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047A - 차량의 브레이크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의 브레이크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047A
KR20180039047A KR1020187000499A KR20187000499A KR20180039047A KR 20180039047 A KR20180039047 A KR 20180039047A KR 1020187000499 A KR1020187000499 A KR 1020187000499A KR 20187000499 A KR20187000499 A KR 20187000499A KR 20180039047 A KR20180039047 A KR 20180039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request
driver
pressure
pressur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928B1 (ko
Inventor
홀스트 에케르트
Original Assignee
바브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브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브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39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7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3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pneumat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2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with wheel brakes
    • B60W10/19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with wheel brakes electri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2)의 공압적으로 작동되는 휠 브레이크들(5) 상에서 브레이크 압력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및 이런 브레이크 시스템(1)을 포함하는 차량과도 관련되어 있다.
통상 브레이킹 모드에서 브레이크 압력은 차량(2)의 운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에 따라 설정된다. 제어 유닛(21)이 압력 제어 모드에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과는 독립적인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의 수신 과정에서 외부 브레이크 요청(30)과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을 고려하면서 브레이크 압력을 제어한다.
브레이크 압력이 압력 제어 모드에서 설정될 때, 일단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철회되면 안정적인 브레이킹 거동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의 철회 후에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과 미리 정의된 문턱값(33)의 비교(32)에 따라 압력 제어 모드가 종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브레이크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및 차량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라 차량의 휠 브레이크들에서 브레이크 압력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2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6에 따라 이런 브레이크 시스템을 가진 차량과도 관련되어 있다.
차량을 제동하기 위해, 차량의 휠들이 브레이킹된다. 특히 트럭에서, 휠들의 브레이크 실린더들이 작동되는데, 여기서 필요한 브레이크 압력은 통상적으로 유압적으로 생성된다. 차량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통해 브레이킹을 요청하면, 브레이크 압력이 운전자의 브레이크 요구에 따라 설정된다. 통상적인 브레이킹 모드의 대안으로서, 브레이크 압력이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상세에 따라 개별적인 휠 브레이크에서 제어 유닛에 의해 설정된다. DE 10 2009 058 154 A1은 브레이킹 요구가 확립될 때 그 제어 유닛이 압력 제어 모드에서 필요한 브레이크 압력들을 설정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런 브레이킹 요구는 브레이킹 요구가 특정한 휠들에서 확립되는 경우 예컨대 잠김 방지 브레이킹 개입(antilock braking interventions)일 수 있다. 알려져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은 또한 외부의 브레이크 요청, 예컨대 외부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으로부터의 요청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외부 브레이크 요청 신호를 차량의 데이터 버스(databus)를 통해 제어 유닛으로 발한다. 제어 유닛은 외부 브레이크 요청과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을 고려하여 결과 브레이크 압력(resulting brake pressure)을 개별적인 휠 브레이크들로 보낸다. 제어 유닛이 외부 브레이크 요청을 수신하고, 동시에 운전자 요청이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이루어지면, 알려져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유닛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과 외부 브레이크 요청을 중첩하여 외부 브레이크 요청이 부가적으로 또는 첨가적으로 이행된다. 이를 대체하여, 알려져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최대" 모드에서, 제어 유닛은 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해 내부적으로 이미 요청된 목표 감속 값과 외부 목표 감속 값의 최대값만을 형성하는데, 여기서 외부 브레이크 요청은 그것이 내부 브레이크 요청보다 더 높은 경우에만 설정된다. 외부 브레이크 요청과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을 결과 브레이크 압력으로 연결함으로써, 외부 브레이크 요청이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이 없는 상황에서도 압력 제어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것이 보장된다.
제어 유닛이 외부 브레이크 요청을 더 이상 수신하지 않을 때, 또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이 브레이크 요청을 철회한다면, 알려져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은 압력 제어 모드를 종결하고 브레이크의 완전한 제어권을 통상 브레이킹 모드에서 운전자에게 돌려준다. 실제 드라이빙 모드에서, 제어가 운전자에게 복귀될 때 통상 브레이킹 모드로 되돌아가는 순간, 차량의 불쾌한 저킹(jerking)이 종종 발생하거나, 다른 경우에는 급작스러운 언더 브레이킹(under-braking)이 발생한다. 이런 차량 브레이킹 거동의 불일치는 운전자를 불안하게 하며 따라서 도로 교통 상황에서 차량의 안전에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브레이크 요청의 철회 이후에 압력 제어 모드에서 브레이크 압력을 세팅할 때 안정적인 브레이킹 거동을 보장하는 목적에 기초하고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브레이크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이 목적은 또한 청구항 12의 특징을 구비한, 이 방법의 수행을 위한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해 성취되기도 한다. 끝으로, 이 목적은 청구항 16에 따른, 이런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 제어 모드의 종결을 위한 문턱값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유닛에 대해 미리 정의되는데, 여기서 제어 유닛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을 대표하는 값의 미리 정의된 문턱값과의 비교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은, 요청된 브레이크 파워에 정량적으로 상응하며 따라서 그것을 대표하는 값을 통해 제어 유닛에 통지된다. 이 값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을 정량적으로 결정하는 물리적인 변수의 값이다. 