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106A -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106A
KR20180047106A KR1020160142833A KR20160142833A KR20180047106A KR 20180047106 A KR20180047106 A KR 20180047106A KR 1020160142833 A KR1020160142833 A KR 1020160142833A KR 20160142833 A KR20160142833 A KR 20160142833A KR 20180047106 A KR20180047106 A KR 20180047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trand
inclined surface
coupler
strand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114B1 (ko
Inventor
하재식
Original Assignee
하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식 filed Critical 하재식
Priority to KR102016014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11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연선을 커플러에 원터치에 결합되게 하고, 강연선이 충분히 인장되어 텐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기술이다.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는 양단이 개방되어 강연선이 삽입되며, 입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한 쌍으로 상호 결합 가능한 바디; 상기 바디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을 고정할 수 있는 쐐기; 상기 쐐기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쐐기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쐐기를 상기 경사면측으로 탄성 가압하여 상기 강연선의 삽입에 의해 상기 간격유지구가 상기 쐐기 이탈 시 상기 강연선을 압착되게 하는 스프링;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을 받쳐 탄성력을 제공하며, 중앙부에 홀이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강연선이 통과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는 스냅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Coupler for prestressing strand}
본 발명은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강연선을 커플러에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고, 강연선이 충분히 인장되어 텐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포스트 텐션 공법은 슬래브나 보가 형성될 부분에 철근 배근 작업과 같이 강연선(鋼撚線)을 설치한 후,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매립된 강연선의 인장작업을 실시한 다음 마무리 작업을 하는 방법으로 공사를 진행한다.
이러한 공정의 진행시 단일 강연선을 사용하는 비부착 포스트 텐션공법에서 강연선을 서로 이음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강연선 연결 커플러를 이용하여 강연선을 연결한다.
도 1은 종래의 강연선 연결 커플러를 도시한 것으로, 강연선(S1)(S2) 끝단부 쪽에 쐐기(2)를 조립하고 정착구(14)를 쐐기(2)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쐐기(2)의 외측면에 정착구(14)의 정착면(10)이 면접촉 될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연결구(16)의 양쪽 제1,2암나사부(18a)(18b)에 각각의 정착구(14) 숫나사부(12) 시작부분을 나사 체결한 다음, 연결구(1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각의 정착구(14)에 형성된 숫나사부(12)가 연결구(16)의 제1,2암나사부(18a)(18b)를 따라서 이동하여 정착구(14)들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연결구(16) 양쪽으로 정착구(14)가 조립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강연선에 쐐기를 조립하고, 조립된 쐐기를 정착구에 결합시키고, 정착구를 연결구에 체결해야 하므로 현장에서 일일이 부품을 조립해야 하므로 그 공정이 까다롭고 한번에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9-0129218 A KR 20-0286138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강연선을 커플러에 원터치에 결합되게 하고, 강연선이 충분히 인장되어 텐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이 개방되어 강연선이 삽입되며, 입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한 쌍으로 상호 결합 가능한 바디; 상기 바디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을 고정할 수 있는 쐐기; 상기 쐐기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쐐기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쐐기를 상기 경사면측으로 탄성 가압하여 상기 강연선의 삽입에 의해 상기 간격유지구가 상기 쐐기 이탈 시 상기 강연선을 압착되게 하는 스프링;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을 받쳐 탄성력을 제공하며, 중앙부에 홀이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강연선이 통과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는 스냅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쐐기는 입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축소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쐐기의 경사면 기울기 각도는 상기 바디의 경사면 기울기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쐐기의 각도가 가변되어 삽입된 상기 강연선의 초기슬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유지구는, 상기 쐐기 내부에 구비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 외주를 따라 상향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외측으로 상기 쐐기 내측을 받치는 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쐐기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쐐기 이탈을 방지하는 오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 중 하나에는, 상기 스프링과 상기 스냅링 사이에 삽입된 상기 강연선의 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스냅링 통과가 방지되는 구획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강연선을 이음하기 위한 커플러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공되어 간단히 강연선을 삽입하여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다. 그래서 현장에서 커플러에 강연선을 결합하므면 되므로 작업공정 시간이 단축해지고 간단해진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강연선 연결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의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의 다른 실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바디(100), 쐐기(200), 간격유지구(300), 스프링(400) 및 스냅링(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00)는 커플러의 외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내부에 쐐기(200), 간격유지구(300), 스프링(400) 및 스냅링(500)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0)는 양단이 개방되어 강연선이 삽입되며, 입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입구측은 강연선이 삽입되는 부분이고, 반대편은 출구측이 되게 된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쐐기(200)가 위치하고 내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100)에는 출구측에 상기 스냅링(500)이 장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는 한 쌍으로 하여 상호 결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바디(100)를 한 쌍으로 실시하여 암,수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쐐기(200)는 강연선을 물림할 수 있는 부품이다.
