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344A -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344A
KR20180039344A KR1020160130527A KR20160130527A KR20180039344A KR 20180039344 A KR20180039344 A KR 20180039344A KR 1020160130527 A KR1020160130527 A KR 1020160130527A KR 20160130527 A KR20160130527 A KR 20160130527A KR 20180039344 A KR20180039344 A KR 20180039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plate
solar
ai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856B1 (ko
Inventor
민승기
민중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민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민중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6013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856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30Thermophotovoltaic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4Means to utilise heat energy, e.g. hybrid systems producing warm water and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2005/0064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solar energy
    • F24F2005/006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solar energy with photovoltaic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정화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세하게는 축사 시설에서 사육하는 가축, 즉 소, 돼지, 가금류를 사육하는 시설물에서는, 특히 폭서기에 비치는 폭염으로 인한 실내의 고온으로 발생하는 피해를 방지하여 주도록, 태양열이 비치는 량의 조절과 아울러 대류현상을 유도하여서 축사에 서냉 및 보온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축사와 같은 건축물은 대부분 혹서기에 폭염으로 인하여 기르는 가축이 열사의 스트레스 피해가 연례적인 행사처럼 되어있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기후 변화로 형성되는 폭염이나 혹서기에 발생하는 피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된 축사(43)와, 상기 축사가 구비되도록 골조(11)의 외측으로 감싸주는 비닐(21)로 형성되는 축사(43)와, 상기 축사(43)의 양측에 맞추어서 길이방향에서 반복적인 고정으로 돌출되는 기둥(15)와, 상기 기둥(15)을 사이를 연결되는 프레임(29)와 빔(17)으로 결합된 경사형 돌출부(14)와, 상기 경사형 돌출부(14)을 덮어서 지붕(19)으로 형성하는 축사에 있어서,
상기 지붕재(39)를 다수개로 서로 연동시켜서 일체로 가열구간이 형성된 태양광 가열판(40)와, 상기 태양광 가열판(40)의 배면에 일체되도록 가열통로(45)가 구비된 가열판형 탱크(33)와, 상기 가열판형 탱크(33)의 양측으로 구비된 연결관(57)의 연동으로 가열공기를 이동시켜 주고, 상기 가열공기가 하측의 태양광 가열판(40)에서 상측의 태양광 가열판(40)으로 연동되도록 연결관(57)을 구비로 공급되는 가열공기를, 상기 축사(43)의 상측구간(d)에 고정된 지지로드(46)에 결합하는 방열관(55)으로 공급시켜 주되, 상기 방열관(55)에 형성된 분출구(56)로 분사되는 가열공기로 실내(28)에 대류현상을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 가열판(40)에 다수개의 발전소자(16)가 연속인 구비로 형성되는 태양광발전판(25)과, 상기 경사형 돌출부(14) 사이를 다수개의 태양광발전판(25)이 서로 연결되도록 중심축 구간에 결합되는 회전봉(22)과, 상기 경사형 돌출부(14)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축(37)과, 상기 고정봉(22)과 회전축(37)이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베벨기어(26)로 태양광발전판(25)이 햇볕이 비치는 방향에 맞추어 회전구동하는 미도시된 제어장치로, 경사형 돌출부(14) 구간인 지붕(81)에서 햇볕 유입구간(b)을 개구시켜 주고,
상기 축사(43)의 상측구간(d)에 고정된 지지로드(46)와, 상기 지지로드(46)에 결합하도록 분출구(56)가 구비되는 방열관(55)에서 분사되는 가열공기로 실내(28)에 대류현상을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가열판(40)을 소정의 이격된 간격으로 발전소자(16)을 구비된 태양광발전판(25)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기 가열판형 탱크(33)의 양측에 입출구(44)가 구비된 가열통로(45)와, 상기 입출구(44)에 연결로 구비된 분사장치(20)와,
상기 분사장치(20)에는 입출구(44)에 연결된 가열공기 분사구간(e)형성용 자켓(30)과, 상기 자켓(30)으로 형성된 공급구간(31)에 인접된 배출관(59)에 관통되는 유입구(51)의 구비로서 배출력을 보강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Omitted}
본 발명은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세하게는 축사 시설에서 사육하는 가축, 즉 소, 돼지, 가금류를 사육하는 시설물에서는, 특히 폭서기에 비치는 폭염으로 인한 실내의 고온으로 발생하는 피해를 방지하여 주도록, 태양열이 비치는 량의 조절과 아울러 대류현상을 유도하여서 축사에 서냉 및 보온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축사와 같은 건축물은 대부분 혹서기에 폭염으로 인하여 기르는 가축이 열사의 스트레스 피해가 연례적인 행사처럼 되어있으나, 이에 대한 실내환기를 위하여 고비용의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축사는 가축을 사육하도록 넓은 면적이 소요됨으로서, 상기 축사(우사, 동사, 계사 등)에 비치는 태양광으로 가열되는 열량은 많다고 할 것입니다.
