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453A -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453A
KR20180038453A KR1020187003529A KR20187003529A KR20180038453A KR 20180038453 A KR20180038453 A KR 20180038453A KR 1020187003529 A KR1020187003529 A KR 1020187003529A KR 20187003529 A KR20187003529 A KR 20187003529A KR 20180038453 A KR20180038453 A KR 20180038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control valve
gas
regenerator
regenerative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542B1 (ko
Inventor
히로토시 우에시마
도시오 하시즈메
Original Assignee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6Preheating the combustion air o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2Arrangements of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Supply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과제] 축열체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적절히 알리는 것이 가능한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방법, 및 축열식 버너를 이용한 연소로의 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연소로(1)의 연소실(2)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연소실 내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축열체(3a)를 가지는 축열부(3)를 구비한 축열식 버너(5)에 유통되는 연소용 공기의 유량을 계측하는 공급 유량계(11)와, 계측된 연소용 공기의 유량에 기초하여 개폐 조절되는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와, 연소용 공기가 소정 유량 유통되었을 때의 제어 밸브의 개도를 검출하는 컨트롤러(12)와, 유량계에서 계측된 연소용 공기의 유량 데이터와 컨트롤러에서 검출된 제어 밸브의 개도 데이터의 상관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제어 밸브의 개도가 미리 설정된 개도보다 커질 때 축열부의 축열체에 대한 메인터넌스 시기라는 취지를 알리는 알림부(1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본 발명은 축열체(蓄熱體)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적절히 알리는 것이 가능한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방법, 및 축열식 버너를 이용한 연소로(燃燒爐)의 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축열 상태와 연소 상태를 소정 시간마다 반복하고,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가 통과함으로써 축열된 축열체에 의해,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축열식 버너로서는, 쌍을 이루는 버너를 교호(交互)로 연소시켜, 일방의 버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가 통과함으로써 축열된 축열체에 의해, 타방의 버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직화형(直火型)의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이나, 화염을 금속제 튜브 내에서 연소시키는 축열식 라디언트 튜브 버너(radiant tube burner,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가 알려져 있다.
축열체에 축열시키는 배기 가스에는, 노내(爐內)의 더스트, 처리 재료의 스케일, 기화된 화합물 등이 섞여 있다. 이들 더스트 등이 축열체에 부착됨으로써, 유통(流通)하는 가스의 통로가 점차 폐색(閉塞)되어 간다. 이 때문에, 축열체는 정기적으로 청소나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가 필요하다. 그렇지만, 축열체의 상태는, 외부로부터 시인(視認)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축열체의 메인터넌스의 시기는, 사용자 등의 경험에 기초한 주기에 기초하여 설정되거나, 혹은 축열체의 전후(前後)에서 검출한 배기 가스의 온도의 이상(異常)에 기초하여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98328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7-103435호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9-68310호
상기와 같이, 축열체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경험에 기초한 주기나 축열체 전후의 온도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경우, 추정되는 축열체의 상태와, 실제 축열체의 상태가 일치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축열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통 가스의 통로가, 설정했던 시기보다 빨리 폐색되면, 연소로 내에, 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다. 또, 유통 가스의 통로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설정된 시기에 도달한 것에 따라서 메인터넌스를 실행하면, 연소로가 불필요하게 정지되어, 가동 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되어진 것으로서, 축열체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적절히 알리는 것이 가능한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방법, 및 축열식 버너를 이용한 연소로의 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는, 배기 가스에 의해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축열체를 가지는 축열부를 구비한 축열식 버너에 유통되는 유통 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와, 계측된 유통 가스의 유량에 기초하여 개폐 조절되는 유통 가스의 제어 밸브와, 유통 가스가 소정 유량 유통되었을 