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879A - 인공 지능형 가습기 - Google Patents

인공 지능형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879A
KR20180045879A KR1020180033577A KR20180033577A KR20180045879A KR 20180045879 A KR20180045879 A KR 20180045879A KR 1020180033577 A KR1020180033577 A KR 1020180033577A KR 20180033577 A KR20180033577 A KR 20180033577A KR 20180045879 A KR20180045879 A KR 20180045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artificial intelligent
unit
intelligent humidifi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혁
Original Assignee
(주)세화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화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세화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8003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5879A/ko
Publication of KR20180045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인공 지능형 가습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가습기에 대한 사용자의 관리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부, 및 점검부의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약자의 가습기에 대한 관리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매 등으로 인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의 악화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인공 지능형 가습기{Artificial Intelligent Humidifier}
본 발명은 인공 지능형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약자의 가습기에 대한 관리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매 등으로 인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의 악화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 지능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산업의 발달로 고령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사회는 이제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7년 65세 이상의 노년인구는 4,810,363명으로서 전체 인구의 9.9%에 달한다고 한다.
한편, 이에 따라 고령층에 대한 복지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즉, 고령층은 증가하고 있으나, 부모님을 부양하며 자녀들이 한집에 거주하는 전통적 가족 관계의 변화에 따라 많은 고령자들은 갑작스런 건강악화의 위험에 노출된 상태에서 홀로 생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간병인 등을 통하여 이러한 독신의 고령자의 건강상태를 직접 모니터하며, 돌보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관계로, 대부분의 독신의 고령자들은 갑작스런 질병에 따른 사망의 위험에 노출된 상태에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약자의 가습기에 대한 관리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매 등으로 인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의 악화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 지능형 가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지능형 가습기는, 인공 지능형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에 대한 사용자의 관리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부; 및 상기 점검부의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상태의 양호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점검부의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점검부는 상기 가습기에 구비된 저수통의 하부에 설치된 하중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검부는 상기 가습기에 구비된 저수통과 상기 가습기 본체와의 결합 부위에 설치된 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검부는 상기 가습기에 구비된 저수통의 내부에 설치된 수질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공 지능형 가습기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 정보를 상기 판단부로 송신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공 지능형 가습기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상기 판단부로 송신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점검부의 점검 결과 및 현재 계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공 지능형 가습기에 대한 관리 주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점검부의 점검 결과 및 상기 관리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약자의 가습기에 대한 관리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매 등으로 인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의 악화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가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가습기의 구조를 나타내는기능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가습기의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는 센서부(110), 입력부(120), 점검부(130), 판단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출력부(170), 및 표시부(180)를 포함한다.
먼저,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센서부(110)는 습도 센서와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습도 센서는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여 판단부(140)로 송신하고, 온도 센서는 해당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판단부(14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점검부(130)는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에 대한 사용자의 관리 상태를 점검하며, 판단부(140)는 점검부(130)의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점검부(130)에는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에 구비된 저수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중 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저수통과 가습기(100) 본체와의 결합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 센서가 또한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점검부(130)는 상기와 같은 하중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하중 측정값 및 접촉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가습기(100)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관리 상태를 점검한다.
구체적으로, 점검부(130)는 하중 센서 및 접촉 센서로부터의 수신 정보를 하기의 표 1에서와 같이 기록한다.
구분
하중센서 1Kg 0.9Kg 0.8Kg 0.7Kg 1Kg 0.9Kg 0.8Kg
접촉센서 접촉유지 접촉유지 접촉유지 접촉유지 접촉해제 접촉유지 접촉유지
즉, 점검부(130)는 하중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하중 정보를 매일 1회씩 특정 시간(예를 들면, 오후 12시)을 기준으로 기록하며, 저수통을 가습기(100) 본체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접촉 센서로부터 접촉 해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해당 일자 정보를 표 1에서와 같이 기록한다.
한편, 점검부(130)는 상기와 같은 기록 정보를 판단부(140)로 송신하며, 판단부(140)는 점검부(130)로부터 수신된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사용 매뉴얼에는 노약자의 건강 상태 모니터링을 위하여 '매주 1회씩 가습기(100)의 저수통을 가습기(100)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한 후 다시 물을 채워 주십시오'와 같은 관리 요청 사항이 기재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심신이 건강한 상태에 있는 노약자는 해당 매뉴얼에 따른 가습기(100) 관리를 실행하게 된다.
그 결과, 가습기(100)의 관리가 실행되는 날에는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해당일(금요일)에 저수통의 하중값의 증가가 기록되며, 또한 해당일(금요일)에는 저수통의 본체로부터의 분리로 인한 접촉 해제 정보가 기록된다.
