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605A - 스팀 밸브, 뚜껑 및 액체 가열용기 - Google Patents

스팀 밸브, 뚜껑 및 액체 가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605A
KR20180037605A KR1020177032948A KR20177032948A KR20180037605A KR 20180037605 A KR20180037605 A KR 20180037605A KR 1020177032948 A KR1020177032948 A KR 1020177032948A KR 20177032948 A KR20177032948 A KR 20177032948A KR 20180037605 A KR20180037605 A KR 20180037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pipe
weight member
intake pipe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565B1 (ko
Inventor
신화 허
샹양 마
웨이졔 천
쟈순 리
Original Assignee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0815618.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7802185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21048427.X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56035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21048534.2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33377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21048490.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33373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21048465.5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560316U/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3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75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스팀 밸브, 뚜껑과 액체 가열용기에 관한 것이며, 그 중, 스팀 밸브는 배기관, 흡기관과 추 부재를 포함하고, 배기관은 일단이 오픈되고 다른 일단이 밀폐된 모양이며, 상기 배기관에는 상기 배기관이 그 축 방향을 돌아 회전하게 하는 자유 회전부가 있다. 흡기관은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의 측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추 부재는 상기 배기관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관의 측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상기 추 부재와 상기 흡기관은 배기관 원주 방향 상의 협각 α가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추 부재는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가 상기 흡기관이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보다 크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액체 가열용기 속의 물이 배기관 속으로 진입하는 확률을 감소시키고, 액체 가열용기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개선한다.

Description

스팀 밸브, 뚜껑 및 액체 가열용기
본 발명은 액체 가열용기 기술 영역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일종의 스팀 밸브, 뚜껑 및 액체 가열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 가열용기는 뚜껑과 포트 바디를 포함하며, 보통 뚜껑과 포트 바디 사이에 사용되는 밀폐된 어셈블리 방식은 액체 가열용기가 사고로 기울어진 후 포트 속의 뜨거운 물이 흘러나와 일어나는 화상 위험을 방지한다. 그밖에, 뚜껑 속에 있는 스팀 밸브는 물이 끓을 때 액체 가열용기의 수증기를 배출시킨다.
그러나 기존의 스팀 밸브는 모두 밀봉 추 차단 방식으로 배기구를 막는다. 즉, 스팀 밸브의 배기관에 밀봉 추를 추가 설치하면, 액체 가열용기가 기울어졌을 때 밀봉 추가 배기구로 이동하여 배기구를 차단함에 따라, 포트 바디 속의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밀봉 추는 종종 확실하게 차단되지 않거나, 또는 즉시 차단되지 않아서 뚜껑으로 물이 자주 새어 나온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액체 가열용기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개선하는 일종의 스팀 밸브의 제공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일종의 스팀 밸브는 다음을 포함한다. 배기관, 일단이 오픈되고 다른 일단이 밀폐된 모양이며, 상기 배기관에는 상기 배기관이 그 축 방향을 돌아 회전하게 하는 자유 회전부가 있다. 흡기관,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의 측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추 부재, 상기 배기관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관의 측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상기 추 부재와 상기 흡기관은 배기관 원주 방향의 협각 α가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추 부재가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는 상기 흡기관이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보다 크다.
최적화로서, 상기 흡기관은 납작한 모양으로 설치되며, 상기 흡기관의 길이는 3cm에서 5cm 사이이다.
최적화로서, 상기 흡기관과 상기 배기관은 일체형이며, 상기 흡기관은 상기 배기관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밖으로 확장되고, 상기 추 부재와 동일한 회전 평면 상에 있다.
최적화로서, 상기 추 부재와 상기 흡기관은 배기관의 원주 방향 협각 α가 170°보다 크거나 같고 180°도보다 작거나 같다.
최적화로서, 상기 배기관의 측벽에는 돌기가 있고, 상기 추 부재는 상기 돌기 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최적화로서, 상기 배기관은 플라스틱 부재이고, 상기 추 부재는 금속 부재이며, 상기 추 부재는 2차 사출을 통해 상기 배기관 위에 고정된다.
최적화로서, 상기 추 부재는 부채꼴 모양이며, 그 원심 엔드는 상기 배기관에 연결된다.
최적화로서, 상기 배기관의 외표면에는 수밀 구조가 있으며, 상기 수밀 구조는 최소 상기 배기관 외측벽에 설치되는 제1 차단 링 및/또는 상기 배기관 개구단 단면에 설치되는 제2 차단 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 링은 다수이고, 상기 배기관의 축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배열되며, 상기 제2 차단 링은 다수이고, 상기 배기관의 반경 방향을 따라 분포한다.
최적화로서, 상기 흡기관의 횡단면적은 S∈[20mm2,120mm2]이고, 상기 흡기관의 길이는 L0∈[20mm,60mm]이며, 상기 흡기관은 납작한 모양으로 설치되고, 상기 흡기관의 횡단면은 타원형으로 설치된다.
최적화로서, 상기 배기관의 개구단 및/또는 상기 자유 회전부에는 내마모층이 있다.
본 발명이 또 제공하는 일종의 뚜껑은 캡 바디, 상기 캡 바디 상하 양단에 있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하부 커버 플레이트, 및 스팀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캡 바디에는 일단이 상기 배기관 개구단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외부와 연결되는 스팀 통로가 있으며, 상기 뚜껑 내에는 상기 자유 회전부를 설치하게 하는 회전 설치부가 있다.
최적화로서, 상기 캡 바디 위에는 상기 스팀 밸브를 수용하는 수용 그루브가 있고, 상기 수용 그루브는 일단이 밀폐되고 다른 일단이 오픈된 실린더 모양이며, 상기 배기관의 개구단 단면은 상기 수용 그루브의 밀폐단 단면에 닿고, 상기 수용 그루브의 밀폐단 단면에는 상기 배기관과 상기 스팀 통로를 연결하는 배기 구멍이 있다.
최적화로서. 상기 수용 그루브의 밀폐단의 단면에는 최소 하나의 차단 그루브가 있으며, 상기 배기관 개구단의 단면에는 최소 하나의 상기 차단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제1 차단 링이 있다.
최적화로서, 상기 배기관의 측부에는 최소 하나의 상기 수용 그루브 내 측벽을 향해 확장되는 제2 차단 링이 있다.
최적화로서, 상기 배기관 내에는 밀봉 추가 있고, 상기 밀봉 추는 상기 배기관 경사각도가 90도보다 클 때, 상기 배기관의 밀폐단에서 상기 배기관의 개구단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수용 그루브 밀폐단의 배기 구멍을 밀폐하며, 상기 배기관의 내벽에는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이 있고, 상기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상기 밀봉 추와 상기 배기관 내벽 사이에 에어 가이드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상기 배기관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고 상기 배기관 원주 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리브이고, 서로 인접한 리브 사이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밀봉 추는 기둥 모양이나 볼 모양으로 설치된다.
최적화로서, 상기 자유 회전부는 상기 배기관 밀폐단의 단면에 설치되는 회전축이고, 상기 회전 설치부는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축 구멍이며, 상기 회전축이 상기 축 구멍에 삽입되어서 상기 스팀 밸브는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에 회전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배기관 밀폐단의 단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서 설치되며, 상기 배기관에는 그 밀폐 단면에서 뻗어나오는 슬리브가 있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탄성 부재를 둘러싸서 설치된다.
최적화로서, 상기 캡 바디에는 또 출구 밸브, 상기 출구 밸브를 수용하는 제2 수용 그루브, 및 상기 출구 밸브와 외부를 연결하는 출구 통로가 있으며, 상기 스팀 통로는 상기 출구 통로와 연결된다.
최적화로서, 상기 자유 회전부는 상기 배기관 밀폐단에 설치되는 축 구멍이며, 상기 회전 설치부는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축 구멍에 삽입되는 회전축이다. 또는 상기 자유 회전부는 상기 배기관 개구단에 설치되는 베어링이며, 상기 회전 설치부는 상기 캡 바디 위의 상기 베어링를 설치하는 베어링 구멍이다.
최적화로서, 상기 수밀 메커니즘과 상기 수용 그루브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 공간 체적의 합은 V0이며, 상기 배기관과 상기 수용 그루브 내벽 사이의 총 체적은 V1이고, V0/V1∈[0.5,0.95]이다.
최적화로서, 상기 수용 그루브 밀폐단의 단면에는 최소 하나의 차단 그루브가 있으며, 상기 제2 차단 링은 상기 차단 그루브 내에 삽입된다.
최적화로서, 상기 흡기관의 길이는 L0,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의 반경은 R,L0/R∈[0.6,0.9]이고, 상기 회전 설치부에는 내마모층이 있다.
최적화로서, 상기 추 부재가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는 상기 흡기관이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 및 상기 배기관이 자전할 때 상기 캡 바디 사이와의 마찰력 모멘트 합보다 크다.
최적화로서, 상기 추 부재의 질량 m1은 10g보다 크거나 같고 50g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흡기관의 질량 m2는 5g보다 크거나 같고 20g보다 작거나 같다.
최적화로서, 상기 추 부재의 무게는 G1이고, 상기 흡기관의 무게는 G2이며, G1/G2∈[0.5,12] 또는 [1,10]이다.
최적화로서, 상기 추 부재의 중심과 상기 배기관의 축선 사이의 간격은 L1이며, 상기 흡기관의 중심과 상기 배기관의 축선 사이의 간격은 L2이고, L1/L2∈[2,20] 또는 [4,15]이다.
최적화로서, 상기 캡 바디에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하부 커버 플레이트와 브래킷이 있으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하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있고, 상기 스팀 밸브를 수용하는 수용 그루브가 있으며, 상기 수용 그루브는 일단이 밀폐되고 다른 일단은 오픈된 실린더 모양이고, 상기 배기관의 개구단 단면은 상기 수용 그루브 내의 밀폐단 단면에 닿으며, 상기 수용 그루브의 밀폐단 단면에는 상기 배기관과 상기 스팀 통로를 연결시키는 배기 구멍이 있고,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배기관 밀폐단의 단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이고, 그 스프링의 내경은 D∈[10mm,20mm],총권수 n∈[4,12],강성계수 k∈[10g/mm,40g/mm],질량 m3∈[0.3g,1.5g]이며, 상기 배기관에는 그 밀폐 단면에서 뻗어나오는 슬리브가 있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탄성 부재를 돌아서 설치된다.
최적화로서, 상기 브래킷에는 또 출구 밸브, 상기 출구 밸브를 수용하는 제2 수용 그루브, 및 상기 출구 밸브와 외부를 연결하는 출구 통로가 있으며, 상기 스팀 통로는 상기 출구 통로와 연결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일종의 액체 가열용기는 또 포트 바디와 제18항에서 설명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포트 바디를 밀폐하고, 상기 포트 바디의 내벽과 밀폐 연결된다.
최적화로서,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캡 바디 사이에는 실링 링이 있고, 상기 뚜껑은 상기 실링 링을 통해 상기 포트 바디의 내벽과 밀폐 연결된다.
최적화로서, 상기 뚜껑과 포트 바디는 스냅 구조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스냅 구조는 뚜껑 위에 설치되는 신축성 있는 걸쇠와 포트 바디 내벽에 설치되는 슬롯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배기관에 설치되는 추 부재와 자유 회전부를 통해, 스팀 밸브를 추 부재의 구동 작용 하에 자유롭게 회전시켜서, 오버플로우 방지 액체 가열용기가 기울어지면, 추 부재가 아래로 회전하는 동시에 흡기관을 위로 이동시킴에 따라, 흡기관의 위치를 끌어올리고, 액체 가열용기 속의 물이 배기 구멍 속으로 들어가는 확률을 줄여주고, 액체 가열용기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개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기존 기술 속의 기술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실시예나 기존 기술 설명에서 사용해야 하는 도면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며, 명백하게 알 수 있듯이 아래 설명 속의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일 뿐이며, 본 영역의 일반적 기술자들에게 있어서는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그 도면에 표시되는 구조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오버플로우 방지 주전자의 실시예의 구조 결선도,
도 2는 도 1 뚜껑의 단면도,
도 3은 도 1 중 뚜껑의 내부 구조 결선도이고, 그 중 뚜껑의 하부 커버 플레이트는 제거되며,
도 4a는 도 3 중의 본 발명 스팀 밸브의 실시예의 구조 결선도,
도 4b는 도 3 중의 본 발명 스팀 밸브의 또 하나의 실시예의 구조 결선도,
도 5a는 도 4a의 또 다른 시각의 구조 결선도,
도 5b는 도 4b의 또 다른 시각의 구조 결선도,
도 6a는 도 4a 중 스팀 밸브의 단면도,
도 6b는 도 4b 중 스팀 밸브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스팀 밸브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뚜껑에 장착된 단면도,
도 8a는 도 1 중 뚜껑이 180°로 기울어진 후의 물과 뚜껑의 위치 구조 단면도, 그 중, 사용한 스팀 밸브는 도 4a 중의 스팀 밸브이며,
도 8b는 도 1 중 뚜껑이 180°로 기울어진 후의 물과 뚜껑의 위치 구조 단면도, 그 중, 사용한 스팀 밸브는 도 4b 중의 스팀 밸브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구현, 기능 특징 및 장점은 실시예에 결합되며, 도면을 참조하며 함께 설명한다.
