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771A - 공압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공압 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2771A KR20180042771A KR1020160135349A KR20160135349A KR20180042771A KR 20180042771 A KR20180042771 A KR 20180042771A KR 1020160135349 A KR1020160135349 A KR 1020160135349A KR 20160135349 A KR20160135349 A KR 20160135349A KR 20180042771 A KR20180042771 A KR 201800427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air
- check valve
- suction passage
- pneuma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04B39/001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with valve arranged in the pist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04B17/04—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using soleno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20—Mounting of accessories, e.g. pump, compress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5—Air-compresso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복동식 공기압축기의 피스톤로드를 중공상으로 제작하고, 피스톤 내부에는 역류방지구를 구비하여 피스톤의 왕복시 상기 피스톤로드로 공기흡입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급기밸브 및 배기밸브 없이 공기압축이 가능하므로 소형화할 수 있으며, 또한 배기엑츄에이터 및 공압센서를 공기압축기에 결합하여 공압을 필요로하는 대상물의 압력상태를 감지하고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는 공압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로 회전되는 편심된 캠을 갖는 구동수단; 상기 캠과 피스톤로드로 연결되고 실린더실 내부에서 왕복이동되는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는 중공상의 흡입통로가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흡입통로를 개폐하는 역류방지구가 내장되는데, 상기 피스톤의 후진시 상기 흡입통로가 개방되어 실린더실로 외기가 유입되고, 전진시 상기 역류방지구에 의해 흡입통로가 막히면서 압축공기가 발생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로 회전되는 편심된 캠을 갖는 구동수단; 상기 캠과 피스톤로드로 연결되고 실린더실 내부에서 왕복이동되는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는 중공상의 흡입통로가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흡입통로를 개폐하는 역류방지구가 내장되는데, 상기 피스톤의 후진시 상기 흡입통로가 개방되어 실린더실로 외기가 유입되고, 전진시 상기 역류방지구에 의해 흡입통로가 막히면서 압축공기가 발생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압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왕복동식 공기압축기의 피스톤로드를 중공상으로 제작하고, 피스톤 내부에는 역류방지구를 구비하여 피스톤의 왕복시 상기 피스톤로드로 공기흡입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공기압축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또한 배기엑츄에이터 및 공압센서를 공기압축기에 결합하여 공압을 필요로하는 대상물의 압력상태를 감지하여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는 공압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압축기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한 왕복동식,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회전식, 고속 회전하는 날개차의 원심력을 이용하는 원심식 및 회전식 등이 있다. 왕복동식의 경우 실린더 내부에서 피스톤이 고속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공기가 압축되는데, 이러한 압축공기는 압력용기에 저장된다.
최근 차량의 쇽업소버(shock absorber)에 에어튜브가 마련되어 스프링과 함께 주행중 충격을 완화시키는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이는 바퀴마다 에어튜브가 장착되고, 하나의 압력용기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각 에어튜브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공기압축기 및 압력용기가 하나로 구성되어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압력용기와 각 에어튜브를 배관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내압성이 보장되어야 하고 또한 배관길이가 길어져 압력손실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 일본 특개평7-167189호는 각 바퀴의 쇽업소버 마다 피에조엑츄에이터펌프를 설치하여 종래 하나의 공기압축기로 각 쇽업소버를 연결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일본 특허의 경우 피에조의 특성상 높은 토크를 발생시킬 수 없으므로 압축공기를 신속하게 공급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각 쇽업소버 마다 공기저장실을 별도로 마련하여 피에조엑츄에이터펌프로 부터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해야 되므로 여전히 부피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왕복동식 공기압축기의 경우 높은 토크로 인하여 압축공기를 신속하게 대상물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기저장실 없이 쇽업소버의 에어튜브 마다 일대일로 설치하여 공압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으나, 부피가 커서 실현불가능하였다.
