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232A - 오징어뼈 추출물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징어뼈 추출물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232A
KR20180046232A KR1020160141238A KR20160141238A KR20180046232A KR 20180046232 A KR20180046232 A KR 20180046232A KR 1020160141238 A KR1020160141238 A KR 1020160141238A KR 20160141238 A KR20160141238 A KR 20160141238A KR 20180046232 A KR20180046232 A KR 20180046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quid bone
oral
bon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희자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6232A/ko
Publication of KR2018004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2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징어뼈 추출물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오징어뼈 및 참소리쟁이를 포함하는 추출물은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므로 구강 세정용 조성물의 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징어뼈 추출물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ORAL CAVITY WASHING CONTAINING SQUID BONE EXTRACT AND RUMEX JAPONICUS EXTRACTS}
본 발명은 오징어뼈 추출물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질환은 우리나라 성인의 80%가 앓고 있으며, 60대 이상 노령 인구의 약 90%가 앓고 있는 만성질환으로, 사전에 예방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는 보조제품의 개발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구강질환 예방과 개선을 위한 구강보건용품 소재에서 천연 물질(natural material)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잇몸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고안된 구강용 조성물에는 염화나트륨,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 알루미늄, 아미노카프론산, 초산토코페롤 등 합성원료들이 그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자연 추출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구강에의 효과들이 알려지면서 많은 추출물들이 잇몸질환예방 및 구취 억제와 관련된 구강조성물에 응용되고 있다.
많은 식물 추출물들이 구강위생의 증진목적으로 배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대개의 경우 빈약한 항균 효과를 가지거나 단순히 소염, 수렴, 지혈, 혈액순환 촉진과 같은 추상적인 효능을 통하여 치주질환의 발생을 예방한다는 정도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감귤 또는 라임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한 저자극 구강 세정제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8669호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오징어뼈 추출물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오징어뼈 추출물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의 주요 성분 중의 하나인 오징어뼈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압을 강하시키는 타우린을 포함하고 있으며, 혈액 순환 촉진 및 지혈 효능이 있다. 또한, 오징어뼈 추출물은 궤양 및 화상 등의 피부 상처를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갑오징어(Sepia officinalis)의 뼈를 오적골 또는 해표초라고 부른다.
참소리쟁이(Rumex japonicus)는 마디풀과의 소리쟁이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피부질환과 견련성이 높은 간장 계통의 질환을 치료하는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로 종기나 부스럼을 치료하는 데 특효가 있다. 또한, 완선(tinea cruris), 백선(trichophytia), 무좀(tinea pedis)에 효능이 있으며, 지혈, 살충, 타박상 및 황달에도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오징어뼈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징어뼈 및 참소리쟁이를 건조 및 분쇄한 후,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증류수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용매의 적절한 양은 오징어뼈 및 참소리쟁이 건조 중량의 0.5 내지 10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배이다.
한편, 오징어뼈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은 상술한 용매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오징어뼈 추출물은 구강 세정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참소리쟁이 추출물은 구강 세정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구강 세정용 조성물은 동백꽃잎, 민들레, 양파, 쇠비름, 알로에, 개나리, 생강, 도라지, 녹차잎, 산초 및 가지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출물 제조 방법은 상기 오징어뼈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
동백(Camellia japonica L.)은 물레나무목 차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동백꽃을 건조시켜 약재로 이용한다. 동백꽃에는 올레익산(oleic acid), 두바키사포닌(tubakisaponin), 팔미틱산(plamitic acid)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피를 맑게 하고, 지혈과 이뇨 작용을 도와주며, 인후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어린잎은 식용으로,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으로 사용한다.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포공영이라고 하며, 해독, 이뇨에 효능이 있고, 달인 액은 폐렴쌍구균, 티푸스균 등에 항균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파(Allium cepa)는 백합과의 두해살이풀로 주로 비늘줄기를 식용으로 이용하는데 각종 비타민과 함께 칼슘, 인산 등의 무기질이 들어 있어 혈액 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양파의 퀘르세틴 성분은 피하 지방의 세포분화를 억제하고,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은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로, 오메가-3 지방산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습진, 종기 및 피부를 깨끗이 해주는 효능이 있다.