아래는 본 발명 실시예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 실시예 중의 기술 방안에 대한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이며, 분명하게, 설명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영역의 일반 기술자들이 창조적인 노력이 없다는 전제 하에 얻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덧붙여 말하면, 만약 본 발명 실시예 중에 방향적 지시(예, 상, 하, 좌, 우, 앞, 뒤…)가 연관되면, 그 방향적 지시는 일부 특정 모습(도 참조) 하의 각 부품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 설명으로만 사용되며, 만약 그 특정 모습이 변경되면, 그 방향적 지시 역시 그에 따라 변경된다.
그밖에, 만약 본 발명 실시예 중에 "제1", "제2" 등의 설명이 연관되면, 그 "제1", "제2" 등의 설명은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그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지시한 기술 특징을 함축적으로 명시하는 수량으로 이해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1"이 정의되면, "제2"의 특징은 최소 한 개의 그 특징을 명시적 또는 함축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각 실시예 사이의 기술 방안은 서로 조합될 수 있지만, 반드시 본 영역의 일반 기술자들이 구현할 수 있는 바를 기초로 하며, 기술 방안의 조합에 상호 모순이 생기거나 구현될 수 없을 때는 그 기술 방안의 조합이 존재하지 않고, 본 발명의 청구 보호 범위 내에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일종의 스팀 밸브, 그 스팀 밸브를 설치하는 뚜껑, 및 그 뚜껑을 갖는 액체 가열용기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액체 가열용기(10)는 뚜껑(10a), 포트 바디(10b)와 전원공급장치(10c)를 포함하며, 그 중, 뚜껑(10a)은 캡 바디(10'), 및 캡 바디(10')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11과 캡 바디(10')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 내용 중 액체 가열용기는 주전자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캡 바디(10')는 브래킷(13)을 가지며, 브래킷(13)에는 스팀 밸브(15)를 설치하는 수용 그루브(130)가 있으며, 그 수용 그루브(130)는 일단이 오픈되고, 다른 일단은 밀폐된 실린더 모양으로 설치되며, 그 수용 그루브(130)의 밀폐단에는 스팀 밸브(15)와 연결되는 배기 구멍(131)이 설치된다.
뚜껑(10a)에는 버튼(16)이 있고, 캡 바디(10')에는 레버(17), 출구 밸브(18), 및 그 출구 밸브(18)를 수용하는 제2 수용 그루브(100)가 있으며, 버튼(16)은 레버(17)의 일단에 연결되고, 레버(17)의 다른 일단은 출구 밸브(18)를 오픈시킨다(출구 밸브(18)는 그 상단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과 배플에 의해 밀폐된다).
캡 바디(10')에는 또 스팀 통로(14)와 출구 통로가 있고, 그 배기 구멍(131)은 스팀 통로(14)와 연결되며, 그 스팀 통로(14)의 일단은 외부와 연결되어 포트 바디 속의 기압이 유지된다. 출구 통로 일단은 주둥이이고, 다른 일단은 제2 수용 그루브(100)와 연결되며, 출구 밸브(19)가 오픈되면, 포트 바디(10b) 속의 물이 제2 수용 그루브(100) 속으로 흘러들어가고, 출구 밸브(18)를 거쳐 주둥이에서 배출된다.
그 오버플로우 방지 주전자(10)의 물이 끓으면, 포트 바디(10b) 속의 물이 증발하고, 수증기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 통풍 구멍에서 스팀 밸브(15) 속으로 진입한 후, 배기 구멍(131)을 거쳐 스팀 통로(14)로 진입하고, 마지막으로 수증기는 스팀 통로(14)에서 액체 가열용기 손잡이를 따라 액체 가열용기(10) 밑부분의 서모스탯에 도달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스팀 통로(14)의 외부와 연결된 일단에서 배출된다.
사용자가 물을 따를 때는 포트 바디(10b)에 설치되는 조작 부재(도에는 미표시)를 누르면, 그 조작 부재가 상기 버튼(16)을 누르게 되고, 레버(17)을 통해 출구 밸브(18)이 오픈되어 포트 바디(10b) 속의 물이 제2 수용 그루브(100) 내로 진입하고, 주둥이(141)에서 흘러나온다.
본 발명 실시예 중에서는 4개 방면에서 스팀 밸브(15), 뚜껑과 액체 가열용기의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방면에서, 도 4a 내지 도 6b와 같이, 스팀 밸브(15)는 배기관(151),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을 포함한다. 그 중, 배기관(151)은 일단이 오픈되고 다른 일단은 밀폐된 모양이며, 배기관(151)에는 그 배기관(151)이 그 축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하는 자유 회전부가 있다.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을 연결하고, 배기관(151)과 통하며, 배기관(151)의 측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추 부재(152)는 배기관을 연결하고, 배기관(151)의 측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배기관(151) 원주 방향의 협각 α가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거나 같으며, 추 부재(152)가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는 상기 흡기관(153)이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배기관(151)은 파이프 바디와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그 파이프 바디의 상단은 오픈되고, 하단은 그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밀폐된다.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고, 배기관(151)의 하단에도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고, 배기관(151)의 하단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당연히 설치의 편의를 위해, 최적화 실시예로서 흡기관(153)과 추 부재(152)를 모두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하는 것이다. 아래의 내용은 흡기관(153)과 추 부재(152)를 모두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든 설명이다.
파이프 바디의 측벽에는 배기구(1510)이 있고, 그 배기구(1510) 위치에는 배기관(153)이 설치되며, 그 흡기관(153)은 그 배기구(1510)을 통해 파이프 바디와 연결된다.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되며,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과 일체형으로 용접될 수 있다. 추 부재(152)는 또 배기관(151)과 분리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과 나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의 원주 방향에서 협각 모양으로 설치된다. 그밖에, 추 부재(152) 질량이 비교적 크므로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나 구리 등과 같이 밀도가 비교적 큰 재료인 금속 부재를 사용한다. 배기관(151)과 흡기관(153)은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고, 금속 부재도 사용할 수 있다.
자유 회전부는 뚜껑(10a) 내의 회전 설치부에 설치된다. 자유 회전부는 파이프 바디의 상단부, 중부 또는 하단부와 같이 파이프 바디의 일부에 속할 수 있으며, 회전 설치부는 칼라이고, 파이프 바디는 그 칼라 속에 설치된다. 자유 회전부는 또 상기 배기관(151) 밀폐단에 설치되는 축 구멍일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설치부는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12) 상에 설치되어 축 구멍을 삽입할 수 있는 회전축일 수 있다. 자유 회전부는 또 배기관(151) 측벽에 끼울 수 있는 베어링일 수 있으며, 회전 설치부는 수용 그루브(130) 내에 설치되는 베어링 구멍이고, 그 베어링은 베어링 구멍 속에 고정된다. 자유 회전부는 또 배기관(151)의 하단면에 설치되는 회전축(154)일 수 있으며, 그 회전축(154)은 상기 배기관(151)과 동축에 설치되고, 회전 설치부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 축 구멍이다.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지면, 뚜껑(10a)은 정상 상태에 비해 90° 뒤집어지며, 추 부재(152)의 중력 모멘트가 흡기관(153)의 중력 모멘트보다 크기 때문에, 추 부재(152)의 작용 하에 자유 회전부는 회전 설치부에 상대하여 회전이 발생하며, 마지막으로 추 부재(152)는 액체 레벨의 최하단에 처하게 되고, 흡기관(153)의 위치가 올라가서 액체 가열용기(10) 속의 물이 흡기관(153)으로 들어가기가 어렵다.
여기에서, 추 부재(152)의 중력 모멘트는 M1=G1×L1,흡기관(153)의 중력 모멘트는 M2=G2×L2이다. 그 중, G1는 추 부재(152)의 무게이고, L1는 추 부재(152)의 중심과 배기관(151)의 축심의 수직 거리이다. G2는 흡기관(153)의 무게이고, L2는 흡기관(153)의 중심과 배기관(151)의 축심의 수직 거리이다. 여기에서 M1>M2만 만족하면, 액체 가열용기가 기울어질 때(기울기 90°) 스팀 밸브(15)는 회전할 수 있고, 추 부재(152)는 아래로 회전하며, 배기관(153)은 올라간다.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의 원주 방향 상의 협각이 α이며,여기에서 90°< α ≤80°이다. 왜냐하면 만약 0°< α ≤0°이면, 주전자(10)가 기울어졌을 때, 주전자(10)속의 수위가 스팀 밸브(15)보다 높아져서 물이 흡기관(153)을 따라 배기관(151) 속으로 들어갈 수 있고, 90°< α ≤80°일 때는 비록 주전자(10)가 기울어져도 주전자(10) 속의 수위에 흡기관(153)이 전부 잠기기가 어려우며, 흡기관(153)의 말단이 수위 상방까지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흡기관(153)에서 배기관(151) 속으로 들어가기 어려워서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가 비교적 우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배기관(151)에 설치되는 추 부재(152)와 자유 회전부를 통해 스팀 밸브(15)가 추 부재(152)의 구동 작용 하에 자유롭게 회전하므로, 오버플로우 방지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지면, 추 부재(152)가 아래로 회전하는 동시에 흡기관(153)을 위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흡기관(153)의 위치를 끌어 올리고, 액체 가열용기(10) 속의 물이 배기구(1510) 속으로 들어가는 확률을 감소시켜서 액체 가열용기(10)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개선한다.
도 3, 도 4a, 도 5a,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중에서,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의 원주 방향 상의 협각 α 범위가 비교적 넓어 90°< α ≤80°이며, 여기에서 만약 α가 너무 작은 경우,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지면, 액체 가열용기(10) 속의 수위가 흡기관(153)의 말단보다 높을 수 있고, 나아가 흡기관(153)의 말단부터 배기관(151) 속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 중의 출구 밸브(18)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는 보통이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출구 밸브(18)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추 부재(152)의 확장 방향과 상기 흡기관(153)의 확장 방향 사이의 협각은 α이며, 그 중 170°≤ α ≤80°이다. 이렇게 하면,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져도, 흡기관(153)의 말단이 액체 가열용기(10) 속의 수위에 잠기지 않으며, 따라서 물이 흡기관(153)에서 배기관(151) 속으로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위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스팀 밸브(15)의 최상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위해, α=180°이다. 즉, 추 부재(152)와 상기 흡기관(153)은 각각 상기 배기관(151)의 마주하는 양측에 배치된다.
주전자(10)가 기울어지는 순간 포트 바디(10b) 속의 물은 즉시 뚜껑(10a)으로 진입하고, 나아가 흡기관(153)에서 배기관(151) 속으로 들어간다. 만약 스팀 밸브(15)의 회전 속도가 지나치게 느리면, 배기관(153)이 최고 위치까지 회전될 때까지 기다리지 못 하고 물은 즉시 배기관(153) 속으로 진입하게 되며(비록 0.1초 차이라도 비교적 많은 물이 배기관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나아가 뚜껑(10)의 물이 넘치게 된다.
