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504A - Diagonal light-emitting ultrasonic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nsor - Google Patents

Diagonal light-emitting ultrasonic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504A
KR20180041504A KR1020160133758A KR20160133758A KR20180041504A KR 20180041504 A KR20180041504 A KR 20180041504A KR 1020160133758 A KR1020160133758 A KR 1020160133758A KR 20160133758 A KR20160133758 A KR 20160133758A KR 20180041504 A KR20180041504 A KR 20180041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unit
raceway
vehic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61429B1 (en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60133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429B1/en
Publication of KR20180041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5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4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purpose relates to a parking inducing system using an integrated parking presence and absence notifying unit which is installed on an upper side which is vertical to the ground on the front side of a parking unit. The parking presence and absence notifying unit includes a vehicle detection sensor which detects whether the vehicle is present or absent in the parking unit inside one housing and a light emitting sensor for informing a driver of the vehicle of whether to park in the parking uni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a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s.

Description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Diagonal light-emitting ultrasonic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ns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n integrated parking presence /

본 발명은 주차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여부를 차량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주차유닛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indu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king induction system using an integrated parking presence / absence announcement unit installed in a front portion of a parking unit to notify a driver of a parking lot.

종래의 주차유도 시스템은 차량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통해 중앙 서버로 통신되며, 실시간 주차현황을 집계, 연산하여 주차장 입구부터 각 층별 및 통로별 입구까지 전광판을 설치하고 주차장의 비어있는 유효 주차 공간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광판에 표출해 운전자에게 신속한 주차를 도와주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왔다. The conventional parking guidance system is communicated to the central server through the signal detected by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The real time parking situation is calculated and calculated, and the electric billboard is installed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the entrance of each floor and each hall. It has consisted of a system that displays the space situation on the electric signboard in real time and helps the driver to park quickly.

이러한 주차유도시스템의 기존 설치방법은 주차유닛 공간 내부의 중앙 천정 부분에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와 주차램프가 설치되었다.In the conventional installation method of such a parking guidance system, a vehicle detection sensor and a parking lamp were installed in a central ceiling portion in a parking unit space.

이러한 경우, 주차장에 있는 건물기둥(30) 때문에 주차장 주행통로에서는 운전자가 주차유닛의 중앙 천정부에 설치된 주차램프를 식별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identify the parking lamp installed in the central ceiling portion of the parking unit in the parking lot traveling passage due to the building column 30 in the parking lot.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감지 센서(10)는 주차유닛 공간 내부의 중앙 천정 부분에 설치되고, 별로의 레이스웨이(40)가 주차유닛의 전면부로 더 설치되어 주차램프(20)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주차가 가능한 곳의 위치를 쉽게 식별하도록 도움을 주었다. 1,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10 is installed in a central ceiling portion in the parking unit space, and a raceway 40 of the vehicle is further install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parking unit, , Which helped the driver to easily identify where parking was possib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주차유닛 공간 내부의 중앙 천정 부분에 설치 차량 감지 센서(10)를 설치하고, 주차유닛의 전면부에 추가로 레이스웨이(또는 전선관, 몰드바)(40)를 설치하여 주차램프(20)가 설치되기 때문에 중복 설치되는 자제의 낭비와 중복점멸방식의 복잡한 형태로 구성되며 시공기간이 길어질 뿐 아니라 시공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such a case, the installed vehicle detection sensor 10 is installed in the central ceiling portion in the parking unit space, and a raceway (or a conduit or a mold bar) Since the lamp 20 is installed, it is constructed in a complicated form of redundant blinking and redundant flicker,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prolong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차량 감지 센서와 발광 센서가 구비된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구비하여 주차 유닛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주차유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grated parking presence / And to provide a guidance system.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another object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차량이 주차되도록 구획된 영역인 주차유닛이 복수개 구획되고, 복수의 인접된 주차유닛을 포함하는 주차모듈과, 상기 주차모듈의 사이로 주행통로부가 구비되되, 상기 주행통로부의 천정 측에 형광등용 레이스웨이 및 전선관과 몰드바가 설치된 주차장의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유닛 전면부에서 지면과 수직 상방으로 주차유무알림부가 설치되되, 상기 주차유무알림부는,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상기 주차유닛의 차량의 유무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와, 상기 주차유닛의 주차 유무를 차량 운전자에게 알리는 발광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king system including a parking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arking units, each of which is a region partitioned by a vehicle to be parked,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adjacent parking units, In the parking induction system using the integrated parking presence / absence indicator of a raceway for a fluorescent lamp and a parking lot in which a conduit for a fluorescent lamp and a mold bar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ravel passage, the parking presence / absence informing unit is installed vertically above the ground Wherein the parking presence / notification unit includes a vehicl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of the parking unit in a single housing, and a light emission sensor for informing a driver of the vehicle whether or not the parking unit is parked A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notification unit is provided.