이것은 핵심 요소에 대한 정보 및 물리적 변수의 단위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브레이크 요청의 철회 이후에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과 미리 정의된 문턱값의 비교에 따라 압력 제어 모드가 종결되는데, 여기서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외부 브레이크 요청의 철회에 더하여 추가적인 기준이 충족된 후에서야 브레이킹 거동에 대한 완전한 제어권이 주어진다. 외부 브레이킹 모드로부터 통상 브레이킹 모드로의 전환은 사실 제어 유닛이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과 문턱값의 비교에 따라 압력 제어 모드의 종결을 허용할 때만 이루어진다. 그 이전까지는 외부 브레이크 요청의 철회에도 불구하고, 브레이크 압력은 여전히 압력 제어 모드에서 제어 유닛에 의해 설정되어 저킹 또는 급작스러운 언더 브레이킹이 배제된다. 압력 제어 모드가 종결되기 전까지, 브레이크 압력은 여전히 제어 유닛이 작동시키는 밸브들, 예컨대 개별적인 휠 브레이크들의 압력 제어 밸브들을 통해 제어 유닛의 펄스 변조 제어 하에 있다. 미리 정의된 브레이크 요청에 따라 브레이크 압력을 제어하는 것은 물론,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압력은 조정될 수도 있다
문턱값은 유리하게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을 결정하는 값과 동일한 차원(dimension)으로 제어 유닛에 대해 미리 정의된다. 따라서 그것은, 제어 유닛이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의 정보를 처리하기도 하는 물리적 변수의 그 차원 안에서 주어진다. 바꾸어 말해,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에 대응하는 값과 문턱값은 동일한 정성적인 특성들을 가진 물리적 단위들로, 특히 감속으로 처리된다. 대안적으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에 대한 정보는 제어 유닛에 의해 문턱값과 비교할 수 있는 처리 가능한 물리적 변수로 변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구 감속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을 대표하는 값으로서 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문턱값 역시 감속, 즉 차량의 음의 가속의 차원으로 결정되고 미리 정의된다. 이런 식으로, 압력 제어 모드에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과 외부 브레이크 요청의 간단한 연결이 가능한데, 이는 통상적으로 감속의 차원에서 외부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의해 요청된다.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과 외부 브레이크 요청에 대응하는 감속 값들로부터, 결과로 나오는 목표 감속이 결정되는데, 이는 휠 브레이크들에서 결과로 나오는 브레이크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를 형성한다. 운전자의 요구 감속은 브레이크 신호 발신기 또는 통상 브레이킹 모드에 대해 브레이크 신호 발신기에 결합된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로부터 활용 가능한 측정 신호들, 예컨대 브레이크 신호 발신기의 압력 센서 또는 주행 센서의 측정 신호들로부터 도출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압력 제어 모드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 또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을 대표하는 값이 미리 정의된 문턱값을 초과할 때 종결된다. 이것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이 경미하고 안정적인 브레이킹 거동이 보장될 경우 압력 제어 모드가 유지되고, 반면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이 문턱값을 초과할 정도로 충분히 높은 경우 운전자에게 차량의 브레이킹 거동에 대한 완전한 제어권이 주어지도록 보장한다. 브레이킹 절차에 있는 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은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고,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에서의 부분적인 감소 이후에 다시 상당하게 상승하지도 않고 예컨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하락하며, 휠 브레이크들에서 브레이크 압력이 압력 제어 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안정적인 브레이킹 거동이 보장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을 대표하는 값은 외부 브레이크 요청의 철회의 시점에 저장되며, 문턱값은 저장된 값으로부터 결정된다. 문턱값은 압력 제어 모드가 종결될 때까지 미리 정의되며, 현재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 즉 특히 요구된 감속의 값과 문턱값의 비교는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 제어 모드는 이 문턱값이 초과될 때까지 유지된다. 추가적인 브레이킹 과정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더 밟으면, 압력 제어 모드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이 문턱값 아래에 있는 한 유지된다.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이 문턱값을 초과하면, 즉 운전자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과 문턱값의 비교를 가지고 하는 이전의 방법의 루프에서보다 더 큰 제동력(braking power)을 요청하면, 압력 제어 모드가 즉시 종결된다.
유리하게는, 미리 정의된 문턱값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의 저장된 값을 허용값과 연결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허용값의 차원은 1%와 100% 사이, 유리하게는 3%와 5% 사이이다(감속이 미리 정의되는 경우에는 유리하게는 0.3에서 0.5 m/s2).
보다 큰지 작은지의 관점에서 (적용 가능하다면 허용값을 고려하여)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을 저장된 문턱값과 비교하는 대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의 현재값을 가지고 문턱값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업데이트된 문턱값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의 값을 가지고 하는 이어지는 비교에 대한 기초를 형성한다. 압력 제어 모드가 종결될 때까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의 현재값들과 저장된 문턱값의 지속적인 비교가 임시적으로 개별적인 비교들 각각에 대해 수행되기 때문에, 각각의 문턱값은 현재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과의 이어지는 비교의 기초를 형성한다. 이런 식으로, 통상 브레이킹 모드로의 복귀가 가능한 한 신속하고 부드럽게 진행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의 증가가 문턱값의 업데이트에 고려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더욱 지지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압력 제어 모드는 현재 속도 및 미리 정의된 스위칭 속도값의 비교에 따라 종결된다. 현재 속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외부 브레이크 요청의 철회 이후에 압력 제어 모드를 종결하는 것에 대한 추가적인 규준으로 남아 있다. 외부 브레이크 요청의 철회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이 존재 이후에 속도가 미리 정의된 스위칭 속도보다 적고 차량이 정지해다면 현재 브레이킹이 곧 종료될 것이라는 것은 사실 가능성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부드러운 브레이킹 거동이 높은 우선순위로 보장되어야 한다. 예컨대 30km/h의 스위칭 속도를 넘은 차량 속도에서, 스위칭 중인 휠 브레이크들에서 압력 제어 모드로부터 통상 브레이킹 모드로의 브레이크 압력에서의 점프(jump)는 상대적으로 상당히 적은 임팩트를 가질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보다 낮은 속도 범위에서의 브레이킹시에, 특히 정지를 위한 브레이킹 시에 무엇보다도 고려되어야만 하는 브레이킹 거동(통상 브레이킹 모드)의 제어권에 대한 운전자의 요구보다 더 낮은 우선순위의 가중치가 주어진다.
