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499B1 -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 - Google Patents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499B1
KR102600499B1 KR1020230052545A KR20230052545A KR102600499B1 KR 102600499 B1 KR102600499 B1 KR 102600499B1 KR 1020230052545 A KR1020230052545 A KR 1020230052545A KR 20230052545 A KR20230052545 A KR 20230052545A KR 102600499 B1 KR102600499 B1 KR 102600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lamp
case
temperat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묵
Original Assignee
임종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묵 filed Critical 임종묵
Priority to KR1020230052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21V33/0092Ventilating systems with heating or cool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75Heating of spaces, e.g. rooms, wardro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71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겨울철 동파 방지 및 실내 난방을 위해 주택이나 빌딩, 캠핑장 등의 화장실, 농막, 이동식 주택이나 조립식 주택의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동파방지히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겨울철 동파 방지 및 실내 난방을 위해 이동식 주택이나 조립식 주택의 욕실 등에 설치되는 화동파방지히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실의 동파방지 및 난방을 위해 사용하는 히터장치로서, 열 방출을 위한 복수 개의 히터램프, 실내 온도의 감지를 위한 온도센서, 히터램프의 냉각을 위한 팬 등을 조합하여, 실내의 온도에 맞춰 자동으로 가동시간이 규제되는 새로운 형태의 히터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실내의 적정 난방 유지는 물론,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FREEZE PROTECTION HEATER FOR TOILET}
본 발명은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겨울철 동파 방지 및 실내 난방을 위해 주택이나 빌딩, 캠핑장 등의 화장실, 농막, 이동식 주택이나 조립식 주택의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동파방지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주택은 일반 주택의 기능성을 가지면서 운반에 의한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등의 장점으로 여가용 주택 및 간이 주택용으로 보편화되고 있다.
현재 주택에는 전통적인 난방장치와 서양식 난방장치가 적용되고 있으나, 이동식 주택에는 여전히 전열기나 히터 등 개별적인 난방기가 난방장치의 역할을 맡고 있다.
이러한 전열기 등의 난방기는 아무리 이동식 주택이라 할지라도 주택 전체의 난방을 책임지기는 사실상 불가능하고 전기나 석유 등의 연료공급 또한 문제점이 많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동식 주택은 열병합 발전소나 도시가스시설 등의 난방 인프라로부터 난방에 필요한 소스를 공급받지 못하는 척박한 환경에 놓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전열기나 전기히터 등에 난방을 미약하게나마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보통 이동식 주택이나 빌딩, 캠핑장 등의 화장실, 농막 등에 사용되는 난방장치의 경우, 동절기에는 동파방지, 적정 실내온도 유지 등의 목적으로 난방장치를 장시간, 예를 들면 24시간 내내 가동하는 경우에 많다.
이렇게 난방장치를 장시간 가동함으로 인해 전력의 낭비는 물론 기기의 과열에 의한 화재 위험, 기기의 수명 단축 등의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는 등 이에 대한 대책마련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7506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474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47470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657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화장실의 동파방지 및 난방을 위해 사용하는 히터장치로서, 열 방출을 위한 복수 개의 히터램프, 실내 온도의 감지를 위한 온도센서, 히터램프의 냉각을 위한 팬 등을 조합하여, 실내의 온도에 맞춰 자동으로 가동시간이 규제되는 새로운 형태의 히터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실내의 적정 난방 유지는 물론,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히터램프의 수용을 위한 히터케이스와, 상기 히터램프의 외부 노출을 위한 램프홀을 가지면서 히터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는 히터커버와, 상기 히터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히터커버의 램프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브라켓에 의해 후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히터램프와,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히터케이스의 내부 하단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히터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홀을 통해 외부와 