때의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開度)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유량계에서 계측된 유통 가스의 유량 데이터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 데이터와의 상관(相關)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가 미리 설정된 개도보다 커질 때, 상기 축열부의 상기 축열체에 대한 메인터넌스 시기라는 취지를 알리는 알림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통 가스의 유량으로서 상기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 가스가 계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통 가스의 유량으로서 상기 연소실 내에 공급되는 상기 연소용 공기가 계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방법은, 상기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를 이용하여, 배기 가스에 의해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상기 축열체를 가지는 상기 축열부를 구비한 상기 축열식 버너에 유통되는 유통 가스의 유량을 상기 유량계로 계측하는 계측 스텝과, 계측된 유통 가스의 유량에 기초하여 개폐 조절되는 유통 가스의 상기 제어 밸브에 있어서의, 유통 가스가 소정 유량 유통되었을 때의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를 상기 검출부로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유량계에서 계측된 유통 가스의 유량 데이터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 데이터와의 상관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가 미리 설정된 개도보다 커질 때, 상기 축열부의 상기 축열체에 대한 메인터넌스 시기라는 취지를 상기 알림 수단에서 알리는 알림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버너를 이용한 연소로의 개조 방법은, 배기 가스에 의해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축열체를 가지는 축열부를 구비한 축열식 버너에 유통되는 유통 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와, 계측된 유통 가스의 유량에 기초하여 개폐 조절되는 유통 가스의 제어 밸브와, 유통 가스가 소정 유량 유통되었을 때의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가지는 축열식 버너를 이용한 연소로에 대해, 상기 유량계에서 계측된 유통 가스의 유량 데이터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 데이터와의 상관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가 미리 설정된 개도보다 커질 때, 상기 축열부의 상기 축열체에 대한 메인터넌스 시기라는 취지를 알리는 알림 수단을 증설(增設)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방법, 및 축열식 버너를 이용한 연소로의 개조 방법에 있어서는, 축열체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적절히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및 축열식 버너를 이용한 연소로의 개조 방법의 적합한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방법의 적합한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연소용 공기 유량과 공급 유량 제어 밸브의 개도와의 상관 정보의 이미지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메인터넌스로부터 데이터 수집일까지의 경과일수와, 데이터의 취득에 있어서 얻어진 연소용 공기 유량이 100%시의 공급 유량 제어 밸브의 개도와의 상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방법, 및 축열식 버너를 이용한 연소로의 개조 방법의 적합한 일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소로(1)는 직화형의 교번 연소 방식의 축열식 버너를 이용한 연소로(1)로서, 연소실(2)과, 당해 연소실(2)의 양측으로 각각 접속되고, 세라믹 볼이나 하니콤(honeycomb) 구조 등의 축열체(3a)를 구비한 축열부(3) 및 연료 노즐(4)을 가지는 축열식 버너(5)와, 각각의 축열부(3)에 접속되어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6)과, 각각의 축열부(3)에 접속되어 굴뚝(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배기관(7)을 가지고 있다.
연소로(1)는 연소실(2)의 양측에 마련된 2개의 축열식 버너(5)가 서로 대향하여 쌍을 이루고 있고, 그리고, 쌍을 이루는 복수의 축열식 버너(5)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작교하는 방향으로, 늘어서서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연소로(1)에 한쌍의 축열식 버너(5)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1에 있어서 좌측의 축열식 버너(5)를 좌(左) 축열식 버너(L5)라고도 칭하고, 우측의 축열식 버너(5)를 우(右) 축열식 버너(R5)라고도 칭한다.
좌 축열식 버너(L5)와 우 축열식 버너(R5)에는, 분기부(5a)를 통해서, 공급관(6) 및 배기관(7)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좌 축열식 버너(L5)측의 공급관(L6)과, 우 축열식 버너(R5)측의 공급관(R6)은 각각, 개폐 전환 밸브(8)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고, 서로 접속된 공급관(6)의 접속부(5b)보다 상류측에, 공급 유량 제어 밸브(9)를 통해서, 외기(外氣)를 받아들이기 위한 공급 블로어(10)가 마련되어 있다.
또,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와 공급 블로어(10)와의 사이에는, 공급 유량계(11)가 마련되어 있고, 공급 유량계(11)에 의해 계측된 정보(유량)에 기초하여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가 컨트롤러(12)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이와 같이, 축열식 버너(5)는 주변기기를 맞추어 시스템 구성되어 있다.
좌 축열식 버너(L5)측의 배기관(L7)과, 우 축열식 버너(R5)측의 배기관(R7)은 각각, 개폐 전환 밸브(13)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고, 서로 접속된 배기관(7)의 접속부(5c)보다 하류측에, 배기 유량 제어 밸브(14)를 통해서, 배기 가스를 흡인(吸引)하기 위한 배기 블로어(15)가 마련되어 있다.
