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452A - 무선 충전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452A
KR20180038452A KR1020187003523A KR20187003523A KR20180038452A KR 20180038452 A KR20180038452 A KR 20180038452A KR 1020187003523 A KR1020187003523 A KR 1020187003523A KR 20187003523 A KR20187003523 A KR 20187003523A KR 20180038452 A KR20180038452 A KR 20180038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wireless
ptu
charging category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391B1 (ko
Inventor
수무크 아쇼크 셰브데
조셉 나지브 말루프
커티스 공
노박 3세 윌리엄 헨리 본
2세 마크 데이비드 화이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38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2J7/025
    • H04B5/79

Abstract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그 장치와 연관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통신 회로는 또한 전력 송신 유닛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회로는 또한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장치와 연관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커플러를 더 포함한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는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많은 양의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충전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코일을 통해 교류를 구동함으로써 시변 자기장을 생성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시변 자기장에 의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코일에 유도된 시변 전압의 형태로 시변 자기장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기술이 계속해서 발전함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충전 시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충전 세션을 수립, 협상 및 단절하기 위해 서로 통신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무선 충전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요망된다.
개요
일부 구현들에 따르면,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그 장치와 연관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통신 회로는 또한 전력 송신 유닛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회로는 또한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장치와 연관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커플러를 더 포함한다.
기타 구현들에서,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장치와 연관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전력 송신 유닛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장치와 연관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에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코드는,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그 장치와 연관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송신하게 한다. 코드는,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전력 송신 유닛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수신하게 한다. 코드는,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장치와 연관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송신하게 한다. 코드는,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게 한다.
또 다른 구현들에 따르면,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장치와 연관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전력 송신 유닛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장치와 연관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 1 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 은 기타 구현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 은 예시적인 구현들에 따른, 송신 또는 수신 커플러를 포함하는 도 2의 송신 회로 또는 수신 회로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4 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또 다른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PRU 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무선 충전에서 전력 송신 유닛과 전력 수신 유닛간에 교환되는 신호들의 호 흐름도이다.
도 7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PRU 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또 다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무선 충전에서 전력 송신 유닛과 전력 수신 유닛간에 교환되는 신호들의 또 다른 호 흐름도이다.
상세한 설명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항에 기재된 예시적인 구현들은 한정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았다. 다른 구현들이 이용될 수 있고, 다른 변화들이, 여기에 제시된 요지의 사상 또는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고 도면들에 예시된, 본 개시의 양태들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상이한 구성들에서, 배열, 치환, 결합, 및 설계될 수 있고, 이들의 전부는 명시적으로 고려되고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한다.
무선 전력 전송은, 전기장, 자기장, 전자기장, 또는 다른 것과 연관되는 임의의 형태의 에너지를, 물리적인 전기 도체들의 사용 없이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력은 자유 공간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무선 장 (예를 들면, 자기장 또는 전자기 장) 으로 출력된 전력은, "수신 커플러" 에 의해 수신되거나, 캡처되거나, 또는 커플링되어 전력 전송을 달성한다.
여기에 사용된 전문용어는 특정 구현들을 오직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개시에 대해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청구항 요소의 특정 개수가 의도되는 경우, 그러한 의도는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될 것이고, 그러한 기재의 부재시에는 그러한 의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서 사용된, 단수 형태 "a", "an" 및 "the" 는, 문맥이 다르게 명시하지 않으면, 복수 형태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여기에 사용된 바처럼, 용어 "및/또는" 은 하나 이상의 연관되는 열거된 항목들 중 어느 그리고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용어 "포함한다 (comprises)", "포함하는 (comprising)", "포함한다 (includes)" 및 "포함하는 (including)" 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피처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피처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그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제외하지 않는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중 적어도 하나" 와 같은 표현이 요소들의 리스트의 앞에 올때, 요소들의 전체 리스트를 수식하고 리스트의 개개의 요소들을 수식하지는 않는다.