일반적인 공기압축기는 실린더를 덮는 실린더해드에 급기밸브 및 배기밸브가 마련되고, 피스톤은 피스톤로드에 연결되어 왕복되는 구성이다. 이때 피스톤이 왕복되는 과정에서 상기 실린더해드의 급기밸브 및 배기밸브가 교대로 여닫히면서 외부공기를 흡입 및 압축하여 원하는 대상물에 공급하는 방식이므로 이를 소형화시켜 자동차의 각 쇽업소버마다 설치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왕복동식 공기압축기의 피스톤로드를 중공상으로 제작하고, 피스톤 내부에는 역류방지구를 구비하여 피스톤의 왕복시 상기 피스톤로드로 공기흡입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급기밸브 및 배기밸브 없이 공기압축이 가능하므로 소형화할 수 있으며, 또한 배기엑츄에이터 및 공압센서를 공기압축기에 결합하여 공압을 필요로하는 대상물의 압력상태를 감지하고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는 공압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왕복동식의 특성상 높은 토크로 공기를 압축하여 공압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기저장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공압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로 회전되는 편심된 캠을 갖는 구동수단; 상기 캠과 피스톤로드로 연결되고 실린더실 내부에서 왕복이동되는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는 중공상의 흡입통로가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흡입통로를 개폐하는 역류방지구가 내장되는데, 상기 피스톤의 후진시 상기 흡입통로가 개방되어 실린더실로 외기가 유입되고, 전진시 상기 역류방지구에 의해 흡입통로가 막히면서 압축공기가 발생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속회전되는 모터와 큰 감속비로 높은 토크를 발생시키는 왕복동식 공기압축기를 사용하므로 필요로하는 공압을 즉시 공급할 수 있어서 별도의 공기저장실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피스톤로드를 중공상으로 제작하여 공기흡입이 이뤄지고, 피스톤은 내부에 역류방지구가 마련되어 실린더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도록 하기 때문에 실린더해드에 배기밸브 및 급기밸브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공기압축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쇽업소버 마다 일대일로 설치하여 해당 에어튜브로 공압을 즉시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압축기와 배기엑츄에이터 및 공압센서가 하나의 연결블록으로 결합되어 기판에 설치되므로 부피가 최소화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부분 단면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구동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구동수단의 조립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실린더블록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실린더블록의 조립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실린더블록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공압센서 및 배기엑츄에이터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체크밸브 일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배기엑츄에이터 일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조립된 평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조립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체크밸브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부분 단면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구동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구동수단의 조립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실린더블록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실린더블록의 조립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실린더블록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공압센서 및 배기엑츄에이터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체크밸브 일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배기엑츄에이터 일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조립된 평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조립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의 체크밸브 단면도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는 공기압축기를 구성하는 구동수단(100) 및 실린더블록(101)이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블록(101)과 결합된 연결블록(300)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블록(300)에는 급배기구(305)가 구비되고, 배기엑츄에이터수단(500) 및 공압센서수단(400)이 결합된다.
상기 구동수단(100), 실린더블록(101) 및 연결블록(300)은 하나의 기판(600)에 장착되고, 커버(601)로 덮여 보호된다. 그리고 커버(601)에는 통풍구(602)가 형성되고, 기판(600)에는 상기 통풍구(602)와 대응되는 필터부(603)가 마련되어 상기 공기압축기가 작동되는 동안 외부공기가 필터부(603)에서 걸러져 공급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기압축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구동수단(100)과 실린더블록(101)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100)은 기판(600)에 장착되는 모터브래킷(103)에 모터(102)가 구비되고, 기판(600)에 장착되는 기어박스(105) 내부에 웜기어(106)가 구비된다. 상기 웜기어(106)와 모터(102)는 커플링(104)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웜기어(106)와 직교되는 웜휠(107)이 웜기어박스(105)에 구비되는데, 베어링(111)을 통하여 기어박스(105)에 회전가능 하게 구비된다.
또한 웜휠(107)의 끝단에는 편심된 캠레버(108)와 캠축(109)을 통하여 원통형의 캠(110)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102)는 DC12V 기어드모터로써, 감속비는 1/4 이다. 그리고 웜기어(106)에서 1/10의 2차 감속으로 총 1/400의 감속이 이뤄지므로 작은 모터에서 큰 토크의 힘을 낼 수 있다. 상기 모터(102)는 6200rpm의 소형모터이고, 감속비율이 1/400이므로 600psi의 충분한 공압이 생성된다.