알로에(Aloe arborescens mill)는 세균과 곰팡이에 대한 살균력이 있고, 독소를 중화하는 알로에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알로에 잎의 액즙은 외상이나 화상의 치료에 이용하며, 알로에는 건성 피부와 지성 피부를 중화시키고 피부 보습 효과가 있기 때문에 화장품 원료로 많이 이용된다.
개나리(Forsythia Koreana)는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관목으로 한방에서는 개나리 종류의 열매를 말린 것을 연교라고 하여 약용으로 이용한다. 연교는 화농성 질환, 종기, 습진 등에 효능이 있으며, 개나리 열매 껍질에서 추출한 물질에는 항균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강(Zingiber officinale)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를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한다.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등을 치료하며, 약리작용으로 혈액순환촉진 및 항균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봄과 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날것으로 먹거나 나물로 먹는다. 도라지의 주요 성분은 사포닌으로 한방에서는 치열, 폐열, 편도염 및 설사에 이용한다. 또한,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능이 있어 여드름성 피부 질환에 유용하다.
녹차잎은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채취하여 가열 및 건조하여 찻잎으로 가공한 것으로, 이뇨작용, 해독작용, 소염작용 및 살균작용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는 쥐손이풀목 운향과의 낙엽관목으로, 열매는 익기 전에 따서 식용으로 이용하고, 다 익은 종자에서는 기름을 채취한다. 한방에서는 열매 껍질을 야초라는 약재로 이용하는데, 구토와 설사를 그치게 하고, 치통 및 지루성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지(Solanum melongena)는 가지과의 식물로 품종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열매를 생산하며, 가지에 있는 루페올이란 성분이 여드름 치료 및 피부 각질 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강 세정용 조성물은 상기 언급한 재료 이외에 능소화, 자귀나무잎, 진달래, 목련화, 부추, 머위, 상추, 무, 다시마, 멸치, 감자, 함초, 우슬, 마늘, 뽕나무잎, 미역, 양배추, 콩, 해동피, 치자, 마치현, 금은화, 감초, 상백피, 녹두, 홍삼 및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출물 제조 방법은 상기 오징어뼈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
능소화(Campsis grandiflora)는 능소화과의 낙엽성 덩국식물로, 8월 내지 9월 경에 꽃이 피고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여 5 내지 15개의 꽃이 달린다. 한방에서는 꽃을 약용으로 이용하여 어혈이 들었을 때 피에 있는 나쁜 성분을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하며, 피부가 가려울 때 사용하기도 한다.
자귀나무(Albizzia julibrissin Durazz.)는 장미목 콩과의 낙엽소교목으로, 불면증, 건망증 등에 효능이 있고, 혈액 순환 개선으로 국부의 동통, 타박상 등에도 효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는 철쭉과의 낙엽활엽수로 꽃을 약재로 사용한다. 한방에서 진달래꽃은 가래를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하며, 진통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해독 작용이 뛰어나기 때문에 피부가 헐거나 상처가 났을 때 사용하면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련(Magnolia Kobus)은 목련과의 낙엽 교목으로 신이라고도 불리운다. 목련의 꽃망울을 약재료 이용하며 시트랄(citral), 아네솔(anethole)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진통 및 소염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추(Allium tuberosum)는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비타민 A와 C가 풍부하다. 부추를 삶은 물은 살균 효능이 있으며, 베타카로틴이 활성산소 발생을 억제하여 항산화 작용을 한다.
머위(Petasites japonicus)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약간 쌉쌀한 맛에 특유의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한의학에서는 봉두채라고 한다. 기침을 멎게 하는 진해제로 사용되며, 카로틴 성분이 풍부해서 피부 잡티나 트러불 예방에 유용하고, 항염증 및 해독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
상추(Lactuca sativa)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채소로 널리 재배되며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식용으로 이용하였다. 피부 노화를 개선하는 비타민 B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피를 맑게 하고 몸 속에 쌓인 노폐물을 배출시켜 주는 효능이 있다.