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온도센서부와, 상기 히터케이스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수단으로서 히터케이스의 내부 상단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히터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팬홀을 통해 외부와 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팬과, 상기 히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온도센서부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히터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히터케이스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히터램프의 ON/OFF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램프스위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이동식 주택의 실내 온도를 온도센서로 감지하고, 기설정 온도 이상에서는 히터램프가 OFF 되도록 하고 기설정 온도 이하에서만 히터램프가 ON 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온도에 따라 히터램프의 작동시간을 자동으로 규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부는 히터케이스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되는 센서하우징과,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컨트롤러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센서하우징의 둘레에 설치되어 히터케이스 내부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부재와, 히터케이스의 센서홀에 설치되는 센서보호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상단부를 통해 히터램프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동시에 하단 절곡부를 통해 히터케이스의 내부 하단부에 고정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로부터 3면 절개되는 동시에 1면 연결되면서 일정각도 경사지게 꺽인 형태로 이루어져 하단의 위치결정용 끼움편을 통해 히터케이스의 내부 하단부에 형성되는 위치결정용 끼움홀에 끼워지면서 위치를 잡아주는 경사부재의 일체 조합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히터커버의 램프홀에 설치되어 히터램프의 램프 부분을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수단으로서 램프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개의 고무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고무블럭은 하단부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T"자형의 체결편을 이용하여 히터커버의 램프홀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체결홀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히터램프의 시험 가동을 위한 조작수단으로서,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과 히터램프 간에 직결되는 배선 및 상기 히터케이스의 측면부에 설치되면서 배선을 흐르는 전원을 ON/OFF 단속하는 테스트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화장실의 내부 온도를 온도센서로 감지하고, 설정 온도 이상에서는 히터램프가 OFF 되도록 하고 설정 온도 이하에서만 히터램프가 ON 되도록 하는 새로운 실내 난방 및 히터 제어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실내의 적정 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으며, 히터의 가동시간을 적절히 규제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히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단열커버로 보호하여 히터램프의 열에 의한 온도센서의 이상작동(예를 들면,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떨어진 상황에서도 온도센서가 비교적 고온으로 유지되고 있는 히터케이스 내부의 온도 영향을 받아 히터램프의 ON 작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태)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적정 실내 온도 유지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히터케이스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팬을 구비하여 애자, 전구, 기판 등의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등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히터램프와 외부 전원 간의 직결 회로 및 이를 조작할 수 있는 테스트스위치를 구비하여 설치 및 시험 가동 시 실내 온도와 관계없이 정상적으로 제품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히터램프의 조립 시 히터램프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의 브라켓을 채택하고, 또 히터램프의 조립상태를 탄력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고무 블럭을 채택함으로써, 히터램프의 조립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히터램프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이동식 주택의 실내 온도를 온도센서로 감지하고, 실내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이면 히터램프가 OFF 되도록 하고, 실내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하이면 히터램프가 ON 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온도에 