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383A - 휴대용 led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led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383A
KR20180039383A KR1020160130621A KR20160130621A KR20180039383A KR 20180039383 A KR20180039383 A KR 20180039383A KR 1020160130621 A KR1020160130621 A KR 1020160130621A KR 20160130621 A KR20160130621 A KR 20160130621A KR 20180039383 A KR20180039383 A KR 20180039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light
illumination
illum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702B1 (ko
Inventor
정병식
Original Assignee
정병식
주식회사 지티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식, 주식회사 지티아너스 filed Critical 정병식
Priority to KR1020160130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7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21V21/0965Magnetic device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6Portable traffic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LED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어두운 곳을 비추는 일반 조명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재난 및 사고가 발생하거나 야간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고휘도 램프를 통해 멀리 있는 제 3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여 위험신호를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한 휴대용 LED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고 PCB기판이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PCB기판에 복수의 LED모듈이 설치되어 본체의 전면부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조명부와, 상기 제1조명부와 별도로 PCB기판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휘도 LED모듈에 의해 조사되는 빛으로 위험신호를 알리는 제2조명부와, 상기 제1조명부의 LED모듈 외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제1렌즈부와, 상기 제2조명부의 고휘도 LED모듈 외측에 제2렌즈부가 설치되되, 상기 제2렌즈부는 각각의 고휘도 LED모듈의 빛이 서로 연결된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LED조명장치{Portable Lighting Devices}
본 발명은 휴대용 LED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어두운 곳을 비추는 일반 조명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재난 및 사고가 발생하거나 야간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고휘도 램프를 통해 멀리 있는 제 3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여 위험신호를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한 휴대용 LED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LED조명장치는 작업자의 야간작업시 어두운 곳을 비추어 작업을 용이하게 하거나, 등산, 캠핑, 낚시, 야외 바베큐 등 다양한 레저활동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휴대용 LED조명장치는 야간에 가까운 곳을 비추는데 효과적이지만 멀리있는 제 3자에게 위험신호를 알리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위험신호를 알리는데 점멸(깜박이는)형태의 조명패턴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멀리는 제 3자에게는 단순히 불빛 형태로만 보일 뿐 위험신호를 정확히 전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 외에도 위험신호를 알리는데 있어서 리플렉터(reflector)와 같은 반사판을 차량 및 자전거의 후방, 위험지시판, 야간작업자(청소부, 소방대원, 공사인부)의 의복 등에 부착하여 반사되는 빛으로 위험신호를 전달하고 있으나, 이러한 반사판에 의한 위험신호 알림은 자체적인 발광기능이 없어 반드시 빛을 비추어야만 보이는 제약적인 문제점과, 멀리 있는 제 3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LED조명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949645호(고휘도 LED램프의 빛 확산장치)에는 고휘도 LED 램프를 회로기판(PCB)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게 하여 그 회로기판을 광고용 패널 또는 등기구의 하우징 내측벽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회로기판(PCB)의 외측에는 각각의 고휘도 LED 램프가 수용되어 빛을 외부로 확산되게 다수의 볼록렌즈가 배열된 투명소재의 확산패널을 결합하며, 상기 각 볼록렌즈를 연결하는 확산패널의 연결부에는 볼록렌즈에 투과되는 빛을 전도되게 도광기능을 하는 격자형의 홈이 형성된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광고용 패널 내에 LED램프가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광고용 패널 내부를 밝히는 데에 적합하지만, 멀리 있는 제 3자에게 위험신호를 전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다수의 LED램프가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빛의 확산작용을 하는 확산패널 역시 단순히 일자형 판상으로 이루어져 확산효과가 저조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413307호(반사경을 이용한 고휘도 엘이디 발광장치)에는 고휘도LED의 방열판을 신호발생장치 외주면에 구성시키고, 발광면은 신호발생장치의 중앙에 위치시키면서 반사경을 이용하여 외부로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고휘도 LED의 발열문제를 최소화하고, 고휘도 LED의 직접광에 의한 눈부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반사경에 의해서만 빛 조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렌즈의 밝기에 비해 실제 반사되어 비추는 밝기가 어두운 문제점이 있고, 광원이 직접 보이지 않아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 외에는 통상의 조명형태로 보이기 때문에 멀리 있는 제 3자에게 위험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휴대용 LED 조명장치 통해 야간작업이나 레저활동시 상시조명으로 활용하고, 위험상황 시 조명을 통해 멀리 있는 제 3자에게 효과적으로 위험신호를 전달하여 2차 사고 예방, 신속한 구조 및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고 