즉,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판단부(140)는 상기 표 1과 같은 기록 정보를 점검부(130)로부터 소정의 주기(예를 들면, 1주일) 수신하게 되며, 해당 기록 정보에 하중값의 증가 기록과 접촉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노약자의 건강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판단부(140)는 소정의 주기별로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되, 점검부(130)로부터 주기별로 수신된 기록 정보에 하중값의 증가 기록 또는 접촉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주기의 건강 상태를 '양호'로 판단하고, 표 1에서와 같은 기록 정보에 하중값의 증가 기록 또는 접촉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건강 상태를 '주의'로 판단한다.
한편,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표시부(180)에는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LED 등의 발광원을 구비하고 있으며, 판단부(140)가 판단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의 양호도를 LED의 발광 상태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노약자에게 적극적인 건강 관리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표시부(180)는 소정의 주기별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가 '양호'인 경우에는 발광원의 조도를 10%씩 증가시키며,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가 '주의'인 경우에는 발광원의 조도를 10%씩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1주일로 기본 설정되어 있는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관리 주기를 자신의 희망하는 기간(예를 들면, 2주일 또는 1일)으로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에 구비된 입력부(120)를 통해 변경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관리 주기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경우에 변경된 관리 주기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되며, 이후 판단부(140)는 변경된 주기에 따라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가 '주의'인 것으로 판단된 회수가 소정 회수(예를 들면, 2회) 이상 누적되는 경우에 판단부(140)는 '가습기(100)의 물을 교체하여 주십시오' 등과 같은 관리 요청 메시지를, 표시부(180)에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가 '주의'인 것으로 판단된 회수가 소정 회수(예를 들면, 2회) 이상 누적되는 경우에 판단부(140)는 센서부(110)에 구비된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이 해당 기간 동안 변화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기간 동안 소정의 임계값(예를 들면, 1℃) 미만의 온도 변화만이 있었던 경우에는 노약자에게 중대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비상 알림 메시지를 생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생성된 비상 알림 메시지는 통신부(150)를 통해 저장부(16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노약자의 보호자의 단말기(300)로 송신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판단부(140)가 소정의 주기별로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함에 있어서, 판단부(140)는 현재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계절 정보(절기 정보)를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판단부(140)는 점검부(130)로부터 수신된 기록 정보에 하중값의 증가 기록 또는 접촉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현재 시각이 통상 가습기(100)를 사용하지 않는 계절(예를 들면, 봄 또는 여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주의'로 판단하지 않고, 가습기(100)에 구비된 저수통의 내부에 설치된 수질 측정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판단부(140)는 점검부(130)로부터 수신된 기록 정보에 하중값의 증가 기록 또는 접촉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센서부(110)에 구비된 습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습도값의 해당 주기 동안의 평균값이 소정의 기준 습도값(예를 들면, 80%)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기간은 장마철 등과 같이 가습기(100)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기간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그 결과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주의'로 판단하지 않고, 가습기(100)에 구비된 저수통의 내부에 설치된 수질 측정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으로 가습기(100)를 사용하지 않는 계절 또는 기간인 경우에 점검부(130)는 저수통의 내부에 설치된 수질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수질 측정값을 일자별로 기록하고, 해당 기록 정보를 판단부(140)로 송신한다.
이에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판단부(140)는 점검부(130)로부터 수신된 수질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저수통 내부의 수질 상태가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1주일) 이상 동안 개선되지 않는 경우에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주의'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통신부(150)는 판단부(140)에 의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노약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의료 기관의 담당자 또는 보호자에게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는 상술한 판단부(140)의 기능을 직접 실행하지 않으며,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관리 서버(200)가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의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는 점검부(130)에 의한 상기 기록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송신하며, 관리 서버(200)는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로부터 수신된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200)가 판단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는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로 송신되며,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건강 상태 정보에 기초한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표시부(180)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실행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가 판단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노약자의 보호자 단말기(300) 또는 노약자의 관리 의료 기관으로 송신된다.
이에 따라, 노약자의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기(300)를 통해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보호자는 노약자에 대한 연락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 보호자 단말기(300)를 통해 노약자를 호출하는 음성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보호자의 음성 메시지는 관리 서버(200)를 통해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에 구비된 출력부(170)는 보호자의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가습기(100)가 설치된 공간에 있는 노약자에게 보호자의 긴급 음성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를 부모와 자식 간의 자연스러운 소통의 수단으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홀로 계신 어머니의 안부를 걱정하는 아들은 어머니와의 자연스러운 소통을 위해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의 물 교환 주기를 설정한다.
한편, 이와 같이 설정된 물교환 주기에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는 보호자인 아들의 핸드폰 등의 단말기(300)로 가습기의 관리 상태 정보 또는 어머니의 건강 상태 정보를 발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아들은 자연스럽게 부모님께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는 방식으로 어머니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부모와 자식 간의 감성 소통의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지능형 가습기(100)를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모와 자식 간의 긍정적 기능은 독거노인과 공공기관 등의 사회안전 담당 업무 수행자와의 관계에서도 유효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인공 지능형 가습기, 200: 관리 서버,
300: 보호자 단말기.