본 발명에서는 기후 변화로 형성되는 폭염이나 혹서기에 발생하는 고열이나 폭염으로 열상의 피해에 대한 대비를 저비용으로 해결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는 것이다.
또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태양광가열판의 제작 소재를 경량화로 발전하는 추세이므로, 박막형 스텐철판, (함석)양철판, 골판과 같은 경량화된 지붕은 자연적으로 폭염에 의한 가열은 실내의 상하측 구간에 대한 온도차이로 형성되는 공기의 이동력 보강은 미풍발생으로 서늘한 느낌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특히 축사 중에서 양돈, 가금류를 사육하는 시설에서는 강렬한 햇볕이 내리쬐는 폭염기 동안에, 계사의 실내에 고온으로 인한 닭, 오리와 같은 가금류는 체질상 스트레스 피해로 폐사하는 경우가 많은 바, 이에 대한 대비로서 벽면에 구비된 창틀과, 지붕의 일측으로 개방된 연통(이하;배출관이라 칭한다)에 환풍기 가동 등의 실내환기 순환은 대부분 고비용의 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로 직사광선이 축사에 대한 가열로 실내에 폭염의 피해가 발생하는 동안에는, 배열된 태양광가열판의 회전구동으로 상측지역에 개구되는 배출구간(d)으로 태양광 유입의 조절과, 상기 배출구간(d)에 맞추어 가열된 공기의 배출로 대류현상의 보강하는 실내 공기의 순환촉진하도록 서냉이 필요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에 형성되는 축사용 지붕으로 사용되도록, 박막의 스텐판으로 설치되는 태양광 가열판과, 상기 태양광 가열판을 사물인터넷과 연계된 구동으로서, 태양광으로 가열된 공기의 대류현상으로 서냉된 냉방효과를 제공하면서, 스트레스 감소와 아울러 지붕에 설치된 태양열가열판의 설치에 따른 축사의 보강으로 강풍, 폭우, 폭설 등에 대한 안전장치 보완까지 제공시켜 주기 위함이다.
