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289A - 기판 간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기판 간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289A
KR20180036289A KR1020160126684A KR20160126684A KR20180036289A KR 20180036289 A KR20180036289 A KR 20180036289A KR 1020160126684 A KR1020160126684 A KR 1020160126684A KR 20160126684 A KR20160126684 A KR 20160126684A KR 20180036289 A KR20180036289 A KR 20180036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itting
contact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고바야시
요시유키 오구라
가츠마사 사토
고지 구니요시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60126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6289A/ko
Publication of KR2018003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와 접속 대상물의 삽발(揷拔) 방향에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기판 간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플러그 커넥터(3)와 소켓 커넥터(5)의 사이에, 제 1 기판(2)과 제 2 기판(4)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기판 간 거리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휘어 소켓 커넥터(5)의 가동 하우징(8)의 맞닿음부(8e1)가 제 1 기판(2)에 의해 밀어 넣어짐으로써, 플러그 커넥터(3)와의 끼워맞춤 위치가 깊어지는 끼워맞춤 간극(S2)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제 1 기판(2)과 제 2 기판(4)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기판 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휘어도, 휜 만큼만 플러그 커넥터(3)와 소켓 커넥터(5)의 끼워맞춤 위치가 깊어지고, 제 1 기판(2)과 제 2 기판(4)의 휨에 의해서 플러그 커넥터(3)와 소켓 커넥터(5)에 걸리는 부하를 놓아 줄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 간 접속구조{SUBSTRATE INTER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기판과 접속 대상물을 도통(道通) 접촉시키는 커넥터와, 이러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기판 간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판과 도통 접속하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끼워 맞추는 접속 대상물을 구비하는 커넥터 중에는, 진동에 대응하기 위해, 단자가 가동부를 갖는 것이 있다. 이 가동부는 기판에 고정되는 기판 접속부와 접속 대상물의 접점부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진동이 생겼을 때에 이 가동부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진동을 흡수하여, 접점부와 접속 대상물과의 도통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예로서 특허문헌 1).
이러한 커넥터에서는, 커넥터와 접속 대상물의 삽발(揷拔) 방향(이하, 끼워맞춤 방향 및 발거(拔去) 방향으로도 기재한다)에 대한 교차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는 가동부도 같은 방향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그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삽발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는, 가동부가 삽발 방향으로는 탄성 변형하지 않고 커넥터의 단자와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발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그 진동을 흡수하여 도통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본국 실개평 7-32878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에서는, 삽발 방향의 진동이 반복하여 가해짐으로써 단자끼리의 슬라이딩 부분에 마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특히, 단자의 표면에는 도전성을 높이기 위해 도금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접속 대상물과의 슬라이딩에 의해 도금이 벗겨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사태는 커넥터와 접속 대상물과의 접속 신뢰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이 본 발명이며, 그 목적은, 커넥터와 접속 대상물의 삽발 방향을 따르는 진동이 생기는 경우라도 접속 신뢰성을 저하시키기 어려운 커넥터 및 그와 같은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판 간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대향 배치되어 있고, 제 1 기판에 고정하는 커넥터와 제 2 기판에 고정하는 접속 대상물을 도통 접속하는 기판 간 접속구조에 대하여,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속 대상물과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제 1 기판에 고정하는 기판측 하우징과,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끼워 맞춘 상기 접속 대상물과 도통 접촉하는 제 1 접촉부와,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기판측 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가동편을 갖는 제 1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상기 접속 대상물과의 끼워맞춤 방향 및 발거 방향에서 휘면, 제 1 접촉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에 대한 접촉 상태를 유지한 채로, 가동편이 제 1 기판과 연동하는 기판측 하우징의 변위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판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커넥터의 제 1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을 도통 접촉시킬 수 있다. 또, 이 상태에서 제 1 기판이나 제 2 기판이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향 및 발거 방향에서 진동하면, 기판측 하우징도 진동에 연동하여 변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판 간 접속구조는 상기와 같은 가동편을 구비하기 때문에, 가동편이 상기와 같이 기판측 하우징을 변위 가능한 상태로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그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끼워맞춤측 하우징이 제 1 기판에 대한 맞닿음부를 갖고,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접속 대상물 중 어느 한쪽에,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기판 간 거리가 짧아지도록 휘어서 끼워맞춤측 하우징의 맞닿음부가 제 1 기판에 의해 상대적으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상기 어느 다른쪽과의 끼워맞춤 위치가 깊어지는 끼워맞춤 간극을 갖는다. 또, 상기 본 발명은, 끼워맞춤측 하우징이 기판측 하우징에 대한 맞닿음부를 갖고,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접속 대상물 중 어느 한쪽에,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기판 간 거리가 짧아지도록 휘어서 끼워맞춤측 하우징의 맞닿음부가 기판측 하우징에 의해 상대적으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상기 어느 다른쪽과의 끼워맞춤 위치가 깊어지는 끼워맞춤 간극을 갖는다.
