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981A -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981A
KR20180042981A KR1020160135668A KR20160135668A KR20180042981A KR 20180042981 A KR20180042981 A KR 20180042981A KR 1020160135668 A KR1020160135668 A KR 1020160135668A KR 20160135668 A KR20160135668 A KR 20160135668A KR 20180042981 A KR20180042981 A KR 20180042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abacus
electronic
game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315B1 (ko
Inventor
김택진
Original Assignee
(주)가치와기술
김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치와기술, 김택진 filed Critical (주)가치와기술
Priority to KR1020160135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3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43Electric board games; Electric features of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21Electric word or number g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G09B19/025Counting; Calculating with electrically operated apparatu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63F2001/0416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with nu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자체의 고유 ID 정보 및 복수의 주판알의 운주정보를 전송하는 전자주판; 복수의 칸으로 구획되며, 각 칸에 특정의 표지물이 올려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게임판; 상기 게임판의 특정의 칸에 특정의 표지물이 올려 놓이면, 상기 칸의 위치 및 상기 표지물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주판으로부터의 상기 운주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응답이 상기 표지물이 올려놓인 칸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답과 일치하는지 판정하고, 상기 응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답과 일치하면 상기 표지물을 상기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응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답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표지물을 상기 칸으로부터 제거하도록 안내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DIGITAL BOARD GAME SYSTEM WITH ELECTRONIC ABACUS}
본 발명은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주판을 운주함으로써 보드 게임을 진행하는 방식의 보드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주판을 이용한 주산교육은 학생의 암기력과 집중력 향상의 측면에서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주판을 이용한 주산교육을 더 효율적이고 재미있게 운영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주판이 개발되었다. 전자주판은, 자릿대의 위치와 주판알의 움직임에 따라 분석된 계산값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함은 물론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하여 사용자가 주판알의 움직임에 따른 계산의 과정과 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더욱, 계산의 과정과 결과가 컴퓨터에서 판독될 수 있도록 통신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주판과 연동하는 주판 게임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데, 전자주판이 인터넷상의 주판 게임 관련 학습자료를 송수신하면서 온라인을 통해 다수의 전자주판 이용자들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주판 게임 관련 학습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들과 함께 온라인 상태에서 전자주판을 이용하는 게임을 진행하여, 전자주판을 이용한 계산 능력과 지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렇게, 전자주판을 계산의 차원을 넘어 다양한 용도로 확장시키는 온라인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온라인 컨텐츠는, 각 사용자들이 자신의 위치에서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게임을 진행하게 되므로,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키보드에 의한 채팅, 마이크에 의한 음성 전달 등으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게임이 정적이고 지루해질 수 있어서, 실제로 개발자가 원했던 재미나 학습효과를 거둘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오프라인에서 사용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직접 주판을 조작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사회성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주산교육의 효과도 극대할 수 있는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은, 자체의 고유 ID 정보 및 복수의 주판알의 운주정보를 전송하는 전자주판; 복수의 칸으로 구획되며, 각 칸에 특정의 표지물이 올려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게임판; 상기 게임판의 특정의 칸에 특정의 표지물이 올려 놓이면, 상기 칸의 위치 및 상기 표지물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주판으로부터의 상기 운주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응답이 상기 표지물이 올려놓인 칸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답과 일치하는지 판정하고, 상기 응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답과 일치하면 상기 표지물을 상기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응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답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표지물을 상기 칸으로부터 제거하도록 안내하는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주정보는, 상기 전자주판의 각 주판알을 운주한 과정을 표시하거나 또는 각 주판알이 놓여진 최종 상태에 의한 숫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주판은, 상기 운주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고자 하는 조작을 입력받는 전송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판은, 상기 표지물이 구비한 전자부품을 감지하거나 상기 표지물의 색상 또는 모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여, 임의의 칸에 놓여진 표지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종류정보 및 상기 표지물이 놓여진 칸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판은, 다차원 좌표에 의해 구획되고, 또한, 상기 표지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복수의 빈칸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의 둘레에 배치된 임의의 바닥 숫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바닥 숫자들의 위치 및 값을 미리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정답은, 각 칸에 관련된 상기 바닥 숫자들을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할 수 있는 계산결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전자주판에 의해 첫번째로 전송된 운주정보는, 상기 게임자가 자신에게 지정된 표지물을 올려놓은 상기 칸의 좌표정보로 인식하고, 상기 전자주판에 의해 두번째로 전송된 운주정보는, 상기 칸에 대하여 상기 게임자가 입력한 상기 응답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은, 임의의 숫자 또는 가감승제 연산부호가 표시된 복수의 보조카드, 및 상기 보조카드의 종류를 식별하여 카드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카드인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카드인식기의 상기 카드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카드를 식별하고, 상기 표지물이 놓인 칸에 관련된 바닥 숫자들과 상기 식별된 보조카드에 표시된 숫자 또는 연산부호를 임의로 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답을 정의하고, 상기 전자주판에 의해 입력된 