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548A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548A
KR20180044548A KR1020160138188A KR20160138188A KR20180044548A KR 20180044548 A KR20180044548 A KR 20180044548A KR 1020160138188 A KR1020160138188 A KR 1020160138188A KR 20160138188 A KR20160138188 A KR 20160138188A KR 20180044548 A KR20180044548 A KR 20180044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ub
revolutions
bubble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443B1 (ko
Inventor
박찬우
박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4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0Press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부를 통해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 회전단계의 진행 중 거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거품감지단계를 포함하며,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 미만이면, 거품감지단계는 회전단계의 진행 중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한 때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드럼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이면, 거품감지단계는 회전단계의 진행 중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감소한 때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Machin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을 포함하였다.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해 드럼을 회전시키면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할 수 있었다. 터브 내부에 거품이 과도하게 발생하면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 등을 통해 거품이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있었는데,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거품 감지수단은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히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을 뿐 아니라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브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브 및 드럼의 세척 시 터브 내부에 발생한 거품이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부, 상기 터브 내부와 연통하며 내부에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에 대응하는 물기둥이 형성되는 연통관,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거품감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 미만인 경우,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회전단계의 진행 중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 이상인 경우,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회전단계의 진행 중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면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 미만인 경우,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제1압력 이상일 때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압력은 상기 급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한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 이상이면,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제2압력 이하일 때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압력은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물이 저장된 상기 터브 내부에서 상기 드럼이 상기 기준회전수로 회전할 때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되는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면,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상기 기준회전수 이하로 낮추는 감속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 미만인 상태에서 상기 터브에 거품이 발생하면,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거품제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회전수는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 높이의 2/3 이상의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회전수는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최고점까지 상승시키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회전수는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이 상기 터브의 원주면을 따라 순환하게 만드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연통관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기 연통관에 연통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격리된 제2챔버로 구분하며,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제2챔버를 향해 이동하는 격벽;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2챔버의 외부에 위치된 코일; 상기 격벽에 고정되며,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코일 내부로 삽입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 미만이면,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코일의 인덕턴스가 증가하면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 이상이면,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코일의 인덕턴스가 감소한 때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연통관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기 연통관에 연통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격리된 제2챔버로 구분하며,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제2챔버를 향해 이동하는 격벽;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2챔버의 외부에 위치된 코일; 상기 격벽에 고정되며,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코일 내부로 삽입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 미만이면,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코일의 주파수가 감소하면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 이상이면,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코일의 공진주파수가 증가한 때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브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브 및 드럼의 세척 시 터브 내부에 발생한 거품이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3),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4)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에는 도어(13)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캐비닛 투입구(11)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 투입구(11)는 캐비닛(1)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캐비닛(1) 내부를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터브(3)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터브(3)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터브(3)는 지지부(33)를 통해 캐비닛(1)에 고정되며, 상기 터브의 전방면에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31)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33)는 상기 터브(2)의 상부를 캐비닛(1)에 연결하는 스프링, 상기 터브의 하부를 캐비닛의 바닥면에 연결하는 댐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4)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드럼이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바디(4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럼바디(41)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31)를 통해 캐비닛 투입구(11)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43), 상기 드럼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터브 내부와 드럼바디 내부를 연통시키는 관통홀(45)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바디(41)는 구동부(5)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5)는 터브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le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51), 상기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3), 상기 터브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바디(41)와 상기 로터(53)를 연결하는 회전축(5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53)에는 다수의 영구자석(531)이 구비되는데, 각 영구자석(531)들은 자기극이 교번적으로 노출되도록 로터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터(51)에 전류가 공급되어 회전자계가 형성되면, 상기 영구자석들(531)에 의해 로터(53)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41)의 회전속도(분당 회전수, RPM)를 감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는 회전수 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수 감지부는 상기 로터(53)에 고정된 영구자석(531)들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센서(5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531)들은 자기극이 교번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로터(53)에 고정돼 있으므로,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자력센서(57)에서 감지되는 자력의 변화 주기를 통해 드럼바디의 회전수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3)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미도시)과 터브(3)를 연결하는 급수관(61),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급수밸브(6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배수펌프(71),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터브(3)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73), 상기 배수펌프(71)에서 배출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3) 내부에 공급된 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수위감지부(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감지부(9)는 상기 터브(3)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터브(3) 내부의 수위에 대응하는 물기둥이 형성되는 연통관(91),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수압 또는 공기압)을 감지하는 감지부(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관(91)은 상기 터브(3)의 바닥면에서 상기 터브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되는데, 도 2는 상기 연통관(91)의 일단이 상기 제1배수관(73)을 통해 터브(3)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감지부(93)는 상기 연통관에 고정된 하우징(931), 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기 제1챔버(935)와 제2챔버(937)로 구분하는 격벽(933), 상기 격벽(933)에 고정된 자성체(938), 상기 제2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코일(93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935)는 상기 연통관(91)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챔버(937)는 상기 격벽(933)에 의해 상기 연통관(91)과 연통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상기 격벽(933)은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제1챔버(935)가 위치된 방향에서 제2챔버(937)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코일(939)은 상기 제2챔버(937)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2챔버(937)의 외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격벽(933)이 제2챔버(937)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자성체(938)는 상기 코일(939) 내부로 삽입될 것이다.