도 1 은 일부 예시적 구현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00) 의 기능 블록도이다. 에너지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커플러 (114) 를 통해 무선 (예를 들어, 자기 또는 전자기) 장 (105) 을 생성하기 위해 입력 전력 (102) 이 전원 (미도시) 로부터 송신기 (104) 에 제공될 수도 있다. 수신기 (108) 는, 수신기 (108) 가 송신기 (104) 에 의해 생성된 무선 장 (105) 에 위치될 때,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무선 장 (105) 은, 송신기 (104) 에 의해 출력된 에너지가 수신기 (108) 에 의해 캡처될 수도 있는 영역에 대응한다. 수신기 (108) 는 무선 장 (105) 에 커플링되고 출력 전력 (110) 에 커플링된 디바이스 (본 도에는 미도시) 에 의한 소비 또는 저장을 위해 출력 전력 (110) 을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기 (104) 및 수신기 (108) 양자 모두는 거리 112 만큼 분리되어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전력은 송신 커플러 (114) 에 의해 생성된 시변 자기장을 통해 유도적으로 전송된다. 송신기 (104) 및 수신기 (108) 는 또한, 상호 공진 관계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다. 수신기 (108) 의 공진 주파수와 송신기 (104) 의 공진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매우 가까울 때, 송신기 (104) 와 수신기 (108) 사이의 송신 손실은 최소가 된다. 그러나, 송신기 (104) 와 수신기 (108) 사이의 공진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라도, 에너지가 전송될 수도 있지만, 효율이 감소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효율은 공진이 매칭되지 않을 때 더 작을 수도 있다. 에너지의 전송은 송신 커플러 (114) 로부터 자유 공간으로 에너지를 전파하기 보다는, 송신 커플러 (114) 의 무선 장 (105) 으로부터의 에너지를 무선 장 (105) 부근에 상주하는 수신 커플러 (118) 에 커플링시킴으로써 일어난다. 따라서, 공진 유도 커플링 기법들은 다양한 거리들에 대해 그리고 다양한 유도 커플러 구성들로 향상된 효율 및 전력 전송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장 (105) 은 송신기 (104) 의 "근접장" 에 대응할 수도 있다. 근접장은, 송신 커플러 (114) 로부터 멀리 전력을 최소로 방사하는 송신 커플러 (114) 에서의 전류 및 전하로부터 비롯되는 강한 반응성 장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응할 수도 있다. 근접장은 송신 커플러 (114) 의 약 1 파장 (또는 그의 몇 분의 1) 내에 있는 지역에 대응할 수도 있다. 전자기파로 에너지의 대부분을 원격장 (far field) 에 전파하기보다는 무선 장 (105) 에서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신 커플러 (118) 에 커플링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에너지 전송이 일어날 수도 있다. 무선 장 (105) 내에 배치되어 있을 때, 송신 커플러 (114) 와 수신 커플러 (118) 사이에 "커플링 모드" 가 전개될 수도 있다.
도 2 은 기타 예시적 구현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00) 의 기능 블록도이다. 시스템 (200) 은 도 1의 시스템 (100) 과 유사한 동작 및 기능성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일 수도 있다. 그러나, 시스템 (200) 은 도 1과 비교하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00) 의 컴포넌트들에 관한 추가 상세들을 제공한다. 시스템 (200) 은 송신기 (204) 및 수신기 (208) 를 포함한다. 송신기 (204) 는, 오실레이터 (222), 드라이버 회로 (224), 및 필터 및 매칭 회로 (226) 를 포함하는 송신 회로 (206) 를 포함한다. 오실레이터 (222) 는, 주파수 제어 신호 (223) 에 응답하여 조정될 수도 있는 원하는 주파수에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오실레이터 (222) 는 드라이버 회로 (224) 에 오실레이터 신호를 제공한다. 드라이버 회로 (224) 는, 입력 전압 신호 (VD) (225) 에 기초하여 송신 커플러 (214) 의 공진 주파수에서 송신 커플러 (214) 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필터 및 매칭 회로 (226) 는 고조파 또는 다른 원치않는 주파수를 필터링해내고 송신 회로 (206) 의 임피던스를 송신 커플러 (214) 에 매칭시킨다. 송신 커플러 (214) 를 구동하는 결과로서, 송신 커플러 (214) 는 배터리 (236) 를 충전시키는데 충분한 레벨로 전력을 무선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무선 장 (205) 을 생성한다.
수신기 (208) 는 매칭 회로 (232) 및 정류기 회로 (234) 를 포함하는 수신 회로 (210) 를 포함한다. 매칭 회로 (232) 는 수신 커플러 (218) 의 임피던스에 수신 회로 (210) 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도 있다. 정류기 회로 (234) 는, 배터리 (236) 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교류 (AC) 전력 입력으로부터 직류 (DC) 전력 출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 수신기 (208) 및 송신기 (204) 는 추가적으로, 분리된 통신 채널 (219) (예를 들면, 블루투스 (Bluetooth), 지그비 (Zigbee), 셀룰러 등) 상에서 통신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수신기 (208) 및 송신기 (204) 는, 무선 장 (205) 의 특성을 사용하여 대역내 시그널링 (in-band signaling) 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수신기 (208) 는 송신기 (204) 에 의해 송신되고 수신기 (208) 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양이 배터리 (236) 를 충전하는데 적절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 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에 따른, 도 2의 송신 회로 (206) 또는 수신 회로 (210) 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3 에 예시된 바처럼, 송신 또는 수신 회로 (350) 는 커플러 (35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커플러 (352) 는 또한 "도체 루프", 코일, 인덕터, 안테나 또는 "자기" 커플러로 지칭되거나 또는 이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용어 "커플러" 는 일반적으로, 또 다른 "커플러" 에의 커플링을 위한 에너지를 무선 출력 또는 수신할 수도 있는 컴포넌트를 지칭한다.
루프 또는 자기 커플러들의 공진 주파수는 루프 또는 자기 커플러의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에 기초한다. 인덕턴스는 단순히 커플러 (352) 에 의해 생성된 인덕턴스일 수도 있지만, 커패시턴스는 원하는 공진 주파수에서 공진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커패시터 (또는 커플러 (352) 의 자기 커패시턴스) 를 통해 추가될 수도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커패시터 (354) 및 커패시터 (356) 가, 공진 주파수의 신호 (358) 를 선택하는 공진 회로를 만들기 위해 송신 또는 수신 회로 (350) 에 부가될 수도 있다. 큰 인덕턴스를 나타내는 큰 직경의 커플러들을 사용하는 더 큰 크기의 커플러들에 대해, 공진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커패시턴스의 값은 더 낮을 수도 있다. 또한, 커플러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커플링 효율이 증가할 수도 있다. 이것은 송신 및 수신 커플러들 양자 모두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에 주로 적용된다. 송신 커플러들에 대해, 커플러 (352) 의 공진 주파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 (358) 가 커플러 (352) 에 입력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들은 충전 송신기들과 수신기들 사이의 호환성을 표준화하기 위한 노력에서 송신기의 클래스에 기초하여 제한된 양의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초기에 그의 최대 전력 수신 능력을 수신기 카테고리의 형태로 무선 전력 송신기에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전력 클래스가 이 수신기 능력보다 적은 무선 전력 전송 능력을 나타내는 경우,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와 호환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반대로,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송신기에 최소 필요 전력 수신 능력을 초기에 나타내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최소 필요 표시보다 더 높은 전력 전송 능력을 가질 때 (예를 들어, 보다 많은 양의 무선 전력이 전송될 수도 있을 때) 최적보다 훨씬 느리게 충전이 진행될 수도 있다.
