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339A -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339A
KR20180039339A KR1020160130504A KR20160130504A KR20180039339A KR 20180039339 A KR20180039339 A KR 20180039339A KR 1020160130504 A KR1020160130504 A KR 1020160130504A KR 20160130504 A KR20160130504 A KR 20160130504A KR 20180039339 A KR20180039339 A KR 20180039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evice
task
output
processo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249B1 (ko
Inventor
서윤화
김나린
이병준
강정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0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249B1/ko
Priority to EP17860625.7A priority patent/EP3504883A4/en
Priority to PCT/KR2017/010892 priority patent/WO2018070718A1/en
Priority to CN201780062444.XA priority patent/CN109804641B/zh
Priority to US15/722,135 priority patent/US10390140B2/en
Publication of KR20180039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3Aspects of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hea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는 배터리,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싱 모듈,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출력 장치와 커플링되는 다른 출력 장치(another output device)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한 통신 회로 및 배터리, 센싱 모듈 및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 및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센서들 중 하나와 연관된 태스크를 출력 장치 또는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output device outputting audio sig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최근, 전자 장치는 이동성(portability) 및 사용자의 접근성(accessi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신체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 귀에 끼우거나 밀착할 수 있게 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예: 무선 이어폰 또는 무선 헤드폰)일 수 있다.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양쪽 귀에 각각 삽입되고 서로 무선으로 커플링되는 한 쌍의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한 쌍의 출력 장치 각각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된(fully charged) 후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한 쌍의 출력 장치 각각의 배터리 잔량은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출력 장치 중 하나의 배터리가 먼저 방전될 수 있고, 이로써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사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한 쌍의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각각에 포함된 배터리를 균형 있게 소모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는 배터리,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싱 모듈,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출력 장치와 커플링되는 다른 출력 장치(another output device)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한 통신 회로 및 배터리, 센싱 모듈 및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 및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센서들 중 하나와 연관된 태스크를 출력 장치 또는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는 배터리,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싱 모듈,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출력 장치와 커플링되는 다른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한 통신 회로 및 배터리, 센싱 모듈 및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센싱 모듈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다른 출력 장치로부터 다른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와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고,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 및 다른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와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장치 또는 다른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행되는 태스크를 출력 장치 또는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출력 장치와 커플링된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 및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 중 하나와 연관된 태스크를 출력 장치 또는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한 쌍의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할당함으로써, 각각의 배터리의 양이 균형 있게 소모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출력 장치 각각의 착용 상태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할당함으로써, 한 쌍의 출력 장치 중 하나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사용자가 끊어짐 없이(seamless) 출력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의 동작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와 커플링된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되는 태스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와 커플링된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되는 태스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와 커플링된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되는 태스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의 태스크 분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의 태스크 분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의 태스크 분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의 동작 환경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 출력 시스템은 제1 출력 장치(101) 및 제2 출력 장치(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시스템은 사용자의 한쪽 귀에 착용될 수 있는 제1 출력 장치(101) 및 사용자의 다른 한쪽 귀에 착용될 수 있는 제2 출력 장치(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10) 및 제2 출력 장치(102)와 통신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시스템은 외부 전자 장치(10)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도 있고, 자립형(stand alone)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1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는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화 시 수신되는 음성, 외부 전자 장치(10)에 저장된 음원 또는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음원,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재생에 의한 소리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음성 또는 음원은 오디오 출력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시스템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101)는, 하우징(111), 이어 팁(121), 스피커(131), HR(heart rate) 센서(141) 및 단자(15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은 제1 출력 장치(10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 팁(121)은 