또, 배기 유량 제어 밸브(14)와 배기 블로어(15)와의 사이에는, 배기 유량계(16)가 마련되어 있고, 배기 유량계(16)에 의해 계측된 정보(유량)에 기초하여 배기 유량 제어 밸브(14)의 개도가 컨트롤러(12)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컨트롤러(12)가 각 축열식 버너(L5, R5)에 대응지어져 각각 나타나 있지만, 단일의 컨트롤러(12)에 의해 공급 유량 제어 밸브(9) 및 배기 유량 제어 밸브(14)의 개도를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좌 축열식 버너(L5)와 우 축열식 버너(R5)는, 그것의 일방에 연료 가스와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를 행하게 함과 동시에, 타방으로부터는 배기 가스를 흡인시키고, 이 연소 동작과 흡인 동작을 서로 교호로 행하게 함으르써, 흡인 동작시에는 축열부(3)에서 배기 가스로부터 배열(排熱)을 회수하고, 연소 동작시에는 축열부(3)에서 회수한 배열로 연소용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축열식 버너(L5, R5)에 있어서의 연소용 공기나 배기 가스 등의 축열식 버너(L5, R5)로의 공급·배출 계통을, 좌 축열식 버너(L5)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설명하면, 연소 동작시에는, 연소용 공기가 좌 축열식 버너(L5)로 공급된다. 연소용 공기는 공급관(L6)의 접속부(5b) 상류측에 마련한 공급 유량 제어 밸브(9)가 열리면, 공급 블로어(10)에 의해서 공급관(6) 내에 도입되고, 또한 접속부(5b)의 하류측에 마련한 좌 축열식 버너(L5)의 개폐 전환 밸브(8)를 여는 것에 의해, 축열부(3)를 통과하여 예열되면서 좌 축열식 버너(L5)로 공급된다. 이 연소 동작시에는, 우 축열식 버너(R5)측의 개폐 전환 밸브(8)는 닫혀 있다. 이 때, 우 축열식 버너(R5)에 대해서는 흡인 동작 중이고, 그에 따라서, 개폐 전환 밸브(13) 및 배기 유량 제어 밸브(14)는 열려 있다(도면 중, 밸브가 열린 상태는 하얗게 칠해서 나타내고, 닫혀진 상태는 검게 칠해서 나타내고 있다).
한편, 흡인 동작시에는, 배기 가스가 연소실(2)로부터 배출된다. 배기 가스는 배기 유량 제어 밸브(14)를 연 상태에서, 접속부(5c) 상류측에 마련된 우 축열식 버너(R5)의 개폐 전환 밸브(13)를 여는 것에 의해, 축열부(3)를 통과하여 배열이 회수되면서 풍량 제어되어 배기 블로어(15)에 의해서 연소실(2)로부터 흡인된다. 이 흡인 동작시에는, 좌 축열식 버너(L5)측의 개폐 전환 밸브(13)는 닫혀 있다. 이 때, 좌 축열식 버너(L5)에 대해서는 연소 동작 중이고, 그에 따라서, 개폐 전환 밸브(8) 및 공급 유량 제어 밸브(9)는 열려 있다.
교번 연소 방식의 축열식 버너는, 좌우의 축열식 버너(L5, R5)가 구비하고 있는 축열체(3a)에,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처리 재료의 스케일, 기화된 화합물 등이 부착되면, 공급 블로어(10)가 정상으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배기 블로어(15)가 정상으로 배기 가스를 배출했다고 하더라도, 축열부(3) 내가 막혀서, 배기 가스 및 연소용 공기의 유량이 저하된다.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 및 배기 가스의 배출량이 저하되면, 연소실(2) 내에 있어서 원하는 연소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와 공급 블로어(10)와의 사이에 마련된 공급 유량계(11)에 의해 계측된 연소용 공기의 유량에 기초하여,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를 컨트롤러(12)에 의해 제어하고, 배기 유량 제어 밸브(14)와 배기 블로어(15)와의 사이에 마련된 배기 유량계(16)에 의해 계측된 배기 가스의 유량에 기초하여, 배기 유량 제어 밸브(14)의 개도를 컨트롤러(12)에 의해 제어하고 있다.