이때,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차량 감지 센서가 장착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의 중심축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선과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is mounted, and the central axis of the through hole is inclined with a vertical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한편, 상기 주차유무알림부는, 상기 형광등용 레이스웨이 또는 전선관, 몰드바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 The parking presence / absence informing unit is installed in the raceway for a fluorescent lamp, a conduit, and a mold bar.

또한, 상기 주행통로부를 따라 별도의 레이스웨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주차유무알림부가 상기 별도의 레이스웨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Further, a separate raceway may be further provided along the travel passage, and the parking presence / absence informing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separate raceway, thereby providing a parking induction system using the integrated parking presence / absence informing unit.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주행통로부에 주차램프와 레이스웨이가 중복 설치되어 발생되는 추가적인 설치비용 및 자제낭비를 절감하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operativ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dditional installation cost and waste incineration which are caused by overlapping the parking ramp and the raceway in the traveling passage portion, reduce the installation period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도 1은 종래의 주차장 주차유도시스템에서 주차유닛 마다 설치 사용되고 있는 수직발광형 주차유닛 센서에 과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무알림부의 조립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무알림부의 저면도,
도 6은 도 5의 A-A`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vertical parking type parking unit sensor used for parking units in a parking parking guidance system,
FIG. 2 is a plan view of a parking induction system using an integrated parking presence / absence indic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a parking induction system using a parking induction system using an integrated parking presence / absence indic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assembled view of a parking presence / notifica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view of a parking presence / notifica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exemplification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that include components replaceable as equivalents in the elemen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무알림부의 조립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무알림부의 저면도, 도 6은 도 5의 A-A`의 단면도이다. FIG. 2 is a plan view of a parking induction system using an integrated parking presence / absence informa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induction system using an integrated parking presence / FIG. 5 is a bottom view of a parking presence / notifica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induction system,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지하 또는 지상에 설치되고 복수의 차량이 열을 지어 주차되는 공간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nd subsequent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applied to a space where a plurality of vehicles are installed under the ground or on the ground and parked with heat.

주차장의 평평한 바닥 부위에 소정의 도료를 통하여 각각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영역이 구획되어 소정의 주차라인들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하나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구획된 영역을 주차유닛(101)으로 정의한다. The area where the respective vehicles can park is defined through the predetermined paint on the flat bottom portion of the parking lot, and predetermined parking lines are formed. Here, the divided area where one vehicle can park is divided into the parking unit 101 define.

상기 주차유닛(101)이 복수로 상호 인접된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를 주차모듈(100)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주차유닛(101)이 3개씩 연결되어 주차모듈(100)이 형성되며, 상기 주차유닛(100)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parking units 10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mutually adjacent manner is defined as a parking module 100 and used.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ree parking units 101 are connected to form a parking module 100, and the number of the parking units 100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주차모듈(100)의 전면부 사이에는 차량이 운행되는 주행통로부(50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traveling passage part 500 in which the vehicle is operated is formed between the front part of the parking module 100.

즉, 하나의 차량이 주차되도록 구획된 영역인 주차유닛(101)이 복수개 구획되고, 복수의 인접된 주차유닛(101)을 포함하는 주차모듈(100)과, 상기 주차모듈(100)의 사이로 주행통로부(500)가 구비된다.That is, a parking module 100 including a plurality of parking units 10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king units 101, each of which is an area partitioned so that one vehicle is parked. A passage portion 500 is provided.

또한, 상기 주행통로부(500)의 천정 측에 형광등용 레이스웨이(미도시) 및 전선관(미도시)과 몰드바(미도시)가 설치된 주차장에 있어서, 상기 주차유닛(101) 전면부에서 지면과 수직 상방으로 주차유무알림부(200)가 설치된다.In a parking lot in which a raceway for a fluorescent lamp (not shown), a conduit (not shown) and a mold bar (not shown) are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travel passage unit 500, And a parking presence / absence notification unit 200 vertically upward.

상기 주차유무알림부(200)는 하나의 하우징(210) 내부에는 상기 주차유닛(101)의 차량의 유무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220)와, 상기 주차유닛의 주차 유무를 차량 운전자에게 알리는 발광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The parking presence notification unit 200 includes a vehicle detection sensor 220 for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of the parking unit 101 in one housing 210, A sensor (not shown) is provided.