이는 축사의 지붕에서, 소정의 간격인 가열판을 연속적으로 덮어 주되, 상기 가열판에 조립된 가열공간과, 상기 가열공간에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를 상측공간(c)에 배출시켜 줌으로서 축사에서 미풍의 발생을 저비용인 신재생에너지로 시원한느낌을 형성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폭염기의 야간이나 날씨가 흐리는 경우, 주간에 비치는 태양광발전으로 저장된 전력으로 실내에서 고온의 공기배출(환기)용 환풍기 가동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열판에 결합된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인 가열판을 연속적인 연결로 지붕을 덮어주되, 태양광 이동에 따른 회전구동으로, 폭염기에 실내에 비치는 태양광의 유입량의 조절과 아울러 축사에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개구(개방)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겨울철에는 상기 회전구동으로 개방된 공간으로 축사에 햇볕이 비치도록 제공하여 주기 위함이다.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된 축사(43)와, 상기 축사가 구비되도록 골조(11)의 외측으로 감싸주는 비닐(21)로 형성되는 축사(43)와, 상기 축사(43)의 양측에 맞추어서 길이방향에서 반복적인 고정으로 돌출되는 기둥(15)와, 상기 기둥(15)을 사이를 연결되는 프레임(29)와 빔(17)으로 결합된 경사형 돌출부(14)와, 상기 경사형 돌출부(14)을 덮어서 지붕(19)으로 형성하는 축사에 있어서,
상기 지붕재(39)를 다수개로 서로 연동시켜서 일체로 가열구간이 형성된 태양광 가열판(40)와, 상기 태양광 가열판(40)의 배면에 일체되도록 가열통로(45)가 구비된 가열판형 탱크(33)와, 상기 가열판형 탱크(33)의 양측으로 구비된 연결관(57)의 연동으로 가열공기를 이동시켜 주고, 상기 가열공기가 하측의 태양광 가열판(40)에서 상측의 태양광 가열판(40)으로 연동되도록 연결관(57)을 구비로 공급되는 가열공기를, 상기 축사(43)의 상측구간(d)에 고정된 지지로드(46)에 결합하는 방열관(55)으로 공급시켜 주되, 상기 방열관(55)에 형성된 분출구(56)로 분사되는 가열공기로 실내(28)에 대류현상을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 가열판(40)에 다수개의 발전소자(16)가 연속인 구비로 형성되는 태양광발전판(25)과, 상기 경사형 돌출부(14) 사이를 다수개의 태양광발전판(25)이 서로 연결되도록 중심축 구간에 결합되는 회전봉(22)과, 상기 경사형 돌출부(14)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축(37)과, 상기 고정봉(22)과 회전축(37)이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베벨기어(26)로 태양광발전판(25)이 햇볕이 비치는 방향에 맞추어 회전구동하는 미도시된 제어장치로, 경사형 돌출부(14) 구간인 지붕(81)에서 햇볕 유입구간(b)을 개구시켜 주고,
상기 축사(43)의 상측구간(d)에 고정된 지지로드(46)와, 상기 지지로드(46)에 결합하도록 분출구(56)가 구비되는 방열관(55)에서 분사되는 가열공기로 실내(28)에 대류현상을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가열판(40)을 소정의 이격된 간격으로 발전소자(16)을 구비된 태양광발전판(25)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기 가열판형 탱크(33)의 양측에 입출구(44)가 구비된 가열통로(45)와, 상기 입출구(44)에 연결로 구비된 분사장치(20)와,
상기 분사장치(20)에는 입출구(44)에 연결된 가열공기 분사구간(e)형성용 자켓(30)과, 상기 자켓(30)으로 형성된 공급구간(31)에 인접된 배출관(59)에 관통되는 유입구(51)의 구비로서 배출력을 보강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25)의 배면에 양측으로 지그재그 상태로 만곡된 구조로 밀착된 가열관(50) 또는 가열대(51)의 구비와,
상기 가열관(50)을 상측구간(d)에 구비된 지지로드(46)에 결합하도록, 사이사이에 공기의 배출구간이 구비된 안내벽(42), 또는 지지로드(46) 구간에 연속반복적인 교호상으로 구비되는 방열관(55)과, 상기 방열관(55)에 관통된 분출구(56)를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축사의 실내에서 가축을 사육하도록 덮어주는 지붕에다 간단히 조립되는 태양광가열판에서 가열된 가열공기로 실내에 대류현상을 제공함으로서, 혹서기에 실내에 서냉으로 실내의 폭염이나 가축에 대한 더위의 피해를 방지하면서 저비용으로 경제성 보강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축사에서 지붕으로 사용되는 태양광가열판의 회전구동으로 햇볕이 축사의 실내로 유입량의 조절 및 강풍, 폭설 등에 의한 파손 피해를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하여 준다.
