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035A - 피부 가려움증, 짓무름 또는 홍반 증상완화 및 혈액면역인자 회복을 위한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가려움증, 짓무름 또는 홍반 증상완화 및 혈액면역인자 회복을 위한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035A
KR20180039035A KR1020180038821A KR20180038821A KR20180039035A KR 20180039035 A KR20180039035 A KR 20180039035A KR 1020180038821 A KR1020180038821 A KR 1020180038821A KR 20180038821 A KR20180038821 A KR 20180038821A KR 20180039035 A KR20180039035 A KR 20180039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extract
extracts
skin
at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김세만
Original Assignee
이종수
김세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김세만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20180038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9035A/ko
Publication of KR20180039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에 도움을 주는 황칠나무 잎 및 가지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인체에 안전한 천연 한방 생약재인 황칠나무의 잎과 가지부분에서 추출한 물, 에탄올 추출물과 이들 추출물을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로 추출한 용매분획의 약리 작용을 실험실적(invitro)실험 및 동물실험(invivo)을 통하여 나타난 현상과 아토피 관련 혈액인자의 변화 결과를 통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황칠나무 잎 및 가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황칠나무 잎 및 가지 추출물의 분획 가운데 포함된 유효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증상완화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가려움증, 짓무름 또는 홍반 증상완화 및 혈액면역인자 회복을 위한 약학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lieving skin itching, maceration or erythema symptoms, and recovering a blood immunity factor}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에 도움을 주거나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통하여 여드름 피부에 완화효능을 나타내는 황칠나무 잎 및 가지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과 여드름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인체에 안전한 천연 한방 생약제인 황칠나무의 잎과 가지부분에서 추출한 물, 에탄올 추출물과 이들 추출물을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로 추출한 용매분획의 약리 작용을 실험실적(in vitro) 실험 및 동물실험(in vivo)을 통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겪고 있는 환자들이나 여드름으로 고민하는 젊은 층에게 도움을 주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나아가서는 황칠나무 잎 및 가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황칠나무 잎 및 가지 추출물의 분획 가운데 포함된 유효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증상완화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질환은 유아 및 어린이에게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는 피부염증으로 유전적 요소와 면역계 이상에 의한 발병도 주요 원인이 되겠지만, 외부로부터의 균에 의한 감염, 정서적 요인 그리고 환경적 요인은 현대사회에서 더욱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재발성의 만성 피부질환으로서 최근에는 청소년 이후, 성인에 이르기까지 고통을 겪고 있는 사회적 이슈라 할 수 있겠다. 1995년 대한 소아과 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에서 시행한 전국적 역학 조사에 의하면 초등학생의 경우 12~24%, 중학생의 경우 6~8%에서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받은 적이 있으며, 2000년도에는 초등학생의 24.9%, 중학생의 12.8%가 아토피 피부염을 진단받은 것을 비롯하여 성인 아토피 피부염도 국내에서 그 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한 피부와 아토피성 염증질환은 피부각질의 손상을 야기함으로써 피부의 고유한 보호기능을 손상시키며, 손상된 피부는 쉽게 균에 감염되기 때문에 증상이 악화되게 된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을 동반한 홍반성 구진과 인설로 시작하여 심해지면 수포 및 장액성 삼출액과 가피를 보이는 급성 증상으로 진행한다. 가장 특징적인 증상인 소양증은 그 정도가 매우 심해서 피가 날 정도로 긁게 되며, 가려움-긁기-가려움의 악순환으로 계속 악화되고, 더 지속되면 피부가 두꺼워지고 주름이 뚜렷해지는 태선화 현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대부분의 임상 양상은 긁거나 문지른 결과에 의해 발생하며, 밤에는 소양증이 더욱 심해져 수면장애를 일으킨다. 더욱이 이렇게 손상된 피부는 외부환경 오염, 태양광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아토피 증상을 완하시키는 제품의 개발은 피부보호작용을 갖는 광범위한 의미의 제품이 될 것이다. 