맞게 히터램프의 작동시간을 자동으로 규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히터램프(10)를 수용하는 수단으로 히터케이스(11)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케이스(11)는 앞쪽이 뚫려 있고 위아래와 양옆, 그리고 뒤쪽이 막혀 있는 형태의 케이스로서,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팬홀(17)과 센서홀(15)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팬(18)과 온도센서(22)가 외부와 통할 수 있게 되고, 내부 하단부에는 뒤쪽으로 위치결정용 끼움홀(25)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에 브라켓(14)의 경사부재(14c)에 있는 위치결정용 끼움편(14b)이 끼워져 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케이스(11)의 내부 뒤쪽에는 양옆으로 각각 브라켓 체결을 위한 나사체결용 핀부(30)가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나사체결용 핀부(30)에는 히터램프(10)의 후단부, 예를 들면 3개의 히터램프(10) 중 양옆에 배치되는 2개의 히터램프(10)의 후단부가 나사체결을 통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히터케이스(11)의 전면부는 히터커버(13)에 의해 마감되며, 이렇게 마감되는 히터케이스(11)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히터램프(10) 등이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히터케이스(11)의 상면부에는 직선상으로 길게 뚫려 있는 다수 개의 홀 형태의 공기출입구(32)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히터케이스(11)의 내외측에 걸쳐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히터케이스(11)의 전면을 막아주면서 히터램프(10)의 램프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켜주는 수단으로 히터커버(13)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커버(13)는 히터케이스(11)의 전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서, 히터케이스(11)의 전면에 형합되면서 나사체결을 통해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히터커버(13)에는 히터램프(10)의 램프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램프홀(12)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램프홀(12)에 히터램프(10)의 램프 부분이 끼워지게 되면, 이때의 히터램프(10)는 노출되는 램프 부분을 통해 히터장치 앞쪽으로 열을 발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커버(13)의 램프홀(12)에는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체결홀(28), 예를 들면 120°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체결홀(28)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체결홀(28)에는 고무블럭(26)의 체결편(27)이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홀(28)의 안쪽으로는 걸림대(31)가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홀(28)에 끼워지는 체결편(27)이 걸린대(31)에 의해 걸려지면서 안쪽으로 밀리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히터커버(13)의 전면부에도 직선상으로 길게 뚫려 있는 다수 개의 홀 형태의 공기출입구(32)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히터케이스(11)의 내외측에 걸쳐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히터케이스(11)와 히터커버(13)는 난연소재를 포함하는 ABS 재질로 제작하여 화재 등의 위험으로부터 적극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동파 방지 및 실내 난방을 위해 원적외선의 열을 발산하는 수단으로 다수 개의 히터램프(10), 예를 들면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3개의 히터램프(10)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램프(10)는 히터케이스(11)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히터커버(13)의 램프홀(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브라켓(14)에 의해 후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3개의 히터램프(10) 중 가운데 배치되는 히터램프(10)는 앞쪽이 히터커버(13)의 램프홀(12)에 끼워져 지지되는 동시에 뒤쪽이 히터케이스(11)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14)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양옆에 배치되는 히터램프(10)는 앞쪽이 히터커버(13)의 램프홀(12)에 끼워져 지지되는 동시에 뒷쪽이 히터케이스(11)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체결용 핀부(30)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히터램프(10)의 뒤쪽을 잡아주는 브라켓(14), 즉 가운데 배치되는 히터램프(10)의 뒤쪽을 잡아주는 브라켓(14)은 히터램프(10)의 뒤쪽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은 물론, 히터램프(10)가 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예컨대, 히터램프가 옆으로 삐딱하게 돌아가지 않고 정자세로 제위치에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위치를 잡아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브라켓(14)은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서, 수직부재(14a)와 경사부재(14c)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수직부재(14a)를 통해 히터케이스(11)측에 고정되는 동시에 히터램프(10)측과 결합되며, 경사부재(14c)통해 히터케이스(11)측에 결속되면서 브라켓(14)의 정위치, 즉 히터램프(10)의 정위치를 잡아주게 된다.