도 1은 종래에 제공된 축사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요부가 분리된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A-A선 및 사용상태의 부분 확대된 단면도
도 6는 도 5에서 요부에 다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분리된 요부의 확대된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요부에 대한 작동 상태도
도 11은 도 10에서 B-B선 및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 12은 도 9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14은 도 12에서 요부에 다른 사용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5는 도 12에서 요부의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16은 도 14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에 제공된 축사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요부가 분리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A-A선 및 사용상태의 부분 확대된 단면도이며, 도 6는 도 5에서 요부에 다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6에서 분리된 요부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요부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서 B-B선 및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2은 도 9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14은 도 12에서 요부에 대한 다른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도 11에서 요부의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16는 도 14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부인 축산건축물의 실내의 공중공간에다. 태양열로 인한 대류현상을 유도시켜 주는 태양광 가열장치를 설치로서, 축사의 서냉, 보온, 자연재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주기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태양광 가열장치의 구성을, 현장시공을 중심으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따라서 본 발명은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된 축사(43)와, 상기 축사에 구비되도록 골조(11)의 외측으로 감싸주는 비닐(21)과 창문(13)으로 형성되는 축사용 실내(28)와, 상기 실내(28) 양측에 맞추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고정하면서 돌출되는 기둥(15)와, 상기 기둥(15) 사이를 연결로 고정되는 프레임(29)와, 상기 프레임(29)에 빔(17)으로 결합된 경사형 돌출부(14)와, 상기 경사형 돌출부(14)을 덮어서 지붕(19)을 형성하는 지붕재(39)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성기 지붕재(39)에 덮어줌으로서 비치는 햇볕을 수임으로 가열되는 태양광 가열판(40)의 고열 역할로 축사(10)에서 사육하는 가금류가 열사병으로 폐사하는 경우가, 지구온난화로 내리쬐는 여름철인 혹서기에 발생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은 혹서기에 폭염이 지붕(19)에 비추어 줌으로서, 실내(28) 고온의 발생으로 닭, 오리와 같은 가금류의 열사를 방지하면서 저비용으로 해결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소정의 면적과 실내로 형성된 축사(43)와, 상기 축사에 구비되도록 골조(11)의 외측으로 감싸주는 비닐(21)로 형성되는 창고형 축사(43)와, 상기 창고형 축사(43)의 양측에 맞추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고정시켜 주면서 돌출되는 기둥(15)와, 상기 기둥(15)을 연결로 고정되는 프레임(29)와, 상기 프레임(29)에 빔(17)으로 결합된 경사형 돌출부(14)와, 상기 경사형 돌출부(14)을 덮어서 지붕(19)으로 형성하는 축사에 있어서,
상기 지붕재(39)에 일체로 가열구간이 형성된 태양광 가열판(40)와, 상기 태양광 가열판(40)의 배면에 일체되도록 가열통로(45)가 구비된 가열판형 탱크(33)와, 상기 가열판형 탱크(33)의 양측으로 구비된 연결관(57)의 연동으로 가열공기를 이동시켜 주고, 상기 연결관(57)으로 연통시켜서 공급되는 가열공기가 지붕(19)의 하측에서 상측의 태양광 가열판(40)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주어서 가능한 고온의 기열공기로 제공시켜 준다.