이때, 상기 차량 감지 센서(220)는 초음파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센서(미도시)는 상기 차량 감지 센서(220)의 신호에 따라 녹색 및 적색으로 발광되어 차량 운전자가 상기 발광센서의 발광되는 색깔을 확인하여 주차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220 may be provided as an ultrasonic sensor, and the light emission sensor (not shown) emits green and red light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220, Check the color of light emitted to make parking easier.

그리고 상기 발광센서는 다양한 발광수단들이 적용될 수 있으나 전력의 절감을 및 효율성을 고려하여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various light emitting means may be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sensor, it is preferable to use a light emitting diode (LED) in consideration of power saving and efficiency.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10)은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housing 21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여기서, 상기 차량 감지 센서(220)에 의한 상기 발광세서가 작동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주차유닛(101)으로 차량이 주차되면 상기 차량 감지 센서(210)의 초음파발진자로부터 발진된 초음파가 주차유닛(101)으로 보내진다.In this case, when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unit 101, the ultrasonic wave emitted from the ultrasonic oscillator of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210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And sent to the parking unit 101.

또한, 주차되는 차량에 반사되어 초음파수신부에 의하여 수신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수신된 초음파의 신호를 상기 발광센서로 송출하게 되고, 상기 발광센서에서는 수신된 초음파의 신호에 의해 적색등을 발광시킨다.In addition, the reflected light is reflected by the vehicle being parked and is received by the ultrasonic wave receiving unit. The received ultrasou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emitting sensor emits red light by the received ultrasonic signal.

그리고 상기 주차유닛(101)에서 차량이 출차 되어 차량이 비게 되면 상기 발광센서에서는 초음파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 녹색등을 발광시켜 차량 운전자가 주차유닛(101)의 주차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car is released from the parking unit 101 and the vehicle becomes empty, the light emission sensor does not receive a signal of ultrasonic waves and emits green light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check whether or not the parking unit 101 is parked.

한편, 상기 하우징(210)에는 상기 차량 감지 센서(220)가 장착되는 관통홀(213,213-1)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213,213-1)의 중심축(C)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선(VC)과 경사(θ)지게 구비된다. The housing 210 is provided with through holes 213 and 213-1 through which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220 is mounted and the center axis C of the through holes 213 and 213-1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mp;theta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VC.

다시 말해서, 상기 상부커버(211)와 하부커버(212)가 조립되어 하나의 하우징(210)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차량 감지 센서(220)와 발광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In other words, the upper cover 211 and the lower cover 212 are assembled into a single housing 210, and a vehicle detection sensor 220 and a light emission sensor (not shown)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10 do.

또한, 상기 관통홀(213)은 관통홀(213)의 중심축(C)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선(VC)과 경사지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차량 감지 센서(220)가 주차유닛(101) 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주차유닛(101) 내부의 중앙부가 아닌 전면부에서도 주차유닛(101)에 차량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The through hole 213 has a center axis C of the through hole 213 inclined with a vertical line VC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o that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220 is inclined toward the parking unit 101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unit 101 in the front portion rather than the central portion in the parking unit 101. [

또한, 상기 하우징(210) 내에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차량 감지 센서(220)와 발광센서(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주행통로부(500)에 주차램프(20)와 레이스웨이(40)가 중복 설치되어 발생되는 추가적인 설치비용 및 자제낭비를 절감하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arking lot 20 and the raceway 40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210 by a vehicle sensor 220 and a light emitting sensor (not shown) inside the housing 210. )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dditional installation cost and incineration,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상기 주차유무알림부(200)는 차량 감지 센서(220)와 발광센서는 하우징(210) 내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주차유닛(101)의 전면부에 설치됨으로써 주차장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건물기둥(300)에 가려지지 않아 운전자가 쉽게 주차가능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The parking presence notification unit 200 may include a vehicle detection sensor 220 and a light emission sensor provided integrally in the housing 210 and installed in a front portion of the parking unit 101,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whether or not the vehicle can be parked.

한편, 상기 하우징(210)에는 상기 관통홀(213)이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213)이 2개 이상일 경우, 상기 관통홀(213)의 중심축(C)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선(VC)에 대해 각각 경사각이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13)은 1개 이상 4개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number of the through-holes 213 is two or more, the center axis C of the through-holes 213 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paper, The inclination angle is different from the vertical line VC, and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213 is not less than 1 and not more than 4.

