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297A -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 Google Patents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297A
KR20180047297A KR1020160143255A KR20160143255A KR20180047297A KR 20180047297 A KR20180047297 A KR 20180047297A KR 1020160143255 A KR1020160143255 A KR 1020160143255A KR 20160143255 A KR20160143255 A KR 20160143255A KR 20180047297 A KR20180047297 A KR 20180047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needle holder
syringe
ring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405B1 (ko
Inventor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최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철 filed Critical 최영철
Priority to KR102016014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40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 내에 앰플의 약액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약액과 함께 혼입되는 이물질을 걸러 포집하고, 주사기 내의 약액을 인체에 투여할 때에 포집한 이물질의 흐름을 차단토록 하면서 약액만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전단부에 주사바늘을 고정하고 후단부에 실린더의 네크부가 끼워지는 니들홀더와, 상기 니들홀더와 네크부의 전단부 사이에 개재한 필터유닛으로 이루어진 주사기용 필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관 형상으로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을 형성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 측면이 대응하는 상기 니들홀더의 내면 둘레를 따라 밀착하며 중공과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한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 내측 중공 주연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 형성한 전·후방연장관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 반구 형상으로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방연장관을 덮도록 후방 개구가 끼워지며 전단부의 중앙에 절개선을 형성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후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을 덮는 형상을 이루는 스커트부로 이루어진 밸브멤버; 및 주머니 형상으로 전방 개구가 상기 후방연장관의 측벽을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ASSEMBLED FILTER FOR SYRINGE, SYRINGE AND ASSEMBLED RINGER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주사기용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주사기 내에 앰플의 약액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약액과 함께 혼입되는 이물질을 걸러 포집하고, 주사기 내의 약액을 인체에 투여할 때에 포집한 이물질의 흐름을 차단토록 하면서 약액만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실린더에 대한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약액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실린더에 대하여 약액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실린더의 네크 부위에는 주사 바늘을 고정하는 니들 홀더의 착탈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약액은 액상과 분말의 혼합액 또는 액상의 것으로, 주로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의 앰플에 담겨져 보관이 이루어지고, 사용시 앰플의 네크 부위를 절단하여 개방한 후 주사바늘을 위치시켜 실린더 내에 약액을 흡입토록 하거나 앰플의 개구를 합성고무로 밀봉한 경우에 있어서는 주사바늘로 합성고무를 뚫고 앰플 내에 위치시킨 후 실린더 내로 약액을 흡입하게 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이때, 주사기 내부로 유입되는 약액에는 앰플의 개방 과정에서 유리 또는 플라스틱의 파편, 합성고무 조각 등의 이물질들이 함께 혼입될 수 있고, 주사기 내에 혼입된 이물질들은 인체 내에 약액과 함께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체 내부로 주입되는 이물질들은 인체의 혈관을 따라 이동하며 혈관 내벽뿐 아니라 인체의 장기를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와 노력이 있었으며, 그 노력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5378호(2013.03.19. 등록;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 미국 등록특허 US4332249호(1982.06.01. 등록; 이하 '특허문헌2'라 함) 등이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 1, 2는 주사기 내에 약액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의 유입을 방치하고, 약액의 배출과정에서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하는 체크밸브의 구조를 이용한 것이다.
하지만, 특허문헌 1, 2의 필터조립체는 주사바늘에 근접하는 니들홀더 내부에 설치하는 구성이고, 그 설치 부위는 주사바늘과 실린더 네크 부위 끝단 사이의 내경이 약 3.8~4㎜ 미만인 부위이다.
이러한 설치 부위와 그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첨부하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특허문헌 1을 살펴보면, 외측에 흡입구를 형성하고, 중앙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필터구조체(10)를 형성한 것으로, 흡입구와 배출구는 체크밸브 구조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 가능하게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 체크밸브의 구조는 주사바늘을 향해 반구 형상으로 돌출하고, 또 그 중앙부에 구멍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선을 형성한 가림막(1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림막(12)은 실린더 내부로부터 압력이 작용함에 대응하여 체크밸브의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가림막(12)은 주사 바늘(N)에 대응하는 부위가 반구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유연한 재질이고, 3.8~4㎜ 이내의 협소한 공간 중 중앙부위에서 체크밸브의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우 얇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가림막(12)이 차지하는 중앙 영역(d1)은,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주사바늘(N)을 통해 유입되는 약액의 압력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다.
또한, 원통본체(14)를 지지하며 흡입구를 이루는 가장자리 영역(d2)은,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복수 기둥부(16) 사이의 공간(Δd1 x Δd x n)이 협소하게 형성될 수밖에 없고, 또 테두리막(24)에 의해 덮힌 상태에 있으므로 주사 바늘(N)을 통해 흡입되는 약액의 압력은 중앙 영역(d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밖에 없다(d1>d2).