상기 실린더블록(101)은 "ㄱ"자 형태로써, 한쪽은 가이드실(113)과 실린더실(112)이 2단으로 형성되고, 반대쪽은 체크밸브실(114)이 구비되어 서로 통한다. 상기 가이드실(113)과 실린더실(112)에는 가이드축(116) 및 피스톤로드(115)의 선단부가 끼워지고, 이들 가이드축(116) 및 피스톤로드(115)의 후단부는 캠가이드(117)로 결합된다. 상기 캠가이드(117)에는 수직으로 장공이 천공되어서 상기 구동수단(100)의 캠(110)이 끼워지는데, 상기 캠(110)이 상하측으로 왕복되는 동안 상기 캠가이드(117)는 좌우측으로 왕복된다.
상기 피스톤로드(115)는 상기 실린더실(112)에 끼워져 왕복되는 피스톤(118)이 구비되는데, 상기 피스톤(118)의 외주면에는 피스톤링(119)이 구비되어서 상기 피스톤(118)이 왕복되는 동안 상기 실린더실(112) 내부의 기밀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115)는 중공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흡입통로(120)가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118)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통로(120)와 실린더실(112)을 간헐적으로 연결하는 역류방지구(122)가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로드(115)의 후단에는 흡입통로(120)와 통하는 흡입구멍(121)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방지구(122)에는 외주면에 절단부(123)가 형성되는데, 상기 피스톤(118)의 후진시 역류방지구(122)가 흡입통로(120)에서 떨어지고 이때 흡입구멍(121)과 흡입통로(120) 및 절단부(123)를 거쳐 외부공기가 실린더실(112) 내부로 유입되고, 전전시 역류방지구(122)가 흡입구멍(121)을 막으면 실린더실(112) 내부가 압축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118)의 내부에는 상기 역류방지구(12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124)가 링 형태로 구비된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센서 및 배기엑츄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연결블록(300)은 상기 실린더블록(101)과 결합된 상태에서 체크밸브실(304)과 통하는 통로(301)가 구비되고, 통로(301)의 끝단에는 급배기구(30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301)와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 센서통로(302)를 통하여 공압센서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공압센서수단(400)은 원통형의 중공상으로 센서실(402)을 갖는 센서몸체(401)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실(402)은 한쪽이 개방된 상태에서 중공상의 센서커버(403)가 센서몸체(40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실(402)에는 왕복이동되는 원통형의 가동부(404)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404)와 센서커버(403)의 사이에는 스프링(405)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센서몸체(401)의 외주면에는 1차코일부(406)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404)의 외주면에는 2차코일부(407)가 구비된다. 공기압의 세기 변화에 따라 상기 가동부(404)가 왕복되는 동안 1차코일부(406) 및 2차코일부(407)의 거리가 변하게 되면 유도전류값이 변화되는데 이때 변하는 값을 검출하면 공압의 세기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록(300)의 상측에는 상기 통로(301)와 수직방향으로 통하는 배기통로(303) 및 체크밸브실(304)이 구비되고, 상기 체크밸브실(304)에는 체크밸브(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실(304)의 개방된 상단은 커버판(306)으로 밀폐된다.
상기 배기엑츄에이터수단(500)은 상기 커버판(306)에 결합되는 중공상의 엑츄에이터몸체(501)가 구비되는데, 상기 엑츄에이터몸체(501)의 내주면에는 상기 커버판(306)의 상단으로 돌출된 체크밸브(200)의 밸브몸체(201) 외주면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몸체(501)의 개방된 상측에는 누름핀(503)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누름핀(503)의 하단은 체크밸브(200)의 밸브축(204)과 닿으며, 상단은 엑츄에이터몸체(501)로부터 떨어진 자성체(50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몸체(501)의 외주면에는 권선코일로 구성된 솔레노이드부(50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부(502)로 DC12V의 전원을 인가하면 자성체(504)가 당겨지면서 상기 누름핀(503)이 하강되고 이때 밸브축(204)이 눌려지면서 체크밸브(200)가 개방된다. 상기 누름핀(503)에는 외주면에 절단부(50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엑츄에이터몸체(501)의 내주면과 절단부(505) 사이의 틈새로 압축된 공기가 배출된다. 그리고 전원이 차단되면 체크밸브(200) 내부의 압축되었던 스프링(206)이 복원되면서 밸브축(204) 및 누름핀(503)이 상승되어 원위치 되고, 체크밸브(200)는 차단된다.