따라서 생약재로부터 항염증 효능소재를 찾아 피부염증 질환에 적용하고, 손상된 피부를 복구하여 방어기능을 회복해주는 것은 피부보호작용을 가져 피부노화를 지연시킬 뿐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전략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그동안의 기초연구를 통하여 황칠나무 잎 또는 가지 추출액이 아토피 증상의 완화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치료제들로는 국소 스테로이드제, 면역억제제, 항히스타민제, 그리고 세균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 연고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약물들의 사용으로 인한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제는 아니므로 이들을 지속적으로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최근에 미국에서는 비-스테로이드성 면역억제제인 칼시뉴린(calcineurin) 저해제를 이용하여 아토피용 화장품으로 허가를 얻어서 사용하고 있으나 국내에는 아직 이렇다 할 소재와 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며, 약물 요법 이외에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이나 증상완화의 목적으로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화장료도 연구되고 있다. 상기 화장료에는 주로 보습제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 성분인 세라마이드를 함유한다. 보습제 이외에 천연 식물 추출물이나 심층수로부터 분리한 천연 미네랄 등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가 시판 중에 있다. 그러나 보습제, 천연 추출물, 혹은 미네랄 등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있어서도, 아직 구체적인 임상적 활성이 명확하게 검증되어 있지는 않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현재까지 아토피의 치료방법으로는 상기 언급한 스테로이드성 물질이 가장 효능이 뛰어나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소아의 성장 장애, 비만, 당뇨병, 정신적 장애, 백내장 등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실제로 스테로이드제(예를 들어, 부신피질 호르몬제 등)는 비장, 림프노드 및 골수에 있는 림프구, 단핵구를 고갈시켜 이들 세포들이 염증부위에 이르는 양을 줄이거나 대식세포와 중성구 및 항원항체의 면역작용을 방해함으로써, 염증반응을 억제한다. 그러나, 아토피성 피부염은 만성 피부 질환이기 때문에, 스테로이드제의 장기간 및 고용량 사용으로 인하여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성이 생겨 사용할수록 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고용량으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감염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하여 흔히 보기 힘든 별난 감염을 일으키게 된다. 예를 들어, 당뇨, 백내장, 고혈압을 악화시키고, 혈액 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수치를 증가시키며, 어린이에 있어서는 성장을 억제하고 6개월 이상 복용 시 어른이 되었을 때의 키가 줄어들기도 한다. 또한, 고관절, 견관절, 슬관절, 기타 다른 관절에서 뼈의 무혈관성 괴사를 일으킬 수 있으며, 위장관으로부터 칼슘의 흡수를 억제함으로써 뼈를 약화시켜 부러지기 쉽게 하고, 골다공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상기의 아토피 피부질환은 정확한 병태생리는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 않으나 유전적 소인과 함께 면역학적, 비면역학적 기전이 관여하리라고 생각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인성 아토피 피부염은 접촉 항원으로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상피, 꽃가루, 바퀴벌레, 진균, 물리적 자극, 미생물, 정신적인 요인, 알레르기 유전적인 가족력, 음식섭취, 생활ㆍ환경의 영향, 결손 피부층 등을 통해 유입된 특정 항원에 반복적인 노출로 생성된 특이 면역글로불린 E(immunoglobulin E, IgE)가 비만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과민반응 제Ⅰ형의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을 유발한다. 그 기전은 호산구의 침윤과 비만세포의 탈과립화 반응으로 히스타민(histamine) 방출, 류코트리엔(Leukotrienes), 프로스타글라딘(Prostaglandin) 등의 화학매개체 양을 급격히 증가시켜 심한 가려움증과 피부 건조, 홍반, 삼출물, 재발성 만성 알레르기 습진을 발생시키는 질병으로서, 과민반응 제Ⅰ형의 알레르기 반응의 화학매개체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히스타민(Histamine)과 류코트리엔(leukotrienes)은 상피세포 상해, 백혈구 유주 및 활성화, 신경자극, 평활근수축, 혈관 투과성 항진에 관여하고, 프로스타글라딘(Prostaglandin)은 백혈구 유주 및 활성화, 신경자극, 평활근수축, 혈관 투과성 항진에 작용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화학매개체의 역할로 아토피 피부염의 진피에는 단핵구, 대식세포, T세포의 유입이 된다. 세포매개성 염증 반응의 세포성 면역 보조 T 림프구(Th 1 림프구)에서 인터류킨-2(interleukin-2,IL-2),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 IFN-γ), 종양괴사인자-베타(tumor necrosis factor-β, TNF-β) 등을 생산 촉진하여 세포독성반응, 지연형 과민반응, 대식세포 활성 작용을 한다. Th2 림프구에서 IL-4, IL-5, IL-6, IL-9, IL-10, IL-13 등의 사이토카인(cytokine)을 분비하여 항체생성 B세포의 성장을 활성화시켜 IgE, IgG1 등의 항체 생성을 자극하여 항원-항체 반응에 관여한다. 대식세포는 IL-1, IL-8, TNF-α 등의 cytokine을 분비하여 아토피 피부염에서 심한 가려움증의 반복적인 현상으로 피부 장벽의 손상이나, 2차 감염의 염증반응을 동반하고 피부의 두께가 증가하는 태선화가 나타난다.