RLC 직렬회로 또는 LC 직렬회로로 구성된 상기 감지부(93)에서 상기 코일의 인덕턴스(L,inductance)와 주파수(F)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1
즉, 주파수(F)는 인덕턴스(L)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한편, 상기 코일(939)의 인덕턴스(L)는 코일의 권선수(N)와 자속(p)의 곱에 비례하고, 전류(I)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코일(939) 내부로 자성체(938)가 삽입되면, 자속(p)의 증가에 의해 인덕턴스(L)는 증가할 것이다.
Figure pat00002
따라서,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자성체(938)가 코일(939)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자성체(938)가 코일(939) 내부로 이동하면 자속(p)이 증가하므로 상기 코일의 인덕턴스(L)는 증가하는 반면 코일의 주파수(F)는 낮아진다.
한편,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자성체(938)는 코일(939)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자성체가 코일에서 인출되므로) 상기 코일(939)의 인덕턴스(L)는 감소하고, 코일의 주파수(F)는 증가하게 될 것이다.
상기 감지부(93)가 고정되는 연통관(91)의 일단(연통관의 자유단)의 높이에 따라 상기 격벽(933)은 연통관(91) 내부의 공기(A)에 의해 제1챔버(935)와 제2챔버(937) 사이를 왕복할 수도 있고, 연통관(91) 내부에서 압축되는 물(W)에 의해 제1챔버(935)와 제2챔버(937) 사이를 왕복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격벽(933)이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공기(A)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은 상기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증가하고, 터브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면 감소한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는 감지부(93)에서 측정되는 코일의 인덕턴스(L)나 주파수(F)를 통해 터브에 저장된 물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3)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S20), 상기 드럼(4)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S30), 상기 회전단계의 진행 중 상기 터브(3) 내부에 거품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거품감지단계(S51, S61)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단계(S20)는 제어부(미도시)가 급수밸브(63)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로, 상기 급수단계(S20)는 드럼(4)에 투입된 의류의 양(포량)에 따라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급수단계(S20)의 실행 전 본 발명 제어방법은 드럼에 투입된 의류의 양을 판단하는 포량판단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량판단단계(S10)는 드럼(4)을 일정한 각도까지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51)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포량에 따라 실험적으로 측정된 전류량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포량판단단계(S10)는 상기 자력센서(57)를 통해 드럼을 일정 각도까지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스테이터(51)에 공급된 전류량(전류량의 총합)을 실험을 통해 측정된 포량 별 전류량 데이터와 비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량판단단계(S10)를 통해 포량이 판단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포량 별 세탁시간(회전단계의 실행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시간 설정단계(S11)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회전단계(S30)는 제어부가 상기 스테이터(51)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드럼바디(41)를 회전시키는 단계로, 상기 회전단계(S30)의 진행 중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S40)한다.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판단하는 단계(S40)는 상기 회전수 감지부(57)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제어부(미도시)가 수신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거품감지단계(S51, S61)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감지기준이 달라진다. 즉,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판단하는 단계(S30)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회전단계(S20)의 진행 중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S41)한다. 그러나,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인 경우,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감소할 때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S61)한다.