하우징(111)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어 팁(121)은, 예를 들어,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어 팁(121)은 탄성을 가질 수 있고, 제1 출력 장치(101)가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스피커(131)는 하우징(1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131)에 의해 출력되는 소리는 팁의 중공을 통해 사용자의 고막으로 전달될 수 있다. HR 센서(141)는 하우징(1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HR 센서(141)는 제 1 출력 장치(101)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때, 적외선 발광부, Red 발광부, Green 발광부 및 Blue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101)는 HR 센서(141)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장치(101)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자(151)는 충전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단자(151)를 통해 제1 출력 장치(101)의 배터리(미도시)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1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10)와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10)와 HFP(handsfree profile) 또는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10)와 HFP로 연결된 경우, 외부 전자 장치(10)는 HFP AG(audio gateway)로 설정될 수 있고, 제1 출력 장치(101)는 HFP HF(handsfree unit)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10)와 A2예로 연결된 경우, 외부 전자 장치(10)는 A2DP SRC(source)로 설정될 수 있고, 제1 출력 장치(101)는 A2DP SNK(sink)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101)는 제2 출력 장치(102)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101)는 제2 출력 장치(102)와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101)는, 예를 들어, 제2 출력 장치(102)와 HFP 또는 A2DP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출력 장치(101)는 마스터로 동작하고, 제2 출력 장치(102)는 슬레이브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출력 장치(101)가 마스터로 동작하고 제2 출력 장치(102)가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출력 장치(102)가 마스터로 동작하고 제1 출력 장치(101)가 슬레이브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1 출력 장치(101) 및 제2 출력 장치(102)는 외부 전자 장치(1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101)는 제1 출력 장치(101)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면 제2 출력 장치(102)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101)는 제1 출력 장치(101)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면 제2 출력 장치(102) 및 외부 전자 장치(1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10)와 연결되면 외부 전자 장치(10)로부터 음성 또는 음원과 연관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101)는 스트리밍 기법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13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101)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2 출력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101)는 제1 출력 장치(101) 또는 제2 출력 장치(102)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출력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10)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출력 장치(102)는 하우징(112), 이어 팁(122), 마이크 홀(162) 및 터치 패드(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력 장치(102)의 하우징(112) 및 팁은 제1 출력 장치(101)의 하우징(111) 및 이어 팁(121)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출력 장치(102)는 제1 출력 장치(101)와 동일한 스피커, HR 센서 및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출력 장치(101)는 제2 출력 장치(102)와 동일한 마이크 홀 및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 홀(162)은 하우징(112)에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 홀(162) 아래에는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마이크 홀(162)을 통해 마이크로 소리가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드(172)는 제2 출력 장치(102)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에 노출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 패드(172)는 사용자의 신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출력 장치(102)는 터치 패드(172)에 의해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예를 들어, 재생, 정지, 빨리 감기, 되감기, 음량 조절, 통화 연결 또는 통화 종료 등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101)는 제1 출력 장치(101) 및/또는 제2 출력 장치(102)에 포함된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 또는 제1 출력 장치(101)의 연결 상태 등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101) 또는 제2 출력 장치(102)에 할당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은 제2 출력 장치(10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디오 출력 시스템(200)은 제1 출력 장치(201) 및 제2 출력 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201)는 스피커(211), 마이크(221), 배터리(231), 메모리(241), 센싱 모듈(251), 통신 회로(261) 및 프로세서(2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201)는 도 1에 도시된 제1 출력 장치(101)와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출력 장치(202)는 스피커(212), 마이크(222), 배터리(232), 메모리(242), 센싱 모듈(252), 통신 회로(262) 및 프로세서(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력 장치(202)는 도 1에 도시된 제2 출력 장치(102)와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제2 출력 장치의 스피커(212), 마이크(222), 배터리(232), 메모리(242), 센싱 모듈(252), 통신 회로(262) 및 프로세서(272)는 제1 출력 장치의 스피커(211), 마이크(221), 배터리(231), 메모리(241), 센싱 모듈(251), 통신 회로(261) 및 프로세서(271)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20)는 제1 출력 장치(201)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는 제2 출력 장치(202)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전자 장치(10)와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출력 장치(201)를 기준으로 오디오 출력 시스템(200)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211)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211)는 오디오 데이터를 소리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201)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된 경우, 스피커(211)에 의해 출력되는 소리는 사용자의 고막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221)는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221)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마이크(221)는 제1 출력 장치(201)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마이크(221)에 의해 감지된 주변 환경의 소리는 스피커(211)에 의해 출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231)는 제1 출력 장치(201)의 다른 구성들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31)는 PMIC(Power Manager IC)(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231)는 제1 출력 장치(201)가 충전 장치와 연결된 경우 PIMC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231)의 