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634B1 -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634B1
KR101569634B1 KR1020140160562A KR20140160562A KR101569634B1 KR 101569634 B1 KR101569634 B1 KR 101569634B1 KR 1020140160562 A KR1020140160562 A KR 1020140160562A KR 20140160562 A KR20140160562 A KR 20140160562A KR 101569634 B1 KR101569634 B1 KR 101569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otation
rotating body
locking memb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범
양보호
Original Assignee
(주)성림금속
김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림금속, 김용범 filed Critical (주)성림금속
Priority to KR102014016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5/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2개의 잠금부를 동시에 잠금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레버와 결합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에 의해 회전하기 위한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창틀프레임에 설치된 잠금고리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창호를 잠그기 위한 2개의 잠금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덮기 위한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2개의 잠금부를 동시에 잠금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이나 베란다에 사용되는 문은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미닫이문을 사용한다. 미닫이문은 창문 밑막이에 대어 문이 레일 위를 미끄러지게 하여 옆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미닫이문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로는 잠금장치의 회동에 따라 잠금장치가 잠금 및 잠금 해제가 되도록 레버형의 잠금장치가 사용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8661호(2014.11.06 공개)는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레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회전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하는 동력전달부재와 잠금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말단부로부터 각각 이격 배치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후크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동력전달부재와 후크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7713호(2004.11.03 등록)는 갭 리벳을 구비하여 규격화된 통상의 단일요홈 형상의 창틀프레임에 적용가능한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요홈부를 구비한 창문프레임과, 볼록부를 구비하여 상기 창문프레임과 요철형태로 결합되는 창틀프레임으로 구성된 창호에 적용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창문프레임의 요홈부에 이격되어 고착된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로드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체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로드에 밀착하여 움직이는 체결로드와,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력을 상기 체결로드에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로드작동부; 및 상기 창틀프레임의 볼록부에 고정되어 상기 체결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체결블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들은, 양쪽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잠금후크를 당겨 잠금을 해지하기 위해 별도의 피니언과 래크가 형성되었다. 별도로 결합된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맞물려 있던 래크를 운동시키고, 래크는 일체로 형성된 동력전달부재를 움직이면서 동시에 동력전달부재가 잠금후크를 운동시켜 잠금을 해지시키게 되고, 장금후크가 잠금 해지 상태가 되면 하우징 전체를 밀어서 도어를 개방시키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부품수가 많아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원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래크와 피니언의 유격이 커지는 경우 공회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8661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771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잠금부를 기 설정된 각도로 굴곡지게 형성하고 회전부가 그 부분을 걸도록 형성하여,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2개의 잠금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레버와 결합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에 의해 회전하기 위한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창틀프레임에 설치된 잠금고리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창호를 잠그기 위한 2개의 잠금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덮기 위한 커버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레버와 결합하며, 회전하기 위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 측에 형성되며, 하나의 잠금부를 걸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당기기 위한 제1 걸음부재; 및 상기 회전체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잠금부를 걸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당기기 위한 제2 걸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걸음부재에 걸리는 제1 걸림부재; 상기 제1 걸림부재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고리에 삽입하기 위한 제1 잠금부재; 상기 제2 걸음부재에 걸리는 제2 걸림부재; 및 상기 제2 걸림부재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고리에 삽입하기 위한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걸림부재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걸음부재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걸림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바; 및 상기 제1 바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걸음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바는, 기 설정된 각도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잠금부 사이에 형성되어, 잠금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 상기 잠금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회전부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커버부와 체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체결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2개의 잠금부를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써, 별도의 래크와 피니언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줄어들고 공정이 상당히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생산단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래크와 피니언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래크와 피니언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여 공회전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회전부와 잠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베이스부와 커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10)는, 베이스부(100), 회전부(200), 잠금부(300, 301),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에 회전부(200), 잠금부(300, 301)를 장착한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00)는, 창문프레임(W)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00)는, 창문프레임(W)의 측면에 위치시킨 후에 나사를 관통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00)는, 내부 가운데 부분에 회전부(200)를 설치하고, 양측에 잠금부(300, 301)를 설치하기 위해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회전부(200)는, 레버(L)와 결합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내측에 장착되어, 레버(L)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하면서 2개의 잠금부(300, 301)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시킨다.
잠금부(300, 301)는, 수용공간의 내측에 장착된 회전부(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회전부(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선 운동하는 것으로, 창틀프레임(F)에 설치된 잠금고리(H)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창호를 잠그거나, 창틀프레임(F)에 설치된 잠금고리(H)로부터 빠져나와 슬라이딩 창호를 개폐시킨다.
