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299A -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299A
KR20180038299A KR1020160129239A KR20160129239A KR20180038299A KR 20180038299 A KR20180038299 A KR 20180038299A KR 1020160129239 A KR1020160129239 A KR 1020160129239A KR 20160129239 A KR20160129239 A KR 20160129239A KR 20180038299 A KR20180038299 A KR 20180038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uide groove
incision
moving par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017B1 (ko
Inventor
김선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진
Priority to KR1020160129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0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69Deboning poultry or parts of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23Dividing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46Suppor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53Transferring or conveying devices for poul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는, 북채와 넓적다리가 연결된 도계의 장각을 역 방향으로 매달아 이송하는 북채 이송라인의 경로 상에 구비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3회전유닛 및 상기 제3회전유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회전유닛과 함께 회전되며, 절개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절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절개유닛은, 회전 구간에 따라 상하 변위가 가변되고, 기 설정된 지점에서 상기 장각의 북채에 절개커터를 인입하여 하향됨에 따라, 상기 장각의 북채로부터 상기 장각의 넓적다리에 걸쳐 상기 장각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Cutting Assembly for Whole Leg of Chicken}
본 발명은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된 설비를 통해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닭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수요 증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요를 만족하기 위한 신속하고 정밀한 도계의 가공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도계의 처리를 위한 자동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자동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도계의 가공 공정은 도계를 복수 개의 부위로 분리하는 공정들로 구성되며, 분리된 부위는 발주처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되어 공급된다. 이중 각 부위를 발골하여 계육만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계육의 손실량을 최소화하여 발골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다만, 도계의 다리 부위, 즉 북채와 넓적다리,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형태의 장각은 그 형태로 인해 발골 공정을 자동화하기가 매우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계의 다리 부위를 발골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여러 차례의 수작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으며, 이는 수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도계의 다리 부위를 발골하는 과정을 전면 자동화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발골 과정에서 계육의 손실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는, 북채와 넓적다리가 연결된 도계의 장각을 역 방향으로 매달아 이송하는 북채 이송라인의 경로 상에 구비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3회전유닛 및 상기 제3회전유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회전유닛과 함께 회전되며, 절개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절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절개유닛은, 회전 구간에 따라 상하 변위가 가변되고, 기 설정된 지점에서 상기 장각의 북채에 절개커터를 인입하여 하향됨에 따라, 상기 장각의 북채로부터 상기 장각의 넓적다리에 걸쳐 상기 장각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유닛의 회전 경로 내측에 구비되며, 구간에 따라 높이가 변화되는 제5가이드홈 및 제6가이드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3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유닛은, 상기 제5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5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5가이드홈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제5이동부, 상기 제6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6돌출부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제3가이드캠을 포함하며, 상기 제5이동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6가이드홈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제6이동부 및 상기 제5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하단이 상기 제3가이드캠의 일측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5이동부 및 상기 제6이동부의 상대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장각의 북채에 절개커터를 인입시키는 절개커터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유닛은, 상기 제5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하단이 상기 제3가이드캠의 타측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5이동부 및 상기 제6이동부의 상대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절개커터의 반대 측에서 상기 장각을 지지하는 장각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고정유닛은, 상기 제6가이드홈이 상기 제5가이드홈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향되어 상기 제5가이드홈과 상기 제6가이드홈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는 인입구간과, 상기 인입구간 이후 상기 제5가이드홈 및 상기 제6가이드홈이 동시에 하향되는 절개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잡한 형상의 도계의 다리 부위를 분리하는 모든 과정이 자동화되므로, 인력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신속한 공정 간 이송 및 처리 과정에 의해 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도계의 손상 및 계육의 손실률을 최소화하고, 불량률을 감소시켜 재작업에 요구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북채 발골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제1트롤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장각 절개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절개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제3고정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절개유닛을 통해 장각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절개유닛을 통해 처리된 장각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발목부 커팅유닛을 통해 북채를 처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틈새확장유닛을 통해 북채를 처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북채 발골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제1파지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제1고정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제1파지유닛을 통해 북채의 계육을 끌어내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제1분리유닛을 통해 북채골을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넓적다리 발골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제2트롤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선계육정리유닛을 통해 넓적다리를 정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선커팅유닛을 통해 넓적다리를 처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후커팅유닛을 통해 넓적다리를 처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후계육정리유닛을 통해 넓적다리를 정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넓적다리 발골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제2파지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제2고정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제2파지유닛을 통해 넓적다리의 계육을 끌어내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에 있어서, 제2분리유닛을 통해 북채골을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북채와 넓적다리가 연결된 도계의 장각을 발골하기 위한 장각 발골시스템으로서, 전체적으로 북채 발골장치(100, 도 1 참조)와, 넓적다리 발골장치(500, 도 20 참고)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먼저 상기 북채 발골장치(100)를 통해 장각 중 북채 부위에서 북채골을 분리한 후, 상기 넓적다리 발골장치(500)를 통해 북채골이 분리된 넓적다리로부터 넓적다리골을 마저 분리하여 계육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각 공정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의 장각 발골시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북채 발골장치(100)의 모습이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북채 발골장치(100)는 북채 이송라인과, 북채 전처리어셈블리(300)와, 북채 발골어셈블리(400)를 포함하며, 또한 장각 절개 어셈블리(200)를 더 포함한다.
