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687A - Active Roll Stabilizer - Google Patents

Active Roll Stabil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687A
KR20180038687A KR1020160129629A KR20160129629A KR20180038687A KR 20180038687 A KR20180038687 A KR 20180038687A KR 1020160129629 A KR1020160129629 A KR 1020160129629A KR 20160129629 A KR20160129629 A KR 20160129629A KR 20180038687 A KR20180038687 A KR 20180038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ensor
stabilizer
presen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6588B1 (en
Inventor
심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129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588B1/en
Publication of KR20180038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6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5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5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an actuator inducing vehicle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12Strain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An active roll stabilizer is provided. The active roll stabilizer comprises: a pair of stabilizer bars installed between left and right wheels of an automobile; and an actuator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stabilizer bars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pair of stabilizer bars. The actuator includes: a motor generating rotational force; a housing coupled between the pair of stabilizer bars and having a motor disposed therein; and a torque sensor unit located on an extension of a rotation axis of the motor in the housing and capable of measuring torque transmitted by rotational force.

Description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Active Roll Stabilizer}Active Roll Stabilizer

본 발명은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roll stabilizer.

차량에 장착되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Active Roll Stabilizer)는 차량의 롤 모멘트(Roll Moment)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써, 차량의 좌우 선회시나 거친 노면을 주행할 때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쏠림 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높이고 차량 운전시 운전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An active roll stabilizer mounted on a vehicle is used to control the roll moment of the vehicle. This prevents the roll motion from being caused by the centrifugal force when the vehicle is turning left or right or on a rough road surface, Thereby enhancing the driving stability of the vehicle and improving the riding comfort of the driver when driving the vehicle.

이러한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차륜에 연결된 스태빌라이저 바의 토크를 측정하여 롤 모멘트를 제어한다.This active roll stabilizer measures the torque of the stabilizer bar connected to the wheel to control the roll moment.

종래에는, 스태빌라이저 바에 발생하는 토크를 측정하기 위하여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이외의 다른 토크센서를 이용하여 토크를 측정할 수 있지만 이러한 토크센서는 가격이 고가이고, 크기가 크며 설치가 용이하지 못해 토크를 측정하는데 용이하지 못하다.Conventionally, a torque sensor other than a strain gauge can be used to measure a torque generated in the stabilizer bar. However, such a torque sensor is expensive, has a large size and is not easy to install, Is not easy to measure.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토크를 측정하게 되면 스트레인 게이지를 장착하는 방법, 환경에 따라 토크의 출력 값이 달라져 토크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없으며, 스트레인 게이지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하다.In addition, when the torque is measured using a strain gauge, the output value of the torque varies depending on the method of mounting the strain gauge and the environment, and the torque can not be precisely measured. Since the strain gauge is mounted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This is weak.

한편, 종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토크를 측정하는 구조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어 센싱 범위를 벗어나게 되고, 측정되는 토크를 줄이기 위해서 스트레인 게이지가 장착되는 장치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은 설계의 제약으로 인해 불가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ructure for measuring the torque using a conventional strain gauge, an excessiv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train gauge to deviate from the sensing range, an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evice to which the strain gauge is attached in order to reduce the measured torqu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태빌라이저 바에 발생하는 토크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설정된 회전 각도를 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선회구간 및 회전구간에서 롤 모멘트를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tiv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stability of a vehicle by controlling a roll moment in a turning section and a turning section of the vehicle by precisely measuring a torque generated in the stabilizer bar, Roll stabiliz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좌우 차륜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 및 상기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액추에이터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력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를 측정할 수 있는 토크측정 센서부를 포함하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mprising: a pair of stabilizer bars provided between left and right wheels of a vehicle; and an actuator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stabilizer bars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pair of stabilizer bars, A motor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A housing coupled between the pair of stabilizer bars and having the motor disposed therein; And a torque measuring sensor unit located on an extens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in the housing and capable of measuring a torque transmitted by the rotating force.

이때, 상기 토크측정 센서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의 동심축 상으로 배치되는 센서 지지부재 및 상기 센서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지지부재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부 및 상기 센서 장착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 장착부의 강성보다 작은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may include a sensor support member disposed on a concentric axis on an extens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and a strain gauge installed on the sensor support member. The sensor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sensor mounting member And a pair of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nsor mount portion and smaller than the rigidity of the sensor mount portion.

이때, 상기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의 두께(t1)는 상기 센서 지지부재의 두께(t2) 보다 작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hickness t1 of the pair of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s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sensor support member.

이때, 상기 센서 지지부재의 외주면 상에 인쇄회로 기판이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측정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모멘트의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어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or support member, and a control circuit may b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amplify an electrical signal of the torsional moment of the stabilizer bar measured by the strain gauge.

이때,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모터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토크측정 센서부가 내부에 설치되는 커플러; 및 일측이 상기 커플러의 타측과 결합되고, 타측이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캐리어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모터 및 상기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댐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coupler dispos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in the housing and having one side thereof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being installed inside; And a damping unit that includes a carrier whose one side is engag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coupler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with one of the pair of stabilizer bars and which absorbs vibration generated in the motor and the pair of stabilizer bars in the housing .

이때, 상기 커플러는 원판 형의 커플러 몸체 및 상기 커플러 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몸체 및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에는 토크측정 센서부가 장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인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upler includes a disc-shaped coupler body and a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upler body and coupled to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arrier, and a torque measuring sensor unit is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coupler body and the protrusion A mounting recess can be formed.

