어진 원형질체를 고압 유화하는 유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성분 제조방법이다.
본 개시는 화장료 등의 조성물의 식물 유래 유효성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능성과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된 식물 유래 유효성분으로서의 식물 원형질체 파쇄물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세포 내 구성물들을 모두 포함하면서도 피부 외용제 제형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라멜라 구조를 갖는 유효성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일반 식물 추출물에 비해 기능성이 현저히 우수하면서도 안정한 라멜라 구조를 갖는 식물 유래 유효성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효소 분해 후 얻어진 바질의 원형질체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1b는 효소 분해 후 얻어진 루꼴라의 원형질체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a는 바질의 원형질체를 고압 유화하여 얻은 원형질체 파쇄물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2b는 루꼴라의 원형질체를 고압 유화하여 얻은 원형질체 파쇄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a는 허브의 물 추출물과 허브의 원형질체 파쇄물의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를 비교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b는 UV 조사 후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아니한 음성 대조군(UV)과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dexamethason)의 TNF-α의 분비량, 바질(Ocimum basilicum) 및 루꼴라(Eruca sativa) 각각으로부터 유래된 라멜라 조성물을 처리한 후의 TNF-α의 분비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식물체의 세포벽은 주로 셀룰로즈와 펙틴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물의 세포소기관은 엽록소, 미토콘드리아, 액포등 다양한 막구조를 가지고 있다.
식물체의 세포벽은 셀룰라아제, 펙티나아제등의 효소를 이용하여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과정을 통해 세포벽이 없는 식물의 원형질체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식물세포의 원형질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세포 소기관은 다양한 막구조로 형성되는데 주로 인지질로 구성된 이중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자가 조합(self assembly) 특성을 가지고 있어 리포좀, 에멀전 또는 액정 등의 라멜라 구조의 형성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원형질체 파쇄물"이란 원형질체가 파쇄되어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소기관들의 막구조가 파쇄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유효성분은 식물 유래의 유효성분이다. 상기 식물 유래의 유효성분은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질체 파쇄물은 원형질체의 고압 유화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압 유화"란 고압을 가하여 유화를 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광범위의 개념이다. 상기 고압은 500bar 이상의 압력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500bar 이상, 600bar 이상, 700bar 이상, 800bar 이상, 900 bar 이상 또는 1000bar 전후의 유화를 가능케 하는 고압을 이용하여 유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고압 유화를 위한 기기로는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idizer)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로플루다이저는 예컨대, 라멜라 구조의 구성 성분을 혼합하여 서브-마이크로 크기의 미세구멍 (micro-pore)을 가지는 카트리지 셀이나 밸브 (또는 interaction chamber라고도 함)를 통과시키는데, 이때 통과하는 미세구멍의 사이즈는 약 50에서 300 마이크로미터이며, 발생되는 큰 전단응력 (shear stress)에 의하여 계면활성제에 의한 이중 지질막 등의 라멜라 구조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은 라멜라 구조를 갖는 라멜라 구조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라멜라 구조물"이란,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보통의 세포막의 지질 이중층 구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 외에 리포좀, 에멀젼, 또는 액정 구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물은 오씨멈속(Ocimum) 식물 및 에루카속(Eruca) 식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물은 바질(Ocimum basilicum) 및 루꼴라(Eruca sativa)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 내 구성물들이 모두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필요한 조성물일 수 있다. 통상의 용매 추출에 의해서는 해당 용매에 용해되는 특정 성분들만이 추출되는 것이므로 세포 내의 전 성분들을 활용하도록 하는 방법이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포 내 구성물들을 모두 포함하면서도 피부 외용제 제형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라멜라 구조를 갖는 유효성분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용도를 위해 세포 내 구성물들 전부가 필요한 식물이라면 식물 종류에 무관하게 모두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물의 부위는 잎, 줄기, 뿌리, 꽃, 종자, 식물 전체 등 식물의 전체 또는 일부 모두 가능하다. 