도 4 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400) 의 또 다른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전력 송신 유닛 (PTU) (404) 및 전력 수신 유닛 (PRU) (408) 을 도시한다. PTU (404) 는 각각 도 1 및 2 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송신기들 (104, 204)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PRU (408) 는 각각 도 1 및 2 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수신기들 (108, 208)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PTU (404) 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특정 표준과 호환될 수도 있고, PRU (408) 는 그 표준과 유사하게 호환될 수도 있다.
PTU (404) 는 전력을 PRU (408) 에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교류 무선장 (예를 들어, 자기장) 을 생성하기 위해 교류로 송신 커플러 (414) 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송신 회로 (40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커플러 (414) 는 또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송신하는 수단",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송신하는 수단" 및/또는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송신하는 것으로부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송신하는 것으로 복수의 증분 스텝들에서 천이하는 수단" 으로 지칭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이들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PTU (404) 는 BLE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된 블루투스 저에너지 (BLE) 통신 회로일 수도 있는 통신 회로 (401) 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다른 통신 표준이 통신 회로 (401) 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통신 회로 (401) 는 또한 "전력 수신기 유닛 (PRU) 과 연관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송신하는 수단", "PRU 와 연관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수단", 및/또는 "식별자를 송신하는 수단" 으로 지칭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이들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상이한 PTU 들의 상이한 능력들을 구별하기 위해, PTU 의 충전 클래스들은 PTU (404) 가 송신하도록 구성된 전력의 양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PTU 에 대한 가능한 충전 클래스들의 예가 아래 표 2에 보여져 있다. PTU 클래스들은 또한 특정 능력들을 갖는 특정 PRU 와의 바람직한 호환성에 기초할 수도 있다. 상이한 능력들을 갖는 PRU 들은 정의된 PRU 들의 카테고리에 의해 구별될 수도 있다. PRU 들의 그러한 카테고리들의 예들이 아래의 표 1 에 및/또는 PTU (404) 의 컴포넌트의 제한에 의해 보여진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PRU (408) 는 송신 커플러 (414) 에 의해 생성된 무선 장 (예를 들어, 자기장) 의 영향하에서 교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수신 커플러 (41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 커플러 (418) 는 또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수단" 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수신 커플러 (418) 는, PRU (408) 및/또는 부착된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충전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무선 수신 전력의 양을 최대화하기 위해 수신 커플러 (418) 의 임피던스를 나머지 수신 체인의 임피던스에 매칭시키는 매칭 회로 (432) 에 접속될 수도 있다. 매칭 회로 (432) 는, 임의의 적용 가능한 규제 한계를 초과하여 EMI 를 유발할 수도 있는 매칭 회로 (432) 에 의해 출력되는 교류의 임의의 주파수 콘텐츠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전자기 간섭 (EMI) 필터링 회로 (433)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EMI 필터링 회로 (433) 는, 교류를 정류하고 직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정류 회로 (434)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정류 회로 (434) 는 제어기 (436) 에 작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어기 (436) 는 무선으로 수신된 전력에 관한 하나 이상의 측정들을 수행하거나, 통신 회로 (435) 를 제어하거나 및/또는 전력 관리 집적 회로 (PMIC) (437) 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기 (436) 는 또한, "PTU 와의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수단",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폐지하는 수단" 및/또는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 레벨을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것으로 복수의 증분 스텝들에서 천이하는 수단" 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9 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바처럼, 통신 회로 (435) 는 PTU (404) 의 통신 회로 (401) 와 통신하여 PTU (404) 와 PRU (408) 사이의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PTU (404) 와 PRU (408) 사이의 충전 조건을 협상 및/또는 최적화하기 위해 구성된다. 통신 회로 (435) 는 또한 "장치와 연관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송신하는 수단", "전력 송신 유닛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장치와 관련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송신하는 수단" 및/또는 "PTU 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단" 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PMIC (437) 는 (예를 들어, VIN2 핀에서) PRU (408) 로부터 및/또는 (예를 들어, VIN1 핀에서) 유선 충전 전력 접속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전력을 배터리 (438) 에 (예를 들어, VBATT 핀을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PRU (408) 는 PRU 가 충전되거나 및/또는 페어링되는 PTU 의 클래스에 기초한 가변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갖는 PRU 로서, 통신 회로 (435) 를 통해 자신을 광고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PRU (408) 는 자신을 충전에 실용적인 가장 낮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 (예를 들어, PRU (408) 에 최소한으로 전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제공하는 가장 낮은 PRU 무선 충전 카테고리) 와 관련된 것으로 광고할 것이다. 이것은 가장 낮은 가능한 무선 충전 카테고리일 수도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PTU (404) 가 보다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고 PRU (408) 가 결정하면 PRU (408) 는 PTU (404) 로부터 자신을 분리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솔루션은 PTU (404) 와 PRU (408) 사이의 개선된 호환성을 허용하면서 동시에 호환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보다 빠른 충전 레이트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3" 은 수신기 공진기의 출력에서 전력을 6.5 와트로 제한할 수도 있다 (표 1 참조). 그러나, 오늘날 많은 스마트폰들은 충전기 입력에서 더 높은 전력 레벨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충전을 핸들링하는 많은 PMIC들은 최대 10W 이상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무선 충전 (6.5W 제한) 에 의한 배터리 충전 시간은 유선 충전 (10W 제한) 에 의한 것보다 훨씬 길다.