응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답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표지물을 상기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은, 임의의 숫자가 표시된 복수의 보조카드, 및 상기 보조카드의 종류를 식별하여 카드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카드인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임판은, 다차원 좌표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표지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복수의 빈칸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의 둘레에 배치된 임의의 바닥 숫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바닥 숫자들의 위치 및 값을 미리저장하고 있고, 상기 게임판의 각 칸에 대하여 둘레에 있는 상기 바닥 숫자들을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할 수 있는 계산결과들을 적어도 하나의 정답으로써 유지하고 있고, 상기 카드인식기의 상기 카드정보에 근거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의 각 숫자들을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능응답을 계산하고, 상기 게임판의 임의의 칸에 놓인 상기 표지물의 종류 및 해당 칸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주판으로 입력된 응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능응답 중 하나와 일치하고 동시에 상기 표지물이 놓인 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답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표지물을 상기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은, 임의의 숫자 또는 가감승제 연산부호가 표시된 복수의 보조카드, 및 상기 보조카드의 종류를 식별하여 카드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카드인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임판의 각 칸에는 임의의 바닥 숫자가 배치되어 상기 정답으로서 정의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바닥 숫자들의 위치 및 값을 미리저장하고 있고, 상기 표지물이 놓인 칸의 위치와 바닥 숫자를 식별하고, 상기 카드인식기의 상기 카드정보에 근거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카드의 숫자들을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능응답을 계산하고, 상기 전자주판으로 입력한 응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능응답 중 하나와 일치하고 동시에 상기 표지물이 놓인 칸의 바닥 숫자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표지물을 상기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판은, 복수의 칸이 나란히 배치된 홀수열, 및 상기 홀수열의 칸으로부터 1/2칸씩 엇갈리도록 복수의 칸이 나란히 배치된 짝수열이 반복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는, 최상위인 제1열의 각 칸에 배치된 바닥 숫자들을 미리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2열의 임의의 빈칸에 올려놓인 임의의 숫자 타일의 숫자와 동일하게 운주된 상기 운주정보를 상기 전자주판으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숫자 타일이 놓여진 칸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운주정보의 숫자가 상기 칸의 상위열에 있는 인접한 2개의 바닥 숫자를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한 정답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숫자 타일을 상기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은, 임의의 숫자 또는 가감승제 연산부호가 표시된 복수의 보조카드, 및 상기 보조카드의 종류를 식별하여 카드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카드인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카드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보조카드의 숫자를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한 정답을 미리저장하고 있고, 상기 게임판의 임의의 빈칸에 임의의 숫자 타일이 올려지고, 상기 식별된 보조카드의 숫자를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한 응답을 상기 전자주판을 통해서 수신하고, 상기 응답이 상기 정답과 일치하고, 그리고 상기 숫자 타일이 올려놓인 칸의 위치가 상기 게임판에 이미 놓여진 숫자 타일의 숫자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숫자 타일을 상기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은, 오프라인에서 사용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직접 주판을 조작하여 보드 게임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사회성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주산교육의 효과도 극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퀘어 연산" 게임을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 연산" 게임을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 연산 오목" 게임을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르기 모으기" 게임을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넘버 라인 업" 게임을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예측하고 한정하여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은, 전자주판(101, 102)과 게임판(200)과 컴퓨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자주판(101)은, 자릿대를 따라 이동하는 주판알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주판의 형태를 띤다. 또한, 전자주판(101)은, 주판알의 위치를 인식하여 게임자가 각 주판알을 운주한 과정을 순서대로 표시하거나 또는 주판알이 놓여진 최종 상태에 의한 숫자를 표시하는 운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주판(101)은 컴퓨터(4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전자주판(101)에 구비된 전송버튼(109)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운주정보를 통신 기능을 통해 컴퓨터(400)에 전송한다. 또한, 전자주판(101)은 고유의 ID가 부여되어 있으며, 전송버튼(109)이 조작될 때 ID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컴퓨터(400)에서 어느 전자주판(101 또는 102)이 운주정보를 전송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더욱, 전자주판(101)은 소정의 시청각 정보를 영상, 음향, 진동 등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게임판(200)은, 복수의 칸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 칸에 놓이는 표지물(201)의 종류를 식별가능하고, 표지물(201)이 놓인 칸의 위치를 식별가능하다. 그리고 해당 칸에 놓여진 표지물(201)의 종류정보 및 그 칸의 좌표정보를 컴퓨터(400)에 전송한다.
표지물(201)에는 전자부품(예를 들면, RFID 칩, NFC 칩, 블루투스 칩, 마그네틱 칩, 정전용량 센서 등)이 부착되거나 내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표지물(201)은 다양한 투명/반투명/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특정한 색상 또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게임판(200)은, 이러한 전자부품을 감지하거나, 표지물(201)의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여 어느 표지물(201)인지를 식별한다. 게임판(200)의 각 칸의 하부 또는 일측에는 상기 특성들(표지물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성들)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감지 수단은, RF 센서, 컬러 감지 센서, 이미지 촬영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게임판(200)의 상부에서 표지물(201)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표지물(201)을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서 도시된 컴퓨터(400)에 결합된 카드인식기(300)가 카메라의 형태로 구성되고, 이 카드인식기(300)가 게임판(200)을 바라볼 수 있도록 배치되고, 컴퓨터(400)에서는 게임판(200)을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각 표지물(201)의 배치 상태 및 게임판(200)의 바닥 숫자들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컴퓨터(400)가 자체 구비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게임판(200)을 촬영할 수도 있다.
