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775A - 다공간백 - Google Patents

다공간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775A
KR20180038775A KR1020160129827A KR20160129827A KR20180038775A KR 20180038775 A KR20180038775 A KR 20180038775A KR 1020160129827 A KR1020160129827 A KR 1020160129827A KR 20160129827 A KR20160129827 A KR 20160129827A KR 20180038775 A KR20180038775 A KR 20180038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g
opening
cover par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074B1 (ko
Inventor
김성찬
곽원일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김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김성찬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0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9Flexible luggage; Hand bags with interchangeable elements forming the storage space, e.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5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interchangeable elements forming the storage space, e.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2013/02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2013/1015Arrangement of fasteners of hook and loop typ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다공간백이 개시된다. 다공간백은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 내에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의 상대 위치에 따라 신장 및 수축하는 연결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보조백들이 수용된다. 사용자는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의 결합에 의해 가방의 형상을 이루고 복수 개의 보조백들이 수용됨으로써 복수 개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공간을 이루는 보조백들은 연결부에 나란히 정렬되어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간백{Bags with Multiple Space}
본 발명은 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갖는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각종 문화활동을 즐기면서 그에 따른 도구 및 물품들을 사용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축구동호회 활동을 하는 경우 유니품(운동복), 양말, 축구화, 아대, 의료용품, 깃발, 호루라기, 환복의류 등등의 많은 도구 및 물품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량의 필요한 도구 및 물품을 모두 수납하기 위한 대용량의 백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는 대용량을 수납하는 특징과 더불어 많은 종류의 도구 및 물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개별공간에 수납하는 특징을 원하게 되었다.
이렇게 사용자의 필요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백이 제안되었다. 이 백은 하나의 수납공간을 갖는 메인백의 상하좌우 및 후방 측에 메인백보다 소용량의 수납공간을 갖는 보조백을 장착하여 메인백 하나일 때보다 수납공간을 증가시키면서 다수의 수납공간을 갖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메인백만으로는 부족했던 수납공간이 확장되었고, 메인백 하나만의 수납공간이었다가 장착되는 보조백의 갯수 만큼의 수납공간의 갯수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백은 보조백들을 메인백의 상하좌우 및 후방 측 외부에 장착 및 탈착하여야 하므로 보조백들을 메인백에 장착 및 탈착하기 위한 장착수단이 필요하다. 이 장착수단은 백의 전체적인 외관을 미려하지 않게 한다. 또한, 메인백에 장착된 보조백들은 개별로 개폐되기 위하여 지퍼 등과 같은 각각 개폐수단이 필요하였다. 이 개폐수단 또한 백의 전체적인 외관을 미려하지 않게 한다.
이렇게 외관이 미려하지 않은 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또 다른 백이 제안되었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동일한 형상의 백들이 상하로 쌓아져서 결합되도록 하는 백이 제안되었다. 이 백은 복수 개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백을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플라스틱 백형상을 이루게 제조되었다. 이 백은 다수의 수납공간을 가지면서 대용량의 수납공간을 가질 수는 있으나 각각의 공간이 동일한 공간 크기로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크기의 보조백이 장착되는 것에 비하여는 수납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이백은 하나의 플라스틱 백형상을 이루고는 있으나 여전히 백의 전체적인 외관이 미려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공간 형성이 가능하도록 보조백을 구비하면서도 보조백에 의한 외관 상의 미려함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백은,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며,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를 상호 결합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의 상대 위치에 따라 신장 및 수축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2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백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수용공간의 연결부에 복수 개의 보조백이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의 상호 결합된 상태의 고정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보조백들의 크기에 따라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는 고정위치를 다르게 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수단은 벨크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연결본체를 가지며, 상기 연결본체는 연결된 상기 보조백에 형성된 유입구의 위치에 대응하여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개구 형성 부위의 연부와 상기 보조백의 상기 유입구 형성 부위의 연부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유입구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보조백이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연결부의 개구를 통해 물건을 입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가방을 들고 이동할 때 연결부의 개구로 보조백이 들어 있는 물품이 역류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본체는 지그재그형으로 절첩된 주름부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기 주름부의 골 부위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주름부로 인하여 신장 및 축소되는 연결부 주름부의 골에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복수 개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보조백들을 정렬하여 장착한 상태에서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보조백들을 수용하면서 내부 수용공간에 복수 개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보조백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백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효과는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보조백들의 공간 크기에 따라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는 상호 결합되어 다공간백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공간백의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분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의 고정위치를 변경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연결부에 보조백들이 연결되는 것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보조백들을 연결부에 연결하고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보조백을 수용하면서 결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린터 다공간백(1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공간백(10)의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가 분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공간백(10)은 제1커버부(100), 제2커버부(110), 연결부(120) 및 보조백(140)을 포함한다.