컨트롤러(12)는 축열체(3a)가 깨끗하고 축열부(3) 내의 간극, 즉 축열체(3a) 사이의 간극이 클 때에는, 공급 유량 제어 밸브(9) 및 배기 유량 제어 밸브(14)의 개도를 작게 하고, 축열체(3a)에 (예를 들면, 세라믹 볼의 표면에), 스케일이나 기화된 화합물 등이 부착되어 축열부(3) 내의 간극이 작아지면, 공급 유량 제어 밸브(9) 및 배기 유량 제어 밸브(14)의 개도를 크게 하여 원하는 유량이 얻어지도록 제어하고 있다.
축열식 버너(5)는, 사용함에 따라서, 축열체(3a)끼리의 사이에서 막힘이 발생하여 축열부(3) 내의 간극이 점차 작아져, 공급 유량 제어 밸브(9) 및 배기 유량 제어 밸브(14)의 개도를 최대(예를 들면, 100%)로 하더라도, 원하는 연소에 필요한 유통 가스 유량(연소용 공기 유량, 배기 가스 유량)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연소로(1)에는, 원하는 연소에 필요한 유통 가스 유량이 얻어지지 않게 되기 전에, 사용자 등에게 메인터넌스의 시기에 도달했다는 취지를 알리는 알림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알림 수단은, 예를 들면 컨트롤러(12)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어되고, 메인터넌스의 시기에 도달했다는 취지를 알리는 버저나 디스플레이 등의 알림부(17)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컨트롤러(12)가 공급 유량 제어 밸브(9) 및 배기 유량 제어 밸브(14)의 개도의 검출부에 상당하고, 알림부(17)가 알림 수단에 상당한다. 여기서, 알림부(17)는 컨트롤러(12)가 구비하고 있는 버저나 디스플레이 등이어도 상관없다.
메인터넌스의 시기를 알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컨트롤러(12)에 의해 실행되면, 소정 시간마다, 예를 들면 수십 분간~1시간 정도마다, 연소로(1) 내를 유통하는 유통 가스, 구체적으로는 연소용 공기나 배기 가스의 유량이 계측된다(계측 스텝). 이 때, 계측된 유통 가스의 유량은 공급 유량 제어 밸브(9) 또는 배기 유량 제어 밸브(14)의 개도와 대응지어진 데이터로서 취득된다. 여기서, 유통 가스란, 공급 유량계(11)에 의해 계측되는 연소용 공기여도, 배기 유량계(16)에 의해 계측되는 배기 가스여도 상관없지만, 여기에서는, 연소용 공기를 유통 가스로서 설명한다.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는, 예를 들면, 공급 유량 제어 밸브(9)가 완전하게 닫힌 상태를 개도 0%, 완전하게 열린 상태를 개도 100%라고 하고, 완전하게 열린 상태에 대한 비율이 데이터로서 취득된다. 또, 연소용 공기의 유량은 흐르고 있지 않을 때를 0%, 연소실(2) 내에 있어서 원하는 연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연소용 공기의 유량을 100%로 하여, 필요한 연소용 공기의 유량에 대한 비율이 데이터로서 취득된다. 이 때, 축열부(3)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은, 축열부(3)의 폐색 상태와는 별도로, 연소실(2) 내의 온도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정한 노내 온도, 예를 들면, 일반적 조업 노온도로 환산하여 데이터가 취득되도록 설정된다.
연소용 공기의 유량과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를 대응지은 데이터로부터 연소용 공기의 유량과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상관 정보가 구해지고, 연소용 공기의 유량에 대한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근사 곡선이 구해진다. 구해진 근사 곡선으로부터, 데이터의 취득시점에 있어서의, 원하는 연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연소용 공기의 유량(이하, 필요 유량이라고 함)을 얻기 위한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이하, 필요 개도라고 함)로서 검출된다(검출 스텝). 이러한 연소용 공기의 유량에 대한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수일에 1회 또는 적당히 차례로 반복 취득된다.
도 2는 연소용 공기 유량과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의 상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 2에서는 메인터넌스 직후에 취득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으로, 또, 그 근사 곡선을 A로 나타내고, 축열체(3a)에 스케일이나 기화된 화합물 등이 부착된 후에 취득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로, 또, 그 근사 곡선을 B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는, 근사 곡선 B는,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가 100%더라도, 연소용 공기의 유량이 100%에 도달하지 않은 것이 나타내져 있다. 즉, 연소로(1)의 가동에 따라서, 계측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는, 근사 곡선 A측으로부터 근사 곡선 B측으로 변화해 간다.