외부 및 내부 브레이크 요청들의 모든 가능한 전개 및 조합에 대하여 통상 브레이킹 모드로의 전환을 보장하기 위하여, 압력 제어 모드는 외부 브레이크 요청이 철회된 이래로 미리 정의된 지속시간의 만료 이후에 종결된다. 미리 정의된 시간 윈도우(time window)는 대략 2초에서 15초이며, 예컨대 8초이다. 이 시간이 경과하면, 어떤 경우이든 운전자에게 차량의 브레이킹 거동에 걸친 완전한 제어권이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이 잠김 방지 브레이킹 시스템(anti-lock braking system)의 일부이며, 브레이킹될 휠들의 동적 상태 변수들을 평가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휠들이 차단(blocking) 경향을 보인다면, 제어 유닛은 압력 제어 모드로 관련된 휠 브레이크들의 브레이크 압력을 제어하거나 조정한다. 따라서 잠김 방지 브레이킹 시스템의 개입 조치는 내부 브레이크 요청들로서 지정될 수 있는데, 이는 제어 유닛 그 자체가 브레이킹될 휠들의 동적 상태 변수들의 지속적으로 공급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며 필요하다면 압력 제어 모드인 특정한 휠 브레이크들에서 브레이크 압력을 적용하거나 조정한다. 제어 유닛이 브레이크 압력에 능동적으로 영향을 주는 압력 제어 모드는 또한 외부 브레이크 요청들, 예컨대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외부 브레이크 요청을 제어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은 개별적인 압력 제어 밸브를 통해서 휠 브레이크들에서 브레이크 압력을 제어한다. 압력 제어 밸브들의 브레이크 회로들은 브레이크 회로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구동 밸브의 활성화에 의해 압력 매체 저장소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밸브들은 제어 유닛에 의해 스위치된다. 압력 제어 모드의 종료시에, 관련된 브레이크 회로의 구동 밸브는 제어 유닛에 의해 폐쇄 위치로 움직여지는데, 이에 의해 압력 매체 저장소로 연결된 압력 제어 밸브들의 연결이 분리된다. 통상 브레이킹 모드에서, 휠 브레이크들에서 브레이크 압력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에 의해서만, 즉 특히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를 통해서만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의 위치는 운전석의 운전자 페달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구동 밸브들은 유리하게는 3/2-방향 방향성 제어 밸브들로 구성되는데, 이로써 구동 밸브 배후의 압력 라인이 필요하다면 퍼지(purge)될 수 있다.
개별적인 브레이크 회로들에서 구동 밸브들의 배치는, 개별적인 압력 매체 저장소로부터 압력 제어 밸브들의 분리에 의해 압력 제어 모드의 즉각적인 종결을 가능하게 하여, 압력 제어 모드로부터 통상 브레이킹 모드로 신속한 전환이 가능해진다. 유리하게는, 한 축의 휠 브레이크들에 할당된 휠 브레이크들과 압력 제어 밸브들은 공통된 브레이크 회로 내에 배치되고, 압력 제어 모드에서 관련된 브레이크 회로의 공통된 구동 밸브를 통해 구동된다.
본 발명은 특히 공압적으로 작동 가능한 휠 브레이크들이 장비된 트럭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트럭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공압 및 전기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압력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압력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의 제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제1 변형예에 따라 압력 제어 모드에서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압력 축적의 일시적인 전개의 그래픽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도 2 또는 도 3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제2 변형예에 따라 압력 제어 모드에서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압력 축적의 일시적인 전개의 그래픽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도 2 또는 도 3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제3 변형예에 따라 압력 제어 모드에서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압력 축적의 일시적인 전개의 그래픽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은 차량(2), 특히 트럭의 브레이크 시스템(1)의 전기-공압 다이어그램을 나타내고 있다. 전기 라인들은 실선으로 묘사되어 있고 공압 라인들은 점선으로 묘사되어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2)은 2개의 차축, 즉 전방 차축(3)과 후방 차축(4)을 포함하는데, 차축들 상에는 휠들(5)이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휠들(5)을 브레이킹하기 위해, 휠 브레이크(6)가 각 휠(5)에 할당되어 있다. 휠 브레이크들(6)은 공압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각각은 브레이크 실린더(7)를 구비한다. 휠 브레이크들(6)은 각각의 브레이크 실린더(7)에 존재하는 공압 브레이크 압력에 따라, 회전하는 휠(5)에 제동력을 가한다. 스프링 어큐뮬레이터(8)를 가진 브레이크 실린더들(7)이 후방 차축(4)의 휠들(5) 상에 제공되며 주차 브레이크로서 기능한다.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10)에 결합된 브레이크 페달(9)은 차량(2)의 운전석에 배치된다. 차량(2)의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9)을 작동시킴으로써 공압 압력을 브레이크 실린더들(7)로 연결할 수 있고 따라서 휠 브레이크들(6)을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10)는 압력 매체 저장소들(12, 15)과 브레이크 실린더들(7) 사이의 공압 브레이크 라인들(11, 44)을 제어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방 차축(3)의 휠 브레이크들(6)은 공통된 제1 브레이크 회로(13)에 할당되는 반면, 후방 차축(4)의 휠 브레이크들(6)은 제2 브레이크 회로(14)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제1 압력 매체 저장소(12)는 여기서 제1 브레이크 회로(13)에 할당되어 있고 브레이크 라인(11)에 의해 전방 차축(3)의 브레이크 실린더들(7)에 연결되어 있다. 후방 차축(4)의 제2 브레이크 회로(14)는 제2 압력 매체 저장소(15)를 통해 압력 매체를 공급받는다. 제2 브레이크 회로(14)는 제1 브레이크 회로(13)와 유사하게 구축되어 있다. 즉, 제2 압력 매체 저장소(15)와 후방 차축(4)의 휠 브레이크들(6) 사이의 브레이크 라인(44)은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10)를 통해 개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브레이크 압력이 브레이크 페달(9)의 위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공압적으로 구동 가능한 릴레이 밸브(16)가 제1 브레이크 회로(13)에 배치되어 있고, 유사하게 릴레이 밸브(17)가 제2 브레이크 회로(14)에 배치되어 있다. 공압적으로 구동 가능한 릴레이 밸브들(16, 17)은 각각의 연결된 압력 매체 저장소(12, 15)로부터 공압 압력을 통해 개방된다.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10)가 개방되면, 릴레이 밸브들(16, 17)은 존재하는 브레이크 압력을 연결된 휠 브레이크들(6)로 연결한다. 통상 브레이킹 모드(도 2의 참조 번호 18)에서, 휠 브레이크들(6)의 브레이크 압력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도 2, 도 3에서 참조 번호 19)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통상 브레이크 모드(18)에서, 차량(2)의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9)의 작동을 통해 차량(2)의 브레이킹 거동에 걸친 완전한 제어권을 가진다.
