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988A -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및 비콘 통행 과금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및 비콘 통행 과금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988A
KR20180040988A KR1020160132999A KR20160132999A KR20180040988A KR 20180040988 A KR20180040988 A KR 20180040988A KR 1020160132999 A KR1020160132999 A KR 1020160132999A KR 20160132999 A KR20160132999 A KR 20160132999A KR 20180040988 A KR20180040988 A KR 20180040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ng
beacon
information
mobile device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치훈
김동수
Original Assignee
민치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치훈 filed Critical 민치훈
Priority to KR1020160132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0988A/ko
Publication of KR2018004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Abstract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은, 진입 게이트 인근을 통과 시 송출된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통행 과금 처리를 위한 제1 과금처리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신하며, 상기 제1 과금처리 정보를 근거로 최종 확인된 과금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진입 게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과금 식별자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로부터 과금 식별자를 검출한 후 사용자의 통행 과금 처리를 위한 제2 과금처리 정보를 전송하는 비콘신호 수신기; 및 상기 제1 과금처리 정보 및 상기 제2 과금처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호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최종 과금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행과금 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및 비콘 통행 과금 처리방법{BEACON PASSAGE CHARGING SYSTEM AND THE CHARGING PASSAGE BEACON PROCESSING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및 비콘 통행 과금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도로, 지하철 또는 매표소 등의 진입 게이트 인근을 통과 시 송출된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통행 과금 처리를 위한 과금처리 정보를 비콘신호에 포함하여 통행과금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통행과금 서버로부터 상기 과금처리 정보를 근거로 최종 확인된 과금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 고속도로, 지하철 또는 매표소 등의 진입 및 진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과금 및 결재를 간편하게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및 비콘 통행 과금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마그네틱 카드를 이용하여 직접 통행료를 지불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고속도로 진입 시 운전자가 톨게이트 입구에 설치된 마그네틱 카드 발권기에서 발권된 카드를 뽑고 고속도로에서 진출시 운전자가 톨게이트 출구에서 카드에 기록된 정보에 의하여 통행료를 지불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운전자가 카드를 뽑기 위해 진입로에서 차량을 정차하여야 하고 또한 톨게이트를 빠져 나갈 때 통행료 지불을 위해 차량을 정차하여야 함으로 톨게이트에서 원활하게 차량 진입/진출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교통 정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이용하고 있는 하이패스의 경우, 하이패스 전용 단말기를 운전자 차량에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고소도로 외에 지하철, 매표소 등의 진입/진출 시 모바일을 통한 통행료 또는 입장료를 부과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011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속도로, 지하철 또는 매표소 등의 진입 게이트 인근을 통과 시 송출된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통행 과금 처리를 위한 과금처리 정보를 비콘신호에 포함하여 통행과금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통행과금 서버로부터 상기 과금처리 정보를 근거로 최종 확인된 과금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 고속도로, 지하철 또는 매표소 등의 진입 및 진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과금 및 결재를 간편하게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및 비콘 통행 과금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은, 진입 게이트 인근을 통과 시 송출된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통행 과금 처리를 위한 제1 과금처리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신하며, 상기 제1 과금처리 정보를 근거로 최종 확인된 과금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진입 게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과금 식별자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로부터 과금 식별자를 검출한 후 사용자의 통행 과금 처리를 위한 제2 과금처리 정보를 전송하는 비콘신호 수신기; 및