무(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Makino )는 십자화과의 초본으로 비타민 C가 풍부하여 예로부터 겨울철 비타민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포도당, 과당, 칼슘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있어 암과 같은 질병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마(Laminaria)는 다시마과의 한 속으로 카로틴류, 크산토필류 및 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 외에 탄소동화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마니트, 라미나린 등의 탄수화물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이 많이 들어 있고, 요오드, 비타민 B2 및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
멸치(Engraulis japonicus)는 멸치과의 바닷물고기로 칼슘과 무기질이 풍부하여 어린이들의 성장 발육과 갱년기 여성들의 골다공증 예방에 유용하다.
감자(Solanum tuberosum L.)는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땅속에 있는 줄기마디로부터 기는줄기가 나와 그 끝이 비대해져 덩이줄기를 형성하며, 이 덩이줄기를 식용으로 이용한다. 감자는 고혈압과 암을 예방하는 비타민 C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공식적인 명칭은 퉁퉁마디이다. 바닷물이 잘 드나들고 비교적 땅이 잘 굳는 갯벌지에서 잘 자라며, 고혈압 및 당뇨에 효능이 있고, 기미, 주근깨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슬은 비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인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의 뿌리를 말하며, 무릎 관련 질환(관절염, 타박으로 인한 염증 등)의 치료에 현저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Allium sativum for. pekinense MAKINO)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마늘의 냄새 성분 중 하나인 알리신(allicin)은 결핵균, 이질균 및 임질균에 살균 효능이 있다. 또한, 마늘은 비타민 C나 유지의 산화를 막으며 체내의 과산화지방의 생성을 방지하는 노화 방지의 효능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뽕나무(Morus)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 또는 관목을 총칭하며, 뽕나무잎은 누에의 먹이로 이용된다. 뽕나무잎은 아스파라긴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숙취해소에 좋으며, 글루타치온 및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해서 항산화 기능이 뛰어나고, 노화 방지에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역(Undaria pinnatifida Suringar .)은 미역과에 속하는 해조류로 칼슘 및 요오도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미역의 끈끈한 점액질 성분은 알긴산(alginic acid)으로 섭취하는 경우 체내에 쌓인 중금속을 배출해주는 기능을 한다.
양배추(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는 겨자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로 양배추에 함유되어 있는 인돌-3-카비놀(indole-3-carbinol)이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고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효능이 있다. 또한, 양배추 즙은 얼굴에 난 여드름이나 여드름 자국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콩(Glycine max)은 콩과의 한해살이풀로, 단백질 35~40%, 지방 15~20% 및 탄수화물 30%가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 등이 들어 있는 영양식품이다. 이외에도 글리시테인(glycitein)이라는 항암물질 및 불포화지방산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다.
해동피는 엄나무(Kalopanax pictus Nakai)의 줄기껍질을 말하며, 껍질에는 못처럼 생긴 가시가 있고, 세로로 긴 타원형을 나타낸다. 개보본초에 의하면 피부를 파고드는 피부질환과 옴을 제거하며, 피부가 벌겋게 되는 발적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자(Gardenia Jasminoides)는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상록관목으로 열매를 말린 것을 치자 또는 산치자(山梔子)라고 하며, 한방에서 소염제, 이뇨제 등에 널리 쓰인다. 특히 치자는 마치현과 함께 쓰면 신장염, 대장염, 변비, 어루러기, 피부염, 기미제거 등에 탁월하다고 한다.
