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795A -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795A
KR20180046795A KR1020160142406A KR20160142406A KR20180046795A KR 20180046795 A KR20180046795 A KR 20180046795A KR 1020160142406 A KR1020160142406 A KR 1020160142406A KR 20160142406 A KR20160142406 A KR 20160142406A KR 20180046795 A KR20180046795 A KR 20180046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dtmf
message
sdp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수
우상우
전준용
이은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14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6795A/ko
Publication of KR2018004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호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착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여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 중 각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DTMF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MF 검출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TMF DURING CALL}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 중 각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 호 처리 방식은 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e)과 유저 플레인(user plane)으로 구분되어 있다. 컨트롤 플레인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시그널링 기반으로서 호 연결, 호 해제 및 호 전환 등 호 세션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이고, 유저 플레인은 컨트롤 플레인을 통해 성립된 호 세션으로 실제 가입자간 음성 및 영상의 미디어 패킷의 흐름이다.
현재 상용화된 서비스에서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 중 DTMF를 수집하기 위해 MRF(media resource function)를 통한 호 세션 제어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MRF는 다자통화를 위해 미디어 믹싱, 안내방송 송출, 미디어 트랜스 코딩, DTMF 수집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 중에는 MRF가 전혀 관여하지도 않고 통화 중의 미디어 패킷도 MRF를 경유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통신망에서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의 통화 중에 음성 데이터의 흐름과 DTMF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와 DTMF 모두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에 연결된 게이트웨이(11, 21)를 통해 각 상대방 단말로 전달될 뿐, 통신망 시스템(예를 들어, IMS 망)(30)을 경유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통신망 시스템(30)에 포함된 호 처리 장치(31)나 어플리케이션 서버(33) 및 MRF(35)는 DTMF를 전혀 수집할 수가 없다.
현재 통신망 구조에서 1:1 통화 중에 DTMF를 수집하고자 하는 경우, DTMF가 MRF를 경유하도록 사용자가 직접 조작해야 한다. 예를 들어, A와 B간의 통화 중 A가 단말에서 제공하는 UI 버튼을 통해 B와의 호를 홀딩(holding)시키면, B는 MRF와 연동하여 MRF가 제공하는 음원을 듣고 있고, 그 동안 A는 DTMF를 입력하여 MRF가 해당 DTMF를 수집하게 하고, 수집이 종료되면 다시 A와 B의 호가 재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통화 중 DTMF를 입력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이 될 수 있으므로, 보다 간편하게 DTMF를 수집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DTMF를 검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DTMF를 검출하는 DTMF 수집 서버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DTMF의 검출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화 중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시스템에 의한 DTMF 검출 방법은,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호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중 각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DTMF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의 SDP 메시지 및 상기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는 단계는, 각 단말에 의해 입력된 DTMF가 상기 통신망 시스템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호의 SDP 메시지와 상기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단말의 음성 데이터는, 상기 통신망 시스템을 경유하지 않고 상대방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DTMF 검출 방법은, 상기 DTMF를 수신하기 위한 DTMF 수집 서버로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의 SDP 메시지 및 상기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는 단계는, 각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DTMF의 수신 주소를 상기 DTMF 수집 서버의 주소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호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DTMF 수집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호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시스템은,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를 수신하는 호 처리 장치; 상기 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호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여 상기 호 처리 장치를 통해 착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 단말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여 상기 호 처리 장치를 통해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 중 각 단말에 의해 입력된 DTMF를 수신하는 DTMF 수집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시스템에 의한 DTMF 검출 방법은,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를 수신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중 각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DTMF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의 SDP 메시지 및 상기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변경되어 상대방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일부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i)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DTMF를 검출할 수 있다.