이 가운데 면역 글로불린 E(IgE)와 연관된 면역기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특성을 보면,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속발성 면역 반응보다는 T-세포 이상에 의한 원발성 면역반응이 관여한다는 보고들이 많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세포 매개성 면역기능 장애가 면역 글로불린 E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이 밝혀지면서 속발성 면역 반응 외에도 원발성 면역반응이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에 관여한다고 주장하는 보고들이 증가하고 있다(이기영, 최신알레르기 진료, 한국의학사, 서울, 2001, pp23~52). 증상 등을 감안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치료제가개발되고 있으며, 그 결과 천연 또는 합성의 면역억제제, 항히스타민제제, 스테로이드 제제 등 다수가 개발되어있다. 예를 들면, 면역 억제제로는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 A, 타크로리무스(Tacrolimus; Wasik 등, Immunopharmacology 20:57-61, 1990)과 피메크로리무스(Pimecrolimus; Grassberger 등, Br. J. Dermatology 141:264-273, 1999) 등이 각광받고 있다. 상기와 같이 현재까지 알려진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 기전 되는 스테로이드제제와 항히스타민제 등은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해주는 효과는 있으나 외용 또는 경구용 스테로이드 호르몬제의 장기 사용 환자들에 있어서 피부가 엷어지는 현상 및 골다공증의 유발, 어린이의 경우 성장저해 등 그에 따른 국소 및 전신 부작용으로 인하여 임상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호르몬에 의한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약을 중지하면 오히려 증상이 악화되는 스테로이드제에 대한 내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아토피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가지면서도 부작용은 적은 천연물을 이용한 새로운 아토피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황칠나무에 관한 관련 기술로는 한국 특허공개 제2000-0004499에 항암활성을 가지는 황칠나무 추출물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 특허공개 제 2003-0079205에 간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및 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 특허공개 제 2004-01077853에 에탄올 유발 간손상을 억제하는 황칠추출물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 특허공개 제 2004-0107852에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황칠추출물과 황칠 분획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 특허공개 제 2005-0036093에 황칠나무 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한국 특허공개 제 2006-0131360에 생리활성이 뛰어난 황칠나무의 종실추출물이 기재되어있으나, 황칠나무의 수액 및 추출물에 대한 아토피 피부염과 여드름을 비롯한 피부질환에 관한 기술은 없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안정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놀랍게도, 황칠나무 잎 및 가지의 함수 알코올 추출액이 아토피 유발 모델을 사용한 동물실험에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황칠나무(Dendropanox morbifera LEV.)는 두릅나무에 속하는 상록 활엽교목으로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완도, 보길도, 해남 등 남ㆍ서해안 일대에 자생하고 있는 우리나라 특산 수종이다. 겨울에도 낙엽이 지지 않는 수종으로 수피(樹皮)에 상처를 주면 황색의 진(津)이 나오는 데 이것을 황칠(黃漆)이라 하며 전통적으로 가구 및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었다. 황칠은 목공예 표면도장용 칠의 하나로서 옻칠은 검은색 도료인데 비해 황칠은 황색이다. 또한 황칠은 금빛을 띠고 있으면서 투명하여 바탕의 나뭇결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 목칠공예의 아름다움은 울긋불긋한 채색이 아니라 나무결의 효과를 살리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황칠은 이러한 효과를 내기에 적절한 도료였다. 이처럼 목칠공예에 중요한 황칠의 공급원인 황칠나무는 옻나무와는 달리 열대수목인 난지산으로 내한성이 매우 약하여 그 생육한계가 해발 600m 이하인 연평균 최저기온이 -2℃ 이상이며, 평균기온 12∼15℃로 약산성 토양과 습기가 많은 지역에서 자생하고 있다. 또한 황칠나무의 수액을 바르게 되면 머리를 맑게 하고 심신을 편안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은은하고 매혹적인 향기를 품고 있어 여성들의 향수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황칠나무의 안식향 성분은 신경안정작용을 하여 머리를 맑게 하며 새집증후군의 원인인 포름알데히드의 제거능력이 뛰어나 거실 및 사무실, 수험생의 방에 놓아두기도 한다. 또한 예로부터 민간에서 구전되어 오는 바로는 황칠나무의 수액이 염증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전해 내려오고 있다.