잔량은 PIMC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41)는 제1 출력 장치(201) 및/또는 제2 출력 장치(202)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41)는 제1 출력 장치(201) 및/또는 제2 출력 장치(202)에서 재생될 수 있는 음원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메모리(241)는 제1 출력 장치(201) 및/또는 제2 출력 장치(202)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메모리(241)는 제1 출력 장치(201) 및/또는 제2 출력 장치(202)에서 수행되는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모듈(251)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모듈(251)은, 예를 들어, 심박, 가속도, 각속도, 적외선, 근접 및/또는 근전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 모듈(251)은, 예를 들어, HR 센서(251a), 가속도 센서(251b), 자이로 센서(251c), IR 센서(251d) 및 근접 센서(251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싱 모듈(251)은 EMG(electromyogram)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261)는 외부 전자 장치(20) 또는 제1 출력 장치(201)와 커플링되는 제2 출력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261)는,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201)의 주변에서 연결 가능한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장치와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통신 회로(261)는 연결된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연결된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261)는 연결된 장치와 서로의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연결된 장치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통신 회로(261)는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Direct 및/또는 ANT+(pronounced ant plus)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외부 전자 장치(20) 또는 제2 출력 장치(202)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스피커(211), 마이크(221), 배터리(231), 메모리(241), 센싱 모듈(251) 및 통신 회로(2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71)는 스피커(211), 마이크(221), 배터리(231), 메모리(241), 센싱 모듈(251) 및 통신 회로(26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1)는 통신 회로(261)를 통해 연결된 제2 출력 장치(202)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시스템(200)에서 수행되는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20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에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배터리(231) 잔량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배터리(231)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1)는 배터리(231)와 연결된 PMIC를 이용하여 배터리(231)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통신 회로(261)를 이용하여 제2 출력 장치(202)에 포함된 배터리(232)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1)는 통신 회로(261)를 이용하여 제2 출력 장치(202)로부터 배터리(232)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의 배터리(231)의 잔량에 대한 정보 및 제2 출력 장치(202)의 배터리(232)의 잔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센싱 모듈(251)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 중 하나와 연관된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20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1)는 배터리(231)의 소모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201) 및 제2 출력 장치(202) 중 배터리의 잔량이 더 많은 출력 장치에 할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271)는 배터리(231)의 소모가 적을 것으로 예상되는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201) 및 제2 출력 장치(202) 중 배터리의 잔량이 더 적은 출력 장치에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태스크의 소모 전류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20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251b)의 소모 전류는 약 0.5 mA 일 수 있고, 심박 센서의 소모 전류는 약 2 mA 일 수 있다. 프로세서(271)는 소모 전류가 적은 가속도 센서(251b)와 연관된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201) 및 제2 출력 장치(202) 중 배터리의 잔량이 더 적은 출력 장치에 할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271)는 소모 전류가 많은 심박 센서와 연관된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201) 및 제2 출력 장치(202) 중 배터리의 잔량이 더 많은 출력 장치에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센싱 모듈(251)의 상태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에 포함된 센싱 모듈(251) 및 제2 출력 장치(202)에 포함된 센싱 모듈(252)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 모듈(251, 252)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센싱 모듈(251, 252)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 각각의 가용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모듈(251, 252)에 의해 감지된 값에 변화가 없거나, 센싱 모듈(251, 252)에 의해 감지된 값이 비정상적인 값인 경우, 프로세서(271)는 감지된 값을 측정하는 센서가 사용 불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에 포함된 센싱 모듈(251) 및 제2 출력 장치(202)에 포함된 센싱 모듈(252)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20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201)의 HR 센서(251a)가 사용 불가능한 경우, 프로세서(271)는 HR 센서(251a)와 연관된 태스크를 제2 출력 장치(202)에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착용 상태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 및 제2 출력 장치(202)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착용 상태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20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에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센싱 모듈(251)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1)는 센싱 모듈(251)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장치가 출력 장치의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1)는 근접 센서(251e)에 의해 접촉된 물체와 멀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제1 출력 장치(201)가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271)는 가속도 센서(251b)에 의해 지정된 크기의 가속도(예: 중력 가속도)가 감지되면, 제1 출력 장치(201)가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271)는 근접 센서(251e)에 의해 외부 물체와 접촉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1 출력 장치(201)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271)는 HR 센서(251a)에 의해 심박이 감지되면, 제1 출력 장치(201)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271)는 가속도 센서(251b) 또는 자이로 센서(251c)에 의해 지정된 크기 이상의 가속도 또는 각속도가 감지되고, 근접 센서(251e)에 의해 외부 물체의 근접이 감지되고, HR 센서(251a)에 의해 심박이 감지되면, 제1 출력 장치(201)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통신 회로(261)를 이용하여 제2 출력 장치(202)로부터 제2 출력 장치(202)의 착용 상태와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1)는 제2 출력 장치(202)의 센싱 모듈(252)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제2 출력 