도 3, 도 4a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중에서, 흡기관(153)은 튜브일 수 있고, 각관일 수 있으며, 또는 기타 모양의 파이프 바디일 수도 있다. 분명하게 상기 몇 가지 유형의 파이프 바디는 회전 방향에서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비교적 크고, 공기 저항력도 비교적 많이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흡기관(153)은 납작한 모양으로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질 때, 흡기관(153)이 가장 빠른 속도로 최고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흡기관(153) 속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밖에, 뚜껑(10a)의 반경이 보통 5cm 내지 8cm인 점을 고려하여, 상기 흡기관(153)의 길이도 제한이 있어야 한다. 만약 흡기관(153)이 지나치게 길면, 흡기관(153)이 기타 구조와 간섭이 발생하기 쉽고, 나아가 스팀 밸브(15) 전체가 회전이 안 될 수도 있다. 만약 흡기관(153)이 지나치게 짧으면,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진 후, 흡기관(153)의 말단이 물에 잠기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기관(153)의 길이는 비교적 우수한 실시방식으로서 3cm 내지 5cm 사이이다.
흡기관(153)과 배기관(151)의 연결이 밀폐성인 점을 고려하여, 흡기관(153)과 배기관(151)은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양자 간의 연결 위치 밀폐성이 더 좋아서 공기나 물이 새지 않는다.
흡기관(153)과 추 부재(152)는 모두 배기관(151) 측벽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양자는 상하 방향에서 높이 차이를 가질 수 있고, 양자는 동일한 회전 평면 상에도 있을 수 있다. 실시예 중에서 최적화로서 양자는 동일한 회전 평면에 위치한다. 왜냐하면 양자가 서로 다른 회전 평면에 위치하면, 여기에서는 추 부재(152)를 위에 설치하고, 흡기관(153)을 아래로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해서, 추 부재(152)가 회전하면 배기관(151)이 추 부재(152)의 중력 모멘트를 흡기관(153)으로 전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배기관(151)이 추 부재(152)의 회전에 대해 저항력을 일으킴에 따라, 흡기관(153) 회전을 최상의 위치까지 지연시키기 때문이다. 양자가 동일한 회전 평면에 위치하면, 배기관(151)이 일으키는 저항력이 비교적 작아서, 흡기관(153)이 최고 위치까지 신속하게 회전할 수 있다.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되며,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과 일체형으로 용접될 수 있다. 추 부재(152)는 또 배기관(151)에서 분리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기관(151)은 플라스틱 부재이고, 추 부재(152)는 금속 부재이며, 상기 추 부재(152)는 2차 사출을 통해 상기 배기관(151) 위에 고정된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추 부재(152)의 편리한 설치, 분리 또는 교체를 위해, 추 부재(152)와 배기관(151)의 연결 방식은 분리식 연결이 최적화이다. 구체적으로, 배기관(151)의 측벽에는 돌기(1512)가 있고, 상기 추 부재(152)는 상기 돌기(1512)에 설치된다. 배기관(151)의 측벽에는 돌기(1512)가 있고, 돌기(1512)와 추 부재(152)의 연결을 통해 배기관(151)에 대해 보호 작용을 가지며, 만약 추 부재(152)가 직접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되면, 추 부재(152)의 설치는 배기관(151)의 가스 누출이나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도 3, 도 4a와 도 5a를 계속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 중에서, 상기 추 부재(152)는 부채꼴 모양이며, 그 원심 엔드는 상기 배기관(151)에 연결된다. 이것은 한편으로 부채꼴의 추 부재(152)가 가공이 비교적 편리하고 원가가 비교적 낮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채꼴로 설치되는 추 부재(152)가 회전 시에 저항력이 비교적 작고, 회전 속도가 비교적 빨라서 흡기관(153)을 신속하게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와 도 8a를 참조하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질 때는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첫 번째 상황은 주전자(10)가 90° 기울어지는 것이고, 두 번째 상황은 주전자(10)가 180°같이 90°보다 크게 기울어지는 것이다. 90° 기울어지면, 물은 배기관(151) 주변의 위치에서 압력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물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스팀 통로(14) 내로 스며들기가 어렵다. 그러나 주전자(10)가 180° 기울어지면, 배기관(151) 주변의 위치에서 압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물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배기관(151)의 개구단의 단면에 스며들어서 배기 구멍(131)에서 스팀 통로(14) 속으로 진입함에 따라, 누수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상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 그루브(130) 밀폐단의 단면에는 최소 한 개의 차단 그루브(1310)이 있고, 상기 배기관(151) 개구단의 단면에는 최소 한 개의 상기 차단 그루브(1310) 내에 삽입되는 제1 차단 링(154)가 있으며, 이렇게 하면, 그 제1 차단 링(154)가 상기 차단 그루브(1310) 속에 삽입됨에 따라, 물이 스팀 통로(14)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스팀 밸브(15)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가 개선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더 나아가, 주전자(10)가 기울어지면, 물이 배기관(151)의 외벽에 스며들어 스팀 통로(14) 속으로 들어가고, 나아가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 중에서, 물이 배기관(151)의 외벽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기관(151)의 측부에는 최소 하나의 상기 수용 그루브(130) 내 측벽을 향해 확장되는 제2 차단 링(155)가 있다. 여기에서, 배기관(151)이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관(151)은 수용 그루브(130)의 내벽 사이와 간섭이 발생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배기관(151)과 수용 그루브(130) 사이에 공간을 남겨 두면, 물이 그 공간을 통해 스팀 통로(14) 속으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차단 링(155)를 설치하면, 제2 차단 링(155)가 물에 대해 저항력을 일으켜서 물이 스팀 통로(14)로 진입하는 속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전자(10)을 들어올리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물이 스팀 통로(14) 내로 스며드는 속도를 더 줄이기 위해, 두 개, 세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제2 차단 링(155)를 추가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 주전자(10)가 180° 기울어질 때, 배기관(151) 주변의 위치 압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물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스팀 통로(14) 속으로 스며들어서 누수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또 다른 비교적 실시예 중에서, 물이 스팀 통로(14)로 스며드는 속도를 줄이거나, 또는 물이 물 흐름 통로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기관(151) 내에 밀봉 추(156)이 있고, 상기 밀봉 추(156)은 상기 배기관(151) 경사 각도가 90도보다 클 때, 상기 배기관(151)의 밀폐단에서 상기 배기관(151)의 개구단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수용 그루브(130) 밀폐단의 배기 구멍(131)을 밀폐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위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밀봉 추(156)이 배기관(151)을 막을 수 없으며, 그렇게 하지 않으면 배기관(151)의 가스 배출이 원활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 중에서, 상기 배기관(151)의 내벽에는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이 있고, 상기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상기 밀봉 추(156)과 상기 배기관(151) 내벽 사이에 에어 가이드 통로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그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배기관(151) 내벽에 설치되는 원형 돌기나 리브(1511)과 같은 돌기일 수 있으며, 배기관 내벽에 설치하는 플로우 가이드 그루브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최적화로서 상기 배기관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고 상기 배기관 원주 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리브(1511)이고, 서로 인접하는 리브(1511) 사이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 중에서, 밀봉 추(156)은 여러 가지 모양일 수 있으며, 주전자가 기울어질 때 배기 구멍(131)을 막을 수만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밀봉 추(156)은 기둥 모양이거나 볼 모양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밀봉 추(156)의 배기관(151) 내 이동 저항력이 비교적 작아서, 이동이 더욱 원활해진다.
또 다른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배기관(151)의 상단과 배기 구멍(131) 주변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12)와 상기 배기관(151) 밀폐단의 단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159)가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159)는 배기관(151) 하단면에 설치되는 회전축(157)을 둘러싸서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질 때, 탄성 부재(159)가 배기관(151)을 신속하게 위로 띄워서 배기관(151)의 상단을 배기 구멍(131)의 주변과 밀폐시킴으로써, 그 스팀 밸브(15)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탄성 부재(159)는 스프링일 수 있고, 고무 패드일 수 있으며, 클립일 수도 있다. 물론 그 탄성 부재(159)의 최적화는 스프링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위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탄성 부재(159)가 오랫동안 압력을 받으면, 탄성 부재(159)의 탄력 기능이 줄어들거나 효력이 없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본 실시예 중에서, 상기 배기관(151)에는 그 밀폐단의 단면에서 뻗어나오는 슬리브(158)이 있으며, 상기 슬리브(158)은 상기 탄성 부재(159)를 둘러싸서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비록 탄성 부재(159)가 지나치게 큰 압력을 받더라도, 슬리브(158)의 지지 작용 하에 탄성 부재(159)는 영구적 변형이 잘 생기지 않는다.
상기 내용에서는 스팀 밸브(15)와 뚜껑(10)의 개선에 대해 주로 설명했고, 아래 내용은 뚜껑(10a)와 포트 바디(10b)의 조합 관계에 대한 구체적 소개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뚜껑(10a)는 포트 바디(10b)에 설치되고, 포트 바디(10b) 상단은 열려 있으며, 뚜껑(10a)는 포트 바디(10b)의 개방 엔드를 밀폐한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하부 커버 플레이트(12)와 포트 바디(10b) 사이에는 실링 링 19가 있으며, 뚜겅 10a는 실링 링 19를 통해 포트 바디(10b)의 내벽과 밀폐 연결된다. 그밖에, 뚜껑(10a)와 포트 바디(10b)의 연결 강도를 보증하기 위해, 뚜껑(10a)와 포트 바디(10b)는 스냅 구조를 통해 연결되며, 그 스냅 구조는 뚜껑(10a) 상에 설치되는 신축성 있는 걸쇠와 포트 바디(10b) 내벽에 설치되는 슬롯을 포함한다. 뚜껑(10a)가 포트 바디(10b)에 설치되면, 걸쇠는 압력을 받아 변형되며, 걸쇠가 슬롯에 들어가면, 걸쇠가 변형을 회복하고, 나아가 슬롯과 매치됨에 따라서, 뚜껑(10a)가 포트 바디(10b)에 위치 제한된다.
제2 방면에서, 상기 실시예는 모두 배기관(151)이 자전할 때 받는 마찰력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래 내용은 스팀 밸브(15)가 회전할 때 배기관(151)이 마찰력을 받는 실시예에 관한 소개이다.
스팀 밸브(15)는 배기관(151),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을 포함한다. 그 중, 배기관(151)은 일단이 오픈되고 다른 일단은 밀폐된 모양이며, 배기관(151)에는 그 배기관(151)이 그 축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하는 자유 회전부가 있다.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을 연결하고, 배기관(151)과 통하며, 배기관(151)의 측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을 연결하고, 배기관(151)의 측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배기관(151) 원주 방향 상의 협각 α가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거나 같으며, 여기에서, 추 부재(152)는 자유 회전부를 둘러싸는 중력 모멘트가 흡기관(153)이 자유 회전부를 둘러싸서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 및 배기관(151)이 자전할 때의 마찰력 모멘트의 합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배기관(151)은 파이프 바디와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그 파이프 바디의 상단은 오픈되고, 하단은 그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밀폐된다.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고, 배기관(151)의 하단에도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고, 배기관(151)의 하단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당연히 설치의 편의를 위해, 최적화 실시예로서 흡기관(153)과 추 부재(152)를 모두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하는 것이다. 아래의 내용은 흡기관(153)과 추 부재(152)를 모두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든 설명이다.
파이프 바디의 측벽에는 배기구(1510)이 있고, 그 배기구(1510) 위치에는 흡기관(153)이 설치되며, 그 흡기관(153)은 그 배기구(1510)을 통해 파이프 바디와 연결된다.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되며,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과 일체형으로 용접될 수 있다. 추 부재(152)는 또 배기관(151)과 분리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과 나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의 원주 방향에서 협각 모양으로 설치된다. 그밖에, 추 부재(152) 질량이 비교적 크므로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나 구리 등과 같이 밀도가 비교적 큰 재료인 금속 부재를 사용한다. 배기관(151)과 흡기관(153)은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고, 금속 부재도 사용할 수 있으나, 식품 위생, 내온성 및 내스팀성, 점유 공간 등 방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SUS304와 같은 스테인레스 재료가 최적화이다.