즉, 실린더 내에 약액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유동하는 약액의 압력은 가림막(12)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압력 집중을 받는 가림막(12)은, 3.8~4㎜ 이내의 니들홀더(22) 내에서 절개선(18)을 기준으로 할 때에, 0.1~0.3의 두께에 불가하므로, 도 1의 점선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압력에 의해 절개선(18)을 포함한 가림막(12)의 반구 형상이 반대방향으로 변형되거나 절개선(18)이 벌어질 수 있고, 이때 가림막(12)과 필터(20) 사이에는 약액과 함께 이물질이 혼입되어 포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림막(12)과 필터(20) 사이에 포집된 이물질들은 약액을 투여하는 과정에서 약액에 섞여 다시 배출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인체에 주입됨에 따른 문제의 우려가 있다.
더불어, 상술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림막(12) 부위를 두껍게 형성할 경우에는, 약액의 투여시에 절개선(18)이 벌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절개선(18)을 통해 약액의 유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피스톤을 통한 정도 이상의 압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약액의 수용과 투여에 소요되는 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게다가, 필터구조체(10)는 니들홀더(22)의 내벽 또는 기둥부(16)에 억지끼움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억지끼움이 이루어지는 원통본체(14)는 가림막(12)과 테두리막(24)을 포함한 유연한 재질임이 분명하고, 이것은 상술한 흡입과정에서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약액의 압력을 받아 설치 고정 상태가 해제될 위험과 상술한 복수 기둥부(16) 사이의 공간(Δd1 x Δd x n)을 더욱 협소하게 하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의 필터(20)는 원통본체(14)의 후방에서 내측으로 끼우는 형식의 결합이고, 이는 필터(20)를 포함한 유연한 재질의 원통본체(14) 내부의 영역의 확보는 물론 그 결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있어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밸브멤버(30)는 중앙 부위에 실린더 내측 방향으로 돌출시켜 그 중앙에 슬릿(32)을 형성한 흡입파트(34)를 이루고, 외측 부위에 스커트 형상의 배출파트(36)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실린더 내측의 배출파트(36)에는 밸브멤버(30)의 중앙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를 관통 형성한 필터(38)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중앙 부위와 스커트에 따른 흡입파트(34)와 배출파트(36)는 실린더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대응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약액의 흡입이 이루어지면, 중앙 흡입파트(34)의 슬릿(32)은 개방되어 실린더 내에 약액과 이물질의 혼입이 이루어지고, 이때, 스커트(배출파트(36))는 필터(38)의 지지를 받아 니들홀더(40)의 내벽에 맞닿아 있으므로 필터(38) 표면에 이물질의 접촉을 차단하게 한다.
더불어, 실린더 내의 약액을 인체에 투여하는 과정에서는 중앙 부위의 슬릿(32)이 닫히고, 필터(38)에 대한 스커트 부위가 벌어지면서 형성되는 통로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과정에서 필터(38)를 통한 이물질의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2의 기술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흡입과정에서 슬릿(32)이 벌어져 약액과 함께 이물질의 혼입이 이루어짐을 기초로 하고 있는데, 이때 슬릿(32) 사이에는 이물질이 끼인 상태로 잔존할 수 있다.
게다가, 스커트(배출파트(36))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42)에 의해 그 설치 위치가 결정되지만, 자체의 유연성과 더불어 후방 부위를 지지하는 필터(38)의 유연성에 의해 흡입과정에서 스커트(배출파트(36))의 외측 끝단이 니들홀더(40)의 내벽면에 맞닿아 있기 어려운 관계에 있다.
이에 따라, 스커트(배출파트(36))는, 필터(38)가 형상 변형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도 3의 점선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흡입과정에서 스커트(배출파트(36))의 외측 끝단과 니들홀더(40)의 내벽면 사이에 이물질이 끼일 수 있다.
이렇게 슬릿(32) 사이와 또는 스커트와 니들홀더(40)의 내벽면 사이에 놓이는 이물질들은 배출과정에서 약액과 함께 인체에 주입될 우려가 있다.