이러한 브라켓(14)의 수직부재(14a)는 상단부를 통해 히터램프(10)의 후단부에 나사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하단 절곡부를 통해 히터케이스(11)의 내부 하단부에 나사체결 구조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4)의 경사부재(14c)는 수직부재(14a)로부터 3면 절개되는 동시에 1면 연결되면서 일정각도 경사지게 꺽인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하단부에는 대략 수직으로 꺽인 형태의 위치결정용 끼움편(14b)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위치결정용 끼움편(14b)은 히터케이스(11)의 내부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용 끼움홀(25)에 끼워지면서 브라켓(14)의 전체적인 위치를 잡아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히터램프(10)의 조립 시, 히터램프(10)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14)의 경사부재(14c)가 가지는 위치결정용 끼움편(14b)을 히터케이스(11)에 있는 위치결정용 끼움홀(25)에 끼워서 히터램프(10)의 위치를 잡은 후에 브라켓(14)의 수직부재(14a)를 히터케이스(11) 상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조립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히터램프(10)가 정확한 위치에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되고, 다시 말해 히터램프(10)의 램프 부분이 상하 및 좌우로 정확한 위치에 놓일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히터케이스(11)에 히터커버(13)를 조립할 때 히터커버(13)에 있는 램프홀(12) 내에 히터램프(10)의 램프 부분이 꼭 맞게 끼워질 수 있게 되는 등 전반적인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우수한 조립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단으로 온도센서부(16)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센서부(16)는 히터케이스(11)의 내부 하단부, 즉 히터케이스 바닥면에 설치되면서 히터케이스(11)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홀(15)을 통해 히터케이스 외부, 즉 실내와 통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이동식 주택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센서부(16)는 히터케이스(11)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되면서 아래가 뚫려 있는 사각박스 형태의 센서하우징(21), 상기 센서하우징(21)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컨트롤러(19)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센서(22), 상기 센서하우징(21)의 둘레에 설치되어 히터케이스 내부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부재(23), 히터케이스(11)의 센서홀(15)에 설치되는 센서보호망(24)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부(16)의 온도센서(22)에서 실내 온도를 감지하면, 이때의 온도값은 컨트롤러(19)측에 입력되고, 계속해서 히터램프(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9)는 온도센서(22)에서 입력받은 실내 온도값과 기 설정되어 있는 온도값, 예를 들면 약 5℃ 정도의 온도값과 비교한 후, 실내 온도값이 5℃ 이상이면 전원을 차단하여 히터램프(10)를 OFF 작동시키게 되고, 실내 온도값이 5℃ 미만이면 전원을 공급하여 히터램프(10)를 ON 작동시키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컨트롤러(19)는 온도센서(22)에서 입력받은 실내 온도값과 기 설정되어 있는 온도값, 예를 들면 약 6℃ 정도의 온도값과 비교한 후, 실내 온도값이 6℃ 이상이면 전원을 차단하여 히터램프(10)를 OFF 작동시키게 되고, 실내 온도값이 6℃ 미만이면 전원을 공급하여 히터램프(10)를 ON 작동시키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컨트롤러(19)는 온도센서(22)에서 입력받은 실내 온도값과 기 설정되어 있는 온도값, 예를 들면 약 4℃ 정도의 온도값과 비교한 후, 실내 온도값이 4℃ 이상이면 전원을 차단하여 히터램프(10)를 OFF 작동시키게 되고, 실내 온도값이 4℃ 미만이면 전원을 공급하여 히터램프(10)를 ON 작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온도센서(22)에서 감지하는 실내 온도값을 4∼6℃의 범위로 적절히 설정하여 운용함으로써, 전기 소모량을 절약할 수 있는 등 경제적으로 실내 난방 및 동파 방지를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하우징(21)의 내부에 수용되거 있는 온도센서(22)는 센서하우징(21)의 바깥 둘레면을 감싸고 있는 단열부재(23)의 열 차단기능에 의해 히터케이스(11)의 내부 온도에 의한 영향을 전혀 받지 않게 되므로 정확한 실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되고, 결국 히터케이스(11)의 내부가 히터램프(10)의 발열로 인해 온도가 올라가 있는 상태(예컨대, 실내와 온도차가 많이 발생하는 상태)에서도 이와 상관없이 현재의 이동식 주택 실내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등 히터장치 제품의 작동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히터케이스(11)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수단으로 팬(18)을 포함한다.
