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654A - Led 조명기구를 이용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Led 조명기구를 이용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654A
KR20180044654A KR1020160138440A KR20160138440A KR20180044654A KR 20180044654 A KR20180044654 A KR 20180044654A KR 1020160138440 A KR1020160138440 A KR 1020160138440A KR 20160138440 A KR20160138440 A KR 20160138440A KR 20180044654 A KR20180044654 A KR 20180044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ving
gateway
monitoring system
emergency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택균
조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신택균
조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신택균, 조정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Priority to KR102016013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4654A/ko
Publication of KR2018004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05B37/027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조명기구를 이용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LED 전등모듈 및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LED 전등모듈은 LED 전등, 상기 LED 전등의 ON/OFF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ED 조명기구를 이용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Life Monitoring System Using LED Lamp}
본 발명은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LED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독거 노인 등 모니터링이 필요한 대상의 생활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족이 없거나 가족이 있더라도 홀로 생활하는 독거노인은 사고가 나더라도 주위에서 빨리 상황을 확인할 수 없어 신속한 지원이 어렵고, 끝내 고독사로 이어지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보살핌이 필요한 독거 노인들의 건강 및 근황을 체크하기 위해 봉사 단체나 사회복지사들이 독거 노인 가정을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독거 노인들의 상태를 확인하고 있으나 독거 노인 가정의 증가로 인해 갈수록 업무가 가중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심폰 등의 스마트기기를 보급하여 위치 추적, 직접 통화나 문자로 생활을 확인하는 방법이 사용되고도 있고, 가정에 설치되는 전력 계량기, 수도 계량기, 가스 계량기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독거 노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스마트기기나, 주기적 또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마다 적산된 값을 전송할 수 있는 계량기를 보급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광범위하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전력 사용량, 수도 사용량, 가스 사용량으로 독거 노인의 생활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는 있으나 즉각적이고도 직접적으로 생활을 파악할 수는 없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문열림 센서, 인체 감지 센서 등 다양한 센서의 설치가 필요하고, 이러한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전문 인력이 필요하며, 설치 인력의 인건비 등으로 설치 비용이 상승하는 점 또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널리 보급하기에 장애가 되는 요소가 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17076호 "PSTN을 이용한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독거노인 등 보살핌이 필요한 대상의 생활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간단한 정보로도 모니터링 대상자의 생활을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저렴한 설치 비용과 유지 비용으로 널리 보급될 수 있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니터링을 위해 종래 조명기구를 대신할 수 있는 LED 조명기구로 교체함으로써 모니터링 대상자에게도 전기료 절약의 이점을 제공하여 적극적 설치를 유도할 수 있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고 발생시 모니터링 대상자가 긴급호출버튼을 통해 자발적으로 위험 사항을 알릴 수 있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고 발생시 모니터링 대상자의 생활 공간을 카메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평상시에는 카메라가 OFF 또는 대기 상태로 유지되어 모니터링 대상자의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고 발생 공간을 촬영한 영상만 선택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전송 속도 향상 및 조속한 상황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기구를 이용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LED 전등모듈 및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LED 전등모듈은 LED 전등, 상기 LED 전등의 ON/OFF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자신의 ID와 함께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은 긴급호출버튼을 포함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긴급호출버튼이 눌러진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는 긴급호출버튼의 신호를 직접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원격 서버로 긴급호출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생활공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평소에는 상기 생활공간을 촬영하지 않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나 상기 긴급호출버튼이 눌러진 경우 상기 생활공간을 촬영하여 그 영상을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달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수신된 영상을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은 게이트웨이가 긴급호출버튼의 신호를 복수 개의 LED 전등모듈 중 어느 하나의 LED 전등모듈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경우 긴급호출버튼의 신호를 전달한 LED 전등모듈이 설치된 위치가 촬영된 영상만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은 LED 전등모듈에 동작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통신부는 동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LED 전등을 원격으로 ON/OFF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및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의 신호를 직접 