제1커버부(100)는 제2커버부(110)와 결합되어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제1커버부(100)는 제2커버부(110)와 결합되는 측면부 외측에 암벨크로부(102)가 부착되어 있다. 제1커버부(100) 측면부의 암벨크로부(102)는 제2커버부(110)에 수용될 수 있으며, 제2커버부(110)의 측면부 내측에 형성된 숫벨크로부(112)와 결합되어 결합된 위치에 따른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00)는 상호 대향한 일측은 타측과는 다르게 커버측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보조백(140)을 수용하며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제2커버부(110)는 제1커버부(100)와 결합되어 가방을 형성하며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깨에 걸어 들 수 있도록 하는 메인밴드(150)이 형성되어 있다. 암벨크로부(102)와 숫벨크로부(112)의 결합이 분리된 후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 상호 측으로부터 멀어지게 잡아당기기 쉽게 보조밴드(160)가 형성되어 있다.
암벨크로부(102)와 숫벨크로부(112)는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를 상호 결합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이다. 제1고정수단은 암벨크로부(102)와 숫벨크로부(112)로 마련되어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경 가능하도록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의 상호 결합된 상태의 고정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고정수단은 벨크로로 표현하였지만 지퍼 등과 같이 손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고정수단이면 가능하다. 벨크로로 제1고정수단이 이루어지고 암벨크로부(102)가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측면부 전체에 부착되어 있으면 숫벨크로부(112)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의 상대 위치에 따라 신장 및 수축한다. 연결부(120)는 연결본체(121)를 가지며 연결본체(121)는 연결된 보조백(140)에 형성된 유입구(141-3)의 위치에 대응하여 개구(122 내지 125)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20)는 개구(122 내지 125)를 개폐하는 개폐수단(135 내지 138)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본체(121)는 지그재그형으로 절첩된 주름부(121-1)로 구성될 수 있다. 개구(122 내지 125)는 연결부(120)를 구성하는 주름부(121-1)의 골 부위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0)와 보조백(140)은 상호 연결되기 위한 제2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2고정수단은 지퍼로 마련되며, 상호 측에 지퍼이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에 의해 연결부(120)와 보조백(140)은 결합된다. 제2고정수단은 벨크로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연결부(120)와 보조백(140)은 손쉽게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는 수단이면 가능하다. 제2고정수단은 연결부(120)의 개구(122 내지 125) 형성 부위의 연부와 보조백(140)의 유입구(141-3) 형성 부위의 연부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개구(122 내지 125)를 통해 유입구(141-3)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백(140)은 연결부(120)에 고정되는 제2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제2고정수단을 통해 연결부(120)와 연결된 상태에서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다. 보조백(140)은 상측에 지퍼이(141-2)가 부착되어 있어 연결부(120) 하측에 부착되어 있는 지퍼이(141-4)와 슬라이드에 의해 결합된다. 보조백(14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수용공간으로 물품을 넣고 빼낼 수 있는 유입구(141-3)를 갖는다.
도 2는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가 상호 결합된 상태의 고정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커버부(100)의 양 측면 외측에는 암벨크로부(102)가 전체적으로 부착되어 있고 제2커버부(110)의 양 측면 내측에는 숫벨크로부(112)가 상하방향 띠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띠형상의 숫벨크로부(112)가 암벨크로부(102)의 어느 부위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지에 따라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의 크기가 도시된 (a), (b) 및 (c)와 같이 달라지게 된다.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보조백(140)들이 수용되므로 보조백(140)들의 차지하는 공간에 따라 숫벨크로부(112)가 암벨크로부(102)의 어느 부위에 결합될 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고정수단이 숫벨크로부(112)와 암벨크로부(102)로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퍼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마련되어 지퍼가 이동되게 형성하면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지퍼 등의 고정수단을 이동하게 하는 부가의 수단이 필요하게 되므로 벨크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은 연결부(120)에 보조백(140)이 연결되는 것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a) 연결부(120)의 연결본체(121)는 주름부(121-1)를 갖는 주름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주름부(121-1)의 골 부위에는 개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골 부위의 연결본체(121)에는 개구(122)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개폐수단은 지퍼로 마련되어 있다. 개폐수단은 지퍼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손쉽게 개폐되는 수단이면 가능하다.
(b) 연결본체(121)의 개구(122) 하부에는 제2고정수단인 지퍼이(126, 12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지퍼이(126, 127)은 보조백(141) 상측의 유입구(141-3)에 부착되어 있는 지퍼이(141-2,141-4)와 각각 맞물려서 슬라이드에 의해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되면 연결본체(121)의 개구(122)를 통해 보조백(141)에 들어있는 물품(N)을 꺼낼 수도 있고 추가의 물품(N)을 보조백(141)으로 넣을 수도 있게 된다.
도 4 는 보조백(140)을 연결부(120)에 연결하고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가 보조백(140)을 수용하면서 결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 사용자는 제1커버부(100)의 암벨크로부(102)로부터 제2커버부(110)의 숫벨크로부(112)를 분리하며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를 이격시킨다. 연결부(120)가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 사이의 상측을 주름진 형상으로 연결하고 있다.
(b) 사용자는 필요한 물품을 보조백(141 내지 144)에 담는다. 물품이 담긴 보조백(141 내지 144)을 제2고정수단인 지퍼를 이용하여 연결부(120)에 연결한다.
(c) 사용자는 보조백(141 내지 144)을 연결부(120)에 연결한 후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를 상호 접근시키고 보조백(141 내지 144)의 공간에 맞추어서 제2커버부(110)의 숫벨크로부(112)를 제1커버부(100)의 암벨크로부(102)에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이 다공간백(10)을 들고 이동할 수 있다.
상기의 다공간백(10)으로 인하여, 보조백(140)을 연결부(120)에 정렬하여 연결할 수 있고, 연결부(120)에 마련된 개구(122 내지 125)를 통해 물품을 입출할 수 있으며, 보조백(140)을 수용하면서 제1커버부(100)와 제2커버부(11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에 의해 보조백(140)은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지저분해 지지 않고 깔끔하고 미려해질 수 있다. 또한, 내부의 수용공간에 보조백(140)의 공간이 형성되고 정렬되어 있으므로 보조백(140)이 외측에 있는 것보다는 개인적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10 : 다공간백 100 : 제1커버부
102 : 암벨크로부 110 : 제2커버부
112 : 숫벨크로부 120 : 연결부
121 : 연결본체 122 내지 125 : 개구
126 내지 134 : 지퍼이 135 내지 138 : 개구지퍼
140 : 보조백 150 : 메인밴드
160 : 보조밴드