장치(202)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장치(202)의 착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271)는 제2 출력 장치(202)가 제2 출력 장치(202)의 센싱 모듈(252)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장치(202)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면, 제2 출력 장치(202)로부터 판단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제2 출력 장치(202)의 착용 상태와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20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 및 제2 출력 장치(202) 중 사용자의 귀에 삽입된 출력 장치에 태스크를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태스크가 제1 출력 장치(201)에 할당되면, 할당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71)는 수행되는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메모리(241)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1)는 통신 회로(261)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제2 출력 장치(2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를 제2 출력 장치(202)에 할당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가 제2 출력 장치(202)에 할당된 경우, 통신 회로(261)를 이용하여 제1 출력 장치(201)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제2 출력 장치(20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가 제2 출력 장치(202)에 할당된 경우, 제1 출력 장치(201)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를 중단할 수 있다. 하나의 출력 장치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가 다른 출력 장치로 할당되더라도,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할당된 출력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태스크가 끊김 없이(seamlessly)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가 제1 출력 장치(201)의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된 경우, 제1 출력 장치(201)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를 제2 출력 장치(202)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 및 제2 출력 장치(202)가 스테레오로 동작하는 중에 제1 출력 장치(201)가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되면, 제2 출력 장치(202)가 모노로 동작하도록 제2 출력 장치(202)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1)는 통신 회로(261)를 이용하여 제2 출력 장치(202)로 제1 출력 장치(201)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제2 출력 장치(202)가 제1 출력 장치(201)의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된 경우, 통신 회로(261)를 이용하여 제2 출력 장치(202)로부터 제2 출력 장치(202)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는 제1 출력 장치(201)로부터 제2 출력 장치(202)로 또는 제2 출력 장치(202)로부터 제1 출력 장치(201)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고, 다른 외부 장치를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 및 제2 출력 장치(202)에서 동시에 수행 중인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20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복 수행 중인 태스크가 심박 측정인 경우, 제1 출력 장치(201)에 의해 측정된 결과와 제2 출력 장치(202)에 의해 측정된 결과는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출력 장치(20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 중 하나의 출력 장치에 태스크를 할당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태스크가 제1 출력 장치(201)에 할당되면, 태스크를 수행하고, 태스크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메모리(241) 및 제2 출력 장치(202)에 포함된 메모리(242)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스크의 중요도가 낮은 경우, 프로세서(271)는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제1 출력 장치(201)에 포함된 메모리(24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에 포함된 메모리(242) 중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태스크의 중요도가 높은 경우, 프로세서(271)는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제1 출력 장치(201)에 포함된 메모리(241) 및 제2 출력 장치(202)에 포함된 메모리(242)에 저장할 수 있다. 중요도가 높은 태스크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 실행 명령한 태스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에 포함된 배터리(231)의 잔량에 대한 정보 및 제2 출력 장치(202)에 포함된 배터리(231)의 잔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와의 연결을 위한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20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 및 제2 출력 장치(202) 중 배터리(231)의 잔량이 많은 출력 장치가 마스터로 동작하도록 제1 출력 장치(20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태스크가 자동으로 할당되더라도, 프로세서(271)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20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로 할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271)는, 예를 들어, 통화 음성 또는 알림 등을 모노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 중 하나만 사용되도록 제1 출력 장치(201) 또는 제2 출력 장치(202)를 제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201)의 마이크(221) 및/또는 제2 출력 장치(202)의 마이크(222)가 활성화되도록 제1 출력 장치(201)의 마이크(221) 및/또는 제2 출력 장치(202)의 마이크(222)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201)의 프로세서(271)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동작들은 제2 출력 장치(202)의 프로세서(272)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201)의 프로세서(271)는 제2 출력 장치(202)의 프로세서(272)에 의해 상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2 출력 장치(202)의 프로세서(272)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와 커플링된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되는 태스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출력 장치(301)와 제2 출력 장치(302)는 무선으로 연동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301)는 외부 전자 장치(30)와 연동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301)는 외부 전자 장치(30)와 연동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301)의 배터리 잔량은 약 60%일 수 있고, 제2 출력 장치(302)의 배터리 잔량은 약 2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301) 또는 제2 출력 장치(302)에 할당되는 태스크는, 예를 들어, 심박 측정, 소모 칼로리 계산, 외부 전자 장치(30)와의 통신, 운동량 계산 및 걸음 수 측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301)는 제1 출력 장치(301)의 배터리 잔량 및 제2 출력 장치(302)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301)는 상대적으로 배터리 잔량이 많은 제1 출력 장치(301)에 상대적으로 소모 전류가 큰 태스크를 할당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배터리 잔량이 적은 제2 출력 장치(302)에 상대적으로 소모 전류가 작은 태스크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301)는 심박 측정, 소모 칼로리 계산 및 외부 전자 장치(30)와의 통신 등과 같은 소모 전류가 큰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301)는 운동량 계산 및 걸음 수 측정 등과 같은 소모 전류가 작은 태스크를 제2 출력 장치(302)에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301)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동작들은 제2 출력 장치(302)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와 