PCB기판이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PCB기판에 복수의 LED모듈이 설치되어 본체의 전면부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조명부와, 상기 제1조명부와 별도로 PCB기판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휘도 LED모듈에 의해 조사되는 빛으로 위험신호를 알리는 제2조명부와, 상기 제1조명부의 LED모듈 외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제1렌즈부와, 상기 제2조명부의 고휘도 LED모듈 외측에 제2렌즈부가 설치되되, 상기 제2렌즈부는 각각의 고휘도 LED모듈의 빛이 서로 연결된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렌즈부는; 복수의 고휘도 LED모듈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서로 직선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광원부 및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렌즈부의 빛이 방출되는 조사면은 제2조명부의 빛이 외측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면부는 제2렌즈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설치홈이 형성되어 제2렌즈부가 본체의 전면부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홈은 제2조명부의 빛이 외측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는 제2조명부의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반사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는 중앙에 자력고정부가 설치되어 금속성 물질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자력고정부의 외측에는 회전가능한 거치링이 설치되어 바닥면에 거치하거나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휴대용 LED조명장치에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제1조명부와 제2조명부를 통해 어두운 곳을 밝힐 때에는 일반 LED모듈로 구성된 제1조명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비출수 있도록 하고, 위험신호를 알릴 때에는 고휘도 LED모듈로 구성된 제2조명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조명부의 조명형태가 삼각형(△)과 같이 서로 연결된 형태가 되어 제3자에게 위험신호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제2조명부의 빛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한 형태의 제2렌즈부를 통해 조명거리가 멀어질수록 조명의 형태가 커지게 되어 멀리 있는 제3자에게도 위험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LED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LED조명장치의 본체 전면부에 설치된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렌즈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렌즈부의 광원부에 해당되는 부분의 본체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렌즈부의 연결부에 해당되는 부분의 본체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조명부 및 제2조명부 전체에 적용될 수 있도록 반사판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조명부의 조명예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LED램프는 다수의 LED모듈이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야간작업이나 레져활동시에 가까운 곳을 비추는 용도로 널리 사용하였으나, 교통사고현장, 야간공사작업 현장 및 인부, 위험상황에 처해 있는 구조요청자, 야간산행시 등산객, 야간에 운전하는 전동차 및 자전거와 같이 멀리 있는 제 3자에게 위험신호를 알려야 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LED램프로는 적절한 위험신호로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던 바,
본 발명의 휴대용 LED 조명장치 통해 야간작업이나 레저활동시 상시조명으로 활용하고, 위험상황 시 멀리 있는 제 3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2차 사고 예방, 신속한 구조 및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LED조명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고 PCB기판(200)이 설치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의 PCB기판(200)에 복수의 LED모듈(310)이 설치되어 본체(100)의 전면부(11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조명부(300)와, 상기 제1조명부(300)와 별도로 PCB기판(200)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휘도 LED모듈(410)에 의해 조사되는 빛으로 위험신호를 알리는 제2조명부(400)와, 상기 제1조명부(300)의 LED모듈(310) 외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제1렌즈부(500)와, 상기 제2조명부(400)의 고휘도 LED모듈(410) 외측에 제2렌즈부(600)가 설치되되, 상기 제2렌즈부(600)는 각각의 고휘도 LED모듈(410)의 빛이 서로 연결된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조명부(300)와 제2조명부(400)는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데, 상기 제1조명부(300)의 경우 어두운 곳을 밝히는 용도의 상시조명으로 사용되고 제2조명부(400)는 위험신호를 알리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조명부(300)는 일반 LED모듈(310)이 사용되고 제2조명부(400)는 빛이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고휘도 LED모듈(410)이 사용된다. 