이러한 끼워맞춤 간극을 설치함으로써,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기판 간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휘어도,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접속 대상물의 끼워맞춤 위치가 휜 만큼만 깊어짐으로써, 기판의 휨에 의해 끼워맞춤측 하우징이나 접속 대상물에 걸리는 부하를 놓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끼워맞춤 방향 및 발거 방향의 진동이 생겨도, 접점부가 마모하는 일 없이 도통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로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기판 간 접속구조로 함으로써, 기판 간의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소켓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소켓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소켓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소켓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소켓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플러그 단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플러그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분도(分圖)(a)는 정면도, 분도(b)는 배면도, 분도(c)는 우측면도, 분도(d)는 평면도, 분도(e)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6의 소켓 단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소켓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분도(a)는 정면도, 분도(b)는 배면도, 분도(c)는 우측면도, 분도(d)는 평면도, 분도(e)는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와 도 6의 소켓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와 도 6의 소켓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와 도 6의 소켓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부터 끼워맞춤 상사점(上死點) 상태까지를 나타내는 상태를 나타내고, 분도(a)는 끼워맞춤전, 분도(b)는 초기 끼워맞춤 상태, 분도(c)는 끼워맞춤 하사점(下死點) 상태, 분도(d)는 끼워맞춤 상태, 분도(e)는 끼워맞춤 상사점 상태, 분도(f)는 끼워맞춤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와 도 6의 소켓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와 도 6의 소켓 커넥터의 초기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진동 하사점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와 도 6의 소켓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진동 상사점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서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 공통되는 사용 방법, 작용 효과 등에 대해서도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는, 「커넥터」로서의 전기 커넥터(1, 21, 41)의 폭 방향(긴쪽 방향)을 X 방향, 전후 방향(짧은쪽 방향)을 Y 방향, 높이 방향(상하 방향)을 Z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1, 21, 41)의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제 1 기판(2)의 측을 「하측」으로 하고, 제 2 기판(4)의 측을 「상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에 의해 전기 커넥터(1, 21, 41)의 기판(2, 4)에의 실장 방법이나 사용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기 커넥터(1)는, 도 1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2)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3)와, 제 2 기판(4)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 또는 「접속 대상물」로서의 소켓 커넥터(5)를 구비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3)와 소켓 커넥터(5)가 서로 끼워 맞춰짐으로써, 제 1 기판(2)과 제 2 기판(4)이 도통 접속한다.
[플러그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3)는, 도 1∼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6)과, 「제 1 단자」로서의 플러그 단자(11)를 구비한다. 또 플러그 커넥터(3)는 표면 실장 타입의 커넥터이고, 제 1 기판(2)의 기판면에 표면 실장됨으로써, 제 1 기판(2)과 도통 접촉한다.
[플러그 하우징]
플러그 하우징(6)은, 절연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기판측 하우징」으로서의 고정 하우징(7)과, 「끼워맞춤측 하우징」으로서의 가동 하우징(8)을 구비하는 플로팅 커넥터이다.
고정 하우징(7)은, 천면(天面) 및 저면(底面)이 개구하는 각통(角筒)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 고정 하우징(7)은, 폭 방향(X)을 따르는 전면(前面)부(7a) 및 배면부(7b)와, 전후 방향(Y)을 따르는 측면부(7c)를 갖는다. 또 고정 하우징(7)은, 전면부(7a)와, 배면부(7b)와, 측면부(7c, 7c)에 의해 둘러싸이는 가동 공간부(7d)를 구비한다.
전면부(7a)와 배면부(7b)는, 가동 공간부(7d)에 면하는 측의 판면에, 플러그 단자(11)를 고정하는 단자 수용구멍(7a1, 7b1)을 갖는다. 단자 수용구멍(7a1, 7b1)은 폭 방향(X)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병렬로 설치된다. 또, 전면부(7a)와 배면부(7b)의 폭 방향(X)에 있어서의 양단측에는 플러그 커넥터(3)를 제 1 기판(2)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구(7e)가 설치된다.
가동 하우징(8)은, 상면이 개구하는 상자형(型)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면부(8a)와, 배면부(8b)와, 측면부(8c, 8c)와, 저면부(8e)를 갖는다. 또 가동 하우징(8)은 저면부(8e)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끼워맞춤 벽부(8f)를 가지고 있다. 가동 하우징(8)의 끼워맞춤 벽부(8f)와, 후술의 플러그 단자(11)의 플러그 접촉부(11e)는 소켓 하우징(9)의 수입구(受入口)(9d1)에 삽입되는 끼워맞춤부(3A)를 형성한다. 또한, 저면부(8e)는 제 1 기판(2)에 맞닿는 맞닿음부(8e1)를 갖는다.
끼워맞춤 벽부(8f)는, X-Z 평면을 따르는 평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8a)와 대향하는 판면과, 배면부(8b)와 대향하는 판면을 갖는다. 각 판면에는 후술하는 플러그 단자(11)의 플러그 접촉부(11e)를 수용하는 단자 홈(8f2)을 갖는다. 또, 가동 하우징(8)은 소켓 커넥터(5)가 삽입되는 끼워맞춤실(室)(8d)을 가지고 있고, 끼워맞춤실(8d)은 전면부(8a)와, 배면부(8b)와, 측면부(8c, 8c)와, 저면부(8e)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서 형성된다. 플러그 단자(11)와 후술의 소켓 단자(10)는 이 끼워맞춤실(8d)에서 도통 접촉한다.
[플러그 단자]
플러그 단자(11)는 도전성 금속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또, 플러그 단자(11)는 도 11,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접속부(11a)와, 고정부(11b)와, 「가동편」으로서의 가동부(11c)와, 가동 하우징(8)에 고정되는 기단부(11d)와, 「제 1 접촉부」로서의 플러그 접촉부(11e)를 갖는다. 플러그 단자(11)는 끼워맞춤 벽부(8f)를 개재하여 대향하는 단자 쌍을 형성한다.
기판 접속부(11a)는, 플러그 단자(11)의 단부(端部)에 설치되고, 제 1 기판(2)의 판면을 따르는 판상편(板狀片)으로서 형성된다. 이 기판 접속부(11a)가 제 1 기판(2)에 대하여 납땜됨으로써 플러그 단자(11)가 제 1 기판(2)에 고정된다.
고정부(11b)는, 기판 접속부(11a)에 연결되고, 높이 방향(Z)을 따라서 설치된다. 또, 폭 방향(X)을 따르는 양단측에는, 각각 압입(壓入) 돌기(11b1)가 복수 설치된다. 이 고정부(11b)가, 도 1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7)의 단자 수용구멍(7a1, 7b1)에 압입되어, 압입 돌기(11b1)가 단자 수용구멍(7a1, 7b1)의 내벽(도시 생략)으로 물려 들어감으로써 플러그 단자(11)가 고정 하우징(7)에 대하여 고정된다.