ii) DTMF를 검출하는 DTMF 수집 서버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iii) DTMF의 검출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화 중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통신망에서의 통화 중 음성 데이터와 DTMF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MF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타사 망 가입 단말을 착신 단말로 하는 자사 망 가입 단말의 발신 호에 대한 통신망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자사 망 가입 단말을 착신 단말로 하는 타사 망 가입 단말의 발신 호에 대한 통신망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변경되기 전의 SDP 메시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변경된 후의 SDP 메시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유닛)', '모듈' 등으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MF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각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망 시스템은 예를 들어, IMS 망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S210 단계에서, 통신망 시스템은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를 수신한다. 발신 단말이 타사 망의 가입자인 경우, 통신망 시스템은 타사 망 시스템을 경유하여 발신 호를 수신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통신망 시스템은 수신된 호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한다. 착신 단말이 타사 망의 가입자인 경우, 통신망 시스템은 타사 망 시스템을 경유하여 호를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DP 메시지는 코덱 협상 등과 같은 캐퍼빌리티 교환(Capability Exchange)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로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은 SDP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코덱, 데이터를 전송할 상대방 단말의 주소 정보 등을 협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시스템은 발신 단말이나 착신 단말에서 입력되는 DTMF를 수집하기 위해 발신 호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는데, 구체적으로, 발신 호의 SDP 메시지를 수신하는 착신 단말이 DTMF를 입력하는 경우, 착신 단말로 하여금 해당 DTMF를 통신망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한다.
S230 단계에서, 통신망 시스템은 SDP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단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S240 단계에서 통신망 시스템은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여 발신 단말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수신하는 발신 단말이 DTMF를 입력하는 경우, 발신 단말로 하여금 해당 DTMF를 통신망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한다.
S250 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이 발신 호에 응답함으로써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통화가 연결된 이후, 통신망 시스템은 각 단말에서 입력되는 DTMF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네이티브 다이얼러(native dialer)의 특정 키(예를 들어, 숫자키 또는 기능키)가 선택된 경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각각은 수신된 SDP 메시지에 기초하여 특정 키에 대응하는 DTMF를 통신망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망 시스템은 호의 SDP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함으로써, 각 단말이 DTMF는 통신망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하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통신망 시스템을 경유하지 않고 상대방 단말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즉,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이 통화 중일 때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가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는 것이 아니라, DTMF에 한해 통신 시스템으로 전송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DTMF를 수집하는 통신망 시스템의 부하가 경감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시스템(3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시스템(300)은 호 처리 장치(310), 어플리케이션 서버(330) 및 DTMF 수집 서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호 처리 장치(310)는 자사 망을 통해 유입되거나 타사 망을 통해 유입되는 호를 처리하여 착신 측으로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는 호 처리 장치(310)로부터 전달받은 호에 부가 서비스를 적용한다. 