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928Y1 - 환기 역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환기 역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928Y1
KR200469928Y1 KR2020130001680U KR20130001680U KR200469928Y1 KR 200469928 Y1 KR200469928 Y1 KR 200469928Y1 KR 2020130001680 U KR2020130001680 U KR 2020130001680U KR 20130001680 U KR20130001680 U KR 20130001680U KR 200469928 Y1 KR200469928 Y1 KR 200469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opening
closing member
ventilation hole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순열
Original Assignee
양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순열 filed Critical 양순열
Priority to KR2020130001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9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의 흐름에 따라 개폐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공기 배출시 환기로를 개방하고, 공기가 역류하려고 할 때에는 환기로를 밀폐하여 공기가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환기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환기 역류 방지장치는, 일단에 흡입구(100a)가 개방 형성되며, 내부에 환기팬(110)이 설치된 환풍기(100); 제1환기공(200a)이 구비되며, 상기 환풍기(100)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100a)를 덮는 환기덮개(200); 상기 환기덮개(200)의 상기 환기팬(110) 방향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환기공(200a)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밀폐부재(300); 상기 밀폐부재(300)의 상기 환기팬(110) 방향 일단에 접하여 상기 제1환기공(200a)를 폐쇄하며, 상기 밀폐부재(300)의 외측에 제2환기공(400a)를 갖는 개폐부재(400); 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구(100a)로 공기 흡입시,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밀폐부재(300)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1환기공(200a)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환기공(200a)은 상기 제2환기공(400a)과 연통된다.

Description

환기 역류 방지장치 {Apparatus for preventing a back flow of ventilation}
본 고안은 환기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장에 설치된 배기덕트에 장착되어 배기덕트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순환시키는 환기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아파트나 식당 등의 건물에는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가 구비되며, 상기 배기덕트의 흡입구 또는 배출구에는 환기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공기를 이동시킨다.
도 1 은 종래의 환기장치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환기장치 시스템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된 배기덕트(10), 상기 배기덕트(10)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덕트(10)를 통해 공기를 이동시키는 환기장치(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덕트(10)의 배출구는 건물 외측벽이나 옥상 등에 설치되고, 흡입구는 실내 천장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20)는 상기 배출구 또는 상기 흡입구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환기장치는 외부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면, 배기덕트의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역류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겨울에는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들어와 실내 온도가 떨어지고, 이로 인해 실내 난방비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아파트의 경우 환기 덕트가 층층이 연결되어 아래층이나 윗층에서 흡연하는 경우 배기덕트를 통해 윗층으로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7533호.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공보 제20-0203368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의 흐름에 따라 개폐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공기 배출시 환기로를 개방하고, 공기가 역류하려고 할 때에는 환기로를 밀폐하여 공기가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환기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환기 역류 방지장치는, 일단에 흡입구(100a)가 개방 형성되며, 내부에 환기팬(110)이 설치된 환풍기(100); 제1환기공(200a)이 구비되며, 상기 환풍기(100)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100a)를 덮는 환기덮개(200); 상기 환기덮개(200)의 상기 환기팬(110) 방향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환기공(200a)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밀폐부재(300); 상기 밀폐부재(300)의 상기 환기팬(110) 방향 일단에 접하여 상기 제1환기공(200a)를 폐쇄하며, 상기 밀폐부재(300)의 외측에 제2환기공(400a)를 갖는 개폐부재(400); 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구(100a)로 공기 흡입시,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밀폐부재(300)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1환기공(200a)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환기공(200a)은 상기 제2환기공(400a)과 연통된다.