게임판(200)의 구획된 형태 및 각 칸의 용도는 후술하는 다양한 보드 게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획된 형태는, 예를 들면, 직교 좌표축을 따른 격자 구획일 수 있으며, 육각형의 벌집 모양 연속 배열, 삼각형의 연속 배열, 3차원 배열, 그외 임의의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400)는, 특정의 게임자가 게임판(200)의 특정의 칸에 자신의 표지물(201)을 올려놓으면, 게임판(200)으로부터 전송되는 표지물이 놓인 칸의 좌표정보를 수신하고, 그 좌표정보에 의해 표지물(201)이 놓인 칸의 위치를 식별한다. 또한, 게임판(200)이 전송하는 종류정보에 근거하여 표지물(201)을 올려놓은 게임자를 식별한다.
그리고, 컴퓨터(400)는, 임의의 전자주판(101)으로부터 ID정보와 운주정보를 수신하면, ID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게임자가 전자주판(101)을 조작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수신한 운주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자가 운주하여 전송한 응답을 식별한다. 응답을 식별하면, 표지물(201)이 놓인 칸에 대하여 미리계산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정답 중 적어도 하나와 식별된 응답이 서로 일치하는지 검사하고, 게임자로부터의 응답이 어느 하나의 정답과 일치하면, 게임자가 전자주판(101)을 이용하여 올바른 응답을 생성하였다고 판단하고 게임자가 올려놓은 표지물(201)을 그 칸에 그대로 유지하도록 안내한다. 만일, 입력된 응답이 정답과 일치하지 않으면 금번에 올려놓은 표지물(201)을 상기 칸에서 제거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400)는 게임판(200)을 바라보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게임판(200)의 구획 상태, 표지물(201)의 종류, 표지물(201)이 놓여진 칸의 위치(좌표), 주판(전자주판이 아닐 수도 있음)의 운주 상태, 게임자의 식별, 등을 처리할 수도 있다. 더욱, 카메라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보조카드(210)의 식별 및 보조카드(210)의 사용 상태 등을 판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의 보드 게임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보드 게임의 상세를 설명한다.
<디지털 스퀘어 연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퀘어 연산" 게임을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스퀘어 연산"의 게임 방법 및 각 구성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게임판(200)에는 직교 좌표에 의해 격자 구획된 복수의 칸이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그 둘레에는 바닥 숫자가 배치될 수 있다. 숫자가 표시된 타일 형태의 부품이 각 칸에 올려 놓임으로써 바닥 숫자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게임판(200)은 평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상에 격자 구획된 각 칸이 구성되고, 둘레의 각 칸에 임의의 숫자가 표시될 수도 있다.
게임판(200)의 주변에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4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한 명 이상의 게임자가 자신의 전자주판(101)과 함께 게임에 참여할 수 있다.
게임판(200)의 격자 구획된 각 칸은 고유의 좌표가 지정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의 둘레에 바닥 숫자가 모두 놓여진 후에는, 임의의 게임자가 전자주판(101)을 이용하여 각 바닥 숫자를 컴퓨터(400)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게임자가 전자주판(101)을 이용하여 게임판(200)의 바닥 숫자들을 입력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2a를 참조하면, 특정의 전자주판(101)을 이용하여 임의의 원점에 해당하는 칸으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서대로 좌표정보와 바닥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할 수 있다. 즉, 전자주판(101)으로 15-(버튼)-18-(버튼)-16-(버튼)-17-(버튼)-14-(버튼)-13-(버튼)-.... 과 같이 조작함으로써, 원점인 칸의 바닥 숫자는 12이고, 이어서 미리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례로 18, 16, 17, 14, 13, ... 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내부 공간의 각 칸은 원점으로부터의 직교 좌표 순서쌍에 의하여 또는 각 칸에 부여된 고유번호로써 식별될 수도 있다. 즉, (1,1), (1,2), (1,3) ... 등의 순서쌍으로 각 칸이 식별되거나, 임의의 원점으로부터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01, 02, 03, 04, ... 순서로 차례대로 부여되는 일련번호에 의해 식별도 수도 있다(도 2b 참조). 각 순서쌍 또는 일련번호는 각 칸에 인쇄 또는 스티커 등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숫자 타일은 고유의 정보 또는 특성(예를 들면, 색깔, 모양, 고유한 RFID, NFC 등)을 가질 수 있으며, 게임판(200)이 이러한 정보 또는 특성을 감지하여 각 바닥 숫자를 즉시 식별하여, 좌표정보 및 종류정보를 생성하여 컴퓨터(4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카드 인식기(300)가 게임판(200)을 촬영하면 컴퓨터(400)가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각 바닥 숫자들을 인식할 수도 있다.