이와 함께, 필터(38)는 중앙 영역(d1')을 관통 형성하고 있고, 중앙 영역(d1')의 외측 영역 즉, 가장자리 영역(d2')에 대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필터(38)에 의해 약액을 투여하기 위한 배출과정에서는, 약액의 흐름에 대한 필터(38)의 저항을 감안할 때에, 중앙 영역(d1')은 그 외측의 가장자리 영역(d2')보다 상대적으로 더 압력을 많이 받고, 이는 흡입파트(34)의 형상이 특허문헌 1의 경우와 같이 형상이 반대 방향으로 변형될 우려와 그에 따른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5378호(2013.03.19. 등록) 미국 등록특허 US4332249호(1982.06.01.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로 약액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혼입이 이루어지는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포집하고, 약액을 인체에 투여하는 과정에서 포집한 이물질이 인체에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과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설치구조를 안정화하여 이물질의 필터링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로 약액의 흡입과 인체에 대한 약액의 투여 과정에서 약액의 흐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적은 힘으로 인체에 약액을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조립체의 특징적인 구성은, 전단부에 주사바늘을 고정하고 후단부에 실린더의 네크부가 끼워지는 니들홀더와, 상기 니들홀더와 네크부의 전단부 사이에 개재한 필터유닛으로 이루어진 주사기용 필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관 형상으로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을 형성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 측면이 대응하는 상기 니들홀더의 내면 둘레를 따라 밀착하며 중공과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한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 내측 중공 주연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 형성한 전·후방연장관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 반구 형상으로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방연장관을 덮도록 후방 개구가 끼워지며 전단부의 중앙에 절개선을 형성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후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을 덮는 형상을 이루는 스커트부로 이루어진 밸브멤버; 및 주머니 형상으로 전방 개구가 상기 후방연장관의 측벽을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니들홀더의 내벽에는 이미 설정한 위치의 상기 밀착부의 전면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제1걸림돌기와, 이미 설정한 위치의 상기 밀착부의 후면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제2걸림돌기 중 적어도 제1걸림돌기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커트부는 설치 상태에서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1걸림돌기가 이루는 내경 미만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홀의 외곽라인 외측에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니들홀더는 내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경사각을 이루고, 상기 밀착부는 외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각으로 대응하는 상기 니들홀더의 내면에 밀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는 두께가 상기 밸브멤버의 후방 개구에서 외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후방연장관의 전단부에서 상기 밀착부의 관통홀 내측 후면과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가이드단턱을 구비하여 상기 필터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후단부가 상기 후방연장관의 후단부 외측을 덮는 돔 형상의 커버부를 이루고, 상기 커버부의 전단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둔 둘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져 전방으로 연장 돌출한 커버레그를 갖는 커버부재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재는 흡입과정에서 상기 후방연장관을 통해 실린더 방향으로 흡입되는 약액의 유동압에 의해 상기 필터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버레그들 사이를 통해 약액의 유동을 유도하고, 투여과정에서 상기 주사바늘 방향으로 약액의 흐름에 대응해 전진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후방연장관의 후단부를 덮어 약액의 흐름을 상기 관통홀 방향으로 유도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로 혼입되는 약액과 이물질은 밸브멤버의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형성한 절개선을 통해 반드시 필터를 거치게 됨과 동시에 필터에 의한 이물질의 분리 포집이 이루어짐으로써, 약액을 인체에 투여하는 과정에서는 포집한 이물질이 약액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음은 물론 포집 상태로 격리됨에 따라, 인체에 대한 이물질의 주입 방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경질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통해 필터유닛의 조립과 니들홀더의 내벽에 설치가 용이함과 더불어, 니들홀더의 내벽에 대응하는 지지부재가 설치 압력 대비 구조적으로 형상 변형이 없는 정도의 내구성을 갖추고 있음에 따라, 설치의 안정성 및 그에 따른 이물질의 필터링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로 약액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혼입되는 약액과 이물질 흐름의 저항을 줄이면서 필터에 집중되게 하고, 약액을 투여하는 과정에서도 약액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줄여 무리한 힘의 부가 없이 주사기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함과 함께, 그에 따른 시간 증가가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인 특허문헌 1의 기술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종래 기술인 특허문헌 2의 기술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조립체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주사기용 필터조립체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와 그에 따른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필터조립체를 구비한 주사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필터조립체를 구비한 링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전단, 전면)의 표현은 전체의 조립한 상태의 기술 구성에서 주사 바늘이 놓이는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후방(후방, 후면)은 주사 바늘의 선단에서 실린더(링거연결관)이 놓이는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내측의 표현은 각 구성 또는 각 구성에 의해 구획되어진 안쪽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외측의 표현은 내측의 표현과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사기 내에 앰플의 약액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약액과 함께 혼입되는 이물질을 걸러 포집하고, 주사기 내의 약액을 인체에 투여할 때에 포집한 이물질의 흐름을 차단토록 하면서 약액만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부에 주사바늘(N)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개구된 후단부를 통해 실린더(82)의 네크부(82a)가 끼워지게 하여 그 설치가 이루어지는 니들홀더(50)와, 이 니들홀더(50)와 실린더(82) 네크부(82a)의 전단부 사이에 개재한 필터유닛(80)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니들홀더(50)는, 도 6a 내지 도 6c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주사바늘(N)의 고정이 이루어진 위치로부터 이미 설정한 간격의 후방 내벽에 제1걸림돌기(52a) 또는 단턱(미도시)을 돌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제1걸림돌기(52a) 또는 단턱은 후술하는 지지부재(60)를 포함한 필터유닛(80)의 전진 설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이는 후술하는 밸브멤버(68)를 이루는 스커트부(62)의 작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니들홀더(50)와 지지부재(60) 사이의 설치관계 및 이를 포함한 각 구성의 작용관계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다.