한편, 황칠나무수액에 함유된 정향성분은 소량의 터펜(Terpene)류와 다량의 세스퀴 터펜(Sesquiterpene)류가 포함되어 있는데, 채취시기, 장소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게르마-크레네-디(germa- crene-d), 베타-셀리넨(β-selinene), 알파-아모르펜(α-amorphene), 알파-셀리넨(α-selinene), 델타-카디넨(δ-cadinene), 감마-카디넨(γ-cadinene), T- muurolol, 베타- 엘레멘(β-elemene), 비사이클로[4,4,0]-1-데케인-2-아이소프로필-5-메틸-9- 메틸렌(bicyclo[4,4,0]dec-1-en-2-isopropyl-5-methyl-9-methylene), 베타-카디넨(β-cadinene), 게르마크렌-B(germacrene-B), 알파-코파엔(α-copaene), 알파-후물렌(α-humulene), 알파-카디넨(α-cadinene) 과 소량의 리날로올 L(linalool L), 알파-테르피넨(α-terpinene), 알파-쿠베벤(α-cubebene), 알파-이란진(α-ylangene), (+)-calarene, 3,7-guaiadine, (-)-isoledene, 베타-쿠베벤(β-cubebene), 리모넨 (limonene), 아로마덴드렌 (aromadendrene), 카디나-1,4-디엔 (cadina-1,4-di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황칠나무 잎과 가지의 함수 메탄올 추출물 또는 그 용매 분획물은 아토피 및 여드름 질환에 있어서 효능을 보이는 새로운 생약으로서 가능성을 고려하여, 사람의 아토피 피부병변과 가장 유사한 동물모델로 알려져 있는 NC/Nga 마우스를 사용하여, 가려움 및 염증, 아토피 질환에 있어서 나타나는 현상을 통하여 발명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분자생물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사이토카인(cytokine)인 IgE에 대한 영향, 실험동물의 혈액 중의 면역관련 인자 등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거듭함으로써 황칠나무 잎과 가지가 보유하고 있는 본질적인 효능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 잎과 가지의 함수 알코올 추출물 또는 그 용매 분획물은 정제수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용매로 가온추출 또는 냉침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데, 얻어진 액상의 추출물은 농축을 하거나 건조분말로도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토피 유발 동물모델에 대한 치유 또는 예방효과를 추적하여 생약 추출물의 유용성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황칠나무 잎 또는 가지의 함수 알코올 추출액 및 그 용매분획은 약학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먼저 피부 감염과 관련된 균주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나타냄으로서 피부 감염에 대한 보호작용으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디니트로클로로벤젠(dinitrochlorobenzene, DNCB)에 의해 NC/Nga 마우스에서 유발된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었고, 그 결과에 따라 아토피 질환 환자 또는 경미한 증상의 잠재적 아토피 증상을 보유하고 있는 일반인에게 피부 도포용 조성물로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 또는 완화 작용에 도움을 주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여드름균과 그에 따른 염증에 있어서 나타날 수 있는 2차 감염 관련균에 대한 항균력을 갖는 황칠나무 잎 또는 가지의 함수 알코올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보호용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다.
둘째, DNCB(dinitrochlorobenzene)에 의해 NC/Nga 마우스에서 유발된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효과를 토대로 황칠나무 잎 또는 가지의 함수 알코올 추출물 및 그 용매분획을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 또는 완화작용에 도움을 주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다.
셋째, 동물실험을 통한 실험동물 혈액 중 면역관련인자의 변화상황을 근거로 자가면역 질환인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면역학적 적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황칠나무 잎 및 가지로부터 추출액을 얻는 방법을 표시하였다.
도 2는 아토피 유발 물질인 DNCB만을 아토피 동물 모델인 NC/Nga 마우스의 등 및 귀 부분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에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여 표시하였다.
