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083A - 조립 가이드 기능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 Google Patents

조립 가이드 기능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083A
KR20180044083A KR1020160137723A KR20160137723A KR20180044083A KR 20180044083 A KR20180044083 A KR 20180044083A KR 1020160137723 A KR1020160137723 A KR 1020160137723A KR 20160137723 A KR20160137723 A KR 20160137723A KR 20180044083 A KR20180044083 A KR 20180044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se plate
battery pack
bolt fasten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906B1 (ko
Inventor
김관우
임상욱
김효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3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906B1/ko
Priority to US15/789,040 priority patent/US10522803B2/en
Publication of KR20180044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01M2/1083
    • G01R31/360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 배열되어 하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지모듈들; 상기 전지모듈들이 장착되는 모듈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모듈들의 냉각을 위해, 전지모듈들의 하부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지모듈들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전지모듈의 수평면 상의 모서리들 각각에는 볼트 체결홈이 전지모듈의 높이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볼트 체결홈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용접 너트들이 개구들을 통해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용접 너트의 상단부는 높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볼트 체결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볼트 체결홈과 용접 너트에 볼트가 삽입되어 전지모듈과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 가이드 기능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Battery Pack Comprising Coupling Member Having Assembling Guide Function}
본 발명은 조립 가이드 기능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차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 만으로 운행될 수 있는 전기자동차(EV), 배터리와 기존 엔진을 병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이 개발되었고, 일부는 상용화되어 있다. EV,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의 이차전지는 주로 니켈 수소 금속(Ni-MH) 이차전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높은 에너지 밀도, 높은 방전 전압 및 출력 안정성의 리튬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상용화 단계에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가 자동차의 동력원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이차전지는 다수의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 또는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형태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전지팩은 복수의 전지모듈들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모듈 수납부에 장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에는 전지팩 제조 공정 중 작업자가 전지모듈들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전지모듈들의 위치를 가이드 해줄 어떠한 부재 및 구조도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 해서,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에 따라 전지모듈의 위치가 틀어지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그로 인한 전지모듈의 조립 공차로 인해 전지팩 전반의 구조적인 강성이 저하되고 조립 불량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팩 제조 공정 중 전지모듈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전지모듈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정위치로 가이드 되어 장착 및 결합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용접 너트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인접 배열되어 하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지모듈들;
상기 전지모듈들이 장착되는 모듈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모듈들의 냉각을 위해, 전지모듈들의 하부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고,
상기 전지모듈들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전지모듈의 수평면 상의 모서리들 각각에는 볼트 체결홈이 전지모듈의 높이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볼트 체결홈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용접 너트들이 개구들을 통해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용접 너트의 상단부는 높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볼트 체결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볼트 체결홈과 용접 너트에 볼트가 삽입되어 전지모듈과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상단부가 높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볼트 체결홈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개선된 구조의 용접 너트를 포함함으로써, 전지팩 제조 공정 중 전지모듈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전지모듈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정위치로 가이드 되어 장착 및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용접 너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볼트의 하단부가 체결되는 너트부; 및
상기 너트부의 상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볼트 체결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의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볼트 체결홈의 높이의 10% 내지 40%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가 볼트 체결홈의 높이의 10% 미만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전지모듈을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신속히 정위치 시키기 어려울 수 있고, 반면에 상기 가이드부가 볼트 체결홈의 높이의 40% 를 초과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전지모듈을 용접 너트에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너트부는 개구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개구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경으로 이루어져 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지모듈은,
복수의 단위셀들이 측면이 인접하여 배열되어 이루어져 있는 단위셀 배열체;
상기 단위셀 배열체가 장착되는 모듈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단위셀 배열체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장착되고, 단위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 바 어셈블리(bus bar assembly);
상기 버스 바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장착되고, 단위셀 배열체로부터 전압 및 온도를 검출하여 전지모듈을 제어하는 슬레이브 BMS(slave battery management system);
상기 버스 바 어셈블리 및 슬레이브 BMS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엔드 플레이트들; 및
상기 단위셀 배열체의 상면에 장착되고, 모듈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단위셀 배열체를 내장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탑 커버;