호 처리 장치(310)는 유입되는 호의 부가 서비스 적용을 위해 호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로 트리거(trigger)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는 호에 부가 서비스를 적용한 후 호 처리 장치(310)로 호를 되돌릴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는, 예를 들어, 발신자 번호 표시, 착신 전환, 통화 중 대기 등과 같이, 일반 음성 전화에 적용되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DTMF 수집 서버(350)는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이 통화 중에 각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DTMF를 수집한다. DTMF 수집 서버(350)는 각 단말로부터 DTMF가 수신되면, 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로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330)에 의해 DTMF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각 단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300)는 1:1 통화 중 제3자를 호출하여 3자 통화 서비스 혹은 그 이상의 그룹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현재 진행 중인 호에 아무런 영향 없이 DTMF를 수집하여 끊김없이(seamless) 제3자를 호출할 수 있다. 또는, 통화 중 대기 서비스와 반대 개념인 통화 중 발신 서비스의 제공도 가능하다. 현재 진행 중인 1:1 호와 별개로 DTMF에 따라 제3자로 호 발신을 시도하고 통화 중 대기와 같이 발신자가 두 상대를 전환해 가며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1:1 통화 중 상대에게 연락처 등의 정보를 전송하고자 할 때 음성으로 불러주는 것 대신 통화 중인 호를 끊지 않고도 네이티브 다이얼러로 직접 선택한 정보를 상대방 전화로 SMS 등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DTMF 정보를 전화번호 정보뿐 아니라 IoT기기의 제어 신호(control signal)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화 기능이 내장된 홈 캠과 영상통화 중 네이티브 다이얼러를 눌러 캠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 각각은 스마트폰, PDA, 테블릿 PC, 스마트워치 등의 모바일 단말로서, 게이트웨이(11, 21)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여기서 게이트웨이(11, 21)는 예를 들어, 코어망의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각 단말의 음성 데이터의 흐름과 DTMF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1과 도 3을 비교하면, 각 단말의 음성 데이터는 통신망 시스템(300)을 경유하지 않고 상대방 단말로 전달되되, DTMF는 각 단말에서 통신망 시스템(300)(특히, DTMF 수집 서버(350))으로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시스템(300)의 각 구성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타사 망 가입 단말을 착신 단말(20)로 하는 자사 망 가입 단말의 발신 호에 대한 통신망 시스템(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호 처리 장치(310)는 발신 단말(10)로부터 발신된 호를 수신한다(S405). 수신된 호에는 SDP A로 참조되어 있는 SDP 메시지가 포함된다.
호 처리 장치(310)는 발신 호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로 전송한다(S410). 호 처리 장치(310)는 발신 호를 전송한 발신 단말(10)이 DTMF 수집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가입이 확인된 경우에 발신 호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로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는 발신 단말(10)이 DTMF 수집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DTMF 수집 서버(350)로 자원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415, S420).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는 호에 포함된 SDP A를 SDP A'로 수정하여 호 처리 장치(310)로 전송하고(S425), 호 처리 장치(310)는 SDP A'를 포함하는 호를 타사 착신망을 통해 착신 단말(20)로 전송한다(S430, S435).
호 처리 장치(310)는 착신 단말(20)의 응답 메시지를 타사 착신 망을 통해 수신한다(S440, S445). 응답 메시지에는 SDP B로 참조되어 있는 SDP 메시지가 포함된다.
호 처리 장치(310)는 응답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로 전송하고(S450), DTMF 수집 서버(350)로 DTMF의 수집 요청을 하고(S455), SDP B를 SDP B'로 변경하여 호 처리 장치(310)로 전송한다(S460). 호 처리 장치(310)는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발신 단말(10)로 전송하여(S465)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 사이에 통화를 연결한다.
통화 중에 발신자로부터 특정 키가 입력되면, 발신 단말(10)은 특정 키에 대응하는 DTMF를 DTMF 수집 서버(350)로 전송하고(S470), DTMF 수집 서버(350)는 수신된 DTMF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로 전송한다(S475). 또한, 통화 중에 착신자로부터 특정 키가 입력되면, 착신 단말(20)은 특정 키에 대응하는 DTMF를 DTMF 수집 서버(350)로 전송하고(S480), DTMF 수집 서버(350)는 수신된 DTMF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로 전송한다(S485).
발신 단말(10) 또는 착신 단말(20)로부터 전송된 DTMF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는 발신 단말(10)이나 착신 단말(20)이 입력한 DTMF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를 발신 단말(10)이나 착신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자사 망 가입 단말을 착신 단말(20)로 하는 타사 망 가입 단말의 발신 호에 대한 통신망 시스템(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호 처리 장치(310)는 발신 단말(10)로부터 발신된 호를 수신한다(S505, S510). 수신된 호에는 SDP A로 참조되어 있는 SDP 메시지가 포함된다. 발신 단말(10)은 타사 망 가입 단말이므로, 호 처리 장치(310)는 발신 단말(10)의 발신 호를 타사 발신망을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다.