가동부(11c)는, 판면 방향에서 절곡되는 복수의 굴곡부를 갖기 때문에, 예를 들면 판 가장자리 방향에서 굴곡하는 굴곡부를 갖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굴곡하는 방향이나 역으로 신장(伸長)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다. 또, 가동부(11c)는, 플러그 하우징(6)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하중을 받음으로써 용이하게 탄성 변형할 수 있다. 가동부(11c)는 가동 하우징(8)에 대한 소켓 커넥터(5)의 끼워맞춤 방향 및 발거 방향에서, 가동 하우징(8)과 고정 하우징(7)을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고정 하우징(7)을 가동 하우징(8)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동부(11c)는, 고정부(11b)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제 1 신장부(11c1)와, 제 1 신장부(11c1)의 상단에 연결되어 대략 역U자상으로 되돌아오는 제 1 굴곡부(11c2)와, 제 1 굴곡부(11c2)에 연결되어 하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제 2 신장부(11c3)와, 제 2 신장부(11c3)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 2 굴곡부(11c4)와, 제 2 굴곡부(11c4)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Y)을 따라서 신장하는 제 3 신장부(11c5)와, 제 3 신장부(11c5)에 연결되어 상측을 향하여 굴곡하는 제 3 굴곡부(11c6)를 갖는다.
제 1 신장부(11c1)는 고정부(11b)의 상단으로부터 신장하는 세편상(細片狀)으로 형성된다. 또, 제 1 신장부(11c1)는, 고정부(11b)로부터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상측, 또한 전후 방향(Y)에 있어서 플러그 접촉부(11e)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신장한다. 따라서, 고정 하우징(7)의 전면부(7a)의 측에 고정되는 플러그 단자(11)에서는, 제 1 신장부(11c1)와 전면부(7a)의 사이에 가동 간극(7f)이 형성된다. 또, 고정 하우징(7)의 배면부(7b)의 측에 고정되는 플러그 단자(11)에서는, 제 1 신장부(11c1)와 배면부(7b)의 사이에 가동 간극(7f)이 형성된다. 제 1 신장부(11c1)는, 이 가동 간극(7f)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Y)이나 높이 방향(Z)을 따라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제 1 굴곡부(11c2)는, 제 1 신장부(11c1)의 상단에 연결되고, 판면 방향에서 대략 U자상으로 되돌아오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 제 1 굴곡부(11c2)는, 제 1 신장부(11c1)보다도 판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강성이 높아져 있다.
제 2 신장부(11c3)는, 제 1 굴곡부(11c2)에 있어서 제 1 신장부(11c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연결되고,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하측을 향하여 신장한다. 이 제 2 신장부(11c3)는 전후 방향(Y)이나 높이 방향(Z)을 따라서 탄성 변위할 수 있다.
제 2 굴곡부(11c4)는, 제 2 신장부(11c3)의 하단에 연결되어, 제 2 신장부(11c3)와 제 3 신장부(11c5)를 연결한다. 그리고, 판면 방향에서 대략 직각으로 굴곡한다.
제 3 신장부(11c5)는, 제 2 굴곡부(11c4)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Y)을 따라서 신장하는 세편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제 3 신장부(11c5)는 높이 방향(Z)이나 전후 방향(Y)을 따라서 탄성 변위할 수 있다. 또, 굴곡부(11c2, 11c4, 11c6) 등이 더욱 굴곡하는 방향이나 신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제 3 신장부(11c5)가, 예를 들면 제 2 굴곡부(11c4)의 측보다도 제 3 굴곡부(11c6)의 측에서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상측을 향하여 변위하여, 경사짐으로써, 후술의 플러그 접촉부(11e)를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상측을 향하여 탄성 변위시킬 수 있다(도 22). 또 반대로, 제 3 신장부(11c5)가, 예를 들면 제 2 굴곡부(11c4)의 측보다도 제 3 굴곡부(11c6)의 측에서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하측을 향하여 변위하여, 경사짐으로써, 후술의 플러그 접촉부(11e)를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하측을 향하여 탄성 변위시킬 수 있다(도 20).
제 3 굴곡부(11c6)는, 제 3 신장부(11c5)에 연결되고, 제 3 신장부(11c5)와 기단부(11d)를 연결한다. 또, 제 3 굴곡부(11c6)는 판면 방향에서 대략 직각으로 굴곡한다.
기단부(11d)는, 가동부(11c)에 연결되고, 높이 방향(Z)을 따라서 설치된다. 또, 폭 방향(X)에 있어서의 양단측에는, 각각 압입 돌기(11d1)가 복수 설치된다. 이 압입 돌기(11d1)가, 도 1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8)의 단자 홈(8f2)에 압입되어, 압입 돌기(11d1)가 상기 단자 홈(8f2)의 내벽(도시 생략)으로 물려 들어감으로써 플러그 단자(11)가 가동 하우징(8)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플러그 접촉부(11e)는, 기단부(11d)에 연결되고, 끼워맞춤 벽부(8f)를 따르게 하여 상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판상편으로서 설치된다. 플러그 접촉부(11e)의 일면은, 플러그 단자(11)를 고정 하우징(7)에 고정한 상태에서, 끼워맞춤 공간에 노출되는 접촉면(11e1)이 된다. 이 접촉면(11e1)이 소켓 단자(10)와 도통 접촉한다.
[소켓 커넥터]
소켓 커넥터(5)는, 소켓 하우징(9)과, 「제 2 단자」로서의 소켓 단자(10)를 구비한다. 또, 소켓 커넥터(5)는, DIP(Dual In-line Package) 타입의 커넥터이고, 제 2 기판(4)에 설치되는 스루홀(4a)에 소켓 단자(10)의 핀상(狀)의 기판 접속부(10a)가 삽입되어 납땜됨으로써 소켓 단자(10)가 제 2 기판(4)에 대하여 고정된다.
[소켓 하우징]
소켓 하우징(9)은 절연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도 6∼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면부(9d)에 개구하는 중공(中空)의 상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 소켓 하우징(9)은, 전면부(9a), 배면부(9b), 측면부(9c, 9c)를 갖고, 이 양측면부(9c, 9c)의 상부(도 6∼도 10에 있어서의 하부)에는 제 2 기판(4)에 납땜되는 부착구(9f)가 설치된다.