상기 팬(18)은 히터케이스(11)의 내부 상단부에 스크류 체결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팬(18)은 히터케이스(1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팬홀(17)을 통해 히터케이스 외부, 즉 실내와 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팬홀(17)에는 팬(18)의 보호를 위한 팬보호망(37)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팬(18)은 컨트롤러(19)의 출력 제어에 의해 히터램프(10)의 ON 작동 시에 이와 연동되면서 함께 ON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히터램프(10)의 OFF 작동 시에도 함께 OFF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팬(18)의 작동 시 히터케이스(11) 내부의 뜨거운 공기는 팬(18)에 의해 밖으로 배출되고, 외부의 찬 공기는 공기출입구(32)를 통해 히터케이스(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히터케이스(11)의 내부는 적당한 온도환경이 유지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히터램프(10)의 과열 방지는 물론 각종 전기부품, 배선 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히터램프(10), 팬(18)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컨트롤러(19)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19)는 히터케이스(11)의 내부 일측, 예를 들면 온도센서부(16)의 옆에 설치되며, 히터램프(10), 팬(18), 온도센서(16), 램프스위치(20), 외부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컨트롤러(19)는 온도센서(16)로부터 입력받은 실내 온도값과 기 설정되어 있는 온도값을 비교하여 히터램프(10)의 작동을 제어하고, 램프스위치(10)의 조작신호와 연계하여 외부 전원의 인입함과 더불어 팬(18)의 작동을 제어하는 등의 일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온도센서(16)에서 제공되는 실내 온도값이 5℃ 이상이면 전원을 차단하여 히터램프(10)의 OFF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실내 온도값이 5℃ 미만이면 전원을 공급하여 히터램프(10)의 ON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히터램프(10)의 ON/OFF 작동을 위한 조작수단으로 램프스위치(20)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스위치(20)는 히터케이스(11)의 한쪽 측면부에 설치되며, 이때의 램프스위치(20)는 각 히터램프(10)에 1개씩 배속되어 개별 스위치 조작으로 각각의 램프를 독립적으로 ON/OFF 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히터램프(10)를 각각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3개의 램프스위치(20)를 갖춘 예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히터램프(10)의 시험 가동, 즉 히터장치의 시험 가동을 위한 수단으로 테스트스위치(29)를 포함한다.
상기 테스트스위치(29)는 히터케이스(11)의 한쪽 측면부에 설치되면서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과 히터램프(10) 간에 직접 회로구성이 되어 있는 별도의 배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즉 온도센서(22)측, 컨트롤러(19)측 등과 연계되어 있는 배선과는 별개로 회로구성이 되어 있는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내 온도에 관계없이 히터램프(10)측으로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 예로서, 이동식 주택의 실내에 히터장치를 설치하여 전원을 연결한 후, 히터장치가 잘 작동이 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여름철 등 실내 온도가 높은 상태(예컨대, 실내 온도가 5℃ 이상인 상태)에서는 온도센서(22)측과 연계되어 있는 회로 구성상 램프스위치(20)를 ON 위치로 조작해도 히터램프(10)가 켜지지 않게 되므로, 히터램프(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이동식 주택의 실내에 히터장치를 설치하여 전원을 연결한 후, 실내 온도가 5℃ 이상인 경우에도 테스트스위치(29)를 ON/OFF 조작하면 히터램프(10)가 ON 작동 또는 OFF 작동되므로, 히터램프(10)의 정상 작동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는 히터램프(10)의 램프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으로 고무블럭(26)을 포함한다.
상기 고무블럭(26)은 하단부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T"자형의 체결편(27)을 가지는 사각블록 형태의 고무로서, 히터커버(13)의 램프홀(12)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이때의 램프홀(12)에 끼워지는 히터램프(10)의 램프 부분 둘레를 탄력적으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블럭(26)은 램프홀(12)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120°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무블럭(26)은 하단부의 "T"자형의 체결편(27)을 이용하여 히터커버(13)의 램프홀(12)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체결홀(28)에 끼워지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히터램프(10)의 램프 부분을 다수 개의 고무블럭(26)이 감싸면서 잡아주게 되므로 충격이나 진동 등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램프 부분을 보호할 수 있게 되고, 또 조립상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변형가능한 고무블럭(26)의 특성을 통해 이때의 