상기 제1 과금처리 정보 및 상기 제2 과금처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호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최종 과금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행과금 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처리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진입 게이트에 설치된 비콘신호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과정;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통행 과금 처리를 위한 제1 과금처리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통행과금 서버로 전송하는 제2 과정; 상기 통행과금 서버는 수신된 상기 제1 과금처리 정보를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 내용을 확인하고, 확인된 내용을 저장하는 제3 과정; 상기 통행과금 서버는 확인된 과금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4 과정;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과금 식별자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진입 게이트에 설치된 비콘신호 수신기로 전송하는 제5 과정; 상기 비콘신호 수신기는 수신한 비콘 신호로부터 과금 식별자를 검출한 후 사용자의 통행 과금 처리를 위한 제2 과금처리 정보를 상기 통행과금 서버로 전송하는 제6 과정; 및 상기 통행과금 서버는 수신된 상기 제1 과금처리 정보 및 상기 제2 과금처리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서로 일치할 경우 최종 과금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7 과정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속도로, 지하철 또는 매표소 등의 진입 및 진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과금 및 결재를 간편하게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속도로 진입 시 모바일 디바이스로 통행 과금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을 이용하기 전에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비콘신호 송신을 위한 서비스 식별자를 발급받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100)은 차량 운전자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110), 고속도로의 진입 게이트(10)에 설치된 비콘신호 송신기(120a)와 비콘신호 수신기(120b) 및 통행과금 서버(130)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차량(C10)을 운전하는(또는 지하철, 매표소 등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로, 이를테면 스마트 폰, PD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을 통해 비콘신호 송신기(120a), 비콘신호 수신기(120b) 및 통행과금 서버(130) 간에 통행 과금 처리를 위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통신은 이를테면,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3G, 4G, LTE, LTE-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모바일 디바이스(110), 비콘신호 송신기(120a), 비콘신호 수신기(120b) 및 통행과금 서버(130)의 각각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비콘신호 수신가능지역(A10)에 진입하게 되면, 비콘신호 송신기(120a)로부터 송출된 비콘(beacon) 신호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비콘신호 수신가능지역(A10)은 고속도로를 이용하는(또는 지하철, 매표소 등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통행 과금을 적용하기 위해, 진입 게이트(10) 인근의 고속도로(또는 지하철, 매표소 등의 지역)로 진입 또는 진출되는 지역을 의미한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플래시(flash) 기능을 내장하여 비콘 신호 감지 상태를 외부의 단말(통행 과금 처리 은행 단말 등) 또는 게이트 관리원의 단말로 플래시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비콘신호 송신기(120a)로부터 받은 비콘 신호내의 비콘 식별자를 포함하여, 사용자 식별자, 과금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시간(수신시간, 발신시간 등) 등의 정보를 통행과금 서버(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비콘 수신 모드에서 비콘 송신 모드로 전환하고, 곧바로 플래시를 작동시켜 비콘 송신 모드 상태를 외부 단말로 알린다.
또한 비콘 송신 모드로 전환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과금 식별자(UUID)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비콘 신호 수신기(120b)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비콘신호 송신기(120a)는 진입 게이트(10) 인근의 고속도로 상에 위치한 비콘신호 수신가능지역(A10) 등으로 비콘(beacon) 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진입 게이트(10)는 고속도로 뿐 만아니라, 지하철 또는 매표소 등의 진입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비콘신호 수신기(120b)는 비콘 송신 모드로 전환된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비콘 신호를 전송 받은 후 과금 식별자(UUID)를 검출하고, 통행과금 서버(130)로 비콘신호 수신기(120b)의 식별자, 과금 식별자(UUID), 시간(수신시간, 발신시간 등) 등의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행과금 서버(13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 받은 비콘 식별자를 포함하여, 사용자 식별자, 과금 식별자(UUID), 시간(수신시간, 발신시간 등) 등의 정보와, 비콘신호 수신기(120b)로부터 전송 받은 비콘신호 수신기(120b)의 식별자, 과금 식별자(UUID), 시간(수신시간, 발신시간 등)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과금 정보를 확인 하고, 확인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속도로 진입 시 모바일 디바이스로 통행 과금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속도로 진입 시 모바일 디바이스로 통행 과금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비콘신호 송신기(120a)는 차량(C10)의 운전자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향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제1 과정(S10)을 갖는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송출된 비콘 신호를 감지하고, 내장된 플래시(flash)를 작동시켜 비콘 신호 감지 상태를 외부의 단말(통행 과금 처리 은행 단말 등)로 플래시 신호(flashing signal)를 전송하는 제2 과정(S20)을 갖는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차량(C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차량(C10)이 비콘신호 수신가능지역(A10)으로 진입하는 순간부터 송출된 비콘 신호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플래시 신호(flashing signal)는 온 훅(on-hook) 또는 오프 훅(off-hook)과 같은 감시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상태 변화 또는 일련의 상태 변화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경우 비콘신호 감지 시, 비콘송신 모드 전환 시, 최종 과금정보 수신 시에 각각의 상태를 외부에 알리기 위해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비콘신호 송신기(120a)로부터 받은 비콘 신호내의 비콘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 과금 식별자(UUID), 시간(수신시간, 발신시간 등) 등의 정보를 통행과금 서버(130)로 전송하는 제3 과정(S30)을 갖는다.