공정 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도계의 장각을 상기 북채 이송라인에 역 방향으로 걸어 매단 상태에서, 상기 장각 절개 어셈블리(200)를 통해 장각에 절개선을 형성하고, 이후 상기 북채 전처리어셈블리(300)를 통해 전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북채 발골어셈블리(400)를 통해 북채골을 분리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북채 이송라인은 제1이송가이드(110)와, 제1트롤리(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송가이드(110)는 상기 장각의 이송궤도를 따라 길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폐곡선 형태의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1트롤리(120)는 상기 제1이송가이드(1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트롤리(120)는 상기 제1이송가이드(110)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롤러(132)를 포함하는 제1이송부(130)와, 상기 장각을 역 방향으로 매달아 이송하도록 제1걸림후크(152)가 형성된 북채행잉부(150)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북채행잉부(150)를 회전시키는 제1연결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부(130) 및 상기 제2연결부(140)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결합부(134, 142)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북채행잉부(150)는 상기 제1연결부(140)의 체결부(146)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140)는 상기 북채행잉부(150)를 직접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1로테이팅부(144)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1트롤리(120)는, 제1걸림후크(150)에 장각(1)의 발목부를 걸어 매단 상태로 상기 제1이송가이드(110)를 따라 상기 장각을 이송시키게 된다.
도 3에는 장각 절개 어셈블리(200)의 모습이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각 절개 어셈블리(200)는 제3회전유닛(203)과, 절개유닛(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3회전유닛(203)은 북채와 넓적다리가 연결된 도계의 장각(1)을 역 방향으로 매달아 이송하는 북채 이송라인의 경로 상에 구비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3회전모듈(20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유닛(230)은 상기 제3회전유닛(20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회전유닛(203)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장각에 절개선을 형성하기 위한 절개커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절개유닛(230)은 상기 제3회전모듈(240)과 함께 회전되는 제3지지바(22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지지바(220) 및 상기 절개유닛(230)은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절개유닛(230)의 회전 경로 내측에는 제3고정유닛(2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유닛(230)은 제5이동부(250)와, 제6이동부(240)와, 절개커터고정부(270b)와, 장각지지부(272)를 포함한다.
상기 제5이동부(250)는 후술할 제3고정유닛(210)의 제5가이드홈(214, 도 6 참조)에 삽입되는 제5돌출부(252)를 포함하여, 상기 제3고정유닛(2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5가이드홈(214)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6이동부(240)는 제3고정유닛(210)의 제6가이드홈(212, 도 6 참조)에 삽입되는 제6돌출부(242)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제3가이드캠(2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6이동부(240)는 상기 제5이동부(2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고정유닛(2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6가이드홈(212)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이동부(250) 및 상기 제6이동부(240)는 상기 제3지지바(220)에 의해 상하 관통된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바(220)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절개커터고정부(270b)는 상기 제5이동부(2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단부에 절개커터가 형성되고 하단의 이동휠(276)이 상기 제3가이드캠(260)의 일측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5이동부(250) 및 상기 제6이동부(240)의 상대 거리가 가까워질 경우, 하단이 상기 제3가이드캠(260)의 경사면(262)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짐에 따라 상단부가 내측으로 회전되어 장각의 북채에 절개커터를 인입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각지지부(270a) 역시 상기 절개커터고정부(270b)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5이동부(2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단부에 지지부재(272)가 형성되고 하단의 이동휠(276)이 상기 제3가이드캠(260)의 타측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5이동부(250) 및 상기 제6이동부(240)의 상대 거리가 가까워질 경우, 하단이 상기 제3가이드캠(260)의 경사면(262)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짐에 따라 상단부가 내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절개커터의 반대 측에서 북채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에는 제3고정유닛(210)의 모습이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고정유닛(21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술한 절개유닛(230)의 내측에 구비되며, 둘레를 따라 제5가이드홈(214) 및 제6가이드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제5가이드홈(214) 및 상기 제6가이드홈(212)은 구간에 따라 높이가 변화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3고정유닛(210)은 상기 제6가이드홈(212)이 상기 제5가이드홈(2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향되어 상기 제5가이드홈(214)과 상기 제6가이드홈(212)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는 인입구간(a)과, 상기 인입구간(a) 이후 상기 제5가이드홈(214) 및 상기 제6가이드홈(212)이 동시에 하향되는 절개구간(b)을 포함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유닛(230)은 상기 인입구간(a)에서 제6이동부(240)가 상향되어 제5이동부(250)와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장각지지부(270a) 및 상기 절개커터고정부(270b)의 상단부 역시 서로 이격 거리가 감소하게 되어 상기 절개커터가 북채 부분에 인입된다.