이때, 상기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의 일단부에는 각각 체결부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설치홈의 개방된 타단부를 막음으로써 상기 토크측정 센서부가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asten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ne end portions of the pair of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s, and one of the fastening portions blocks the opened other end portions of the installation groove, so that the inner space, in which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portion is installed, .

이때, 상기 체결부는 원판 형상의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클립부재 연결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C자형 단면의 클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disk-shaped seating member and a clip member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one end of the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이때,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는 T자형 단면의 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은 상기 안착부재의 중심점(C)에서 상기 안착부재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지점까지 잇는 가상선(L)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seating hole having a T-shaped cross sec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ating member, and the seating hole is defined with respect to a virtual line L extending from a center point C of the seating member to a radially outer end point of the seating member And may be formed symmetrically.

이때, 상기 안착부재의 타측에는 와이어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draw-in hole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member so that the wire can be drawn in.

이때, 상기 클립부재는 타측에 상기 안착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평면을 구비한 결합부 및 상기 클립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클립부재 연결부의 일단부가 상기 클립부재의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부재 연결부의 일측을 파지하는 그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lip member has a coupling portion having a plan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on the other side, and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lip member And a grip portion for gripping one side of the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

이때, 상기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센서 지지부재의 외주면 상에 볼트부재로 나사 결합되고, 상기 그립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볼트부재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or supporting member with a bolt member, and one end of the grip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support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lt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차륜에 연결된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의 토크를 측정하고, 롤 모멘트를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torque of a pair of stabilizer bars connected to the wheels and control the roll moment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커플러 내부에 토크측정 센서부가 장착되어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설정된 회전 각도를 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선회구간 및 회전구간에서 롤 모멘트를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orque measuring sensor is mounted inside the coupler to precisely measure the torque generated in the pair of stabilizer bars to prevent rotation beyond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nd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roll moment in the rotation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커플러 내부에 설치되어 스트레인 게이지의 내구성 및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train gauge inside the coupler to increase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train gau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장착되는 곳의 강성을 크게 하여, 미세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고 인쇄회로 기판을 통해서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측정한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모멘트의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rigidity at the place where the strain gauge is mounted so as to cause micro-deformation, and amplifies the electric signal of the torsional moment of the stabilizer bar measured on the strain gauge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토크측정 센서부를 커플러 내부의 설치홈에 체결함으로써 센서 고장 시 재 가공이 간편하고 전기적 신호에 왜곡을 없앨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worked when a sensor fails and can eliminate distortion in an electrical signal by fastening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to the mounting groove in the coup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부 및 클립부재 연결부의 강성, 두께가 달라서 스트레인 게이지에 전달되는 토크를 줄여 센싱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orque transmitted to the strain gauge by varying the rigidity and thickness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and the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strain gauge is mounted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sensing rang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스태빌라이저 바에 발생하는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설치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으며, 토크 측정이 용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installing a sepa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torque generated in the stabilizer bar, reduce installation cost, and facilitate torque measurement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의 댐핑부 및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의 토크측정 센서부가 장착된 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의 토크측정 센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의 센서 지지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의 토크측정 센서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의 토크 측정부가 장착된 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amping portion and a fixing member of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r equipped with a torque measuring sensor part of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rque sensor unit of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 sensor supporting member of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rque sensor portion of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r equipped with a torque measuring portion of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에서 볼 때 모터에서 제1 스태빌라이저 바 쪽을 전방으로 규정하고, 제1 스태빌라이저 바에서 모터 쪽을 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rst stabilizer bar side of the motor is defined forward and the first stabilizer bar is defined rearward of the motor.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1)는 별도의 설치기구 없이 장착된 센서로부터 스태빌라이저 바(10)의 토크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바(10) 및 액추에이터(20)를 포함한다.1, the active roll stabiliz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torque of the stabilizer bar 10 from a sensor mounted without a separate mounting mechanism, And an actuator (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1)는 차륜에 연결된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10)의 토크를 측정하고, 롤 모멘트를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torque of a pair of stabilizer bars 10 connected to the wheels and control the roll moment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1)는 전자식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Electronic Active Roll Stabiliz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전자식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1)는 차량의 선회구간 및 회전구간에서 롤 앵글(Roll Angle)을 변화시켜 차량의 안정성을 도모한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ut not limited to, an electronic active roll stabilizer. Such an electronic active roll stabilizer 1 changes the roll angle in the turning section and the turning section of the vehicl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10) 각각의 일단부는 차량의 좌우 차륜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타단부는 액추에이터(2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10)는 차량 운행시 차량의 롤 거동을 제어하며 모터(30)가 구동되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1 and 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stabilizer bars 1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ctuator 20 Can be combined. In addition, the pair of stabilizer bars 10 control the roll behavio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when the motor 30 is driv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1)는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10)와 연결된 액추에이터(20)를 통해서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모멘트를 제어하여 차량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posture of the vehicle by controlling the torsional moment of the stabilizer bar through the actuator 20 connected to the pair of stabilizer bars 10. [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10)는 제1 스태빌라이저 바(11) 및 제2 스태빌라이저 바(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태빌라이저 바(11) 및 제2 스태빌라이저 바(13)는 모터(30)의 회전축(미도시)의 연장선 상에 하우징(21)의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2,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stabilizer bars 10 may include a first stabilizer bar 11 and a second stabilizer bar 13. At this time, the first stabilizer bar 11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13 are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ousing 21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rotation shaft (not shown) of the motor 30.