그리고, 제1걸림돌기(52a)에서 후방으로 다시 간격(후술하는 지지부재(60)의 밀착부(54) 두께)을 둔 니들홀더(50) 내벽에는 제2걸림돌기(52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니들홀더(5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이때, 니들홀더(50)의 내부 직경(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경우에는 단면 중심을 지나는 간격)은 전방 위치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을 이루고, 이에 따른 경사각은 일반적인 주사기의 실린더 네크부(82a) 외곽의 테이퍼진 형상에 대응할 것과, 니들홀더(50)의 사출 성형과정에서 추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소위 빼기구배의 범위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술한 제1걸림돌기(52a) 또는 단턱 및 제2걸림돌기(52b)의 형상은 각각 이미 설정한 니들홀더(50)의 내벽 위치에서 그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연장 돌출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걸림돌기(52a) 또는 단턱 및 제2걸림돌기(52b)는, 종래의 기술 설명에서 특허문헌 1의 기둥부(16) 형상으로 니들홀더(50)의 내벽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할 지지부재(60)는 특허문헌 1의 기둥부(16) 구조의 제1걸림돌기(52a) 또는 단턱이 이루는 전방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걸림돌기(52a) 또는 단턱의 후방 단부에 걸쳐지고, 또 제2걸림돌기(52b)의 전방 부위에 걸쳐져 그 설치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걸림돌기(52a)와 제2걸림돌기(52b)는, 니들홀더(50)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강제추출이 가능한 소위 언더컷(내측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니들홀더(50)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필터유닛(8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중공(M/H)과 가장자리의 관통홀(56)을 가지며 니들홀더(50)에 대응하여 그 설치의 지지를 받도록 하는 지지부재(60)와, 이 지지부재(60)의 전면 부위와 지지부재(60)의 중공(M/H) 부위에 대응하도록 후방에 개구를 형성하며 전방을 향해 볼록한 반구 형상으로 전단부에 절개선(66)을 갖는 밸브멤버(68) 및 주머니 형상으로 지지부재(60)의 후단부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필터(7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위의 필터유닛(80)을 이루는 구성 중 상술한 지지부재(60)는, 경질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 부위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M/H)을 형성하고, 중공(M/H)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한 전방 부위에는 전·후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면서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을 이루며 외측으로 돌출한 부위의 측면이 이미 설정한 위치의 니들홀더(50) 내면 둘레를 따라 밀착 결합되게 한 밀착부(54)를 갖는다.
그리고, 지지부재(60)는, 상술한 상기 밀착부(54) 내측 중공 주연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 형성한 전·후방연장관(58a,58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밀착부(54) 중, 중공(M/H)과 외측 가장자리 둘레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56)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중공(M/H)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관통홀(56)의 외곽 라인은 이미 설정한 설치위치에서 상술한 제1걸림돌기(52a) 또는 단턱이 중공(M/H)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로지르는 간격 미만인 위치에 있도록 하고, 관통홀(56)의 내측 라인은 중공(M/H)의 형상 유지에 필요한 두께를 확보하는 정도에서 전·후방연장관(58a,58b)의 외측 이상에 있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관통홀(56)은 중공(M/H)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을 따라 둘 이상의 개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이때, 중공(M/H)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관통홀(56)들 사이는 밀착부(54)의 가장자리 부위를 림(rim)으로 하고, 중공(M/H)의 주연을 보스(boss)로 하는 스포크(spoke) 형상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밀착부(54)의 외측면은, 도 5 내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설정한 위치의 니들홀더(50)의 내벽면에 대응하여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니들홀더(50)의 내벽면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의 각도를 갖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60)는, 후방연장관(58b)의 전단부에서 밀착부(54)의 관통홀(56) 내측 후면과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가이드단턱(G)을 구비하여 후술할 필터(70)의 결합을 가이드한다.