물론 제1조명부(300)에도 고휘도 LED모듈(410)이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전력소모 및 제조비용을 고려할 때 제2조명부(400)에만 고휘도 LED모듈(410)이 적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본체(10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과 러버(rubber) 재질의 2중 사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배터리(미도시)와 PCB기판(2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체(100)의 일측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전면부(110)에는 제1조명부(300) 및 제2조명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버튼(150)이 마련되는데, 상기 제어버튼(150)의 구성으로는 제1조명부(300)의 밝기조절을 담당하는 밝기조절부(151)와, 제1조명부(300)의 조명상태(점등여부, 깜빡이는 형태의 조명 등)를 제어하는 일반조명제어부(152)와, 제2조명부(400)의 조명상태(점등여부, 깜빡이는 형태의 조명 등)을 제어하는 비상조명제어부(153)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제1조명부(300)는 본체(100) 내부에 마련된 PCB기판(200)에 복수의 LED모듈(310)이 배열된 형태로 설치되어 본체(100)의 전면부(110) 방향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그리고 제2조명부(400)는 제1조명부(300)와 별도로 PCB기판(200)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휘도 LED모듈(410)에 의해 제1조명부(300) 보다 멀리까지 조사되는 빛으로 위험신호를 알리도록 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1조명부(300)의 설치위치는 본체(100)의 전면부(110) 중앙에 밀집된 형태로 배치되어 근접거리의 집중된 조명을 제공하고, 제2조명부(400)는 제1조명부(300)의 바깥부분에 배치되어 제1조명부(300)보다 넓은 조명범위를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1조명부(300) 및 제2조명부(400)에는 각각 제1렌즈부(500)와 제2렌즈부(6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렌즈부(500)는 제1조명부(300)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LED모듈(310)의 외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제1렌즈부(500)는 본체(100)의 전면부(110)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반면, 제2렌즈부(600)는 제2조명부(400)에 적용되는 것으로 고휘도 LED모듈(410)의 외측에 설치되되 고휘도 LED모듈(410)들의 빛이 서로 연결된 형태가 되어 일종의 위험신호를 알리는 사인(sign)형태인 삼각형(△)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여 멀리 있는 제3자에게 제2조명부(400)의 위험신호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렌즈부(60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고휘도 LED모듈(410)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광원부(610)와, 상기 광원부(610) 사이에 서로 직선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620);로 구성되되 상기 광원부(610) 및 연결부(6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원부(610)의 위치가 서로 떨어져 있더라도 이를 직접 연결하는 연결부(620)를 통해 빛을 이어줌으로써 제2조명부(400)의 조명형태가 삼각형(△)의 형상으로 정확히 보이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620)의 중앙에 절개홈(621)이 더 형성될 경우, 광원부(610)에서 전달되는 빛이 절개홈(621)의 부분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연결부()의 중앙부분이 더 밝게 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620)는 절개홈(621)을 통해서 일정한 형태로 연결되지 않고 빛이 전달되는 중앙부분을 임의로 끝나는 지점으로 형성하여 빛 반사효과를 얻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렌즈부(6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조사면이 본체(100)와 평행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빛이 외측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2조명부(400)의 빛이 확산되어 점점 커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2렌즈부(600)는 광원부(610)의 조사면에만 적용될 수 있고 광원부(610)뿐만 아니라 연결부(620)까지 조사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조명부(400)가 설치되는 본체(100)의 전면부(110)에는 도 4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렌즈부(6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설치홈(130)이 형성되어 제2렌즈부(600)가 본체(100)의 전면부(110)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될 경우 설치홈(130)을 따라 빛이 반사되기 때문에 제2조명부(400)의 조명상태가 더욱 명확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홈(130)은 제2조명부(400)의 빛이 외측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으로 반사된 빛에 의해 제2조명부(400)의 조명이 점점 커질 수 있도록 하여 멀리 있는 제3자에게 위험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0)의 전면부(110)에는 제2조명부(400)의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반사판(700)이 더 설치될 경우, 반사되는 빛의 밝기를 높일 수 있고 반사판(700)의 색상을 붉은색 계열 또는 노란색으로 하거나 파란색, 백색으로 하여 멀리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700)은 제2조명부(400)가 설치되는 부분에만 적용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조명부(400) 뿐만 아니라 제1조명부(300)까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후면부(120)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초강력 네오디움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력고정부(800)가 설치되어 금속성 물질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자력고정부(800)의 외측에는 회전가능한 거치링(900)이 설치되어 바닥면에 거치하거나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정 및 거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제2조명부(400)의 연결된 형태가 "△" 형상과 같이 삼각형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제2조명부(400)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 등 다양한 형태로 위험신호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활동에 더 특화될 수 있도록 본체(100) 내부에 각종 센서모듈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를 통해 구조자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동안 없다고 인식될 경우 구조자의 상태를 스피커(미도시)의 경고음을 통해 전달할 수 있고, GPS모듈을 통해 구조자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통신모듈을 통해 동일한 휴대용 LED조명장치를 소지하고 있는 인원이 3명 이상일 때 관계형 네트워크 삼각측량방식으로 구조자의 위치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조명부(4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거리가 멀어질수록 조명의 형태가 커지게 되어 위험신호를 멀리 있는 제3자에게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본체 110 : 전면부