또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LED 전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각적 정보 또는 음성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연동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일정 정보, 시간, 알람이 제공되도록 제어하거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LED 전등의 ON/OFF를 제어하거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가전제품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통신부는 상기 가전제품 제어 신호를 해당 가전제품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하는 생활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할 관계자 정보,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곳의 지리적 정보와 연락처, 담당 긴급구조기관 정보를 저장하는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관계자가 인터넷 사이트 또는 모바일앱을 통해 상기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웹서비스모듈; 및 상기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긴급호출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관계자에게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로 긴급호출신호를 전달하거나 상기 긴급구조기관에 긴급호출신호와 상기 지리적 정보와 연락처를 전달하는 긴급서비스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긴급서비스모듈은 상기 긴급호출신호와 함께 수신된 영상이 있는 경우 상기 관계자 또는 긴급구조기관에 영상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은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긴급호출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관계자 또는 긴급구조기관에 의해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된 생활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원격 제어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카메라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활 모니터링을 위해 조명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간단히 모니터링 대상자의 생활을 파악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설치 비용과 유지 비용으로 널리 보급될 수 있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 조명기구를 대신할 수 있는 LED 조명기구로 교체함으로써 모니터링 대상자에게도 전기료 절약의 이점을 제공하여 적극적 설치를 유도할 수 있으며, 사고 발생시 모니터링 대상자가 긴급호출버튼을 통해 자발적으로 위험 사항을 알릴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평상시에는 카메라가 대기 상태로 유지되어 모니터링 대상자의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반면 사고 발생시 모니터링 대상자의 생활 공간을 카메라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사고 발생 공간을 촬영한 영상만 선택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전송 속도 향상 및 조속한 상황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제3도는 예시적인 LED 전등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4도는 복수 개의 LED 전등 모듈과 게이트 웨이가 생활공간 내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제6도는 예시적인 리모트 콘트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기구를 이용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를 이용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독거노인과 같이 생활 모니터링이 필요한 대상자가 거주하는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어 생활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의 서버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서버 시스템(200)은 수집된 정보를 대상자의 생활을 모니터링해야 하는 관계자(가족, 사회복지사, 긴급구조기관 등)에게 제공할 수 있고, 관계자들은 자신의 단말기(300)를 통해 서버 시스템이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조회하여 보거나 휴대용 단말기(3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조회하여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생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조명정보 즉, 조명의 ON/OFF 정보를 이용한다.
종래 생활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하던 전력 사용량, 수도 사용량, 가스 사용량 등은 모니터링 대상자가 생활 공간에 머무르지 않더라도 생활 가전 등에 의해 사용량이 측정될 수 있고, 그 변화량으로 생활의 변화를 판단하기에는 주기가 너무 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조명의 ON/OFF는 모니터링 대상자가 외출했는지, 귀가했는지, 기상했는지, 일상적인 거동을 하고 있는지 등의 생활 정보를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은 조명의 ON/OFF 정보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대상자의 생활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시스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LED 전등모듈(10) 및 게이트웨이(20)로 이루어진다.
LED 전등모듈(10)은 모니터링 대상자가 생활하는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어 조명의 ON/OFF 정보를 감지하여 보고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해 LED 전등모듈(10)은 LED 전등(11), LED 전등의 ON/OFF를 감지하는 센서(12), 그리고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통신부는 저전력 블루투스(BLE)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감지된 정보를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게이트웨이(20)로 전송한다.