이후 상기 절개유닛(230)은 상기 절개구간(b)에서 상기 제6이동부(240)와 상기 제5이동부(250)가 모두 하향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각(1)의 북채 부분으로부터 넓적다리 부분까지에 걸쳐 절개선(T)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선(T)을 형성하는 이유는, 이후 북채골과 넓적다리골의 발골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절개선(T)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 계육이 뼈로부터 원활히 분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장각 절개 어셈블리(200)를 통해 절개선(T)을 형성한 이후에는, 북채 전처리어셈블리(300)를 통한 전처리 과정이 이루어진다.
도 9 내지 도 12에는, 상기 북채 전처리어셈블리(300)를 통한 처리 과정이 도시된다. 상기 북채 전처리어셈블리(300)는 발목부 커팅유닛(310)과 틈새확장유닛(3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목부 커팅유닛(310)을 통해 북채의 발목부 둘레를 커팅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목부 커팅유닛(310)은 북채커터 구동부(315)와, 상기 북채커터 구동부(315)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북채의 발목을 커팅하는 북채커터(322)를 포함하는 북채커팅부(320)와, 전술한 제1트롤리(120)의 북채행잉부에 포함된 제1로테이팅부(144)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가이드(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북채커팅부(320)는 상기 장각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1트롤리(120)는 장각을 역 방향으로 매단 상태에서 각 북채커팅부(320)를 통과하며 상기 북채의 발목부에 커팅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이후 계육과 북채골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로테이팅부(144)의 둘레에는 걸림홈(145)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가이드(340)에는 상기 걸림홈(145)에 걸리는 걸림돌기(342)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트롤리(120)가 상기 발목부 커팅유닛(3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로테이팅부(144)가 회전되며 거치된 장각을 수평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장각의 발목부는 상기 복수의 북채커팅부(320)를 통과하며 1회전되어 전체 둘레에 커팅라인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발목부에 커팅라인이 형성된 장각(1)은, 이후 도 12와 같이 틈새확장유닛(35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틈새확장유닛(350)은 상기 발목부 커팅유닛(310)을 거친 장각(1)의 북채 부분 발목부에 형성된 커팅라인을 확장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틈새확장유닛(350)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이격부재(352)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이격부재(352) 사이에는 통과홀(353)이 형성된다.
특히 좌측 이격부재(352a) 및 우측 이격부재(352b)는 곡선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서로 상기 통과홀(353)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각(1)의 절개라인 부분은 상기 통과홀(353)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절개라인의 이하 부분은 상기 좌측 이격부재(352a) 및 상기 우측 이격부재(352b)의 하부에 형성된 분리공간(354)을 통과하게 되어 상기 커팅라인이 벌어져 확장될 수 있다.
도 13에는 북채 발골장치(100)의 북채 발골어셈블리(400)가 도시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북채 발골어셈블리(400)는 제1회전유닛(403)과, 제1파지유닛(4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유닛(203)은 북채와 넓적다리가 연결된 도계의 장각(1)을 역 방향으로 매달아 이송하는 북채 이송라인의 경로 상에 구비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모듈(40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파지유닛(430)은 상기 제1회전유닛(40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유닛(403)과 함께 회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파지유닛(430)은 상기 제1회전모듈(440)과 함께 회전되는 제1지지바(42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바(420) 및 상기 제1파지유닛(430)은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파지유닛(430)의 회전 경로 내측에는 제1고정유닛(4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지유닛(430)은 제1이동부(450)와, 제2이동부(440)와, 우측 북채파지부(470b)와, 좌측 북채파지부(47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동부(250)는 후술할 제1고정유닛(410)의 제1가이드홈(414, 도 16 참조)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452)를 포함하여, 상기 제1고정유닛(4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1가이드홈(414)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부(440)는 제1고정유닛(410)의 제2가이드홈(412, 도 16 참조)에 삽입되는 제2돌출부(442)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제1가이드캠(4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부(440)는 상기 제1이동부(4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유닛(4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2가이드홈(412)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부(450) 및 상기 제2이동부(440)는 상기 제1지지바(420)에 의해 상하 관통된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바(420)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우측 북채파지부(470b)는 상기 제1이동부(4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단부에 제1파지부재(472)가 형성되고 하단의 이동휠(476)이 상기 제1가이드캠(460)의 일측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이동부(450) 및 상기 제2이동부(440)의 상대 거리가 가까워질 경우, 하단이 상기 제1가이드캠(460)의 경사면(462)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짐에 따라 상단부가 내측으로 회전되어 장각의 북채 발목부를 감싸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좌측 북채파지부(470a) 역시 상기 우측 북채파지부(470b)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이동부(4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단부에 제1파지부재(472)가 형성되고 하단의 이동휠(476)이 상기 제1가이드캠(460)의 타측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이동부(450) 및 상기 제2이동부(440)의 상대 거리가 가까워질 경우, 하단이 상기 제1가이드캠(460)의 경사면(462)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짐에 따라 상단부가 내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절개커터의 반대 측에서 북채의 발목부를 감싸도록 구동되어, 상기 우측 북채파지부(470b)와의 사이에 파지갭(473)을 형성한다.