이때, 가이드단턱(G)에 결합된 후술할 필터(70)의 전단부 외측 라인이 상술한 관통홀(56)의 내측 라인을 넘지 않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고, 이는, 약액의 투여과정에서 관통홀(56)을 통과하는 약액의 흐름을 용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부재(60)가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후술할 밸브멤버(68), 커버부재(76) 및 필터(70)와의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상술한 니들홀더(50)의 내벽에 대응하는 지지부재(60)가 설치 압력 대비 구조적으로 형상 변형이 없는 정도의 내구성을 갖추고 있음에 따라, 설치의 안정성 및 그에 따른 이물질의 필터링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필터유닛(80)을 이루는 구성 중 상술한 밸브멤버(68)는, 실리콘 또는 연성을 갖는 합성고무의 재질로 제작되고, 반구 형상으로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구비되어 전방연장관(58a)을 덮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후방 개구가 전방연장관(58a)에 끼워지며 연장부(64)와, 이 연장부(64)의 후단부 후방 개구의 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술한 지지부재(60)의 전면 중 적어도 관통홀(56)을 덮는 형상을 이루는 스커트부(62)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술한 스커트부(62)의 외곽 가장자리의 위치는, 밸브멤버(68)가 지지부재(60)와 조립된 상태에서, 제1걸림돌기(52a) 또는 단턱의 내면에 접하지 않는 내측에서 상술한 관통홀(56)의 외곽라인을 초과하는 사이에 있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연장부(64)에서 돌출 부위의 내경은 전방연장관(58a)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하여 그 결합의 견고함을 유지함으로써, 연장부(64)의 내면과 전방연장관(58a)의 외주면 사이에 틈의 발생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64)의 전단은, 외관으로 볼 때에 돔 형상 또는 일자 스크류 드라이버(screw driver)의 단부 형상으로 막힌 형상을 이루고, 연장부(64) 전단의 중앙 부위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관통한 양측으로 전방으로부터의 압력이 부가됨에 따라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절개선(66)을 형성하고 있다.
더불어, 상술한 스커트부(62)는 지지부재(60)의 전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방으로부터의 압력이 부가되었을 때, 지지부재(60)의 전면에 견고히 밀착되어 형상 변형이 차단되도록 한다.
이는, 스커트부(62)의 형상이 전방으로는 그 변형을 자유롭게 하고, 후방에 대해서는 변형이 어려운 상태 즉, 지지부재(60)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를 받는 관계에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스커트부(62)가 지지부재(60)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를 받는 관계를 이루도록 한 것은 주사바늘(N)을 통해 유입되는 약액의 흐름이 연장부(64)의 중앙 부위로 집중되게 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압력으로 연장부(64) 전단 부위가 절개선(66)을 기준으로 벌어지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전방연장관(58a)의 내경과 연장부(64)의 내경 및 절개선(66)은 유입되는 약액의 유동압에 의해 벌어지는 정도가 주사바늘(N)의 내경 이상에 있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필터유닛(80)을 이루는 구성 중 상술한 필터(70)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져 전방으로 개구를 갖는 주머니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필터(70)의 설치는, 주머니 형상에 따른 필터(70)의 개구를 통해 후방연장관(58b)의 후단부가 필터(70) 내부로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필터(70)의 개구 전단부가 지지부재(60)의 밀착부(54)에 근접하는 후방연장관(58b)의 전방 부위 측벽을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필터(70)는 상술한 후방연장관(58b)의 전방 부위 측벽에 위치된 가이드단턱(G)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필터(70)의 결합은, 상술한 가이드단턱(G)에 대응하여 열을 이용한 융착에 의하거나 본딩 또는 핫멜트 등을 이용한 접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접착제로 사용하는 재질은 약액과의 화학적 반응은 물론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설치되는 필터(70)는, 개구에서 내측 후단 부위까지의 간격 즉, 필터(70)의 깊이가 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에, 상술한 지지부재(60)의 후단부에 대하여 이미 설정한 간격 이상을 유지토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부재(60)의 후단부에서 필터(70)의 내측 후단까지의 간격은, 적어도 약액과 함께 혼입되어 걸러진 이물질을 포집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범위에 있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필터(70)의 깊이는, 약액과 함께 혼입되어 걸러진 이물질을 포집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을 포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가적으로 더 구비토록 하는 커버부재(76)의 이동 범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필터유닛(80)은, 상술한 지지부재(60)의 후단부와 필터(70)의 내측 후단부 사이에는 전·후진 위치 이동에 따라 지지부재(60)의 후단부, 즉, 상술한 후방연장관(58b)을 덮도록 돔 형상의 커버부(72)를 갖는 커버부재(76)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76)는, 후단부가 지지부재(60)의 후단부 외측을 덮는 돔 형상의 커버부(72)와, 커버부(72)의 전단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둔 둘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져 전방으로 연장 돌출한 커버레그(74)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버부재(76)는, 실린더(82) 방향으로 약액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후방연장관(58b)을 통해 유입되는 약액의 유동압에 의해 필터(70) 내의 후단으로 이동하고, 이때, 커버부재(76)는 커버부(72)의 전단부가 후방연장관(58b)의 후단부 측부 위치까지 후퇴하며 후방연장관(58b)의 개구를 통해 유입되는 약액은 커버레그(74)들 사이를 통해 실린더(82)로 유동하게 한다.
반면, 약액의 투여과정에서 커버부재(76)는 실린더(82)의 네크부(82a)를 통한 약액의 유동압을 받아 전진하고, 커버부(72)는 커버레그(74)가 후방연장관(58b)의 안내를 받음에 따라 대응하는 후방연장관(58b)의 측부 외측을 덮음으로써, 실린더(82)의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약액의 유동압이 관통홀(56)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약액의 유동압을 받아 전진하는 커버부재(76)의 커버레그(74) 전단이 상술한 가이드단턱(G)의 후단에 밀착됨으로써, 가이드단턱(G)이 전진하는 커버부재(76)의 스토퍼 역할을 하여 약액의 유동압에 따른 커버부재(76)의 형상 변형을 방지한다.