상기 개폐부재(400)의 상기 밀폐부재(300) 방향 일면에는 상기 밀폐부재(300)가 안착되는 안착홈(410)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30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환기덮개(200)의 상기 흡입구(100a) 방향 일면에는 가이드축(250)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가이드축(25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축(250)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축(250)의 상단에는 상기 개폐부재(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60)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260)에는 상기 개폐부재(400)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270)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환기 역류 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환기팬(110) 작동시 상기 밀폐부재(300)에서 이탈되어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1환기공(200a)을 개방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제1환기공(200a)이 상기 제2환기공(400a)과 연통되어 상기 제2환기공(400a)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환기팬(110)의 정지시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밀폐부재(300)와 접하여 상기 제1환기공(200a)을 폐쇄함으로써, 배기덕트(미도시)를 통해 외부로부터 역풍이 들어올 때 공기가 상기 제1환기공(200a)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400)에 상기 안착홈(4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밀폐부재(300)와 상기 개폐부재(4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켜, 상기 개폐부재(400)가 상기 밀폐부재(300)와 접촉할 때 상기 개폐부재(400)와 상기 밀폐부재(300) 사이로 공기가 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역류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역류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역류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역류 방지장치의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역류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역류 방지장치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역류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역류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역류 방지장치의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역류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역류 방지장치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역류 방지장치는 환풍기(100), 환기덮개(200), 밀폐부재(300), 개폐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환풍기(100)는 일반적인 환풍장치와 같이 기본적으로 내부에 환기팬(110)이 설치되며, 일단, 즉 하단에 흡입구(100a)가 개방 형성되고, 타단, 즉 상단에 배출구(미도시)가 개방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환풍기(100)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된 배기덕트(미도시)의 입구 근처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100a)가 실내와 연통된다.
이러한 상기 환풍기(100)는 상기 환기팬(110)의 회전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100a)로 흡입하여 상기 환풍기(100)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배기덕트(미도시)의 출구로 이동시킨다.
물론 환기 방식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순환시켜 환기를 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본 고안의 환기 역류 방지장치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상기 환풍기(100)의 흡입구(100a)의 하단에는 환풍기 커버(500)가 장착된다.
상기 환기덮개(200)는 상기 환풍기(100)에 장착되어 상기 환풍기(100)의 흡입구(100a)를 덮는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기덮개(20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사각형 형상의 수용공간(2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환기덮개(200)의 중심부에는 원형 형상의 제1환기공(200a)이 상하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환기공(200a)은 상기 수용공간(210)과 연통된다.
이러한 상기 환기덮개(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환풍기(100)의 입구 내부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환기팬(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환기덮개(200)의 상기 환기팬(110) 방향 일면, 즉 상기 수용공간(210)을 이루는 상기 환기덮개(200)의 상면에는 상기 밀폐부재(300)가 장착된다.
상기 밀폐부재(300)는 상기 제1환기공(200a)의 외주연을 따라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직경은 상기 제1환기공(200a)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1환기공(200a)과 동심원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300)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환기덮개(200)와 상기 밀폐부재(300)의 접촉면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킨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밀폐부재(300)와 상기 환기덮개(200)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강시키기 위해 상기 환기덮개(200)에 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밀폐부재(300)가 삽입 안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밀폐부재(300)의 상단, 즉 상기 환기팬(110) 방향 일단에는 상기 개폐부재(400)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환기덮개(200)의 수용공간(210) 내측 너비와 거의 같은 크기의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부재(300)의 상단과 접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21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환기공(200a)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400)에는 원형의 제2환기공(400a)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환기공(400a)은 4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부재(300)의 외측, 즉 상기 개폐부재(400)의 꼭지점 부근에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환풍기(100)의 상기 흡입구(100a)와 연통된다.
이러한 상기 제2환기공(400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기팬(110) 작동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400)가 상승하여 상기 밀폐부재(300)와 이격될 때 상기 제1환기공(200a)과 연통된다.