또한 상기 가열된 공기를 축사(43)의 상측구간(d)에 분사로서 실내환기를 보강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측구간(d)에 고정된 빔(17)과 지지로드(46)에 결합하도록 분출구(56)가 구비되는 방열관(55)에서 분사되는 가열공기로 실내(28)의 상측의 공기를 가열로서 대류현상의 보강으로 서늘한 환경을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부인 축사(43)의 실내공간을 덮어주는 지붕(18)의 면적에 구비되는 태양광가열판(40)에서 가열된 공기를 상측공간(c)에 구비된 배출관(59)의 내측구간에 분사되는 가열공기는, 실내의 공기에 대한 배출력 보강으로 실내의 서냉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상기 태양광 가열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요부인 태양광가열판(40)에 대한 구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로 도시된 도 7 내지 도 11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을 하면,
본 발명의 목적인 축사(43)에서 가금류의 사육을 위한 경제성 보강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으로 경쟁력 보강을 위한 발명으로서, 상기 태양광 가열판(40)으로 덮여있는 지붕재(39)의 면적에다 신재생에너지의 제공을 위하여, 상기 태양광 가열판(40)의 일측면인 자켓에 발전소자(16)의 구비로 태양광발전판(25)을 제공시켜준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25)이 설치되는 경사형 돌출부(14)에다 햇볕의 비치는 방향에 따라 회전구동과 아울러 바람의 방향에 따라 실내(28)에 대한 통풍을 조절시켜 주기 위하는 회전구동이 제공되도록, 상기 축사(43)의 빔(17)에 결합되는 회전봉(22)에다 태양광발전판(25)의 중심부를 고정시켜 주고, 상기 경사형 돌출부(14)에 연결하는 회전축(37)과, 상기 고정봉(22)과 회전축(37)이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베벨기어(26)로 태양광발전판(25)이 햇볕이 비치는 방향에 맞추어 회전구동으로, 경사형 돌출부(14) 구간에서 햇볕 유입구간(b)을 형성시켜 주되, 상기 태양광발전판(25)의 배면에 일체되는 가열판형 탱크(33)와, 상기 가열판형 탱크(33)의 양측을 관통으로 입출구(44)로 형성된 가열통로(45)로 결합되는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의 입출구(44)에서 호오스로 연결되는 분사장치(20)와, 상기 분사장치(20)가 축사(43)의 상측구간(d)에서 분출하여 주도록 빔(17)의 상측에 고정된 지지로드(46)와, 상기 지지로드(46)에 조립되도록 축사의 상측구간(d)에 배출을 배출관(59)의 일측에 관통된 유입구(51)을 분사장치(20)로 구비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태양광가열판(40)을 태양광의 이동에 따라 미도시된 제어장치와 연계로서 회전구동의 제어로, 소기의 목적인 축사(43)에 서냉이나 보온을 위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가열판(40) 사이에 유입구간(b)의 형성은 혹서기에 햇볕의 가림과 동시에 배출공간 형성, 또는 겨울철에 햇볕이 실내로 유입되도록 태양광가열판(43)에 대한 회전각도(기울기)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사장치(20)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을 하면, 축사(43)의 지붕(19)에 비치는 폭염으로 가열되는 가열공기로 실내(28)의 대류현상의 보강과 아울러 지붕(19)의 일측을 관통으로 설치되는 배출관(59)에 대한 배출력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축사(43)의 상측구간(c)에 설치된 빔(17)의 구조에 따라 수평형상태인 경사도가 낮은 지붕이 설치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태양광가열판(40)에서 가열된 공기를 효과적인 포집으로 실내공기의 배출촉진을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빔(17)에 결합되는 태양광가열판(40)과, 상기 태양광가열판(40)의 배면의 크기에 맞추어서 일체된 가열판형 탱크(33)와,
상기 가열판형 탱크(33)의 양측에 입출구(44)가 구비된 가열통로(45)의 구비로, 상기 태양광발전판(25)에서 가열된 공기가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준다. 