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302A -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302A
KR20180040302A KR1020160131998A KR20160131998A KR20180040302A KR 20180040302 A KR20180040302 A KR 20180040302A KR 1020160131998 A KR1020160131998 A KR 1020160131998A KR 20160131998 A KR20160131998 A KR 20160131998A KR 20180040302 A KR20180040302 A KR 20180040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aseball game
pitching
uni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652B1 (ko
Inventor
함봉식
성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큐브
성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큐브, 성길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큐브
Priority to KR102016013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6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하고, 타석에 입장한 사용자에게 공을 자동으로 투척함으로써 게임을 진행하는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을 투척하는 피칭부내에 구비되어 공이 투입되는 투입구에 순차적으로 하나의 공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 및 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타석부에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게임을 중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공을 하나씩 안정적으로 투척하여 기기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PITCHING UNIT AND SCREEN BASEBALL GAME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하고, 타석에 입장한 사용자에게 공을 자동으로 투척함으로써 게임을 진행하는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야구는 투수가 던진 공을 타자가 배트를 이용하여 쳐서 베이스로 살아나가는 방법으로 진행되는 구기 종목으로서, 체육의 기본 기술이 골고루 필요한 인기 스포츠이다. 1루, 2루, 3루, 홈의 네 베이스를 사용하므로 이를 일컬어 베이스볼(Baseball)이라 한다
통상적으로, 야구는 소정의 인원과 비교적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야구경기를 자유롭게 즐기기에는 인적, 시간적 및 공간적 제약이 존재하게 된다.
전술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종래에는 피칭 머신을 구비하는 타격 연습장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타격 연습장의 경우 제한된 구질의 선택이나 다양한 환경에의 대응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실제 경기장의 규모는 아니더라도 상당한 공간확보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타격 일변도의 게임이 진행되기 때문에 스트라이크나 아웃 또는 점수의 획득과 같은 실재감과 재미가 현저히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이에,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이 개발되게 되었는데, 종래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들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과 유사하게 전방에 빔 프로젝터에 의해 화상이 표시되는 스크린과, 스크린의 뒷면에서 스크린 중앙 일측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해서 공을 투척하는 피칭장치와, 상기 스크린과 타자석 사이에서 타격된 공의 좌표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타석에 입장하여 피칭장치로부터 투척되는 공을 타격하는 형태로 야구게임이 진행하게 되는데, 실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임에 따라 피칭장치와 타석부간의 거리가 가까운 반면, 피칭장치로부터 투척되는 공의 속도가 빠른 편으로서, 사용자가 실수 또는 사고로 공에 맞아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손에 배트를 들고 있으며 현재 상황을 시스템에 알릴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존재하지 않아, 시스템이 현재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여 야구게임을 속행하여 공이 잘못 투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별다른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전술한 피칭장치는 휠의 회전을 통해 장치내 투입된 공을 투척하게 되는데, 그 휠에 둘 이상의 공이 한번에 투입되어 휠이 파손되거나 두 개 이상의 공이 동시에 투척됨에 따라 예상치 못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크린 야구 게임 시스템에서 내부에 대기중인 다수의 공을 하나씩 안정적으로 투척하여 파손이 최소화된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석부에 입장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게임을 즉시 중지함으로써 게임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최소화하는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칭부는, 야구게임 시스템용 피칭부로서, 회전운동에 따라 공을 전방으로 투척하는 휠; 상기 휠에 공을 투입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에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대기중인 공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휠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및 제2 밸브; 및 상기 제1 및 제2 밸브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내 공의 대기여부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칭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는 야구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야구 게임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트부; 상기 야구 게임영상이 투영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배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을 투척하되, 대기중인 복수의 공을 하나씩 투척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를 포함하는 피칭부; 상기 스크린과 소정거리 이격되고, 투척된 공을 타격하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타석부; 야구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야구 게임영상을 상기 빔 프로젝터부에 제공하는 단말기; 상기 피칭부 및 타석부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공에 대하여 좌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를 상기 야구 게임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상기 피칭부 및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을 투척하는 피칭부내에 구비되어 공이 투입되는 투입구에 순차적으로 하나의 공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 및 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또한, 타석부에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게임을 중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공을 하나씩 안정적으로 투척하여 기기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구조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칭부의 구조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구동 시나리오를 순서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타석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피칭부의 동작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및 "...모듈(Modul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100)은 15 ~ 25 평의 공간을 갖는 실내(30)에 설치되는 시스템으로서, 야구시뮬레이터 즉, 야구게임이 탑재된 키오스크(kiosk)형태의 단말기(150) 및 그에 설치되는 모니터(155)와, 스크린 투사를 위한 프로젝트부(110)와, 게임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120)과, 야구에서 투수를 대신하여 투구하는 피칭부(미도시)와, 볼을 타구하는 사용자가 위치하고, 그의 현재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타석부(140)와, 투구 및 타구에 대한 분석을 위한 센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트부(110)는 그 넓이가 종래의 4:3 비율에서 8:3 및 12:3 비율로 2개 이상의 빔 프로젝터(111, 112)를 포함하여 게임영상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부(110)는 원형으로 구현되어 빛을 조사할 때 영상이 스크린(120)을 벗어나지 않도록 기하학적 구성이 적용되어 화면조정이 수행될 수 있고, 두 빔 프로젝터(111, 112)간의 중첩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블랜딩 기술이 적용되어 화면의 왜곡을 줄일 수 있다.