한편, 모든 바닥 숫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도 2b와 같이, 게임자들은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먼저, 첫번째 게임자가 내부 공간의 원하는 빈 칸에 자신의 표지물(201)을 올려놓고, 해당 칸의 위치에 해당하는 숫자를 운주한 후 전송버튼(109)을 조작한다. 이어서, 해당 칸의 상하좌우 연장선상에 있는 바닥 숫자 4개를 확인하고, 전자 주판(101)을 이용하여 2개 이상의 바닥 숫자를 임의의 순서로 임의의 방식으로 가감승제 계산하는 운주를 수행하고, 운주가 완료되면 전송버튼(109)을 조작한다.
컴퓨터(400)는 첫번째 입력된 운주정보에서 표지물(201)이 놓인 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해당 위치의 칸에서 계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정답을 계산한다. 즉, 컴퓨터(400)는 해당 칸의 상하좌우 연장선상의 4개의 숫자들을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하여 가감승제한 결과값들을 모두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 값들은 해당 칸에 대한 복수의 정답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두번째 입력된 운주정보로부터 게임자가 계산한 응답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응답이 미리저장된 복수의 정답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 검사하고, 정오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응답이 정답에 해당하면 게임자가 현재 올려놓은 표지물(201)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응답이 정답에 해당하지 않으면 게임자가 현재 올려놓은 표지물(201)을 제거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를 참조하면, 게임자가 42의 위치(순서쌍으로 (5,6)의 위치로서 초록색 표지물이 올려놓인 위치에 해당함)에 표지물(201)을 올려놓았고, 4방향의 바닥 숫자들이 3, 12, 27, 35이고, 연산은 4개의 모든 숫자를 이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가능한 정답은 4개의 숫자를 임의의 순서로 배치하고 가감승제 연산부호를 자유롭게 사용하여 복수 개가 만들어질 수 있다.
만일 게임자가 4개의 숫자를 모두 합하여 응답하고자 한다면, 전자주판(101)을 이용하여 3을 운주하고 이어서 12를 더하는 운주를 수행하고 이어서 27을 더하고 마지막으로 35를 더하여 최종으로 77가 운주된 상태에서 전송버튼(109)을 누를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400)는 입력된 응답이 가능한 정답 중 하나에 해당하므로, 표시 수단에 바르게 운주하였음을 표시할 수 있다. 게임자는 표지물 놓기에 성공하여 자신의 표지물(201)을 상기 칸에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컴퓨터(400)는 게임판(200)이 식별한 종류정보에 근거하여, 올려놓은 표지물(201)에 대한 정당한 게임자가 전자주판(101)을 이용하여 응답을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400)는 게임판(200)에서 제공하는 좌표정보에 의하여 표지물이 올려놓여진 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게임자는 자신의 표지물(201)을 올려놓은 위치를 전자주판(101)으로 입력할 필요없이 단 한번만 전송 버튼(109)을 조작하여 단지 계산 결과만을 응답으로서 전송하면 된다.
복수의 게임자가 순서대로 하나씩 자신의 표지물(201)을 게임판(200)에 올려놓게 되고, 어느 게임자의 표지물(201)이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으로 일정 개수 연속 배열되는 경우에, 그 게임자가 승자가 된다.
<트라이 연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 연산" 게임을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트라이 연산"의 게임 방법 및 각 구성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게임판(200)에는 직교 좌표에 의해 격자 구획된 복수의 칸이 내부 공간을 구성하고, 그 둘레에는 바닥 숫자가 배치될 수 있다. 내부 공간은 최대 9칸까지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바닥 숫자는 1 내지 9의 숫자일 수 있다. 바닥 숫자는 숫자 타일 형태로 각 칸에 임의의 방식으로 올려 놓일 수 있다.
트라이 연산은 보조카드(210)를 사용하여 진행된다.
보조카드(210)는, 임의의 숫자 또는 연산부호가 표시되어 있으며, 추가로 각 보조카드(210)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게 구성된 전자 부품 또는 광학적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은 예를 들면 RFID 또는 NFC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학적 표시는 예를 들면 QR 코드, 다차원 바코드, 표시된 숫자 또는 연산부호 자체, 그외의 특정한 색상 또는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인식기(300)는 상기 전자 부품 또는 광학적 표시를 식별하여 생성한 카드정보를 컴퓨터(400)로 전송한다. 카드인식기(300)는, 상기한 전자 부품과 상호 작용하는 전자 디바이스, 또는 광학적 표시를 판독하기 위한 광학 디바이스, 또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트라이 연산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된다.
먼저, 게임판(200)의 둘레에 각 바닥 숫자가 배치된 상태에서, 컴퓨터(400)에 각 바닥 숫자가 입력된다. 입력 방식은 전자주판(101)에 의한 직접 입력 방식과, 게임판(200)이 숫자 타일을 식별하는 방식과, 게임판(200)을 위에서 촬영하여 숫자를 식별하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게임자가 복수의 보조카드(210) 중에서 미리정해진 개수, 예를 들면, 3개의 보조카드를 선택한다. 선택된 보조카드(210)는 카드인식기(300)에 의해 식별되도록 한다.