압력 제어 밸브(20)는 브레이크 시스템(1)의 각 휠 브레이크(6)에 할당되어 있고, 제어 유닛(21)에 의해 전기적으로 활성화된다. 전방 차축(3)의 휠 브레이크들(6)의 압력 제어 밸브들(20)은 제1 브레이크 회로(13)에 배치되어 있고, 후방 차축(4)의 압력 에저 밸브들(20)은 제2 브레이크 회로(14)에 배치되어 있다. 압력 제어 밸브들(20)은 각각 적어도 2개의 마그네틱 밸브들, 즉 인입 밸브(22)와 배출 밸브(23)의 조합이다. 인입 밸브(22)는 원칙적으로 브레이크 실린더(7)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유지하는 데에 기여하는 한편, 배출 밸브(23)는 브레이크 압력을 감소시키고 각각의 연결된 브레이크 실린더(7)를 퍼지하기 위해 개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입 밸브(22)와 배출 밸브(23)는 제어 유닛(21)에 의해 전기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2/2-방향 방향성 제어 밸브들이다. 통상 브레이킹 모드(18)에서, 인입 밸브들(22)은 개방 위치로 전환되고 배출 밸브들(23)은 폐쇄 위치로 전환되어, 브레이크 압력이 연결된다.
압력 제어 밸브들(20)은 압력 제어 모드(도 2, 도 3에서 참조 번호 24)에서 제어 유닛(21)에 의해 구동된다. 압력 제어 모드(24)에서, 제어 유닛(21)은 압력 제어 밸브들(20)의 상응하는 구동에 의해 각각의 휠 브레이크들(6)의 브레이크 압력의 조정을 수행한다.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구동 밸브(25)가 각 브레이크 회로(13, 14)에 할당되어 있고 제어 유닛(2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각 구동 밸브(25)는 3/2-방향 방향성 제어 밸브로서 구성되는데, 이로써 구동 밸브 배후의 압력 라인이 필요하다면 퍼지될 수 있다. 압력 제어 모드(24)에서, 구동 밸브들(25)의 제어에 의해 브레이크 압력이 압력 제어 밸브들(20)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동 밸브들(25)은 각각 제3 압력 매체 저장소(27)로부터 릴레이 밸브들(16, 17)로의 압력 라인(26)을 제어한다. 제1 브레이크 회로(13)의 구동 밸브들(25)의 작동에 의해, 전방 차축(3)의 릴레이 밸브(16)가 따라서 구동될 수 있다. 유사하게, 후방 차축(4)의 릴레이 밸브(17)는 제2 브레이크 회로의 구동 밸브(25)의 작동에 의해 구동된다.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10)와 구동 밸브들(25)은 각각 트윈 체크 밸브(28)를 통해 각 브레이크 회로(13, 14)의 릴레이 밸브(16, 17)의 공압 제어 입력부로 결합된다.
제어 유닛(21)은 여기서 압력 제어 모드(24)에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와 독립적으로 브레이크 절차 상에서 자율적으로 작용하도록 형성되고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유닛(21)이 특정한 목표 브레이크 압력을 결정하며 이 목표 브레이크 압력을 압력 제어 밸브들(22)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휠 브레이크들(6)에서 입력한다. 브레이킹 동작의 결정 및 상응하는 목표 브레이크 압력의 결정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21)에 의해 이루어진다. 브레이크 회로(1)는 잠김 방지 브레이킹 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어 유닛(21)은 휠들(5)의 결정된 동적 상태 변수들을 지속적으로 수신한다. 이를 위해, 회전 속도 센서(29)가 각 휠(5)에 할당되어 있는데, 이로부터의 측정 신호들은 제어 유닛(21)으로 보내어진다.
압력 제어 모드(24)에서 브레이크 압력들을 조정함으로써, 제어 유닛(21)은 그것에 제공되는 차량의 동적 상태 변수들에 기초하여 미리 정의된 내부 브레이크 요청들 뿐만 아니라 외부 브레이크 요청들(30)도 수행한다.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은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의해 미리 정의된다.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들 또는 차량(2)에서 그들의 기능의 결과로서 브레이킹 조작을 요청하는 다른 외부 시스템들로부터의 제동력(breaking power)에 대한 요청이다.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을 수신하면, 제어 유닛(21)은 통상 브레이킹 모드(18)로부터 압력 제어 모드(24)로 전환하고 개별적인 휠들(5)에서 브레이크 압력들의 제어 또는 조정을 수행한다.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철회되면, 즉 제어 유닛(21)이 더 이상 외부 브레이크 요청(25)을 수신하지 않으면, 제어 유닛(21)은 어떤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도 발행되지 않는다면, 즉 운전자 역시 브레이킹을 하지 않는 한 압력 제어 모드(24)의 종결을 개시한다. 이 상황은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압력 제어 모드(24)의 종결로써 차량(2)의 운전자는 통상 브레이킹 모드(18)에서 휠 브레이크들(6)의 작동의 완전한 제어권을 회복한다.
브레이크 시스템(1)은 신호를 발신하기 위해 제어 유닛(21)에 연결된 브레이크 신호 발신기(43)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신호 발신(43)의 출력 신호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에 대응하는데, 여기서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9)의 위치 또는 작동 변위,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10)의 구성품의 작동 변위, 또는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10)에 의해 트리거된 브레이크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은 신호 발신 연결부를 통해 제어 유닛(21)으로 통지된다. 따라서 제어 유닛(21)은 압력 제어 모드(18)에서 운전자의 추가적인 브레이킹, 즉 외부 브레이크 요청(30)과 동시적으로 발생하는 추가적인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을 감안할 수 있다.