자유 회전부는 뚜껑(10a) 내의 회전 설치부에 설치된다. 자유 회전부는 파이프 바디의 상단부, 중부 또는 하단부처럼 파이프 바디의 일부에 속할 수 있으며, 회전 설치부는 칼라이고, 파이프 바디는 그 칼라 속에 설치된다. 자유 회전부도 배기관(151) 하단면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157)일 수 있으며, 그 제1 회전축(157)은 배기관(151)과 동축에 설치되며, 회전 설치부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 제1 축 구멍이다. 자유 회전부는 또 배기관(151) 밀폐단에 설치되는 제2 축 구멍(블라인드 홀)일 수 있으며, 회전 설치부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12) 상에 설치되어 축 구멍에 삽입되는 제2 회전축이다. 자유 회전부는 또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되는 회전축일 수 있으며, 회전 설치부는 수용 그루브(130) 내에 설치되는 베어링 구멍이며, 그 베어링은 베어링 구멍 속에 고정된다.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지면, 뚜껑(10a)은 정상 상태에 비해 90° 뒤집어지며, 추 부재(152)의 중력 모멘트가 흡기관(153)의 중력 모멘트보다 크기 때문에, 추 부재(152)의 작용 하에 자유 회전부는 회전 설치부에 비하여 회전이 발생하며, 마지막으로 추 부재(152)는 액체 레벨의 최하단에 처하게 되고, 흡기관(153)의 위치는 올라가서, 액체 가열용기(10) 속의 물이 흡기관(153)으로 들어가기가 어렵다.
여기에서, 추 부재(152)의 중력 모멘트는 M1=G1×L1이고, 흡기관(153)의 중력 모멘트는 M2=G2×L2이며, 배기관(151)이 자전할 때의 마찰력 모멘트는 M3=f×d1이다. 그 중, G1는 추 부재(152)의 무게이고, L1는 추 부재(152)의 중심과 배기관(151)의 축심의 수직 거리이다. G2는 흡기관(153)의 무게이고, L2는 흡기관(153)의 중심과 배기관(151)의 축심의 수직 거리이며, f는 배기관이 자전할 때 받는 마찰력이고 (예를 들어 배기관(151)과 수용 그루브(130)의 내벽 사이의 마찰력, 또는 자유 회전부와 회전 설치부 사이의 마찰력), d1는 배기관의 반경이다. 여기에서 M1>M2+M3만 만족하면, 액체 가열용기가 기울어질 때(기울기 90°) 스팀 밸브(15)가 회전할 수 있고, 추 부재(152)는 아래로 회전하며, 배기관(153)은 올라간다.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의 원주 방향 상의 협각이 α이며,여기에서 90°< α ≤80°이다. 왜냐하면, 만약 0°< α ≤0°이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진 후, 주전자(10) 속의 수위가 스팀 밸브(15)보다 높아져서, 물이 흡기관(153)을 따라 배기관(151) 속으로 들어갈 수 있고, 90°< α ≤80°일 때는 비록 주전자(10)가 기울어져도 주전자(10) 속의 수위에 흡기관(153)이 전부 잠기기가 어려우며, 흡기관(153)의 말단이 수위 상방까지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흡기관(153)에서 배기관(151) 속으로 들어가기 어려워서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가 비교적 우수하기 때문이다.
뚜껑(10) 체적이 제한되기 때문에, 추 부재(152)의 질량이 지나치게 크면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뚜껑(10) 내부가 점유하는 체적이 비교적 커서 기타 구조와 간섭되기 쉽다. 추 부재(152)의 질량 역시 지나치게 작으면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질 때, 스팀 밸브(15)의 회전이 비교적 느려서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가 보통이다. 따라서, 상기 상황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 중에서, 추 부재(152)의 질량 m1은 10g보다 크거나 같고 50g보다 작거나 같다. 이렇게 하면, 추 부재(152) 공간 점유율이 비교적 낮을 수 있는 동시에, 스팀 밸브(15)2의 회전 응답 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밖에, 흡기관(153)의 질량도 그 질량 m2가 5g보다 크거나 같고 20g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주전자(10)가 기울어지면, 스팀 밸브(15)의 정상적 회전을 보장하기 위해, 추 부재(152)의 무게는 G1, 흡기관(153)의 무게는 G2,G1/G2∈[0.5,12]이다. 더 나아가, 뚜껑의 직경이 보통 10cm에서 15cm 이내로 보통 작다는 점을 고려하여, 만약 G1과 G2의 비율이 너무 작으면, 추 부재(152)의 중심과 배기관(151)의 축선 거리를 늘려야 한다. 그렇게 해야만, M1>M2+M3를 만족시킬 수 있고, 스팀 밸브(15)가 정상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G1/G2∈[1,10]이다.
추 부재 150의 중심과 배기관(151)의 축선 사이의 간격 L1, 및 흡기관(153)의 중심과 배기관(151)의 축선 사이의 간격 L2는 스팀 밸브(15)의 회전 효과에 대해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며, 일반적인 상황 하에서, 스팀 밸브(15)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L1은 L2보다 커야 하지만, 배기관(151) 자체가 마찰 저항력을 받는 점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스팀 밸브(15)가 주전자(10)가 기울어진 후에 신속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흡기관(153)의 위치를 조정하였으며, 여기에서는 L1/L2∈[2,20]이다. 물론, 더 나아가 주전자(10)의 내부 크기를 고려하여, L1/L2의 최적화 범위는 [4,15]이다.
상기 실시예 중에서,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의 원주 방향의 협각 α 범위가 비교적 넓어서 90°< α ≤80°이며, 여기에서, 만약 α가 너무 작으면,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진 경우, 액제 가열용기(10) 속의 수위가 흡기관(153)의 말단보다 높을 수 있고, 나아가 흡기관(153)의 말단부터 배기관(151) 속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 중의 출구 밸브(18)의 오버블로우 방지 효과는 보통이다. 도 3, 도 4a, 도 6a를 참조하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출구 밸브(18)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추 부재(152)의 확장 방향과 흡기관(153)의 확장 방향 사이의 협각은 α이고, 그 중 170°≤ α ≤80°이다. 이렇게 하면, 비록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져도, 흡기관(153)의 말단이 액체 가열용기(10)속의 수위에 잠기기가 어려우며, 따라서, 물이 흡기관(153)에서 배기관(151) 속으로 진입할 수 없어서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가 강화된다.
위의 실시예를 기초하여, 스팀 밸브(15)의 최상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위해, α =180°이다, 즉,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각각 배기관(151)의 마주하는 양측에 배치된다.
주전자(10)가 넘어지는 순간 포트 바디(10b) 속의 물은 즉시 뚜껑(10a)로 진입하고, 나아가 흡기관(153)에서 배기관(151) 속으로 들어간다. 만약 스팀 밸브(15)의 회전 속도가 지나치게 느리다면, 배기관(153)이 최고 위치까지 회전될 때까지 기다리지 못 하고 물은 즉시 배기관(153) 속으로 진입하게 되며(비록 0.1초 차이라도 비교적 많은 물이 배기관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나아가 뚜껑(10)의 물이 넘치게 된다.
도 3과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서, 흡기관(153)은 튜브일 수 있고, 각관일 수 있으며, 또는 기타 모양의 파이프 바디일 수도 있다. 분명하게 상기 몇 가지 유형의 파이프 바디는 회전 방향에서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비교적 크고, 공기 저항력도 비교적 많이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흡기관(153)은 납작한 모양으로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질 때, 흡기관(153)이 가장 빠른 속도로 최고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흡기관(153) 속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10a)의 반경이 보통 5cm에서 8cm인 점을 고려하여, 흡기관(153)의 길이도 제한이 있어야 한다. 만약 흡기관(153)이 지나치게 길면, 흡기관(153)이 기타 구조와 간섭이 발생하기 쉽고, 나아가 스팀 밸브(15) 전체가 회전이 안 될 수도 있다. 만약 흡기관(153)이 지나치게 짧으면,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질 때, 흡기관(153)의 말단이 물에 잠기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기관(153)의 길이는 비교적 우수한 실시방식으로서 3cm에서 5cm 사이이다.
흡기관(153)과 배기관(151)의 연결이 밀폐성인 점을 고려하여, 흡기관(153)과 배기관(151)은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양자 간의 연결 위치 밀폐성이 더 좋아서 공기나 물이 새지 않는다.
흡기관(153)과 추 부재(152)는 모두 배기관(151) 측벽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양자는 상하 방향에서 높이 차이를 가질 수 있고, 양자는 동일한 회전 평면 상에도 있을 수 있다. 실시예 중에서 최적화로서 양자는 동일한 회전 평면에 위치한다. 왜냐하면, 양자가 서로 다른 회전 평면에 위치하면, 여기에서는 추 부재(152)를 위에 설치하고, 흡기관(153)을 아래로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해서, 추 부재(152)가 회전하면, 배기관(151)이 추 부재(152)의 중력 모멘트를 흡기관(153)으로 전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배기관(151)이 추 부재(152)의 회전에 대해 저항력을 일으킴에 따라, 흡기관(153) 회전을 최상의 위치까지 지연시키기 때문이다. 양자가 동일한 회전 평면에 위치하면, 배기관(151)이 일으키는 저항력이 비교적 작아서, 흡기관(153)이 최고 위치까지 신속하게 회전할 수 있다.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되며,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과 일체형으로 용접될 수 있다. 추 부재(152)는 또 배기관(151)에서 분리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기관(151)은 플라스틱 부재이고, 추 부재(152)는 금속 부재이며, 추 부재(152)는 2차 사출을 통해 배기관(151) 위에 고정된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추 부재(152)의 편리한 설치, 분리 또는 교체를 위해, 추 부재(152)와 배기관(151)의 연결 방식은 분리식 연결이 최적화이다. 구체적으로, 배기관(151)의 측벽에는 돌기(1512)가 있고, 추 부재(152)는 돌기(1512)에 설치된다. 배기관(151)의 측벽에는 돌기(1512)가 있고, 돌기(1512)와 추 부재(152)의 연결을 통해 배기관(151)에 대해 보호 작용을 가지며, 만약 추 부재(152)가 직접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되면, 추 부재(152)의 설치가 배기관(151)의 가스 누출이나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도 3, 도 4a를 계속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 중에서, 추 부재(152)는 부채꼴 모양이며, 그 원심 엔드는 배기관(151)에 연결된다. 이것은 한편으로 부채꼴의 추 부재(152)가 가공이 비교적 편리하고 원가가 비교적 낮기 때문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부채꼴로 설치되는 추 부재(152)가 회전 시에 저항력이 비교적 작고, 회전 속도가 비교적 빨라서 흡기관(153)을 신속하게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와 도 8a를 참조하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질 때는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첫 번째 상황은 주전자(10)가 90° 기울어지는 것이고, 두 번째 상황은 주전자(10)가 180°같이 90°보다 크게 기울어지는 것이다. 90° 기울어지면, 물은 배기관(151) 주변의 위치에서 압력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물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스팀 통로(14) 내로 스며들기가 어렵다. 그러나 주전자(10)가 180° 기울어지면, 배기관(151) 주변의 위치에서 압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물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배기관(151)의 개구단의 단면에 스며들어서 배기 구멍(131)에서 스팀 통로(14) 속으로 진입함에 따라 누수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상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 그루브(130) 밀폐단의 단면에는 최소 한 개의 차단 그루브(1310)이 있고, 배기관(151) 개구단의 단면에는 최소 한 개의 차단 그루브(1310) 내에 삽입되는 제1 차단 링(154)가 있으며, 이렇게 하면, 그 제1 차단 링(154)가 차단 그루브(1310) 속에 삽입됨에 따라, 물이 스팀 통로(14)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스팀 밸브(15)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가 개선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더 나아가, 주전자(10)가 기울어지면, 물이 배기관(151)의 외벽에 스며들어 스팀 통로(14) 속으로 들어가고, 나아가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 중에서, 물이 배기관(151)의 외벽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관(151)의 측부에는 최소 하나의 수용 그루브(130) 내 측벽을 향해 확장되는 제2 차단 링(155)가 있다. 여기에서, 배기관(151)은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관(151)은 수용 그루브(130) 내벽 사이와 간섭이 발생할 수 없다. 따라서 배기관(151)과 수용 그루브(130) 사이에 공간을 남겨 두면, 물이 그 공간을 통해 스팀 통로(14) 속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차단 링(155)를 설치하면, 제2 차단 링(155)가 물에 대한 저항력을 일으켜서 물이 스팀 통로(14)로 진입하는 속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전자(10)을 들어올리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물이 스팀 통로(14) 내로 스며드는 속도를 더 줄이기 위해, 두 개, 세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제2 차단 링(155)를 추가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 주전자(10)가 180° 기울어지면, 배기관(151) 주변의 위치 압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물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스팀 통로(14) 속으로 스며들어서 누수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또 다른 비교적 실시예 중에서, 물이 스팀 통로(14)로 스며드는 속도를 줄이거나, 또는 물이 물 흐름 통로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관(151) 내에 밀봉 추(156)이 있고, 밀봉 추(156)은 배기관(151) 경사각도가 90도보다 클 때, 배기관(151)의 밀폐단에서 배기관(151)의 개구단을 향해 이동하여 수용 그루브(130) 밀폐단의 배기 구멍(131)을 밀폐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위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밀봉 추(156)이 배기관(151)을 막을 수 없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배기관(151)의 가스 배출이 원활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 중에서, 배기관(151)의 내벽에는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이 있고,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밀봉 추(156)과 배기관(151) 내벽 사이에 에어 가이드 통로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그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배기관(151) 내벽에 설치하는 원형 돌기나 리브(1511)과 같은 돌기일 수 있으며, 배기관 내벽에 설치하는 플로우 가이드 그루브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최적화로서 배기관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고 배기관 원주 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리브(1511)이고, 서로 인접한 리브(1511) 사이에는 에어 가이드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 중에서, 밀봉 추(156)은 여러 가지 모양일 수 있으며, 주전자가 기울어질 때 배기 구멍(131)을 막을 수만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밀봉 추(156)은 기둥 모양이거나 볼 모양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밀봉 추(156)의 배기관(151) 내 이동 저항력이 비교적 작아서 이동이 더욱 원활해진다.