도 15는 체크밸브의 단면도로써, 상기 체크밸브(200)는 원추형태로 밸브몸체(20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밸브통로(202)가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통로(202)에는 중공상의 슬리브(203)가 끼워지며, 슬리브(203)의 내부에는 스프링(206)으로 가압되는 밸브축(204)이 구비된다. 상기 밸브축(204)은 한쪽에 밸브판(205)이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203)의 측면과 밀착되고, 반대쪽에는 축가이드(207)가 구비되어 밸브축(204)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때 축가이드(207)에는 절개부(208)가 형성되어서 밸브통로(202)와 연결된다.
따라서 순방향으로 공압이 발생되면 밸브판(205)이 밀리면서 슬리브(203)의 측면에서 떨어져 밸브통로(202)가 개방되고, 역방향으로 공압이 작용하면 밸브판(205)이 닫히면서 밸브통로(202) 밀폐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는 하나의 기판(600)에 공기압축기, 공압센서 및 배기엑츄에이터가 구비되어 유기적으로 결합된 것이므로 공압을 발생시켜 필요로하는 곳에 보낼 수 있으며, 또한 공압을 감지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기압축기, 공압센서 및 배기엑츄에이터를 새롭게 설계하였으므로 기성품을 사용할 때 보다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소형화를 위하여 상기 공기압축기의 모터(102)는 DC12V 기어드모터를 사용하였으며, 기어드모터 및 웜기어를 거치면서 1/400의 감속이 이뤄지므로 작은 모터에서 큰 토크의 힘을 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102)는 6200rpm의 속도로 600psi의 공기압축이 가능하므로 압축공기를 즉시 발생시킬 수 있어서 별도의 공기저장탱크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공기압축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터(102)의 회전으로 웜기어(106)와 웜휠(107)이 회전되면 편심된 캠레버(108)를 거쳐 캠(110)이 고속으로 공전되는데, 이때 장방형의 구멍을 통하여 캠(110)과 연결된 캠가이드(117)가 왕복이동된다.
캠가이드(117)의 왕복으로 가이드축(116)과 피스톤로드(115)가 함께 왕복 이동되는데, 상기 피스톤로드(115)는 내부에 흡입통로(120)가 구비되고, 선단에는 역류방지구(122)를 갖는 피스톤(118)이 실린더실(112) 내부에서 왕복 이동된다.
상기 피스톤(118)이 후진되는 동안 상기 피스톤로드(115) 후단의 흡입구멍(121)으로 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흡입통로(120)를 거쳐 상기 역류방지구(122)를 밀쳐내면 역류방지구(122)가 흡입통로(120)에서 떨어진다. 이때 역류방지구(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부(123)와 피스톤(118)의 내주면 사이 틈새로 공기가 유입되어 실린더실(112)에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18)이 전진되면 상기 실린더실(112) 내부가 순간적으로 압축되면서 상기 역류방지구(122)가 반대로 밀려 흡입통로(120)의 측면과 밀착되어 흡입통로(120)를 막는다. 상기 역류방지구(122)의 절단부(123)는 상기 흡입통로(120)의 내주면에서 크게 형성되어 공기누설이 방지된다. 이때 체크밸브(200)의 밸브축(204)이 실린더실(112) 내부의 압축공기에 의해 밀리면서 밸브판(205)이 슬리브(203)에서 떨어지는데, 압축공기는 밸브통로(202)와 연결블록(300)의 통로(301)로 향한 뒤 급배기구(305)에서 원하는 곳으로 보내진다.