120 : 후면부 130 : 설치홈
150 : 제어버튼 151 : 밝기조절부
152 : 일반조명제어부 153 : 비상조명제어부
200 : PCB기판 300 : 제1조명부
310 : LED모듈 400 : 제2조명부
410 : 고휘도 LED모듈 500 : 제1렌즈부
600 : 제2렌즈부 610 : 광원부
620 : 연결부 621 : 절개홈
700 : 반사판 800 : 자력고정부
900 : 거치링

Claims (7)

  1.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고 PCB기판(200)이 설치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의 PCB기판(200)에 복수의 LED모듈(310)이 설치되어 본체(100)의 전면부(11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조명부(300)와,
    상기 제1조명부(300)와 별도로 PCB기판(200)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휘도 LED모듈(410)에 의해 조사되는 빛으로 위험신호를 알리는 제2조명부(400)와,
    상기 제1조명부(300)의 LED모듈(310) 외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제1렌즈부(500)와,
    상기 제2조명부(400)의 고휘도 LED모듈(410) 외측에 제2렌즈부(600)가 설치되되, 상기 제2렌즈부(600)는 각각의 고휘도 LED모듈(410)의 빛이 서로 연결된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부(600)는;
    복수의 고휘도 LED모듈(410)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광원부(610)와, 상기 광원부(610) 사이에 서로 직선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620);로 구성되되 상기 광원부(610) 및 연결부(62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조명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부(600)의 빛이 방출되는 조사면은 제2조명부(400)의 빛이 외측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전면부(110)는 제2렌즈부(6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설치홈(130)이 형성되어 제2렌즈부(600)가 본체(100)의 전면부(110)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조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130)은 제2조명부(400)의 빛이 외측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조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전면부(110)에는 제2조명부(400)의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반사판(70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조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후면부(120)에는 중앙에 자력고정부(800)가 설치되어 금속성 물질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자력고정부(800)의 외측에는 회전가능한 거치링(900)이 설치되어 바닥면에 거치하거나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조명장치
KR1020160130621A 2016-10-10 2016-10-10 휴대용 led조명장치 KR101869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621A KR101869702B1 (ko) 2016-10-10 2016-10-10 휴대용 led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621A KR101869702B1 (ko) 2016-10-10 2016-10-10 휴대용 led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83A true KR20180039383A (ko) 2018-04-18
KR101869702B1 KR101869702B1 (ko) 2018-06-21

Family

ID=6208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621A KR101869702B1 (ko) 2016-10-10 2016-10-10 휴대용 led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499B1 (ko) * 2023-04-21 2023-11-09 임종묵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36B1 (ko) * 2010-07-08 2011-04-18 유영호 휴대용 엘이디 램프
US8696156B2 (en) * 2010-12-22 2014-04-15 Koninklijke Philips N.V. LED light bulb with light scattering optics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36B1 (ko) * 2010-07-08 2011-04-18 유영호 휴대용 엘이디 램프
US8696156B2 (en) * 2010-12-22 2014-04-15 Koninklijke Philips N.V. LED light bulb with light scattering optics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499B1 (ko) * 2023-04-21 2023-11-09 임종묵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702B1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8184B2 (en) Alarm with reflector ring
TWI681376B (zh) 顯示燈
US6549121B2 (en) Illuminated emergency signaling device
JP5020725B2 (ja) 街路灯用照明器具並びに街路灯
US8021028B2 (en) Vehicle light
US20070268150A1 (en) Portable Signalling Lantern
KR101869702B1 (ko) 휴대용 led조명장치
KR200479562Y1 (ko) 엘이디 등기구
KR101889718B1 (ko) 블랙박스 및 로고라이트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JP6624567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2020077059A (ja) 非常警報装置及びその発光表示部の取付方法
KR101873726B1 (ko) Led안전조끼
KR101411206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양면 발광 방식의 차량용 조명장치
JP2017139230A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照明制御方法
JP3002131U (ja) 携帯用電灯
CN204879490U (zh) 一种手提式led投光灯
US20130170240A1 (en) License Plate Illuminator
CN203744109U (zh) 一种多功能车用灯
KR200449725Y1 (ko) 엘이디 경광등
KR200303073Y1 (ko) 비상구 표시등
KR102436527B1 (ko) 도로 터널의 방수형 발신기 및 표시등 어셈블리
JPH11131432A (ja) コーン,コーンバーおよびコーンシステム
CN103851525A (zh) 一种多功能车用灯
KR200315746Y1 (ko) 섬광식 시각, 청각 유도가 내장된 유도등용 등기구
JP3199318U (ja) マルチ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