이하,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조립체에 대하여 그 설치관계와 그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필터유닛(80)은 지그에 고정한 상태로 니들홀더(50)의 후방 개구를 통해 그 내부의 전방으로 이미 설정한 이상의 압력으로 밀어 넣는 것으로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때, 필터유닛(80)을 구성하는 지지부재(60)의 밀착부(54)는, 그 측면 부위가 이미 설정한 니들홀더(50)의 경사진 내면에 밀착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한 경우에 상술한 제1걸림돌기(52a) 또는 단턱을 형성하지 않고 억지끼움으로 끼우는 형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1걸림돌기(52a) 또는 단턱은 지지부재(60)의 설치 위치, 즉, 밸브멤버(68)의 스커트부(62)가 전방으로 휘어질 수 있는 작동공간을 확보하는 수준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걸림돌기(52a) 또는 단턱의 형성 여부와 관계없이 밀착부(54)의 후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2걸림돌기(52b)를 더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제2걸림돌기(52b)는 제1걸림돌기(52a) 또는 단턱 또는 니들홀더(50)의 내면에 대하여 밀착부(54)의 전방 가장자리 부위가 압착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후퇴 가능성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니들홀더(50)에 대한 필터유닛(80)의 설치가 이루어지면, 니들홀더(50)의 후방 개구를 통해 실린더(82)의 네크부(82a) 또는 링거조립체의 링거연결관(94)을 끼우는 것으로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조립 상태에서 필터유닛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주사기를 그 일 예로 하여 살펴보면, 개방한 앰플(미도시)에 통상의 방법으로 주사바늘(N)을 꽂은 후, 피스톤(84)을 후퇴시키는 것으로 앰플 내의 약액을 실린더(82) 내부로 흡입시킨다.
이때, 주사바늘(N)을 통해 혼입되는 약액과 이물질은, 도 6a와 도 6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밸브멤버(68)의 스커트부(62)에 의해 관통홀(56)이 차단된 상태에 의해 연장부(64)의 중앙 부위로 집중된다.
이에 따른 압력의 영향으로 밸브멤버(68)의 연장부(64) 전단에 형성한 절개선(66)은 벌어지며 혼입된 약액과 이물질을 통과시킨다.
이러한 혼입된 약액과 이물질의 흐름은 커버부재(76)를 후방으로 밀어내고, 커버부재(76)의 커버레그(74) 사이를 통해 필터(7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이물질은 필터(70)에 의해 필터링되어 그 내측에 포집되고, 통과한 약액은 실린더(82) 내부로부터 계속적으로 작용하는 음압에 유도되어 실린더(82)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갖는다.
위 과정의 진행으로 실린더(82) 내부에 약액의 충진이 완료한 상태, 즉, 피스톤(84)의 후퇴가 멈춤에 따른 음압 작용이 종료되면, 상술한 밸브멤버(68)의 연장부(64) 전단은 자연적으로 절개선(66)이 닫힌 상태로 형상 복원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술한 니들홀더(50)의 내부는 약액으로 충진된 상태에 있고, 필터(70)에 의해 필터링된 이물질들은 후방연장관(58b)의 측부와 필터(70) 내측 사이에 고립된 상태로 존재하고, 실린더(82) 내에 수용된 약액은 이물질이 필터링된 순수 약액으로 존재한다.
이후, 실린더(82)에 대한 피스톤(84)의 전진에 따른 약액의 투여과정에서는, 도 6a와 도 6c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실린더(82)의 네크부(82a)에 대향하는 커버부재(76)가 실린더(82) 내의 양압에 따른 약액의 유동압에 영향을 받아 전진하고, 이때, 커버부재(76)의 커버부(72)는 대응하는 후방연장관(58b)의 후단 부위를 덮어 약액의 유동압이 연장부(64)의 전단에 미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실린더(82) 내부로부터 시작된 양압은, 필터(70)의 후단부가 위치한 폭이 좁은 중앙부위에서 커버부재(76)의 영향을 받아 가장자리 측으로 빗겨나고, 이에 더하여, 가장자리 부위를 통과하는 약액의 흐름은 니들홀더(50)의 내면이 이루는 경사의 영향을 받아 관통홀(56) 방향으로 집중되어 진다.
계속해서 관통홀(56)을 통과하는 약액의 유동압은 관통홀(56)의 전방 주연을 덮는 스커트부(62)를 전방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통과하여 주사바늘(N)을 통해 인체에 투여되는 과정을 갖는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약액의 투여과정에서 커버부재(76)는 밸브멤버(68)의 연장부(64) 전단에 대한 약액의 유동압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다.