또 소켓 하우징(9)은, 전면부(9a)와, 배면부(9b)와, 측면부(9c, 9c)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끼워맞춤실(9e)과, 끼워맞춤실(9e)에 연이어 통하고, 천면부(9d)에 개구하는 수입구(9d1)를 갖는다. 수입구(9d1)는, 플러그 하우징(6)의 끼워맞춤 벽부(8f)와, 플러그 단자(11)의 플러그 접촉부(11e)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부(3A)를 받아 들인다. 이에 따라, 소켓 커넥터(5)와 플러그 커넥터(3)가 끼워 맞춰진다.
전면부(9a)와, 배면부(9b)에 있어서 끼워맞춤실(9e)에 대향하는 내벽(9g)에는 소켓 단자(10)가 수용되는 단자 수용구멍(9g1)이 설치된다. 단자 수용구멍(9g1)은 폭 방향(X)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복수 병렬로 설치된다.
[소켓 단자]
소켓 단자(10)는,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하여 형성한 펀칭 단자이다. 또, 소켓 단자(10)는, 도 13, 도 1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접속부(10a)와, 기단부(10b)와, 「제 2 접촉부」로서의 소켓 접촉부(10c)를 갖는다. 소켓 단자(10)는 끼워맞춤실(9e)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단자 쌍을 형성한다.
기판 접속부(10a)는, 높이 방향(Z)을 따라서 신장하는 핀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기판(4)에 설치되는 스루홀(4a)에 삽입되어 납땜됨으로써, 소켓 단자(10)가 제 2 기판(4)과 도통 접촉한다.
기단부(10b)는, 기판 접속부(10a)의 하단(도 6∼도 10에 있어서의 상단)에 연결되고, X-Z 평면을 따르는 판면을 갖는 평판상으로 형성된다. 또, 기단부(10b)의 폭 방향(X)에 있어서의 양단측에는, 폭 방향(X)을 따라서 돌출하는 압입 돌기(10b1)가 각각 복수 설치된다. 기단부(10b)가 소켓 하우징(9)의 내벽(9g)에 설치되는 단자 수용구멍(9g1)에 압입되고, 압입 돌기(10b1)가 내벽(도시 생략)에 대하여 물려 들어감으로써, 소켓 단자(10)가 소켓 하우징(9)에 대하여 고정된다.
소켓 접촉부(10c)는, 리어 단자(12)와 프런트 단자(13)를 갖는다.
리어 단자(12)는, 도 13, 도 1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11)와 도통 접촉하는 리어 접점부(12a)와, 리어 접점부(12a)를 탄성 지지하는 리어 스프링부(12b)를 갖는다.
리어 스프링부(12b)는, 기단부(10b)의 하단(도 6∼도 10,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상단)으로서 폭 방향(X)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연결되는 세편상으로 형성된다. 또, 리어 스프링부(12b)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3)의 플러그 단자(11)와의 접촉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아래쪽(도 6∼도 10,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위쪽)을 향하여 신장한다. 선단측이 판 두께 방향으로 절곡되어 플러그 단자(11)와의 접촉 방향을 향하여 산형상으로 굴곡하고, 그 굴곡 부분이 리어 접점부(12a)로서 플러그 단자(11)와 도통 접촉한다. 또, 리어 스프링부(12b)의 기단측은 선단측과 비교하여 판 폭 방향에서 넓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어 스프링부(12b)의 기단측의 강성이 높아져 있어, 리어 접점부(12a)가 플러그 단자(11)의 접촉면(11e1)에 의해 압압(押壓)되었을 때에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소성변형이 생기는 것이나, 리어 접점부(12a)가 기단측에서 파손이나 손상을 입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리어 스프링부(12b)를 선단측을 향하여 판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스프링으로서 형성함으로써, 전체 길이에 걸쳐 부드럽게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리어 접점부(12a)보다도 선단측에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3)의 플러그 단자(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는 선단 경사부(12c)가 형성된다. 플러그 단자(11)의 접촉면(11e1)은 플러그 커넥터(3)와 소켓 커넥터(5)가 끼워맞춰질 때에 선단 경사부(12c)로 슬라이딩하면서 리어 접점부(12a)를 접촉면(11e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변위시킨다.
프런트 단자(13)는, 도 13, 도 1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11)와 도통 접촉하는 프런트 접점부(13a)와, 프런트 접점부(13a)를 탄성 지지하는 프런트 스프링부(13b)를 갖는다. 프런트 접점부(13a)는 리어 접점부(12a)와 폭 방향(X)에 있어서의 동일 위치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과 같이 프런트 접점부(13a)가 플러그 단자(11)의 접촉면(11e1)을 와이핑하여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프런트 스프링부(13b)는, 양갈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기단부(10b)의 하단(도 6∼도 10에 있어서의 상단)으로서 폭 방향(X)에 있어서 리어 스프링부(12b)의 양측에 연결되는, 세편상으로 형성되는 2개의 프런트 각부(脚部)(13b1, 13b1)를 갖는다.
각 프런트 각부(13b1)는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에 걸쳐, 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3)의 플러그 단자(11)와의 접촉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아래쪽(도 6∼도 10에 있어서의 위쪽)을 향하여 신장한다. 프런트 각부(13b1, 13b1)는 리어 스프링부(12b)의 양측에서, 리어 스프링부(12b)와 평행하게 신장하지만, 그 선단측으로서, 리어 단자(12)의 선단 경사부(12c)의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하측(도 6∼도 10, 도 13, 도 14에 있어서의 상측)에서 2개의 프런트 각부(13b1)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하고, 2개의 프런트 각부(13b1, 13b1)가 연결되어 일체가 된다. 또한 그곳으로부터 선단측은,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3)의 플러그 단자(11)의 접촉면(11e1)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산형상으로 굴곡하고, 그 굴곡 부분이 프런트 접점부(13a)로서 플러그 단자(11)와 도통 접촉한다. 또, 프런트 접점부(13a)의 더욱 선단측에는 선단 경사부(13c)가 형성된다. 플러그 단자(11)의 접촉면(11e1)은 플러그 커넥터(3)와 소켓 커넥터(5)가 끼워맞춰질 때에 선단 경사부(13c)로 슬라이딩하면서 프런트 접점부(13a)를 접촉면(11e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변위시킨다.