타석부(140)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하여 제1 영역인 좌타석, 제2 영역인 홈 플레이트 및 제3 영역인 우타석을 감지할 수 있으며, 그 센서들은 인체를 감지 하는데 방해가 적은 뒷면, 천장부 및 바닥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 또는 제3 영역에서 인체가 감지된 경우에만 타석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타석부(140)에서는 피칭준비 시간인 약 3초 ~ 4초 사이에도 다른 영역에서 사용자가 감지가 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타석에서 벗어난 경우 피칭준비를 멈추도록 하며, 투구가 발생하는 약 0.2초 ~ 0.5초 사이를 제외한 어떠한 시간에도 홈 플레이트에 감지신호가 있으면 중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하게 타석준비가 된 경우에만 피칭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센서부(160)는 타격준비가 끝나면 공을 감지할 준비를 하고, 피칭부(130)에 의한 투구가 이루어지면 투구에 대한 볼이 지나간 위치에 대하여 3개의 수광센서(162)에 의해 각각 감지되는 3개의 좌표, 즉 총 9개의 좌표(x1, y1, z1, x2, y2, z2, x3, y3, z3)를 추출하게 되며, 이에 기초하여 이동거리, 시간을 계산하여 속도와 구질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홈플레이트를 지나가는 스트라이크 좌표(x, y)를 추출하게 된다. 또한, 타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타자에 대한 볼, 스트라이크 유무를 감지하게 되며, 타격의 경우 파울과, 정상적인 타격시 공이 센서부(160)를 지나간 경우 총 9개의 좌표(x1, y1, z1, x2, y2, z2, x3, y3, z3)를 추출하여 이동거리, 시간을 계산하여 속도와 방향, 탄도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센서부(160)는 공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인 피칭부(130)와 타석부(140)사이에 배치되며,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타석부(14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피칭부(130)는 투구된 공들을 다시 모아서 자동으로 피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우, 상하 컨베어를 포함하는 공 수거부와 연결되어 공 투입구로 공을 이송하게 된다. 이후, 피칭부(130)의 투입구에 볼이 공급되면 이에 내장된 고무재질의 휠의 회전속도에 따라 투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휠의 회전속도에 따라 다양한 구질의 투구가 가능하며, 속도가 다양하고 빠르게 투척되게 된다. 공이 빠르기 때문에 제구가 중요하며, 피칭거리가 실제보다 가깝기 때문에 일정한 타이밍에 공의 투척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게 된다.