도 16에는 제1고정유닛(410)의 모습이 도시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유닛(41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술한 제1파지유닛(430)의 내측에 구비되며, 둘레를 따라 제1가이드홈(414) 및 제2가이드홈(4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414) 및 상기 제2가이드홈(412)은 구간에 따라 높이가 변화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고정유닛(410)은 상기 제2가이드홈(412)이 상기 제1가이드홈(4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향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414)과 상기 제2가이드홈(412)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는 파지구간(a)과, 상기 파지구간(a) 이후 상기 제1가이드홈(414) 및 상기 제2가이드홈(412)이 동시에 하향되는 발골구간(b)과, 상기 파지구간(a) 및 상기 발골구간(b) 사이에 구비되어 장각의 발목부에 형성된 절개라인을 안정적으로 완전히 파지하도록 상하 왕복 이동되는 보조구간(c)을 포함한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지유닛(230)은 상기 파지구간(a)에서 제2이동부(440)가 상향되어 제1이동부(450)와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며, 이에 따라 상기 좌측 북채파지부(470a) 및 상기 우측 북채파지부(470b)의 상단부 역시 서로 이격 거리가 감소하게 되어 상기 북채의 발목부를 파지하게 되며, 이후 상기 제1파지유닛(230)은 상기 보조구간(c)에서 상하 이동을 반복하며 상기 북채의 발목부에 형성된 절개라인을 안정적으로 파지하게 된다.
이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지유닛(430)은 상기 발골구간(b)에서 상기 제2이동부(440)와 상기 제1이동부(450)가 모두 하향되며 계육 부분을 끌어내려 북채골만을 상부에 남기게 된다. 즉 상기 제1파지유닛(430)에 의해 끌어내려진 부분에는 계육과 넓적다리골만이 잔류하게 될 것이다.
이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지유닛(230)의 회전 경로 외측에 구비된 제1분리유닛(480)을 통해 북채골(B)과 나머지 부분을 서로 분리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분리유닛(480)은 회전에 따라 상기 북채골(B)의 하부를 잘라 분리시키는 제1분리커터(484)와, 상기 제1분리커터(484)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분리커터 구동부(4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도계의 장각(1)으로부터 북채골(B)을 분리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북채와 넓적다리가 연결된 장각(1)을 대상으로 북채골(B)을 분리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북채 발골어셈블리(400)는 북채만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 넓적다리와 미리 분리된 북채를 제1트롤리(420)에 거치시킨 뒤, 전술한 장각 절개 어셈블리(200)를 바이패스하도록 구성하여, 북채가 상기 북채 전처리어셈블리(300) 및 상기 북채 발골어셈블리(400)만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경우에도 북채로부터 계육과 북채골(B)을 서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계의 넓적다리 발골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북채 발골장치를 통해 북채골을 발골한 장각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넓적다리 발골장치에 거치하여 공정을 진행하는 것으로 예시할 것이나, 이와 달리 상기 넓적다리 발골장치 역시 북채와 미리 분리된 넓적다리만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넓적다리 발골장치(500)는 넓적다리 이송라인과, 넓적다리 전처리어셈블리(700)와, 넓적다리 발골어셈블리(800)를 포함한다.