근사 곡선 B와 같은 데이터가 취득되기전으로서, 예를 들면, 필요 유량이 100%인 것으로 하고, 이 필요 유량이,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가 90%에서 얻어지도록 하는 등, 메인터넌스의 시기에 도달했다는 취지를 버저나 디스플레이 표시 등의 알림부(17)에 의해 알리도록 설정해 둔다.
즉, 정기적으로 차례로 반복 실행되어, 연소용 공기의 유량과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근사 곡선이 구해지고,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근사 곡선 B로 되기 이전의 근사 곡선 C와 같이, 필요 유량(연소용 공기 유량 100%)을 얻기 위한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필요 개도가 90%가 되는 근사 곡선 C를 도출한다. 그리고, 연소용 공기의 유량과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의 포인트가, 그 근사 곡선 C를 상회했을 때, 검출부로서의 컨트롤러(12)가, 축열체(3a)의 메인터넌스의 시기에 도달했다는 취지를 알림부(17)에 의해서 알린다(알림 스텝).
도 3은 메인터넌스로부터 데이터 수집일까지의 경과일수와, 데이터의 취득에 있어서 얻어진 연소용 공기 유량이 100%시의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100% 유량 개도)와의 상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메인터넌스 후부터 데이터 취득일까지의 경과일수와, 각 회의 데이터 취득에 있어서 얻어진, 100% 유량일 때의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근사 곡선 D를 구하면, 100% 유량을 얻기 위한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필요 개도, 예를 들면 100% 개도로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전의, 예를 들면 필요 개도를 90%로 했을 때 알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날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의 그래프는, 설명의 편의상 나타낸 것이며, 컨트롤러(12)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처리상은, 그래프나 근사 곡선은 시각화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의 연소로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연소로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방법, 및 연소로의 개조 방법에 의하면, 공급 유량계(11)에서 계측된 연소용 공기의 유량 데이터와, 그에 대해 검출된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 데이터와의 상관 정보 및 근사 곡선에 기초하여, 실체에 입각한 보다 정확한 축열체(3a)의 막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 유량 제어 밸브(9)의 개도가 미리 설정된 개도(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90%)보다 커질 때, 축열부(3)에 마련된 축열체(3a)의 메인터넌스 시기라는 취지를 알리므로, 축열체(3a)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보다 적절히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는 축열체(3a)의 보다 적절한 메인터넌스 시기가 알려지므로, 작업자의 경험 등에 관계없이, 축열체(3a)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인식할 수 있다. 또, 축열체(3a)의 실태에 입각한, 계측 데이터 및 검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축열부(3)가 막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터넌스를 실행하여 불필요하게 연소로(1)를 정지시키거나, 혹은, 축열부(3)가 막힌 상태에서 연소로(1)를 계속 가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다 효율 좋게 연소로(1)를 가동시킬 수 있다.
또, 축열체(3a)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알리기 위해서, 계측되는 연소용 공기의 유량은 연소로(1)에 이미 마련되어 있는 공급 유량계(9)에 의해 계측할 수 있으므로, 컨트롤러(12)에 실행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알림부(17)를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고, 또한 염가로 실현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연소로(1)에 있어서도, 컨트롤러(12)에 프로그램을 인스톨하고, 알림부(17)를 증설하기만 하는 간단한 개조에 의해, 축열식 버너를 이용한 연소로(1)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연소로(1)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계측되는 유통 가스를, 연소실(2)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연소실(2)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여도 상관없다. 그 경우는, 상기 설명 중의 부호 「6, 9, 10, 11」이, 부호 「7, 14, 15, 16」에 상당하게 된다.
또, 상기 설명은 직화형의 축열식 버너를 예로 든 것이지만, 축열식 라디언트 튜브 버너 등의 축열식 버너더라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는, 상기 설명 중의 연소실(2)이 라디언트 튜브의 튜브 내 공간에 상당하게 된다.