제어 유닛(21)은 도 2, 3, 4 및 5를 참조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브레이크 압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과 외부 브레이크 요청(30) 모두를 고려할 수 있다. 통상 브레이킹 모드(18)에서 브레이크 압력은, 제어 유닛이 어떠한 외부 브레이크 요청(30)도 감지하지 않는 한, 항상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에 따라, 또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에 대응하는 목표 압력(P-Soll)에 따라 단독적으로 설정된다. 통상 브레이킹 모드(18)에서 제어 유닛은 브레이크 압력의 설정에 개입하지 않는다. 압력 제어 밸브들(20)의 인입 밸브들(22)은 개방된 채로 남아 있으며 배출 밸브들(23)은 폐쇄된 채로 남아 있는데, 이로써 운전자는 완전한 제어권을 가진다.
압력 제어 모드(24)에서 제어 유닛(21)이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을 수신하면, 제어 유닛(21)은 외부 브레이크 요청(30)과 임의의 동시적인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을 고려하여 휠 브레이크들에서 결과 브레이크 압력(P-RES)을 설정한다. 유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결과 브레이크 압력(P-RES)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과 외부 브레이크 요청(30) 또는 이들 브레이크 요청들에 대응하는 목표 브레이크 압력들의 합에 의해 형성된다.
모드 감지 단계(31)에서, 제어 유닛은 고려될 브레이크 요청들, 즉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과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을 감지한다.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없다면, 결과 브레이크 압력(P-RES)과 같이,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에 대응하는 통상 브레이킹 모드(18)의 브레이크 압력이 연결될 수 있다.
압력 제어 모드(24)에서, 제어 유닛(21)은 외부 목표 감속(z-ext)으로서 외부 운전자 브레이킹 보조 시스템의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을 수신한다.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은 브레이크 신호 발신기(43)(도 1) 또는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10)에 할당된 압력 센서의 측정 신호에 의해 제어 유닛(21)에 대해 미리 정의된다. 변환 단계(45)에서, 요구 감속(z-int)이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을 대표하는 값으로서 측정 신호로부터 결정된다. 요구 감속(z-int) 및 목표 감속(z-ext)은 연결 단계(46)에서 연결되어 결과 목표 감속(z-RES)을 형성한다. 형성된 목표 감속(z-RES)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21)은 압력 제어 모드(24)에서 결과 브레이크 압력(P-RES)을 결정한다. 예시적인 한 실시예에서, 내부 요구 감속(z-int)과 외부 목표 감속(z-ext)은 함께 합해진다. 대안적으로, 결과 브레이크 압력(P-RES)은 고려될 몇몇 브레이크 요청들(19, 30) 중 가장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철회된 후, 압력 제어 모드(24)에 있는 동안, 브레이크 압력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는 압력 제어 모드(24)의 종결 절차, 따라서 통상 브레이킹 모드(18)를 대표하는 종결 경로(35)로 진입한다. 여기서 압력 제어 모드(24)는 반드시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철회되자 마자 즉각적으로 종결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으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과 미리 정의된 문턱값(33)의 비교(32)에 따라 종결된다. 압력 제어 모드(24)는 여기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값이 미리 정의된 문턱값(33)을 초과한 후에 종결된다.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체크(34)에서 확립되어 있는 한, 시스템은 압력 제어 모드(24)로 남아 있는다. 외부 브레이크 요청(30) 또는 제어 유닛(21)에 의해 요청된 외부 목표 감속(z-ext)이 0(zero)의 값을 가지자마자, 미리 정의된 문턱값(33)과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 또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을 물리적인 변수로서 나타내는 요구 감속(z-int)의 그 비교(32)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철회되면,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이 저장되며, 문턱값(33)이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저장된 요구 감속(z-int)으로부터 결정된다.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에 의해 정성적으로 결정된 문턱값(33)은 연결 엘리먼트(40)를 통해 미리 정의된 허용값(T)으로 가중된다. 허용값(T)은 유리하게는 3%에서 5%(0.3m/s2에서 0.5 m/s2)에 달한다.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 또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에 대응하는 물리적인 변수 - 여기서는 감속 - 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 엘리먼트(39)가 제공된다. 현재 확립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이 문턱값(33)을 초과하자마자, 압력 제어 모드(24)가 종결되어 통상 브레이킹 모드(18)에서 브레이크 압력들이 차량 운전자에 의한 완전한 제어권으로 직접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런 과정이 종결 경로(35)의 추가적인 코스에 의해 다이어그램에 나타나 있다. 비교(32)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30)이 문턱값(33) 아래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브레이크 압력들(P)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은 압력 제어 모드(24)로 남아 있는데, 이는 리셋 루프(reset loop)(41)에 의해 표시된다. 도 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의 철회시에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으로부터 결정되었던 동일한 문턱값(33)이 비교(24)를 위해 지속적으로 미리 정의된다.
도 3은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압력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나타내고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차이점들을 제외하고, 이 방법은 도 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응된다. 도 3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현재값(z-int')을 가지고 문턱값(33)의 지속적인 업데이트(47)가 이루어진다. 그러면 업데이트된 문턱값(33)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적용 가능한 요구 감속(z-int)과의 이어지는 비교(32)에 대한 기초를 형성한다. 이것은 메모리 엘리먼트(39)에 저장된 값이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 또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에 대응하는 물리적인 변수, 여기서는 요구 감속(z-int)의 현재값으로 교체되고, 비교(32)를 가진 이어지는 방법 루프로 공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업데이트된 문턱값(33)은 현재 요구 감속(z-int)과의 이어지는 비교(32)를 위한 기초를 형성한다.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이 문턱값(33)보다 커지자마자 압력 제어 모드(24)가 종결되기 때문에, 이 업데이트는 현재 요구 감속(z-int)이 저장된 마지막 값보다 작은 한 업데이트 루프 내에서만 수행된다.