공정 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전술한 북채 발골장치를 통해 북채골을 발골한 장각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넓적다리 이송라인에 역 방향으로 걸어 매단 상태에서, 상기 넓적다리 전처리어셈블리(700)를 통해 전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넓적다리 발골어셈블리(800)를 통해 넓적다리골을 분리하게 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넓적다리 이송라인은 제2이송가이드(510)와, 제2트롤리(5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이송가이드(510)는 상기 넓적다리의 이송궤도를 따라 길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폐곡선 형태의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2트롤리(520)는 상기 제2이송가이드(5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트롤리(520)는 상기 제2이송가이드(510)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롤러(532)를 포함하는 제2이송부(530)와, 상기 넓적다리를 역 방향으로 매달아 이송하도록 제2걸림후크(552)가 형성된 넓적다리행잉부(550)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넓적다리행잉부(550)를 회전시키는 제2연결부(5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부(530) 및 상기 제2연결부(540)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결합부(534, 542)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넓적다리행잉부(550)는 상기 제2연결부(540)의 체결부(546)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연결부(540)는 상기 넓적다리행잉부(550)를 직접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2로테이팅부(544)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2트롤리(120)는, 제2걸림후크(550)에 장각(1)의 잔여부분 중 넓적다리의 슬관절부를 걸어 매단 상태로 상기 제2이송가이드(510)를 따라 상기 장각(1)의 잔여부를 이송시키게 된다.
도 22 내지 도 27에는, 상기 넓적다리 전처리어셈블리(700)를 통한 처리 과정이 도시된다. 상기 넓적다리 전처리어셈블리(700)는 선계육정리유닛(710)과, 슬관절부 선커팅유닛(720)과, 슬관절부 후커팅유닛(730)과, 후계육정리유닛(7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계육정리유닛(710)을 통해 넓적다리의 계육 부분을 하부로 모아 주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선계육정리유닛(710)은 상기 넓적다리의 계육 부분을 하부로 모아 주어 이후 이루어지는 커팅 작업으로 인해 계육이 커팅되어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선계육정리유닛(710)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이격부재(712)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이격부재(712) 사이에는 통과홀(713)이 형성된다. 즉 전체적인 구성요소는 전술한 북채 발골장치의 틈새 확장유닛과 유지하게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좌측 이격부재(712a) 및 우측 이격부재(712b)는 곡선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서로 상기 통과홀(713)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각(1)의 슬관절부 부분은 상기 통과홀(713)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슬관절부 이하의 계육 부분은 상기 좌측 이격부재(712a) 및 상기 우측 이격부재(712b)의 하부에 형성된 분리공간(714)을 통과하게 되어 모든 계육은 슬관절부보다 하부로 모이도록 정리된다.
이후 도 23과 같이 상기 슬관절부 선커팅유닛(720)을 통해 넓적다리의 슬관절부 일측을 커팅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관절부 선커팅유닛(720)은 넓적다리커터 구동부(722)와, 상기 넓적다리커터 구동부(722)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넓적다리의 슬관절부 일측을 커팅하는 넓적다리커터(72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장각(1)의 잔여 부분은 상기 슬관절부 선커팅유닛(720)을 통과하며 슬관절부의 일측에 절개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24 내지 도 26과 같이 상기 슬관절부 후커팅유닛(730)을 통해 넓적다리의 슬관절부 둘레를 커팅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관절부 후커팅유닛(730)은, 상기 장각(1)의 잔여 부분의 이송 경로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블레이드(732a, 732b)를 포함하는 무동력커터(732)와, 전술한 제2트롤리(520)의 넓적다리행잉부에 포함된 제2로테이팅부(544)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가이드(7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무동력커터(732)는 상기 장각(1)의 잔여 부분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2트롤리(520)는 상기 장각(1)의 잔여 부분을 역 방향으로 매단 상태에서 각 무동력커터(732)를 통과하며 상기 넓적다리의 슬관절부 둘레에 걸쳐 커팅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이후 계육과 넓적다리골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로테이팅부(544)의 둘레에는 기어 이가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가이드(740)에는 상기 제2로테이팅부(544)의 기어 이에 치합되는 기어 이(74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트롤리(520)가 상기 슬관절부 후커팅유닛(7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2로테이팅부(544)가 회전되며 거치된 장각(1)의 잔여 부분을 수평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장각(1)의 잔여 부분은 상기 무동력커터(732)의 블레이드(732a, 732b) 사이를 회전하며 통과하여 슬관절부의 전체 둘레에 커팅라인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732a, 732b)는 탄성모듈(734)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다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특히 상기 탄성모듈(734)은 상기 블레이드(732a, 732b)를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732a, 732b)에 복원력을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무동력커터(732)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장각(1)의 슬관절부 두께에 관계 없이 원활하게 커팅라인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732a, 732b)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장각(1)의 슬관절부가 불필요하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관절부에 커팅라인이 형성된 장각(1)의 잔여 부분은, 이후 도 27과 같이 후계육정리유닛(75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후계육정리유닛(750)은 상기 슬관절부 후커팅유닛(730)을 거친 장각(1)의 잔여 부분의 슬관절부에 형성된 커팅라인을 확장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후계육정리유닛(750)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이격부재(752)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이격부재(752) 사이에는 통과홀(753)이 형성된다.
