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500A - 창호용 락킹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락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500A
KR20180040500A KR1020170130769A KR20170130769A KR20180040500A KR 20180040500 A KR20180040500 A KR 20180040500A KR 1020170130769 A KR1020170130769 A KR 1020170130769A KR 20170130769 A KR20170130769 A KR 20170130769A KR 20180040500 A KR20180040500 A KR 20180040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ocking
handle
guide ar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원
오영길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4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심플한 구조로 창호를 락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들의 작동에 의해 한쌍의 락킹유닛부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어서, 창호의 락킹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락킹유닛부에 지지돌기부가 형성되고, 이 지지돌기부가 스트라이커에 지지됨으로써 창호가 락킹된 상태에서는 창호가 창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방범기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호용 락킹장치{Locking apparatus for window}
본 발명은 창호용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실의 문합문이나 발코니창 등의 비교적 대형 창호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올림미닫이방식(lift-up sliding type)의 시스템창호는 개폐 슬라이딩이 정숙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기밀성과 수밀성 및 외부 소음차단과 방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시스템창호는 일반적으로 창틀, 창유리를 지지하며 창틀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호, 그리고 창호의 개폐 슬라이딩을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개폐장치로 이루어진다.
이 중 개폐장치의 일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0753571호에는 창문틀의 일측에 마련되는 핸들의 회동조작에 따라 창문틀이 창틀의 레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거나, 창문틀이 창틀의 레일에 밀착되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지 못하도록 하는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창문틀 하부에 마련되어 창틀 레일에 대해 창문틀을 슬라이딩 이동과 상향 이격 및 밀착시키는 한 쌍의 롤러부와, 창문틀 측부에 회동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핸들과, 핸들의 회동조작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기어 및 기어링크와 풀슬라이더 및 스토퍼 등을 갖는 핸들뭉치와, 핸들뭉치의 기어링크와 롤러부를 연결하는 상부연결링크와, 창문틀의 상하 이격 및 밀착을 완충시키는 완충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창호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한국등록특허문헌에 개시된 시스템창호 개폐장치의 경우, 롤러부, 핸들뭉치, 상부연결링크, 완충기 등이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시스템창호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바,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심플한 구조로 창호를 락킹할 수 있는 창호용 락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핸들의 작동에 의해 한쌍의 락킹유닛부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어서, 창호의 락킹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창호용 락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핸들과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돌기부(201)가 형성된 구동기어부(203)를 포함하는 핸들모듈부(101); 상기 돌기부(201)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삽입홈(205)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기부(201)가 상기 삽입홈(205)으로 인입되면서 전달하는 구동력으로 직선이동되는 가이드암부(103); 및 상기 가이드암부(103)의 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암부(103)의 직선이동에 따라 창틀에 구비된 스트라이커(105, 107)의 락킹홈(301, 303)에 인입 또는 상기 락킹홈(301, 303)으로부터 인출되는 락킹고리부(207, 209)를 포함하는 락킹유닛부(109, 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락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암부(103)는, 창호의 락킹시 상기 락킹고리부(207, 209)의 지지턱(309, 311)이 지지되도록, 락킹고리부(207, 209)의 후크(219, 221) 반대편 부분이 내삽되는 관통홀(313, 3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락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암부(103)는,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창호가 언락킹된 후, 다시 상기 창호의 락킹 상태에서의 위치인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단이 탄성부재(22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락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락킹유닛부(109, 111)는, 창호가 락킹된 상태에서 창틀로부터 상기 창호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스트라이커(105, 107)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지지돌기부(211, 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락킹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심플한 구조로 창호를 락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들의 작동에 의해 한쌍의 락킹유닛부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어서, 창호의 락킹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락킹유닛부에 지지돌기부가 형성되고, 이 지지돌기부가 스트라이커에 지지됨으로써 창호가 락킹된 상태에서는 창호가 창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방범기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락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락킹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락킹장치에서 락킹 상태 및 언락킹 상태에서 가이드암부와 락킹고리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락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락킹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락킹장치에서 락킹 상태 및 언락킹 상태에서 가이드암부와 락킹고리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락킹장치(100)는, 핸들(미도시)과 결합되어 핸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돌기부(201)가 형성된 구동기어부(203)를 포함하는 핸들모듈부(101); 돌기부(201)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삽입홈(205)을 포함하며, 핸들(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돌기부(201)가 삽입홈(205)으로 인입되면서 전달하는 구동력으로 직선이동되는 가이드암부(103); 및 가이드암부(103)의 단부에 지지되며, 가이드암부(103)의 직선이동에 따라 창틀(미도시)에 구비된 스트라이커(105, 107)의 락킹홈(301, 303)에 인입 또는 락킹홈(301, 303)으로부터 인출되는 락킹고리부(207, 209)를 포함하는 락킹유닛부(109, 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핸들모듈부(101)는 구동기어부(203)를 포함한다.