프런트 각부(13b1)와 리어 스프링부(12b)의 사이에는, 공간부(10d)가 형성되어 있고, 프런트 각부(13b1)와 리어 스프링부(12b)는 서로 독립하여 탄성 변형한다. 또, 플러그 커넥터(3)와 소켓 커넥터(5)의 끼워맞춤 상태와 비(非)끼워맞춤 상태의 어느 쪽에서도, 프런트 단자(13)는 리어 단자(12)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리어 스프링부(12b)는 2개의 프런트 각부(13b1)에 의해 사이에 끼인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고, 폭 방향(X)의 변형이 프런트 각부(13b1)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리어 단자(12)가 의도하지 않게 폭 방향(X)으로 과도하게 변형한다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프런트 스프링부(13b)는 폭 방향(X)을 따라 2개의 프런트 각부(13b1)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폭 방향(X)에서 변형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프런트 단자(13)의 접압(接壓)과 리어 단자(12)의 접압은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프런트 단자(13)의 접압은 리어 단자(12)의 접압보다도 약간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3)와 소켓 커넥터(5)의 끼워맞춤시에 약한 힘으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프런트 단자(13)의 프런트 접점부(13a)가 리어 단자(12)의 리어 접점부(12a)보다도 플러그 단자(11)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어, 프런트 접점부(13a)를 확실하게 플러그 단자(11)의 접촉면(11e1)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이물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프런트 접점부(13a)의 폭과 리어 접점부(12a)의 폭은 목적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프런트 접점부(13a)의 폭과 리어 접점부(12a)의 폭을 대략 동폭(同幅)으로 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3)와의 끼워맞춤 시에, 프런트 접점부(13a)가 통과한 뒤를 리어 접점부(12a)가 통과하기 때문에, 폭이 동등하면, 프런트 접점부(13a)가 통과하여 와이핑한 후에 리어 접점부(12a)를 과부족 없이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프런트 접점부(13a)가 플러그 단자(11)와 접촉하는 위치와 리어 접점부(12a)가 플러그 단자(11)와 접촉하는 위치와의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한편, 프런트 접점부(13a)의 폭을 리어 접점부(12a)의 폭보다도 폭 넓게 할 수 있다. 프런트 접점부(13a)를 폭 넓게 함으로써 폭 넓은 범위에서 와이핑을 실시하기 때문에, 프런트 단자(13)와 리어 단자(12)가 폭 방향(X)에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난 경우라도, 리어 접점부(12a)의 접촉 개소로부터의 이물 제거성을 높일 수 있다.
[끼워맞춤 방법의 설명]
이상과 같이 구성된 소켓 커넥터(5)와 플러그 커넥터(3)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1)는 제 1 기판(2)과 제 2 기판(4)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 15∼도 1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2)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3)의 위쪽으로부터 제 2 기판(4)에 접속된 소켓 커넥터(5)를 끼워맞춤시키는 경우는, 소켓 커넥터(5)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플러그 커넥터(3)의 끼워맞춤부(3A)를 소켓 커넥터(5)의 수입구(9d1)에 삽입한다.
끼워맞춤실(9e)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소켓 단자(10)가 갖는 프런트 접점부(13a)끼리와 리어 접점부(12a)끼리의 간격은, 모두 끼워맞춤부(3A)의 전후 방향(Y)의 길이보다도 짧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들의 프런트 접점부(13a)끼리, 리어 접점부(12a)끼리의 사이에 끼워맞춤부(3A)를 삽입할 때에는 끼워맞춤 벽부(8f)의 선단부(8f1)에 의해, 프런트 접점부(13a)끼리, 리어 접점부(12a)끼리의 사이를 넓힌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소켓 단자(10)가 플러그 단자(11)에 선단측에서 접촉하고, 소켓 커넥터(5)의 프런트 단자(13)의 선단 경사부(13c)가 플러그 커넥터(3)의 끼워맞춤 벽부(8f)의 선단부(8f1)에 부딪쳐, 끼워맞춤 벽부(8f)를 끼워맞춤실(9e)의 안쪽측으로 가이드한다. 이어서 리어 단자(12)의 선단 경사부(12c)가 끼워맞춤 벽부(8f)의 선단부(8f1)에 부딪치고, 마찬가지로 끼워맞춤 벽부(8f)를 끼워맞춤실(9e)의 안쪽측으로 가이드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부(11c)가 탄성 변형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을, 접촉부(10c, 11e)끼리가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나기 위해 필요한 하중보다도 작게 설정하고 있어, 접촉부(10c, 11e)끼리가 보다 슬라이딩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끼워맞춤 작업을 계속해도, 접촉부(10c, 11e)끼리가 서로 크게 슬라이딩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하여 접촉부(10c, 11e)를 통해서 가동부(11c)에 부하가 걸리고, 가동부(11c)가 소켓 커넥터(5)의 삽입 방향에서 탄성 변형한다. 그 후, 가동부(11c)가 한계까지 탄성 변형하거나 가동 하우징(8)의 맞닿음부(8e1)가 제 1 기판(2)에 접촉하거나 함으로써, 가동부(11c)의 탄성 변형이 정지한다. 거기에서 더욱 끼워맞춤 작업을 계속하여 끼워맞춤부(3A)를 플러그 하우징(6)의 끼워맞춤실(9e)에 삽입함으로써, 이번에는 소켓 단자(10)의 프런트 접점부(13a)와 리어 접점부(12a)가 플러그 단자(11)에 대하여 슬라이딩한다. 또한 끼워맞춤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플러그 단자(11)와 소켓 단자(10)는 최종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규의 접촉 위치(P2)에서 서로 도통 접촉할 수 있다.
이 끼워맞춤 상태에서, 대향하는 소켓 단자(10, 10)의 프런트 접점부(13a, 13a)와 리어 접점부(12a, 12a)끼리가 같은 하중으로 끼워맞춤부(3A)에 대하여 압압 접촉한다. 이에 따라, 소켓 단자(10, 10)의 소켓 접촉부(10c, 10c)는 플러그 단자(11)의 끼워맞춤부(3A)를 협지(挾持)하도록 플러그 접촉부(11e)와 도통 접촉할 수 있다.