예를 들어, 배터리 (438) 가 4.2V 로 충전하는 3000mAH 배터리인 경우, PMIC (437) 의 VIN1 포트에 전달되는 전력을 10W 로 가정하고 기타 손실을 무시하면, 완전 방전으로부터 완전 충전은 유선 충전기로 1.26 시간이 걸린다 (예를 들어, 3000mAH x 4.2V / 10W = 1.26 시간). 그러나, 디바이스가 카테고리 3 디바이스 (표 1 참조) 로 인증된 경우, 카테고리 3 디바이스는 6.5 W를 초과하여 수신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고 (따라서 PTU (404) 는 더 높은 레벨에서 전력을 공급하지 않을 것이고), 이는 약 5.5W 만이 배터리 (438) 에 도달하는 것 (예를 들어, 3000mAH x 4.2V/5.5W = 2.29 시간) 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동일한 충전 사이클은 임의의 클래스 PTU (404) 상의 무선 충전에 2시간 넘게 걸릴 것이다. 이는 무선 충전 능력들에 대한 열악하고, 부정확한 사용자의 인식을 초래할 수 있다.
도 5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PRU (408) 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500) 이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은 도 4의 PRU (408) 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방법에 대응할 수도 있다. 블록들이 특정 순서로 일어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지만, 블록들은 순서가 바뀔 수 있거나, 블록들은 생략될 수 있거나, 및/또는 추가 블록들이 추가될 수 있다.
플로우차트 (500) 는 블록 (502) 에서 시작될 수도 있으며, 블록 (502) 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PRU (408) 는 PRU (408) 의 실제,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가장 낮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제 1 PRU 광고를 PTU (404) 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U (408) 가 카테고리 4 (표 1 참조) 의 실제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갖는다면, PRU (408) 는 카테고리 1, 2 또는 3의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제 1 PRU 광고를 송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는 장치가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의 최대량보다 적은 무선 전력의 양과 연관된다. 블록 (502) 과 관련하여, PTU (404) 의 통신 회로 (401) 는 PRU (408) 와 연관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로우차트 (500) 는 블록 (504) 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블록 (504) 은 PTU (404) 로부터 제 1 무선 통신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것 및 PTU (404) 와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TU (404) 는 각각 통신 회로 (401 및 435) 를 통해 PRU (408) 와의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도 있다. 이 접속은 PTU (404) 와 PRU (408) 사이의 통신 채널의 공식적인 확립을 구성할 수도 있고, 일부 구현들에서, PTU (404) 와 PRU (408) 사이의 오고 가는 협상 (back and forth negotiation)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로우차트 (500) 는 블록 (506) 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블록 (506) 은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U (408) 는 PTU (404) 로부터 클래스 3 PTU 의 표시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PTU (404) 의 통신 회로 (401) 는 PTU (404)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플로우차트 (500) 는 블록 (508) 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블록 (508) 은 PTU 무선 충전 클래스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카테고리와 호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PRU (408) 의 제어기 (436) 는 이러한 결정을 내릴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PTU (404) 가 클래스 3 PTU 이고 PRU 가 카테고리 4의 실제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갖지만 (또는 클래스 3 PTU (404) 와 연관된 레벨에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고 적어도 결정할 수도 있지만) PRU (408) 가 카테고리 1 PRU 를 나타내는 제 1 PRU 광고를 이전에 전송한 경우, 제어기 (436) 는 PTU 클래스 3 이 이전에 광고된 카테고리 1 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 (예를 들어, 카테고리 2, 3 또는 4) 와 호환된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블록 (508) 에서의 결정이 아니오이면, 플로우차트는 블록 (510) 으로 진행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PRU (408) 는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 (예를 들어, 이 예에서는 카테고리 1) 에 대응하는 전력 레벨에서 충전을 시작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결정이 예이면, 플로우차트는 블록 (512) 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블록 (512) 은 PTU 와의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U (408) 는 블록 (504) 과 관련하여 앞서 기술된 PTU (404) 와의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단절 (break down)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로우차트 (500) 는 블록 (514) 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PRU (408) 는 실제로 PTU (404) 와의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단절하지 않을 수도있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플로우차트 (500) 는 블록 (508) 으로부터 블록 (514) 으로 직접 진행할 수도 있다.