도 3은 황칠나무 가지의 물 추출액을 아토피 유발 동물 모델에 도포하였을 때 아토피 증상이 완화되는 현상을 날짜별로 표시하였다.
도 4는 황칠나무 잎의 물 추출액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처리한 후 남은 최종 물 추출액을 아토피 유발 동물 모델에 도포하였을 때 아토피 증상이 완화되는 현상을 날짜별로 표시하였다.
도 5는 황칠나무 잎의 물 추출액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처리한 후 남은 최종 물 추출액을 아토피 유발 동물 모델에 도포하였을 때 동물 모델의 아토피 증상 관련 면역인자 중 IgE의 변화를 측정하여 표시하였다.
도 6은 황칠나무 잎의 물 추출액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처리한 후 남은 최종 물 추출액을 아토피 유발 동물 모델에 도포하였을 때 동물 모델의 혈액을 실험 전후로 채취하여 혈액면역인자의 변화를 측정하여 표시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황칠나무의 수액과는 차별화를 고려하여 그 잎과 가지의 본질적 특성에 접근하고자 성분적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하여, 우선 잎과 가지 부위의 성분을 가장 효율적으로 얻기 위한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였고, 그 추출액 및 용매분획에 대한 구체적인 효과를 추적하기 위한 수년간 연구를 통하여, 아토피 질환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의 배양액의 아토피 치유 효과를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치유 효과에 대하여 피부 도포용 조성물로서의 가치를 규명하고자 피부에 감염될 수 있는 주요 균주에 대한 항균효과까지 발견하였고, 놀랍게도 아토피 동물 모델에 대한 혈액 검사를 통하여는 면역인자에 영향을 주는 사실도 발견함으로써, 향후 의약품화의 가능성까지 기대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의약품 조성물은 피부도포용을 기본으로 하나 황칠나무 잎 또는 가지 추출물 및 그 용매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여러 가지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효능평가를 위한 시료준비
<실시예 1. 아토피 완화 평가를 위한 황칠나무 부위별 추출액 및 용매분획 준비>
*전남지역에서 수급된 황칠나무 가지(5kg)를 냉침법으로 10일간 70% Ethanol로 추출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감압 농축하여 조엑기스 54.6g을 수득하였다(수율 1.2%). 농축 엑기스는 동물 실험과 처방 연구용 및 시제품 제작의 용도로 사용하였다. 황칠나무 잎은 200g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 농축하여 33.4g의 조엑기스를 수득하였다(수율 16.7%). 이를 물에 분산하여 동량의 헥산(n-Hexane)으로 3회 분획한 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3회 분획처리하여 EtOAc 분획과 물 분획을 각각 얻고 이것을 동물 실험용 시료로 사용하였다(도면 1).
2. 효능평가
<실시예 2. 동물모델의 아토피 완화 효과 판정을 위한 아토피 유발실험>
NC/Nga 마우스를 사용하여 피부 표면의 털을 제거한 후, 아토피 유발 가능 농도로 DNCB를 동물 피부 표면에 도포하였다(도면 2). 동물피부의 발진상태 등 아토피 증상 현상을 수일 간 관찰하여 점수화한 후, 황칠나무 추출액의 도포시점을 다음의 표 1과 같이 결정하였다.
표 1은 관능 평가에 의한 피부염의 Scoring을 나타낸다.
증상 0주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홍반
(erythema)
0 2 3 3 3 3 2 3 0
가려움과 건조피부
(Pruritus & Dry Skin)
0 1 1 1 3 3 3 3 1
부종과 혈종
(Edema & escoriation)
0 0 0 1 2 2 3 2 0
짖무름
(Erosion)
0 0 0 0 1 1 1 1 0
태선화
(Lichenification)
0 0 0 0 0 2 2 3 1
합계 0 3 4 5 9 11 11 12 2
*없음(0), 약함(1), 중증도(2), 심함(3)
*약 12~13점이면 피부염이 최고조에 달했다고 판단하고, 황칠나무 부위별 추출액 도포
*황칠나무 잎 또는 가지 추출액 및 그 용매분획 도포 : 1일 2회, 5일간 실시
도 2의 사진에서 보듯이 DNCB를 처리한 마우스(NC/Nga mouse)의 등과 귀 부분에서 홍반 발생과 함께 가려움증에 의한 짓무름 현상이, 4주차 이후에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황칠나무 잎 또는 가지 추출액 및 그 용매분획의 도포는 DNCB 도포 7주차 후, 즉 임상 스코어(Clinical score) 12점 정도에 이르렀을 때 시작하여 아토피 현상 완화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3. 황칠나무 가지 추출액의 아토피 완화 효과>
DNCB 처리한 실험 동물 표면에 황칠 줄기 추출액을 300 ug/ml 농도로 매일 2회씩 도포하여 피부 상태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DNCB만을 도포한 그룹과 황칠나무 가지 추출액만을 도포한 그룹을 동시에 비교 관찰하였다.