또한 축사(43)의 상측공간(c)에서 지붕(19)을 돌출로 노출되는 배출관(59)의 일측구간의 벽면에 가열공기용 유입구(51)와, 상기 유입구(51)의 외측으로 배출공간(31)을 형성으로 배출관(59)의 내측으로 분출시켜 주는 분사구간(e) 형성하는 자켓(30)와, 상기 자켓(30)에는 태양광가열판(40)에서 공급한 가열공기를 배출관(59)의 내측으로 분사함으로서 대류현상으로 배출력 보강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폭염 등으로 가축이나 영농작물이 열상으로 피해가 발생을 하는 경우, 배출구간(b)에서 실내(28)에서 가열된 공기의 배출을 촉진시켜 주도록,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폭염기에 햇볕이 비치는 동안에 축사(43)에서 기르는 가금류의 스트레스로 성장지연, 폐사의 피해를 방지허여 주기 위함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햇볕이 비치는 동안에, 가해지는 폭염으로 가열된 태양광가열판(40)에서 제공된 공기를 축사의 상측구간(c)에 분사를 함으로서 축사(43)의 실내(28)에서 대류현상으로 서냉을 제공시켜 주도록 일실시예를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지붕(18)에 조립된 태양광가열판(40)은 태양광의 이동에 따라, 실내(28)에 햇볕을 차단시켜 주기 위하여, 태양광가열판(40)에 조립된 회전축(37)의 구동으로 회전된 태양광가열판(40) 사이에는 배출구간(b)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고로 상기 배출구간(b) 구간으로 실내(28) 공기의 배출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상측구간(c)의 빔(17)에 설치된 배출관(59)에서 배출력 보강을 제공하여 주기 위한 발명으로서,
상기 태양광발전판(25)의 배면에 일체된 가열판형탱크(33)의 양측으로 입출구(44)가 구비된 가열통로(45)와, 상기 입출구(44)에서 미도시된 호오스로 연결되면서 빔(17)에 고정된 지지로드(46)에다 조립되는 분출구(56)가 구비되는 방열관(55)을 상측구간(d)에 가열공기를 분사함으로서 실내에서 대류현상이 보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열관(55)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배출관(59)의 일측구간에 관통된 유입구(51)와, 상기 유입구(51)에는 입출구(44)에 연결된 가열공기 공급구간(31) 형성용 자켓(30)으로 감싸주어서 상측구간(d)에서 배출력 보강하도록 제공되는 분사장치(20)로서, 축사(43)에서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발전과 아울러 실내환기 보강을 위한 가열공기를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실내(28)의 상측구간(d)에서 특히 폭염으로 가열된 실내(28)의 공기 배출을 보강하도록 배출간격이 연속반복적으로 구비된 안내벽(42)이나 태양광발전된 전력으로 가열되는 가열대(47)로 상측구간(d)의 가열을 촉진함으로서, 유체역학의 원리에 의하여 실내(28)의 하측에 개구된 공기통로(41)로 부터의 외부공기 유입을 촉진함으로서, 배출구간(b)의 이격간격으로 배출을 촉진시켜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25)은 폭염으로 고열의 태양광이 비춰주면 상당한 고열(70~75℃ 정도)이 됨으로서, 상기 가열된 가열판의 온도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태양광발전판(25)의 배면을 교호상으로 왕복되도록 밀착으로 열결된 가열관(50)과, 상기 연결된 가열관(50)은 실내(28)의 상측구간(d)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안내벽(42)과, 상기 안내벽(42) 사이사이에 공기의 배출구간을 구비로서, 실내(28)의 상측구간의 공기가열을 보강함으로서, 실내(28)의 하측구간의 벽체에 개구된 공기통로(41)로 공기 유입 촉진으로, 실내(28)의 환기가 보강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고로 태양광발전판(25)의 배면에 지그재그 상태로 만곡된 구조로 밀착된 가열관(50)과, 상기 가열관(50)에서 연결되는 호오스와 미도시된 펌프의 가동으로 공급되는 열량은 실내(28)에서 대류현상을 극대화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상측구간(d)에 구비된 지지로드(46)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안내벽(42)과, 상기 안내벽(42) 사이사이에 공기의 배출구간을 구비로 실내환기의 보강으로서, 폭염으로 가축이나 영농시설에서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피해를 예방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실내(28)에서 배출을 보강시켜 주는 가열관(50)과 안내벽(42)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14 내지 도15에 의거 설명하면,
여기서 상기 양측으로 지그재그 상태로 만곡된 구조로 밀착된 가열관(50)을 태양광발전판(25)의 면적에 맞추어서 배면에 조립되는 판넬형 가열대(51)로 구비시켜 주고,
상기 상측구간(d)에 구비된 지지로드(46)에 결합하도록, 연속반복적으로 분출구(56)가 구비되는 방열관(55)을 교호상으로 구비시켜서 실내(28)의 공기의 배출을 보강시켜 주는 장치로서,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또한 폭염기에서 야간이나 날씨가 흐리는 경우, 상기 태양광발전판(25)의 가열이 불가능함으로 이의 보조수단으로서, 주간에 비치는 태양광으로 발전된 전력의 저장된 축전기로 가동되는 환풍기(32)로, 실내(28)의 고온의 공기를 신재생에너지인 저렴한 비용으로 환기시켜 주도록 보강시켜 주는 발명이다.