컴퓨터(400)는 식별된 보조카드(210)의 각 숫자를 다양한 순서로 배열하고 배열된 숫자들을 임의의 가감승제 연산부호로 연결하여 다양한 가능응답을 계산하여 유지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게임자는 자신이 생각하는 계산 방식으로 각 보조카드(210)의 숫자들을 이용하여 전자주판(101)을 이용하여 운주하여 결과값(즉, 응답)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결과값이 게임판(200)의 바닥 숫자들에 의해 조합되는 다양한 정답들 중 하나와 일치하는 칸에 자신의 표지물(201)을 올려놓는다.
예를 들면, 선택된 보조카드(210)는 9, 8, 5일 수 있다.
게임자는 9+8-5=12를 응답으로 운주하고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자는 세로 방향으로 5와 3의 연결선과 가로 방향으로 2와 4의 연결선의 교차점에 자신의 표지물(201)을 올려놓을 수 있다. 이는, 게임판(200)의 바닥 숫자 중 세로 방향의 2개의 숫자와 가로 방향의 어느 하나의 숫자를 합산하여 정답을 구성하도록 정의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컴퓨터(400)는, 입력된 바닥 숫자들에 근거하여, 각 칸의 정답을 미리계산하여 저장해 둘 수 있으며, 게임자가 표지물(201)을 올려놓은 위치의 정답이 보조카드(210)에 의해 만들 수 있는 가능응답 중 하나에 해당하고, 또한, 게임자가 상기 정답에 해당하는 응답을 운주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현재의 표지물(201)을 해당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게임자는, 자신의 차례에서, 현재의 보조카드(210)에 의해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응답이 정답으로 정의된 칸이라면, 복수의 칸에 자신의 표지물(201)을 올려놓을 수도 있다.
즉, 게임자는, 세로 방향으로 1과 2의 연결선과 가로 방향으로 9와 3의 연결선의 교차점에 자신의 표지물(201)을 더 올려놓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카드(210)에 의해서는, 9+8+5=22가 또하나의 가능응답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게임자는 세로 방향으로 9와 7의 연장선과 가로 방향으로 6과 5의 연장선의 교차점에 자신의 표지물(201)을 더 올려놓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현재 선택된 보조카드(210)에 의한 표지물 올려놓기가 끝나면, 또다른 3개의 보조카드(210)를 선택하여 다음 차례를 수행할 수 있다.
각 게임자가 순서대로 자신의 표지물(201)을 올려놓고 내부공간의 모든 칸에 표지물(201)이 채워지면 게임은 종료한다.
<수 연산 오목>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 연산 오목" 게임을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수 연산 오목"의 게임 방법 및 각 구성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게임판(200)에는 직교 좌표에 의해 격자 구획된 복수의 칸이 배치되어 내부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내부 공간은 예를 들면 가로/세로 9×9칸일 수 있다. 물론, 더 적은 개수의 칸으로 구성되거나, 설정에 따라 일부의 칸만을 게임에 활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8×9의 72칸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칸에는 1 내지 36의 숫자가 각각 표시된 숫자 타일을 2세트 준비하여 하나씩 배치한다.
각 게임자는 보조카드(210)를 3개씩 나누어 가질 수 있다.
게임자는 자신의 차례에서, 자신에게 부여된 3개의 보조카드(210)에 표시된 각 숫자들을 임의의 순서로 배열하고 임의의 가감승제 연산을 수행하여 임의의 결과값(즉, 응답)을 전자주판(101)을 이용하여 운주할 수 있으며, 전송버튼(109)에 의해 결과값이 컴퓨터(400)로 전송된다.
그리고 게임자는 입력한 응답에 해당하는 숫자 타일이 놓여진 칸에 자신의 표지물(201)을 올려놓을 수 있다.
컴퓨터(400)는, 게임판(200)에 놓여진 숫자 타일과 그 위치를 식별하고, 또한 게임자가 올려놓은 표지물(201)과 그 위치를 식별하고, 게임자가 입력한 응답이 숫자 타일의 숫자와 일치하고 그 위치에 표지물이 놓여진 것을 확인한 경우에, 표시 수단을 통하여 표지물(201)을 해당 칸에 유지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각 게임자는 한 번씩 자신의 표지물(201)을 게임판에 올려놓을 수 있으며, 어느 한 게임자의 표지물(201)이 미리정해진 개수만큼 일직선 또는 대각선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게임은 종료하게 된다.
각 게임자가 자신의 차례에서 연산을 수행하거나 및/또는 표지물(201)을 게임판(200)에 올려놓은 경우에는, 자신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카드(210)를 반납하고 새로운 보조카드(210)를 가져올 수 있다.
