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015A -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 Google Patents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015A
KR20170057015A KR1020150160594A KR20150160594A KR20170057015A KR 20170057015 A KR20170057015 A KR 20170057015A KR 1020150160594 A KR1020150160594 A KR 1020150160594A KR 20150160594 A KR20150160594 A KR 20150160594A KR 20170057015 A KR20170057015 A KR 20170057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amper
damper main
duct
venti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연
최재혁
박찬진
노지원
김동비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0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7015A/ko
Publication of KR2017005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풍기가 작동될 때에는 풍압에 의해 유로가 개방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환풍기가 작동이 중단될 때에는 자동으로 유로가 폐쇄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ventilation damper for preventing from stench of ventilation shaft in building}
본 발명은 환기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풍기가 작동될 때에는 풍압에 의해 유로가 개방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환풍기가 작동이 중단될 때에는 자동으로 유로가 폐쇄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 댐퍼는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한편, 공동 주택의 환기 시스템은 세대별 배기관을 통해 오염된 공기를 취합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동 주택의 환기 시스템은 세대별 배기관이 서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압력차, 온도차 등에 의해 오염된 공기가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의 유입은 방지하고,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역류 방지 댐퍼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배기 댐퍼(한국 등록특허, 10-1270450호)를 보여주는 것으로, 배기덕트(11), 회전축(12), 상기 회전축(12)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덕트(11)의 유로(11a)를 개폐하는 개폐판(13) 및 구동모터(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모터(14)가 상기 회전축(12)을 회전시켜, 거실, 주방, 욕실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킨다.
또한, 종래의 자동 배기 댐퍼(10)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구동모터(14)에 의해 회전되는 개폐판(13)이 상기 유로(11a)를 폐쇄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한다.
하지만, 종래의 자동 배기 댐퍼(10)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통해서 유로가 개폐되는 구조이므로, 전력의 낭비가 발생되고, 제품의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는 종래의 다른 배기 댐퍼(2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배기 댐퍼(20)는 배기덕트(21), 회전축(22), 상기 회전축(22)에 의해 회전되어 개폐되는 개폐판(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부의 오염된 공기의 유입은 차단하고,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배출시킨다.
하지만, 종래의 대기 댐퍼(20)는 상기 개폐판(23)은 상기 덕트(21)를 완벽히 밀폐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상기 개폐판(23)과 상기 덕트(21) 사이의 틈(20a)에 의해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지 않고, 환풍기의 작동에 의한 풍압으로 유로가 개방되게 하고, 환풍기의 작동이 중단될 때에는 자동으로 유로가 폐쇄되게 함으로써, 제품의 단가, 전력 낭비를 절감할 수 있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풍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유로를 완벽히 차단하여, 역류의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가 개방된 기둥형상으로, 환풍기와 연결된 덕트의 내측에 구비되고, 폭은 상기 덕트의 폭보다 작으며, 측면에는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는 댐퍼 본체; 상기 댐퍼 본체의 내측 단면과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에 끼워지고, 상기 댐퍼 본체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댐퍼 막; 상기 덕트의 내면과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 사이를 씰링하고, 상기 댐퍼 본체가 상기 덕트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게 하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환풍기가 작동할 때에는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상기 댐퍼 막이 상승이동하고, 내부공간의 공기가 상기 댐퍼 본체의 측면을 통해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댐퍼 막이 중력에 의해 하강이동되어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를 폐쇄하여, 상기 외부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걸림턱이구비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댐퍼 막이 상기 댐퍼 본체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는 기둥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는 메쉬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댐퍼막은 원판 형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링 형상이고, 상기 패킹의 구멍 직경이 상기 댐퍼 본체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되고, 상기 댐퍼 본체는 상기 패킹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를 통해 내부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공간으로 배출하는 환풍기; 하부가 개방된 기둥형상으로, 상기 덕트의 내측에 구비되고, 폭은 상기 덕트의 폭보다 작으며, 측면에는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는 댐퍼 본체; 상기 댐퍼 본체의 내측 단면과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에 끼워지고, 상기 댐퍼 본체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댐퍼 막; 상기 덕트의 내면과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 사이를 씰링하고, 상기 댐퍼 본체가 상기 덕트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게 하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환풍기가 작동할 때에는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상기 댐퍼 막이 상승이동하고, 내부공간의 공기가 상기 댐퍼 본체의 측면을 통해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가 구비된 환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에 의하면, 환풍기의 작동에 의한 풍압으로 댐퍼막이 승강하여 유로가 개방되게 하고, 환풍기의 작동이 중단될 때에는 자중에 의해 댐퍼막이 하강하여 유로가 폐쇄되게 함으로써, 유로를 개폐하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제조비용, 전력 낭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의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에 의하면, 환풍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유로가 댐퍼막에 의해 완벽히 차단되게 함으로써, 역류의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배기 댐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배기 댐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100)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100)는 환풍기의 작동에 의해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댐퍼 본체(110), 댐퍼 막(120) 및 패킹(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 본체(110)는 하부(111)가 개방된 기둥형상으로, 환풍기와 연결된 덕트(a)의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이다.