블록 (514) 은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U (408) 는, PTU (404)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PRU (408) 의 실제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여전히 호환되는 블록 (502) 의 제 1 PRU 광고에 의해 표시되었던 것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 (예를 들어, 카테고리 2, 3 또는 4 PRU 중 어느 것인) 를 나타내는 제 2 PRU 광고를 송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는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연관된 것보다 더 많은 양의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PTU (404) 의 통신 회로 (401) 는 또한 PTU (404)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PRU (408) 의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PRU (408) 와 연관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로우차트 (500) 는 블록 (516) 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블록 (516) 은 PTU 로부터 제 2 무선 통신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PTU 와 제 2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U (408) 는 PTU (404) 로부터 제 2 무선 통신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고, 후속하여 PTU (404) 와 제 2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로우차트 (500) 는 블록 (518) 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무선 통신 접속이 폐지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블록 (512) 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플로우차트 (500)는 블록 (516) 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대신에 플로우차트 (500) 는 직접 블록 (514) 로부터 블록 (518) 으로, 또는 대안적으로는 직접 블록 (514) 로부터 블록 (520) 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블록 (518) 은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단 제 2 무선 통신 접속이 PTU (404) 와 확립되면, PRU (408) 는 블록 (506) 에서 수신한 블록 (518) 에서의 동일한 표시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것은 또한, PTU (404) 가 무선 통신 접속의 확립시 자신의 무선 충전 클래스를 PRU 에 송신하도록 미리 구성될 때에 발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로우차트 (500) 는 블록 (520) 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처럼, 제 1 무선 통신 접속이 폐지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블록 (512) 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플로우차트는 블록 (518) 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대신에 플로우차트 (500) 는 직접 블록 (514) 로부터 블록 (520) 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블록 (520) 은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U (408) 가 블록 (514) 에서 카테고리 2, 3 또는 4 PRU 중 어느 것을 나타내는 제 2 PRU 광고를 이전에 전송한 경우, PRU (408) 는 이제 새로 표시된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전력 레벨에서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시작할 수도 있다 (표 1 참조). 마찬가지로, PTU (404) 의 커플러 (414) 는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전력 레벨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무선 충전에서 전력 송신 유닛과 전력 수신 유닛간에 교환되는 신호들의 호 흐름도 (600) 이다. 호 흐름도 (600) 는 도 5의 플로우차트 (500) 와 유사할 수도 있다.
호 흐름도 (600) 는, PRU (408) 에 의해 송신되고 PTU (404) 에 의해 수신되는 메시지 (602) 를 포함하며, 이 메시지는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광고를 포함한다. 메시지 (602) 는 도 5의 블록 (502) 에 대응할 수도 있다.
호 흐름도 (600) 는, PTU (404) 에 의해 송신되고 PRU (408) 에 의해 수신되는 메시지 (604) 를 더 포함하며, 이 메시지는 PTU (404) 로부터 제 1 무선 통신 접속 요청을 포함한다. 점선 (606) 은 PTU (404) 와 PRU (408) 사이의 제 1 무선 통신 세션 또는 채널의 확립을 나타내며, PTU (404) 와 PRU (408) 사이에서 오고 가는 여러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시지 (604) 는 도 5의 블록 (504) 에 대응할 수도 있다.
호 흐름도 (600) 는, PTU (404) 에 의해 송신되고 PRU (408) 에 의해 수신되는 메시지 (608) 를 더 포함하며, 이 메시지는 PTU (404)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포함한다. 메시지 (608) 는 도 5의 블록 (506) 에 대응할 수도 있다.
호 흐름도 (600) 는, PRU (408) 가 PTU 무선 충전 클래스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점선 (606) 으로 표시된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폐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점선 (610)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 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일부 구현들에서, PRU (408) 는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폐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호 흐름도는 점선 (610) 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호 흐름도 (600) 는, PRU (408) 에 의해 송신되고 PTU (404) 에 의해 수신되는 메시지 (612) 를 더 포함하며, 이 메시지는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제 2 PRU 광고를 포함한다. 메시지 (612) 는 도 5의 블록 (514) 에 대응할 수도 있다.
호 흐름도 (600) 는, PTU (404) 에 의해 송신되고 PRU (408) 에 의해 수신되는 메시지 (614) 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메시지는 PTU (404) 로부터 제 2 무선 통신 접속 요청을 표시한다. PRU (408) 와 PTU (404) 사이의 제 2 무선 통신 접속의 확립은 점선 (616) 에 의해 표시된다. 제 1 무선 통신 접속이 폐지되지 않는 (예를 들어, 호 흐름도 (600) 가 점선 (610) 을 포함하지 않는) 일부 구현들에서, 호 흐름도 (600) 는 또한 제 1 무선 통신 접속이 확립된 채 남아 있기 때문에 메시지 (614) 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호 흐름도 (600) 는, PTU (404) 에 의해 송신되고 PRU (408) 에 의해 수신되는 메시지 (618) 를 더 포함하며, 이 메시지는 PTU (404) 의 무선 충전 클래스를 표시한다. 이 제 6 메시지 (618) 는 제 3 메시지 (608) 에 이전에 포함되었던 것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시지 (618) 는 도 5의 블록 (518)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제 1 무선 통신 접속이 폐지되지 않는 (예를 들어, 호 흐름도 (600) 가 점선 (610) 을 포함하지 않는) 일부 구현들에서, 호 흐름도 (600) 는 또한 정보가 제 1 무선 통신 접속의 확립과 연관된 제 3 메시지 (608) 에 이전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메시지 (618) 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6 메시지 (618) 후에, 도 5의 블록 (520) 과 관련하여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전력 레벨에서의 충전이 시작될 수도 있다. 점선 (620) 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블록 (518) 에 관하여 확립되고 점선 (616) 에 의한 제 2 무선 통신 접속은 언제든지 PTU (404) 또는 PRU (408) 중 어느 일방에 의해 드롭될 수 있다.