즉, 경사각이 다른 관통홀(213)을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여러 가지 조건 속에서도 문제없이 주차유무알림부(200)를 주차 유닛(101)의 전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지면에서부터 이격된 높이나 주차유닛의 주차선 외곽측과의 이격 거리 등과 같은 작업환경의 여건에 의해 변화하는 제원에 따라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다.)That is, by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3 having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the parking presence / notification unit 200 can be install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parking unit 101 without any problem even under various conditions. (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surface, the distance between the parking unit and the outside of the parking line, and the like).

한편, 상기 차량 감지 센서(220)에 의해 차량이 감지된 신호는 컨트롤러를 통해 중앙 서버로 통신되며, 실시간 주차현황을 집계, 연산하여 주차장 입구부터 각 층별 및 통로별 입구까지 전광판을 설치하고 주차장의 비어있는 유효 주차 공간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광판에 표출해 운전자에게 신속한 주차를 도와주는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signal detected by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220 is communicated to a central server through a controller, and a real-time parking status is counted and calculated to provide a billboard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the entrance of each floor and each hall, It can be composed of a system which displays the empty parking space situation on the electric signboard in real time to help the driver to park quickly.

한편, 상기 주차유닛(101)의 전면부는 상기 주차유닛(101)의 주차선 보다 외곽 쪽인 것으로 정의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portion of the parking unit 101 is defined as being outside the parking line of the parking unit 101.

즉, 상기 주차선의 1/4 부분 보다 외곽쪽 지면의 수직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통로부(500)의 천정부에 설치된다. That is, it is installed vertically above the 1/4 part of the parking line an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rking space, and is installed at the ceiling portion of the traveling passage unit 500.

또한, 상기 주차유무알림부(200)는 상기 형광등용 레이스웨이에 설치되거나 전선관 또는 몰드바에도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parking presence / notification unit 200 may be installed on the raceway for the fluorescent lamp, or installed on a conduit or a mold bar.

여기서 상기 주행통로부(500)의 천정 측에 설치된 형광등용 레이스웨이(미도시) 및 전선관(미도시)과 몰드바(미도시)는 주차장의 조명을 위해 이미 설치된 것들이다.A raceway (not shown), a conduit (not shown) and a mold bar (not shown) for a fluorescent lamp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raveling passage unit 500 are already installed for lighting the parking lot.

따라서 기존에 주차장에 설치된 형광등용 레이스웨이, 전선관 또는 몰드바를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설치비용 및 자제낭비를 절감할 수 있다. Therefore, by using a raceway, a conduit or a mold bar for a fluorescent lamp installed in a parking lot, additional installation cost and wasted waste can be saved.

또한, 상기 주행통로부(500)를 따라 별도의 레이스웨이(4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별도의 레이스웨이(400)에 상기 주차유무알림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raceway 400 may be further provided along the traveling passage 500, and the parking presence / notification unit 200 may be installed on the separate raceway 400.

이때, 상기 별도의 레이스웨이(400)는 상기 형광등용 레이스웨이를 상기 주차유닛(100)의 전면부에 이동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separate raceway 400 includes a raceway for the fluorescent lamp to be install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parking unit 100.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차량 감지 센서 20 : 주차램프
30 : 기둥 40 : 레이스웨이
100 : 주차모듈 101 : 주차유닛
200 : 주차유무알림부 210 : 하우징
220 : 주차 유무 센서 300 : 기둥
400 : 레이스웨이 500 : 주행통로부
10: Vehicle detection sensor 20: Parking lamp
30: Column 40: Raceway
100: Parking module 101: Parking unit
200: parking presence / notification unit 210: housing
220: parking presence sensor 300: pole
400: raceway 500:

Claims (4)