즉, 상기 제2환기공(400a)은 상기 제1환기공(200a)의 개방시 상기 환풍기(100)의 흡입구(100a)로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환기팬(110) 작동시 상기 밀폐부재(300)에서 이탈되어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1환기공(200a)을 개방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제1환기공(200a)이 상기 제2환기공(400a)과 연통되어 상기 제2환기공(400a)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환기팬(110)의 정지시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밀폐부재(300)와 접하여 상기 제1환기공(200a)을 폐쇄함으로써, 배기덕트(미도시)를 통해 외부로부터 역풍이 들어올 때 공기가 상기 제1환기공(200a)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400)의 하면에는 상기 밀폐부재(300)가 안착되는 안착홈(41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410)은 반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재(300)와 같이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400)에 상기 안착홈(4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밀폐부재(300)와 상기 개폐부재(4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켜, 상기 개폐부재(400)가 상기 밀폐부재(300)와 접촉할 때 상기 개폐부재(400)와 상기 밀폐부재(300) 사이로 공기가 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기덮개(200)에 가이드축(250)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400)에 상기 가이드축(25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400)가 상기 가이드축(250)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축(250)은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제1환기공(200a)의 양측에 각각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축(250)의 높이는 상기 환기팬(110) 보다 낮게 배치되며, 마찰을 최소화 하기 위해 좌우 하나씩 총 2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축(250)의 지름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축(25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축(250)과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드러운 재질의 마찰감소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환기덮개(200)에 가이드축(250)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400)에 상기 가이드축(25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400)의 상하 이동시 상기 개폐부재(400)의 이동을 안정되게 하고, 전체적인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축(250)의 상단에는 상기 개폐부재(400)와 접하여 상기 개폐부재(400)의 상하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26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260)는 상기 가이드축(250)의 상단 외주면에 원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260)는 상기 개폐부재(400)의 상승시 상기 개폐부재(400)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개폐부재(400)가 일정높이 이상 상승하는 것을 저지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스토퍼(260)의 하면에는 상기 개폐부재(400)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270)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완충부재(270)는 고무재질이나,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폐부재(400)가 상승하여 상기 스토퍼(260)로 이동했을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역류 방지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기팬(110)이 작동하지 않을 때나, 상기 배기덕트(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역류하려고 할 때,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밀폐부재(300)와 접하여 상기 제1환기공(200a)이 상기 환기 역류 방지장치의 흡입구(100a)와 연통되지 않도록 폐쇄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300)는 상기 안착홈(410)에 삽입되고, 상기 밀폐부재(300)와 상기 개폐부재(400)의 넓은 접촉면적에 의해 상기 제1환기공(200a)은 완전히 차단된다.
만약,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기팬(110)이 작동하면, 상기 환기팬(11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400)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제1환기공(200a)이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환기공(200a)은 상기 제2환기공(400a)과 연통되며, 상기 흡입구(100a)를 통해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제1환기공(200a)을 통과하여 상기 제2환기공(400a)을 이동하며, 상기 배기덕트(미도시)의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이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환기팬(110) 작동시 상기 밀폐부재(300)에서 이탈되어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1환기공(200a)을 개방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제1환기공(200a)이 상기 제2환기공(400a)과 연통되어 상기 제2환기공(400a)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환기팬(110) 정지시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밀폐부재(300)와 접하여 상기 제1환기공(200a)을 폐쇄함으로써, 배기덕트(미도시)를 통해 외부로부터 역풍이 들어올 때 공기가 상기 제1환기공(200a)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고안인 환기 역류 방지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환풍기, 110 : 환기팬,
100a : 흡입구, 200 : 환기덮개,
200a : 제1환기공, 210 : 수용공간,
300 : 밀폐부재, 400 : 개폐부재,
400a : 제2환기공, 410 : 안착홈,

Claims (5)

  1. 일단에 흡입구(100a)가 개방 형성되며, 내부에 환기팬(110)이 설치된 환풍기(100);
    제1환기공(200a)이 형성되며, 상기 환풍기(100)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100a)를 덮는 환기덮개(200);
    상기 환기덮개(200)의 상기 환기팬(110) 방향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환기공(200a)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밀폐부재(300);
    상기 밀폐부재(300)의 상기 환기팬(110) 방향 일단에 접하여 상기 제1환기공(200a)를 폐쇄하며, 상기 밀폐부재(300)의 외측에 제2환기공(400a)를 갖는 개폐부재(400); 를 포함하되,
    상기 환풍기(10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100a)로 공기 흡입시,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밀폐부재(300)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1환기공(200a)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환기공(200a)은 상기 제2환기공(400a)과 연통되고,
    상기 개폐부재(400)의 상기 밀폐부재(300) 방향 일면에는 상기 밀폐부재(300)가 안착되는 안착홈(410)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재(30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환기덮개(200)의 상기 흡입구(100a) 방향 일면에는 가이드축(250)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400)에는 상기 가이드축(25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축(250)을 따라 상하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축(250)의 상단에는 상기 개폐부재(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60)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260)에는 상기 개폐부재(400)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2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역류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30001680U 2013-03-06 2013-03-06 환기 역류 방지장치 KR200469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80U KR200469928Y1 (ko) 2013-03-06 2013-03-06 환기 역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80U KR200469928Y1 (ko) 2013-03-06 2013-03-06 환기 역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928Y1 true KR200469928Y1 (ko) 2013-11-13

Family

ID=5074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680U KR200469928Y1 (ko) 2013-03-06 2013-03-06 환기 역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928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119B1 (ko) * 2015-05-20 2015-10-13 주식회사 에스엠지 자동 역류 환기장치
KR20160144071A (ko) 2015-06-08 2016-12-16 이주호 토출 작동 중 역방향 유입이 방지되는 팬 보조장치
KR20170027763A (ko) 2017-03-02 2017-03-10 이주호 토출 작동 중 역방향 유입이 방지되는 팬 보조장치
KR101925401B1 (ko) * 2018-05-16 2018-12-05 주식회사 에스엠지 자동 환기 역류 방지장치
KR102016911B1 (ko) 2018-04-05 2019-09-02 (주)그렉스 환기팬 커버의 개폐 구조
KR20200108769A (ko) * 2019-03-11 2020-09-21 김수완 환풍기 역류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풍기.