만약, 휠에 의한 제구를 위해서는 정속도에 도달하기 전에 공이 투입되거나 2개이상 연속해서 공이 투입될 경우 모터에 압력이 가해져 모터의 파손이 초래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100)은 피칭부(130)에서 투입구에 공이 정확한 타이밍에 1구씩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피칭부(130)는 투입구에 2개의 대기공간을 확보하여 대기 공의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와, 공의 투입을 제어하는 밸브를 구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현재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안전한 투구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전술한 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구조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100)은 실내에 설치되는 야구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야구 게임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트부(110), 야구 게임영상이 투영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스크린(120), 스크린(120)의 배면으로 배치되고, 개구부를 통해 공을 투척하는 포함하는 피칭부(130), 스크린(130)과 소정거리 이격되고, 투척된 공을 타격하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타석부(140), 야구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야구 게임영상을 프로젝터부에 제공하는 단말기(150), 피칭부(130) 및 타석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공에 대하여 좌표를 감지하는 센서부(160) 및, 그 센서부(160)의 감지결과를 야구게임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피칭부(130) 및 단말기(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고, 특히 피칭부(130)는 대기중인 복수의 공을 하나씩 투척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트부(110)는 단말기(150)로부터 야구 게임영상 및 게임진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받아 스크린(120)에 투영하여 사용자에게 게임영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로젝트부(110)은 실내에서 스크린(120)의 전(全)면에 대하여 빛을 조사하기 유리한 천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프로젝트부(110)는 게임영상을 서로 다른 비율로 투사하는 제1 및 제2 빔 프로젝터(111, 1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8:3 및 12:3 비율로 게임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스크린(120)은 실내(10)의 일측에 배치되어 게임영상이 투사됨에 따라 게임화면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스크린(120)의 중앙영역으로는 피칭부(130)로부터 공이 투척되는 개구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피칭부(130)는 공 수거부(미도시)로부터 다수의 공을 공급받아 설정에 따른 구질로 사용자 즉, 타석부(130)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을 자동으로 투척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피칭부(130)는 공을 투척할 수 있는 휠(131) 및 모터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피칭부(130)는 공 수거부에서 휠(131)에 공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투입구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대기중인 공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휠(131)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1 및 제2 밸브(132, 133)와, 그 제1 및 제2 밸브(132, 133)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내 공의 대기여부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센서(136, 13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밸브(132)는 하나의 공이 대기되도록 하며, 게임진행에 따라 그 하나의 공을 휠(131)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제2 밸브(133)는 제1 밸브(132)에 의해 대기하는 공이 없을 때 제1 밸브(132)에 구비된 대기공간에 하나의 공을 공급하게 된다. 각 밸브(132, 133)에 구비되는 대기공간의 공 유무는 제1 및 제2 센서(136, 137)에 의해 감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휠(131)에는 하나의 공만이 공급되어 투척됨에 따라, 2 개이상의 공이 동시에 휠(131)에 공급되어 발생할 수 있는 기기고장 및 안전사고를 최소화 된다. 이러한 구조의 피칭부(130)에 대한 상세한 구조 및 작동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타석부(140)는 상기 피칭부(13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야구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용자가 위치하여 피칭부(130)로부터 투척된 공을 타격하는 영역으로서, 사용자가 홈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정상적으로 위치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수단인 제1 내지 제3 센서(141 ~ 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센서(141 ~ 143)는 각각 타석의 좌타석, 홈 플레이트 및 우타석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상황을 감지하여 제어부(170)에 알려줌으로써 게임진행 도중 공의 오 투척 등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게 된다.
단말기(150)는 야구게임 프로그램이 설치 및 실행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고, 프로젝트부(110)에 야구게임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게임화면을 제공하는 동시에, 게임진행에 관련된 다른 형태의 화면을 모니터(155)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기(150)는 모니터(155)가 탑재된 키오스크(kiosk)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키오스크의 내부로는 제어부(170)가 실장될 수 있다.
센서부(160)는 피칭부(130)에서 투척되는 공 및 타석부(140)에서 타격되어 날아가는 공을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를 제어부(17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센서부(160)는 복수의 발광모듈 및 수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발광 및 수광모듈들은 피칭부(130) 및 타석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투구방향 및 타구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을 각각 감지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70)에 제공하게 된다.
제어부(170)는 야구게임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피칭부(130) 및 단말기(150)를 정상적인 게임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타석부(140)의 제1 내지 제3 센서(141 ~ 143)에 의한 감지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상황을 판단하고, 공의 투척여부를 제어하는 타석 분석모듈(171)과, 피칭부(130)의 제1 및 제2 센서(136, 137)에 의한 감지결과에 따라, 휠(131)에 오직 하나의 공만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피칭제어모듈(172)과, 센서부(160)로부터 감지된 상기 투구방향 및 타구방향에서의 공에 대한 복수의 좌표를 각각 추출 및 분석하여 투구정보 및 타구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야구게임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시뮬레이션에 반영하는 정보분석모듈(17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게임의 진행 및 중지여부를 결정하고, 다수의 공이 하나씩 안정적으로 투척되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파손 및 안전사고가 최소화된다.