이 경우 과금 식별자(UUID) 등은 사전 발급 과정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10) 내에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데, 사전 발급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한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상기 제3 과정(S30)의 전송과 동시에 비콘 수신 모드에서 비콘 송신 모드로 전환하고, 곧바로 플래시를 작동시켜 비콘 송신 모드 상태를 외부 단말로 알리는 제4 과정(S40)을 갖는다.
다음으로, 통행과금 서버(130)는 상기 제3 과정(S30)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된 과금 정보를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 내용을 확인하고, 확인된 내용을 저장하는 제5 과정(S50)을 갖는다.
다음으로, 통행과금 서버(130)는 확인된 과금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전송하는 제6 과정(S60)을 갖는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과금 식별자(UUID)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비콘신호 수신기(120b)로 전송하는 제7 과정(S70)을 갖는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상기 제4 과정(S40)을 통해 비콘 수신 모드에서 비콘 송신 모드로 전환된 이후, 차량(C10)이 비콘신호 수신가능지역(A10) 진입한 후로부터 운행에 의해 비콘신호 감지가능 지역(A20)으로 진입한 이후에 비콘신호 수신기(120b)로 전송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비콘신호 수신기(120b)는 전송된 비콘 신호에서 과금 식별자(UUID)를 검출하는 제8 과정(S80)을 갖는다.
다음으로, 비콘신호 수신기(120b)는 자신의 비콘 식별자 및 과금 식별자(UUID), 시간(수신시간, 발신시간 등) 등의 정보를 통행과금 서버(130)로 전송하는 제9 과정(S90)을 갖는다.
다음으로, 통행과금 서버(130)는 상기 제3 과정(S30)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받은 비콘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과금 식별자(UUID), 시간(수신시간, 발신시간 등) 등의 정보와 상기 제9 과정(S90)을 통해 비콘신호 수신기(120b)로부터 전송받은 비콘 식별자, 과금 식별자(UUID), 시간(수신시간, 발신시간 등) 등의 정보가 상호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는 제10 과정(S10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3 과정(S30)의 비콘 식별자는 비콘신호 송신기(120a)의 비콘 식별자로, 이는 비콘 마다 고유하게 할당된 키 값으로 글로벌 유니크 하며, 비콘을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상기 제9 과정(S90)의 비콘 식별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비콘 식별자로,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서비스별로 고유하게 할당된 키 값으로 글로벌 유니크 하며 모바일 디바이스나 서비스를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3 과정(S30) 만으로도 서비스가 가능하지만(필수), 상기 제9 과정(S90)을 추가(옵션)하는 이유는, 상기 제3 과정(S30) 만의 과정으로 일어날 수 있는 오류를 상기 제9 과정(S90)의 절차를 통해 이중으로 확인하는 상기 제10 과정(S100)을 거침으로써, 서비스 오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부연설명 하면, 상기 제3 과정(S30) 외에 상기 제9 과정(S90)을 추가함으로, 사용자가 진입 게이트를 이동하는 과정을 보다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테면, 도1에서, 고속도로 차량 진입 게이트 대신 지하철 게이트로 간주하고, 지하철 사용자가 비콘신호 수신가능지역(A10) 영역에서 지하철 게이트로 진입하지 않고 그냥 되돌아가는 경우, 지하철 게이트의 진입 직전에 상기 제3 과정(S30)으로 정보를 획득하고, 지하철 게이트를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상기 제9 과정(S90)을 통하여 정보를 획득한 후 상호간의 획득된 정보를 비교하는 상기 제10 과정(S100)을 수행함으로, 사용자가 실제로 지하철 게이트를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행과금 서버(130)는 상호 확인된 과금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전송하는 제11 과정(S110)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플래시(flash)를 작동시켜 최종 확인된 과금정보가 포함된 비콘 신호 수신 상태를 외부의 단말(통행 과금 처리 은행 단말 등)로 플래시 신호(flashing signal)를 전송하여 알리는 제12 과정(S120)을 갖는다.