하나의 차량이 주차되도록 구획된 영역인 주차유닛이 복수개 구획되고, 복수의 인접된 주차유닛을 포함하는 주차모듈과, 상기 주차모듈의 사이로 주행통로부가 구비되되, 상기 주행통로부의 천정 측에 형광등용 레이스웨이 및 전선관과 몰드바가 설치된 주차장의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유닛 전면부에서 지면과 수직 상방으로 주차유무알림부가 설치되되, 상기 주차유무알림부는,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상기 주차유닛의 차량의 유무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와, 상기 주차유닛의 주차 유무를 차량 운전자에게 알리는 발광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A parking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arking units, each of which is an area partitioned so that one vehicle is parked, and a plurality of adjoining parking units; and a traveling passag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parking modules, 1. A parking induction system using an integrated parking presence / absence notification unit of a raceway, a parking lot in which a conduit pipe and a mold bar are installed,
Wherein the parking presence / absence notification unit is installed vertically above the ground in the parking unit front portion,
And a light emitting sensor for informing a driver of the vehicle whether or not the parking unit is parked. The parking in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차량 감지 센서가 장착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의 중심축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선과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And a center axis of the through hol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유무알림부는,
상기 형광등용 레이스웨이 또는 전선관, 몰드바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arking guidance system is installed in a raceway for a fluorescent lamp, a conduit, and a mold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통로부를 따라 별도의 레이스웨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주차유무알림부가 상기 별도의 레이스웨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parate raceway along the travel passage, and the parking presence / absence informing unit is installed on the separate raceway.
KR1020160133758A 2016-10-14 2016-10-14 Diagonal light-emitting ultrasonic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nsor KR1019614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758A KR101961429B1 (en) 2016-10-14 2016-10-14 Diagonal light-emitting ultrasonic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758A KR101961429B1 (en) 2016-10-14 2016-10-14 Diagonal light-emitting ultrasonic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504A true KR20180041504A (en) 2018-04-24
KR101961429B1 KR101961429B1 (en) 2019-07-17

Family

ID=6208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758A KR101961429B1 (en) 2016-10-14 2016-10-14 Diagonal light-emitting ultrasonic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4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254B1 (en) * 2023-03-14 2024-03-1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arking indication sensor integrated wiring tube fixture and integrated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394A (en) 2020-10-20 2022-04-28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guiding park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5194A (en) * 1995-07-13 1997-02-07 Isao Fukuda System for reporting unoccupied parking space in parking area
KR20080096729A (en) * 2008-09-11 2008-11-03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arking guidance apparatus and parking guidance system with thereof
KR20080111637A (en) * 2007-06-19 2008-12-24 박노천 Parking controllong system with supersonic sensor on the ground
KR20090125350A (en) * 2008-06-02 2009-12-07 (주)성도 Lighting fixture with parking display
KR20100018636A (en) * 2008-08-07 2010-02-18 주식회사 코맥스 Parking guidance man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40100092A (en) * 2013-02-05 2014-08-14 장보영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parking guiding,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5194A (en) * 1995-07-13 1997-02-07 Isao Fukuda System for reporting unoccupied parking space in parking area
KR20080111637A (en) * 2007-06-19 2008-12-24 박노천 Parking controllong system with supersonic sensor on the ground
KR20090125350A (en) * 2008-06-02 2009-12-07 (주)성도 Lighting fixture with parking display
KR20100018636A (en) * 2008-08-07 2010-02-18 주식회사 코맥스 Parking guidance man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80096729A (en) * 2008-09-11 2008-11-03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arking guidance apparatus and parking guidance system with thereof
KR20140100092A (en) * 2013-02-05 2014-08-14 장보영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parking guiding,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254B1 (en) * 2023-03-14 2024-03-1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arking indication sensor integrated wiring tube fixture and integrated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429B1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3680B1 (en) Emergency respondence warning system
KR101829214B1 (en) A crosswalk safety light system
KR101256041B1 (en) Road safety system at the pedestrian crossing of school zone
KR20180078493A (en) Pedestrian traffic signal lamp having a signal for warning entrance of turn to right
KR101961429B1 (en) Diagonal light-emitting ultrasonic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nsor
JP7158279B2 (en) beacon system
KR20160029044A (en) Lightening system of crosswalk
JP2001172927A (en) Light-emitting stop line system
JP2006265989A (en) Traffic safety system
KR101045569B1 (en) Information system of street crossing
WO2013042901A2 (en) Predictive traffic light for an intersection for preventing accidents
CN209989654U (en) Long downhill road early warning interception system
KR102399951B1 (en) System for control road traffic signal
JP2002175590A (en) Assistance system for crossing pedestrian of pedestrian crossing
JPWO2017051558A1 (en) Motorcycle and motorcycle light lighting device
CN216311075U (en) Automatic warning device for emergency stop zone of highway tunnel
KR20110090869A (en) Display system shows access accuracy of object in dead zone for vehicle
KR20150086635A (en) Lightening system of crosswalk
CN213007853U (en) Steering indicating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with same
KR200450892Y1 (en) Safety equalizer
KR20130053073A (en) Traffic signal
KR20190052741A (en) Sign device for safety line of crosswalk
EP3226223B1 (en) Device for indicating parking space occupancy status
RU116422U1 (en) AUTOMATIC VEHICLE INDICATION SYSTEM (OPTIONS)
CN114424266A (en) Alarm and signal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