이때, 제1 스태빌라이저 바(11)는 하우징(21)의 일단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전단부에 결합되고, 제2 스태빌라이저 바(13)는 하우징의 타단부, 예를 들어, 하우징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tabilizer bar 11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ousing 21, for exampl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housing as shown in Fig. 2,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13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housing, For example, to the rear end of the housing.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20)는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10)의 비틀림 모멘트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우징(21), 모터(30), 유성기어부(40), 댐핑부(50) 및 토크측정 센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actuator 20 includes a housing 21, a motor 30, a planetary gear unit 40, and a driving unit 40 for adjusting a torsional moment of the pair of stabilizer bars 10. In this embodiment, A damping unit 50 and a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70. [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21)은 원통 형상으로 모터(30), 유성기어부(40), 댐핑부(50) 및 토크측정 센서부(70)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2,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21 has a cylindrical shape such that the motor 30, the planetary gear unit 40, the damping unit 50, and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70 ar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21 A hollow portion can b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21) 내부에는 모터(30)가 고정되고, 모터가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되면 하우징에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생하는 비틀림 모멘트를 기초로 스태빌라이저 바에 발생하는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Furth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30 is fixed inside the housing 21, and when the motor is driven in a state where the motor is fixed inside the housing, a torsional moment may be generated in the housing. The torque generated in the stabilizer bar can be measured based on the twisting moment generated in this mann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의 댐핑부 및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의 토크측정 센서부가 장착된 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amping portion and a fixing member of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r equipped with a torque measuring sensor part of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3)는 원통 형상으로 하우징(21)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댐핑부(50) 및 토크측정 센서부(70)를 하우징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3, the fixing member 23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1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fix the damping portion 50 and the torque measuring sensor portion 70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3)의 중심부에는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장착홀(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홀(23a)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장착홀 내에는 댐핑부(50) 및 토크측정 센서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hole 23a penetrating the fixing member 2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member 23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member 23. 3, the mounting hole 23a may have a circular section and a damping portion 50 and a torque measurement sensor portion 70 may be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3)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모터(30) 및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10)가 작동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때 댐핑부(50)와 고정부재(23) 사이에는 베어링 부재(57)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23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can absorb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motor 30 and the pair of stabilizer bars 10 operate. At this time, a bearing member 57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damping portion 50 and the fixing member 23.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터(30)는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미도시) 및 스테이터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회전하는 로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2,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30 includes a stator (not shown) that generates magnetic force when power is applied and a rotor (not shown) that rotates by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stator can do.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터(30)는 하우징(21) 내부 일측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성기어부(40) 및 댐핑부(50) 사이에 위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터(30)는 전방에 유성기어부(40)와 연결되고, 후방에 댐핑부(50)가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30 can be driven and positioned between the planetary gear unit 40 and the damping unit 50, as shown in FIG. 2, for example, at one side of the housing 21.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30 may be connected to the planetary gear unit 40 in front and the damping unit 50 may be located in the rear.

도 2를 참고하면, 유성기어부(40)는 하우징(21) 내부에 위치하고 선기어(미도시), 유성기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성기어부(40)는 모터(30)와 제1 스태빌라이저 바(11) 사이에서 모터의 회전력을 제1 스태빌라이저 바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유성기어부(40)는 단수를 더할수록 기어비가 커지는 감속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lanetary gear unit 40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21 and may include a sun gear (not shown) and a planetary gear (not shown). In addition, the planetary gear unit 40 can provid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between the motor 30 and the first stabilizer bar 11 to the first stabilizer bar. At this time, the planetary gear unit 40 may include a speed reducer (not shown) having a larger gear ratio as the number of stages increases.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댐핑부(50)는 캐리어(51), 커플러(59) 및 댐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댐핑부(50)는 하우징(21) 내부 타측,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후방측에 모터(30)와 제2 스태빌라이저 바(13) 사이에 위치된다. Referring to FIG. 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ing portion 50 may include a carrier 51, a coupler 59, and a damper (not shown). At this time, the damping portion 50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21, for example, between the motor 30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13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as shown in Fig.

한편, 댐핑부(50)는 모터(30)에서 후방으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모터 및 유성기어부(4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제1 스태빌라이저 바(11)로 제공되면서 발생된 비틀림을 제2 스태빌라이저 바(13)가 비틀어지면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The damping unit 50 is spaced rearward from the motor 30 so that the torsion generated when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motor and the planetary gear unit 40 is supplied to the first stabilizer bar 11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tabilizer bar 13 Can be twisted to absorb vibration.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리어(51)는 하우징(2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캐리어 몸체(53) 및 연결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er 51 may be rotatably supported within the housing 21 and may include a carrier body 53 and a connecting member 55.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리어 몸체(53)는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서 일면,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결합홈(53a)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er body 53 is cylindrical in a shape that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coupling groove 53a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for example, the entire surface as shown in FIG.

도 3을 참고하면, 캐리어 몸체(53)는 고정부재(23)의 장착홀(23a) 내부에 위치되고, 캐리어 몸체와 고정부재 사이에는 베어링 부재(57)가 구비되어 캐리어 몸체는 베어링 부재에 의해 하우징(21)에 지지될 수 있다. 3, the carrier body 53 is located inside the mounting hole 23a of the fixing member 23, and a bearing member 57 is provided between the carrier body and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carrier body is supported by the bearing member And can be supported by the housing 21.