특히, 상기 식물은 식물의 잎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효성분으로서의 식물 원형질체 파쇄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기초하여 0.0001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물 원형질체 파쇄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기초하여 0.0001중량% 이상, 0.001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또는 1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원형질체 파쇄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기초하여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0중량% 이하, 20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5중량% 이하, 4중량% 이하, 3중량% 이하, 2중량% 이하, 또는 1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도는 필요한 용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항염, 항노화, 주름 개선 및 예방, 탄력 개선 및 예방, 볼륨감 증진, 피부세포 성장 촉진 등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바디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젤, 패치, 수중유(O/W)형, 유중수(O/W)형 등의 기초 화장료, 립스틱, 메이크업베이스 또는 파운데이션 등의 색조 화장료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 물질,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조성물의 식물 유래 유효성분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효성분은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은 라멜라 구조를 가지는 라멜라 구조물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식물의 분화된 조직에 세포벽 분해 효소 처리를 하여 세포벽을 분해하는 효소 처리 단계; 상기 효소 처리물을 원심분리하여 원형질체를 수득하는 원형질체 수득 단계; 및 상기 얻어진 원형질체를 고압 유화하는 유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화 단계는 500bar 이상의 압력 하에서 유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화 단계는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idizer) 처리를 2회 이상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압 유화 단계는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idizer) 처리를 2회 이상, 3회 이상 또는 4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 2회 이상 반복될 경우 라멜라 구조물의 크기가 작아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효소는 세포벽 분해효소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효소는 셀룰라아제 및 펙티나아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효소로 세포벽을 분해함으로써 세포벽이 완전히 분해된 원형질체(protoplast)를 만든 후 고압파쇄를 통해 라멜라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포벽 효소 분해 찌꺼기는 여과재로 여과하여 걸러낼 수 있다. 이 때 50 내지 150 메쉬의 여과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과재의 구멍 크기는 50 메쉬 이상, 55 메쉬 이상, 60 메쉬 이상, 65 메쉬 이상, 70 메쉬 이상, 75 메쉬 이상, 80 메쉬 이상, 85 메쉬 이상, 90 메쉬 이상, 95 메쉬 이상 또는 100 메쉬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의 구멍 크기는 150 메쉬 이하, 145 메쉬 이하, 140 메쉬 이하, 135 메쉬 이하, 130 메쉬 이하, 125 메쉬 이하, 120 메쉬 이하, 115 메쉬 이하, 110 메쉬 이하, 105 메쉬 이하 또는 100 메쉬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질체 수득 단계는 원심분리로 수득된 원형질체를 세척하여 잔류 효소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는 500 내지 1200rpm에서 1 내지 30분간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원심분리는, 500rpm 이상, 550rpm 이상, 600rpm 이상, 650rpm 이상, 700rpm 이상, 750rpm 또는 800rpm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는 1200rpm 이하, 1150rpm 이하, 1100rpm 이하, 1050rpm 이하, 1000rpm 이하, 950rpm 이하, 900rpm 이하, 또는 850rpm 이하일 수 있다. 원심분리 시간은 1분 이상, 1.5분 이상, 2분 이상, 2.5분 이상, 3분 이상, 3.5분 이상, 4분 이상, 4.5분 이상, 또는 5분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원심분리 시간은 30분 이하, 25분 이하, 20분 이하, 15분 이하, 10분 이하, 또는 5분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원심분리는 800rpm에서 5분간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화 단계는, 상기 식물 원형질체를 인지질과 함께 고압 유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대두 유래 인지질, 콩 유래 인지질, 합성 인지질, 수첨된 콩 유래 인지질 및 부분 수첨된 콩 유래 인지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의 인지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식물 원형질체의 중량이 100중량부일 때, 10 내지 50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인지질이 10중량부 미만이면 인지질에 의한 안정화 효과가 미미하고,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식물 원형질체 함량이 낮아져 식물 세포 구성물에 의한 기능이 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물 원형질체 파쇄물의 제조
허브에 속하는 바질(Ocimum basilicum), 루꼴라(Eruca sativa)의 잎부분을 0.3M Sorbitol 용액에 넣어 깨끗이 세척한 후 잘게 분쇄한 다음 셀룰라아제(Celluclast, 노보자임)(10mg/ml)와 펙티나아제(Pectinex, 노보자임)(10mg/ml)를 첨가한 후 37℃에서 10시간 효소반응을 시켜 원형질체를 얻었다. 거즈(8~10겹)(100메쉬)를 이용하여 세포벽 분해 찌꺼기를 제거하고 통과한 것을 원심분리(800rpm, 5분)하여 가라앉은 원형질체를 회수한 후 3회 세척(초기 볼륨의 0.3M Sorbitol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다시 8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하여 잔류된 효소를 제거하였다. 그 결과 도 1a 및 도 1b의 원형질체를 회수할 수 있었다.
효소가 제거된 식물 원형질체를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 Processor M-110EHI, Microfluidics Corporation)를 이용하여 1000bar에서 3회 반복 처리하여 식물 원형질체 파쇄액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도 2a 및 도 2b의 원형질체 파쇄액을 얻었다.
표 1은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처리하는 횟수에 따른 식물 원형질체 파쇄물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다.