도 4b는,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수 연산 오목 게임과 진행 방식은 동일하나, 게임판의 구성 방식이 다른 보드 게임이다. 여기서는, 육각형 모양의 숫자 타일을 원하는 만큼 모아 배열하여 게임판(200)을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게임판(200)의 구성된 형태 및 숫자 타일의 배치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카드인식기(300) 또는 컴퓨터(400)에 구비된 카메라로 게임판(200)을 촬영하여 게임판(200)의 형태 및 숫자 타일들, 그리고 각 게임자의 표지물(201)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르기 모으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르기 모으기" 게임을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가르기 모으기"의 게임 방법 및 각 구성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게임판(200)은, 복수의 칸이 나란히 배치된 홀수열과, 홀수열의 각 칸으로부터 1/2칸씩 엇갈리도록 복수의 각 칸이 나란히 배치된 짝수열과, 다시 동일하게 엇갈리는 방식으로 홀수열 및 짝수열이 반복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각 칸은 제1열로부터 한 칸씩 줄어들어 역삼각형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숫자 타일은 1 내지 10이 하나씩 표시된 10개의 타일이 복수 세트 준비될 수 있다.
그리고, 먼저, 최상위 홀수열인 제1열의 각 칸에는 임의의 숫자가 표시된 숫자 타일이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각 게임자는 동일한 개수의 숫자 타일들을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잔여 타일들은 숨겨질 수 있다.
컴퓨터(400)는, 제1열의 각 칸에 배치된 바닥 숫자들을 미리식별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먼저, 특정 게임자가 자신의 전자주판(101)을 이용하여 제1열의 서로 인접한 2개의 숫자 타일의 숫자들을 서로 가감승제 계산하여 결과값(즉, 응답)을 생성한다. 그리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숫자 타일 중 전자주판(101)을 이용하여 생성한 결과값에 해당하는 숫자 타일을 상기 계산에 사용한 2개의 숫자 타일의 사이인 다음열에 올려놓는다.
컴퓨터(400)는, 게임자가 올려놓은 숫자 타일의 종류와 그 상위열의 2개의 숫자 타일의 종류를 식별한다. 그리고 게임자가 올려놓은 숫자 타일의 숫자가, 상위열 2개의 타일을 가감승제 계산한 결과들(즉, 정답)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전자주판(101)으로부터 입력된 응답이 상기 게임자가 올려놓은 숫자 타일의 숫자와 일치하는지 검사할 수 있다.
상기 검사에 의해 게임자가 정확하게 전자주판(101)을 운주하였고 올바른 숫자 타일을 올바른 위치에 올려놓았다면, 표시수단을 통해서 올려놓은 숫자 타일을 유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각 게임자가 차례대로 전자주판(101)을 이용하여 상위열의 인접한 숫자들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가감승제 연산하여 자신의 숫자 타일을 그 하위열의 칸에 올려놓을 수 있으며, 모든 칸에 숫자 타일이 채워지면 게임은 종료한다.
<넘버 라인 업>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넘버 라인 업" 게임을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넘버 라인 업"의 게임 방법 및 각 구성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게임판(200)은 일렬로 늘어선 복수의 칸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각 게임자에게 각자의 게임판(200)이 제공된다.
한편, 임의의 숫자가 표시된 숫자 타일이 준비되고, 각 게임자에게 임의 개수의 숫자 타일이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숫자가 표시된 보조카드(210)가 준비될 수 있다.
게임을 수행함에 있어서, 먼저, 특정의 게임자가 소정 개수, 예를 들면, 3개의 보조카드(210)를 선택하여 공개한다. 이때, 선택된 보조카드(210)는 카드인식기(300)에 의해 식별될 수 있으며, 컴퓨터(400)는 현재 공개된 보조카드(210)를 인지할 수 있다.
미리정해진 순서에 따라 또는 선착순으로, 어느 게임자가 자신의 전자주판(101)을 이용하여 공개된 3개의 보조카드(210)의 숫자를 임의로 배열하고 임의의 가감승제 연산하여 결과값(즉, 응답)을 운주하고, 전송버튼(109)을 조작하여 컴퓨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400)는 현재 공개된 보조카드(210)에 의해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정답을 미리연산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전자주판(101)에 의해 전송된 응답이 저장된 정답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때, 올바르게 운주되었음을 표시한다.
해당 게임자는 현재 자신의 전자주판(101)에 의해 연산한 응답에 일치하는 숫자가 표시된 숫자 타일을 자신의 게임판(200)의 임의의 칸에 올려놓을 수 있다.
컴퓨터(400)는 게임판(200)의 어느 위치에 어떤 숫자 타일이 올려 놓였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게임자는 차례대로 하나씩의 숫자 타일을 자신의 게임판(200)의 원하는 위치에 올려놓을 수 있다.
자신의 차례에서 응답을 입력하여 숫자 타일을 올려놓지 못한 게임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숫자 타일이 추가될 수 있다.
한 번씩의 순서가 끝나면 공개된 보조카드(210)가 교체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게임자는, 각 숫자 타일이 게임판(200)의 각 칸에 올려놓을 때, 특정의 방향으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위치를 잘 선택해야 한다.