이때, 베어링 부재(57)는 복수 개로 형성된 복열 베어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t this time, the bearing member 57 may be a double row bearing formed in a plural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리어(51)는 캐리어 몸체(53)에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55)는 캐리어 몸체(53)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스태빌라이저 바(13)와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er 51 may include a cylindrical connecting member 55 extending rearwardly to the carrier body 53.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55 protrudes outwardly of the carrier body 53 and can be engaged with the second stabilizer bar 13.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재(55)는 중심부에 단면이 원형 형상인 연결홈(55a)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55a)은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1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55 may be formed with a connecting groove 55a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t the central portion. The connecting groove 55a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ir of stabilizer bars 10, and one end of one of the pair of stabilizer bars can be inserted and engaged.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홈(55a)은 제2 스태빌라이저 바(13)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ng groove 55a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tabilizer bar 13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리어(51)는 일측, 연결부재(55)의 연결홈(55a)에 제2 스태빌라이저 바(13)와 결합될 수 있고, 캐리어의 타측, 캐리어 몸체(53)의 결합홈(53a)에 커플러(59) 및 댐퍼가 위치될 수 있다. 2 and 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er 51 can be coupled with the second stabilizer bar 13 at one side, the connecting groove 55a of the connecting member 55, The coupler 59 and the damper may be positioned in the coupling groove 53a of the carrier body 53 on the other side.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커플러(59)는 모터(30)의 회전축(미도시)의 연장선 상에 모터의 후방부에 이격 배치됨으로써 모터 및 유성기어부(4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제1 스태빌라이저 바(11)로 제공되면서 발생된 비틀림을 제2 스태빌라이저 바(13)가 비틀어지면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3, the coupler 59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motor on the extension of the rotation shaft (not shown) of the motor 30,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motor and the planetary gear unit 4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he second stabilizer bar 13 can be twisted so that the twist generated while being supplied to the bar 11 can be absorbed by the vib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플러(59)는 커플러 몸체(61) 및 돌출부(63)를 포함하여, 캐리어(51)와 결합되고 하우징(21)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63)는 댐퍼와 함께 캐리어(51)의 결합홈(53a)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er 59 may be coupled to the carrier 51 and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1, including the coupler body 61 and the protrusion 63. In this case, At this time, the projecting portion 63 can be fitted to the coupling groove 53a of the carrier 51 together with the damp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플러(59)는 모터(30) 및 제1 스태빌라이저 바(11)를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댐퍼 및 캐리어(51)를 통해 제2 스태빌라이저 바(13)로 전달한다.The coupler 59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through the motor 30 and the first stabilizer bar 11 to the second stabilizer bar 13 through the damper and the carrier 51 .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플러 몸체(61)는 원판 형상으로 하우징(21)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63)는 커플러 몸체(61)의 일면,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 몸체의 중심부에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3 and 4,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er body 6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1 in a disc shape. On the other hand, the projecting portion 63 may extend rearwardly on one side of the coupler body 61, for example, the center portion of the coupler body as shown in FIG.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플러(59)는 커플러 몸체(61) 및 돌출부(63)의 중심부에는 토크측정 센서부(70)가 장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인 설치홈(65)이 형성될 수 있다.3, the coupler 59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upler body 61 and the protrusion 63 with an installation groove 65 (see FIG. 3), which is a housing space in which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70 can be mounted,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토크측정 센서부를 커플러 내부의 설치홈에 체결함으로써 센서 고장 시 재 가공이 간편하고 전기적 신호에 왜곡을 없앨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worked when a sensor fails and can eliminate distortion in an electrical signal by fastening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to the mounting groove in the coup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플러(59)의 설치홈(65)에는 토크측정 센서부(70)가 장착되어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10)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설정된 회전 각도를 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선회구간 및 회전구간에서 롤 모멘트를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 torque measuring sensor unit 70 is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65 of the coupler 59 to precisely measure the torque generated by the pair of stabilizer bars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rotating and to control the roll moment in the turning section and the rotation section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의 토크측정 센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의 센서 지지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의 토크측정 센서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rque sensor unit of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 sensor supporting member of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rque sensor portion of an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토크측정 센서부(70)는 센서 지지부재(71), 스트레인 게이지(미도시), 인쇄회로 기판(73) 및 체결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토크측정 센서부(70)는 모터(30)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에 위치되고, 커플러(59) 내부에 고정되어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10)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5 and 6,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rque measuring sensor unit 70 includes a sensor supporting member 71, a strain gauge (not shown), a printed circuit board 73 and a fastening portion 76, . ≪ / RTI > At this time,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70 is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30 and is fixed inside the coupler 59 to measure the torque generated in any one of the pair of stabilizer bars 10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1)는 커플러(59) 내부에 토크측정 센서부(70)가 장착되어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10)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설정된 회전 각도를 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선회구간 및 회전구간에서 롤 모멘트를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orque measuring sensor unit 70 is mounted inside the coupler 59 to precisely measure the torque generated in the pair of stabilizer bars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rotating beyond an angle and to control the roll moment in the turning section and the rotation section of the vehicle so as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지지부재(71)는 모터(50)의 회전축의 연장선의 동심축 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지지부재(71)는 센서 장착부(71a) 및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71b)를 포함할 수 있다. 5,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support member 71 may be disposed on the concentric axis of the extension line of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50. [ In addition, the sensor supporting member 71 may include a sensor mounting portion 71a and a pair of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s 71b.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장착부(71a)에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스트레인 게이지는 스태빌라이저 바(10)의 비틀림 모멘트를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ain gage may be mounted on the sensor mounting portion 71a. At this time, the strain gauge can detect the torsional moment of the stabilizer bar 10 and output it as an electric signal.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장착부(71a) 및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71b)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센서 장착부(71a)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71b)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ounting portion 71a and the pair of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s 71b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 sec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urther, a pair of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s 71b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71a.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장착부(71a)는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71b)와 연결된 부분이 소정의 각도를 갖고 기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장착부(71a) 및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71b)는 별개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ounting portion 71a may be formed such th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pair of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s 71b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ounting portion 71a and the pair of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s 71b may be separately coupled, but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장착부(71a) 및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71b)의 강성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센서 장착부(71a)의 강성은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71b)의 강성보다 크게 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ity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71a and the pair of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s 71b may be different. That is, the rigidity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71a can be made larger than the rigidity of the pair of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s 71b.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장착부(71a)의 두께(t2)는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71b)의 두께(t1)보다 커서 센서 장착부의 강성이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71b)의 강성보다 크게 할 수 있다. 6, the thickness t2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71a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pair of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s 71b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larger than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71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장착부(71a)의 강성이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71b)의 강성보다 크므로 인해서 외부에서 토크가 인가되어도 센서 장착부의 비틀림을 작게 하여 전달되는 토크의 양을 감쇄시킬 수 있다.Since the rigidity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71a is greater than the rigidity of the pair of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s 71b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orqu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torsion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is reduced, .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1)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장착되는 곳의 강성을 크게 하여, 미세 변형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인 게이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active roll stabiliz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rigidity at the place where the strain gauge is mounted, thereby causing micro-deformation, thereby preventing breakage of the strain gaug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1)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부(71a) 및 클립부재 연결부(71b)의 강성, 두께가 달라서 스트레인 게이지에 전달되는 토크를 줄여 센싱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active roll stabiliz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orque transmitted to the strain gauge by varying the rigidity and thickness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71a and the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 71b on which the strain gauge is mounted, As shown in Fig.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장착부(71a)는 센서 지지부재(71)의 길이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 기판(73)은 센서 장착부(71a)의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6,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ounting portion 71a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nsor supporting member 71, that 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 73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mounting portion 71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1)는 스트레인 게이지와 인쇄회로 기판(73)을 이격되게 배치하여 토크측정 센서부(70)를 모듈화할 수 있고 인쇄회로 기판을 이용하여 토크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dularize the torque measuring sensor unit 70 by disposing the strain gaug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73 apart from each other,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1)는 인쇄회로 기판(73)을 통해서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측정한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모멘트의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tive roll stabiliz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mplify the electric signal of the torsional moment of the stabilizer bar measured on the strain gauge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73. [