도 7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PRU 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또 다른 플로우차트 (700) 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특정 PTU /PRU 조합을 설계하는 제조자는 특정 조합이 카테고리 또는 클래스 레이팅들에 의해 표시되는 것보다 더 많은 전력을 끌어낼 수 있음을 알게 될 것니다. 그러한 경우에, PRU 는 PTU 로부터 수신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PTU 를 특정 고전력 가능 PTU 로서 식별하고, 그 충전 세션에 대해서만 전력 인출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플로우차트 (700) 는 도 4의 PRU (408) 에 의해 수행되는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에 대응할 수도 있다. 블록들이 특정 순서로 일어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지만, 블록들은 순서가 바뀔 수 있거나, 블록들은 생략될 수 있거나, 및/또는 추가 블록들이 추가될 수 있다.
플로우차트 (700) 는 블록 (702) 에서 시작될 수도 있으며, 블록 (702) 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PRU (408) 는 PRU (408) 의 실제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가장 낮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제 1 PRU 광고를 PTU (404) 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U (408) 가 카테고리 4의 실제 무선 충전 카테고리 (표 1 참조) 를 갖는다면, PRU (408) 는 카테고리 1, 2 또는 3의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제 1 PRU 광고를 송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로우차트 (700) 는 블록 (704) 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블록 (704) 은 PTU (404) 로부터 제 1 무선 통신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것 및 PTU (404) 와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TU (404) 는 각각 통신 회로 (401 및 435) 를 통해 PRU (408) 와의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도 있다. 이 접속은 PTU (404) 와 PRU (408) 사이의 통신 채널의 공식적인 확립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로우차트 (700) 는 블록 (706) 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블록 (706) 은 PTU (404)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 및 PTU (404) 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U (408) 는 PTU (404) 로부터 클래스 3 PTU 의 표시 및 PTU (404) 와 연관된 식별자를 수신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PTU (404) 의 통신 회로 (401) 는 PTU (404) 의 식별자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로우차트 (700) 는 블록 (708) 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블록 (708) 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 1 전력 레벨에서 충전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TU (404) 는 PRU (408) 가 블록 (702) 에서 이전에 표시한 카테고리 1, 2 또는 3 의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로우차트 (700) 는 블록 (710) 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블록 (710) 은 PTU 의 식별자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큰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연관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TU (404) 의 식별자가, PRU (408) 가 실제로 수신할 수 있는 것보다 전력 범위 내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됨을 나타내는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 (예를 들어, 블록 (702) 에서 PRU (408) 에 의해 이전에 표시된 카테고리 1, 2 또는 3) 보다 더 많은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충전 클래스와 연관되면, 플로우차트 (700) 는 블록 (712) 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블록 (710) 에서 결정이 아니오이면, 플로우차트 (700) 는 블록 (708) 으로 다시 진행할 수 있고 블록 (702) 에서 PRU (408) 에 의해 표시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 1 전력 레벨에서 충전을 계속할 수도 있다.
블록 (712) 은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U (408) 는, PTU (404) 의 식별자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것에 기초하여 PRU (408) 의 실제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여전히 호환되는 블록 (702) 의 제 1 PRU 광고에 의해 표시되었던 것보다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 (예를 들어, 카테고리 2, 3 또는 4 PRU 중 어느 것) 를 나타내는 제 2 PRU 광고를 송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로우차트 (700) 는 블록 (714) 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블록 (714) 은 PTU (404) 의 무선 충전 카테고리 및 PRU (408) 의 최고 무선 충전 능력의 각각과 호환되는 제 2 전력 레벨에서 충전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U (408) 가 충전 또는 동작을 위해 실제로 10W 만큼을 수신할 수 있고 PTU (404) 가 송신 커플러 (414) 에 최대 16W 를 입력할 수 있는 클래스 3 PTU (표 2 참조) 인 경우, PTU (404) 는 PRU (408) 가 10W 만큼의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하는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이 제 2 전력 레벨로의 천이는 단일 스텝 (예를 들어, 제 1 전력 레벨로부터 직접 제 2 전력 레벨로의 진행) 또는 비교적 짧은 시간량에 걸쳐 분리되는 복수의 스텝들로 (예를 들어, 제 1 전력 레벨로부터 제 2 전력 레벨로 점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전력 전송을 증가시킴) 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PTU (404) 의 커플러 (401) 는 PTU (404)의 식별자가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PRU (408) 와 연관된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PTU (404) 의 커플러 (401) 는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송신하는 것으로부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송신하는 것으로 복수의 증분 스텝들에서 천이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무선 충전에서 전력 송신 유닛과 전력 수신 유닛간에 교환되는 신호들의 또 다른 호 흐름도이다. 호 흐름도 (800) 는 도 7의 플로우차트 (700) 와 유사할 수도 있다.
호 흐름도 (800) 는, 플로우차트 (700) 의 블록 (702) 과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도 7 참조), PRU (408) 에 의해 송신되고 PTU (404) 에 의해 수신되는 메시지 (802) 를 포함하며, 이 메시지는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광고를 포함한다.
