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874A - 연함 - Google Patents

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874A
KR20180037874A KR1020160129226A KR20160129226A KR20180037874A KR 20180037874 A KR20180037874 A KR 20180037874A KR 1020160129226 A KR1020160129226 A KR 1020160129226A KR 20160129226 A KR20160129226 A KR 20160129226A KR 20180037874 A KR20180037874 A KR 20180037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surface
present
fixing member
soft material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석창
Original Assignee
한석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석창 filed Critical 한석창
Priority to KR1020160129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7874A/ko
Publication of KR20180037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1/3405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for eaves, valley, or verge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2/00Non-structural supports for roofing materials, e.g. battens,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1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edges, e.g. intersections with walls
    • E04D2001/303Eave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기와의 형상에 따라 상부에 받침면이 형성된 연함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오목홈이 형성되되, 상기 오목홈에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상기 받침면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연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받침면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홈을 형성하되 상기 오목홈에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받침면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암기와는 안정적으로 받쳐지므로 상기 암기와의 밀림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연함{Yeonham}
본 발명은 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면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홈을 형성하되 상기 오목홈에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받침면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암기와는 안정적으로 받쳐지므로 상기 암기와의 밀림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함은 한옥 골조 공사에서 목수가 제일 마지막으로 다듬는 부재로서 처마 끝 서까래를 연결해 둔 평고대 위에 붙여서 암기와를 받는 구실을 한다.
이러한 연함은 밑변이 1.5치 이상, 높이는 2.5치 이상, 길이가 여섯자 내지 아홉자 짜리 각목을 직각 삼각형에 가까운 마름모꼴로 켜서 사용한다.
그리고 궁궐이나 사찰과 같은 큰 규모의 집들은 기와도 큰 것을 써야 하므로 연함도 크게 쓰지만 살림집에서는 밑변 1.2치에 높이 2.5치 짜리를 쓰는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와공은 목수에게서 넘겨 받은 연함 재목을 암기와의 모양새에 따라 기와의 밑변에 밀착되는 원호의 곡선으로 깍아 내며, 예전에는 일일이 자귀로 자귀질을 했지만 지금은 전기 실톱을 이용해서 곱게 켜내기도 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의 경사도에 따라 연암(10)의 상부에는 받침면(1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받침면(11)은 단순히 암기와를 받치는 구실에 불과한 것이어서 작업시 또는 암기와를 받친 후 상기 암기와의 유동으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질 뿐더러 연함에 받쳐진 암기와의 유동 및 밀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면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홈을 형성하되 상기 오목홈에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받침면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암기와는 안정적으로 받쳐지므로 상기 암기와의 밀림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함은, 암기와의 형상에 따라 상부에 받침면이 형성된 연함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오목홈이 형성되되, 상기 오목홈에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상기 받침면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면의 높이는 각기 달리 형성되되, 일측에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받침면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홈을 형성하되 상기 오목홈에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받침면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암기와는 안정적으로 받쳐지므로 상기 암기와의 밀림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의 연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연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도 2의 측면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연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 도4의 정면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함(100)은, 암기와의 형상에 따라 상부에 받침면(110)이 형성된 연함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110)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오목홈(111)이 형성되되, 상기 오목홈(111)에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20)가 상기 받침면(1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연함(100)은 서까래 끝의 암기와를 받기 위하여 평고대 위에 덧대는 나무로, 상기 연함(100)의 상부에는 암기와의 형상에 따른 받침면(110)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111)은 받침면(110)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고정부재(120)의 삽입 또는 충진을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오목홈(111)은 받침면(110)의 중심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그 형상은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됨은 당연하다.
상기 받침면(110)은 암기와의 형상에 따라 경사져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받침면(110)의 높이는 암기와의 중심부에 해당되는 부분이 가장 낮고 상기 암기와의 양측이 걸리는 부분이 가장 높도록 형성되고, 상기 받침면(110)의 일측에는 암기와의 일측이 걸려서 고정되도록 단턱(1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단턱(112)은 암기와의 견고한 고정과 함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라 할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오목홈(111)에 삽입 또는 충진되는 구성으로, 받침면(1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암기와의 안정적인 지지와 함께 밀림 및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의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일례로 연질의 재질인 실리콘을 상기 오목홈(111)에 충진하여 경화한 후 사용할 수도 있고, 또 연질의 재질인 고무를 상기 오목홈(111)에 삽입한 후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연함 110: 받침면
111: 오목홈 120: 고정부재