구동기어부(203)에는 핸들(미도시)의 축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결합홈(113)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홈(113)은 핸들 축의 외주면 형성에 대응되게 형성되는데, 핸들 축의 회전력이 구동기어부(203)에 충실히 전달되도록, 다각형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면들에서는 특히 결합홈(113)이 사각형 홈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구동기어부(203)는 핸들과 결합되어서, 핸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한편, 구동기어부(203)의 외주면에는 돌기부(201)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201)는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어서, 가이드암부(103)는 구동기어부(203)의 돌기부(201)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삽입홈(205)을 포함한다.
이러한 삽입홈(205)은 구동기어부(203)의 돌기부(201)와 연동되어서, 사용자가 핸들(미도시)을 돌림에 따라 가이드암부(103)가 직선이동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핸들(미도시)을 돌림에 따라 구동기어부(203)의 돌기부(201)가 가이드암부(103)의 삽입홈(205)으로 인입되면서 가이드암부(103)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러한 구동력으로 인해 가이드암부(103)가 직선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암부(103)는 창호의 락킹시(도 4의 (a) 참고) 후술할 락킹고리부(207, 209)의 지지턱(309, 311)이 지지되도록 락킹고리부의 후크(219, 221) 반대편 부분이 내삽되는 관통홀(313, 315)을 포함한다.
한편, 가이드암부(103)는 일예로 긴 플랫바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가이드암부(103)의 일단은, 탄성부재(223)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달리 말하면, 가이드암부(!03)는, 핸들의 회전에 따라 일방향(도 4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창호가 언락킹된 후, 다시 창호의 락킹 상태에서의 위치인 타방향(도 4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단이 탄성부재(223)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즉, 탄성부재(223)는, 가이드암부(103)의 일방향(도 4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 이동에 따라 창호가 언락킹 상태(도 4의 (b) 참고)가 되었을 때, 다시 창호의 락킹상태(도 4의 (a) 참고)에서의 위치로 가이드암부(103)가 이동(도 4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어서, 락킹유닛부(109, 111)는 락킹고리부(207, 209)를 포함한다.
락킹고리부(207, 209)는 가이드암부(103)의 단부에 지지된다.
이러한 락킹고리부(207, 209)는 가이드암부(103)의 직선이동에 따라 창틀(미도시)에 구비된 스트라이커(105, 107)의 락킹홈(301, 303)에 인입 또는 락킹홈(301, 303)으로부터 인출된다.
한편, 락킹고리부(207, 209)는 탄성스프링(225, 227)에 의해 도 3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따라서, 도 3, 도 4에서와 같은 창호(창문틀)의 락킹상태에서, 락킹고리부(207, 209)는 탄성스프링(225, 227)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받고 있으나, 락킹고리부(207, 209)의 지지턱(311, 313)이 가이드암부(103)에 지지되고 있으므로 도 3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락킹유닛부(109, 111)는, 창호가 락킹된 상태에서 창틀로부터 창호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트라이커(105, 107)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지지돌기부(211, 213)를 포함한다.