또한, 상기 댐퍼 본체(100)의 폭은 상기 덕트(a)의 폭보다 작으며, 측면에는 환풍기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댐퍼 본체(100)는 기둥형상의 프레임(112)과 상기 프레임(112)의 외측면을 감싸는 메쉬망(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메쉬망(113)을 통해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댐퍼 막(120)은 상기 댐퍼 본체(110)의 내측 단면과 대응되는 판 형상의 막이다.
또한, 상기 댐퍼 막(120)은 상기 댐퍼 본체(110)의 내부에 끼워져, 상기 댐퍼 본체(110)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댐퍼 막(120)은 상기 댐퍼 본체의 외부(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댐퍼 본체(110)의 하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댐퍼 막(120)이 상기 댐퍼 본체(110)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패킹(130)은 상기 댐퍼 본체(110)가 상기 덕트(a)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게 하는 수단으로, 상기 덕트(a)의 내면과 상기 댐퍼 본체(110)의 하부 사이를 씰링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100)는 상기 댐퍼 본체(110)가 원통 형상이고, 상기 댐퍼 막(120)은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130)은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덕트(a)가 원통 형상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1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패킹(130)의 구멍(131) 직경은 상기 댐퍼 본체(110)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댐퍼 본체(110)는 상기 패킹(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댐퍼 막(120)이 상기 패킹(130)의 상부에 걸려, 상기 댐퍼 본체(110)의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에는, 상기 패킹(130)이 상기 걸림턱의 기능을 함께하므로, 상기 댐퍼 본체(110)에는 상기 걸림턱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풍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댐퍼 막(120)이 상기 패킹(130)의 상부에 밀착되는 구조이므로, 외부공간의 공기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역류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100)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 5를 참조하여, 작동 원리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100)는 상기 환풍기(21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환풍기에 의해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상기 댐퍼막(120)이 상승하게 된다.