이는 드럼(4)의 회전수에 따라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을 기 설정된 하나의 기준 값 이상인지 또는 그 이하인지 여부로 터브(3)에 거품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드럼(4)이 회전하지 않거나 드럼(4)의 회전수가 낮은 경우, 상기 터브(3)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면 상기 터브(3) 내부의 압력은 높아진다. 상기 터브(3)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도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상기 드럼(4)이 회전하지 않거나 낮은 회전수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터브(3)에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이 높은 회전수로 회전하면, 상술한 현상과 다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4)이 높은 회전수로 회전하면, 터브 내부의 물은 드럼(4)과의 마찰력이나 드럼에 의한 원심력 때문에 상기 터브(3)의 원주면을 따라 터브의 상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터브에 동일한 양의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물이 터브(3)의 원주면을 따라 상승하면 터브의 바닥면에서 수면까지의 높이(h)는 드럼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의 터브 바닥면에서 수면까지의 높이(H1) 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상기 터브(3) 내부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는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물의 수위도 낮아져야 하지만, 상기 드럼(4)의 회전 때문에 물이 터브(3) 내부에서 압축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수위는 드럼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의 수위(H1) 보다 높아질 수 있다(H2). 즉, 상기 드럼(4)이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은 드럼이 저속으로 회전하거나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높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면, 거품이 드럼에 의해 물에 작용하는 힘을 낮춰 터브 내부의 수압을 낮추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은 낮아진다.
결론적으로,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는지 여부에 따라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한 때의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변화의 경향이 다르므로, 거품감지를 위한 기준은 드럼이 기준회전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 제어방법에서 거품감지단계(S51, S61)가 상기 드럼(4)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감지기준을 달리한 것은 이와 같은 이유 때문이다.
상기 기준회전수는 상기 터브(3)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3) 높이의 2/3 이상의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로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터브(3)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3)의 최고점까지 상승시키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로 설정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기준회전수는 상기 터브(3) 내부의 물이 상기 터브(3)의 원주면을 따라 순환하게 만드는 상기 드럼(4)의 회전수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회전수가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변화의 경향이 다르게 유도하는 회전수이기 때문이다.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판단하는 단계(S40)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회전단계(S20)의 진행 중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본 발명은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S51)한다.
드럼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미만인 경우 거품을 감지하는 단계(S51)는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이 제1압력 이상일 때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압력은 상기 급수단계(S20)의 완료 후 상기 회전단계(S30)의 개시 전 상기 감지부(93)에서 측정한 압력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미만인 때 거품을 감지하는 단계(S51)는 상기 코일(939)의 주파수(F)가 감소(인덕턴스가 증가)하면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미만인 때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S51)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거품제거단계(S53)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거품제거단계(S53)는 제어부가 급수밸브(63)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3)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거품제거단계(S53)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회전단계(S30)를 진행한 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S70)한다. 상기 회전단계(S30)의 진행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에 도달했다면,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을 중단하는 단계(S80) 및 배수단계(S90)를 진행한다.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하는 단계(S80)는 제어부가 스테이터(51)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배수단계(S90)는 제어부가 배수펌프(71)를 작동시킴으로써 진행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 발명은 상기 배수단계(S90)의 진행 중에는 드럼을 계속 회전시키고, 상기 배수단계(S90)가 완료된 때 드럼의 회전을 중단(S80)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드럼의 외주면이나 터브 내주면에 거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거품제거단계(S53)의 완료 후 회전단계(S30)를 실행한 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을 경과하지 않았다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드럼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단계(S40) 및 거품감지단계(S51, S61)을 반복한다.
한편,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판단하는 단계(S40)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회전단계(S20)의 진행 중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면 본 발명은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S61)한다.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인 때의 거품감지단계(S61)는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이 제2압력 이하일 때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압력은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물이 저장된 상기 터브 내부에서 상기 드럼이 상기 기준회전수로 회전할 때 상기 감지부(93)에서 측정되는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제2압력은 상기 제1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되게 될 것이다.
나아가,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인 때 거품을 감지하는 단계(S61)는 상기 코일(939)의 주파수(F)가 증가(코일의 인덕턴스가 감소)하면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인 때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S61)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드럼을 회전수를 낮추는 감속단계(S63)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감속단계(S63)는 상기 드럼을 상기 기준회전수 미만의 회전수로 낮추는 단계로, 상기 제어부가 스테이터(51)에 공급되는 시간당 전류량을 낮춤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감속단계(S63)가 완료되고, 상기 회전단계(S30)를 진행한 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에 도달(S70)하면,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하는 단계(S80) 및 배수단계(S90)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감속단계(S63)의 완료 후 상기 회전단계(S30)의 실행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을 경과하지 않았다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드럼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단계(S40) 및 거품감지단계(S51, S61)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속도에 상관없이 터브(3) 내부에 거품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터브 내부에 발생한 거품의 제거가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터브 내부에서 발생한 거품을 제거하거나 거품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어, 기준시간의 경과 후 거품이 의류에 잔류하는 문제 및 터브 내부의 거품이 터브 투입구 등을 통해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하다.