이때, 인쇄회로 기판(73)은 클립부재 연결부(71b)의 상부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트부재(75)에 의해 나사 결합되어 센서 지지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inted circuit board 73 may be screw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 71b by the first bolt member 75 and fixed to the sensor supporting member as shown in FIG.

한편, 인쇄회로 기판(73)은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측정한 스태빌라이저 바(10)의 비틀림 모멘트의 전기적인 신호를 일정한 범위 내로 증폭시킬 수 있는 제어회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73 may include a control circuit (not shown) that can amplify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torsional moment of the stabilizer bar 10 measured by the strain gaug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또한, 인쇄회로 기판(73)은 케이블을 통해 전자식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식 제어 유닛(ECU)은 토크측정 센서부(70)에 의해 측정된 토크를 기초로 상황에 맞는 차량의 롤 앵글을 보상하기 위한 토크를 산출하며 이 토크를 기초로 액추에이터(20)를 통해 스태빌라이저 바(10)를 동작시켜 이로부터 차량의 롤 모멘트를 감소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 73 can be connected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via a cab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calculates a torque for compensating the roll ang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torque measured by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70, and based on this torque, The stabilizer bar 10 can be operated through the camshaft 20 to reduce the roll moment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ride comfort.

즉, 선회 시 원심력에 의한 차량의 좌우 쏠림 현상에 대해 액추에이터(20)를 회전시켜 그에 따른 비틀림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양쪽의 스태빌라이저 바(10)를 통해 차량의 자세를 능동적으로 정상 직진 주행 상태와 유사하게 만든다.In other words, by rotating the actuator 20 against the left-right deflection of the vehicle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at the time of turning, a torsional force is generated thereby to positively control the posture of the vehicle through both stabilizer bars 10 I make it.

한편, 전자식 제어 유닛(ECU)은 차량의 주행에 대한 모든 정보가 획득되며 이 정보들은 전자식 제어 유닛(ECU)으로 집합되어 전자식 제어 유닛(ECU)을 통해 동작 명령을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cquires all information about the running of the vehicle, and the information is gathered in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nd delivers the operation command throug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센서 지지부재(71)의 양 단부 예를 들어,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71b)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체결부(76)가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1)는 체결부(76)를 통해 토크측정 센서부(70)를 커플러(59) 내부의 설치홈(65)에 체결함으로써 센서 고장 시 재 가공이 간편하고 전기적 신호에 왜곡을 없앨 수 있다.5, the fastening portions 76 ar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pair of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s 71b at both ends of the sensor supporting member 71, The active roll stabiliz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easy to rework when the sensor is broken by fastening the torque measuring sensor portion 70 to the mounting groove 65 inside the coupler 59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76, Distortion can be eliminated.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76)는 안착부재(77) 및 클립부재(7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착부재(77) 및 클립부재(79)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부재(77)는 원판 형상이고, 한 쌍으로 형성되어 센서 지지부재()의 양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ortion 76 may include a seating member 77 and a clip member 79. At this time, the seating member 77 and the clip member 79 may be formed as a pair.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members 77 are disc-shaped and can be formed as a pair and can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nsor support member.