커플링된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되는 태스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출력 장치(401)와 제2 출력 장치(402)는 무선으로 연동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401)는 외부 전자 장치(40)와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401)의 배터리 잔량은 약 60%일 수 있고, 제2 출력 장치(402)의 배터리 잔량은 약 2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40)는 다른 전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40)는 제1 전자 장치로 통화 시 전달되는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통화 중에 제1 출력 장치(401) 또는 제2 출력 장치(402)에 할당되는 태스크는, 예를 들어, 통화 음성 출력, 마이크 구동 및 터치 센서 구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401)는 제1 출력 장치(401)의 배터리 잔량 및 제2 출력 장치(402)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401)는 상대적으로 배터리 잔량이 많은 제1 출력 장치(401)에 태스크를 할당하고, 상대적으로 배터리 잔량이 적은 제2 출력 장치(402)에 태스크를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401)는 통화 음성 출력 및 마이크 구동 등과 같은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1 출력 장치(401) 및 제2 출력 장치(402) 모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해야 하므로, 제1 출력 장치(401)는 터치 센서 구동 등과 같은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401) 및 제2 출력 장치(402)에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401)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동작들은 제2 출력 장치(402)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와 커플링된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되는 태스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출력 장치(501)와 제2 출력 장치(502)는 무선으로 연동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501)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될 수 있고, 제2 출력 장치(502)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501) 또는 제2 출력 장치(502)에 할당되는 태스크는, 예를 들어, 심박 측정, 소모 칼로리 계산,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 운동량 계산 및 걸음 수 측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501)는 제1 출력 장치(501)의 착용 상태 및 제2 출력 장치(502)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501)는 제1 출력 장치(501)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고, 제2 출력 장치(502)가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501)는 제2 출력 장치(502)가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되면, 심박 측정, 소모 칼로리 계산,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 운동량 계산 및 걸음 수 측정 등과 같은 모든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태스크 중 일부가 제2 출력 장치(502)에 의해 수행되는 중에 제2 출력 장치(502)가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된 경우, 제2 출력 장치(502)는 수행하던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제1 출력 장치(50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501)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동작들은 제2 출력 장치(502)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의 태스크 분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제1 출력 장치(201)가 도 6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6의 프로세스는 도 2의 제2 출력 장치(20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의 설명에서, 제1 출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제1 출력 장치(201)의 프로세서(271)(또는 제2 출력 장치(202)의 프로세서(272))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동작 61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제1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는 제1 출력 장치의 PIMC를 이용하여 제1 출력 장치에 포함된 제1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제2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는 통신 회로를 통해 제2 출력 장치로부터 제2 출력 장치가 획득한 제2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출력 장치는 통신 회로를 통해 제2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장치에 포함된 제2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 또는 제2 출력 장치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는 예상되는 배터리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태스크 또는 요구되는 연산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 또는 제2 출력 장치 중 배터리의 잔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출력 장치에 할당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는 예상되는 배터리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태스크 또는 요구되는 연산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 또는 제2 출력 장치 중 배터리의 잔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출력 장치에 할당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는 제2 출력 장치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 회로를 통해 제2 출력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동작 64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에 할당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력 장치는 제2 출력 장치에 할당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의 태스크 분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제1 출력 장치(201)가 도 7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7의 프로세스는 도 2의 제2 출력 장치(20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의 설명에서, 제1 출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제1 출력 장치(201)의 프로세서(271)(또는 제2 출력 장치(202)의 프로세서(272))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동작 71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는 제1 출력 장치의 심박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심박이 감지 되거나 제 1 출력 장치가 사용자의 신체(예: 귀)에 근접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제1 출력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제2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는 통신 회로를 통해 제2 출력 장치로부터 제2 출력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출력 장치는 통신 회로를 통해 제2 출력 장치로부터 제2 출력 장치의 심박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제1 출력 장치 또는 제2 출력 장치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는 제1 출력 장치 또는 제2 출력 장치 중 사용자에게 착용된 출력 장치에 태스크를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출력 장치는 제1 출력 장치 또는 제2 출력 장치 중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된 출력 장치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를 다른 출력 장치로 할당할 수도 있다.