Claims (1)

  1. 인공 지능형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에 대한 사용자의 관리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부; 및
    상기 점검부의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형 가습기.
KR1020180033577A 2018-03-23 2018-03-23 인공 지능형 가습기 KR20180045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577A KR20180045879A (ko) 2018-03-23 2018-03-23 인공 지능형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577A KR20180045879A (ko) 2018-03-23 2018-03-23 인공 지능형 가습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058A Division KR20180045905A (ko) 2016-10-25 2016-10-25 인공 지능형 가습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029A Division KR102192577B1 (ko) 2020-04-27 2020-04-27 인공 지능형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879A true KR20180045879A (ko) 2018-05-04

Family

ID=6219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577A KR20180045879A (ko) 2018-03-23 2018-03-23 인공 지능형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58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0219A1 (zh) * 2020-03-27 2021-09-3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室内机及其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0219A1 (zh) * 2020-03-27 2021-09-3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室内机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60590A1 (en) Wireless infant health monitor
CN11219024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老年人健康监测报警设备及方法
JP2017507382A (ja) 患者アクセス可能なデバイスによる患者モニタリング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ためのスケジューリングデバイス
JP6631931B2 (ja) 認知症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200163611A1 (en) Detecting allergic reaction and alerting a guardian device
KR101971907B1 (ko) 가습기 겸용 테이블
KR20180045879A (ko) 인공 지능형 가습기
US10827850B2 (en) Mattress with sensors and replacement indicato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180045905A (ko) 인공 지능형 가습기
McCullagh et al. Nocturnal sensing and intervention for assisted living of people with dementia
KR102135325B1 (ko) 먼지 노출량 측정장치
WO2017154805A1 (ja) 認知症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1046345A (ja) 健康状態監視装置および健康管理方法
KR102074275B1 (ko) 고령자의 건강한 생활 관리를 위한 ai 스피커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매트 플랫폼
CN11223574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个体作息监测方法及系统
KR102192577B1 (ko) 인공 지능형 가습기
WO2017010956A1 (en) A monitoring system
CN112136162B (zh) 用于将紧急情况消息传达给护理提供者的腕戴式医学警报设备
KR101770057B1 (ko) 압력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Kovácsházy et al. New approach to passive infrared motion sensors signal processing for ambient assisted living applications
CN215643046U (zh) 一种独居老人安全监测系统
JPWO2020003715A1 (ja) レポート出力プログラム、レポート出力方法およびレポート出力装置
US201803306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validating an alarm situation
CN110441824A (zh) 床或椅子离开感测设备及其使用
Hagargund et al. Smart and automatic health monitoring of patient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