이처럼 락킹유닛부(109, 111)에 지지돌기부(211, 213)가 포함됨으로써, 창호의 방범 기능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락킹유닛부(109, 111)는, 스트라이커(105, 107)의 지지홈(305, 307)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돌기부(215, 2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돌기부(215, 217)는, 스트라이커(105, 107)의 지지홈(305, 307)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부(215, 217)가 이러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삽입돌기부(215, 217)가 스트라이커(105, 107)의 지지홈(305, 307) 안으로 안정적으로 인입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삽입돌기부(215, 217)는, 락킹유닛부(109, 111)와 스트라이커(105, 107) 사이의 유격을 줄여주면서, 방범 기능 역시 높여주는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심플한 구조로 창호를 락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들의 작동에 의해 한쌍의 락킹유닛부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어서, 창호의 락킹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락킹유닛부에 지지돌기부가 형성되고, 이 지지돌기부가 스트라이커에 지지됨으로써 창호가 락킹된 상태에서는 창호가 창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방범기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창호용 락킹장치
101 : 핸들모듈부
103 : 가이드암부
105 : 스트라이커
107 : 스트라이커
109 : 락킹유닛부
111 : 락킹유닛부
113 : 결합홈
201 : 돌기부
203 : 구동기어부
205 : 삽입홈
207 : 락킹고리부
209 : 락킹고리부
211 : 지지돌기부
213 : 지지돌기부
215 : 삽입돌기부
217 : 삽입돌기부
219 : 후크
221 : 후크
223 : 탄성부재
225 : 탄성스프링
227 : 탄성스프링
301 : 락킹홈
303 : 락킹홈
305 : 지지홈
307 : 지지홈
309 : 지지턱
311 : 지지턱
313 : 관통홀
315 : 관통홀

Claims (4)

  1. 핸들과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돌기부(201)가 형성된 구동기어부(203)를 포함하는 핸들모듈부(101);
    상기 돌기부(201)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삽입홈(205)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기부(201)가 상기 삽입홈(205)으로 인입되면서 전달하는 구동력으로 직선이동되는 가이드암부(103); 및
    상기 가이드암부(103)의 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암부(103)의 직선이동에 따라 창틀에 구비된 스트라이커(105, 107)의 락킹홈(301, 303)에 인입 또는 상기 락킹홈(301, 303)으로부터 인출되는 락킹고리부(207, 209)를 포함하는 락킹유닛부(109, 1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락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암부(103)는,
    창호의 락킹시 상기 락킹고리부(207, 209)의 지지턱(309, 311)이 지지되도록, 락킹고리부(207, 209)의 후크(219, 221) 반대편 부분이 내삽되는 관통홀(313, 3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락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암부(103)는,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창호가 언락킹된 후, 다시 상기 창호의 락킹 상태에서의 위치인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단이 탄성부재(22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락킹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부(109, 111)는,
    창호가 락킹된 상태에서 창틀로부터 상기 창호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스트라이커(105, 107)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지지돌기부(211, 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락킹장치.
KR1020170130769A 2016-10-12 2017-10-11 창호용 락킹장치 KR201800405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31794 2016-10-12
KR1020160131794 2016-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500A true KR20180040500A (ko) 2018-04-20

Family

ID=6208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769A KR20180040500A (ko) 2016-10-12 2017-10-11 창호용 락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05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7509B2 (e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916103B1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102052529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CN105298225A (zh) 插锁
KR100790939B1 (ko) 창문 잠금장치
KR101842834B1 (ko) 폴딩도어 락 잠금장치
CN107690503B (zh) 用于滑动窗的打开辅助装置
KR101597914B1 (ko) 방충망 잠금장치
KR20180040500A (ko) 창호용 락킹장치
KR100803906B1 (ko) 손잡이 당김용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0932547B1 (ko) 도어록 장치
JP2017179820A (ja) 引違い窓の開閉装置
EP2985399B1 (en) Handle for a door or window with two or three point latch
KR101672995B1 (ko) 창호 잠금장치
KR200371733Y1 (ko) 문 자물쇠
KR101661462B1 (ko) 미닫이 문 잠금장치
KR20130123203A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US20160168886A1 (en) Screwless Mounted Short-Throw Lock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CN112443200B (zh) 门锁的推拉模块
JP4954963B2 (ja) 建具
KR101569634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JP2010007236A (ja) 係合係脱装置
JP5145183B2 (ja) 扉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