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볼트 체결홈은 엔드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지모듈 각각에는 4개의 볼트 체결홈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트 체결홈은 전지모듈의 높이의 20% 내지 70%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볼트 체결홈이 전지모듈 높이의 20% 미만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볼트가 삽입되어 전지모듈과 베이스 플레이트 간의 결합력이 약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볼트 체결홈이 전지모듈 높이의 70% 를 초과하는 크기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볼트가 삽입되어 조립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셀은 판상형의 전지셀들이 2단위로 전지셀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 어셈블리는,
전지모듈들의 하단에 장착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 및
상기 열 전달 플레이트의 하면에 열접촉 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냉매가 유동하는 중공 구조 또는 냉매 도관이 구비되어 있는 어셈블리 냉각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지셀은 파우치형 전지셀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은,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에 전해액과 함께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폴딩형 구조, 또는 스택형 구조,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 또는 라미네이션/스택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폴딩형, 스택형, 스택/폴딩형, 및 라미네이션/스택형의 전극 구조에 대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폴딩형 구조의 단위셀은, 각각의 금속 집전체에 전극활물질을 포함하는 합제를 코팅한 후 건조 및 프레싱한 시트 형태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 시트를 위치시키고, 권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스택형 구조의 단위셀은, 각각의 금속 집전체에 전극 합제를 코팅한 뒤 건조 및 프레싱한 후 소정의 크기로 절취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에 대응하는 소정의 크기로 절취한 분리막을 개재시킨 후 적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스택/폴딩형 구조의 단위셀은, 양극과 음극이 대면하는 구조로, 둘 이상의 극판들이 적층되어 있는 유닛셀들을 둘 이상 포함하고, 중첩되지 않은 형태로 하나 이상의 분리필름으로 유닛셀들을 권취하거나, 또는 유닛셀의 크기로 분리필름을 절곡하여 유닛셀들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양극과 음극이 대면하는 구조로, 임의의 유닛셀들 사이 및/또는 최외측 유니셀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단일 극판이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유닛셀은 양측 최외곽의 극판들이 동일한 전극을 가진 S형 유닛셀과, 양측 최외곽의 극판들이 반대 전극을 가진 D형 유닛셀일 수 있다.
상기 S형 유닛셀은, 양측 최외곽의 극판들이 양극인 SC형 유닛셀과, 양측 최외곽의 극판들이 음극인 SA형 유닛셀일 수 있다.
라미네이션/스택형 구조의 단위셀은, 각각의 금속 집전체에 전극 합제를 코팅한 뒤 건조 및 프레싱하고 소정의 크기로 절취한 후,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음극, 음극의 상부에 분리막, 그리고 양극, 그리고 그 상부에 분리막을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지케이스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구조의 파우치형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지케이스의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우수한 내구성의 수지 외층, 차단성의 금속층, 및 열용융성의 수지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수지 실란트층이 상호 열융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외층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수한 내성을 가져야 하므로, 소정 이상의 인장강도와 내후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측면에서 외측 수지층의 고분자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연신 나일론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단성 금속층은 가스, 습기 등 이물질의 유입 내지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 전지케이스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실란트층은 열융착성(열접착성)을 가지고, 전해액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흡습성이 낮으며, 전해액에 의해 팽창하거나 침식되지 않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셀은 그것의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인 예로서,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및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혼합물에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xMn2-xO4 (여기서, x 는 0 ~ 0.33 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xMx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xMx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양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을 도포, 건조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성분들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0≤x≤1), LixWO2(0≤x≤1), SnxMe1-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and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 및 분리필름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 10 ㎛이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5 ~ 130 ㎛이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예를 들어, 내화학성 및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전지의 안전성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분리막 및/또는 분리필름은 유/무기 복합 다공성의 SRS(Safety-Reinforcing Separators) 분리막일 수 있다.
상기 SRS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계열 분리막 기재상에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고분자를 활성층 성분으로 사용하여 제조되며, 이때 분리막 기재 자체에 포함된 기공 구조와 더불어 활성층 성분인 무기물 입자들간의 빈 공간(interstitial volume)에 의해 형성된 균일한 기공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인 분리막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화성 공정(Formation)시의 스웰링(swelling)에 따른 전지 두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바인더 고분자 성분으로 액체 전해액 함침시 겔화 가능한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전해질로도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은 분리막 내 활성층 성분인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고분자의 함량 조절에 의해 우수한 접착력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전지 조립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무기물 입자는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기물 입자는 적용되는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예컨대, Li/Li+ 기준으로 0~5V)에서 산화 및/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이온 전달 능력이 있는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경우, 전기 화학 소자 내의 이온 전도도를 높여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이온 전도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물 입자가 높은 밀도를 갖는 경우, 코팅시 분산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 제조시 무게 증가의 문제점도 있으므로, 가능한 밀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전율이 높은 무기물인 경우, 액체 전해질 내 전해질 염, 예컨대 리튬염의 해리도 증가에 기여하여 전해액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액은, 극성 유기 전해액과 리튬염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해액으로는 비수계 액상 전해액, 유기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된다.