도 3은 도 2에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을 이용하기 전에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비콘신호 송신을 위한 서비스 식별자를 발급받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사용자 식별자, 서비스 ID를 통행과금 서버(130)로 전송하는 제1 단계(S1)를 갖는다.
이 경우 만일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통행과금 서버(130)로부터 발급 받을 과금 식별자(UUID)를 비콘 신호에 넣어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 하지 못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비콘에서 비콘 센서의 식별자를 추출하여 함께 통행과금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과금 식별자(UUID)는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110)에서 여러 대의 차량을 관리 할 때 사용된다.
이를테면, 고속도로 통행 요금의 경우 소형차, 대형차, 경차 등으로 차량마다 통행 요금이 달리 적용되는데, 만일 차량 사용자가 여러 대의 차량을 소유한 경우에는 이런 상황을 반영하여 차량마다 과금 식별자(UUID)가 달라야 한다.
이는 차량 운행 전에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앱(APP)을 통하여 차량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발급받은 상기 과금 식별자(UUID)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과금 식별자(UUID)는 도 2의 제9 과정(S90)의 비콘 식별자와 동일한 값을 가지며, 상기 비콘 센서의 식별자는 블루투스 모듈의 MAC Address를 의미한다.
다음 단계로, 통행과금 서버(13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 받은 사용자 식별자, 서비스 ID와 1 : 1 매핑(mapping)하여 사용자의 과금 식별을 위한 식별표지로 사용하기 위한 과금 식별자(UUID)를 생성 및 발급하는 제2 단계(S2)를 갖는다.
만일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기 발급된 과금 식별자(UUID)를 함께 전송하였다면, 통행과금 서버(130)는 과금 식별자(UUID)를 별도로 생성 및 발급하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 받은 과금 식별자(UUID)를 사용자 식별자, 서비스 ID와 1 : 1 매핑(mapping) 하여 과금을 확인하면 과정(도2, S50 참조)을 진행하면 된다.
다음 단계로, 통행과금 서버(130)는 발급된 과금 식별자(UUID)를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전송하는 제3 단계(S3)를 갖는다.
마지막 단계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비콘 신호 송출 시 과금 식별자(UUID)를 전송하기 위해 내부에 저장하는 제4 단계(S4)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진입 또는 진출 시 통행과금 처리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 되지 아니하고,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등)의 통행 과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를테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소지한 사용자가 공연장이나 전시장 등의 진입 구간이나 진출 구간을 통행하기만 하면 곧바로 발권 및 결재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티겟 팅으로 인한 시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 모바일 디바이스
120a : 비콘 신호 송신기
120b : 비콘 신호 수신기
130 : 통행 과금 서버
10 : 진입 게이트
C10 : 차량
A10 : 비콘 신호 수신가능지역
A20 : 비콘 신호 감지가능지역

Claims (12)

  1. 진입 게이트 인근을 통과 시 송출된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통행 과금 처리를 위한 제1 과금처리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신하며, 상기 제1 과금처리 정보를 근거로 최종 확인된 과금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진입 게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과금 식별자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로부터 과금 식별자를 검출한 후 사용자의 통행 과금 처리를 위한 제2 과금처리 정보를 전송하는 비콘신호 수신기; 및
    상기 제1 과금처리 정보 및 상기 제2 과금처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호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최종 과금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행과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금처리 정보는,
    비콘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과금 식별자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금처리 정보는,
    비콘 식별자, 과금 식별자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주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플래시를 작동시켜 플래시 신호를 외부 단말 또는 관리원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이벤트는,
    송출된 비콘신호 감지 시, 비콘 수신 모드로부터 비콘 송신 모드로 전환 시, 또는 최종 과금정보 수신 시의 이벤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게이트는,
    고속도로, 지하철 또는 매표소의 진입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7. 모바일 디바이스가 진입 게이트에 설치된 비콘신호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과정;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통행 과금 처리를 위한 제1 과금처리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통행과금 서버로 전송하는 제2 과정;
    상기 통행과금 서버는 수신된 상기 제1 과금처리 정보를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 내용을 확인하고, 확인된 내용을 저장하는 제3 과정;
    상기 통행과금 서버는 확인된 과금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4 과정;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과금 식별자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진입 게이트에 설치된 비콘신호 수신기로 전송하는 제5 과정;
    상기 비콘신호 수신기는 수신한 비콘 신호로부터 과금 식별자를 검출한 후 사용자의 통행 과금 처리를 위한 제2 과금처리 정보를 상기 통행과금 서버로 전송하는 제6 과정; 및