상기 쐐기(200)는 상기 바디(100)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내부로 통과된 상기 강연선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쐐기(200)는 2개 또는 3개로 분할된 형태로 하는 것이 부품 수를 적게하면서도 물림을 할 수 있는 정도가 바람직하며, 내측에는 치가 형성되어 강연선이 외주면을 물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쐐기(200)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쐐기 이탈을 방지하는 오링이 더 구비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쐐기(200)의 외주에는 오링 삽입홈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구(300)는 상기 쐐기(2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구(300)는 상기 쐐기(2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쐐기(200)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유지구(300)가 있음으로 해서 상기 쐐기(200)는 내경을 유지하게 된다.
상세하게 상기 간격유지구(300)는 상기 쐐기 내부에 구비되는 원판(320)과, 상기 원판(320) 외주를 따라 상향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외측으로 상기 쐐기(200) 내측을 받치는 관(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340)의 돌출된 길이만큼 상기 쐐기(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쐐기(200)를 가압할 수 있는 부품이다.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쐐기(200)를 상기 경사면측으로 탄성 가압하게 한다. 그래서 상기 강연선의 삽입에 의해 상기 간격유지구(300)가 상기 쐐기(200)에서 이탈되게 되면,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쐐기(200)를 경사면 측으로 강하게 밀어 상기 쐐기(200)는 상기 강연선을 압착되게 할 수 있다.
즉, 강연선을 커플러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체결이 되게 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이다.
상기 스냅링(500)은 상기 스프링(400)을 지지하고 강연선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이다.
상기 스냅링(500)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을 받쳐 탄성력을 제공하게 한다. 그리고 스냅링(500) 형상에 의해 중앙부에 홀이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강연선이 통과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외부로 노출되는 강연선은 인장기에 의해 인장시킬 수 있어 강연선 자체에 강한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쐐기(200)는 입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축소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쐐기(200)의 경사면 기울기 각도는 상기 바디(100)의 경사면 기울기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쐐기의 각도가 가변되어 삽입된 상기 강연선의 초기슬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연선은 여러 가닥의 강철선을 꼬아서 만들 줄로 인장하중에 대한 성능이 탁월하여 교략 및 교각 사이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강연선은 여러 강철선이 꼬아져 있으므로 상기 쐐기(200)와의 슬립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쐐기(200)가 바디(100)의 경사면에 의해 기울기를 형성하므로 특히 쐐기(200)의 입구부분에서 강하게 물림할 수 있어 초기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디(100) 중 하나에는, 상기 스프링(400)과 상기 스냅링(500) 사이에 삽입된 상기 강연선의 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스냅링(500) 통과가 방지되는 구획판(6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좌측 바디(100) 부분에 상기 구획판(600)이 형성됨으로써, 한 방향의 강연선은 스냅링(500)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양 방향에서 강연선이 통과되게 되면 강연선의 삽입이 많이 되는 경우 상호 강연선의 간섭에 의해 바디(100)가 상호 체결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의 실시 예시도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는 강연선 사이마다 다수로 연결되는 경우 한방향으로 인장하여 체결하도록 하면 충분한 텐션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우측종단연결커플러(C)에 강연선(S1)을 삽입하여 체결하고, 중간연결커플러(A) 좌측의 바디(100)에 강연선(S1)을 삽입한 후 스냅링(500)을 통과한 강연선(S1)을 인장하고 좌측의 바디(100)의 단부에 맞쳐 절단한다.