여기서 주간에 비치는 태양광으로 발전된 전력은 겨울철의 난방을 위하여 미도시된 보일러의 가동으로 실내가 보온되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11 : 골조 13 : 기소 14 : 경사형 돌출부 15 : 기둥
16 : 발전소자 17 : 빔 18 : 조립구간 19 : 지붕 20 : 분사장치
21 : 비닐 22 : 회전봉 23 : 경사프레임 25 : 태양광 발전판
26 : 베벨기어 28 : 실내 29 : 프레임 31 : 자켓 32 : 보일러
33 : 가열판형탱크 34 : 열저장탱크 37 : 회전축 38 : 돌출부
39 : 지붕재 40 : 태양광 가열판 41 : 공기통로 43 : 축사
44 : 입출구 45 : 가열통로 46 : 지지로드 47 : 가열대
50 : 가열관 55 : 방열관 56 : 분출구

Claims (4)

  1.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된 축사(43)와, 상기 축사가 구비되도록 골조(11)의 외측으로 감싸주는 비닐(21)로 형성되는 축사(43)와, 상기 축사(43)의 양측에 맞추어서 길이방향에서 반복적인 고정으로 돌출되는 기둥(15)와, 상기 기둥(15)을 사이를 연결되는 프레임(29)와 빔(17)으로 결합된 경사형 돌출부(14)와, 상기 경사형 돌출부(14)을 덮어서 지붕(19)으로 형성하는 축사에 있어서,
    상기 지붕재(39)를 다수개로 서로 연동시켜서 일체로 가열구간이 형성된 태양광 가열판(40)와, 상기 태양광 가열판(40)의 배면에 일체되도록 가열통로(45)가 구비된 가열판형 탱크(33)와, 상기 가열판형 탱크(33)의 양측으로 구비된 연결관(57)의 연동으로 가열공기를 이동시켜 주고, 상기 가열공기가 하측의 태양광 가열판(40)에서 상측의 태양광 가열판(40)으로 연동되도록 연결관(57)을 구비로 공급되는 가열공기를, 상기 축사(43)의 상측구간(d)에 고정된 지지로드(46)에 결합하는 방열관(55)으로 공급시켜 주되, 상기 방열관(55)에 형성된 분출구(56)로 분사되는 가열공기로 실내(28)에 대류현상을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가열판(40)에 다수개의 발전소자(16)가 연속인 구비로 형성되는 태양광발전판(25)과, 상기 경사형 돌출부(14) 사이를 다수개의 태양광발전판(25)이 서로 연결되도록 중심축 구간에 결합되는 회전봉(22)과, 상기 경사형 돌출부(14)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축(37)과, 상기 고정봉(22)과 회전축(37)이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베벨기어(26)로 태양광발전판(25)이 햇볕이 비치는 방향에 맞추어 회전구동하는 미도시된 제어장치로, 경사형 돌출부(14) 구간인 지붕(81)에서 햇볕 유입구간(b)을 개구시켜 주고,
    상기 축사(43)의 상측구간(d)에 고정된 지지로드(46)와, 상기 지지로드(46)에 결합하도록 분출구(56)가 구비되는 방열관(55)에서 분사되는 가열공기로 실내(28)에 대류현상을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하는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태양광가열판(40)을 소정의 이격된 간격으로 발전소자(16)을 구비된 태양광발전판(25)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기 가열판형 탱크(33)의 양측에 입출구(44)가 구비된 가열통로(45)와, 상기 입출구(44)에 연결로 구비된 분사장치(20)와,
    상기 분사장치(20)에는 입출구(44)에 연결된 가열공기 분사구간(e)형성용 자켓(30)과, 상기 자켓(30)으로 형성된 공급구간(31)에 인접된 배출관(59)에 관통되는 유입구(51)의 구비로서 배출력을 보강하도록 제공되는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판(25)의 배면에 양측으로 지그재그 상태로 만곡된 구조로 밀착된 가열관(50) 또는 가열대(51)의 구비와,
    상기 가열관(50)을 상측구간(d)에 구비된 지지로드(46)에 결합하도록, 사이사이에 공기의 배출구간이 구비된 안내벽(42), 또는 지지로드(46) 구간에 연속반복적인 교호상으로 구비되는 방열관(55)과, 상기 방열관(55)에 관통된 분출구(56)의 구비로 제공하는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
KR1020160130527A 2016-10-10 2016-10-10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 KR102137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527A KR102137856B1 (ko) 2016-10-10 2016-10-10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527A KR102137856B1 (ko) 2016-10-10 2016-10-10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44A true KR20180039344A (ko) 2018-04-18
KR102137856B1 KR102137856B1 (ko) 2020-07-24