또한,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도 3에 따른 작동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압력 제어 모드924)의 종결에 대한 추가적인 규준이 제공된다. 현재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과 문턱값(33)의 비교(32) 이후, 종결 경로(35) 상에서, 추가적으로, 차량의 속도(37)와 미리 정의된 스위칭 속도(38)의 비교(36)가 이루어진다. 스위칭 속도(38)보다 작은 현재 속도(37)의 경우, 브레이크 압력은 여전히 압력 제어 모드(24)에서 조정된다. 유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위칭 속도(38)는 30km/h이다. 이것은,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과 중첩된 브레이킹시에, 즉 운전자가 동시적인 외부 브레이킹 요청(30)에 더하여 브레이킹하는 브레이킹시에,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철회되고 나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이 여전히 실행중일 때 시스템이 여전히 압력 제어 모드(24)로 남아 있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스위칭 속도(38) 아래의 민감한 속도 범위에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이 문턱값(33)까지 증가하거나, 또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이 더 작은 값의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으로 바뀐다면, 통상 브레이킹 모드(18)로의 전환시에 압력 제어 모드(24)의 종결의 결과로서 어떠한 저킹이나 언더 브레이킹도 일어나지 않는다.
도 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와 도 3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 모두에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미리 정의된 문턱값ㅁ(22)과의 지속적인 비교(42)의 리셋 루프(41)가 일시적으로 제한된다. 이를 위해, 시간 감지 유닛(47)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의 철회로부터의 시간(t)이 감지된다.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의 철회 이래로 미리 정의된 지속 시간(tu)의 만료 이후에, 압력 제어 모드(24)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이 문턱값(33)을 초과한 적이 없더라도 강제적으로 종결된다. 압력 제어 모드(24)의 종결에 대해 미리 정의된 지속 시간은 2초에서 15초 사이, 예컨대 8초이다.
도 4 및 도 5는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본 발명의 방법에서, 압력 제어 모드에서 브레이킹 절차 도중 예시적인 결과 브레이크 압력(P-RES)의 양식화된 곡선을 가진 그래픽 다이어그램을 나타내고 있다. 결과 브레이크 압력(P-RES)은 여기서 이 다이어그램에서 시간과 관련된 곡선들로 묘사되어 있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과 외부 브레이크 요청(30)(도 2, 도 3)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결과 브레이크 압력(P-RES)은 실질적으로 운전자가 추가적으로 브레이킹하는 시간(t0)으로부터 시간(t1)까지의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의 분율을 포함할 뿐이다.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의해 '감속'의 차원으로 요청되면, 요청된 목표 감속은 추가적으로 요청된 어떤 제동력의 영향도 고려함이 없이 목표 브레이크 압력으로 직접 변환된다. 시간(t1)과 시간(t2) 사이에서, 결과 브레이크 압력(P-RES)은 외부 브레이크 요청(30)과 추가적인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 모두에 대응하는 분율들을 포함한다. 시간(t2)에서,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은 0의 값으로 감소되고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만이 남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은 이제 자발적으로 통상 브레이킹 모드로 전환하지 않으며 브레이크 압력은 여전히 압력 제어 모드에서 제어 유닛(21)(도 1)에 의해 P-RES로서 결정된다.
시간(t2)에서,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0으로 감소한 후,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값이 저장되고 허용값(T)에 대한 추가적인 고려와 함께 문턱값(33)의 저장된 값으로부터 결정된다. 브레이킹의 추가적인 과정에서, 시스템은 통상 브레이킹 모드로 전환하며 운전자에게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이 문턱값(33)을 초과할 때에만 브레이킹 절차의 완전하고도 배타적인 제어권이 주어진다.
예시적인 브레이킹 곡선에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은 시간(t3)에서 상승하며 시간(t4)와 시간(t6) 사이의 간격에서 다시 하락한다. 시간(t7)에서부터 차량의 운전자는 다시 더 많은 제동력을 요청하며, 시간(t8)에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이 문턱값(33)을 초과하여 압력 제어 모드가 종결된다.
도 4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일정한 문턱값(33)이 결정되는데, 이는 시간(t8)에서 압력 제어 모드가 종결되기까지 미리 정의된다.
도 5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와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의 동일한 곡선들을 가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양식화된 형태로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 도 4의 묘사와는 대조적으로, 압력 제어 모드에서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0으로 감소한 후에 문턱값(30)의 업데이트(도 3)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 및 허용값(T)에 따라 일어난다. 이를 위해, 제어 유닛(21)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현재값(z-int')으로 문턱값(33)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데, 여기서 업데이트된 문턱값(33)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적용 가능한 값(z-int)과의 이어지는 비교(32)를 위한 기초를 형성한다(도 3의 설명 참조). 도 4의 그래픽 다이어그램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문턱값(33)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이 앞선 업데이트 루프의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보다 더 작을 경우 업데이트된다.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증가는 여기서는 시간(t4)에서부터인 업데이트에 고려되지 않으며 따라서 통상 작동 모드로의 신속한 전환이 보장된다.
도 3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와 도 5의 관련된 양식화된 다이어그램에서, 문턱값(33)은 시간(t4)과 시간(t6) 사이에서 업데이트되고, 그리고 시간(t6)과 시간(t7) 사이에서 다시 업데이트되지만, 시간(t3) 이후의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상승 동안에는 업데이트되지 않는다. 어떤 시간에서도 문턱값(33)은 증가되지 않는다.
도 6은 브레이크 압력들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도 5를 참조로 묘사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변형예를 양식화된 형태로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 압력 제어 모드에서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0으로 감소된 후에 문턱값(33)의 지속적인 업데이트(도 3)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에 따라 일어난다. 문턱값(33)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이 앞선 업데이트 루프의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보다 더 작다면 도 5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업데이트된다. 도 5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문턱값(33)은 실제값, 즉 목표 감속(z-int)이 특정한 더 빠른 시간에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을 대표하는 값인 참조값(48)보다 작을 경우에만 업데이트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이 0으로 감소하는 시간(t2)에서의 요구 감속이 참조값(48)으로서 활용된다. 도 4, 5, 6에서 곡선들로 특징지워진 예시적인 브레이킹에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에서의 중간 증가 이후에, 시간(t3)으로부터 참조값의 수준이 시간(t5)에서 도달되며, 문턱값은 이 시간 이후에 업데이트된다. 참조값(48)의 수준(49)으로부터 취해진 값과 비교할 때, 정의될 문턱값에 어떠한 증가도 없다.