그리고, 중간연결커플러(A) 우측의 바디(100)를 좌측의 바디(100)와 결합하고 중간연결커플러(A)의 좌측 바디(100)에 강연선(S2)을 삽입하여 구획판(600) 까지 삽입하여 체결한 후 좌측종단연결커플러(C)와 연결하여 인장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한방향으로 강연선을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구획판(600)에 의해 강연선 끼리의 상호 간섭을 배제하여 커플러를 체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의 다른 실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바디(100)에 내부에 경사면이 있는 복수 개의 홀(120)을 형성하여 강연선을 복수 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b)를 참조하면, 바디(100)에 각 홀(120)마다 쐐기(200), 간격유지구(300), 스프링(400) 및 스냅링(500)이 설치되어 복수 개의 강연선을 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바디 200: 쐐기
300: 간격유지구 400: 스프링
500: 스냅링 600: 구획판

Claims (5)

  1. 양단이 개방되어 강연선이 삽입되며, 입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한 쌍으로 상호 결합 가능한 바디(100);
    상기 바디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을 고정할 수 있는 쐐기(200);
    상기 쐐기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쐐기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300);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쐐기를 상기 경사면측으로 탄성 가압하여 상기 강연선의 삽입에 의해 상기 간격유지구가 상기 쐐기 이탈 시 상기 강연선을 압착되게 하는 스프링(400);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을 받쳐 탄성력을 제공하며, 중앙부에 홀이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강연선이 통과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는 스냅링(50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200)는 입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축소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쐐기의 경사면 기울기 각도는 상기 바디의 경사면 기울기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쐐기의 각도가 가변되어 삽입된 상기 강연선의 초기슬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300)는,
    상기 쐐기 내부에 구비되는 원판(320)과, 상기 원판 외주를 따라 상향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외측으로 상기 쐐기 내측을 받치는 관(3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200)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쐐기 이탈을 방지하는 오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 중 하나에는,
    상기 스프링과 상기 스냅링 사이에 삽입된 상기 강연선의 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스냅링 통과가 방지되는 구획판(6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KR1020160142833A 2016-10-31 2016-10-31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KR101873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833A KR101873114B1 (ko) 2016-10-31 2016-10-31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833A KR101873114B1 (ko) 2016-10-31 2016-10-31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06A true KR20180047106A (ko) 2018-05-10
KR101873114B1 KR101873114B1 (ko) 2018-06-29

Family

ID=6218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833A KR101873114B1 (ko) 2016-10-31 2016-10-31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133A1 (ko) * 2019-05-13 2020-11-19 임민섭 철근 커플러 및 그 제조방법
KR102328136B1 (ko) * 2019-05-13 2021-11-17 임민섭 철근 커플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913B1 (ko) * 2006-07-12 2007-03-12 (주) 이삼이엔지 강선 정착장치
KR101161357B1 (ko) * 2011-03-05 2012-07-02 미래테크(주) 철근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114B1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60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делки кабел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онцовки и присоединения кабеля
KR101683146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RU2595645C2 (ru)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кабельного зажима с разгрузкой натяжения кабеля и способов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аковых
KR100692913B1 (ko) 강선 정착장치
KR101873114B1 (ko)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KR20110008514A (ko) 강연선 이음장치
US10955637B2 (en) Cable-retention device
KR20190033369A (ko) 강연선 커플러
KR100985146B1 (ko) Fc타입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US5862291A (en) Cable routing device
KR100956799B1 (ko) 쐐기형 강선 클램프
WO2010052677A1 (en) Optical fiber fixing device, optical fiber fixing device assembly and method for fixing optical fiber
KR100892657B1 (ko) 인장재의 정착구
RU143329U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KR200393276Y1 (ko)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KR101042945B1 (ko) 2단 일체형 양방향 강선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연결구조
KR101717273B1 (ko) 케이블 고정장치
KR101736498B1 (ko) 해저케이블 접속장치
JP2014146030A (ja) ガイドサポート、及び伝送ケーブル終端接続用キット
KR20180113816A (ko)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US20090208173A1 (en) Fiber cable terminator
RU2315409C1 (ru) Натяжной зажим
KR20110055164A (ko) 와이어 연결 어셈블리
KR100448314B1 (ko) 케이블 결속용 케이블 클램프
KR20080105216A (ko) 광커넥터용 광케이블 고정클립 및 이를 위한 개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