오차를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히터램프(10)의 조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히터장치(100)를 이동식 주택의 욕실 등의 실내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실내 벽면에 원형의 훅 홀(33)을 가지는 벽면 브라켓(34)을 양쪽에 설치하고, 히터장치(100)의 히터케이스(11)의 후면부에는 양쪽에 훅(35)을 각각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한 훅(35)을 벽면 브라켓(34)의 훅 홀(33)에 끼워서 걸어줌으로써 실내 벽면에 히터장치(10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히터장치를 이동식 주택의 욕실 등의 바닥이나 선반 등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히터장치(100)의 히터케이스(11)의 바닥면에 양쪽으로 지지대(36)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한 지지대(36)를 이용하여 바닥이나 선반 등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때에는 히터장치(100)를 필요에 따라 거실, 안방 등과 같이 장소를 옮겨가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식 주택의 실내 난방을 위해 사용하는 난방장치로서, 열 방출을 위한 복수 개의 히터램프, 실내 온도의 감지를 위한 온도센서, 히터램프의 냉각을 위한 팬 등을 조합하여, 실내의 온도에 맞춰 자동으로 가동시간이 규제되도록 하는 새로운 히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실내의 적정 난방 유지는 물론 동절기 이동식 주택의 동파를 예방할 수 있고,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으로 제품을 운용할 수 있으며, 제품의 장시간 연속적인 사용을 제한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10 : 히터램프
11 : 히터케이스
12 : 램프홀
13 : 히터커버
14 : 브라켓
15 : 센서홀
16 : 온도센서부
17 : 팬홀
18 : 팬
19 : 컨트롤러
20 : 램프스위치
21 : 센서하우징
22 : 온도센서
23 : 단열부재
24 : 센서보호망
25 : 위치결정용 끼움홀
26 : 고무블럭
27 : 체결편
28 : 체결홀
29 : 테스트스위치
30 : 나사체결용 핀부
31 : 걸림대
32 : 공기출입구
33 : 훅 홀
34 : 벽면 브라켓
35 : 훅
36 : 지지대
37 : 팬보호망

Claims (5)

  1. 히터램프(10)의 수용을 위한 히터케이스(11)와, 상기 히터램프(10)의 외부 노출을 위한 램프홀(12)을 가지면서 히터케이스(11)의 전면에 결합되는 히터커버(13)와, 상기 히터케이스(11)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히터커버(13)의 램프홀(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브라켓(14)에 의해 후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히터램프(10)와,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히터케이스(11)의 내부 하단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히터케이스(11)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홀(15)을 통해 외부와 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온도센서부(16)와, 상기 히터케이스(11)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수단으로서 히터케이스(11)의 내부 상단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히터케이스(11)에 형성되어 있는 팬홀(17)을 통해 외부와 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팬(18)과, 상기 히터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온도센서부(16)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히터램프(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9)와, 상기 히터케이스(11)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히터램프(10)의 ON/OFF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램프스위치(20)를 포함하며,
    이동식 주택의 실내 온도를 온도센서로 감지하고, 기설정 온도 이상에서는 히터램프가 OFF 되도록 하고 기설정 온도 이하에서만 히터램프가 ON 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온도에 따라 히터램프의 작동시간을 자동으로 규제할 수 있으며,
    상기 히터커버(13)의 램프홀(12)에 설치되어 히터램프(10)의 램프 부분을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수단으로서 램프홀(12)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개의 고무블럭(26)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무블럭(26)은 하단부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T"자형의 체결편(27)을 이용하여 히터커버(13)의 램프홀(12)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체결홀(28)에 끼워지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부(16)는 히터케이스(11)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되는 센서하우징(21)과, 상기 센서하우징(21)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컨트롤러(19)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센서(22)와, 상기 센서하우징(21)의 둘레에 설치되어 히터케이스 내부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부재(23)와, 히터케이스(11)의 센서홀(15)에 설치되는 센서보호망(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4)은 