동작 74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에 할당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력 장치는 제2 출력 장치에 할당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장치의 태스크 분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제1 출력 장치(201)가 도 8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8의 프로세스는 도 2의 제2 출력 장치(20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의 설명에서, 제1 출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제1 출력 장치(201)의 프로세서(271)(또는 제2 출력 장치(202)의 프로세서(272))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동작 81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의 센서를 이용하여 제1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제2 출력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출력 장치의 주변에 위치된 장치들을 검색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와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서 제2 출력 장치가 검색되면, 제1 출력 장치는 제2 출력 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연결 가능한 제2 출력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동작 83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의 센서의 의해 수집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는 제1 출력 장치의 센서를 이용하여 심박, 가속도 및/또는 각속도 등과 같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는 제2 출력 장치에 의해 수집된 심박, 가속도 및/또는 각속도 등과 같은 정보를 제2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4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동일한 사용자가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의 센서 및 제2 출력 장치에 포함된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가 동일한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는 제1 출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심박수, 심박 파형, 심전도, 가속도 또는 각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제2 출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심박수, 심박 파형, 심전도, 가속도 또는 각속도와 동일하면,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가 동일한 사용자의 귀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가 동일한 사용자에게 착용된 경우, 동작 85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스테레오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는 서로 다른 채널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제2 출력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가 동일한 사용자에게 착용되지 않은 경우, 동작 860에서, 제1 출력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271))는 모노 모드로 동작하도록 사용자에게 착용된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 양자는 동일한 채널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 중 하나의 출력 장치만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 중 하나가 사용 불가능한 경우,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출력 장치는 모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 중 하나가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되거나, 방전된 경우, 제1 출력 장치 및 제2 출력 장치 중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출력 장치 또는 배터리가 남은 출력 장치는 모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싱 모듈;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출력 장치와 커플링되는 다른 출력 장치(another output device)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한 통신 회로; 및
    상기 배터리, 상기 센싱 모듈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하나와 연관된 태스크를 상기 출력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태스크의 전류 소모량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를 상기 출력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모듈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센싱 모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싱 모듈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센싱 모듈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를 상기 출력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센싱 모듈은 HR(heart rate)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IR 센서 및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모듈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와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와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를 상기 출력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태스크가 상기 출력 장치에 할당되면,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상기 다른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장치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가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된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장치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상기 다른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장치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가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된 경우, 상기 출력 장치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를 중단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장치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서 동시에 수행 중인 태스크를 상기 출력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태스크가 상기 출력 장치에 할당되면,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고, 상기 태스크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태스크를 상기 출력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1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싱 모듈;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출력 장치와 커플링되는 다른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한 통신 회로; 및
    상기 배터리, 상기 센싱 모듈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모듈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와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와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행되는 태스크를 상기 출력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모듈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출력 장치의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장치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 중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된 장치에 상기 태스크를 할당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출력 장치의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출력 장치로 상기 출력 장치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출력 장치가 상기 출력 장치의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모듈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센싱 모듈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장치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가 동일한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출력 장치.