상기 모터(102)가 고속회전되는 동안 상기 피스톤로드(115)는 계속 왕복이동 되므로 상기 피스톤(118)의 전후진에 따라 압축공기가 순간적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별도의 공기저장탱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압축공기가 발생되는 동안 연결블록(300)의 센서통로(302)와 연결된 센서몸체(401)의 내부로 공압이 발생되는데, 상기 센서실(402) 내부의 가동부(404)는 공압을 받아 밀리면서 스프링(405)이 압축된다. 이때 가동부(404)의 외주면에 감긴 2차코일부(407)와 센서몸체(401)의 외주면에 감긴 1차코일부(406)의 거리가 변하면서 유도전류값이 변화된다. 따라서 변하는 값을 검출하면 공압의 세기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공압센서수단(400)에서 검출된 공압에 따라 상기 공기압축기를 가동시키거나 멈출 수 있다. 또한 대상물에 공압이 원하는 만큼 공급된 상태에서 강제로 배출시키고자 할 때 상기 배기엑츄에이터수단(500)이 사용된다.
상기 배기엑츄에이터수단(500)의 솔레노이드부(502)로 전원을 인가시키면 자성체(504)가 당겨지면서 상기 누름핀(503)이 하강되고, 밸브축(204)이 눌려지면서 체크밸브(200)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엑츄에이터몸체(501)의 내주면과 상기 누름핀(503)의 절단부(505) 사이의 틈새로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고, 전원이 차단되면 체크밸브(200) 내부의 압축되었던 스프링(206)이 복원되면서 체크밸브(200)는 차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공압 발생장치는 공기압축기로부터 발생되는 공압을 대상물에 신속하게 공급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공압센서수단에서 공압을 감지하여 공기압축기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고, 배기엑츄에이터수단에서 대상물의 공압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100 : 구동수단 101 : 실린더블록 102 : 모터
103 : 모터브래킷 104 : 커플링 105 : 기어박스
106 : 웜기어 107 : 웜휠 108 : 캠레버
109 : 캠축 110 : 캠 111 : 베어링
112 : 실린더실 113 : 가이드실 114 : 체크밸브실
115 : 피스톤로드 116 : 가이드축 117 : 캠가이드
118 : 피스톤 119 : 피스톤링 120 : 흡입통로
121 : 흡입구멍 122 : 역류방지구 123 : 절단부
200 : 체크밸브 201 : 밸브몸체 202 : 밸브통로
203 : 슬리브 204 : 밸브축 205 : 밸브판
300 : 연결블록 301 : 통로 302 : 센서통로
303 : 배기통로 304 : 체크밸브실 305 : 급배기구
400 : 공압센서수단 401 : 센서몸체 402 : 센서실
403 : 센서커버 404 : 가동부 405 : 스프링
406 : 1차코일부 407 : 2차코일부 500 : 배기엑츄에이터수단
501 : 엑츄에이터몸체 502 : 솔레노이드부 503 : 누름핀
504 : 자성체 505 : 절단부 600 : 기판
103 : 모터브래킷 104 : 커플링 105 : 기어박스
106 : 웜기어 107 : 웜휠 108 : 캠레버
109 : 캠축 110 : 캠 111 : 베어링
112 : 실린더실 113 : 가이드실 114 : 체크밸브실
115 : 피스톤로드 116 : 가이드축 117 : 캠가이드
118 : 피스톤 119 : 피스톤링 120 : 흡입통로
121 : 흡입구멍 122 : 역류방지구 123 : 절단부
200 : 체크밸브 201 : 밸브몸체 202 : 밸브통로
203 : 슬리브 204 : 밸브축 205 : 밸브판
300 : 연결블록 301 : 통로 302 : 센서통로
303 : 배기통로 304 : 체크밸브실 305 : 급배기구
400 : 공압센서수단 401 : 센서몸체 402 : 센서실
403 : 센서커버 404 : 가동부 405 : 스프링
406 : 1차코일부 407 : 2차코일부 500 : 배기엑츄에이터수단
501 : 엑츄에이터몸체 502 : 솔레노이드부 503 : 누름핀
504 : 자성체 505 : 절단부 600 : 기판
Claims (5)
- 모터로 회전되는 편심된 캠을 갖는 구동수단;
상기 캠과 피스톤로드로 연결되고 실린더실 내부에서 왕복이동되는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는 중공상의 흡입통로가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흡입통로를 개폐하는 역류방지구가 내장되는데, 상기 피스톤의 후진시 상기 흡입통로가 개방되어 실린더실로 외기가 유입되고, 전진시 상기 역류방지구에 의해 흡입통로가 막히면서 압축공기가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로 회전되는 웜기어 및 웜휠에 캠레버를 통하여 편심된 상태로 고속회전되는 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블록은 내부에 실린더실과 체크밸브를 갖는 체크밸브실이 직교되게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실에서 압축된 공기가 상기 체크밸브를 거쳐 대상물에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블록과 결합되어 압축공기를 대상물에 공급하거나 또는 배출시키는 급배기구를 갖는 연결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블록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공압을 감지하는 공압센서수단이 구비되는데, 공압센서수단은 한쪽이 개방된 중공상의 센서몸체가 구비되어 외주면에 1차코일부가 권회되고;