즉, 각 숫자 타일은 임의의 위치에 놓일 수 있으며, 놓인 위치는 이동할 수 없으며, 인접한 숫자 타일과 원하는 간격을 두고 놓일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서로 붙은 상태로 인접하게 놓여진 숫자 타일이 있고, 그 숫자 타일의 숫자들의 사이에 해당하는 새로운 숫자 타일이 발생했다면, 그 새로운 숫자 타일은 게임판(200)에 올려 놓일 수 없을 것이다. (물론, 게임 규칙을 정하여 임의의 위치에 올려놓을 수 있다.)

Claims (10)

  1. 자체의 고유 ID 정보 및 복수의 주판알의 운주정보를 전송하는 전자주판;
    복수의 칸으로 구획되며, 각 칸에 특정의 표지물이 올려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게임판;
    상기 게임판의 특정의 칸에 특정의 표지물이 올려 놓이면, 상기 칸의 위치 및 상기 표지물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주판으로부터의 상기 운주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응답이 상기 표지물이 올려놓인 칸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답과 일치하는지 판정하고, 상기 응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답과 일치하면 상기 표지물을 상기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응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답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표지물을 상기 칸으로부터 제거하도록 안내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주정보는, 상기 전자주판의 각 주판알을 운주한 과정을 표시하거나 또는 각 주판알이 놓여진 최종 상태에 의한 숫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주판은, 상기 운주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고자 하는 조작을 입력받는 전송버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판은,
    상기 표지물이 구비한 전자부품을 감지하거나 상기 표지물의 색상 또는 모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여, 임의의 칸에 놓여진 표지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종류정보 및 상기 표지물이 놓여진 칸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판은, 다차원 좌표에 의해 구획되고, 또한,
    상기 표지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복수의 빈칸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의 둘레에 배치된 임의의 바닥 숫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바닥 숫자들의 위치 및 값을 미리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정답은, 각 칸에 관련된 상기 바닥 숫자들을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할 수 있는 계산결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전자주판에 의해 첫번째로 전송된 운주정보는, 상기 게임자가 자신에게 지정된 표지물을 올려놓은 상기 칸의 좌표정보로 인식하고,
    상기 전자주판에 의해 두번째로 전송된 운주정보는, 상기 칸에 대하여 상기 게임자가 입력한 상기 응답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은,
    임의의 숫자 또는 가감승제 연산부호가 표시된 복수의 보조카드, 및
    상기 보조카드의 종류를 식별하여 카드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카드인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카드인식기의 상기 카드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카드를 식별하고,
    상기 표지물이 놓인 칸에 관련된 바닥 숫자들과 상기 식별된 보조카드에 표시된 숫자 또는 연산부호를 임의로 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답을 정의하고,
    상기 전자주판에 의해 입력된 응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답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표지물을 상기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은,
    임의의 숫자가 표시된 복수의 보조카드, 및
    상기 보조카드의 종류를 식별하여 카드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카드인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임판은, 다차원 좌표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표지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복수의 빈칸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의 둘레에 배치된 임의의 바닥 숫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바닥 숫자들의 위치 및 값을 미리저장하고 있고,
    상기 게임판의 각 칸에 대하여 둘레에 있는 상기 바닥 숫자들을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할 수 있는 계산결과들을 적어도 하나의 정답으로써 유지하고 있고,
    상기 카드인식기의 상기 카드정보에 근거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의 각 숫자들을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능응답을 계산하고,
    상기 게임판의 임의의 칸에 놓인 상기 표지물의 종류 및 해당 칸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주판으로 입력된 응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능응답 중 하나와 일치하고 동시에 상기 표지물이 놓인 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답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표지물을 상기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은,
    임의의 숫자 또는 가감승제 연산부호가 표시된 복수의 보조카드, 및
    상기 보조카드의 종류를 식별하여 카드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카드인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임판의 각 칸에는 임의의 바닥 숫자가 배치되어 상기 정답으로서 정의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바닥 숫자들의 위치 및 값을 미리저장하고 있고,
    상기 표지물이 놓인 칸의 위치와 바닥 숫자를 식별하고,
    상기 카드인식기의 상기 카드정보에 근거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카드의 숫자들을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능응답을 계산하고,
    상기 전자주판으로 입력한 응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능응답 중 하나와 일치하고 동시에 상기 표지물이 놓인 칸의 바닥 숫자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표지물을 상기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판은, 복수의 칸이 나란히 배치된 홀수열, 및 상기 홀수열의 칸으로부터 1/2칸씩 엇갈리도록 복수의 칸이 나란히 배치된 짝수열이 반복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는,
    최상위인 제1열의 각 칸에 배치된 바닥 숫자들을 미리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2열의 임의의 빈칸에 올려놓인 임의의 숫자 타일의 숫자와 동일하게 운주된 상기 운주정보를 상기 전자주판으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숫자 타일이 놓여진 칸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운주정보의 숫자가 상기 칸의 상위열에 있는 인접한 2개의 바닥 숫자를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한 정답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숫자 타일을 상기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은,