이때 안착부재(77)의 외주면은 커플러(59) 내부에 형성된 설치홈(65)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센서 지지부재(71)가 설치홈에 삽입됨으로써 안착부재(77)는 커플러(59)의 개방된 설치홈(65)을 막음으로써 토크측정 센서부(70)가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토크측정 센서부(70)를 보호할 수 있다.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77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groove 65 formed in the coupler 59 and the sensor supporting member 71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so that the seating member 77 is opened The internal space in which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70 is installed can b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70 can be protected.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안착부재(77) 중 하나는 설치홈(65)의 내부면에 접하고, 또 다른 하나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pair of seating members 77 abuts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65, and the other is exposed to the outside.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부재(77)는 일측에 T자형 단면의 안착홀(77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홀(77a)은 안착부재(77)의 단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member 77 may be formed with a seating hole 77a having a T-shaped cross section at one side thereof. At this time, the seating hole 77a may extend to the end of the seating member 77. [

한편, 본 발멸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홀(77a)은 안착부재(77)의 중심점(C)에서 안착부재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지점까지 잇는 제1 가상선(L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ating hole 77a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inary line L1 extending from the center point C of the seating member 77 to the radially outer end point of the seating member .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부재(77)에는 안착홀(77a)이 형성됨으로써 제2 볼트부재(83)를 통해 나사 결합 시 안착부재의 안착홀이 형성된 부분이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커플러(59) 내부에 접하여 안착부재가 커플러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ating hole 77a is formed in the seating member 77, the portion where the seating hole of the seating member is formed when the screw is coupled through the second bolt member 83, 59 so that the seating member can be fixed inside the coupler.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볼트부재(83)는 안착홀(77a)의 중심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홀(77a)에는 제2 볼트부재(83)가 삽입되는 부분은 원형 단면의 삽입홀(77d)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볼트부재(83)가 안착홀(77a)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원형 단면의 삽입홀(77d)이 형성되어 제2 볼트부재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7,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lt member 83 can b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eating hole 77a. At this time, the insertion hole 77d may be formed with a circular-section insertion hole 77d in a portion where the second bolt member 83 is inserted.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lar-sectioned insertion hole 77d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bolt member 83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hole 77a so that the second bolt member can be easily inserted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지지부재(71) 및 안착부재(77)는 별개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supporting member 71 and the seating member 77 may be separately coupled, but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부재(77)의 타측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재의 상부측에는 와이어(미도시)가 인입될 수 있도록 원형 단면의 인입홀(77c)이 형성될 수 있다. 7, an inlet hole 77c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member so as to allow a wire (not shown) to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member 77,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1)는 안착부재(77)에 인입홀(77c)이 형성됨으로써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인쇄회로 기판(7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와이어를 인입홀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인쇄회로 기판(7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let hole 77c is formed in the seating member 77 so that the wire necessar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train gag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73 to the inlet hole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rain gage and printed circuit board 73 in the inserted state.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부재(77)의 중심점(C)과 인접하게 제1 가상선(L1)을 기준으로 양 측에는 체결홀(77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부재(77)에 체결홀(77b)이 형성됨으로써 제3 볼트부재(85)를 통해 안착부재(77)는 클립부재(79)와 결합될 수 있다.5 and 7,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ing hole 77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inary line L1 adjacent to the center point C of the seating member 77 have.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stening hole 77b is formed in the seating member 77, the seating member 77 can be coupled with the clip member 79 through the third bolt member 85.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클립부재(79)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단면이 C자 형상으로써 개구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용부(79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클립부재(79)의 수용부(79a)에는 클립부재 연결부(71b)의 외측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p members 79 may be formed as a pair, and a receiving portion 79a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and an opening extending in one direction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outer end of the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 71b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79a of the clip member 79 and fixed thereto.