이것은 니들홀더(50)의 내부 면적이 후방으로 확장되는 관계에 있어, 밸브멤버(68)의 연장부(64)가 끼움 결합된 전방연장관(58a)이 차지하는 중앙부위는 그 외측의 가장자리 부위에 비교하여 협소함에 따라, 약액의 배출에 따른 유동압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후방연장관(58b)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중앙부위는 약액의 유동압에 대하여 필터(70)에 의해 일차적으로 저지되고, 또 필터(70)의 내측면이 후방연장관(58b)의 후단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놓임에 따라 필터(70)가 갖는 형상 유지 능력이 더 부가되는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투여되는 약액은 앰플 등으로부터 약액과 함께 혼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으로 포집한 후 배출이 이루어짐으로 이물질 차단의 신뢰도가 향상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사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에 단관 형상의 실린더 네크부(82a)를 형성하고, 약액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 실린더(82)와, 실린더(82)의 후방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고, 그 이동에 따라 실린더(82) 내부에 대한 약액의 유동압을 제공하는 피스톤(84) 및 앞서 살펴본 니들홀더(50)와 필터유닛(8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를 포함하는 링거 조립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거액을 수용하는 링거본체(90)와, 링거본체(90) 내의 링거액 유동통로를 이루는 링거파이프(92)와, 링거파이프(92)에 결합되어 링거액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링거연결관(94)과, 앞서 살펴본 니들홀더(50)와 필터유닛(8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결국, 본 발명에 따라 주사기 또는 링거 조립체에 적용되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는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로 혼입되는 약액과 이물질은 밸브멤버의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형성한 절개선을 통해 반드시 필터를 거치게 됨과 동시에 필터에 의한 이물질의 분리 포집이 이루어짐으로써, 약액을 인체에 투여하는 과정에서는 포집한 이물질이 약액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음은 물론 포집 상태로 격리됨에 따라, 인체에 대한 이물질의 주입 방지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경질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통해 필터유닛의 조립과 니들홀더의 내벽에 설치가 용이함과 더불어, 니들홀더의 내벽에 대응하는 지지부재가 설치 압력 대비 구조적으로 형상 변형이 없는 정도의 내구성을 갖추고 있음에 따라, 설치의 안정성 및 그에 따른 이물질의 필터링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로 약액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혼입되는 약액과 이물질 흐름의 저항을 줄이면서 필터에 집중되게 하고, 약액을 투여하는 과정에서도 약액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줄여 무리한 힘의 부가 없이 주사기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함과 함께, 그에 따른 시간 증가가 방지되는 것이다.
10: 필터구조체 12: 가림막
14: 원통본체 16: 기둥부
18, 66: 절개선 20, 38, 70: 필터
22, 40, 50: 니들홀더 24: 테두리막
32: 슬릿 34: 흡입파트
36: 배출파트 42: 지지대
52a, 52b: 제1, 2걸림돌기 54: 밀착부
56: 관통홀 58a, 58b: 전·후방연장관
60: 지지부재 62: 스커트부
64: 연장부 66: 절개선
68: 밸브멤버 72: 커버부
74: 커버레그 76: 커버부재
80: 필터유닛 82: 실린더
82a: 실린더 네크부 84: 피스톤
90: 링거본체 92: 링거파이프
94: 링거연결관 G : 가이드단턱

Claims (8)

  1. 전단부에 주사바늘(N)을 고정하고 후단부에 실린더(82)의 네크부(82a)가 끼워지는 니들홀더(50)와, 상기 니들홀더(50)와 네크부(82a)의 전단부 사이에 개재한 필터유닛(80)으로 이루어진 주사기용 필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80)은,
    관 형상으로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을 형성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 측면이 대응하는 상기 니들홀더(50)의 내면 둘레를 따라 밀착하며 중공과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56)을 형성한 밀착부(54)와, 상기 밀착부(54) 내측 중공 주연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 형성한 전·후방연장관(58a,58b)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60);
    반구 형상으로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방연장관(58a)을 덮도록 후방 개구가 끼워지며 전단부의 중앙에 절개선(66)을 형성한 연장부(64)와, 상기 연장부(64)의 후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56)을 덮는 형상을 이루는 스커트부(62)로 이루어진 밸브멤버(68); 및
    주머니 형상으로 전방 개구가 상기 후방연장관(58b)의 측벽을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필터(70);를 포함하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홀더(50)의 내벽에는 이미 설정한 위치의 상기 밀착부(54)의 전면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제1걸림돌기(52a)와, 이미 설정한 위치의 상기 밀착부(54)의 후면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제2걸림돌기(52b) 중 적어도 제1걸림돌기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커트부(62)는 설치 상태에서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1걸림돌기(52a)가 이루는 내경 미만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홀(56)의 외곽라인 외측에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홀더(50)는 내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경사각을 이루고,