또 다른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배기관(151)의 상단과 배기 구멍(131) 주변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 커버 플레이트(12)와 배기관(151) 밀폐단의 단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159)가 있으며, 탄성 부재(159)는 배기관(151) 하단면에 설치되는 회전축(157)을 둘러싸서 설치된다(여기에서는 회전 설치부를 회전축(157)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렇게 하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질 때, 탄성 부재(159)가 배기관(151)을 신속하게 위로 띄워서 배기관(151)의 상단을 배기 구멍(131)의 주변과 밀폐시킴으로써, 그 스팀 밸브(15)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탄성 부재(159)는 스프링일 수 있고, 고무 패드일 수 있으며, 클립일 수도 있다. 물론 그 탄성 부재(159)의 최적화는 스테인레스 스프링이다.
스프링이 설치되면, 비록 배기관(151)의 상단이 배기 구멍(131)의 주변과 밀폐될 수 있지만, 동시에 배기관(151)이 자전 회전하는 마찰력 모멘트도 증가한다. 여기에서, 스프링이 배기관(151) 하단과 접촉하기 때문에, 배기관(151)이 받는 주요 마찰력은 스프링에서 나온다.
따라서, 스프링은 배기관(151)의 지나치게 타이트한 압력을 받을 수 없으며, 그렇지 않으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질 때, 스프링이 배기관(151)에 대한 마찰력이 너무 크거나, 또는 스프링과 하부 커버 플레이트(12) 사이의 마찰력이 너무 큼에 따라, 스팀 밸브(15)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추 부재(152), 흡기관(153)의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그 스프링의 내경은 D∈[10mm,20mm]이고, 총권수는 n∈[4,12]이며,강성계수는 k∈[10g/mm,40g/mm]이고,질량은 m3∈[0.3g,1.5g]이다. 이렇게 하면 스팀 밸브(15)의 정상적 회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위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탄성 부재(159)가 오랫동안 압력을 받으면, 탄성 부재(159)의 탄력 기능이 줄어들거나 효력이 없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본 실시예 중에서, 배기관(151)에는 그 밀폐단의 단면에서 뻗어나오는 슬리브(158)이 있으며, 슬리브(158)은 상기 탄성 부재(159)를 둘러싸서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비록 탄성 부재(159)가 지나치게 큰 압력을 받더라도, 슬리브(158)의 지지 작용 하에 탄성 부재(159)는 영구적 변형이 잘 생기지 않는다.
상기 내용에서는 스팀 밸브(15)와 뚜껑(10)의 개선에 대해 주로 설명했고, 아래 내용은 뚜껑(10a)와 포트 바디(10b)의 조합 관계에 대한 구체적 소개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뚜껑(10a)는 포트 바디(10b)에 설치되고, 포트 바디(10b) 상단은 오픈되어 있으며, 뚜껑(10a)는 포트 바디(10b)의 개방 엔드를 밀폐한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하부 커버 플레이트(12)와 포트 바디(10b) 사이에는 실링 링 19가 있으며, 뚜껑(10a)는 실링 링 19를 통해 포트 바디(10b)의 내벽과 밀폐 연결된다. 그밖에, 뚜껑(10a)와 포트 바디(10b)의 연결 강도를 보증하기 위해, 뚜껑(10a)와 포트 바디(10b)는 스냅 구조를 통해 연결되며, 그 스냅 구조는 뚜껑(10a) 상에 설치되는 신축성 있는 걸쇠와 포트 바디(10b) 내벽에 설치되는 슬롯을 포함한다. 뚜껑(10a)가 포트 바디(10b)에 설치되면, 걸쇠가 압력을 받아 변형되고, 걸쇠가 슬롯에 들어가면, 걸쇠가 변형을 회복하며, 나아가 슬롯과 매치됨에 따라서, 뚜껑(10a)가 포트 바디(10b)에 위치 제한된다.
제3 방면에서, 스팀 밸브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다는 점에 기반하여,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 중에서, 스팀 밸브(15)는 배기관(151),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을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배기관(151)은 일단이 오픈되고 다른 일단은 밀폐된 모양이고, 배기관(151)의 외표면에는 수밀 구조가 있으며, 수밀 구조는 최소 상기 배기관(151) 외측벽에 설치되는 제1 차단 링(154) 및/또는 배기관(151) 개구단 단면에 설치되는 제2 차단 링(155)를 포함하며, 배기관(151) 위에는 또 배기관(151)이 그 축 방향을 돌아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자유 회전부가 있다.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을 연결하고, 배기관(151)과 통하며, 배기관(151)의 측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을 연결하고, 배기관(151)의 측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배기관(151) 원주 방향 상의 협각 α가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거나 같으며, 추 부재(152)는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서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가 흡기관(153)이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서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배기관(151)은 파이프 바디와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그 파이프 바디의 상단은 오픈되고, 하단은 그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밀폐된다.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고, 배기관(151)의 하단에도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고, 배기관(151)의 하단에도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설치의 편의를 위해, 최적화 실시예는 흡기관(153)과 추 부재(152)를 모두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하는 것이다. 아래의 내용은 흡기관(153)과 추 부재(152)를 모두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든 설명이다.
파이프 바디의 측벽에는 배기구(1510)이 있고, 그 배기구(1510) 위치에는 흡기관(153)이 설치되며, 그 흡기관(153)은 그 배기구(1510)을 통해 파이프 바디와 연결된다.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되며,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과 일체형으로 용접될 수 있다. 추 부재(152)는 또 배기관(151)과 분리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과 나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의 원주 방향에서 협각 모양으로 설치된다. 그밖에, 추 부재(152)는 질량이 비교적 크므로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나 구리 등과 같이 밀도가 비교적 큰 재료인 금속 부재를 사용한다. 배기관(151)과 흡기관(153)은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고, 금속 부재도 사용할 수 있다.
자유 회전부는 뚜껑(10a) 내의 회전 설치부에 설치된다. 자유 회전부는 파이프 바디의 상단부, 중부 또는 하단부처럼 파이프 바디의 일부에 속할 수 있으며, 회전 설치부는 칼라이고, 파이프 바디는 그 칼라 속에 설치된다. 자유 회전부도 배기관(151) 하단면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157)일 수 있으며, 그 제1 회전축(157)은 배기관(151)과 동축에 설치되며, 회전 설치부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 제1 축 구멍이다. 자유 회전부는 또 배기관(151) 밀폐단에 설치되는 제2 축 구멍(블라인드 홀)일 수 있으며, 회전 설치부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12) 상에 설치되어 축 구멍에 삽입되는 제2 회전축이다. 자유 회전부는 또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되는 회전축일 수 있으며, 회전 설치부는 수용 그루브(130) 내에 설치되는 베어링 구멍이고, 그 베어링은 베어링 구멍 속에 고정된다.
주전자(10)가 기울어지면, 뚜껑(10a)는 정상 상태에 비해 90° 뒤집어지며, 추 부재(152)의 중력 모멘트가 흡기관(153)의 중력 모멘트보다 크기 때문에, 추 부재(152)의 작용 하에 자유 회전부는 회전 설치부에 비하여 회전이 발생하고, 마지막으로 추 부재(152)는 액체 레벨의 최하단에 처하게 되며, 흡기관(153)의 위치는 올라가서, 액체 가열용기(10) 속의 물은 흡기관(153)으로 들어가기가 어렵다.
여기에서, 추 부재(152)의 중력 모멘트는 M1=G1×L1,흡기관(153)의 중력 모멘트는 M2=G2×L2이고, G1는 추 부재(152)의 무게이며, L1는 추 부재(152)의 중심과 배기관(151)의 축심의 수직 거리이다. G2는 흡기관(153)의 무게이고, L2는 흡기관(153)의 중심과 배기관(151)의 축심의 수직 거리이다. 여기에서 M1>M2만 만족하면, 액체 가열용기가 기울어질 때(기울기 90°) 스팀 밸브(15)가 회전할 수 있고, 추 부재(152)는 아래로 회전하며, 배기관(153)은 올라간다.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의 원주 방향 상의 협각이 α이며,여기에서 90°< α ≤80°이다. 이것은 만약 0°< α ≤0°이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진 후, 주전자(10) 속의 수위가 스팀 밸브(15)보다 높져서, 물이 흡기관(153)을 따라 배기관(151) 속으로 들어갈 수 있고, 90°< α ≤80°일 때는 비록 주전자(10)가 기울어져도 주전자(10) 속의 수위에 흡기관(153)이 전부 잠기기가 어려우며, 흡기관(153)의 말단이 수위 상방까지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흡기관(153)에서 배기관(151) 속으로 쉽게 들어가기 어려워서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가 비교적 우수하기 때문이다.