1: 연소로 2: 연소실
3: 축열부 3a: 축열체
4: 연소 노즐 5: 축열식 버너
5a: 분기부 5b: 접속부
5c: 접속부 6: 공급관
7: 배기관 8: 개폐 전환 밸브
9: 공급 유량 제어 밸브 10: 공급 블로어
11: 공급 유량계 12: 컨트롤러
13: 개폐 전환 밸브 14: 배기 유량 제어 밸브
15: 배기 블로어 16: 배기 유량계
17: 알림부 A: 근사 곡선
B: 근사 곡선 C: 근사 곡선
D: 근사 곡선 L5: 좌 축열식 버너
L6: 공급관 L7: 배기관
R5: 우 축열식 버너 R6: 공급관
R7: 배기관

Claims (5)

  1. 배기 가스에 의해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축열체(蓄熱體)를 가지는 축열부를 구비한 축열식 버너에 유통(流通)되는 유통 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와,
    계측된 유통 가스의 유량에 기초하여 개폐 조절되는 유통 가스의 제어 밸브와,
    유통 가스가 소정 유량 유통되었을 때의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開度)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유량계에서 계측된 유통 가스의 유량 데이터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 데이터와의 상관(相關)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가 미리 설정된 개도보다 커질 때, 상기 축열부의 상기 축열체에 대한 메인터넌스 시기라는 취지를 알리는 알림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통 가스의 유량으로서 상기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 가스가 계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통 가스의 유량으로서 상기 연소실 내에 공급되는 상기 연소용 공기가 계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를 이용하여,
    배기 가스에 의해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상기 축열체를 가지는 상기 축열부를 구비한 상기 축열식 버너에 유통되는 유통 가스의 유량을 상기 유량계로 계측하는 계측 스텝과,
    계측된 유통 가스의 유량에 기초하여 개폐 조절되는 유통 가스의 상기 제어 밸브에 있어서의, 유통 가스가 소정 유량 유통되었을 때의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를 상기 검출부로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유량계에서 계측된 유통 가스의 유량 데이터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 데이터와의 상관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가 미리 설정된 개도보다 커질 때, 상기 축열부의 상기 축열체에 대한 메인터넌스 시기라는 취지를 상기 알림 수단에서 알리는 알림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방법.
  5. 배기 가스에 의해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축열체를 가지는 축열부를 구비한 축열식 버너에 유통되는 유통 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와,
    계측된 유통 가스의 유량에 기초하여 개폐 조절되는 유통 가스의 제어 밸브와,
    유통 가스가 소정 유량 유통되었을 때의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가지는 축열식 버너를 이용한 연소로에 대해,
    상기 유량계에서 계측된 유통 가스의 유량 데이터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 데이터와의 상관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가 미리 설정된 개도보다 커질 때, 상기 축열부의 상기 축열체에 대한 메인터넌스 시기라는 취지를 알리는 알림 수단을 증설(增設)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버너를 이용한 연소로의 개조 방법.
KR1020187003529A 2015-08-13 2016-07-20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KR102543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9932A JP6529856B2 (ja) 2015-08-13 2015-08-13 蓄熱式バーナーの蓄熱体メンテナンス時期報知装置、蓄熱式バーナーの蓄熱体メンテナンス時期報知方法、並びに蓄熱式バーナーを用いた燃焼炉の改造方法
JPJP-P-2015-159932 2015-08-13
PCT/JP2016/071246 WO2017026236A1 (ja) 2015-08-13 2016-07-20 蓄熱式バーナーの蓄熱体メンテナンス時期報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453A true KR20180038453A (ko) 2018-04-16
KR102543542B1 KR102543542B1 (ko) 2023-06-15

Family

ID=5798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529A KR102543542B1 (ko) 2015-08-13 2016-07-20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29856B2 (ko)
KR (1) KR102543542B1 (ko)
CN (1) CN107850303B (ko)
TW (1) TWI682128B (ko)
WO (1) WO201702623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435A (ja) 1993-10-12 1995-04-18 Nkk Corp 蓄熱式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の燃焼方法