식물명 고압유화기 처리 횟수 size (nm)
바질 3 pass 279
루꼴라 3 pass 227
[비교실시예 1]
식물의 원형질체 파쇄물과 비교하기 위해, 바질(Ocimum basilicum), 루꼴라(Eruca sativa Mill)의 잎부분을 60℃에서 10시간 정제수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미생물 라멜라 조성물의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마이크로플루다이저 3회 처리를 통해 제조한 각 식물 원형질체 파쇄물을 상온, 4℃, 40℃에서 3개월간 방치하면서 파쇄물 크기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온도에서 3개월까지 매우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식물 원형질체 파쇄물의 피부 효능 평가(피부세포 성장 촉진)
사람 섬유아세포 (normal human fibroblast : ATCC CCL110) 를 페니실린 (100IU/㎖), 스트렙토마이신(100g/㎖),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넣고 37℃를 유지하며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얻어진 섬유아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3 X 105 개로 분주한 다음 세포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에 상기 비교실시예 1에 따른 식물추출물 및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식물 원형질체 파쇄물을 각 농도별로 첨가한 후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그 결과는 도 3a에 나타내었다.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실험구에 비해 바질 및 루꼴라의 추출물 또는 원형질체 파쇄물을 첨가한 경우에 피부세포의 성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60℃에서 10시간 정제수로 추출한 비교실시예에 비해 원형질체 파쇄물을 첨가한 본원 발명의 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식물원형질체 파쇄물의 피부효능평가(항염 효과)
사람 피부각질세포(human keratinocyte: ATCC CRL-2404)를 페니실린(100IU/㎖), 스트렙토마이신(100g/㎖),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넣고 37℃를 유지하며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수득된 피부각질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3 X 105 개로 분주한 다음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에 25mJ/㎠ 양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각 식물 원형질체 파쇄물을 0.1% 첨가한 후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 상등액을 회수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덱사메타손 1um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인 추출물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실시예1에 따른 바질과 루꼴라의 물추출물을 함께 비교 평가하였다.
도 3b는 UV 조사 후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아니한 음성 대조군의 결과(UV)와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의 결과(dexamethason)가 함께 나타나 있다. 식물 원형질체 파쇄물은 자외선의 자극에 의한 TNF-α의 분비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일반적인 물 추출물에 비해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예시한다.
[제형예 1] 비누형 제제
실시예 1의 바질 원형질체 파쇄물 5.00
유지 75
수산화나트륨 5
향료 1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제형예 2] 로션형 제제
실시예 1의 루꼴라 원형질체 파쇄물 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감초 엑기스 0.20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제형예 3] 크림형 제제
실시예 1의 바질 원형질체 파쇄물 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제형예 4] 팩형 제제
실시예 1의 루꼴라 원형질체 파쇄물 5.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제형예 5] 미용액형 제제
실시예 1의 바질 원형질체 파쇄물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2% 수용액) 12.00
크산탄검 (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5.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Claims (17)

  1. 유효성분으로서,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질체 파쇄물은 원형질체의 고압 유화물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은 500bar 이상의 압력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은 라멜라 구조를 갖는 라멜라 구조물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오씨멈속(Ocimum) 식물 및 에루카속(Eruca) 식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바질(Ocimum basilicum) 및 루꼴라(Eruca sativa)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 조성물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노화 조성물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세포 성장 촉진용 조성물인,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12. 조성물의 식물 유래 유효성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은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이고,
    상기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은 라멜라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식물의 분화된 조직에 세포벽 분해 효소 처리를 하여 세포벽을 분해하는 효소 처리 단계;
    상기 효소 처리물을 원심분리하여 원형질체를 수득하는 원형질체 수득 단계; 및
    상기 얻어진 원형질체를 고압 유화하는 유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성분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단계는 500bar 이상의 압력 하에서 유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단계는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idizer) 처리를 2회 이상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셀룰라아제 및 펙티나아제 중 하나 이상인 제조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질체 수득 단계는 원심분리로 수득된 원형질체를 세척하여 잔류 효소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방법.
KR1020160144941A 2016-11-02 2016-11-02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47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941A KR20180047969A (ko) 2016-11-02 2016-11-02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941A KR20180047969A (ko) 2016-11-02 2016-11-02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969A true KR20180047969A (ko) 2018-05-10

Family

ID=6218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941A KR20180047969A (ko) 2016-11-02 2016-11-02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79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973B1 (ko) * 2020-02-24 2020-12-01 (주)티이엔 염증, 알러지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973B1 (ko) * 2020-02-24 2020-12-01 (주)티이엔 염증, 알러지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896B1 (ko) 홍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TWI233807B (en) External skin cosmetic composition
KR101562560B1 (ko)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천연추출물 숙성 발효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96102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복합 천연 방부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10108686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1211B1 (ko) 단풍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6151B1 (ko)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조밥나물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조밥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8687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6106B1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해조류 혼합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102271001B1 (ko)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이용한 차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3201229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抗老化用化粧料
KR101637396B1 (ko) 벌노랑이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28341B1 (ko) 비누풀, 유카, 퀼라야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6524B1 (ko)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동백 추출물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04932B1 (ko) 아세로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025423A (ko)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겨우살이 추출물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6622015B2 (j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KR101862039B1 (ko)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2272B1 (ko)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20150086922A (ko) 천연발효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의 완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KR20180047969A (ko) 분화된 식물 세포의 원형질체 파쇄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53702B1 (ko)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JP2007045733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2221627B1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67703B1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