1 브레이크 시스템 2 차량
3 전방 차축 4 후방 차축
5 휠 6 휠 브레이크
7 브레이크 실린더 8 스프링 어큐뮬레이터
9 브레이크 페달 10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
11 브레이크 라인 12 압력 매체 저장소
13 제1 브레이크 회로 14 제2 브레이크 회로
15 제2 압력 매체 저장소 16 릴레이 밸브
17 릴레이 밸브 18 통상 브레이킹 모드
19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 20 압력 제어 밸브
21 제어 유닛 22 인입 밸브
23 배출 밸브 24 압력 제어 모드
25 구동 밸브 26 압력 라인
27 제3 압력 매체 저장소 28 트윈 체크 밸브
29 회전 속도 센서 30 외부 브레이크 요청
31 감지 32 비교
33 문턱값 34 체크
35 종결 경로 36 비교
37 속도 38 스위칭 속도
39 메모리 엘리먼트 40 연결 엘리먼트
41 리셋 루프 42 메모리 엘리먼트
43 브레이크 신호 발신기 44 브레이크 라인
45 변환 단계 46 연결 단계
47 업데이트 48 참조값
49 수준 T 허용값
P 브레이크 압력 P-Soll 목표 압력
P-RES 결과 브레이크 압력 z-int 요구 감속
z-int' 현재값 z-ext 외부 목표 감속
z-RES 결과 목표 감속 t1 시간
t2 시간 t3 시간
t4 시간 t5 시간
t6 시간 t7 시간
t8 시간 tu 미리 정의된 지속 시간

Claims (16)

  1. 공압적으로 작동되는 차량(2)의 휠 브레이크들(6) 상에서 브레이크 압력들(P-Soll, P-RES)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통상 브레이킹 모드(18)에서 브레이크 압력(P-Soll)은 차량(2)의 운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에 따라 설정되고,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과 독립적인 외부 브레이크 요청(3)을 수신하는 동안 제어 유닛(21)이 압력 제어 모드(24)에서 외부 브레이크 요청(30)과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을 고려하면서 각각의 휠 브레이크들(6)에서 결과 브레이크 압력(P-RES)을 설정하되,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의 철회 후에 압력 제어 모드(24)는, 제어 유닛(21)에 입력되고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을 대표하는 값(z-int)과 미리 정의된 문턱값(33)의 비교(32)에 따라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제어 모드(24)는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값(z-int)이 미리 정의된 문턱값(33)을 초과한 후에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문턱값(33)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값(z-int)과 동일한 차원으로 미리 정의되되,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의 철회시에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값(z-int)이 저장되며, 문턱값(33)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저장된 값(z-int)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문턱값(33)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저장된 값(z-int)과 허용값(T)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정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현재값(z-int')을 가지고 하는 문턱값(33)의 지속적 업데이트(47)를 특징으로 하되, 업데이트된 문턱값(33)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적용 가능한 값(z-int)과의 이어지는 비교(32)를 위한 기초를 형성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의 증가는 업데이트(47)에 고려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정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을 대표하는 값으로서의 요구 감속(z-int)의 결정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정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제어 모드(24)는 차량의 현재 속도(37)와 미리 정의된 스위칭 속도값(38)의 비교(36)에 따라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정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제어 모드(24)는 외부 브레이크 요청(30)의 철회 이래로 미리 정의된 지속 시간(tu)이 만료된 후에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정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의의 휠들(5)의 차단 경향의 존재 하에서 제어 유닛(21)이 압력 제어 모드(24)에서 그 휠들(5)의 개별적인 휠 브레이크들(6)의 브레이크 압력(P)을 제어하거나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정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21)은 개별적인 압력 제어 밸브(20)를 통해 휠 브레이크들(6)에서 브레이크 압력(P)을 제어하고, 브레이크 회로(13, 14)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구동 밸브(25)의 작동을 통해 압력 제어 밸브들(20)의 브레이크 회로들(13, 14)을 압력 매체 저장소(12, 15)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정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2)의 브레이크 시스템으로서, 각 휠(5)에 대해 브레이크 실린더(7)와 제어 유닛(2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압력 제어 밸브(20)를 가지며, 차량(2)의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10)를 가지고, 브레이크 신호 발신기(43)를 가진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 실린더들(7)의 브레이크 압력들(P-Soll, P-RES)이 통상 브레이킹 모드(18)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서비스 브레이크 밸브(10)의 구동 및 브레이크 신호 발신기(43)를 통해 결정된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압력 제어 모드(24)에서는 각각의 압력 제어 밸브(20)를 통해 제어 유닛(21)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 유닛(21)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과는 독립적인 브레이크 요청(30)을 수신하고, 이 상황을 위해 준비된 압력 제어 모드(24)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되,
    압력 제어 모드(24)의 종결을 위한 문턱값(33)이 제어 유닛(21)을 위해 미리 정의되고 제어 유닛(21)은 운전자 브레이크 요청(19)을 대표하는 값(z-int)과 문턱값(33)의 비교들(32)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잠김 방지 브레이킹 시스템으로서, 임의의 휠들(5)의 차단 경향의 존재 하에서 제어 유닛(21)이 압력 제어 모드(24)에서 그 휠들(5)의 휠 브레이크들(6)의 브레이크 압력(P)을 제어하거나 조정하는 잠김 방지 브레이킹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압력 제어 밸브들(20)은 압력 매체 저장소(12, 15)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브레이크 회로들(13, 14)에 구동 밸브(25)를 통해 배치되고, 각 구동 밸브(25)는 제어 유닛(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위칭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차량(2)의 한 차축(3, 4)의 휠들(5)의 압력 제어 밸브들(20)은 구동 밸브(25)를 가진 공통 브레이크 회로(13, 14)를 통해 압력 매체 저장소(12, 15)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KR1020187000499A 2015-09-21 2016-07-22 차량의 브레이크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및 차량 KR101970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12377.7 2015-09-21
DE102015012377.7A DE102015012377A1 (de) 2015-09-21 2015-09-21 Verfahren zum Einstellen von Bremsdrücken eines Kraftfahrzeugs, Brems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sowie Kraftfahrzeug
PCT/EP2016/001282 WO2017050406A1 (de) 2015-09-21 2016-07-22 Verfahren zum einstellen von bremsdrücken eines kraftfahrzeugs, brems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sowie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047A true KR20180039047A (ko) 2018-04-17
KR101970928B1 KR101970928B1 (ko) 2019-04-19

Family

ID=5668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499A KR101970928B1 (ko) 2015-09-21 2016-07-22 차량의 브레이크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및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88978B2 (ko)