[이물 제거 방법의 설명]
상기와 같이, 프런트 접점부(13a)와 리어 접점부(12a)가 폭 방향(X)에 있어서의 동일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소켓 단자(10)와 플러그 단자(11)가 슬라이딩할 때에, 리어 접점부(12a)는, 선단 경사부(13c)와 프런트 접점부(13a)가 접촉한 플러그 단자(11)의 접촉면(11e1) 상의 궤적을 통과하여 접촉한다. 이에 따라, 플러그 단자(11)에 티끌이나 먼지 등의 이물이 붙어 있어도, 프런트 접점부(13a)가 이 이물을 제거하거나 보유하기 때문에, 프런트 단자(13)가 이동한 궤적에서는 이물이 제거되어 있다. 따라서, 이물이 제거된 궤적을 통과하는 리어 접점부(12a)는 플러그 단자(11)에 대한 확실한 도통 접촉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2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 접점부(13a)와 리어 접점부(12a)가 함께 플러그 단자(11)의 접촉면(11e1)과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와 소켓 커넥터(5)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11)와 소켓 단자(10)의 상호 간의 도통 접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X, Y 방향에서의 가동 동작의 설명]
가동 하우징(8)의 고정 하우징(7)에 대한 전후 방향(Y) 및 폭 방향(X)의 가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가동부(11c)의 제 1 신장부(11c1)와 고정 하우징(7)의 전면부(7a) 또는 배면부(7b)의 사이에는 가동 간극(7f)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1 신장부(11c1)가 가동 간극(7f)의 내부에서 전면부(7a)나 배면부(7b)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후 방향(Y)을 따라서 변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 2 신장부(11c3)가, 전면부(7a)나 배면부(7b)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에서 전후 방향(Y)을 따라 탄성 변형할 수도 있다. 이들에 의해 전기 커넥터(1)에 전후 방향(Y)의 진동이 가해지면, 가동부(11c)가 전후 방향(Y)에서 탄성 변형함으로써 가동 하우징(8)이 고정 하우징(7)에 대하여 전후 방향(Y)에서 탄성 변위하여 그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 가동부(11c)는 도전성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세편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동부(11c)는 일단측과 타단측이 폭 방향(X)에서 다른 위치로 어긋나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또, 가동부(11c)는 일단측이 고정 하우징(7)에 고정되는 고정부(11b)에 연결되고, 타단측이 가동 하우징(8)에 고정되는 기단부(11d)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1)에 폭 방향(X)의 진동이 가해지면, 가동부(11c)가 폭 방향(X)에서 탄성 변형함으로써 가동 하우징(8)이 고정 하우징(7)에 대하여 폭 방향(X)에서 상대 변위하여, 그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6)이 구비하는 가동 하우징(8)의 전면부(8a)와 고정 하우징(7)의 전면부(7a)와의 사이, 및 가동 하우징(8)의 배면부(8b)와 고정 하우징(7)의 배면부(7b)와의 사이에는, 가동 공간부(7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하우징(8)은 가동 공간부(7d)의 내부에서 고정 하우징(7)에 대하여 전후 방향(Y)에서 상대 변위할 수 있다. 또, 플러그 하우징(6)의 가동 하우징(8)의 측면부(8c)와 고정 하우징(7)의 측면부(7c)와의 사이에도, 가동 공간부(7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하우징(8)은 가동 공간부(7d)의 내부에서 고정 하우징(7)에 대하여 폭 방향(X)에서도 상대 변위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3)와 소켓 커넥터(5)가 끼워맞춰져 있는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1)에 대하여 전후 방향(Y)이나 폭 방향(X)의 진동이 가해진 경우, 플러그 단자(11)의 가동부(11c)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3)의 가동 하우징(8)이 고정 하우징(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진동을 흡수하여 플러그 단자(11)와 소켓 단자(10)의 도통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Z 방향에서의 가동 동작의 설명]
계속해서, 가동 하우징(8)의 고정 하우징(7)에 대한 높이 방향(Z)의 가동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높이 방향(Z)의 진동에 대하여, 플러그 단자와 소켓 단자가 진동에 맞추어 서로 높이 방향(Z)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도통 접촉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플러그 단자와 소켓 단자의 도통 접촉 부분에서 마모가 생겨 접속 신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에서는 플러그 단자(11)가 갖는 가동부(11c)에 의해 높이 방향(Z)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단자(11)와 소켓 단자(10)의 마모를 억제하거나 도전성을 높이기 위한 도금의 벗겨짐 등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1)의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진동이 기판(2, 4)의 고유 진동수에 이르면, 기판(2, 4)이 공진함으로써 커넥터(3, 5)가 크게 진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종래의 접점부끼리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한 대응 방법에서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거리가 짧기 때문에, 큰 진동에 대응할 수 없어, 접점부끼리의 도통 접촉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에 의하면, 그러한 공진이 생겨도 가동부(11c)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충분히 플러그 단자(11)를 소켓 단자(10)의 변위에 추종시켜, 접촉부(10c, 11e)끼리를 슬라이딩시키지 않고 도통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접속 신뢰성이 높은 전기 커넥터(1)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의 Z 방향에서의 가동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동부(11c)가 삽발 방향에서 탄성 변형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은, 소켓 단자(10)와 플러그 단자(11)가 정규의 접촉 위치(P2)로부터 삽발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나기 위한 하중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1)에 높이 방향(Z)의 진동이 가해진 경우, 소켓 접촉부(10c)와 리어 접촉부(11e)가 서로 슬라이딩하기 전에, 우선 가동부(11c)가 삽발 방향에서 탄성 변형한다. 즉, 가동부(11c)가 플러그 하우징(6)의 내부에서 제 1 기판(2)의 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하거나 또는 가동부(11c)가 굴곡하는 방향으로 한계까지 변형하거나 함으로써, 삽발 방향에서 탄성 변형한다. 이 동안, 소켓 단자(10)와 플러그 단자(11)는 정규의 접촉 위치(P2)로부터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그들의 도통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단자(11)가 소켓 단자(10)에 추종해서 탄성 변위하여, 도통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1)에 높이 방향(Z)의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가동부(11c)의 예를 들면 제 2 굴곡부(11c4)가, 더욱 굴곡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고, 반대로 제 3 굴곡부(11c6)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와 동시에, 제 1 굴곡부(11c2)가 전면부(7a)나 배면부(7b)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서, 가동 하우징(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함으로써, 플러그 단자(11)의 플러그 접촉부(11e)를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상측을 향해 탄성 변위시킬 수 있다(도 22).