호 흐름도 (800) 는, PTU (404) 에 의해 송신되고 PRU (408) 에 의해 수신되는 메시지 (804) 를 더 포함하며, 이 메시지는 PTU (404) 로부터 제 1 무선 통신 접속 요청을 포함한다. 점선 (806) 은 PTU (404) 와 PRU (408) 사이의 제 1 무선 통신 세션 또는 채널의 확립을 표시한다. 메시지 (804) 는 도 7의 블록 (704) 에 대응할 수도 있다.
호 흐름도 (800) 는, PTU (404) 에 의해 송신되고 PRU (408) 에 의해 수신되는 메시지 (808) 를 더 포함하며, 이 메시지는 PTU (404)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 및 PTU (404) 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메시지 (808) 는 도 7의 블록 (706) 에 대응할 수도 있다.
호 흐름도 (800) 는 점선 (810) 을 더 포함하며, 이는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 1 전력 레벨에서 PTU (404) 에 의한 PRU (408) 의 무선 충전을 나타낸다. 점선 (810) 은 도 7의 블록 (708) 에 대응할 수도 있다.
호 흐름도 (800) 는, PRU (408) 에 의해 송신되고 PTU (404) 에 의해 수신되는 메시지 (812) 를 더 포함하며, 이 메시지는 메시지 (802) 에서 표시되는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광고를 포함한다. 메시지 (812) 는 도 7의 블록 (712) 에 대응할 수도 있다.
호 흐름도 (800) 는 점선 (814) 을 더 포함하며, 점선 (814) 은 PTU (404) 의 무선 충전 카테고리 및 PRU (408) 의 최고 무선 충전 능력의 각각과 호환되는 제 2 전력 레벨에서의 PTU (404) 에 의한 PRU (408) 의 무선 충전을 표시한다. 점선 (814) 은 도 7의 블록 (714)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또는 모듈(들) 과 같은, 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예시된 임의의 동작들은 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응하는 기능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정보 및 신호들은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 및 기법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볼,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기장 또는 자기입자, 광학장 (optical field) 또는 광학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된 구현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회로,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 블록, 모듈, 회로, 및 단계가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성의 측면에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에 달려 있다. 설명된 기능성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이 구현들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구현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 모듈, 및 회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여기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르게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계산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된 구현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 및 기능의 단계는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그 기능들은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송신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가능 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램가능 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CD ROM, 또는 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다르게는,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콤팩트 디스크 (compact disc; CD), 레이저 디스크 (laser disc), 광 디스크 (optical disc), 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 (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 (Blu-ray disc) 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는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앞서 말한 것의 조합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개시를 요약하는 목적으로, 특정 양태들, 이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이 여기에서 설명되었다. 모든 그러한 이점들이 반드시 임의의 특정 구현에 따라 달성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야 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구현들은, 여기에 교시되거나 또는 시사될 수도 있는 다른 이점들을 반드시 달성하지는 않고서 여기에 교시된 하나의 이점 또는 집단의 이점들을 달성하거나 또는 최적화한다.
전술된 구현들의 다양한 변경들이 손쉽게 분명해질 것이고, 여기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본원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구현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원은 본원에 나타낸 구현들에 한정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가 허여되야 한다.

Claims (28)

  1.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신 회로로서,
    상기 장치와 연관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송신하고,
    전력 송신 유닛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와 연관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커플러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는 상기 장치가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의 최대량보다 적은 무선 전력의 양과 연관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는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연관된 것보다 더 많은 양의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가 상기 PTU 로부터 제 1 무선 통신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PTU 와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폐지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또한 상기 PTU 의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PTU 의 식별자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것으로 복수의 증분 스텝들에서 천이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8.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장치와 연관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
    전력 송신 유닛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와 연관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는 상기 장치가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의 최대량보다 적은 무선 전력의 양과 연관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는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연관된 것보다 더 많은 양의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PTU 로부터 제 1 무선 통신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PTU 와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PTU 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PTU 의 식별자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것에 기초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것으로 복수의 증분 스텝들에서 천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방법.