상기 비수계 액상 전해액으로는,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감마-부틸로 락톤, 1,2-디메톡시 에탄, 테트라히드록시 프랑(franc),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소런,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소런,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 메틸, 초산메틸, 인산 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디옥소런 유도체, 설포란, 메틸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테르, 피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에스테르 술파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이온성 해리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Li3N, LiI, Li5NI2, Li3N-LiI-LiOH, LiSiO4, LiSiO4-LiI-LiOH, Li2SiS3, Li4SiO4, Li4SiO4-LiI-LiOH, Li3PO4-Li2S-SiS2 등의 Li의 질화물, 할로겐화물, 황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상기 비수계 전해질에 용해되기 좋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 보란 리튬, 저급 지방족 카르본산 리튬, 4 페닐 붕산 리튬, 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수계 전해액에는 충방전 특성, 난연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 인산 트리 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삼염화 알루미늄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삼불화에틸렌 등의 할로겐 함유 용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고, 고온 보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탄산 가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지모듈들은 직렬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소망하는 전지 규격에 따라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상단부가 높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볼트 체결홈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개선된 구조의 용접 너트를 포함함으로써, 전지팩 제조 공정 중 전지모듈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전지모듈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정위치로 가이드 되어 장착 및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팩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냉각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지팩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부위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용접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용접 너트가 볼트 체결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볼트 체결홈 및 용접 너트에 볼트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전지모듈의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전지팩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냉각 어셈블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의 전지팩의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A-A' 부위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2 의 용접 너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용접 너트가 볼트 체결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6의 볼트 체결홈 및 용접 너트에 볼트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지팩(100)은, 복수의 전지모듈(200)들, 베이스 플레이트(300), 냉각 어셈블리(400), 용접 너트(500) 및 볼트(600)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모듈(200)들은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형성되어 있는 모듈 수납부(310)에 장착되어 있고, 전지모듈(200)들은 직렬 연결되어 있다.
냉각 어셈블리(400)는 전지모듈(200)들의 냉각을 위해, 전지모듈(200)들의 하부와 베이스 플레이트(300) 사이에 위치해 있다. 냉각 어셈블리(400)는, 전지모듈(200)들의 하단에 장착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410) 및 열 전달 플레이트(410)의 하면에 열접촉 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도관(421) 구비되어 있는 어셈블리 냉각 플레이트(420)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모듈(200)들과 베이스 플레이트(30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전지모듈(200)의 수평면 상의 모서리들 각각에는 볼트 체결홈(201)이 전지모듈의 높이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300)에는 볼트 체결홈(201)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용접 너트(500)들이 개구들을 통해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다.
용접 너트(500)의 상단부는 높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볼트 체결홈(20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볼트 체결홈(201)과 용접 너트(500)에 볼트(600)가 삽입되어 전지모듈(200)과 베이스 플레이트(30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용접 너트(500)는 너트부(510) 및 가이드부(520)로 이루어져 있다.
너트부(510)는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하단에 장착되고, 볼트(600)의 하단부가 체결된다. 가이드부(520)는 너트부(510)의 상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있고, 볼트 체결홈(20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가이드부(520)의 높이(H2)는 볼트 체결홈(201)의 높이(H1)의 40%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너트부(510)는 개구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가이드부(520)는 개구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8에는 도 1의 전지모듈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전지모듈(200)은 단위셀 배열체(210), 모듈 베이스 플레이트(220), 버스 바 어셈블리(230), 슬레이브 BMS(240), 엔드 플레이트(250), 및 탑 커버(260)로 이루어져 있다.
단위셀 배열체(210)는 복수의 단위셀(211)들이 측면이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단위셀 배열체(210)는 모듈 베이스 플레이트(220)에 장착된다.
단위셀 배열체(210)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는 단위셀(211)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 바 어셈블리(230)가 장착되어 있다.
슬레이브 BMS(240)는 버스 바 어셈블리(230)의 일면에 장착되고 단위셀 배열체(210)로부터 전압 및 온도를 검출하여 전지모듈(200)을 제어한다.