    임의의 숫자 또는 가감승제 연산부호가 표시된 복수의 보조카드, 및
    상기 보조카드의 종류를 식별하여 카드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카드인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카드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보조카드의 숫자를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한 정답을 미리저장하고 있고,
    상기 게임판의 임의의 빈칸에 임의의 숫자 타일이 올려지고, 상기 식별된 보조카드의 숫자를 임의의 순서 및 조합으로 가감승제하여 구성한 응답을 상기 전자주판을 통해서 수신하고,
    상기 응답이 상기 정답과 일치하고, 그리고 상기 숫자 타일이 올려놓인 칸의 위치가 상기 게임판에 이미 놓여진 숫자 타일의 숫자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숫자 타일을 상기 칸에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KR1020160135668A 2016-10-19 2016-10-19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KR101890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668A KR101890315B1 (ko) 2016-10-19 2016-10-19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668A KR101890315B1 (ko) 2016-10-19 2016-10-19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81A true KR20180042981A (ko) 2018-04-27
KR101890315B1 KR101890315B1 (ko) 2018-08-22

Family

ID=6208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668A KR101890315B1 (ko) 2016-10-19 2016-10-19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3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2018A (zh) * 2019-12-18 2020-06-19 蒙强 一种税务管理教学演示装置
KR102272061B1 (ko) * 2021-01-14 2021-07-02 주식회사 크리플 종합 사고력 학습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898A (ko) * 2003-05-16 2003-06-02 (주)에듀서브 게임 기능을 가지는 전자 주판
KR100646023B1 (ko) * 2004-12-07 2006-11-15 이지수 단어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KR20110000788A (ko) * 2009-06-29 2011-01-06 황규정 보드게임 세트
KR20140072952A (ko) * 2012-12-04 2014-06-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아날로그 게임이 적용되는 스마트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아날로그 게임 방법
KR20150142634A (ko) * 2014-06-11 2015-12-22 이정헌 보드게임 수행을 위한 개인용 휴대 단말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게임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898A (ko) * 2003-05-16 2003-06-02 (주)에듀서브 게임 기능을 가지는 전자 주판
KR100646023B1 (ko) * 2004-12-07 2006-11-15 이지수 단어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KR20110000788A (ko) * 2009-06-29 2011-01-06 황규정 보드게임 세트
KR20140072952A (ko) * 2012-12-04 2014-06-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아날로그 게임이 적용되는 스마트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아날로그 게임 방법
KR20150142634A (ko) * 2014-06-11 2015-12-22 이정헌 보드게임 수행을 위한 개인용 휴대 단말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게임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2018A (zh) * 2019-12-18 2020-06-19 蒙强 一种税务管理教学演示装置
KR102272061B1 (ko) * 2021-01-14 2021-07-02 주식회사 크리플 종합 사고력 학습장치
CN114764983A (zh) * 2021-01-14 2022-07-19 可丽普株式会社 综合思维能力学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315B1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8092767A1 (ja) 検査システム、検査装置、及び遊技用貨幣
PH12017000331A1 (en) Inspection system, inspecting device and gaming chip
KR101890315B1 (ko)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US5529497A (en) Apparatus for teaching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whole numbers through the use of objects
US10672296B2 (en) Device, teaching aid, and platform for computing mathematics, and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US4713009A (en) 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olving algebraic linear equations
KR101112155B1 (ko) 온라인상의 주관식 수학문제 학습시스템 및 방법
Threekunprapam et al. Patterns of Computational Thinking Development While Solving Unplugged Coding Activities Coupled with the 3S Approach for Self-Directed Learning.
Mahipal et al. DoodleIt: A novel tool and approach for teaching how CNNs perform image recognition
CN209842951U (zh) 用于教导编程的教育系统和套件
JP6399673B1 (ja) 知育シート、知育システム、知育プログラム、知育シートの答え合わせシステム及び知育シートの答え合わせプログラム
KR102253198B1 (ko)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방법
KR20200038159A (ko) 산수 학습 장치
Curcio et al. Early Childhood Corner: What Does Algebraic Thinking look like and Sound like with Preprimary Children?
JP6656689B2 (ja) プログラミング支援具
WO2013110860A1 (en) A game environment and a configuration thereof
JP2009294257A (ja) 算盤学習システム、算盤学習プログラム、算盤学習方法、運珠センシング装置、及び算盤表示装置
KR102408005B1 (ko) 사칙연산 기반의 학습 시스템
US20180221755A1 (en) Game system for playing games based on information on individual states
Soga et al. Computer-aided Sugoroku games in the Edo period using interactive techniques for museum exhibits
KR102384010B1 (ko)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퍼즐 게임 제공 방법 및 퍼즐 게임 장치
KR102556410B1 (ko) 전함 퍼즐을 이용한 연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전함 퍼즐 연산 게임 장치
US20100203485A1 (en) Method for teaching multiplication and factorization
KR102556412B1 (ko) 소수 막대 퍼즐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소수 막대 퍼즐 게임 장치
KR102623583B1 (ko) 미래 직업 체험 테마파크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