그밖에, 제1 차단 링(154)와 제2 차단 링(155)는 배기관(151)의 외면에 볼록하게 설치되며, 제1 차단 링(154)를 설치하든 제2 차단 링(155)를 설치하든 상관없이 모두 주전자가 기울어졌을 때, 물이 스팀 밸브(15)와 수용 그루브(130) 사이에서 스며들어 스팀 통로(14) 속으로 흘러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차단 링(154)와 제2 차단 링(155)는 연결될 수 있고, 연결이 안 될 수도 있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제1 차단 링(154)는 다수이고, 배기관(151)의 축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배열된다. 이렇게 하면, 스팀 밸브(15)가 뚜껑(10a)에 설치되면, 제1 차단 링(154)의 존재로 인해 배기관(151)의 측표면과 수용 그루브(130)의 측벽면 접촉 면적이 감소됨에 따라, 배기관(151)이 회전할 때, 배기관(151)과 수용 그루브(130) 측벽면의 간섭 작용력이 감소되고, 스팀 밸브(15)의 회전 저항력이 감소된다. 마찬가지로, 스팀 밸브(15)의 회전을 고려하여, 제2 차단 링(155)는 다수이고, 배기관(151)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이렇게 하면, 스팀 밸브(15) 회전의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밖에, 주전자(10)가 기울어지면, 물이 배기관(151)과 수용 그루브(130)의 측벽면 사이로 진입하는데, 역시 제1 차단 링(154) 및/또는 제2 차단 링(155)의 존재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차단 링(154) 및/또는 제2 차단 링(155) 사이의 그루브가 물에 완전히 잠겨야만, 물이 제1 차단 링(154) 및/또는 제2 차단 링(155)를 넘을 수 있기 때문에,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또 다른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스팀 밸브(15)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진일보 개선하기 위해, 수밀 메커니즘과 수용 그루브(130)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 공간 체적의 합은 V0이고, 배기관(151)과 수용 그루브(130)의 측벽면 사이의 총 체적은 V1이며, V0/V1∈[0.5,0.95]이다. 여기에서, 제1 차단 링(154) 및/또는 제2 차단 링(155)의 점유 체적은 V2이고, V1= V2 +V0이다. 스팀 밸브(15)는 수용 그루브(130) 속에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 그루브(130) 측벽면과 배기관(151)의 측표면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있어서, 양자 간에 마찰력으로 인해 일어나는 비교적 큰 간섭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V0/V1의 값이 0.5에 근접할 때, 즉 제1 차단 링(154) 및/또는 제2 차단 링(155)의 체적의 합이 수용 그루브 남은 공간의 50% 정도를 차지하면, 이 때의 수용 그루브(130)의 측벽면과 배기관(151)의 측표면 사이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크고, 스팀 밸브(15)의 회전 효과가 비교적 우수하다. 그러나 제1 차단 링(154) 및/또는 제2 차단 링(155)의 물 차단 효과는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V0/V1의 값이 0.95에 근접하면, 즉 제1 차단 링(154)와/또는 제2 차단 링(155)의 체적이 전체 수용 그루브(130)의 남은 공간 5%를 차지하면, 수용 그루브(130)의 측벽면과 배기관(151) 측표면 사이의 사이가 상대적으로 비교적 작고, 스팀 밸브(15)의 회전 저항력이 증대된다. 그러나 제1 차단 링(154) 및/또는 제2 차단 링(155)의 물 차단 효과는 상대적으로 강화된다. 여기에서, V0/V1의 값은 0.6、0.7、0.8、0.9등을 취할 수 있으며, 물론 스팀 밸브(15)를 더욱 원활하게 회전시키면, 제1 차단 링(154) 및/또는 제2 차단 링(155)의 물 차단 효과도 비교적 우수하며, V0/V1의 값의 최적화는 0.75에서 0.85이다.
도 3, 도 4b, 도 6b를 참조하면,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중에서,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의 원주 방향 상의 협각 α 범위가 비교적 넓어 90°< α ≤80°이며, 여기에서 만약 α가 너무 작으면,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진 후, 주전자(10) 속의 수위가 흡기관(153)의 말단보다 높을 수 있고, 나아가 흡기관(153)의 말단부터 배기관(151) 속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 중의 출구 밸브(18)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는 보통이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출구 밸브(18)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추 부재(152)의 확장 방향과 흡기관(153)의 확장 방향 사이의 협각은 α이며, 그 중 170°≤ α ≤80°이다. 이렇게 하면, 주전자(10)가 기울어져도, 흡기관(153)의 말단이 주전자(10) 속의 수위에 잠기기 어려우며, 따라서 물이 흡기관(153)에서 배기관(151) 속으로 진입할 수 없기 때문에,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가 강화된다.
위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스팀 밸브(15)의 최상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위해, α =180°이다, 즉,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각각 배기관(151)의 마주하는 양측에 배치된다.
주전자(10)가 기울어지는 순간 포트 바디(10b) 속의 물은 즉시 뚜껑(10a)으로 진입하고, 나아가 흡기관(153)에서 배기관(151) 속으로 들어간다. 만약 스팀 밸브(15)의 회전 속도가 지나치게 느리다면, 배기관(153)이 최고 위치까지 회전될 때까지 기다리지 못 하고 물은 즉시 배기관(153) 속으로 진입하게 되며(비록 0.1초 차이라도 비교적 많은 물이 배기관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나아가 뚜껑(10)의 물이 넘치게 된다.
도 3, 도 4a,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중에서, 흡기관(153)은 튜브일 수 있고, 각관일 수 있으며, 또는 기타 모양의 파이프 바디일 수도 있다. 분명하게 상기 몇 가지 유형의 파이프 바디는 회전 방향에서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비교적 크고, 공기 저항력도 비교적 많이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흡기관(153)은 납작한 모양으로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지는 경우, 흡기관(153)이 가장 빠른 속도로 최고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흡기관(153) 속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밖에, 뚜껑(10a)의 반경이 보통 5cm 내지 8cm인 점을 고려하여, 흡기관(153)의 길이도 제한이 있어야 한다. 만약 흡기관(153)이 지나치게 길면, 흡기관(153)이 기타 구조와 간섭이 발생하기 쉽고, 나아가 스팀 밸브(15) 전체가 회전이 안 될 수도 있다. 만약 흡기관(153)이 지나치게 짧으면,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진 후, 흡기관(153)의 말단이 물에 잠기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기관(153)의 길이는 비교적 우수한 실시방식으로서 3cm 내지 5cm 사이이다.
흡기관(153)과 배기관(151)의 연결이 밀폐성인 점을 고려하여, 흡기관(153)과 배기관(151)은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양자 간의 연결 위치 밀폐성이 더 좋아 공기나 물이 새지 않는다.
흡기관(153)과 추 부재(152)는 모두 배기관(151) 측벽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양자는 상하 방향에서 높이 차이를 가질 수 있고, 양자는 동일한 회전 평면 상에도 있을 수 있다. 실시예 중에서 최적화로서 양자는 동일한 회전 평면에 위치한다. 왜냐하면 양자가 서로 다른 회전 평면에 위치하면, 여기에서는 추 부재(152)를 위에 설치하고, 흡기관(153)을 아래로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해서, 추 부재(152)가 회전하면 배기관(151)이 추 부재(152)의 중력 모멘트를 흡기관(153)으로 전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배기관(151)이 추 부재(152)의 회전에 대해 저항력을 일으킴에 따라, 흡기관(153) 회전을 최상의 위치까지 지연시키기 때문이다. 양자가 동일한 회전 평면에 위치하면, 배기관(151)이 일으키는 저항력이 비교적 작아서, 흡기관(153)이 최고 위치까지 신속하게 회전할 수 있다.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되며,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과 일체형으로 용접될 수 있다. 추 부재(152)는 또 배기관(151)에서 분리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기관(151)은 플라스틱 부재이고, 추 부재(152)는 금속 부재이며, 추 부재(152)는 2차 사출을 통해 배기관(151) 위에 고정된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추 부재(152)의 편리한 설치, 분리 또는 교체를 위해, 추 부재(152)와 배기관(151)의 연결 방식은 분리식 연결이 최적화이다. 구체적으로, 배기관(151)의 측벽에는 돌기(1512)가 있고, 추 부재(152)는 돌기(1512)에 설치된다. 배기관(151)의 측벽에는 돌기(1512)가 있고, 돌기(1512)와 추 부재(152)의 연결을 통해 배기관(151)에 대해 보호 작용을 가지며, 만약 추 부재(152)가 직접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되면, 추 부재(152)의 설치는 배기관(151)의 가스 누출이나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도 3과 도 4b를 계속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 중에서, 추 부재(152)는 부채꼴 모양이며, 그 원심 엔드는 배기관(151)에 연결된다. 이것은 한편으로 부채꼴의 추 부재(152)가 가공이 비교적 편리하고 원가가 비교적 낮기 때문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부채꼴로 설치되는 추 부재(152)가 회전 시에 저항력이 비교적 작고, 회전 속도가 비교적 빨라서 흡기관(153)을 신속하게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와 도 8b를 참조하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질 때는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첫 번째 상황은 주전자(10)가 90° 기울어지는 것이고, 두 번째 상황은 주전자(10)가 180°같이 90°보다 크게 기울어지는 것이다. 90° 기울어지면, 물은 배기관(151) 주변의 위치에서 압력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물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스팀 통로(14) 내로 스며들기가 어렵다. 그러나 주전자(10)가 180° 기울어지면, 배기관(151) 주변의 위치에서 압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물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배기관(151)의 개구단의 단면에 스며들어서 배기 구멍(131)에서 스팀 통로(14) 속으로 진입함에 따라 누수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상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 그루브(130) 밀폐단의 단면에는 최소 한 개의 차단 그루브(1310)이 있고, 배기관(151) 개구단의 단면에는 최소 한 개의 차단 그루브(1310) 내에 삽입되는 제2 차단 링(155)가 있으며, 이렇게 하면, 그 제2 차단 링(155)가 차단 그루브(1310) 속에 삽입됨에 따라, 물이 스팀 통로(14)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스팀 밸브(15)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가 개선된다.
위의 실시예에서 주전자(10)가 180° 기울어지면, 배기관(151) 주변의 위치 압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물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스팀 통로(14) 속으로 스며들어서 누수 사고가 일어난다고 언급했으며, 또 다른 비교적 실시예 중에서, 물이 스팀 통로(14)로 스며드는 속도를 줄이거나, 또는 물이 물 흐름 통로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관(151) 내에 밀봉 추(156)이 있고, 밀봉 추(156)은 배기관(151) 경사각도가 90도보다 클 때, 배기관(151)의 밀폐단에서 배기관(151)의 개구단을 향해 이동하여 수용 그루브(130) 밀폐단의 배기 구멍(131)을 밀폐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위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밀봉 추(156)이 배기관(151)을 막을 수 없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배기관(151)의 가스 배출이 원활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 중에서, 배기관(151)의 내벽에는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이 있고,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밀봉 추(156)과 배기관(151) 내벽 사이에 에어 가이드 통로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그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배기관(151) 내벽에 설치하는 원형 돌기나 리브(1511)과 같은 돌기일 수 있으며, 배기관 내벽에 설치하는 플로우 가이드 그루브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최적화로서 배기관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고 배기관 원주 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리브(1511)이고, 서로 인접한 리브(1511) 사이에는 에어 가이드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 중에서, 밀봉 추(156)은 여러 가지 모양일 수 있으며, 주전자가 기울어질 때 배기 구멍(131)을 막을 수만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밀봉 추(156)은 기둥 모양이거나 볼 모양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밀봉 추(156)의 배기관(151) 내 이동 저항력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이동이 더욱 원활해진다. 밀봉 추(156)은 스테인레스, 세라믹이나 유리 등의 일반적인 재료일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그밖에, 뚜껑 내부 체적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밀봉 추(156)의 질량이 지나치게 클 수 없다. 지나치게 크면 일정한 정도에서 밀봉 추(156)의 체적이 증가하게 되어 간섭이 발생하기 쉽다. 밀봉 추(156)의 질량은 또 너무 작으면 안되며, 그렇지 않으면 스팀 밸브(15) 회전의 응답 속도에 영향을 주어 오버플로우 방지에 불리하다.
또 다른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배기관(151)의 상단과 배기 구멍(131) 주변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 커버 플레이트(12)와 배기관(151) 밀폐단의 단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159)가 있으며, 탄성 부재(159)는 배기관(151) 하단면에 설치되는 회전축(157)을 둘러싸서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질 때, 탄성 부재(159)가 배기관(151)을 신속하게 위로 띄워서 배기관(151)의 상단을 배기 구멍(131)의 주변과 밀폐시킴으로써, 그 스팀 밸브(15)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탄성 부재(159)는 스프링일 수 있고, 고무 패드일 수 있으며, 클립일 수도 있다. 물론 그 탄성 부재(159)의 최적화는 스프링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위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탄성 부재(159)가 오랫동안 압력을 받으면, 탄성 부재(159)의 탄력 기능이 줄어들거나 효력이 없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본 실시예 중에서, 배기관(151)에는 그 밀폐단의 단면에서 뻗어나오는 슬리브(158)이 있으며, 슬리브(158)은 상기 탄성 부재(159)를 둘러싸서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비록 탄성 부재(159)가 지나치게 큰 압력을 받더라도, 슬리브(158)의 지지 작용 하에 탄성 부재(159)는 영구적 변형이 잘 생기지 않는다.