KR20210097091A (ko) 2019-11-25 2021-08-06 김수완 환풍기 역류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풍기.
KR20240000729U (ko) 2022-10-27 2024-05-07 주식회사 건강증진싱크탱크 담배연기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환기 조절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435U (ja) * 1982-08-31 1984-03-07 松下電工株式会社 レジスタ−
JPH0414936U (ko) * 1990-05-30 1992-02-06
KR20000063799A (ko) * 2000-08-04 2000-11-06 정영교 에어덕트용 개폐댐퍼
KR200203368Y1 (ko) 2000-06-09 2000-11-15 김정환 욕실환풍기의 역풍방지댐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435U (ja) * 1982-08-31 1984-03-07 松下電工株式会社 レジスタ−
JPH0414936U (ko) * 1990-05-30 1992-02-06
KR200203368Y1 (ko) 2000-06-09 2000-11-15 김정환 욕실환풍기의 역풍방지댐퍼
KR20000063799A (ko) * 2000-08-04 2000-11-06 정영교 에어덕트용 개폐댐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119B1 (ko) * 2015-05-20 2015-10-13 주식회사 에스엠지 자동 역류 환기장치
KR20160144071A (ko) 2015-06-08 2016-12-16 이주호 토출 작동 중 역방향 유입이 방지되는 팬 보조장치
KR20170027763A (ko) 2017-03-02 2017-03-10 이주호 토출 작동 중 역방향 유입이 방지되는 팬 보조장치
KR102016911B1 (ko) 2018-04-05 2019-09-02 (주)그렉스 환기팬 커버의 개폐 구조
KR101925401B1 (ko) * 2018-05-16 2018-12-05 주식회사 에스엠지 자동 환기 역류 방지장치
KR20200108769A (ko) * 2019-03-11 2020-09-21 김수완 환풍기 역류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풍기.
KR102262420B1 (ko) 2019-03-11 2021-06-08 김수완 환풍기 역류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풍기
KR20210097091A (ko) 2019-11-25 2021-08-06 김수완 환풍기 역류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풍기.
KR20240000729U (ko) 2022-10-27 2024-05-07 주식회사 건강증진싱크탱크 담배연기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환기 조절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928Y1 (ko) 환기 역류 방지장치
KR102218578B1 (ko) 공동주택 욕실용 역류방지 환풍시스템
KR101990355B1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JP2007292328A (ja) 空気調和装置
KR101317441B1 (ko) 환기용 댐퍼
WO2014009688A2 (en) A passive ventilation and/or humidity control unit
KR20180081777A (ko) 에어컨 실내기
KR102000499B1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KR101195061B1 (ko) 캠 구동 개폐식 전동댐퍼
KR101307812B1 (ko) 밀폐성과 내구성이 개선된 전동 댐퍼용 회전 날개판
KR101188851B1 (ko) 환풍기용 역류 방지 댐퍼
KR20230002178U (ko) 송풍 기구 및 제습기
CN203082966U (zh) 一种辅助阀片快速开启的油烟机的出风罩
CN210980249U (zh) 一种切换阀及厨房新风系统
KR101960534B1 (ko) 에어타이트 역풍방지댐퍼
KR20130054624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수 역류방지장치
CN204961402U (zh) 蜗壳及具有其的涡流风机、空调器
TWM609401U (zh) 排風結構
KR20120076996A (ko) 수직입상 환기덕트에 연결되는 배기관상의 댐퍼구조
US1052450A (en) Ventilating system for buildings.
KR102027134B1 (ko) 역류 방지 댐퍼
CN216876171U (zh) 吸尘器的水箱和吸尘器
KR20160006968A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20170057015A (ko)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KR102203883B1 (ko) 환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