동시에, 내부 공간(S1)의 공기는 상기 댐퍼 본체(110)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측면을 통해 외부 공간(S2)으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환풍기(210)의 작동이 멈추게 되면, 풍압이 제거되고, 상기 댐퍼 막(120)은 자중에 의해 하강 이동되어, 상기 댐퍼 본체(110)의 하부를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공간(S2)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는 공동 주택 등의 환기 시스템에서, 다른 세대의 오염된 공기가 압력차, 온도차 등에 의해 역류되는 것을 차단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100)는 별도의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유로를 개폐시키는 구조가 아니고, 환풍기의 작동에 의한 풍압으로 유로를 개폐시킴으로써, 제품의 제조비용, 전력 낭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역류의 차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상기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100)는 상기 덕트를 통해 내부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공간으로 배출하는 환풍기(210)와 함께 하나의 환기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a : 덕트 S1 : 내부 공간
S2 : 외부 공간
100 :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110 : 댐퍼 본체 111 : 댐퍼 본체의 하부
112 : 프레임 113 : 메쉬망
120 : 댐퍼 막 130 : 패킹
210 : 환풍기

Claims (12)

  1. 하부가 개방된 기둥형상으로, 환풍기와 연결된 덕트의 내측에 구비되고, 폭은 상기 덕트의 폭보다 작으며, 측면에는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는 댐퍼 본체;
    상기 댐퍼 본체의 내측 단면과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에 끼워지고, 상기 댐퍼 본체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댐퍼 막;
    상기 덕트의 내면과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 사이를 씰링하고, 상기 댐퍼 본체가 상기 덕트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게 하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환풍기가 작동할 때에는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상기 댐퍼 막이 상승이동하고, 내부공간의 공기가 상기 댐퍼 본체의 측면을 통해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댐퍼 막이 중력에 의해 하강이동되어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를 폐쇄하여, 상기 외부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걸림턱이구비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댐퍼 막이 상기 댐퍼 본체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는
    기둥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는 메쉬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댐퍼막은 원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링 형상이고,
    상기 패킹의 구멍 직경이 상기 댐퍼 본체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되고, 상기 댐퍼 본체는 상기 패킹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7. 덕트를 통해 내부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공간으로 배출하는 환풍기;
    하부가 개방된 기둥형상으로, 상기 덕트의 내측에 구비되고, 폭은 상기 덕트의 폭보다 작으며, 측면에는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는 댐퍼 본체;
    상기 댐퍼 본체의 내측 단면과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에 끼워지고, 상기 댐퍼 본체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댐퍼 막;
    상기 덕트의 내면과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 사이를 씰링하고, 상기 댐퍼 본체가 상기 덕트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게 하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환풍기가 작동할 때에는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상기 댐퍼 막이 상승이동하고, 내부공간의 공기가 상기 댐퍼 본체의 측면을 통해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가 구비된 환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댐퍼 막이 중력에 의해 하강이동되어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를 폐쇄하여, 상기 외부공간의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가 구비된 환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의 하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걸림턱이구비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댐퍼 막이 상기 댐퍼 본체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가 구비된 환기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는
    기둥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는 메쉬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가 구비된 환기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댐퍼막은 원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가 구비된 환기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링 형상이고,
    상기 패킹의 구멍 직경이 상기 댐퍼 본체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되고, 상기 댐퍼 본체는 상기 패킹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가 구비된 환기 장치.
KR1020150160594A 2015-11-16 2015-11-16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KR20170057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594A KR20170057015A (ko) 2015-11-16 2015-11-16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594A KR20170057015A (ko) 2015-11-16 2015-11-16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015A true KR20170057015A (ko) 2017-05-24

Family

ID=59051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594A KR20170057015A (ko) 2015-11-16 2015-11-16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70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4506A1 (zh) * 2018-03-30 2019-10-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4506A1 (zh) * 2018-03-30 2019-10-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451B1 (ko) 고밀착형 날개판을 갖는 역풍 방지 댐퍼
KR102218578B1 (ko) 공동주택 욕실용 역류방지 환풍시스템
KR200469928Y1 (ko) 환기 역류 방지장치
KR101990355B1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JP2007224529A (ja) 排水弁
US20140090160A1 (en) Odor Removing Toilet
US8984676B2 (en) Toilet with an odor eliminating function
KR20170057015A (ko) 층간 악취 방지용 환기 댐퍼
TWI751117B (zh) 閥裝置及管道系統
KR101275592B1 (ko) 하수구 밸브 장치
KR200397986Y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공기조절댐퍼장치
KR200485101Y1 (ko) 댐퍼일체형 송풍기
KR100893073B1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KR101559119B1 (ko) 자동 역류 환기장치
JP5706659B2 (ja) 排水管路における掃除口用蓋
JP2005127120A (ja) 自然換気装置
JP3218042U (ja) 換気装置
KR102108996B1 (ko) 환기시스템
TWM609401U (zh) 排風結構
CN207919720U (zh) 一种浮力密封式防臭地漏
KR101143416B1 (ko)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KR200388637Y1 (ko) 역류방지담파
KR100867305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KR200477301Y1 (ko) 환기설비용 냄새역류방지장치
KR102211956B1 (ko) 욕실 및 주방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