또, 반대로, 제 3 굴곡부(11c6)가 더욱 굴곡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고, 반대로 제 2 굴곡부(11c4)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동시에, 제 1 굴곡부(11c2)가 전면부(7a)나 배면부(7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서, 가동 하우징(8)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함으로써, 플러그 단자(11)의 플러그 접촉부(11e)를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하측을 향하여 상대 변위시킬 수 있다(도 20). 이에 따라, 높이 방향(Z)의 진동이 가해져도 가동부(11c)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그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가동 동작의 규제 방법]
가동 하우징(8)은 고정 하우징(7)에 대하여 상대 변위할 수 있지만, 폭 방향(X) 및 전후 방향(Y)의 상대 변위는 가동 공간부(7d)의 내부로 제한된다. 또, 가동 하우징(8)의 측면부(8c)의 하단에는 폭 방향(X)을 따라 돌출하는 걸림부(8g)가 설치된다. 고정 하우징(7)에는, 그 걸림부(8g)가 삽입되는 오목부(7g)가 설치된다. 가동 하우징(8)이 고정 하우징(7)에 대하여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상측을 향하여 변위해도, 걸림부(8g)가 오목부(7g)의 내연(內緣)(7g1)에 걸림으로써 고정 하우징(7)에 대한 가동 하우징(8)의 변위가 규제된다. 이렇게 하여 가동 하우징(8)의 고정 하우징(7)에 대한 폭 방향(X), 전후 방향(Y), 높이 방향(Z)의 상대 변위를 제한할 수 있다. 또, 플러그 단자(11)는 고정 하우징(7)과 가동 하우징(8)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가동부(11c)의 탄성 변형도 규제된다. 또한 가동부(11c)를 플러그 하우징(6)의 내부에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 하우징(6)의 벽체에 의해서도 가동부(11c)의 탄성 변형이 규제된다.
[소켓 단자를 플러그 단자에 대하여 위치 어긋나게 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의 조정 방법]
소켓 단자(10)의 프런트 스프링부(13b)와 리어 스프링부(12b)에 대해, 판 두께, 판 폭, 플러그 커넥터(3)의 끼워맞춤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프런트 단자(13)와 리어 단자(12)의 정규의 접촉 위치(P2)로부터의 삽발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하중을 조정할 수 있다. 즉, 프런트 스프링부(13b)와 리어 스프링부(12b)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나, 판 폭을 보다 넓게 하는 것이나, 플러그 커넥터(3)의 삽발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를 보다 크게 함으로써, 프런트 스프링부(13b)와 리어 스프링부(12b)를 플러그 단자(11)에 대하여 보다 강한 힘으로 접촉시키는 동시에, 플러그 단자(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중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반대로 그들의 판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나, 판 폭을 보다 좁게 하는 것이나, 플러그 커넥터(3)의 끼워맞춤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를 보다 작게 함으로써, 프런트 스프링부(13b)와 리어 스프링부(12b)를 플러그 단자(11)에 대하여 보다 약한 힘으로 접촉시키는 동시에, 플러그 단자(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중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프런트 접점부(13a)와 리어 접점부(12a)의 판 폭을 보다 넓게 함으로써, 플러그 단자(11)의 접촉면(11e1)과의 접촉 면적을 늘려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중을 크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는 반대로 각 접점부(12a, 13a)의 판 폭을 좁게 하거나, 리어 스프링부(12b)나 프런트 스프링부(13b)를 유연하게 하거나 함으로써, 각 접점부(12a, 13a)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작게 해도 된다. 또, 프런트 접점부(13a)와 리어 접점부(12a)의 판 폭을 보다 짧게 함으로써, 플러그 단자(11)의 접촉면(11e1)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마찰력을 작게 할 수도 있다. 이들에 의해, 상기 하중을 작게 할 수도 있다.
또, 프런트 접점부(13a)와 리어 접점부(12a)라는 2개의 접점부에 의해 플러그 단자(11)에 압압 접촉한다. 따라서, 마찰력이 프런트 접점부(13a)와 리어 접점부(12a)의 2개소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1개의 접점부에서 압압 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정규의 접촉 위치(P2)로부터 삽발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나기 위한 하중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또, 플러그 단자(11)가 프런트 각부(13b1)를 2개 가지고 있고, 또한, 그들 2개의 프런트 각부(13b1)의 판 폭 방향의 길이의 합계가, 가동부(11c)의 판 폭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소켓 단자(10)가 플러그 단자(11)에 대하여 강하게 압압 접촉하고, 슬라이딩할 때의 마찰력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정규의 접촉 위치(P2)로부터 삽발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나기 위한 하중을 가동부(11c)가 삽발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각 접점부(12a, 13a)에,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할 때에 필요로 하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각 접점부(12a, 13a)가 플러그 단자(11)에 대하여 보다 약한 힘으로 압압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반복하여 커넥터(3, 5)끼리가 삽발되는 경우에 각 접촉부(10c, 11e)가 슬라이딩해도, 각 접점부(12a, 13a)나 플러그 단자(11)의 접촉면(11e1)에 마모나 손상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가동부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해 필요한 하중의 조정 방법]
플러그 단자(11)의 가동부(11c)에 대해서는, 판 폭을 조정함으로써 가동부(11c)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해 필요한 하중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부(11c)의 판 폭을 좁게 함으로써, 보다 작은 하중으로 탄성 변형하는 가동부(11c)로 할 수 있다. 또 반대로, 가동부(11c)의 판 폭을 넓게 함으로써, 탄성 변형시키기 위해 보다 큰 하중을 필요로 하는 가동부(11c)로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부(11c)의 제 1 굴곡부(11c2), 제 3 굴곡부(11c6)의 판 폭이, 각 신장부(11c1, 11c3, 11c5)의 판 폭보다도 넓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반해 제 2 굴곡부(11c4)의 판 폭은 각 신장부(11c1, 11c3, 11c5)와 같은 정도의 넓이로 되어 있고, 다른 굴곡부(11c2, 11c6)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굴곡부(11c4)는, 다른 굴곡부(11c2, 11c6)보다도 탄성 변형하기 쉽고, 유연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높이 방향(Z)의 진동이 가해질 때에는 이 제 2 굴곡부(11c4)가 가장 탄성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동부(11c)의 부분마다 판 폭을 바꿈으로써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하중을 조정할 수 있다.