    상기 통행과금 서버는 수신된 상기 제1 과금처리 정보 및 상기 제2 과금처리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서로 일치할 경우 최종 과금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7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처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금처리 정보는,
    비콘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과금 식별자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처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금처리 정보는,
    비콘 식별자, 과금 식별자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처리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주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플래시를 작동시켜 플래시 신호를 외부 단말 또는 관리원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처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제1 과정 이후 송출된 비콘신호 감지 시에, 상기 제2 과정 이후 비콘 수신 모드로부터 비콘 송신 모드로 전환 시에, 또는 상기 제7 과정 이후 최종 과금정보 수신 시에 플래시를 작동시켜 플래시 신호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처리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게이트는,
    고속도로, 지하철 또는 매표소의 진입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처리 방법.
KR1020160132999A 2016-10-13 2016-10-1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및 비콘 통행 과금 처리방법 KR20180040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999A KR20180040988A (ko) 2016-10-13 2016-10-1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및 비콘 통행 과금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999A KR20180040988A (ko) 2016-10-13 2016-10-1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및 비콘 통행 과금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988A true KR20180040988A (ko) 2018-04-23

Family

ID=6208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999A KR20180040988A (ko) 2016-10-13 2016-10-1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및 비콘 통행 과금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09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264B1 (ko) * 2020-11-23 2021-08-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마트 블록을 이용한 철도 요금 정산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264B1 (ko) * 2020-11-23 2021-08-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마트 블록을 이용한 철도 요금 정산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56790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n access control system
KR100527016B1 (ko)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통행료 징수 방법
US996590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ntry and exit to parking garages and parking facilities
US8138949B2 (e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on-board unit, and terminal unit
US200701266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parked cars
KR101376650B1 (ko) 기결정된 영역 내에서 이동 차량을 탐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60232522A1 (en) Method for electronically processing a traffic offense and onboard-unit therefor
WO2016055226A1 (en) Beacon-based mobile payments
EP2820634A1 (de) Verfahren und system zur übermittlung von verkehrsmittel-/fahrstreckendaten in einem verkehrsmittel an ein mobilfunkgerät und zur ermittlung von abrechnungsrelevanten daten
US20180300961A1 (en) System for automated fare collection and payment validation, particularly for public transit applications
JP2003150989A (ja) 駐車場料金課金システム
EP30128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use of public transport vehicles and payment for ride
JP6964272B2 (ja) Etc(商標登録)路側装置、etcリカバリシステム、etcリカバリ方法およびetcリカバリプログラム
KR20180040988A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콘 통행 과금 시스템 및 비콘 통행 과금 처리방법
JP2018097507A5 (ja) Etc路側装置、etcリカバリシステム、etcリカバリ方法およびetcリカバリプログラム
KR101555993B1 (ko)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KR102379973B1 (ko) 스마트 도어를 이용한 요금결제 방법 및 시스템
JP4116419B2 (ja) 車両管理システムならびに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KR101912302B1 (ko) 영수증 출력 기능을 구비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그것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하이패스 단말기용 영수증 출력 장치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KR20160023983A (ko) 비콘을 이용한 택시 이용 서비스 시스템
JP3956883B2 (ja) 狭域通信用車載端末
JP3933836B2 (ja) ノンストップ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における二重課金防止方法
JP6382703B2 (ja) 料金収受装置
KR20150136777A (ko) 비접촉 과금 장치 및 방법
KR101459240B1 (ko) 근거리통신모듈이 내장된 휴대기기용 이어캡을 이용한 자동전자요금징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