이하, 각 구성요소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에 구비되는 피칭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칭부의 구조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얇은 화살표는 신호의 흐름을 가리키며, 두꺼운 화살표는 공의 이동경로를 가리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피칭부(130)는 회전운동에 따라 공을 전방으로 투척하는 휠(131), 그 휠(131)에 공을 투입하는 투입구(135), 그 투입구(135)에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대기중인 공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휠(131)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및 제2 밸브(132, 133) 및, 그 제1 및 제2 밸브(132, 133)에 각각 설치되어 투입구(135)내 공의 대기여부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센서(136, 137)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밸브(132, 133)와 제1 및 제2 센서(136, 137)는 제어부(도 2의 170)의 피칭제어모듈(172)에 연결될 수 있다.
휠(131)는 야구게임 진행시 두 개의 고무재질의 휠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투입구(135)로부터 공급되는 공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투척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휠(131)은 소정의 모터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투입구(135)는 관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공이 이송되는 경로의 역할을 하며, 끝단이 공 수거부(30)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공이 이송되고, 타단이 휠(131)의 입구에 연결되어 공을 전달하게 된다.
제1 밸브(132)는 투입구(135)의 타단 및 제2 밸브(133)사이에 배치되며, 하나의 공이 대기할 수 있는 제1 대기공간을 구비하고, 피칭 제어모듈(172)의 제어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상태가 되며 대기공간내 위치한 공을 휠(131)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밸브(133)는 제1 밸브(132) 및 투입구(135)의 끝단 사이에 배치되며, 하나의 공이 대기할 수 있는 제2 대기공간을 구비하고, 피칭 제어모듈(172)의 제어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상태가 되며 제2 대기공간내 위치한 공을 제1 밸브(132)에 구비된 제1 대기공간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대기공간내에 이미 공이 위치하고 있으면,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2 밸브(133)는 제1 밸브(133)에 의한 대기공간에 하나의 공을 공급하게 되고, 제1 밸브(132)는 대기공간내 하나의 공을 휠(131)에 공급하는 형태가 되어 투입구에 다수의 공이 유입되었다 하더라도, 하나의 공만을 휠(131)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1 센서(136)는 제1 밸브(132)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제1 대기공간내 공의 유무를 감지하고 이를 피칭 제어모듈(172)에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제2 센서(137)는 제2 밸브(133)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제1 대기공간내 공의 유무를 감지하고 이를 피칭 제어모듈(172)에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칭부는 하나의 공만이 피칭을 위한 휠에 공급됨으로써, 두 개 이상의 공이 동시에 휠에 투입됨에 따라 유발되는 기기의 오작동 및 고장발생이 최소화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동 시나리오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칭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구동 시나리오를 순서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게임 진행을 위한 선수 등록 또는 게임에서 제공하는 선수를 선택하고(S100),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경기방식을 선택한다(S110). 이어서, 사용자는 취향에 따라 야구게임이 진행되는 구장을 선택하게 된다(S120).
이후,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루트'Ⅰ'에 따라, 사용자가 타석에 입장하고 경기가 시작된다(S200). 여기서 경기운영방식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일반 야구게임의 규칙을 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루트 'Ⅱ'에 의해 야구게임의 시뮬레이터로부터 타자소개(S300)가 진행되며, 이때, 피칭부의 피칭제어모듈의 작동에 따라 대기하며 상기 S300 단계가 반복될 수 있다.
이후, 타석부에 구비된 타자 센서가 동작하고(S320), 타자 즉, 사용자가 입장함에 따라 좌타석 또는 우타석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S330), 소정의 시간 이후 시뮬레이터는 피칭 모션을 표시하게 된다(S340). 이는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피칭 모션이 완료되면 피칭부는 공을 투척하게 되는데, 이때 타석 센서가 사용자를 감지하여 홈 플레이트에 사용자가 감지되거나, 좌타석 또는 우타석에서 사용자의 감지가 발생되지 않으면 특정상황으로 판단하여 공 투척을 중단하고 타자 센서의 동작(S320)에 의해 정상적인 상황이 감지될 때까지 대기하며, 상기의 상황이 감지되지 않고 정상적인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피칭제어모듈은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타석으로 공이 투척되도록 한다(S360).