특히 좌측 이격부재(752a) 및 우측 이격부재(752b)는 곡선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서로 상기 통과홀(753)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각(1)의 잔여 부분의 절개라인 부분은 상기 통과홀(753)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절개라인의 이하 부분은 상기 좌측 이격부재(752a) 및 상기 우측 이격부재(752b)의 하부에 형성된 분리공간(754)을 통과하게 되어 상기 커팅라인이 벌어져 확장될 수 있다.
도 28에는 넓적다리 발골장치(100)의 넓적다리 발골어셈블리(800)가 도시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넓적다리 발골어셈블리(800)는 제2회전유닛(803)과, 제2파지유닛(830)을 포함한다.
상기 제2회전유닛(803)은 넓적다리 이송라인의 경로 상에 구비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회전모듈(80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파지유닛(830)은 상기 제2회전유닛(80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유닛(803)과 함께 회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파지유닛(830)은 상기 제2회전모듈(840)과 함께 회전되는 제2지지바(82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바(820) 및 상기 제2파지유닛(830)은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파지유닛(830)의 회전 경로 내측에는 제2고정유닛(8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파지유닛(830)은 제3이동부(850)와, 제4이동부(840)와, 우측 넓적다리파지부(870b)와, 좌측 넓적다리파지부(870a)를 포함한다.
상기 제3이동부(250)는 후술할 제2고정유닛(810)의 제3가이드홈(814, 도 31 참조)에 삽입되는 제3돌출부(852)를 포함하여, 상기 제2고정유닛(8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3가이드홈(814)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4이동부(840)는 제2고정유닛(810)의 제4가이드홈(812, 도 31 참조)에 삽입되는 제4돌출부(842)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제2가이드캠(8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4이동부(840)는 상기 제3이동부(8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유닛(8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4가이드홈(812)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이동부(850) 및 상기 제4이동부(840)는 상기 제2지지바(820)에 의해 상하 관통된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바(820)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우측 넓적다리파지부(870b)는 상기 제3이동부(8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단부에 제2파지부재(872)가 형성되고 하단의 이동휠(876)이 상기 제2가이드캠(860)의 일측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3이동부(850) 및 상기 제4이동부(840)의 상대 거리가 가까워질 경우, 하단이 상기 제2가이드캠(860)의 경사면(862)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짐에 따라 상단부가 내측으로 회전되어 넓적다리 슬관절부를 감싸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좌측 넓적다리파지부(870a) 역시 상기 우측 넓적다리파지부(870b)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이동부(8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단부에 제2파지부재(872)가 형성되고 하단의 이동휠(876)이 상기 제2가이드캠(860)의 타측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3이동부(850) 및 상기 제4이동부(840)의 상대 거리가 가까워질 경우, 하단이 상기 제2가이드캠(860)의 경사면(862)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짐에 따라 상단부가 내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절개커터의 반대 측에서 넓적다리 슬관절부를 감싸도록 구동되어, 상기 우측 넓적다리파지부(870b)와의 사이에 파지갭(873)을 형성한다.
도 31에는 제2고정유닛(810)의 모습이 도시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유닛(81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술한 제2파지유닛(830)의 내측에 구비되며, 둘레를 따라 제3가이드홈(814) 및 제4가이드홈(812)이 형성된다.
상기 제3가이드홈(814) 및 상기 제4가이드홈(812)은 구간에 따라 높이가 변화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고정유닛(810)은 상기 제4가이드홈(812)이 상기 제3가이드홈(8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향되어 상기 제3가이드홈(814)과 상기 제4가이드홈(812)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는 파지구간(a)과, 상기 파지구간(a) 이후 상기 제3가이드홈(814) 및 상기 제4가이드홈(812)이 동시에 하향되는 발골구간(b)과, 상기 파지구간(a) 및 상기 발골구간(b) 사이에 구비되어 넓적다리의 슬관절부에 형성된 절개라인을 안정적으로 완전히 파지하도록 상하 왕복 이동되는 보조구간(c)을 포함한다.
즉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파지유닛(230)은 상기 파지구간(a)에서 제4이동부(840)가 상향되어 제3이동부(850)와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며, 이에 따라 상기 좌측 넓적다리파지부(870a) 및 상기 우측 넓적다리파지부(870b)의 상단부 역시 서로 이격 거리가 감소하게 되어 상기 넓적다리의 슬관절부를 파지하게 되며, 이후 상기 제2파지유닛(230)은 상기 보조구간(c)에서 상하 이동을 반복하며 상기 넓적다리의 슬관절부에 형성된 절개라인을 안정적으로 파지하게 된다.
이후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파지유닛(830)은 상기 발골구간(b)에서 상기 제4이동부(840)와 상기 제3이동부(850)가 모두 하향되며 계육 부분을 끌어내려 넓적다리골만을 상부에 남기게 된다. 즉 상기 제2파지유닛(830)에 의해 끌어내려진 부분에는 계육만이 잔류하게 될 것이다.