엔드 플레이트(250)들은 버스 바 어셈블리(230) 및 슬레이브 BMS(240)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탑 커버(260)는 단위셀 배열체(210)의 상면에 장착되고, 모듈 베이스 플레이트(220)와 결합되어 단위셀 배열체(210)를 내장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볼트 체결홈(201)은 엔드 플레이트(25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볼트 체결홈(201)은 전지모듈(200)의 높이(H3)의 60%의 높이(H1)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1. 인접 배열되어 하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지모듈들;
    상기 전지모듈들이 장착되는 모듈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모듈들의 냉각을 위해, 전지모듈들의 하부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지모듈들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전지모듈의 수평면 상의 모서리들 각각에는 볼트 체결홈이 전지모듈의 높이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볼트 체결홈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용접 너트들이 개구들을 통해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용접 너트의 상단부는 높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볼트 체결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볼트 체결홈과 용접 너트에 볼트가 삽입되어 전지모듈과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너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볼트의 하단부가 체결되는 너트부; 및
    상기 너트부의 상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볼트 체결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볼트 체결홈의 높이의 10% 내지 40%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는 개구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개구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경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복수의 단위셀들이 측면이 인접하여 배열되어 이루어져 있는 단위셀 배열체;
    상기 단위셀 배열체가 장착되는 모듈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단위셀 배열체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장착되고, 단위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 바 어셈블리(bus bar assembly);
    상기 버스 바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장착되고, 단위셀 배열체로부터 전압 및 온도를 검출하여 전지모듈을 제어하는 슬레이브 BMS(slave battery management system);
    상기 버스 바 어셈블리 및 슬레이브 BMS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엔드 플레이트들; 및
    상기 단위셀 배열체의 상면에 장착되고, 모듈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단위셀 배열체를 내장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탑 커버;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홈은 엔드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전지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홈은 전지모듈의 높이의 20% 내지 70%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전지팩.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판상형의 전지셀들이 2단위로 전지셀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어셈블리는,
    전지모듈들의 하단에 장착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 및
    상기 열 전달 플레이트의 하면에 열접촉 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냉매가 유동하는 중공 구조 또는 냉매 도관이 구비되어 있는 어셈블리 냉각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파우치형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은,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는 전지케이스에 전해액과 함께 내장되어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들은 직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60137723A 2016-10-21 2016-10-21 조립 가이드 기능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101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723A KR102101906B1 (ko) 2016-10-21 2016-10-21 조립 가이드 기능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US15/789,040 US10522803B2 (en) 2016-10-21 2017-10-20 Battery pack including coupling member having assembling guid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723A KR102101906B1 (ko) 2016-10-21 2016-10-21 조립 가이드 기능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083A true KR20180044083A (ko) 2018-05-02
KR102101906B1 KR102101906B1 (ko) 2020-04-17

Family

ID=6196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723A KR102101906B1 (ko) 2016-10-21 2016-10-21 조립 가이드 기능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22803B2 (ko)
KR (1) KR10210190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666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1091364A1 (ko) * 2019-11-08 2021-05-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N113212138A (zh) * 2021-04-06 2021-08-06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电池包安装组件及电动汽车
WO2021201454A1 (ko) * 2020-04-01 2021-10-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30755A1 (ko) * 2020-08-07 2022-0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보강 빔을 이용한 냉각 플레이트의 체결을 개선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20060694A (ko) * 2020-11-05 2022-05-12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고방열 경량화 배터리 모듈
US11929457B2 (en) 2019-01-25 2024-03-12 Lg Energy Solution, Ltd. Bolting device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3019B (zh) * 2018-09-11 2021-07-09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电池软包模组结构
US11355811B2 (en) * 2019-03-29 2022-06-07 International Power Supply AD Environmental enclosures,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off-grid outdoor power systems
CN110112343B (zh) * 2019-04-25 2022-12-16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空间飞行器用矩形蓄电池组模块化结构
CN110224094B (zh) * 2019-06-27 2021-09-07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用电池减震支架
CN209786057U (zh) * 2019-07-05 2019-12-1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构件和二次电池
KR20210133538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20025420A (ko) *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N112117411A (zh) * 2020-09-16 2020-12-22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动力电池下箱体的夹层结构底板及动力电池下箱体
IT202000026545A1 (it) 2020-11-06 2022-05-06 Ferrari Spa Sistema di accumulo di energia elettrica per un veicolo provvisto di almeno un motore elettrico