게이트웨이(20)는 LED 전등모듈의 통신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외부 서버 시스템(2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는 원거리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3G, LTE 등과 같은 무선통신모뎀을 구비할 수 있으며, 서버 시스템(200)이 수신된 생활 모니터링 정보가 누구의 생활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게이트웨이는 자신의 ID(시리얼 넘버 등)를 감지된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은 조명 ON/OFF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모니터링 대상자의 생활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주변에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종래의 조명 기구를 대신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전등 모듈(10)에 소켓브릿지와 같은 전원연결부(2)를 형성하여 기존의 전등을 제거하고 전등 소켓(1)에 바로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LED 전등 모듈(10)이 제거된 기존의 전등을 대체할 LED 전등(11)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전등 모듈(10)은 기존의 전등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LED 전등 모듈(10)을 교체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설치 작업이 완료되므로 특별한 기술 없이도 누구나 설치할 수 있어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전등 주변에 조명 ON/OFF 정보를 감지하고 보고하기 위해 센서와 통신부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설치된 센서와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라인을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노후된 전등 대신 LED 전등(11)으로 교체됨에 따라 전기료도 기존 대비 43%이상 에너지 비용 절감효과가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대상자에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LED 전등모듈(10-1~10-4)을 화장실, 부엌, 거실, 방 등 생활 공간의 곳곳에 설치하고 이들 LED 전등모듈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하나의 게이트웨이(20)를 설치하여 모니터링 대상자의 생활 정보를 수집하여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대상자가 외출한 경우 생활공간 내 모든 전등이 OFF 상태일 것이다. 그 후 모니터링 대상자가 외출에서 돌아와서 거실의 스위치를 켜면 거실에 설치된 LED 전등모듈(10-3)의 LED 전등(11)이 켜지고 센서(12)가 이를 감지한 후 통신부(13)가 전등이 켜졌다는 정보를 게이트웨이(20)로 전달한다. 게이트웨이(20)는 거실에 설치된 전등이 몇시 몇분에 켜졌는지에 대한 정보를 서버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며, 모니터링 대상자의 보호자 등은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거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러한 정보를 확인하여 모니터링 대상자가 외출에서 돌아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부엌에 설치된 LED 전등모듈(10-2)의 LED 전등 ON/OFF 정보를 통해 제 시간에 식사를 하고 있는지, 방에 설치된 LED 전등모듈(10-4)의 LED 전등 ON/OFF 정보를 통해 제 시간에 취침 및 기상을 하고 있는지 등 모니터링 대상자의 구체적인 생활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동작 감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는 LED 전등 모듈(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동작 감지 센서는 LED 전등 모듈에 포함되어 구성되므로 별도의 센서 설치 작업이 필요 없으며, LED 전등 모듈은 동작 감지 센서, 화재 감지 센서 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능의 센서들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표준 센서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는 동작 감지 센서의 정보 또한 게이트웨이(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은 동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함으로써 모니터링 대상자가 집안의 대부분의 전등을 켜놓은 채로 생활하거나 집안의 대부분의 전등을 꺼놓은 채로 생활하는 경우에도 모니터링 대상자의 생활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리모트 콘트롤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모트 콘트롤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OFF 버튼(31)이 구비되어 있어 LED 전등(11)의 ON/OFF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리모트 콘트롤러로 LED 전등의 ON/OFF를 원격으로 지시하면 LED 전등모듈(10)의 제어부(14)가 지시 신호를 수신하여 LED 전등(11)이 ON/OFF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디밍 버튼(미도시)을 구비하여 LED 전등의 조도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4)는 리모트 콘트롤러(30)로부터 직접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통신부(13)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LED 전등(11)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독거노인과 같은 모니터링 대상자는 대부분 거동이 불편하며, 야간에 전등을 끄고자 벽면에 부착된 스위치를 OFF한 후 이동할 경우 어두운 환경에서 낙상으로 부상을 당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이른 새벽에 기상하는 경우가 많아 어두운 환경에서 전등을 켜고자 벽면에 부착된 스위치를 찾아 이동하는 경우에도 낙상으로 부상을 당할 가능성이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LED 전등(11)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러(30)를 구비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 거동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대상자는 대부분 고령이거나 지병이 있는 경우가 많아 갑자기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리모트 콘트롤러(30)에는 긴급호출버튼(32)이 구비되어 있어 긴급상황 발생시 긴급호출버튼(32)을 누르면 게이트웨이(20)가 긴급호출버튼의 신호를 감지하고 외부 서버시스템(200)으로 전송함으로써 보호자 내지 긴급구조기관에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긴급호출버튼(32)이 눌러졌을 때 그 신호는 가까이 위치한 LED 전등 모듈(10)의 제어부(14)가 수신하고 통신부(13)를 통해 게이트웨이(20)로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생활공간 중 어디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즉, 화장실에 설치된 LED 전등모듈(10-1)을 통해 긴급호출버튼이 눌러졌다는 신호가 게이트웨이(20)로 전달된 경우 화장실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고, 부엌에 설치된 LED 전등모듈(10-2)을 통해 긴급호출버튼이 눌러졌다는 신호가 게이트웨이(20)로 전달된 경우 부엌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긴급호출 기능을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형 등 모니터링 대상자가 몸에 지닐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언제 어디서나 긴급상황 발생시 긴급호출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카메라(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40)는 생활공간을 촬영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LED 전등모듈(10)과 별개로 생활공간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LED 전등모듈(10) 내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생활 모니터링을 위해 카메라가 생활공간을 촬영할 경우 모니터링 대상자의 사생활을 침해하게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갖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카메라(40)는 평소에는 생활공간을 촬영하지 않고 OFF 내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나 긴급호출버튼이 눌러진 경우 생활공간을 촬영한다.