커버부(400)는, 베이스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회전부(200)와 잠금부(300, 301)를 장착한 후에 베이스부(100)를 덮어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400)는, 베이스부(100)의 크기 및 형상과 같게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10)는, 하나의 회전부(200)의 회전을 통해 2개의 잠금부(300, 301)를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써, 별도의 래크와 피니언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줄어들고 공정이 상당히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생산단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래크와 피니언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래크와 피니언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여 공회전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회전부와 잠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부(200)는, 회전체(210), 제1 걸음부재(220), 제2 걸음부재(230)를 포함하며, 잠금부(300, 301)는, 제1 걸림부재(310), 제1 잠금부재(320), 제2 걸림부재(330), 제2 잠금부재(340)를 포함한다.
회전체(210)는,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레버(L)와 결합하며, 레버(L)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한다.
제1 걸음부재(220)는, 회전체(210)의 일 측에 형성되며, 제1 걸림부재(310)를 걸어 회전체(210)의 회전에 따라 제1 걸림부재(310)를 당긴다.
제2 걸음부재(230)는, 회전체(210)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며, 제2 걸림부재(330)를 걸어 회전체(210)의 회전에 따라 제2 걸림부재(330)를 당긴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걸음부재(230)는, 돌기(231)를 형성할 수 있다.
돌기(231)는, 제2 걸음부재(230)의 일 말단에 돌출 형성되며, 제1 바(331)에 끼여 있다가 회전체(210)의 회전을 통해 제2 바(332)의 굴곡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2 걸림부재(330)를 당길 수 있다.
제1 걸림부재(310)는, 제1 걸음부재(220)에 걸려 회전체(210)의 회전에 따라 당겨지면서 직선 운동하며, 일 측에 제1 잠금부재(320)를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걸림부재(31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걸음부재(220)에 걸린다.
제1 잠금부재(320)는, 제1 걸림부재(310)의 일 측에 형성되며, 제1 걸림부재(310)의 운동에 따라 잠금고리(H)에 삽입되거나 잠금고리(H)로부터 빠져나온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잠금부재(320)는, 잠금고리(H)에 삽입 고정하기 위해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330)는, 제2 걸음부재(230)의 돌기(231)에 걸려 회전체(210)의 회전에 따라 당겨지며, 일 측에 제2 잠금부재(340)를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걸림부재(330)는, 제1 바(331), 제2 바(332)를 포함한다.
제1 바(331)는, 제2 걸림부재(330)에서 일 방향(제2 걸음부재(230)의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제2 걸음부재(230)에 걸린다.
제2 바(332)는, 제1 바(331)에 연결 형성되어, 회전체(2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 걸음부재(230)를 회전시키며, 회전체(210)의 회전에 따라 운동하면서 일체로 형성된 제2 걸림부재(330)를 안쪽으로 당겨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바(332)는, 제1 바(331)의 일 말단에서 돌기(231)의 회전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완만하게 굴곡 형성되어, 그 굴곡을 따라 돌기(231)가 회전하면서 당겨진다.
제2 잠금부재(340)는, 제2 걸림부재(330)의 일 측에 형성되며, 제2 걸림부재(330)의 운동에 따라 잠금고리(H)에 삽입되거나 잠금고리(H)로부터 빠져나온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잠금부재(340)는, 잠금고리(H)에 삽입 고정하기 위해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10)는, 탄성부(500)를 더 포함한다.
탄성부(500)는, 베이스부(100)와 잠금부(300, 301)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잠금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며, 회전부(20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 잠금부(300, 301)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부(500)는, 베이스부(100)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된 부분과 제1 잠금부재(320) 사이에 형성된 경우 제1 걸림부재(310)에서 제1 잠금부재(32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베이스부(100)의 다른 일 측에 돌출 형성된 부분과 제2 잠금부재(340) 사이에 형성된 경우 제2 걸림부재(330)에서 제2 잠금부재(34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부(500)는, 스프링 등 탄력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베이스부와 커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방지부재(110), 체결부재(120)를 포함하며, 커버부(400)는, 삽입홀(410)을 포함한다.
방지부재(110)는, 베이스부(100)에 형성되어, 회전부(20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방지부재(110)는, 베이스부(100) 중 제1 걸음부재(220)가 장착되는 쪽에 걸림턱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체(2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막아주어 제1 걸림부재(310)가 제1 걸음부재(22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체결부재(120)는, 커버부(400)와 체결하기 위해 베이스부(100)에 다수 개로 돌출 형성되며, 삽입홀(410)에 삽입된다.
삽입홀(410)은, 체결부재(120)의 대향하는 위치의 커버부(400)에 형성되어, 체결부재(120)를 삽입한 후에 나사를 관통 삽입하여 체결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수용공간에 회전부(200)와 2개의 잠금부(300, 301)가 장착된 베이스부(100)를 창문프레임(W)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제1 잠금부재(320)와 제2 잠금부재(340)가 창틀프레임(F)에 설치된 잠금고리(H)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창호가 잠긴 상태이다.