4일 경부터 실험동물의 등 부위에서 피부홍반 완화가 관찰되었고(도면 3), DNCB를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황칠나무 가지 추출액 도포군은 약 30% 정도의 아토피 현상의 완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같은 관찰은 Clinical score를 기록하여 완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본 실시예의 결과, 황칠나무의 특성 중 아토피 완화 작용이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황칠나무 잎 추출액 중 초산 에틸(EA) 분획의 아토피 완화 효과>
황칠나무 잎 추출액은 가지 추출액과 매우 다른 TLC pattern을 보이고 있다(TLC 사진 생략). 따라서 황칠 잎 추출액의 아토피 완화 효과를 가지 추출액과 비교할 필요가 있으며 잎 추출액은 동물실험을 진행함에 있어서 친유성 성분과 친수성 부분으로 분획하여 보다 상세한 비교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황칠나무 잎 추출액은 70% 에탄올 추출액의 농축액을 농축한 후, 농축액을 물에 분산하고 n-헥산(n-Hexane)으로 지용성 부분을 제거하고 남은 물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추출하여 EtOAc 분획과 물 분획으로 나누어 농축한 Extract를 최종 실험 재료로 사용하였다.
DNCB를 처리한 실험 동물의 피부 표면에 황칠 잎 추출액 - EtOAc 분획을 도포하면서 5일간 관찰하였다.
DNCB를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황칠나무 잎 추출액의 EtOAc 분획 도포군은 아토피 현상의 완화 효과는 다른 시험군에 비하여 약한 정도로 관찰되었다.
Clinical score를 기록하여 완화 효과를 비교한 결과 황칠 잎 추출액의 경우 물 분획에 활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5. 황칠나무 잎 추출액 중 물 분획의 아토피 완화 효과>
실시예 4를 통하여 황칠나무 잎 추출액의 아토피 동물 모델에서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2~4에서 실시된 동일한 방법으로 아토피 유발 동물 모델에서 관찰한 결과 상당 수준의 아토피 완화 작용을 관찰하였고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DNCB를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황칠나무 잎 추출액-물 분획 도포군은 30% 이상의 아토피 현상의 완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도면 4).
황칠나무 추출액의 아토피 완화작용은 잎 추출액 중 물 분획 > 가지 추출액 > 잎 추출액 중 EtOAc 분획 순으로 나타났는데, 향후 물 분획과 가지 추출액의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이 황칠나무 잎과 가지의 물 추출물은 아토피 유발 동물 모델에서 상당 수준의 완화작용을 확인함으로 본 발명의 1차적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한편, 황칠나무 가지 추출액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아토피 완화작용이 동등 이상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고 있으나, 그 차이를 분자생물학 내지 생물학적 견지에서 실험 동물 조직의 아토피 발생 인자의 변화 및 혈액인자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 판단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사료되었다.
<실시예 6. 황칠나무 가지 추출액 중 물 분획의 아토피 완화 효과-아토피 유발에 관한 면역관련인자의 변화>
IgE는 염증 발생에 있어서 나타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아토피 현상에 있어서 염증은 거의 수반되는 현상이므로 황칠 가지 추출액 도포 전후, 실험 동물의 혈액에서의 변화를 측정하여 보았다. 실시예를 위한 실험은 시판되는 키트를 사용하여 키트의 사용방법 및 문헌적으로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아래의 결과(도면 5)에서 볼 때 본 실험에서는 IgE의 변화는 황칠 가지 추출액을 도포했을 때 대조군(DNCB만 처리한 군)에 비해 평균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IgE농도는 pg/ml로 측정한 것을 대조군에 대비하여 비교 수치로서 조정하였다.