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게이트웨이(20)가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외부 서버시스템(200)으로 전송할 때 함께 전송되어 모니터링 대상자를 케어해야 할 관계자(보호자, 사회복지사 등)나 긴급구조기관에서 긴급상황을 조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긴급호출버튼이 눌러졌을 때 게이트웨이(20) 또는 LED 전등모듈(10)의 제어부(14)는 생활공간 내에 설치된 모든 카메라(40) 또는 긴급호출버튼 신호가 수신된 LED전등모듈(10)이 설치된 공간 내에 설치된 카메라(40)만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카메라가 현재 상황을 잘 촬영할 수 있도록 LED 전등(11)이 켜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후술할 서버 시스템(20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가 특정 방향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외부 서버시스템(200)으로 전송되는데, 이때 전송 데이터량을 줄이기 위해 촬영된 영상 중 사람이 찍힌 영상을 식별하여 해당 영상만 전송되도록 하거나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긴급호출버튼의 신호를 수신한 LED 전등모듈이 설치된 영역을 촬영한 카메라의 영상만 외부 서버시스템(20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8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표시부(15)를 더 포함하며, 모니터링 대상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스마트폰의 일부기능이 표출되거나 다른 기기를 제어하는 허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과 연동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제어부는 연동된 모니터링 대상자의 스마트폰의 일정, 시계, 알람, 정해진 시간에 전등 켜지기 등의 일부기능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15)를 통해 일정 정보 제공, 시간 정보 제공, 알람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는 디스플레이와 같이 시각적 정보 제공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 및/또는 스피커와 같이 음성 정보 제공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정해진 시간에 전등 켜지기 기능과 관련해서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시간에 LED 전등(11)이 켜지거나 꺼지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에 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통신부(13)를 통해 가전제품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허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모니터링 대상자의 스마트폰이 가전제품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연동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의 형식으로 제어 명령 정보(티비 On/Off, 오디오 On/Off 등)를 전달하는 것만으로 직접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대상자를 케어해야 할 관계자 또는 긴급구조기관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모듈(210), 웹서비스모듈(220), 긴급서비스모듈(230), 생활 정보 데이터베이스(240),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신모듈(2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100)으로부터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이 감지한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생활 모니터링 정보에는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한 게이트웨이의 ID, LED 전등모듈의 번호, LED 전등 ON/OFF 시간, 긴급호출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생활 모니터링 정보는 생활 정보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다. 이때 생활 모니터링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ID 또는 게이트웨이 ID별로 저장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 ID는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장치의 시리얼 넘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200)은 또한 생활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를 구비하고 있다.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는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할 관계자(보호자, 사회복지사 등)의 정보(ID, 전화번호 등),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곳의 지리적 정보(주소 등), 연락처, 담당 긴급구조기관 정보 등이 기본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 ID 또는 게이트웨이 ID별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웹서비스모듈(220)은 모니터링 대상자의 생활 정보를 제공받는 관계자에게 인터넷 사이트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수신된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관계자가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면, 웹서비스모듈은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증된 관계자가 케어하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사용자 ID 또는 게이트웨이 ID를 확인하고, 생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사용자 ID 또는 게이트웨이 ID에 해당하는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한다.
긴급서비스모듈(230)은 수신모듈을 통해 긴급호출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를 관계자나 긴급구조기관에 알려주는 모듈이다.
긴급서비스모듈은 긴급호출신호가 수신된 사용자 ID 또는 게이트웨이 ID를 확인하고,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서 확인된 사용자 ID 또는 게이트웨이 ID에 해당하는 관계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로 긴급호출신호가 접수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확인된 사용자 ID 또는 게이트웨이 ID에 해당하는 담당 긴급구조기관(관할 소방서, 관할 파출소, 관할 경찰서 등)에 긴급호출신호가 접수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사용자 ID 또는 게이트웨이 ID에 해당하는 지리적 정보(주소 등)와 연락처(전화번호), 인적사항 등을 함께 전송하여 긴급구조기관에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된 곳으로 신속히 출동하거나 연락하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긴급서비스모듈(230)은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영상정보도 함께 전달하여 현재 상황을 조속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2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20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200)에 카메라 제어모듈(260)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 제어모듈(260)은 관계자 및/또는 긴급구조기관에서 긴급호출버튼이 눌러진 생활공간의 상태를 원격에서도 살펴볼 수 있게 한다.