이후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파지유닛(230)의 회전 경로 외측에 구비된 제2분리유닛(880)을 통해 넓적다리골(B)과 계육 부분을 서로 분리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분리유닛(880)은 회전에 따라 상기 넓적다리골(B)의 하부를 잘라 분리시키는 제2분리커터(884)와, 상기 제2분리커터(884)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분리커터 구동부(8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도계의 장각(1)으로부터 넓적다리골(B)을 분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장각에서 북채골을 발골한 잔류 부분을 대상으로 넓적다리골(B)을 분리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넓적다리 발골어셈블리(800)는 넓적다리만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이와 같은 경우 북채와 미리 분리된 넓적다리를 제2트롤리(820)에 거치시킨 뒤, 상기 넓적다리 전처리어셈블리(700) 및 상기 넓적다리 발골어셈블리(800)만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경우에도 넓적다리로부터 계육과 넓적다리골(B)을 서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장각 T: 절개선
100: 북채 발골장치 110: 제1이송가이드
120: 제1트롤리 200: 장각 절개 어셈블리
300: 북채 전처리어셈블리 400: 북채 발골어셈블리
500: 넓적다리 발골장치 510: 제2이송가이드
520: 제2트롤리 700: 넓적다리 전처리어셈블리
800: 넓적다리 발골어셈블리

Claims (5)

  1. 북채와 넓적다리가 연결된 도계의 장각을 역 방향으로 매달아 이송하는 북채 이송라인의 경로 상에 구비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3회전유닛; 및
    상기 제3회전유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회전유닛과 함께 회전되며, 절개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절개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절개유닛은,
    회전 구간에 따라 상하 변위가 가변되고, 기 설정된 지점에서 상기 장각의 북채에 절개커터를 인입하여 하향됨에 따라, 상기 장각의 북채로부터 상기 장각의 넓적다리에 걸쳐 상기 장각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선을 형성하는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유닛의 회전 경로 내측에 구비되며, 구간에 따라 높이가 변화되는 제5가이드홈 및 제6가이드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3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유닛은,
    상기 제5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5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5가이드홈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제5이동부;
    상기 제6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6돌출부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제3가이드캠을 포함하며, 상기 제5이동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6가이드홈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제6이동부; 및
    상기 제5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하단이 상기 제3가이드캠의 일측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5이동부 및 상기 제6이동부의 상대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장각의 북채에 절개커터를 인입시키는 절개커터고정부;
    를 포함하는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유닛은,
    상기 제5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하단이 상기 제3가이드캠의 타측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5이동부 및 상기 제6이동부의 상대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절개커터의 반대 측에서 상기 장각을 지지하는 장각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정유닛은,
    상기 제6가이드홈이 상기 제5가이드홈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향되어 상기 제5가이드홈과 상기 제6가이드홈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는 인입구간과,
    상기 인입구간 이후 상기 제5가이드홈 및 상기 제6가이드홈이 동시에 하향되는 절개구간을 포함하는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
KR1020160129239A 2016-10-06 2016-10-06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 KR101915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39A KR101915017B1 (ko) 2016-10-06 2016-10-06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39A KR101915017B1 (ko) 2016-10-06 2016-10-06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299A true KR20180038299A (ko) 2018-04-16
KR101915017B1 KR101915017B1 (ko) 2018-11-06

Family

ID=6208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239A KR101915017B1 (ko) 2016-10-06 2016-10-06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0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2550B1 (en) * 2019-02-08 2020-08-19 Foodmate Bv System and method for deboning a poultry leg part
RU2741084C1 (ru) * 2019-03-25 2021-01-22 Мейн Фоод Процессинг Течнологы Б.В.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голени от птичьей ножки
CN112654250A (zh) * 2018-09-03 2021-04-13 Fpi食品加工创新有限两合公司 用于传送家禽的机组和方法
CN115211455A (zh) * 2021-04-16 2022-10-21 荷兰梅恩食品加工技术公司 用于家禽部位的去骨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15B1 (ko) * 2009-05-07 2011-04-22 현병영 닭다리 발골장치 및 그 발골방법