<실시예 7. 황칠나무 잎 추출액 중 물 분획의 아토피 완화 효과-아토피 유발에 관한 혈액인자의 변화>
DNCB를 처리한 동물군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각종 면역에 관련된 인자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NCB 처리군에서 백혈구(white blood cells, WBC), 호산 백혈구(Eosinophil), 호염기성 세포(Basophil), 호중성 백혈구 (Neutrophil)의 현저한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황칠나무 잎 추출액 중 물 분획은 WBC, Neutrophil의 수준을, EtOAc 분획은 WBC, Eosinophil, Neutrophil을 정상상태로 회복시켜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면 6).
이와 같은 현상은 황칠나무 가지의 물 추출액에서도 나타났는데 잎의 물 추출액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이상에서 보듯이 황칠나무 잎 또는 가지 추출액은 아토피 유발 조건에서 WBC와 Neutophil의 과도한 생성을 완화시켜 주는 현상이 뚜렷이 관찰되었는데, 적어도 아토피 증상 발생에 따른 세균감염에 대한 방어효과가 황칠나무 잎 또는 추출액에 존재한다고 이해됨으로써 이러한 현상이 아토피 완화 작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지를 항균효과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진행하게 되었다.
Control: 무처리 동물군
Negative: 도포액 base 도포 동물군
DNCB: DNCB 도포 동물군
Dendropanax : 황칠나무 잎 물 추출액 만 도포한 동물군
DNCB + Dendropanax(300ug/ml) : DNCB 도포 후 황칠나무 잎 물 추출액 도포 동물군
DNCB+DP(H2O): DNCB 처리 후 황칠 잎 추출액 중 물 분획 도포군

Claims (2)

  1. 황칠나무 잎 또는 가지를 에탄올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조엑기스를 물에 분산하고, 헥산(n-Hexane)으로 분획한 후, 남은 물 분획을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분획처리하여 얻어진 (i) EtOAc 분획과, (ii) 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손상인자로 인하여 발생한 피부 가려움증, 짓무름 또는 홍반 증상의 완화에 도움을 주며 상승된 혈액면역인자의 회복 작용을 나타내는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손상인자로 인하여 발생한 피부 가려움증, 짓무름 또는 홍반 증상의 완화에 도움을 주며 상승된 혈액면역인자의 회복 작용을 나타내는 약학 조성물.
KR1020180038821A 2018-04-03 2018-04-03 피부 가려움증, 짓무름 또는 홍반 증상완화 및 혈액면역인자 회복을 위한 약학 조성물 KR20180039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821A KR20180039035A (ko) 2018-04-03 2018-04-03 피부 가려움증, 짓무름 또는 홍반 증상완화 및 혈액면역인자 회복을 위한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821A KR20180039035A (ko) 2018-04-03 2018-04-03 피부 가려움증, 짓무름 또는 홍반 증상완화 및 혈액면역인자 회복을 위한 약학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182 Division 2016-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035A true KR20180039035A (ko) 2018-04-17

Family

ID=6208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821A KR20180039035A (ko) 2018-04-03 2018-04-03 피부 가려움증, 짓무름 또는 홍반 증상완화 및 혈액면역인자 회복을 위한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90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218B1 (ko) 홀리바질, 박하, 님나무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자극 및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1458763B1 (ko)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JPH10279491A (ja) インターロイキン4産生抑制剤
CN112190593B (zh) 一种抑制trpv1通路的多糖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47833B1 (ko)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1093B1 (ko) 항염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57313B1 (ko)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 조직 배양한 노니 부정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알러지 예방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2894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hoi et al. Fermented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alleviates TNF-α/IFN-γ-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HaCaT cells and modulates immune balance on 1-chloro-2, 4-dinitrobenzene-induced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Tayade et al. Anti-asthmatic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of leaves of Tamarindus Indica Linn
KR20140040183A (ko)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DE60125955T2 (de) Bioaktive fraktion von eurycoma longifolia
KR101075006B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Bauer Chemistry, pharmac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Echinacea products
KR20200082813A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20180039035A (ko) 피부 가려움증, 짓무름 또는 홍반 증상완화 및 혈액면역인자 회복을 위한 약학 조성물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060007076A (ko)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건선, 로사시아, 지루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항염증 및 면역조절 효과를 보유한 천연추출물제제 bsasm
KR101361626B1 (ko)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094700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6874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98993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00197B1 (ko)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억제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0342121A2 (en) Anti-allergic extract
JPH1045613A (ja) インターロイキン4産生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