이어서, 제어부는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공의 좌표를 이용하여 투구를 분석하고(S370), 타구를 분석하게 된다(S380). 이러한 단계에서 분석된 정보는 시뮬레이터에 반영되어 야구게임이 진행되게 된다(S390).
이후, 루트'Ⅲ'에 따라, 스트라이크, 볼, 안타 및 홈런 등의 타격결과를 스크린에 표시하게 되고(S210), 계속 게임을 진행하게 되는데, 통상적인 야구게임의 규칙에 따라, 아웃카운트가 3회 미만이면 상기 루트'Ⅱ'를 반복하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 회차를 판단하여 10회 미만이면 공수를 교체하고(S240) 루트'Ⅱ'를 반복하며, 그렇지 않으면 경기를 종료하고 결과를 스크린에 표시하게 된다(S25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타석부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타석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를 참조하면 타석부(140)에는 좌타석에 대응하는 제1 센서(141)와, 홈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제2 센서(142)와, 우타석에 대응하는 제3 센서(143)가 각각 설치되며, 타석에 타자가 입장하면 타석분석모듈(171)이 감지한 신호와 위치를 단말기에 전달하여 피칭준비를 하게 된다.
여기서, 센서는 천장 또는 벽면 또는 뒤쪽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센서(141, 142, 143)에 의해 우타석이나 좌타석에 한곳에만 2초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타석위치와 피칭준비 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피칭 준비중이라도 홈 플레이트나 반대 타석에 신호가 감지되면 피칭 준비를 중단하여 투척되는 공으로부터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피칭부의 동작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의 피칭부의 동작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피칭부(130)에서 투입구내에 다수의 공이 공급되어 있고, 제1 밸브(132)이 폐쇄되어 제1 대기공간내에 하나의 공이 위치하고, 제2 밸브(133) 또한 폐쇄되어 제2 대기공간내에 하나의 공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는 피칭준비상태로서, 피칭부(130)는 제어부의 피칭제어모듈에서 투구명령을 받아 대기상태의 공을 투구하거나, 센서를 통해 대기공간내 공 위치를 감지해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야구경기가 시작되고 타석에 사용자가 입장하기 전에 대기공간내 공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해서 시뮬레이터에 전송하게 된다.
이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칭제어모듈은 투구명령을 받게 되면, 제1 밸브(132)를 개방하여 공을 휠(131)에 투입하여 피칭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야구공이 연속해서 투입될 경우, 타자에게 위협적으로 공이 투구되거나 피칭부(130)에 구비된 모터장치에 과전류가 발생하여 기기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투입구에는 제1 및 제2 밸브(132, 133)가 구비되어 있고, 제1 및 제2 밸브(132, 133)는 연속해서 야구공 1개를 대기상태로 하는 간격으로 대기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대기공간에 대하여 공의 감지를 위한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1 밸브(132)가 개방되어 공이 휠(131)에 공급된 상태에서 제2 밸브(133)는 폐쇄상태가 된다.
이후,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구에 따라 제1 대기공간에 공이 없으면, 제1 밸브(132)가 폐쇄되고, 제2 밸브(133)가 개방됨에 따라 제2 대기공간의 공이 제1 대기공간에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밸브(132, 133)로 구분되어 연속해서 2개의 공이 휠(131)에 투입되지 않게 되어 순차적으로 안정되게 공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 : 실내 100 :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110 : 프로젝트부 111, 112 : 제1 및 제2 빔 프로젝터
120 : 스크린 130 : 피칭부
140 : 타석부 141, 142, 143 : 제1 내지 제3 센서
150 : 단말기 155 : 모니터
160 : 센서부 161 : 발광모듈
162 : 수광모듈

Claims (10)

  1. 야구게임 시스템용 피칭부로서,
    회전운동에 따라 공을 전방으로 투척하는 휠;
    상기 휠에 공을 투입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에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대기중인 공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휠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및 제2 밸브; 및
    상기 제1 및 제2 밸브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내 공의 대기여부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센서
    를 포함하는 피칭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휠의 투척시 개방되어 대기중인 하나의 공을 상기 휠에 공급하는 피칭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제1 밸브에 의해 대기중인 공이 없을 경우 개방되어 상기 제1 밸브가 폐쇄됨에 따른 대기공간에 하나의 공을 공급하는 피칭부.