또한,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클립부재(79)는 결합부(81) 및 그립부(82)를 포함함으로써 클립부재의 일측은 안착부재(77)와 결합될 수 있고 타측은 센서 지지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5,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p member 79 includes the engagement portion 81 and the grip portion 82 so that one side of the clip member can be engaged with the seat member 77, Side can be engaged with the sensor supporting memb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81)는 안착부재(77)의 일면에 결합되도록 평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81)에는 제3 볼트부재(85)가 관통될 수 있도록 결합홀(81a)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81 may have a flat surface to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77. In addition, a coupling hole 81a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81 so that the third bolt member 85 can pass therethrough.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볼트부재(85)는 안착부재(77)의 체결홀(77b) 및 결합부(81)의 결합홀(81a)에 삽입되어 관통됨으로써 안착부재와 클립부재(79)를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third bolt member 85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77a of the seating member 77 and the coupling hole 81a of the coupling portion 81, (79).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립부(82)는 클립부재(79)의 양 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립부(82)는 클립부재 연결부(71b)의 일단부가 수용부(79a)에 삽입된 상태에서 클립부재 연결부(71b)의 일측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8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clip member 79. At this time, the grip portion 82 can be formed so that one end of the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 71b can be gripped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 71b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portion 79a.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립부(82)는 클립부재 연결부(71b)의 외측면이 접하여 클립부재 연결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립부(82)는 안착부재(77)의 중심점(C)에서 안착부재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지점까지 잇는 가성선(L1)에 수직한 제2 가상선(L2)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82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 71b contacts with the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 The grip portion 82 is tilted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imaginary line L2 perpendicular to the false line L1 extending from the center point C of the seating member 77 to the radially outer end point of the seating member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립부(82)의 단부에는 지지홈(8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홈(82a)은 제1 볼트부재(75)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groove 82a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grip portion 82. [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groove 82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lt member 7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1)는 인쇄회로 기판(73)이 클립부재 연결부(71b)에 제1 볼트부재(75)를 통해 나사 결합될 때, 제1 볼트부재는 지지홈에 안착될 수 있다. When the printed circuit board 73 is screwed to the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 71b through the first bolt member 75, the active bolt memb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Lt; / RTI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21) 내부에는 모터(30)와 토크측정 센서부(70)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모터와 토크측정 센서부 사이에 전자식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Electronic Active Roll Stabilizer)가 작동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The motor 30 and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70 are provided in the housing 21 but an electronic active roll stabilizer is installed between the motor and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Several devices for operation can be insta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차륜에 연결된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의 토크를 측정하고, 롤 모멘트를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torque of a pair of stabilizer bars connected to the wheels and control the roll moment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커플러 내부에 토크측정 센서부가 장착되어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설정된 회전 각도를 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선회구간 및 회전구간에서 롤 모멘트를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orque measuring sensor is mounted inside the coupler to precisely measure the torque generated in the pair of stabilizer bars to prevent rotation beyond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nd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roll moment in the rotation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커플러 내부에 설치되어 스트레인 게이지의 내구성 및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train gauge inside the coupler to increase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train gau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장착되는 곳의 강성을 크게 하여, 미세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고 인쇄회로 기판을 통해서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측정한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모멘트의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rigidity at the place where the strain gauge is mounted so as to cause micro-deformation, and amplifies the electric signal of the torsional moment of the stabilizer bar measured on the strain gauge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토크측정 센서부를 커플러 내부의 설치홈에 체결함으로써 센서 고장 시 재 가공이 간편하고 전기적 신호에 왜곡을 없앨 수 있다.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worked when a sensor fails and can eliminate distortion in an electrical signal by fastening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to the mounting groove in the coup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부 및 클립부재 연결부의 강성, 두께가 달라서 스트레인 게이지에 전달되는 토크를 줄여 센싱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orque transmitted to the strain gauge by varying the rigidity and thickness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and the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strain gauge is mounted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sensing rang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스태빌라이저 바에 발생하는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설치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으며, 토크 측정이 용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ctive roll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installing a sepa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torque generated in the stabilizer bar, reduce installation cost, and facilitate torque measurement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10 : 스태빌라이저 바
11 : 제1 스태빌라이저 바 13 : 제2 스태빌라이저 바
20 : 액추에이터 21 : 하우징
23 : 고정부재 23a : 장착홀
30 : 모터 40 : 유성기어부
50 : 댐핑부 51 : 캐리어
53 : 캐리어 몸체 53a : 결합홈
55 : 연결부재 55a : 연결홈
57 : 베어링 부재 59 : 커플러
61 : 커플러 몸체 63 : 돌출부
65 : 설치홈 70 : 토크측정 센서부
71 : 센서 지지부재 71a : 센서 장착부
71b : 클립부재 연결부 73 : 인쇄회로 기판
75 : 제1 볼트부재 76 : 체결부
77 : 안착부재 77a : 안착홀
77b : 체결홀 77c : 인입홀
77d : 삽입홀 79 : 클립부재
79a : 수용부 81 : 결합부
81a : 결합홀 82 : 그립부
82a : 지지홈 83 : 제2 볼트부재
85 : 제3 볼트부재
1: Active roll stabilizer 10: Stabilizer bar
11: first stabilizer bar 13: second stabilizer bar
20: actuator 21: housing
23: Fixing member 23a: Mounting hole
30: motor 40: planetary gear unit
50: damping portion 51: carrier
53: Carrier body 53a: Coupling groove
55: connecting member 55a: connecting groove
57: Bearing member 59: Coupler
61: Coupler body 63:
65: Installation groove 70: Torque measurement sensor part
71: sensor supporting member 71a: sensor mounting part
71b: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 73: printed circuit board
75: first bolt member 76: fastening portion
77: seating member 77a: seating hole
77b: Fastening hole 77c: Inlet hole
77d: insertion hole 79: clip member
79a: receiving portion 81: coupling portion
81a: coupling hole 82: grip portion
82a: Support groove 83: Second bolt member
85: third bolt member

Claims (12)