상단부를 통해 히터램프(1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동시에 하단 절곡부를 통해 히터케이스(11)의 내부 하단부에 고정되는 수직부재(14a)와, 상기 수직부재(14a)로부터 3면 절개되는 동시에 1면 연결되면서 일정각도 경사지게 꺽인 형태로 이루어져 하단의 위치결정용 끼움편(14b)을 통해 히터케이스(11)의 내부 하단부에 형성되는 위치결정용 끼움홀(25)에 끼워지면서 위치를 잡아주는 경사부재(14c)의 일체 조합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램프(10)의 시험 가동을 위한 조작수단으로서,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과 히터램프(10) 간에 직결되는 배선 및 상기 히터케이스(11)의 측면부에 설치되면서 배선을 흐르는 전원을 ON/OFF 단속하는 테스트스위치(2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
KR1020230052545A 2023-04-21 2023-04-21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 KR102600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545A KR102600499B1 (ko) 2023-04-21 2023-04-21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545A KR102600499B1 (ko) 2023-04-21 2023-04-21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499B1 true KR102600499B1 (ko) 2023-11-09

Family

ID=8874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545A KR102600499B1 (ko) 2023-04-21 2023-04-21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49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953A (ko) * 2003-08-30 2003-09-29 홍찬희 가정용 난방 보일러
KR200416574Y1 (ko) 2006-03-06 2006-05-19 이석형 난방기능을 가지는 조립식건물
JP3136389U (ja) * 2007-08-10 2007-10-25 日本街路灯製造株式会社 屋外照明装置
KR20140023107A (ko) * 2012-08-17 2014-02-26 서영철 난로의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20150117506A (ko) 2014-04-10 2015-10-20 안근모 이동형 주택 난방장치
KR20170004748A (ko) 2015-07-03 2017-01-11 장병윤 이동식 모듈 하우스의 난방 겸용 사우나 열원 공급 설비
KR20180039383A (ko) * 2016-10-10 2018-04-18 정병식 휴대용 led조명장치
KR20210147470A (ko) 2020-05-29 2021-12-07 박희철 카라반용 난방 및 온수공급 장치 와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953A (ko) * 2003-08-30 2003-09-29 홍찬희 가정용 난방 보일러
KR200416574Y1 (ko) 2006-03-06 2006-05-19 이석형 난방기능을 가지는 조립식건물
JP3136389U (ja) * 2007-08-10 2007-10-25 日本街路灯製造株式会社 屋外照明装置
KR20140023107A (ko) * 2012-08-17 2014-02-26 서영철 난로의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20150117506A (ko) 2014-04-10 2015-10-20 안근모 이동형 주택 난방장치
KR20170004748A (ko) 2015-07-03 2017-01-11 장병윤 이동식 모듈 하우스의 난방 겸용 사우나 열원 공급 설비
KR20180039383A (ko) * 2016-10-10 2018-04-18 정병식 휴대용 led조명장치
KR20210147470A (ko) 2020-05-29 2021-12-07 박희철 카라반용 난방 및 온수공급 장치 와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965B2 (en) Modular light fixtures
US3692977A (en) Compact combination infra-red heating and ventilating unit
US7607935B2 (en) Insert with ventilation
US6696967B1 (en) Ambient condition alarm for connecting to a light fixture
US20110019396A1 (en) Fixture support system and method
US9933184B2 (en) Cover plate with remotely controllable switching circuit
WO2008060278A1 (en) Underwater pool light
KR101177918B1 (ko) 공동주택 단지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KR102600499B1 (ko) 화장실용 동파방지히터
US20140233225A1 (en) Led lighting module, led lighting system and led lighting retrofit kit
AU2010251821A1 (en) Lighting unit
DK201000167U4 (da) Indbygningsdåse til indmontering i en væg, loft eller andet element
US5510948A (en) Low voltage power supply and distribution center
JP2007157391A (ja) 自動火災警報装置付照明器具
US7484979B2 (en) Hub assembly
EP1729068A1 (en) Combination extractor fan and light unit
CN208078412U (zh) 配电柜及供电系统
KR100848822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JP3116839U (ja) ダウンライト
US20190353340A1 (en) Fire-Resistant Recessed Lighting Fixture
KR102573574B1 (ko) 공동주택 건물 외부설치형 케이블 트레이
CN219576392U (zh) 多功能配电柜
CN206582944U (zh) 对流型电加热器控制装置
JP3139073U (ja) センサユニット
CN220382584U (zh) 一种安全防爆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