  4. 실내에 설치되는 야구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야구 게임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트부;
    상기 야구 게임영상이 투영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배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을 투척하되, 대기중인 복수의 공을 하나씩 투척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를 포함하는 피칭부;
    상기 스크린과 소정거리 이격되고, 투척된 공을 타격하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타석부;
    야구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야구 게임영상을 상기 빔 프로젝터부에 제공하는 단말기;
    상기 피칭부 및 타석부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공에 대하여 좌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를 상기 야구 게임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상기 피칭부 및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칭부는,
    회전운동에 따라 공을 전방으로 투척하는 휠;
    상기 휠에 공을 투입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에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대기중인 공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휠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및 제2 밸브; 및
    상기 제1 및 제2 밸브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내 공의 대기여부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피칭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휠의 투척시 개방되어 대기중인 하나의 공을 상기 휠에 공급하는 피칭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제1 밸브에 의해 대기중인 공이 없을 경우 개방되어 상기 제1 밸브의 폐쇄됨에 따른 대기공간에 하나의 공을 공급하는 피칭부.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석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부는 제1 및 제2 빔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빔 프로젝터는,
    상기 야구 게임영상을 각각 8:3 및 12:3 의 비율로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스크린에 투사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제1 내지 제3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센서는,
    각각 우타석, 홈 플레이트 및 좌타석에 대응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KR1020160131998A 2016-10-12 2016-10-12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KR101896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98A KR101896652B1 (ko) 2016-10-12 2016-10-12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98A KR101896652B1 (ko) 2016-10-12 2016-10-12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302A true KR20180040302A (ko) 2018-04-20
KR101896652B1 KR101896652B1 (ko) 2018-10-18

Family

ID=6208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998A KR101896652B1 (ko) 2016-10-12 2016-10-12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6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694A (ko) * 2003-05-15 2004-11-26 조기룡 연습용 축구공 자동 발사장치
KR20120016868A (ko) * 2010-08-17 2012-02-27 박성우 가상 현실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20150127531A (ko) * 2015-02-12 2015-11-17 (주)스크린게임연구소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서비스 방법
KR101572526B1 (ko) * 2015-05-19 2015-12-14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시공간적 제약 없는 스크린 야구 경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694A (ko) * 2003-05-15 2004-11-26 조기룡 연습용 축구공 자동 발사장치
KR20120016868A (ko) * 2010-08-17 2012-02-27 박성우 가상 현실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20150127531A (ko) * 2015-02-12 2015-11-17 (주)스크린게임연구소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서비스 방법
KR101572526B1 (ko) * 2015-05-19 2015-12-14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시공간적 제약 없는 스크린 야구 경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652B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6139A (en) Golf simulator
US5333874A (en) Sports simulator
US4941662A (en) Baseball game
US5056791A (en) Golf simulator and analyzer system
US20190126120A1 (en) Tennis training device using virtual targets
US20040198524A1 (en) Simulation system for golf practice
CN101890218B (zh) 虚拟高尔夫模拟器、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器的传感方法
KR101239527B1 (ko) Led 광 센서가 구비된 야구 타격 및 피칭 연습시스템
JP5334185B2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タ及びそれに備えられるセンシング装置
KR20120016868A (ko) 가상 현실 스크린 야구 시스템
JP2013515555A (ja) 打撃状態出力機能のスクリーンゴルフ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790747B1 (ko) 스크린 배드민턴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TWI321058B (ko)
KR101433031B1 (ko) 퍼팅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및 방법
KR101008595B1 (ko) 스크린 골프 연습 시스템
KR20060082350A (ko) 가상 골프 게임 시스템
KR101896652B1 (ko)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WO2014126509A1 (ru) Имитация игры в футбол для игровой тренировки футболистов
KR101983899B1 (ko) 향상된 리얼리티를 나타내는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KR102082920B1 (ko) 피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KR101736352B1 (ko)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102106526B1 (ko)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JPH11164924A (ja) ゴルフシュミレーションゲーム環境装置
KR20190051930A (ko) 향상된 리얼리티를 나타내는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WO2017131262A1 (ko) 야구게임 통합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