제4 방면에서, 흡기관(153)의 스팀에 대한 전이 효과를 고려하여, 흡기관(153)의 횡단면적이 매우 작으면 안 되며, 그렇지 않으면, 주전자 속의 물이 끓을 때, 수증기가 흡기관(153) 속의 전이 속도가 비교적 느려서 액체 가열용기(10) 밑부분의 서모스탯을 향해 원활하게 흘러갈 수 없기 때문에, 주전자(10)의 전원 차단 응답 속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렇게 되면 주전자(10)가 일정한 시간 동안 계속 가열됨으로써, 주전자(10) 속의 물이 끓고 주전자 내의 기압이 커지게 되면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뚜껑 내부 공간이 한정되기 때문에, 흡기관의 횡단면적도 너무 클 수 없으며, 그렇지 않으면 흡기관이 회전할 때, 뚜껑 내의 기타 구조, 또는 뚜껑 내벽과 간섭이 일어나기 쉽고, 따라서 스팀 밸브 전체 회전에 저항을 받게 되어 오버플로우 방지에 불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 중에서, 흡기관(153)의 횡단면적은 어느 정도 제한되어야 하며, 그 횡단면적은 S∈[20mm2,120mm2]이다.
도 3, 도 4a, 도 5a,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중에서,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배기관(151)의 원주 방향의 협각 α 범위가 비교적 넓어서 90°< α ≤80°이며, 여기에서, 만약 α가 너무 작으면,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질 때, 액제 가열용기(10) 속의 수위가 흡기관(153)의 말단보다 높을 수 있고, 나아가 흡기관(153)의 말단부터 배기관(151) 속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 중의 출구 밸브(18)의 오버블로우 방지 효과는 보통이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출구 밸브(18)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추 부재(152)의 확장 방향과 상기 흡기관(153)의 확장 방향 사이의 협각은 α이고, 그 중 170°≤ α ≤80°이다. 이렇게 하면, 비록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져도, 흡기관(153)의 말단이 액체 가열용기(10)속의 수위에 잠기기가 어려우며, 따라서, 물이 흡기관(153)에서 배기관(151) 속으로 진입할 수 없기 때문에,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가 강화된다.
위의 실시예를 기초하여, 스팀 밸브(15)의 최상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위해, α=180°이다, 즉, 추 부재(152)와 흡기관(153)은 각각 배기관(151)의 마주하는 양측에 배치된다.
주전자(10)가 기울어지는 순간 포트 바디(10b) 속의 물은 즉시 뚜껑(10a)으로 진입하고, 나아가 흡기관(153)에서 배기관(151) 속으로 들어간다. 만약 스팀 밸브(15)의 회전 속도가 지나치게 느리다면, 배기관(153)이 최고 위치까지 회전될 때까지 기다리지 못 하고 물은 즉시 배기관(153) 속으로 진입하게 되며(비록 0.1초 차이라도 비교적 많은 물이 배기관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나아가 뚜껑(10)의 물이 넘치게 된다.
도 3과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서, 흡기관(153)은 튜브일 수 있고, 각관일 수 있으며, 또는 기타 모양의 파이프 바디일 수도 있다. 분명하게 상기 몇 가지 유형의 파이프 바디는 회전 방향에서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비교적 크고, 공기 저항력도 비교적 많이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흡기관(153)은 납작한 모양으로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질 때, 흡기관(153)이 가장 빠른 속도로 최고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흡기관(153) 속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밖에, 뚜껑(10a)의 반경이 보통 5cm에서 8cm인 점을 고려하여, 흡기관(153)의 길이도 제한이 있어야 한다. 만약 흡기관(153)이 지나치게 길면, 흡기관(153)이 기타 구조와 간섭이 발생하기 쉽고, 나아가 스팀 밸브(15) 전체가 회전이 안 될 수도 있다. 만약 흡기관(153)이 지나치게 짧으면, 액체 가열용기(10)가 기울어진 후, 흡기관(153)의 말단이 물에 잠기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기관(153)의 길이는 비교적 우수한 실시방식으로서 3cm에서 5cm 사이이다.
흡기관(153)과 배기관(151)의 연결이 밀폐성인 점을 고려하여, 흡기관(153)과 배기관(151)은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양자 간의 연결 위치 밀폐성이 더 좋아서 공기나 물이 새지 않는다.
흡기관(153)과 추 부재(152)는 모두 배기관(151) 측벽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양자는 상하 방향에서 높이 차이를 가질 수 있고, 양자는 동일한 회전 평면 상에도 있을 수 있다. 실시예 중에서 최적화로서 양자는 동일한 회전 평면에 위치한다. 왜냐하면 양자가 서로 다른 회전 평면에 위치하면, 여기에서는 추 부재(152)를 위에 설치하고, 흡기관(153)을 아래로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해서, 추 부재(152)가 회전하면 배기관(151)이 추 부재(152)의 중력 모멘트를 흡기관(153)으로 전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배기관(151)이 추 부재(152)의 회전에 대해 저항력을 일으킴에 따라, 흡기관(153) 회전을 최상의 위치까지 지연시키기 때문이다. 양자가 동일한 회전 평면에 위치하면, 배기관(151)이 일으키는 저항력이 비교적 작아서, 흡기관(153)이 최고 위치까지 신속하게 회전할 수 있다.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되며,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추 부재(152)는 배기관(151)과 일체형으로 용접될 수 있다. 추 부재(152)는 또 배기관(151)에서 분리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기관(151)은 플라스틱 부재이고, 추 부재(152)는 금속 부재이며, 상기 추 부재(152)는 2차 사출을 통해 상기 배기관(151) 위에 고정된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추 부재(152)의 편리한 설치, 분리 또는 교체를 위해, 추 부재(152)와 배기관(151)의 연결 방식은 분리식 연결이 최적화이다. 구체적으로, 배기관(151)의 측벽에는 돌기(1512)가 있고, 상기 추 부재(152)는 상기 돌기(1512)에 설치된다. 배기관(151)의 측벽에는 돌기(1512)가 있고, 돌기(1512)와 추 부재(152)의 연결을 통해 배기관(151)에 대해 보호 작용을 가지며, 만약 추 부재(152)가 직접 배기관(151)의 측벽에 설치되면, 추 부재(152)의 설치는 배기관(151)의 가스 누출이나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도 3과 도 4a를 계속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 중에서, 상기 추 부재(152)는 부채꼴 모양이며, 그 원심 엔드는 상기 배기관(151)에 연결된다. 이것은 한편으로 부채꼴의 추 부재(152)가 가공이 비교적 편리하고 원가가 비교적 낮기 때문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부채꼴로 설치되는 추 부재(152)가 회전 시에 저항력이 비교적 작고, 회전 속도가 비교적 빨라서 흡기관(153)을 신속하게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와 도 8a를 참조하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질 때는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첫 번째 상황은 주전자(10)가 90° 기울어지는 것이고, 두 번째 상황은 주전자(10)가 180°같이 90°보다 크게 기울어지는 것이다. 90° 기울어지면, 물은 배기관(151) 주변의 위치에서 압력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물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스팀 통로(14) 내로 스며들기가 어렵다. 그러나 주전자(10)가 180° 기울어지면, 배기관(151) 주변의 위치에서 압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물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배기관(151)의 개구단의 단면에 스며들어서 배기 구멍(131)에서 스팀 통로(14) 속으로 진입함에 따라 누수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상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 그루브(130) 밀폐단의 단면에는 최소 한 개의 차단 그루브(1310)이 있고, 상기 배기관(151) 개구단의 단면에는 최소 한 개의 상기 차단 그루브(1310) 내에 삽입되는 제1 차단 링(154)가 있으며, 이렇게 하면, 그 제1 차단 링(154)가 상기 차단 그루브(1310) 속에 삽입됨에 따라, 물이 스팀 통로(14)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스팀 밸브(15)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가 개선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더 나아가, 주전자(10)가 기울어지면, 물이 배기관(151)의 외벽에 스며들어 스팀 통로(14) 속으로 들어가고, 나아가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 중에서, 물이 배기관(151)의 외벽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기관(151)의 측부에는 최소 하나의 상기 수용 그루브(130) 내 측벽을 향해 확장되는 제2 차단 링(155)가 있다. 여기에서, 배기관(151)은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관(151)은 수용 그루브(130) 내벽 사이와 간섭이 발생할 수 없다. 따라서 배기관(151)과 수용 그루브(130) 사이에 공간을 남겨 두면, 물이 그 공간을 통해 스팀 통로(14) 속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차단 링(155)를 설치하면, 제2 차단 링(155)가 물에 대해 저항력을 일으켜서 물이 스팀 통로(14)로 진입하는 속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전자(10)을 들어올리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물이 스팀 통로(14) 내로 스며드는 속도를 더 줄이기 위해, 두 개, 세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제2 차단 링(155)를 추가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 주전자(10)가 180° 기울어지면, 배기관(151) 주변의 위치 압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물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스팀 통로(14) 속으로 스며들어서 누수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또 다른 비교적 실시예 중에서, 물이 스팀 통로(14)로 스며드는 속도를 줄이거나, 또는 물이 물 흐름 통로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기관(151) 내에 밀봉 추(156)이 있고, 상기 밀봉 추(156)는 상기 배기관(151) 경사 각도가 90도보다 클 때, 상기 배기관(151)의 밀폐단에서 상기 배기관(151)의 개구단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수용 그루브(130) 밀폐단의 배기 구멍(131)을 밀폐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위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밀봉 추(156)이 배기관(151)을 막을 수 없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배기관(151)의 가스 배출이 원활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 중에서, 상기 배기관(151)의 내벽에는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이 있고, 상기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상기 밀봉 추(156)와 상기 배기관(151) 내벽 사이에 에어 가이드 통로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그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배기관(151) 내벽에 설치하는 원형 돌기나 리브(1511)와 같은 돌기일 수 있으며, 배기관 내벽에 설치하는 플로우 가이드 그루브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최적화로서 상기 배기관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고 상기 배기관 원주 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다수의 리브(1511)이고, 서로 인접한 리브(1511) 사이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 중에서, 밀봉 추(156)은 여러 가지 모양일 수 있으며, 주전자가 기울어질 때 배기 구멍(131)을 막을 수만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밀봉 추(156)은 기둥 모양이거나 볼 모양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밀봉 추(156)의 배기관(151) 내 이동 저항력이 비교적 작아서, 이동이 더욱 원활해진다.
또 다른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배기관(151)의 상단과 배기 구멍(131) 주변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12)와 상기 배기관(151) 밀폐단의 단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159)가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159)는 배기관(151) 하단면에 설치되는 회전축(157)을 둘러싸서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주전자(10)가 기울어질 때, 탄성 부재(159)가 배기관(151)을 신속하게 위로 띄워서 배기관(151)의 상단을 배기 구멍(131)의 주변과 밀폐시킴으로써, 그 스팀 밸브(15)의 오버플로우 방지 효과를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탄성 부재(159)는 스프링일 수 있고, 고무 패드일 수 있으며, 클립일 수도 있다. 물론 그 탄성 부재(159)의 최적화는 스프링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위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탄성 부재(159)가 오랫동안 압력을 받으면, 탄성 부재(159)의 탄력 기능이 줄어들거나 효력이 없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본 실시예 중에서, 상기 배기관(151)에는 그 밀폐단의 단면에서 뻗어나오는 슬리브(158)이 있으며, 상기 슬리브(158)은 상기 탄성 부재(159)를 둘러싸서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비록 탄성 부재(159)가 지나치게 큰 압력을 받더라도, 슬리브(158)의 지지 작용 하에 탄성 부재(159)는 영구적 변형이 잘 생기지 않는다.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최적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특허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아이디어 하에 본 발명의 설명서 및 도면 내용을 이용한 등가의 구조 변환, 또는 기타 관련된 기술 영역에 직접/간접적인 활용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10: 액체 가열용기 10a: 뚜껑
10': 캡 바디 10b: 포트 바디
10c: 전원공급장치 11: 상부 커버 플레이트
12: 하부 커버 플레이트 13: 브래킷
14: 스팀 통로 15: 스팀 밸브
16: 버튼 17: 레버
18: 배수 밸브 19: 실링 링
100: 제2 수용 그루브 130: 수용 그루브
131: 배기 구멍 141: 주둥이
151: 배기관 152: 추 부재
153: 흡기관 154: 제1 차단 링
155: 제2 차단 링 156: 밀봉 추
157: 회전축 158: 슬리브
159: 탄성 부재 1510: 배기구
1511: 리브 1512: 돌기
1310: 차단 그루브

Claims (30)

  1. 일단이 오픈되고 다른 일단은 밀폐된 모양인 배기관으로서, 상기 배기관 위에는 상기 배기관이 그 축 방향을 돌아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자유 회전부가 있으며;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의 측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흡기관; 및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의 측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추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추 부재와 상기 흡기관은 배기관 원주 방향 상의 협각 α가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추 부재는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가 상기 흡기관이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은 납작한 모양으로 설치되고, 상기 흡기관의 길이가 3cm에서 5c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과 상기 배기관은 일체형이며, 상기 흡기관은 상기 배기관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밖으로 확장되고, 상기 추 부재와 동일한 회전 평면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 부재와 상기 흡기관이 배기관 원주 방향 상의 협각 α가 170°보다 크거나 같고 180°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측벽에는 돌기가 있고, 상기 추 부재가 상기 돌기 상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플라스틱 부재이며, 상기 추 부재는 금속 부재이고, 상기 추 부재는 2차 사출을 통해 상기 배기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 부재가 납작한 모양이고, 그 원심 엔드가 상기 배기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외표면에는 수밀 구조가 있고, 상기 수밀 구조는 최소 상기 배기관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1 차단 링 및/또는 상기 배기관 개구단 단면에 설치되는 제2 차단 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 링은 다수이고, 상기 배기관의 축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배열되며, 상기 제2 차단 링은 다수이고, 상기 배기관의 반경 방향을 따라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의 횡단면적은 S∈[20 mm2,120mm2]이고, 상기 흡기관의 길이는 L0∈[20mm,60mm]이며, 상기 흡기관은 납작한 모양으로 설치되며, 상기 흡기관의 횡단면적은 타원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개구단 및/또는 상기 자유 회전부 상에는 내마모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밸브.