Family

ID=6208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527A KR102137856B1 (ko) 2016-10-10 2016-10-10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8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9490A (zh) * 2019-07-19 2020-01-14 桐乡市众成湖羊专业合作社 可快速保温和降温的羊舍
CN115316311A (zh) * 2022-03-09 2022-11-11 西安交通大学 一种环保型恒温动物圈养房舍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4543A (ja) * 1986-08-25 1988-03-08 Minoru Hosoya 畜舎の換気装置
KR100680306B1 (ko) * 2005-09-28 2007-02-07 신성복 고체연료용 온풍기
KR101333637B1 (ko) * 2012-06-13 2013-12-03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형 축사
KR101423309B1 (ko) * 2013-02-13 2014-07-28 대한민국 개폐식 지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축사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4543A (ja) * 1986-08-25 1988-03-08 Minoru Hosoya 畜舎の換気装置
KR100680306B1 (ko) * 2005-09-28 2007-02-07 신성복 고체연료용 온풍기
KR101333637B1 (ko) * 2012-06-13 2013-12-03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형 축사
KR101423309B1 (ko) * 2013-02-13 2014-07-28 대한민국 개폐식 지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축사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9490A (zh) * 2019-07-19 2020-01-14 桐乡市众成湖羊专业合作社 可快速保温和降温的羊舍
CN110679490B (zh) * 2019-07-19 2021-07-16 桐乡市众成湖羊专业合作社 可快速保温和降温的羊舍
CN115316311A (zh) * 2022-03-09 2022-11-11 西安交通大学 一种环保型恒温动物圈养房舍
CN115316311B (zh) * 2022-03-09 2023-09-29 西安交通大学 一种环保型恒温动物圈养房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856B1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947B2 (en) Thermogenic augmentation system
US8915015B1 (en) Solar greenhouse
CN101303152B (zh) 适用于建筑的具有强制通风系统的热能及光伏板太阳能跟踪装置
US9121619B2 (en) Hyper-aeration apparatus for attic ventilation
JP2009127921A (ja) 採冷システム
EP2306102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oling down and/or warming up fluid
US5488801A (en) Solar appliances
CA2607872A1 (en) Building integrated air flow generation and collection system
KR102045803B1 (ko) 태양열과 지열을 이용하는 저온 건조기
KR20180039344A (ko)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
KR20180029864A (ko) 축사용 시설물에서 실내 정화용 태양광가열장치
KR20190039482A (ko) 실내 정화용 태양광가열장치가 구비된 축사용 시설물
EP1942720B1 (en) Solar radiator
RU158007U1 (ru) Градирня
KR102513255B1 (ko) 비닐하우스용 냉, 온풍 환기공조장치
JP2006097425A (ja) ソーラーシステムハウスの換気方法
JP3878610B2 (ja) パッシブソーラーシステムハウス
KR102209539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어류 양식 및 버섯 재배설비
KR20110132259A (ko) 2-친환경 조립식 텐트와 가 건물.
KR102217384B1 (ko) 실내 정화용 태양광가열장치가 구비된 축사용 시설물
KR20190126741A (ko) 실내 정화용 태양광가열장치가 구비된 축사용 시설물
CN205314398U (zh) 智能型排风散热装置
KR102255561B1 (ko)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각시스템
TWI502157B (zh) 太陽能致動熱對流之導流裝置
GB2497917A (en) Home in a dome with rainwater harv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