IT202200006839A1 (it) 2022-04-06 2023-10-06 Ferrari Spa Connettore elettrico per collegare tra loro i morsetti di due moduli batteria adiacenti in un sistema di accumulo di energia elettrica
EP4362189A1 (en) 2022-10-31 2024-05-01 FERRARI S.p.A. Vehicle provided with a power storage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9074A (ja) * 2010-12-15 2012-07-05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ケース
JP2013503432A (ja) * 2009-08-28 2013-01-3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の冷却方法
KR20130132459A (ko) * 2010-10-29 2013-12-04 다나 캐나다 코포레이션 열전도성 배터리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 및 배터리 유닛 구조
KR20150044599A (ko) * 2013-10-17 2015-04-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60077762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KR20160079703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2884B2 (ja) * 2003-10-10 2007-09-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EP1839348B1 (en) * 2004-12-24 2013-05-08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0696631B1 (ko) * 2005-08-11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CN102630352B (zh) * 2009-11-27 2015-04-29 Lg电子株式会社 电池
KR101403930B1 (ko) * 2010-08-16 2014-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KR101173870B1 (ko) * 2010-08-18 2012-08-1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EP2697860B1 (en) * 2011-04-15 2020-08-19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system having an external thermal management system
CN104769746B (zh) * 2012-11-09 2017-10-03 日产自动车株式会社 电池组和电池组的制造方法
EP2991131B1 (en) * 2013-05-15 2017-12-20 Lg Chem, Ltd. Battery module assembly
KR20150044800A (ko) * 2013-10-17 2015-04-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EP2916366B1 (en) * 2014-03-05 2018-01-31 Volvo Car Corporation Energy storage enclosure
US9413047B2 (en) * 2014-10-01 2016-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ssembly to manage contact between battery cell array and thermal interface component of thermal plate
EP3002802B1 (en) * 2014-10-03 2018-05-30 Volvo Car Corporation Energy storage module and system
WO2016174855A1 (ja) * 2015-04-28 2016-11-0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KR101948180B1 (ko) * 2015-04-30 2019-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3432A (ja) * 2009-08-28 2013-01-3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の冷却方法
KR20130132459A (ko) * 2010-10-29 2013-12-04 다나 캐나다 코포레이션 열전도성 배터리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 및 배터리 유닛 구조
JP2012129074A (ja) * 2010-12-15 2012-07-05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ケース
KR20150044599A (ko) * 2013-10-17 2015-04-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60077762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KR20160079703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9457B2 (en) 2019-01-25 2024-03-12 Lg Energy Solution, Ltd. Bolting device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WO2021075666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1091364A1 (ko) * 2019-11-08 2021-05-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1201454A1 (ko) * 2020-04-01 2021-10-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30755A1 (ko) * 2020-08-07 2022-0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보강 빔을 이용한 냉각 플레이트의 체결을 개선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20060694A (ko) * 2020-11-05 2022-05-12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고방열 경량화 배터리 모듈
CN113212138A (zh) * 2021-04-06 2021-08-06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电池包安装组件及电动汽车
CN113212138B (zh) * 2021-04-06 2022-08-26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电池包安装组件及电动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906B1 (ko) 2020-04-17
US10522803B2 (en) 2019-12-31
US20180114961A1 (en)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906B1 (ko) 조립 가이드 기능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769577B1 (ko)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KR101636378B1 (ko) 방열 구조를 가지는 단위모듈 제조용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158257B1 (ko) 탄소 발열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70085665A (ko) 2층으로 장착된 전지모듈들을 포함하는 전지팩
KR20170103332A (ko) 전극 리드 감지용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셀 이송 장치
KR20170084522A (ko) 측면 냉각 방식의 냉각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70084501A (ko) 디바이스에 대한 탑재 공간이 최소화된 전지팩
KR20150028537A (ko) 전해액 함침성이 향상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1905B1 (ko) 복층으로 장착된 전지모듈들을 포함하는 전지팩
KR101414334B1 (ko) 고전압 전기화학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08378A (ko) 슬라이딩 방식의 전지셀 이송 장치
KR20180085139A (ko) 절연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80055399A (ko) 전지셀 고정용 탄성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684336B1 (ko) 하이브리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70082239A (ko) 확장된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451193B1 (ko) 성능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
KR101778670B1 (ko) 관통 구조의 냉매 유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80065096A (ko) 규격화된 구조의 셀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30116513A (ko)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645463B1 (ko) 하이브리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80035331A (ko)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냉각핀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471964B1 (ko) 신규한 전극리드-전극 탭 결합부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셀
KR20170088024A (ko) 절곡 실링부와 전극조립체 수납부가 높이 차이를 가진 파우치형 전지셀
KR20170021027A (ko) 분리막 시트에 의해 권취된 구조의 단위셀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