호 처리 장치(310)는 발신 호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로 전송한다(S515). 호 처리 장치(310)는 발신 호의 착신 단말(20)이 DTMF 수집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가입이 확인된 경우에 발신 호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로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는 착신 단말(20)이 DTMF 수집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DTMF 수집 서버(350)로 자원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520, S525).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는 호에 포함된 SDP A를 SDP A'로 수정하여 호 처리 장치(310)로 전송하고(S530), 호 처리 장치(310)는 SDP A'를 포함하는 호를 착신 단말(20)로 전송한다(S535).
호 처리 장치(310)는 착신 단말(20)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540). 응답 메시지에는 SDP B로 참조되어 있는 SDP 메시지가 포함된다.
호 처리 장치(310)는 응답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로 전송하고(S545),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는 DTMF 수집 서버(350)로 DTMF의 수집 요청을 하고(S550), SDP B를 SDP B'로 변경하여 호 처리 장치(310)로 전송한다(S555). 호 처리 장치(310)는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타사 발신망을 통해 발신 단말(10)로 전송하여(S560, S565)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 사이에 통화를 연결한다.
통화 중에 발신자로부터 특정 키가 입력되면, 발신 단말(10)은 특정 키에 대응하는 DTMF를 DTMF 수집 서버(350)로 전송하고(S570), DTMF 수집 서버(350)는 수신된 DTMF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로 전송한다(S575). 또한, 통화 중에 착신자로부터 특정 키가 입력되면, 착신 단말(20)은 특정 키에 대응하는 DTMF를 DTMF 수집 서버(350)로 전송하고(S580), DTMF 수집 서버(350)는 수신된 DTMF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로 전송한다(S585).
발신 단말(10) 또는 착신 단말(20)로부터 전송된 DTMF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는 발신 단말(10)이나 착신 단말(20)이 입력한 DTMF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를 발신 단말(10)이나 착신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발신 단말(10) 또는 착신 단말(20)이 타사 망 가입자인 경우를 상정하고 있으나,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 모두 자사 망 가입자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DTMF 검출 방법이 자명하게 적용 가능하다. 즉,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이 모두 자사 망 가입자인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는 발신 단말(10)의 호에 포함된 SDP 메시지 및 착신 단말(20)의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SDP 메시지를 변경하여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 발신 단말(10)이나 착신 단말(20)에서 입력된 DTMF를 DTMF 수집 서버(350)가 수신하게 할 수 있다. 호 처리 장치(310)는 발신 단말(10)이 DTMF 수집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착신 단말(20)이 DTMF 수집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또는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 모두가 DTMF 수집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SDP 메시지의 변경을 위해 발신 호 및 응답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로 전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는 호의 SDP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함으로써 각 단말이 음성 데이터는 통신망 시스템(300)을 경유하지 않고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게 하고, DTMF는 통신망 시스템(300)으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도 6a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30)에 의해 변경되기 전의 SDP 메시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30)에 의해 변경된 후의 SDP 메시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에서 도면부호 a는 미디어(음성 데이터, DTMF 등)를 수신할 단말의 IP 주소를 나타내는데, 발신 호의 SDP 메시지에는 도면부호 a에 발신 단말(10)의 IP 주소가 포함되고,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에는 도면부호 a에 착신 단말(20)의 IP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b는 미디어를 수신할 단말의 포트 번호(도면상에서 49120)와 미디어의 포맷(도면상에서 97, 98, 100, 101, 99, 102)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c는 DTMF를 협상하기 위한 내용을 나타내는데, 도면부호 c의 미디어 포맷은 99와 102로서, 도면부호 b에서 미디어 포맷 99와 102는 모두 발신 단말(10)이나 착신 단말(20)의 포트 번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므로, 도 6a에 도시된 SDP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모든 미디어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즉, 어플리케이션 서버(330)에 의해 수정되기 전의 SDP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미디어를 전송하는데 있어 해당 미디어가 통신망 시스템(300)을 경유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30)에 의해 변경된 SDP 메시지를 나타내는 6b를 참조하면, DTMF를 협상하기 위한 미디어 포맷 99와 102가 도면부호 d에서 삭제되고, 별도로 도면부호 e에 기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변경된 SDP 메시지에서는 DTMF의 수신 주소로서 DTMF 수집 서버(350)(DTMF_GW)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가 기재됨으로써, 각 단말이 DTMF에 대해서는 DTMF 수집 서버(350)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30)가 발신 호의 SDP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모두 변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예에 따라서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30)는 발신 호의 SDP 메시지만을 변경하여 착신 단말(20)의 DTMF만을 수집할 수도 있고, 또는 착신 호의 SDP 메시지만을 변경하여 발신 단말(10)의 DTMF만을 수집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작성된 프로그램은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300: 통신망 시스템