Claims (2)

  1. 암기와의 형상에 따라 상부에 받침면이 형성된 연함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110)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오목홈(111)이 형성되되, 상기 오목홈(111)에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20)가 상기 받침면(1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110)의 높이는 각기 달리 형성되되, 일측에는 단턱(11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함.

KR1020160129226A 2016-10-05 2016-10-05 연함 KR20180037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26A KR20180037874A (ko) 2016-10-05 2016-10-05 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26A KR20180037874A (ko) 2016-10-05 2016-10-05 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74A true KR20180037874A (ko) 2018-04-13

Family

ID=6197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226A KR20180037874A (ko) 2016-10-05 2016-10-05 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7874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561A (ja) * 2001-06-29 2003-01-15 Home Kenzai Kk 瓦下地材及び瓦屋根の施工方法
JP2006118249A (ja) * 2004-10-22 2006-05-11 Nissho:Kk 瓦屋根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接着剤注出器
KR101350307B1 (ko) * 2013-05-30 2014-01-16 (주)대청기와건설 지붕 기와의 낙하 방지용 연암
KR20140147195A (ko) * 2013-06-18 2014-12-30 (주)대청기와건설 접착식 기와 상걸이
KR20150126109A (ko) * 2014-05-01 2015-11-11 순 모 박 금속기와 마감용 지지부재
KR101580133B1 (ko) * 2015-07-23 2015-12-28 이경택 한옥의 지붕슬래브 서까래 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한옥지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561A (ja) * 2001-06-29 2003-01-15 Home Kenzai Kk 瓦下地材及び瓦屋根の施工方法
JP2006118249A (ja) * 2004-10-22 2006-05-11 Nissho:Kk 瓦屋根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接着剤注出器
KR101350307B1 (ko) * 2013-05-30 2014-01-16 (주)대청기와건설 지붕 기와의 낙하 방지용 연암
KR20140147195A (ko) * 2013-06-18 2014-12-30 (주)대청기와건설 접착식 기와 상걸이
KR20150126109A (ko) * 2014-05-01 2015-11-11 순 모 박 금속기와 마감용 지지부재
KR101580133B1 (ko) * 2015-07-23 2015-12-28 이경택 한옥의 지붕슬래브 서까래 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한옥지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14379B (zh) 线性表面覆盖系统
US9290889B2 (en) Deck fastening device
PL1902222T3 (pl) Zestaw mocujący
WO2005009162A3 (en) Integral spine structure for footwear
ATE407274T1 (de) Bau-stützbock
KR20180037874A (ko) 연함
US20050144796A1 (en) Retainer clips for securing a cylindrical level vial
ATE346725T1 (de) Tragbare mobilbox
ATE416281T1 (de) Kraganker
US1625745A (en) Hook bracket
DE502004009308D1 (de) System zur Festlegung flächiger Solarkomponenten
JP2017101535A (ja) 外装材の仮支持部材
EA201990662A1 (ru) Перемычка
JP6628503B2 (ja) 取付具
JP2015059367A (ja) 屋根の棟構造
EP2487426A2 (en) Hose clamp
JP3200331U (ja) 建材
Zhang et al. Destination development in Yangtze Basin mount tourism in Shennongjia
JP2019173318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3459060B2 (ja) 縦棧葺き工法
KR20200112311A (ko) 낚싯대 받침구
JP2015094152A (ja) 竪樋支持具、竪樋支持具の設置方法
JP2021075909A (ja) 軒樋耐風補強具
KR200322062Y1 (ko) 세그먼트의 받침빔용 클립
JP2005344281A (ja) 軒樋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