EP (1) EP3353026B1 (ko)
JP (1) JP6835830B2 (ko)
KR (1) KR101970928B1 (ko)
CN (1) CN107921944B (ko)
DE (1) DE102015012377A1 (ko)
WO (1) WO2017050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3660B (zh) * 2017-09-26 2022-07-01 日立建机株式会社 车辆用制动系统
EP3789255B1 (en) * 2019-09-09 2023-11-08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rake system for commercial vehicle
JP7234955B2 (ja) * 2020-01-31 2023-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7306283B2 (ja) * 2020-01-31 2023-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959A (ko) * 2001-04-21 2002-10-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 차량의 공기식 브레이크 시스템
KR20030013748A (ko) * 2001-08-09 2003-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제동장치의 제동유압 증압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11386A (ko) * 2005-05-12 2008-02-0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차량 구동 유닛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921277B1 (ko) * 2008-07-21 2009-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압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17741A (ko) * 2009-12-12 2012-10-24 바브코 게엠베하 상업용 차량의 운전자 지원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 제어를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16952D0 (en) * 1991-08-06 1991-09-18 Lucas Ind Plc Electronic braking system
WO2001014194A1 (de) * 1999-08-24 2001-03-0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regelung einer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JP3740007B2 (ja) * 2000-09-28 2006-0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の制御装置
JP4909302B2 (ja) * 2008-02-29 2012-04-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及び該装置を搭載した車両
DE102008024929A1 (de) * 2008-05-23 2009-11-26 Wabco Gmbh Fahrerassistenzsystem
JP4631947B2 (ja) * 2008-08-11 2011-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US8948953B2 (en) * 2009-06-19 2015-02-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travel controlling apparatus
KR101117970B1 (ko) * 2009-11-06 2012-02-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안티 저크 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11075971A1 (de) * 2011-05-17 2012-11-22 Robert Bosch Gmbh Steuervorrichtung für ein Bremssystem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mssystems eines Fahrzeugs
WO2014006770A1 (ja) 2012-07-06 2014-0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走行制御装置
DE102016013054A1 (de) * 2015-12-09 2017-06-14 Wabco Gmbh Verfahren zum Einstellen von Bremsdrücken eines Fahrzeugs, Brems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sowie Fahrzeu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959A (ko) * 2001-04-21 2002-10-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 차량의 공기식 브레이크 시스템
KR20030013748A (ko) * 2001-08-09 2003-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제동장치의 제동유압 증압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11386A (ko) * 2005-05-12 2008-02-0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차량 구동 유닛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921277B1 (ko) * 2008-07-21 2009-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압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17741A (ko) * 2009-12-12 2012-10-24 바브코 게엠베하 상업용 차량의 운전자 지원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 제어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0406A1 (de) 2017-03-30
EP3353026A1 (de) 2018-08-01
CN107921944A (zh) 2018-04-17
EP3353026B1 (de) 2019-06-19
DE102015012377A1 (de) 2017-03-23
US10688978B2 (en) 2020-06-23
CN107921944B (zh) 2021-05-11
KR101970928B1 (ko) 2019-04-19
JP6835830B2 (ja) 2021-02-24
US20180208166A1 (en) 2018-07-26
JP2018527248A (ja)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905B1 (ko) 차량의 브레이크 압력 조정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70928B1 (ko) 차량의 브레이크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및 차량
EP17404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trailer induced yaw movements in a towing vehicle
US10279788B2 (en) Method for adjusting brake pressures of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brake system
KR20160108349A (ko) 차량들용의 브레이크 시스템
US9896076B2 (en) Traction-slip controlled brake system of a motor vehicle approaching stops
US20060055234A1 (en) Anti-lock brake system with continuous wheel slip control
US20100006363A1 (en) Vehicle Multi-Stage Integrated Brake Assist for a Collision Preparation System
KR102512218B1 (ko) 차량의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모터 구동형 플런저 장치용 제어 장치, 그리고 차량의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20000023518A (ko) 비탈에 있는 차량의 후진 이동 방지용 장치 및 방법
US6409286B1 (en) Method and braking system for regulating the driving stability of a motor vehicle
CN101932484A (zh) 用于车辆的制动力控制装置
US20090287388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driving downhill
CN108349466B (zh) 调整车轮制动器处的制动压力的方法、制动设备及车辆
KR102502927B1 (ko) 압력 제어 밸브를 통한 차량의 브레이크 압력 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및 차량
JP6530668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JP2004504987A (ja) 圧縮空気作動式ブレーキ装置を備えた自動車用の安定化装置
US11279332B2 (en) Braking forc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6955409B2 (en) Vehicle automatic dist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EP3954589B1 (en) A vehicle braking system
CN116056965A (zh) 用于根据驾驶模式设置发动机运行的两轮车的车辆特性的系统和方法
CN109641573A (zh) 用于运行制动系统的方法和装置以及制动系统
KR102487781B1 (ko) 차량용 회생 제동 시스템 및 차량의 회생 제동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JP2000504291A (ja) 車両のブレーキ作用の調整方法および装置
US624467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ydraulic braking system in open lo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