Claims (8)

  1.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며,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를 상호 결합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의 상대 위치에 따라 신장 및 수축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2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간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의 상호 결합된 상태의 고정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간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은 벨크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간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연결본체를 가지며, 상기 연결본체는 연결된 상기 보조백에 형성된 유입구의 위치에 대응하여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간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개구 형성 부위의 연부와 상기 보조백의 상기 유입구 형성 부위의 연부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유입구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간백.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간백.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본체는 지그재그형으로 절첩된 주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간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기 주름부의 골 부위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간백.
KR1020160129827A 2016-10-07 2016-10-07 다공간백 KR101889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827A KR101889074B1 (ko) 2016-10-07 2016-10-07 다공간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827A KR101889074B1 (ko) 2016-10-07 2016-10-07 다공간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775A true KR20180038775A (ko) 2018-04-17
KR101889074B1 KR101889074B1 (ko) 2018-08-16

Family

ID=6208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827A KR101889074B1 (ko) 2016-10-07 2016-10-07 다공간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0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276U (ja) * 1997-06-18 1998-04-10 株式会社水野鞄店 手引き式の旅行用ケース
JP3064616U (ja) * 1999-06-07 2000-01-21 株式会社 ユニオン バッグ
JP2015058292A (ja) * 2013-09-20 2015-03-30 秀 白石 中身入れ替え式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616B2 (ja) * 1991-12-05 2000-07-12 王子製紙株式会社 修正蒸解法を導入した縦型連続蒸解釜におけるパルプのカッパー価を制御する方法
JP3047276B2 (ja) * 1993-06-23 2000-05-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ドライヤ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276U (ja) * 1997-06-18 1998-04-10 株式会社水野鞄店 手引き式の旅行用ケース
JP3064616U (ja) * 1999-06-07 2000-01-21 株式会社 ユニオン バッグ
JP2015058292A (ja) * 2013-09-20 2015-03-30 秀 白石 中身入れ替え式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074B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5918B2 (en) Luggage bag with removable organizer
CA2635328C (en) Luggage bag with detachable divider
US9604757B2 (en) Reusable bag holder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296094B1 (en) Combination cosmetic bag and travel bag with multiple carrying modes
EP2597989B1 (en) Expandable soft-sided jewelry organizer with secured display compartments
US2893457A (en) Removable purse liner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1371564B1 (ko) 분할식 수납공간을 갖는 레저용 접이식 가방
US20070000796A1 (en) Bag for storing and carrying shoes
US9516935B2 (en) Shoe bag
WO2014031739A1 (en) Interchangeable pocket system for handbags
US20220346512A1 (en) Flexible and Transparent Modular Pack and Carrier
KR101889074B1 (ko) 다공간백
US100804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dular storage device
WO2019017821A1 (ru) Складной чемодан и заготовка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0468762Y1 (ko) 크기 및 컬러 조절이 가능한 가방
US20140197000A1 (en) Organizational Luggage System
GB2470428A (en) Customizable bag organizer
CN202046516U (zh) 一种新型收纳箱
GB2476661A (en) Reversible bag
JP2014144194A (ja) 財布
CN211483269U (zh) 一种可扩展或收缩容量的洗漱收纳包
CN206744784U (zh) 具有多功能隔板的行李箱
KR101313304B1 (ko) 상의 어셈블리
JP2002028019A (ja) 収納ポケット及びこの収納ポケットを備えたスーツケース,鞄又は袋物類
CN106418996A (zh) 一种多功能行李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