마치현은 쇠비름과의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의 전초를 말하며, 잎 모양이 말의 이빨과 유사하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해열, 해독 및 지혈 효과가 있으며, 종기, 습진 등에 사용하고, 항균 작용 및 이뇨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은화는 인동과(Caprifoliaceae)의 인동속(genus lonicera)에 속하는 인동덩굴(Lonicera janponica)의 꽃봉오리 또는 막 피기 시작한 꽃을 말하며, 꽃이 필 때는 흰색이다가 차츰 노란색으로 바뀌기 때문에 금은화라고 불리운다. 금은화는 열을 내리고, 갈증이 있을 때 사용하며, 항염증 효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종기, 피부 조직 괴사 등의 치료에 유용하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주성분은 글리시리진산(Glysyrihizic Acid)이며, 그 밖에 글리브리딘(Glabridin), 사포나레틴(Saponaret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인 리쿠라시드,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트리펜계 사포닌(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맛이 달며 독이 없고 간장에서 유독물질과 결합하여 해독작용을 하기 때문에 간장 기능을 회복시켜 주며 약물중독, 감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좋다. 감초의 성분 중에서 상기 글리브리딘은 항산화 효과와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효과가 있다.
상백피(Mori cortex)는 뽕나무의 뿌리껍질로서, 찬 성질이 있어 폐의 열을 식혀주는 진해작용은 물론, 항염증 작용이 있다. 또한, 몸의 이뇨작용을 도와 소변을 원활하게 볼 수 있게 도와주고, 혈압강하를 도와주어 부종환자와 고혈압 환자에게 유용하다.
녹두(Phaseoli Radix Semen)는 콩과류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의 열매이며 성질이 차고 맛이 달며 독성 및 부작용이 없다. 녹두는 비타민류, 단백질, 탄수화물 및 필수유로 구성되어 있어 한의학 임상에서 녹두 추출물은 백 가지의 독을 풀어주는 한방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오늘날은 피부염 치료에 효과가 있어 의약품 및 화장품에서 화장독이나 여드름 예방제로 보급되고 있다.
홍삼은 인삼의 뿌리를 쪄서 건조시킨 것으로, 홍삼을 만드는 과정 중에 중화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흡수력이 매우 뛰어나고 열이 많은 사람도 복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홍삼의 주효능은 사포닌이라는 물질로, 체내의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하며 생성을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체내의 칼슘 보강 및 두뇌활동을 촉진시켜 피로회복에 큰 도움을 준다. 또한, 홍삼은 활성산소에 의해 생기는 세포 손상을 제어하고, 피부세포를 증식시켜 주름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오징어뼈 및 참소리쟁이를 포함하는 추출물은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므로 구강 세정용 조성물의 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천연 유기물을 이용한 추출물의 제조
구강 세정제 제조에 사용할 천연 유기물 재료로 능소화, 동백꽃잎, 자귀나무잎, 진달래, 민들레, 양파, 쇠비름, 알로에, 오징어뼈, 목련화, 부추, 머위, 상추, 무, 개나리, 생강, 도라지, 다시마, 멸치, 감자, 함초, 녹두, 우슬초, 녹차잎, 마늘, 뽕나무잎, 산초, 미역, 양배추, 콩, 해동피, 치자, 마치현, 금은화, 참소리쟁이, 감초, 상백피, 녹두, 홍삼 및 가지를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재료들 중에서 능소화, 동백꽃잎, 자귀나무잎 및 진달래를 하기 표 1의 분량만큼 50 L 중탕기에 넣고, 증류수 1.4 L를 첨가한 후 2 kgf/cm2 압력으로 85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오징어뼈는 믹서로 분쇄한 후 600 ㎖의 물을 첨가하여 중탕으로 4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상기 중탕기에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양파, 쇠비름 및 알로에를 하기 표 1의 분량만큼 취하여 물 200 ㎖와 함께 믹서를 이용하여 분쇄하고, 상기 중탕기에 첨가하였다. 이후 상기 중탕기에 목련화, 부추, 머위, 상추 및 물 400 ㎖를 첨가하여 85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고, 무와 물 400 ㎖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중탕으로 가열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중탕기에 다시마, 멸치 및 물 2 L를 첨가하여 4시간 동안 중탕으로 가열하고, 감자 및 물 600 ㎖를 첨가하여 추가로 85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중탕기에 함초 및 물 100 ㎖를 첨가하여 85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고, 녹두 및 물 500 ㎖를 첨가하여 85에서 1시간 동안 추가로 가열하였다. 분량의 우슬초, 녹차잎, 마늘 및 물 1.1 L를 첨가하여 85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고, 뽕나무잎, 산초, 미역 및 물 1.8 L를 첨가하여 85에서 1시간 동안 추가로 가열하였다. 상기 중탕기에 약간의 소금과 양배추, 콩, 물 해동피, 치자, 마치현, 금은화, 참소리쟁이, 감초, 상백피, 홍삼 및 가지를 첨가한 후 3 kgf/cm2 압력으로 100에서 9시간 동안 재가열한 후 24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숙성 이후, 110에서 4시간 동안 재가열하고, 1200 메쉬(mesh) 내지 500 메쉬의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3 kgf/cm2 압력으로 여과 추출하여 유기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유기물 추출물 제조에 사용한 재료 및 재료의 분량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유기물 추출물 및 하기 표 2에 개시된 성분을 이용하여 구강 세정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실험예 1: 유기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확인