  18.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출력 장치와 커플링된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 중 하나와 연관된 태스크를 상기 출력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동작은,
    상기 태스크의 소모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를 상기 출력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와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할당하는 동작은,
    상기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다른 출력 장치의 착용 상태와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를 상기 출력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출력 장치에 할당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30504A 2016-10-10 2016-10-10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546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504A KR102546249B1 (ko) 2016-10-10 2016-10-10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EP17860625.7A EP3504883A4 (en) 2016-10-10 2017-09-28 OUTPUT DEVICE PROVIDING AUDIO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7/010892 WO2018070718A1 (en) 2016-10-10 2017-09-28 Output device outputting audio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780062444.XA CN109804641B (zh) 2016-10-10 2017-09-28 输出音频信号的输出设备及其控制方法
US15/722,135 US10390140B2 (en) 2016-10-10 2017-10-02 Output device outputting audio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504A KR102546249B1 (ko) 2016-10-10 2016-10-10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39A true KR20180039339A (ko) 2018-04-18
KR102546249B1 KR102546249B1 (ko) 2023-06-23

Family

ID=6183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504A KR102546249B1 (ko) 2016-10-10 2016-10-10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90140B2 (ko)
EP (1) EP3504883A4 (ko)
KR (1) KR102546249B1 (ko)
CN (1) CN109804641B (ko)
WO (1) WO201807071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873A (ko) * 2018-11-25 2021-06-16 주식회사 아이앤드와이 이어폰
US11204514B2 (en) 2017-10-10 202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Quantum dot light modulator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22014734A1 (ko) * 2020-07-14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
WO2022030746A1 (ko) * 2020-08-07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8696A (zh) 2018-07-02 2018-12-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主从耳机切换控制方法及相关产品
JP1619534S (ko) * 2018-08-21 2018-12-03
USD907597S1 (en) * 2019-03-06 2021-01-12 Skullcandy, Inc. Earbud headset
CN111752372A (zh) * 2019-03-28 2020-10-09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动作识别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381407A (zh) * 2019-07-29 2019-10-2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耳机及其佩戴检测系统及方法
USD917426S1 (en) * 2019-09-12 2021-04-27 Shenzhen Ginto E-commerce Co., Limited Wireless earphone
USD925492S1 (en) * 2019-09-27 2021-07-20 Yamaha Corporation Earphone
USD883262S1 (en) * 2019-12-06 2020-05-05 Shenzhen Xinzhengyu Technology Co., Ltd Earphones
USD940108S1 (en) * 2019-12-11 2022-01-04 Jicheng Wu Earphones
CN111031440A (zh) * 2019-12-27 2020-04-17 深圳春沐源控股有限公司 耳机组件
KR20210100928A (ko) * 2020-02-07 202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
USD909998S1 (en) * 2020-04-09 2021-02-09 Dongguan Pinmi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Earphones
US11582948B2 (en) * 2020-07-21 2023-02-21 Garrity Power Services Llc Cattle tracking system
US11323664B1 (en) * 2021-01-08 2022-05-03 I Can See You Inc., The New Technology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udio output and capturing visual media
CN113115155B (zh) * 2021-04-07 2023-01-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耳机控制方法、无线耳机控制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4779A1 (en) * 2006-03-24 2011-06-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ata processing for a wearable apparatus
US20130316642A1 (en) * 2012-05-26 2013-11-28 Adam E. Newham Smart battery wear leveling for audio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7414B2 (en) * 2001-08-03 2007-10-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nergy aware network management
JP2004120313A (ja) 2002-09-26 2004-04-15 Mitsumi Electric Co Ltd ワイヤレスヘッドセットシステム
EP2163123A1 (en) 2007-06-01 2010-03-17 Manifold Products LLC Wireless digital audio player
US8655004B2 (en) 2007-10-16 2014-02-18 Apple Inc. Sports monitoring system for headphones, earbuds and/or headsets
US8024596B2 (en) * 2008-04-29 2011-09-20 Bose Corporation Personal wireless network power-based task distribution