    상기 밀착부(54)는 외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각으로 대응하는 상기 니들홀더(50)의 내면에 밀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62)는 두께가 상기 밸브멤버(68)의 후방 개구에서 외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60)는, 상기 후방연장관(58b)의 전단부에서 상기 밀착부(54)의 관통홀(56) 내측 후면과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가이드단턱(G)을 구비하여 상기 필터(7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후단부가 상기 후방연장관(58b)의 후단부 외측을 덮는 돔 형상의 커버부(72)를 이루고, 상기 커버부(52)의 전단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둔 둘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져 전방으로 연장 돌출한 커버레그(74)를 갖는 커버부재(76)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재(76)는 흡입과정에서 상기 후방연장관(58b)을 통해 실린더(82) 방향으로 흡입되는 약액의 유동압에 의해 상기 필터(70)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버레그(74)들 사이를 통해 약액의 유동을 유도하고, 투여과정에서 상기 주사바늘(N) 방향으로 약액의 흐름에 대응해 전진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후방연장관(58b)의 후단부를 덮어 약액의 흐름을 상기 관통홀(56) 방향으로 유도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7. 전단에 단관 형상의 실린더 네크부(82a)를 형성하고, 약액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 실린더(82);
    상기 실린더(82)의 후방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고, 그 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82) 내부로 약액의 유동압을 제공하는 피스톤(84);
    상기 제 1항의 니들홀더(50); 및
    상기 제 1항의 필터유닛(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사기.
  8. 링거액을 수용하는 링거본체(90);
    상기 링거본체(90) 내의 링거액 유동통로를 이루는 링거파이프(92);
    상기 링거파이프(92)에 결합되어 링거액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링거연결관(94);
    상기 제 1항의 니들홀더(50); 및
    상기 제 1항의 필터유닛(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링거 조립체.
KR1020160143255A 2016-10-31 2016-10-31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KR10205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55A KR102053405B1 (ko) 2016-10-31 2016-10-31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55A KR102053405B1 (ko) 2016-10-31 2016-10-31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97A true KR20180047297A (ko) 2018-05-10
KR102053405B1 KR102053405B1 (ko) 2020-01-08

Family

ID=6218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255A KR102053405B1 (ko) 2016-10-31 2016-10-31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3225A (zh) * 2019-03-22 2021-12-28 金镐任 配备过滤器的注射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2249A (en) 1980-08-01 1982-06-01 Sherwood Medical Industries, Inc. Filter and valve assembly for hypodermic syringe
KR101222881B1 (ko) * 2011-07-11 2013-01-17 김근배 필터 니들
KR101245378B1 (ko) 2011-10-31 2013-03-25 김근배 필터 니들
KR20150081227A (ko) * 2014-01-03 2015-07-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필터 니들
KR20150114925A (ko) * 2015-09-16 2015-10-13 장수현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주사기
KR101618028B1 (ko) * 2015-11-30 2016-05-18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2249A (en) 1980-08-01 1982-06-01 Sherwood Medical Industries, Inc. Filter and valve assembly for hypodermic syringe
KR101222881B1 (ko) * 2011-07-11 2013-01-17 김근배 필터 니들
KR101245378B1 (ko) 2011-10-31 2013-03-25 김근배 필터 니들
KR20150081227A (ko) * 2014-01-03 2015-07-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필터 니들
KR20150114925A (ko) * 2015-09-16 2015-10-13 장수현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주사기
KR101618028B1 (ko) * 2015-11-30 2016-05-18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3225A (zh) * 2019-03-22 2021-12-28 金镐任 配备过滤器的注射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405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028B1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KR101572663B1 (ko)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JP6150139B2 (ja) ニードルレスコネクター
JP4866356B2 (ja) 雄型コネクタ弁を有する針なし採血装置
ES2381463T3 (es) Conector tipo luer macho autosellante con tapón de válvula desviado
KR102114848B1 (ko) 개량된 폐쇄 약물 전달 시스템
TWI551312B (zh) 具有可關閉魯爾連接器之醫療連接器
JP2011025066A (ja) 自動密閉式雄コネクタ
CN110384842B (zh) 过滤器注射器
KR101532413B1 (ko)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ES2275968T3 (es) Disposicion de inyeccion.
KR101596941B1 (ko)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KR101466764B1 (ko)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KR101699666B1 (ko) 약액 주사용 기기의 외캡
KR20180047297A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KR20160078299A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KR101830639B1 (ko) 주사기
RU2698067C1 (ru) Шприц
CN100382856C (zh) 安全针筒
KR101504484B1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JP2004517692A (ja) 注入バッグ及び注入システム
KR101419838B1 (ko) 주사기용 바늘 캡핑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KR100601315B1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101742803B1 (ko) 안전 필터 주사기
KR102616872B1 (ko) 필터 조립체를 구비한 안전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