JPH0968310A (ja) 1995-08-31 1997-03-11 Chiyoda Corp 熱回収式燃焼装置を備えた工業炉及びその燃焼制御方法
JP2000020136A (ja) * 1998-06-30 2000-01-21 Yamatake Corp 流量計測装置及び流量制御装置
JP2002098328A (ja) 2000-09-26 2002-04-05 Nkk Corp 蓄熱式バーナおよびその燃焼方法
CN102269288A (zh) * 2011-05-09 2011-12-07 博思特能源装备(天津)股份有限公司 发生故障完全开启的自力式轴流调压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4670A (en) * 1989-12-15 1990-07-31 North American Manufacturing Co. Self-cleaning burner
JPH0774692B2 (ja) * 1992-11-02 1995-08-09 中外炉工業株式会社 蓄熱式バーナの制御方法
JP3182045B2 (ja) * 1994-07-27 2001-07-03 中外炉工業株式会社 蓄熱器
WO2001016527A1 (fr) * 1999-09-01 2001-03-08 Nkk Corporation Dispositif de traitement thermique, procede d'installation pour element regenerateur poreux, procede de production de substance traitee thermiquement, procede de selection pour element regenerateur poreux, et composant d'element regenerateur poreux use
JP5338731B2 (ja) * 2010-03-29 2013-11-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廃熱回生システム
CN201858637U (zh) * 2010-11-01 2011-06-08 广州迪森热能技术股份有限公司 生物质气燃烧系统
CN103363804B (zh) * 2013-07-29 2014-11-26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烧结点火炉流量控制方法和系统
WO2015043296A1 (zh) * 2013-09-24 2015-04-02 湖南巴陵炉窑节能股份有限公司 一种递进切换蓄热式燃烧设备及其控制方法
WO2018142478A1 (ja) 2017-01-31 2018-08-09 ゼンテルジャパン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435A (ja) 1993-10-12 1995-04-18 Nkk Corp 蓄熱式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の燃焼方法
JPH0968310A (ja) 1995-08-31 1997-03-11 Chiyoda Corp 熱回収式燃焼装置を備えた工業炉及びその燃焼制御方法
JP2000020136A (ja) * 1998-06-30 2000-01-21 Yamatake Corp 流量計測装置及び流量制御装置
JP2002098328A (ja) 2000-09-26 2002-04-05 Nkk Corp 蓄熱式バーナおよびその燃焼方法
CN102269288A (zh) * 2011-05-09 2011-12-07 博思特能源装备(天津)股份有限公司 发生故障完全开启的自力式轴流调压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82128B (zh) 2020-01-11
KR102543542B1 (ko) 2023-06-15
TW201713900A (zh) 2017-04-16
CN107850303A (zh) 2018-03-27
CN107850303B (zh) 2020-03-13
JP6529856B2 (ja) 2019-06-12
WO2017026236A1 (ja) 2017-02-16
JP2017036902A (ja)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2911A (ko) 살균 장치 및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US9631837B2 (en) Hot water supply device
JP6323286B2 (ja) 加熱炉の排熱回収設備及び加熱炉の排熱回収方法
KR20180038453A (ko) 축열식 버너의 축열체 메인터넌스 시기 알림 장치
JP4418387B2 (ja) 排熱利用給湯システム
JP6752591B2 (ja) 排ガス計測装置
KR101393380B1 (ko)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용 온풍기
RU2018109422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твердых частиц в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ах
JP6256095B2 (ja) スケール付着判定装置
JP5570540B2 (ja) 給湯装置
JP2014095485A (ja) 給水予熱装置を持ったボイラ及びその運転方法
JP6209988B2 (ja) スケール付着判定装置
JP7188605B2 (ja) 異常検知装置及び表示装置
MX2017014976A (es) Dispositivo de recuperacion de calor latente de gas de exhaustacion.
JP2017106662A (ja) 給湯システム
JP6138020B2 (ja) 給湯装置
JP6490949B2 (ja) Co検出燃焼装置
KR20170046883A (ko) 연기처리장치
JP2018179476A (ja) 空気浄化システム
JP2004138264A (ja) 過熱器及び過熱器の運転方法
JP2017227385A (ja) 燃焼装置
KR20150124125A (ko) 연기처리장치
RU2014147929A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тепловым режимом в комплексе "печь ванюкова - котел-утилизатор"
JP2006145123A (ja) 蒸気漏れ検出方法および蒸気漏れ検出装置
JP2016099017A (ja) 熱源機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熱源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