US20110286615A1 (en) 2010-05-18 2011-11-24 Robert Olodort Wireless stereo headsets and methods
US20140056452A1 (en) * 2012-08-21 2014-02-27 Analog Devices, Inc. Portable Device with Power Management Controls
US9402124B2 (en) * 2013-04-18 2016-07-26 Xiaomi Inc.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the smart terminal device thereof
CN103257873B (zh) * 2013-04-18 2016-07-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终端设备的控制方法和系统
WO2015018456A1 (en) * 2013-08-09 2015-02-12 Phonak Ag Hear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KR102112850B1 (ko) * 2014-01-15 202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보청기의 배터리 균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59311B1 (ko) * 2014-02-24 2018-05-18 소니 주식회사 출력을 최적화하기 위한 스마트 착용형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CN105491469A (zh) * 2014-09-15 2016-04-13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耳机佩戴状态控制音频输出模式的方法及系统
EP2851001A3 (en) * 2014-12-03 2015-04-22 Sensirion AG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160075060A (ko) * 2014-12-19 2016-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정보에 따른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219062B2 (en) * 2015-06-05 2019-02-26 Apple Inc. Wireless audio output devices
CN104954944A (zh) * 2015-06-11 2015-09-30 联想(北京)有限公司 音频控制方法及装置
US9838775B2 (en) * 2015-09-16 2017-12-05 Apple Inc. Earbuds with biometric sensing
EP3151582B1 (en) * 2015-09-30 2020-08-12 Apple Inc. Earbud case with charging system
US10200790B2 (en) * 2016-01-15 2019-02-05 Bragi GmbH Earpiece with cellular connectivity
CN105721976A (zh) * 2016-04-25 2016-06-29 深圳市禹欣鑫电子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智能耳机及其实现方法
CN105955446A (zh) * 2016-04-29 2016-09-21 深圳还是威健康科技有限公司 延长可穿戴设备续航能力的方法和装置
CN105942678B (zh) * 2016-07-18 2017-07-04 广东乐源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手环离手判断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4779A1 (en) * 2006-03-24 2011-06-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ata processing for a wearable apparatus
US20130316642A1 (en) * 2012-05-26 2013-11-28 Adam E. Newham Smart battery wear leveling for audio devi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4514B2 (en) 2017-10-10 202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Quantum dot light modulator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10071873A (ko) * 2018-11-25 2021-06-16 주식회사 아이앤드와이 이어폰
WO2022014734A1 (ko) * 2020-07-14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
WO2022030746A1 (ko) * 2020-08-07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90140B2 (en) 2019-08-20
CN109804641B (zh) 2021-05-14
CN109804641A (zh) 2019-05-24
EP3504883A1 (en) 2019-07-03
KR102546249B1 (ko) 2023-06-23
US20180103321A1 (en) 2018-04-12
EP3504883A4 (en) 2019-10-23
WO2018070718A1 (en)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9339A (ko)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US10484780B2 (en) Audio output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udio output apparatus
US11140486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ng in associated state with external audio devic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and method therefor
US9955248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393364B1 (ko) 오디오 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102448786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504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류소모 제어방법
KR102384519B1 (ko) 이어 피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84785B1 (ko) 배터리의 전압에 기반한 충전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60145414A (ko)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67050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8075325A (zh) 接口设备
KR20160108983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190001468A (ko)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02950A (ko) 연결 장치 및 장치 인식 방법
KR20180045416A (ko)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의 접속 단자를 인식하는 방법
JP2018509943A (ja) 光学センサでの光通信
KR20170136353A (ko) 전자 장치와 충전 장치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
KR102400383B1 (ko) 전자 장치의 센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11381910B2 (en) Method for removing dust using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12042176A (zh) 电子装置和控制电子装置的方法
KR20180124698A (ko) 버튼 장치와 및 그 기능 제어 방법
KR20160047148A (ko) 오디오 출력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체지방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