KR20120115733A (ko) * 2011-04-11 2012-10-19 주식회사 태진 도계 발골장치
KR20140056067A (ko) * 2012-10-29 2014-05-09 푸드메이트 비.브이. 동물 사지로부터 고기를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4512837A (ja) * 2011-05-06 2014-05-29 マレル・シュトルク・ポウルトリー・プロセシング・ベー・フェー 家禽首肉摘出機および家禽首肉の機械化された摘出を行う方法
KR20140097060A (ko) * 2009-06-10 2014-08-06 푸드메이트 비.브이. 자동 고기 가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79819A (ko) * 2013-11-01 2016-07-06 푸드메이트 비.브이. 고기 및 골격 구조를 포함하는 가금류 가슴살 캡들을 자동으로 발골하여 그로부터 가슴살 필레들을 얻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15B1 (ko) * 2009-05-07 2011-04-22 현병영 닭다리 발골장치 및 그 발골방법
KR20140097060A (ko) * 2009-06-10 2014-08-06 푸드메이트 비.브이. 자동 고기 가공 방법 및 장치
KR20120115733A (ko) * 2011-04-11 2012-10-19 주식회사 태진 도계 발골장치
JP2014512837A (ja) * 2011-05-06 2014-05-29 マレル・シュトルク・ポウルトリー・プロセシング・ベー・フェー 家禽首肉摘出機および家禽首肉の機械化された摘出を行う方法
KR20140056067A (ko) * 2012-10-29 2014-05-09 푸드메이트 비.브이. 동물 사지로부터 고기를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79819A (ko) * 2013-11-01 2016-07-06 푸드메이트 비.브이. 고기 및 골격 구조를 포함하는 가금류 가슴살 캡들을 자동으로 발골하여 그로부터 가슴살 필레들을 얻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4-512837호(2014.05.29.) 1부.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4250A (zh) * 2018-09-03 2021-04-13 Fpi食品加工创新有限两合公司 用于传送家禽的机组和方法
KR20210042938A (ko) * 2018-09-03 2021-04-20 에프피아이 푸드 프로세싱 이노베이션 게엠베하 앤드 코.카게 가금류를 이송하는 장치 및 방법
US11297845B2 (en) 2018-09-03 2022-04-12 Fpi Food Processing Innovation Gmbh + Co. Kg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veying poultry
CN112654250B (zh) * 2018-09-03 2022-07-05 Fpi食品加工创新有限两合公司 用于传送家禽的机组和方法
NL2022550B1 (en) * 2019-02-08 2020-08-19 Foodmate Bv System and method for deboning a poultry leg part
WO2020162757A3 (en) * 2019-02-08 2020-09-17 Foodmate B.V. System and method for deboning a poultry leg part
US11819037B2 (en) 2019-02-08 2023-11-21 Foodmate B.V. System and method for deboning a poultry leg part
RU2741084C1 (ru) * 2019-03-25 2021-01-22 Мейн Фоод Процессинг Течнологы Б.В.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голени от птичьей ножки
CN115211455A (zh) * 2021-04-16 2022-10-21 荷兰梅恩食品加工技术公司 用于家禽部位的去骨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017B1 (ko)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019B1 (ko) 도계의 넓적다리 발골장치
KR101915017B1 (ko) 도계의 장각 절개 어셈블리
CA2938143C (en) Positioning device for positioning poultry legs conveyed in single file in the conveying direction along a conveyor section and method comprising said positioning for removing the thigh meat from poultry legs
CN103371218B (zh) 一种处理家禽尸块的方法和设备
EP1226758A2 (en) Method of separating meat of a poultry with bones and apparatus for use in such method
CN105377042B (zh) 分离从屠宰家禽中取出的内脏的方法、系统和导向总成
KR101824059B1 (ko) 가금류 허벅지로부터 허벅지살과 오이스터살을 수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19421A (ko) 가금류의 다리로부터 넓적다리 살코기와 함께 무릎 살코기를 수확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96205B1 (ko) 뼈 있는 다리살의 골육 분리 장치 및 뼈 있는 다리살의 골육 분리 방법
WO19850023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ning dark meat of chicken by belt-shaped cutter
KR102121650B1 (ko) 도계의 장각 발골시스템
CN104642490A (zh) 用于从家禽腹腔移除内脏的设备和方法
RU250230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крыла тушки птицы, прикрепленного к указанной тушке
BR112014022541B1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captura de imagem de raio x de carne com osso
JP2015532117A (ja) 屠殺された家禽の枝肉部から鞍下肉を採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3543643B (zh) 用于使禽类腿部去骨的系统和方法
JP2014527836A (ja) 解体家禽の残骸部分を支持するためのキャリア
CN104920575B (zh) 用于机械加工从被屠宰禽类取出的器官的方法、加工装置和加工生产线
CN110785083A (zh) 用于运送家禽屠体的运送装置和方法,以及用于将家禽屠体切片的设备和方法
EP11906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eting fish
CN104398065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珍珠自动穿线装置
JP6063572B2 (ja) シャックルから鳥を懸吊する方法および鳥を懸吊する装置
CN207844883U (zh) 一种尖轨吊具
RU267813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трошения и способ потрошения подвешенной птицы
CN106078286A (zh) 一种圆管状工件加工用夹具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