  11. 캡 바디, 상기 캡 바디 상하 양단에 있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하부 커버 플레이트, 및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팀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캡 바디에는 일단이 상기 배기관 개구단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외부와 연결되는 스팀 통로가 있으며, 상기 뚜껑 내에는 상기 자유 회전부를 설치하게 하는 회전 설치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에는 상기 스팀 밸브를 수용하는 수용 그루브가 있고, 상기 수용 그루브는 일단이 밀폐되고 다른 일단은 오픈된 실린더 모양이며, 상기 배기관의 개구단 단면은 상기 수용 그루브의 밀폐단 단면에 닿고, 상기 수용 그루브의 밀폐단 단면에는 상기 배기관과 상기 스팀 통로와 연결되는 배기 구멍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그루브 밀폐단의 단면에는 최소 한 개의 차단 그루브가 있고, 상기 배기관 개구단의 단면에는 최소 한 개의 상기 차단 그루브에 삽입되는 제1 차단 링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측부에는 최소 한 개의 상기 수용 그루브 내측벽을 향해 확장되는 제2 차단 링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 내에는 밀봉 추가 있고, 상기 밀봉 추는 상기 배기관 경사각도가 90도보다 크면, 상기 배기관의 밀폐단에서 상기 배기관의 개구단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수용 그루브 밀폐단의 배기 구멍을 밀폐하며, 상기 배기관의 내벽에는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이 있고, 상기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상기 밀봉 추와 상기 배기관 내벽 사이에 에어 가이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가이드 메커니즘은 상기 배기관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고 상기 배기관 원주 방향을 따라 분포하는 다수의 리브이고, 서로 인접한 리브 사이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밀봉 추는 기둥 모양이나 볼 모양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회전부는 상기 배기관 밀폐단의 단면에 설치되는 회전축이고, 상기 회전 설치부는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축 구멍이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축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스팀 밸브가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배기관 밀폐단의 단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서 설치되며, 상기 배기관에는 그 밀폐단 단면에서 뻗어 나오는 슬리브가 있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탄성 부재를 둘러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에는 또 출구 밸브, 상기 출구 밸브를 수용하는 제2 수용 그루브, 및 상기 출구 밸브와 외부를 연결하는 출구 통로가 있으며, 상기 스팀 통로는 상기 출구 통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회전부는 상기 배기관 밀폐단에 설치되는 축 구멍이고, 상기 회전 설치부는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축 구멍이 삽입되는 회전축이며,
    또는 상기 자유 회전부는 상기 배기관 개구단에 설치되는 베어링이고, 상기 회전 설치부는 상기 캡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설치하는 베어링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 메커니즘과 상기 수용 그루브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 공간의 체적 합은 V0이고, 상기 배기관과 상기 수용 그루브 내벽 사이의 총 체적은 V1이며, V0/V1∈[0.5,0.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그루브 밀폐단의 단면에는 최소 한 개의 차단 그루브가 있고, 상기 제2 차단 링이 상기 차단 그루브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의 길이는 L0이고,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의 반경은 R이며, L0/R∈[0.6,0.9]이고, 상기 회전 설치부에는 내마모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 부재는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서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가 상기 흡입관이 상기 자유 회전부를 돌아서 회전하는 중력 모멘트 및 상기 배기관이 자전할 때 상기 캡 바디 사이와의 마찰력 모멘트의 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추 부재의 질량 m1이 10g보다 크거나 같고 50g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흡기관의 질량 m2가 5g보다 크거나 같고 20g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추 부재의 무게는 G1이고, 상기 흡기관의 무게는 G2이며, G1/G2∈[0.5,12] 또는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추 부재의 중심과 상기 배기관의 축선 사이의 간격은 L1이고, 상기 흡기관의 중심과 상기 배기관의 축선 사이의 간격은 L2이며, L1/L2∈[2,20] 또는 [4,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하부 커버 플레이와 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브래킷는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하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있고, 상기 스팀 밸브를 수용하는 수용 그루브가 있으며, 상기 수용 그루브는 일단이 밀폐되고 다른 일단이 오픈된 실린더 모양이며, 상기 배기관의 개구단 단면은 상기 수용 그루브의 밀폐단 단면에 닿고, 상기 수용 그루브의 밀폐단 단면에는 상기 배기관과 상기 스팀 통로를 연결하는 배기 구멍이 있으며,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배기관 밀폐단의 단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이며, 그 스프링의 내경은 D∈[10mm,20mm]이고, 총권수는 n∈[4,12]이며, 강성계수는 ∈[10g/mm,40g/mm]이고, 질량 m3∈[0.3g,1.5g]이며, 상기 배기관에는 그 밀폐단 단면에서 뻗어 나오는 슬리브가 있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탄성 부재를 둘러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또 출구 밸브, 상기 출구 밸브를 수용하는 제2 수용 그루브, 및 상기 출구 밸브와 외부를 연결하는 출구 통로가 있고, 상기 스팀 통로는 상기 출구 통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28. 포트 바디; 및
    제18항의 뚜껑
    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이 상기 포트 바디를 밀폐하고, 상기 포트 바디의 내벽과 밀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용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캡 바디 사이에는 실링 링이 있고, 상기 뚜껑은 상기 실링 링을 통해 상기 포트 바디의 내벽과 밀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용기.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과 포트 바디는 스냅 구조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스냅 구조는 뚜껑에 설치되는 신축성 있는 걸쇠와 포트 바디 내벽에 설치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용기.
KR1020177032948A 2016-09-09 2017-03-01 스팀 밸브, 뚜껑 및 액체 가열용기 KR101971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21048427.X 2016-09-09
CN201621048534.2 2016-09-09
CN201610815618.2A CN107802185B (zh) 2016-09-09 2016-09-09 蒸汽阀、壶盖及液体加热容器
CN201621048427.XU CN206560351U (zh) 2016-09-09 2016-09-09 蒸气阀、壶盖及液体加热容器
CN201621048490.3 2016-09-09
CN201610815618.2 2016-09-09
CN201621048465.5 2016-09-09
CN201621048534.2U CN206333770U (zh) 2016-09-09 2016-09-09 蒸汽阀、壶盖及液体加热容器
CN201621048490.3U CN206333739U (zh) 2016-09-09 2016-09-09 壶盖及液体加热容器
CN201621048465.5U CN206560316U (zh) 2016-09-09 2016-09-09 蒸汽阀、壶盖及液体加热容器
PCT/CN2017/075364 WO2018045729A1 (zh) 2016-09-09 2017-03-01 蒸汽阀、壶盖及液体加热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605A true KR20180037605A (ko) 2018-04-12
KR101971565B1 KR101971565B1 (ko) 2019-04-23

Family

ID=6156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948A KR101971565B1 (ko) 2016-09-09 2017-03-01 스팀 밸브, 뚜껑 및 액체 가열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49965B2 (ko)
KR (1) KR101971565B1 (ko)
WO (1) WO2018045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4057B (zh) * 2019-03-22 2024-04-30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水路加热器及应用其的洗碗机
CN111603043B (zh) * 2020-06-03 2021-07-23 广东法泊特电器有限公司 一种电水壶盖
CN114081348B (zh) * 2021-11-19 2022-06-03 镇江杰欣厨具有限公司 一种密封防溢强化玻璃锅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1649A (zh) * 2016-03-25 2016-05-1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热水壶及其壶盖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7141Y2 (ja) * 1980-01-31 1984-10-15 株式会社東芝 電気湯沸かし器
JPS6086232U (ja) * 1983-11-22 1985-06-13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液体流出防止装置付ポツト
JPH0560126A (ja) * 1991-08-30 1993-03-09 Ricoh Co Ltd 動圧流体軸受
JPH07112461B2 (ja) * 1993-03-31 1995-12-0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貯湯容器の蒸気通路装置
JPH07316856A (ja) * 1994-05-23 1995-12-05 Sumitomo Metal Ind Ltd 液体槽のロールネックシール構造
CN201468983U (zh) * 2008-12-11 2010-05-19 广东亿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即热式电热水壶
JP5796352B2 (ja) * 2011-05-27 2015-10-21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湯沸かし器
TWM434763U (en) * 2012-03-22 2012-08-01 Gudeng Prec Ind Co Ltd Containers for packaging semiconductor components
CN102715836B (zh) * 2012-07-09 2015-01-07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防漏的电热水壶
CN204520300U (zh) * 2015-04-13 2015-08-0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热水壶
CN105125091B (zh) * 2015-10-23 2018-09-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泄压结构及家用电器
CN205585834U (zh) * 2016-03-25 2016-09-2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热水壶及其壶盖组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1649A (zh) * 2016-03-25 2016-05-1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热水壶及其壶盖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1050A (ja) 2018-10-25
WO2018045729A1 (zh) 2018-03-15
KR101971565B1 (ko) 2019-04-23
JP6649965B2 (ja)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565B1 (ko) 스팀 밸브, 뚜껑 및 액체 가열용기
CN106974548B (zh) 蒸煮器具用锅盖及蒸煮器具
US20030136783A1 (en) Plug of a container for holding beverage
JP2011530681A (ja) 空気アドミッタンス弁
JP2011530681A5 (ko)
KR200469928Y1 (ko) 환기 역류 방지장치
CN107802185B (zh) 蒸汽阀、壶盖及液体加热容器
JP2018531050A6 (ja) 蒸気バルブ、容器カバーおよび液体加熱容器
US5927317A (en) Venting structure of a waterbed
CN105443442B (zh) 用于排水泵的低噪音泵壳
CN206333770U (zh) 蒸汽阀、壶盖及液体加热容器
CN108613309B (zh) 一种加湿器
CN209857284U (zh) 水箱组件、空气处理模块及空调器
CN113175040A (zh) 便器溢流装置、便器水箱及便器
CN107752940B (zh) 洗碗机的呼吸器及水槽式洗碗机
CN210008881U (zh) 上盖总成和具有其的烹饪器具
JP5590291B2 (ja) 排水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洗浄水タンク
KR101270289B1 (ko) 연료탱크용 롤오버밸브
TWI660099B (zh) 管道阻氣裝置
CN214317778U (zh) 一种防溢排气机构及家用电器
CN206333739U (zh) 壶盖及液体加热容器
CN213849999U (zh) 电饭煲的蒸汽阀及电饭煲
CN217907341U (zh) 容器盖和液体加热容器
CN219020775U (zh) 用于容器的吸嘴以及包括该吸嘴的用于容器的盖组件
CN213429676U (zh) 一种冷凝水排出结构及蒸汽排放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