상기 센서몸체의 내부에는 왕복되는 가동부가 구비되어 외주면에 2차코일부가 권회되며;
상기 센서몸체의 개방된 부분을 감싸는 센서커버에는 상기 가동부를 가압하는 스프링이 내장되어서 공압에 따라 상기 가동부가 왕복되는 동안 상기 1,2차코일부의 유도전류 변화를 감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을 하는 공압 발생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배기엑츄에이터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기엑츄에이터수단은 상기 연결블록 내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체크밸브와 연이어서 상기 연결블록의 상부에 중공상의 엑츄에이터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엑츄이이터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체크밸브의 밸브축과 맞닿은 누름핀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핀의 상단은 상기 엑츄에이터몸체의 외부로 돌출된 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엑츄에이터몸체의 외주면에는 솔레노이드부가 구비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자성체를 당겨서 상기 누름핀이 상기 밸브축을 눌러 체크밸브가 개방되고 공압이 배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발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5349A KR20180042771A (ko) | 2016-10-18 | 2016-10-18 | 공압 발생장치 |
PCT/KR2017/010142 WO2018074741A2 (ko) | 2016-10-18 | 2017-09-15 | 공기압축기와 이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쇽업소버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5349A KR20180042771A (ko) | 2016-10-18 | 2016-10-18 | 공압 발생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2771A true KR20180042771A (ko) | 2018-04-26 |
Family
ID=6208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5349A KR20180042771A (ko) | 2016-10-18 | 2016-10-18 | 공압 발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42771A (ko) |
-
2016
- 2016-10-18 KR KR1020160135349A patent/KR2018004277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117521A (ko) | 리니어 압축기 | |
US20070028763A1 (en) | Hermetic compressor | |
KR101509290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20060046254A (ko) |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 |
KR20050095246A (ko) |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 |
CN110411725A (zh) | 一种空气弹簧环境试验自动充气加压装置 | |
KR100619765B1 (ko) | 왕복동식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 |
JP2013223916A (ja) | 機械工具 | |
JP3490557B2 (ja) | 容量可変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 |
KR20180042771A (ko) | 공압 발생장치 | |
JP2007009755A (ja) | ロータリ式膨張機及び流体機械 | |
KR101987686B1 (ko) | 공압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쇽업소버 시스템 | |
WO2017057224A1 (ja) | 圧縮装置 | |
TW201510362A (zh) | 真空泵及用於操作真空泵的方法 | |
KR101843756B1 (ko) |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
WO2018074741A2 (ko) | 공기압축기와 이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쇽업소버 시스템 | |
CN210531115U (zh) | 一体泵阀及其设备 | |
CN218376766U (zh) | 一种新型泵 | |
KR101866731B1 (ko) |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
KR101886725B1 (ko) |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
JP2010174674A (ja) | 密閉型ロータリ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機 | |
KR101882672B1 (ko) |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
CN111005852B (zh) | 一种高度集成的往复式柱塞泵 | |
JP3966620B2 (ja) | 容量可変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 |
CN114738233A (zh) | 吹气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