310: 호 처리 장치
330: 어플리케이션 서버
350: DTMF 수집 서버

Claims (9)

  1.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호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중 각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DTMF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시스템에 의한 DTMF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의 SDP 메시지 및 상기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는 단계는,
    각 단말에 의해 입력된 DTMF가 상기 통신망 시스템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호의 SDP 메시지와 상기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 검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의 음성 데이터는, 상기 통신망 시스템을 경유하지 않고 상대방 단말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 검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TMF 검출 방법은,
    상기 DTMF를 수신하기 위한 DTMF 수집 서버로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 검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의 SDP 메시지 및 상기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는 단계는,
    각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DTMF의 수신 주소를 상기 DTMF 수집 서버의 주소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 검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호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DTMF 수집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호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 검출 방법.
  7.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DTMF 검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8.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를 수신하는 호 처리 장치;
    상기 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호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여 상기 호 처리 장치를 통해 착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 단말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를 변경하여 상기 호 처리 장치를 통해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 중 각 단말에 의해 입력된 DTMF를 수신하는 DTMF 수집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시스템.
  9.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를 수신하여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중 각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DTMF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의 SDP 메시지 및 상기 응답 메시지의 SDP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변경되어 상대방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시스템에 의한 DTMF 검출 방법.

KR1020160142406A 2016-10-28 2016-10-28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6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406A KR20180046795A (ko) 2016-10-28 2016-10-28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406A KR20180046795A (ko) 2016-10-28 2016-10-28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795A true KR20180046795A (ko) 2018-05-09

Family

ID=6220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406A KR20180046795A (ko) 2016-10-28 2016-10-28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67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867B1 (ko) 아이 피 기반의 화상/음성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전환/호 픽업 방법
CN103139529B (zh) Sip服务器、视频通话设备间的视频通话切换方法
JP4653173B2 (ja) マルチメディア通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7197111B (zh) 呼叫转接方法、系统及ippbx
EP3157221B1 (en) Communication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in circuit switch domain, and storage medium
CN115190468B (zh) 重拨方法及终端设备
US20080084991A1 (en) Automatic switch-dialing system and method
CN101247242B (zh) 一种通信方法、业务服务器及系统
US8320362B2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file transfers from voice endpoints
CN102647532A (zh) 智能待机网络电话
CN102355713B (zh) 语音通信中的呼叫方法及移动终端
CN102055961A (zh) 被叫方可视终端监控方法及视频监控系统
WO2010108425A1 (zh) 提供ip语音交换机业务的方法及装置
CN115361362A (zh) 基于ims的煤矿通话系统和方法
KR101815215B1 (ko)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1012286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gateway device based on sip phone
KR20180046795A (ko) 통화 중 dtmf의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1071853A (ja) Ip電話システム、通話内容記録装置および通話方法
CN101448223B (zh) 电路域接入ip多媒体子系统呼叫保持和呼叫恢复实现方法
CN107005554B (zh) 语音业务共享方法、设备及系统
US20110216737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implementing call handoff between networks
KR20030046762A (ko) 이동통신망에서 화상전화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방법
KR101012238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CN108881239B (zh) 软件电话及其漫游方法、软交换设备
US8630254B2 (en) Telephone line switching apparatus, telephone line switching system, telephone relay system, telephone relay method, telephone relay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