여기서, 레버(L)를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5와 같이, 레버(L)에 결합된 회전체(210)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체(21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걸음부재(220)에 의해 제1 걸림부재(310)가 당겨지고, 제2 걸음부재(230)에 의해 제2 걸림부재(330)가 당겨지게 된다. 즉, 회전체(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 걸림부재(310)와 제2 걸림부재(330)가 회전체(210)의 회전에 의해 잠금 해제 방향(제1 잠금부재(320)에서 회전체(210) 및 제2 잠금부재(340)에서 회전체(210) 방향)인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걸림부재(310)와 제2 걸림부재(330)의 운동에 따라 제1 잠금부재(320), 제2 잠금부재(340)가 잠금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잠금고리(H)로부터 빠져나와 창문프레임(W)의 잠금 설정이 해제된다. 즉, 제1 잠금부재(320)와 제2 잠금부재(340)가 잠금고리(H)로부터 이탈하여 잠금 해제가 되는 것이므로, 창문프레임(W)이 창틀프레임(F)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1 잠금부재(320)와 제2 잠금부재(340)가 잠금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베이스부(100)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된 부분과 제1 잠금부재(320) 사이 및 베이스부(100)의 다른 일 측에 돌출 형성된 부분과 제2 잠금부재(340)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500)가 탄성 압축된다. 따라서 레버(L)를 잠금 해제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제1 잠금부재(320)와 제2 잠금부재(340)는 탄성부(500)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 방향(원위치)으로 위치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잠금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100 : 베이스부
110 : 방지부재
120 : 체결부재
200 : 회전부
210 : 회전체
220 : 제1 걸음부재
230 : 제2 걸음부재
231 : 돌기
300, 301 : 잠금부
310 : 제1 걸림부재
320 : 제1 잠금부재
330 : 제2 걸림부재
331 : 제1 바
332 : 제2 바
340 : 제2 잠금부재
400 : 커버부
410 : 삽입홀
500 : 탄성부
L : 레버
W : 창문프레임
F : 창틀프레임
H : 잠금고리

Claims (10)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레버와 결합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에 의해 회전하기 위한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창틀프레임에 설치된 잠금고리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창호를 잠그기 위한 2개의 잠금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덮기 위한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레버와 결합하며, 회전하기 위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 측에 형성되며, 하나의 잠금부를 걸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당기기 위한 제1 걸음부재; 및
    상기 회전체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잠금부를 걸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당기기 위한 제2 걸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걸음부재에 걸리는 제1 걸림부재;
    상기 제1 걸림부재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고리에 삽입하기 위한 제1 잠금부재;
    상기 제2 걸음부재에 걸리는 제2 걸림부재; 및
    상기 제2 걸림부재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고리에 삽입하기 위한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재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걸음부재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바; 및
    상기 제1 바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걸음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는,
    기 설정된 각도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잠금부 사이에 형성되어, 잠금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 상기 잠금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회전부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커버부와 체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체결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20140160562A 2014-11-18 2014-11-18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1569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562A KR101569634B1 (ko) 2014-11-18 2014-11-18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562A KR101569634B1 (ko) 2014-11-18 2014-11-18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634B1 true KR101569634B1 (ko) 2015-11-16

Family

ID=5478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562A KR101569634B1 (ko) 2014-11-18 2014-11-18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6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404B1 (ko) 2006-10-30 2007-10-15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문의 자동 및 수동 겸용 잠금장치
KR101191565B1 (ko) 2011-02-23 2012-10-15 (주)에이디에스레일 철도 차량의 출입문 기밀성 향상을 위한 플러그 인/아웃 개폐 및 잠금장치
KR200469307Y1 (ko) 2012-06-08 2013-10-04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404B1 (ko) 2006-10-30 2007-10-15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문의 자동 및 수동 겸용 잠금장치
KR101191565B1 (ko) 2011-02-23 2012-10-15 (주)에이디에스레일 철도 차량의 출입문 기밀성 향상을 위한 플러그 인/아웃 개폐 및 잠금장치
KR200469307Y1 (ko) 2012-06-08 2013-10-04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3206B2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device
CN106948687B (zh) 锁装置和安装锁装置的设备
US8411429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isk drive
US9351411B2 (en) Fasten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EP2887471A1 (en) Mounting latch
KR101575929B1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JP2015122182A (ja) レバー式電気コネクタ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CN110512960B (zh) 一种电器门锁
KR20140016751A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KR101533194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CN209877465U (zh) 用于制冷设备的把手组件和箱门以及制冷设备组件
CN107690503B (zh) 用于滑动窗的打开辅助装置
KR20170023452A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597914B1 (ko) 방충망 잠금장치
KR101569634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JP4514403B2 (ja) ラッチング機構
CN205336709U (zh) 风扇模块固定装置
KR10128709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20160016112A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US20160168886A1 (en) Screwless Mounted Short-Throw Lock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JP2013045608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KR101130655B1 (ko) 도어용 드로와 래치의 오토락 장치
KR101902494B1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KR20170054641A (ko)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