  15.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코드는, 실행될 때,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 하여금,
    상기 장치와 연관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송신하게 하고;
    전력 송신 유닛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와 연관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송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는 상기 장치가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의 최대량보다 적은 무선 전력의 양과 연관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는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많은 양의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또한,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PTU 로부터 제 1 무선 통신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PTU 와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또한,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폐지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또한,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PTU 의 식별자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PTU 의 식별자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것에 기초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또한,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것으로 복수의 증분 스텝들에서 천이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와 연관된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1 표시를 송신하는 수단;
    전력 송신 유닛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와 연관된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의 제 2 표시를 송신하는 수단; 및
    상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는 상기 장치가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의 최대량보다 적은 무선 전력의 양과 연관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는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연관된 것보다 더 많은 양의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의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이 상기 PTU 로부터 제 1 무선 통신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PTU 와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PTU 의 무선 충전 클래스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호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 접속을 폐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PTU 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수단은 상기 PTU 의 식별자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보다 더 높은 무선 충전 카테고리와 연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충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의 레벨을 수신하는 것으로 복수의 증분 스텝들에서 천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KR1020187003523A 2015-08-10 2016-07-12 무선 충전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72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03277P 2015-08-10 2015-08-10
US62/203,277 2015-08-10
US15/081,088 2016-03-25
US15/081,088 US10418855B2 (en) 2015-08-10 2016-03-25 Method and apparatus for varying a wireless charging category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in wireless charging applications
PCT/US2016/041922 WO2017027150A1 (en) 2015-08-10 2016-07-12 Method and apparatus for varying a wireless charging category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in wireless charging appl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452A true KR20180038452A (ko) 2018-04-16
KR102572391B1 KR102572391B1 (ko) 2023-08-29

Family

ID=5655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523A KR102572391B1 (ko) 2015-08-10 2016-07-12 무선 충전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18855B2 (ko)
EP (1) EP3335297B1 (ko)
JP (1) JP6732011B2 (ko)
KR (1) KR102572391B1 (ko)
CN (1) CN107925270B (ko)
WO (1) WO2017027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3894B1 (en) 2017-06-27 2021-01-26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Mobile wireless repeater
US10575198B1 (en) * 2017-06-27 2020-02-25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Mobile wireless charging station
JP6618519B2 (ja) * 2017-11-22 2019-12-11 株式会社Subaru 車両
WO2024075967A1 (ko) * 2022-10-06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빠른 인증을 통해 고전력 모드에서 무선 재충전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1047A1 (en) * 2008-04-28 2009-10-29 Masataka Wakamatsu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power receiving apparatus, power transmission method, program,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JP2012125112A (ja) * 2010-12-10 2012-06-28 Hitachi Ltd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及び受電装置
US20120299540A1 (en) * 2011-05-27 2012-11-29 uBeam Inc. Sender communication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R20130142861A (ko) * 2012-06-20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송신기에서 전력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력 송신기
KR20150110405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에서의 교차 연결 방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4567B2 (en) * 2004-08-16 2013-11-26 Giesecke & Devrient Gmbh Controlled wireless charging of an accumulator in a chipcard
JP5258521B2 (ja) * 2008-11-14 2013-08-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
US9088307B2 (en) * 2010-12-29 2015-07-2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Non-resonant and quasi-resonant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multiple receivers
WO2013076834A1 (ja) * 2011-11-24 2013-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送電装置、車両および非接触送受電システム
KR101950688B1 (ko) * 2012-07-09 2019-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48303B1 (ko) * 2012-07-10 2018-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력 송신기
US9142999B2 (en) 2012-07-13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small device wireless charging modes
JP5905357B2 (ja) * 2012-07-13 2016-04-20 三洋電機株式会社 無接点給電システム、受電機器、給電台、無接点給電方法
US9276435B2 (en) * 2012-11-02 2016-03-01 Maishi Electronic (Shangha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EP2965571B1 (en) 2013-02-28 2018-04-11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distributed wireless power transfer network for electrical devices
KR101949954B1 (ko) * 2013-06-07 201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효율 에너지 주입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122514B1 (ko) 2013-07-22 2020-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전송 유닛 및 전력 수신 유닛과 그 통신 방법
KR102122382B1 (ko) 2013-07-22 2020-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인증 방법 및 장치
JP6230324B2 (ja) * 2013-08-05 2017-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受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17455B1 (ko) * 2014-02-25 2018-01-11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송전 장치
US20150263548A1 (en) * 2014-03-14 2015-09-17 Emily Cooper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distribution allocation
JP6497614B2 (ja) * 2014-05-26 2019-04-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電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US20160359467A1 (en) 2015-06-03 2016-12-0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adjustment of pow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1047A1 (en) * 2008-04-28 2009-10-29 Masataka Wakamatsu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power receiving apparatus, power transmission method, program,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JP2012125112A (ja) * 2010-12-10 2012-06-28 Hitachi Ltd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及び受電装置
US20120299540A1 (en) * 2011-05-27 2012-11-29 uBeam Inc. Sender communication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R20130142861A (ko) * 2012-06-20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송신기에서 전력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력 송신기
KR20150110405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에서의 교차 연결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27869A (ja) 2018-09-20
US20170047782A1 (en) 2017-02-16
EP3335297B1 (en) 2019-05-15
CN107925270B (zh) 2021-07-27
CN107925270A (zh) 2018-04-17
JP6732011B2 (ja) 2020-07-29
US10418855B2 (en) 2019-09-17
KR102572391B1 (ko) 2023-08-29
WO2017027150A1 (en) 2017-02-16
EP3335297A1 (en)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9683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ter power supply based on wireless receiver request
CN109478802B (zh) 用于后续的接收器的无线功率充电的装置和方法
US9837203B2 (en) Apparatuses having different modes of operation for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and related method
US992470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harmonic power control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102572391B1 (ko) 무선 충전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무선 충전 카테고리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832735A (zh) 对有线充电和无线充电的智能优先级检测
US201700477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band signaling using parasitic resistances
US201702641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wireless power transfer between wireless power protocols
US201702076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existence between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s
US9876366B2 (en) Methods and apparatus utilizing a bipolar double D vehicle coupler in wireless power transfer applications
CN109073415B (zh) 在无线电力传输应用中利用多线对准辅助的方法和装置
US101222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ed loop power estimation for determination of optimal placement of a power receive unit on a power transmit unit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JP2018537938A (ja) ワイヤレスレシーバ電力需要を調整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20170133885A1 (en) Notch filter utilize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transfer dual mode antennas
TW201601480A (zh) 非接觸通訊裝置、訊號產生電路以及非接觸通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