즉,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영상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되어 전달된 영상이 현재의 상황을 정확히 보여주지 못할 경우 관계자 및/또는 긴급구조기관에서는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여 카메라 제어모듈(260)을 통해 생활공간에 설치된 카메라를 켜거나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하여 현재 상황을 더 잘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한정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전등 소켓 2: 전원연결부
3: 스마트폰 10: LED 전등 모듈
11: LED 전등 12: 센서
13: 통신부 14: 제어부
15: 표시부 20: 게이트웨이
30: 리모트 콘트롤러 40: 카메라
100: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200: 서버시스템 210: 수신 모듈
220: 웹서비스모듈 230: 긴급서비스모듈
240: 생활 정보 데이터베이스 250: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
260: 카메라 제어 모듈 300: 단말기

Claims (10)

  1. 생활공간 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LED 전등모듈 및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LED 전등모듈은 LED 전등, 상기 LED 전등의 ON/OFF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긴급호출버튼을 포함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호출버튼이 눌러진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는 긴급호출버튼의 신호를 직접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원격 서버로 긴급호출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공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평소에는 상기 생활공간을 촬영하지 않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나 상기 긴급호출버튼이 눌러진 경우 상기 생활공간을 촬영하여 그 영상을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달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수신된 영상을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긴급호출버튼의 신호가 상기 복수 개의 LED 전등모듈 중 어느 하나의 LED 전등모듈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경우 긴급호출버튼의 신호를 전달한 LED 전등모듈이 설치된 위치가 촬영된 영상을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전등모듈은 동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동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전등을 원격으로 ON/OFF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및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의 신호를 직접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LED 전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시각적 정보 또는 음성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연동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일정 정보, 시간, 알람이 제공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LED 전등의 ON/OFF를 제어하거나,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가전제품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가전제품 제어 신호를 해당 가전제품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하는 생활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할 관계자 정보,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곳의 지리적 정보와 연락처, 담당 긴급구조기관 정보를 저장하는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관계자가 인터넷 사이트 또는 모바일앱을 통해 상기 생활 모니터링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웹서비스모듈; 및
    상기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긴급호출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관계자에게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로 긴급호출신호를 전달하거나 상기 긴급구조기관에 긴급호출신호와 상기 지리적 정보와 연락처를 전달하는 긴급서비스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서비스모듈은 상기 긴급호출신호와 함께 수신된 영상이 있는 경우 상기 관계자 또는 긴급구조기관에 영상을 함께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긴급호출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관계자 또는 긴급구조기관에 의해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된 생활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원격 제어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카메라 원격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시스템.
KR1020160138440A 2016-10-24 2016-10-24 Led 조명기구를 이용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44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440A KR20180044654A (ko) 2016-10-24 2016-10-24 Led 조명기구를 이용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440A KR20180044654A (ko) 2016-10-24 2016-10-24 Led 조명기구를 이용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654A true KR20180044654A (ko) 2018-05-03

Family

ID=6224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440A KR20180044654A (ko) 2016-10-24 2016-10-24 Led 조명기구를 이용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46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0954A (zh) * 2018-08-22 2019-01-11 深圳合纵能源技术有限公司 基于实时用电数据评估企业生产经营管理风险的方法
KR20240025356A (ko) 2022-08-18 2024-02-27 에스프레스토 주식회사 프라이버시 보호용 스마트 조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0954A (zh) * 2018-08-22 2019-01-11 深圳合纵能源技术有限公司 基于实时用电数据评估企业生产经营管理风险的方法
KR20240025356A (ko) 2022-08-18 2024-02-27 에스프레스토 주식회사 프라이버시 보호용 스마트 조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9420B1 (en) Portable wireless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US9460596B1 (en) Portable wireless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KR102077594B1 (ko)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CN103927852A (zh) 一种老人安全监护系统
JP6509598B2 (ja) 見守り支援システム
KR101649173B1 (ko) AIHonet 모듈을 통한 인공지능형 안전사고감지 홈네트워크 통합관리장치
JP5342141B2 (ja) 中央ゲートウェイ装置と通信する複数のセンサー装置を有する装置のシステム及び装置のシステムをインストールする方法
JP2006260524A (ja) 介護通報装置
JP2017016609A (ja) 独居者等の監視警備連絡装置
KR20070056236A (ko) 화재 및 응급상황 대처가 용이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180044654A (ko) Led 조명기구를 이용한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KR20080098457A (ko) 무선 이동 단말기 서비스가 지원되는 영상지원 원격 노인보호 관리 시스템.
JP2002083387A (ja) 照明システム
KR102397078B1 (ko) 반려 로봇을 이용한 실버 케어 시스템
CN205939054U (zh) 一种照明灯具
CN212460757U (zh) 一种烟感报警器
KR100720924B1 (ko) 구호통보장치
KR100796143B1 (ko) 경보메시지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473926B1 (ko) 세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29257B1 (ko) 공동주택 거주자의 안전관리장치 및 안전관리방법
KR200432463Y1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별 감지 및 제어장치
KR101693215B1 (ko) 자가 설치 및 운용 가능한 무인경비시스템을 위한 통합센서관제장치 및 방법
KR20140037408A (ko) 셀프 콜 기능을 갖는 게이트 웨이를 이용한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54345B1 (ko) 독립전원을 구비한 보안 시스템
JP7097043B2 (ja) 見守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