잇몸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대사과정 중에 생성되어 축적된 활성산소는 세포들에 유해하게 작용하여 잇몸의 조기 노화를 유발한다. 따라서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유기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Sigma-Aldrich co., 미국)의 자유 환원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유기물 추출물을 단계별(100, 75, 50, 25 및 10%)로 희석한 뒤, 각각의 추출물 500 ㎕에 에탄올에 용해시킨 0.2 mM DPPH 용액 250 ㎕를 첨가하고, 진탕기로 잘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Optizen 2120UV, Mecasys,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517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에는 DPPH 용액 대신 에탄올을 처리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유기물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오징어뼈 추출물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징어뼈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소리쟁이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1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정용 조성물은 동백꽃잎, 민들레, 양파, 쇠비름, 알로에, 개나리, 생강, 도라지, 녹차잎, 산초 및 가지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징어뼈 추출물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은 증류수, n-헥산,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KR1020160141238A 2016-10-27 2016-10-27 오징어뼈 추출물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KR20180046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238A KR20180046232A (ko) 2016-10-27 2016-10-27 오징어뼈 추출물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238A KR20180046232A (ko) 2016-10-27 2016-10-27 오징어뼈 추출물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232A true KR20180046232A (ko) 2018-05-08

Family

ID=6218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238A KR20180046232A (ko) 2016-10-27 2016-10-27 오징어뼈 추출물 및 참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62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8513A (zh) * 2019-07-31 2019-11-15 天津尖峰弗兰德医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清新口气、营养牙龈的牙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8513A (zh) * 2019-07-31 2019-11-15 天津尖峰弗兰德医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清新口气、营养牙龈的牙膏
CN110448513B (zh) * 2019-07-31 2022-04-15 天津尖峰弗兰德医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清新口气、营养牙龈的牙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3343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Jain et al. Traditional Indian herb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KR20160009330A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KR101257641B1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생약성분 화장품 제조 방법
Charantimath et al. Herbal therapy in dentistry: a review
KR100873033B1 (ko) 마사지팩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5983B1 (ko)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2509255A (ja) 炮製処理されたシャクヤク、玉竹または百合の抽出物を含有する抗酸化用化粧料組成物
KR20220061073A (ko) 구취제거용 조성물
KR100878353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Rehman et al. Commercial importance, medicinal value and therapeutic potentials of chaff flower (achyranthes aspera)–a review
Talreja et al. A complete pharmacognostic review on amla
CN105939703A (zh) 含有乡土植物和天然中草药提取物的洗发水组合物
CN110251448A (zh) 一种含有蜂胶提取物的美容用组合物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100747415B1 (ko)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Acharya et al. Medicinal uses of amla, Phyllanthus emblica L.(Gaertn.): a prospective review
KR102041419B1 (ko) 피부 상처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170143235A (ko) 연골재생 및 골관절염 치료용 생약조성물
CN102860939B (zh) 健胸调理复方精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