상술한 제어방법은 의류가 캐비닛의 전방면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드럼에 공급되는 형태의 의류처리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 제어방법은 의류가 캐비닛의 상부면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드럼에 투입되는 형태의 의류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캐비닛 투입구
13: 도어 3: 터브 31: 터브 투입구
33: 지지부 4: 드럼 41: 드럼 바디
43: 드럼투입구 5: 구동부 61: 급수관
63: 급수밸브 71: 배수펌프 73: 제1배수관
75: 제2배수관 9: 수위감지부 91: 연통관
93: 감지부 931: 하우징 933: 격벽
935: 제1챔버 937: 제2챔버 938: 자성체
939: 코일

Claims (10)

  1.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부, 상기 터브 내부와 연통하며 내부에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에 대응하는 물기둥이 형성되는 연통관,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거품감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 미만인 경우,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회전단계의 진행 중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 이상인 경우,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회전단계의 진행 중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면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 미만인 경우,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제1압력 이상일 때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압력은 상기 급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한 압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 이상이면,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제2압력 이하일 때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압력은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물이 저장된 상기 터브 내부에서 상기 드럼이 상기 기준회전수로 회전할 때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되는 압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터브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면,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상기 기준회전수 이하로 낮추는 감속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 미만인 상태에서 상기 터브에 거품이 발생하면,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거품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회전수는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 높이의 2/3 이상의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회전수는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최고점까지 상승시키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회전수는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이 상기 터브의 원주면을 따라 순환하게 만드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연통관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기 연통관에 연통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격리된 제2챔버로 구분하며,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제2챔버를 향해 이동하는 격벽;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2챔버의 외부에 위치된 코일; 상기 격벽에 고정되며,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코일 내부로 삽입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 미만이면,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코일의 인덕턴스가 증가하면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 이상이면,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코일의 인덕턴스가 감소한 때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연통관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기 연통관에 연통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격리된 제2챔버로 구분하며,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제2챔버를 향해 이동하는 격벽;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2챔버의 외부에 위치된 코일; 상기 격벽에 고정되며,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코일 내부로 삽입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 미만이면,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코일의 주파수가 감소하면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기준회전수 이상이면,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상기 코일의 공진주파수가 증가한 때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138188A 2016-10-24 2016-10-24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544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188A KR102544443B1 (ko) 2016-10-24 2016-10-24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188A KR102544443B1 (ko) 2016-10-24 2016-10-24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548A true KR20180044548A (ko) 2018-05-03
KR102544443B1 KR102544443B1 (ko) 2023-06-16

Family

ID=6224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188A KR102544443B1 (ko) 2016-10-24 2016-10-24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4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100A (ko) * 1997-02-14 1998-10-1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61465A (ko) * 2007-12-11 2009-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100A (ko) * 1997-02-14 1998-10-1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61465A (ko) * 2007-12-11 2009-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443B1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6333B2 (en) Washing machine with ball balancer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reduction thereof
EP2849008B1 (en) Foam-reducing procedure in a washing machine during a spinning cycle
US10266980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11249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pin-drying process with diagonal unbalance considered in spin-dryer or washing machine, and spin-dryer or washing machine controlling spin-drying process with the same
KR101757303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6941967B2 (ja) 洗濯機
KR10210444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2848726A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washing machine
KR101457163B1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JP2005152593A (ja) 洗濯機の脱水運転制御方法
KR20170016686A (ko) 의류처리장치
US10077525B2 (en) Method for operating a washing machine during a washing cycle
KR20080010593A (ko) 드럼 세탁기의 포량별 수위 조절 방법
KR101463809B1 (ko)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KR102328248B1 (ko) 볼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진동 제어방법
KR20180044548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9145634B2 (en) Method of operating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102411845B1 (ko) 의류처리장치
CN107700142B (zh)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KR20180089965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596979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2810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639687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5428B1 (ko) 의류처리장치
EP4375411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