차량의 좌우 차륜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 및
상기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액추에이터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력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를 측정할 수 있는 토크측정 센서부를 포함하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A pair of stabilizer bars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vehicle; And
And an actuator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stabilizer bars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pair of stabilizer bars,
The actuator
A mot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 housing coupled between the pair of stabilizer bars and having the motor disposed therein; And
And a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located on an extens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inside the housing and capable of measuring a torque transmitted by the rotation for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측정 센서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의 동심축 상으로 배치되는 센서 지지부재 및
상기 센서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지지부재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부 및 상기 센서 장착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 장착부의 강성보다 작은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를 포함하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rque measuring sensor unit
A sensor supporting member disposed on a concentric axis on an extens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and
And a strain gauge mounted on the sensor support member,
The sensor support member
And a pair of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s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sensor mount portion and smaller than the rigidity of the sensor mount portion, the sensor mount portion being mounted with the strain gaug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의 두께(t1)는 상기 센서 지지부재의 두께(t2) 보다 작은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hickness t1 of the pair of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s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sensor supporting memb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재의 외주면 상에 인쇄회로 기판이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측정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모멘트의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어회로가 구비되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rinted circuit board is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or support member and a control circuit for amplifying an electrical signal of a torsional moment of the stabilizer bar measured by the strain gauge is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모터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토크측정 센서부가 내부에 설치되는 커플러; 및
일측이 상기 커플러의 타측과 결합되고, 타측이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캐리어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모터 및 상기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바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댐핑부를 포함하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3. The method of claim 2,
A coupler disposed on an extension of a rotation axis of the motor in the housing and having one side thereof supporting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unit being installed inside; And
And a damping unit that includes a carrier coupled to one of the pair of stabilizer bars at one side thereof, and a vibration absorbing vibration generated at the motor and the pair of stabilizer bars at the inside of the housing Active roll stabiliz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원판 형의 커플러 몸체 및
상기 커플러 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몸체 및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에는 토크측정 센서부가 장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인 설치홈이 형성되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upler
A disc-shaped coupler body and
And a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upler body and coupled to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arrier,
Wherein an attachment groov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oupler body and the protrusion, the attachment groove be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can be mounted.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립부재 연결부의 일단부에는 각각 체결부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설치홈의 개방된 타단부를 막음으로써 상기 토크측정 센서부가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격리되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s is coupled with a coupling portion, and one of the coupling portions blocks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installation groove, so that the internal space, in which the torque measurement sensor portion is installed, Roll stabiliz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원판 형상의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클립부재 연결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C자형 단면의 클립부재를 포함하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astening portion
A disk-shaped seating member and
And a clip member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and having a C-shaped cross-sectioned clip portion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one end of the clip member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는 T자형 단면의 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은 상기 안착부재의 중심점(C)에서 상기 안착부재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지점까지 잇는 가상선(L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9. The method of claim 8,
A seating hole having a T-shaped cross sec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ating member,
Wherein the seating hole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line (L1) connecting from a center point (C) of the seating member to a radially outer end point of the seating memb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타측에는 와이어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홀이 형성되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n inlet ho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member so that a wire can be drawn in.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는
타측에 상기 안착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평면을 구비한 결합부 및
상기 클립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클립부재 연결부의 일단부가 상기 클립부재의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부재 연결부의 일측을 파지하는 그립부를 더 포함하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lip member
An engaging portion having a flat surfac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on the other side,
Further comprising a grip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lip member and gripping one side of the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 while one end of the clip member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lip memb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센서 지지부재의 외주면 상에 볼트부재로 나사 결합되고, 상기 그립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볼트부재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지지홈이 형성되는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screw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or supporting member with a bolt member and one end of the grip portion is formed with a support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lt member.
KR1020160129629A 2016-10-07 2016-10-07 Active Roll Stabilizer KR1025365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29A KR102536588B1 (en) 2016-10-07 2016-10-07 Active Roll Stabil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29A KR102536588B1 (en) 2016-10-07 2016-10-07 Active Roll Stabiliz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687A true KR20180038687A (en) 2018-04-17
KR102536588B1 KR102536588B1 (en) 2023-05-25

Family

ID=6208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629A KR102536588B1 (en) 2016-10-07 2016-10-07 Active Roll Stabiliz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58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459B1 (en) 2018-06-08 2019-09-16 주식회사 만도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DE102019208387A1 (en) 2018-06-08 2019-12-12 Mando Corporatio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20190139631A (en) 2018-06-08 2019-12-18 주식회사 만도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049A (en) * 2007-09-03 2009-03-0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Weight sensor for car
US20090152824A1 (en) * 2006-08-26 2009-06-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ctive, Divided Motor Vehicle Stabilizer Having an Incorporated Pivot Motor
KR20130120472A (en) * 2010-09-30 2013-11-04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Split roll stabilizer
KR20150018987A (en) * 2013-08-12 2015-02-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ctuator of vehicle and torsion damper of the said actu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2824A1 (en) * 2006-08-26 2009-06-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ctive, Divided Motor Vehicle Stabilizer Having an Incorporated Pivot Motor
KR20090024049A (en) * 2007-09-03 2009-03-0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Weight sensor for car
KR20130120472A (en) * 2010-09-30 2013-11-04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Split roll stabilizer
KR20150018987A (en) * 2013-08-12 2015-02-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ctuator of vehicle and torsion damper of the said actu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459B1 (en) 2018-06-08 2019-09-16 주식회사 만도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DE102019208387A1 (en) 2018-06-08 2019-12-12 Mando Corporatio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20190139631A (en) 2018-06-08 2019-12-18 주식회사 만도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10940735B2 (en) 2018-06-08 2021-03-09 Mando Corporatio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588B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5126B (en) Active roll stabilizer
US10232904B2 (en) Leaning vehicle
KR20180038687A (en) Active Roll Stabilizer
JP4444046B2 (en) Subframe mechanism
JP5790205B2 (en) Torque sensor
US7793556B2 (en) Torque sensor for a steering wheel
JP2004205489A (en) Apparatus for measuring seat load
CN109866586A (en) The mounting structure of wheel hub electric motor unit
KR102445023B1 (en) Active Roll Stabilizer
KR20180007859A (en) Active Roll Stabilizer
JP2002019683A (en) Torque detection device of power-assisted bicycle and power-assisted bicycle using the same
KR20170114864A (en) Bearing assembly of steering apparatus
JP5876762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2012056381A (en) Suspension device of automobile
WO2016017226A1 (en) Knuckle structure
KR20110008716A (en) Reducer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491181B1 (en) Bush mounting arrangement for vehicle
KR20170030934A (en) Electronic Active Roll Stabillizer apparatus using TAS sensor
KR102461612B1 (en) Active Roll Stabilizer
US11156484B2 (en) Vehicle sensor armor system
KR101971532B1 (en) Electronic active roll stabilizer
JP2000335475A (en) Driving unit for bicycle with auxiliary power and bicycle with auxiliary power
JP4816342B2 (en) Vehicle braking device
JP2007131272A (en) Vehicle height sensor
KR20170130811A (en) Bearing assembly of stee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