[기판의 공진 등의 진동에의 대응]
기판(2, 4)의 공진 등에 의해, 전기 커넥터(1)에 특히 큰 진동이 가해지는 일이 있다. 이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플러그 단자(11)와 소켓 단자(10)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그 진동에 대응하고자 하면, 각 단자에 생기는 마모나 손상이 커져 버린다. 또, 공진에 의한 기판(2, 4)의 진동의 크기와 비교하여 접촉부(10c, 11e)끼리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거리가 짧기 때문에, 큰 진동에 대응할 수 없어 플러그 단자(11)와 소켓 단자(10)가 이간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와 같이 가동부(11c)가 충분히 삽발 방향에서 탄성 변형하는 것으로 함으로써, 높이 방향(Z)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플러그 단자(11), 소켓 단자(10)의 접촉 부분에 마모가 생기기 어렵게 하고, 또한 충분히 공진에 의한 진동도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에서는, 이 공진 등의 진동이 생겨도 확실하게 도통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기구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이 기구에 대해, 도 17 분도(a)∼(f)의 모식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 1 기판(2)은 진동하지 않고, 제 2 기판(4)만이 진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러나, 반대로 제 1 기판(2)만이 진동하거나, 기판(2, 4)의 양쪽이 진동하거나 하는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진동에의 대응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에서는, 끼워맞춤 전 상태에서는, 가동 하우징(8)과 제 1 기판(2)의 사이에는 간극(S')이 설치되어 있다(도 17 분도(a)). 그리고 끼워맞춤 작업 개시 직후에는, 플러그 접촉부(11e)와 접촉함에 따른 상기 삽입 방향의 부하가 소켓 접촉부(10c)를 통하여 가동부(11c)에 걸리고, 가동부(11c)가 제 1 기판(2)의 측으로 탄성 변형한다(도 17 분도(b)). 이에 따라, 가동 하우징(8)의 맞닿음부(8e1)가 제 1 기판(2)에 접촉하거나, 가동부(11c)가 한계까지 탄성 변형함으로써, 가동 하우징(8)이 제 1 기판(2)의 측으로 탄성 변위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 1 기판(2)에는 스페이서(R)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기판(4)이 스페이서(R)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고정된다(도 17 분도(b)). 이 경우, 가동 하우징(8)과 제 1 기판(2)의 사이에는 간극이 거의 없거나, 가동부(11c)가 한계까지 탄성 변형하고 있거나 하는 어느 쪽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기판(4)이 가동 하우징(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높이 방향(Z)에서 변형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가동 하우징(8)이 제 1 기판(2)의 측으로 탄성 변위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소켓 커넥터(5)와 플러그 커넥터(3)의 사이에는 높이 방향(Z)에서 끼워맞춤 간극(S2)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동 하우징(8)은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제 1 기판(2)의 측보다도 제 2 기판(4)의 측으로서, 상기 끼워맞춤 간극(S2)을 좁히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 접촉부(11e)와 소켓 접촉부(10c)는 서로 초기 접촉 위치(P1)에서 도통 접촉한다(도 17(b)에서 나타내는 「초기 끼워맞춤 상태」).
여기에서, 커넥터(3, 5)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대향하는 기판(2, 4) 간에는 스페이서(R)가 설치되어 있어, 기판(2, 4)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기판 간 접속구조(S)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워맞춤 작업에 있어서 제 2 기판(4)이 제 1 기판(2)에 설치되어 있는 스페이서(R)에 접촉하고, 스페이서(R)에 고정됨으로써 끼워맞춤 작업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접촉부(10c, 11e)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위치를 초기 접촉 위치(P1)로 할 수 있다. 기판(2, 4)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3, 5)끼리를 끼워맞춤시키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스페이서(R)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커넥터(3, 5)끼리의 끼워맞춤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의 초기 접촉 위치(P1)나, 후술하는 정규의 접촉 위치(P2)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후, 만일 제 2 기판(4)에 상기 공진 등이 생기면, 스페이서(R)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기판(2, 4) 간의 거리는 변하지 않지만,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제 2 기판(4)이 크게 진동하여 휘어, 그들의 거리가 바뀌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 2 기판(4)이 제 1 기판(2)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한 번 휘어, 제 2 기판(4')의 상태가 됨으로써, 소켓 커넥터(5)도 연동하여 제 1 기판(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에 따라, 소켓 커넥터(5)와 플러그 커넥터(3)가 끼워맞춤 위치가 깊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상대 변위하고자 한다(도 17 분도(c)). 즉, 소켓 커넥터(5)는 제 2 기판(4)에 고정되어 있고, 가동 하우징(8)은 제 1 기판(2)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기판(2)과 제 2 기판(4)의 간격이 좁혀짐으로써 가동 하우징(8)의 맞닿음부(8e1)가 고정 하우징(7)에 의해 밀어 넣어져, 끼워맞춤 위치가 깊어지도록 상대 변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5)와 플러그 커넥터(3)의 사이에 높이 방향(Z)에서 끼워맞춤 간극(S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소켓 커넥터(5)가 플러그 커넥터(3)의 끼워맞춤실(9e)의 내부를 향하여 상대 변위한다. 이에 따라 끼워맞춤 간극(S2)이 작아진다(도 17 분도(c)에서 나타내는 「진동 하사점 상태」). 또 이때, 끼워맞춤실(9e)의 내부에서는 플러그 접촉부(11e)와 소켓 접촉부(10c)가 서로 슬라이딩하면서 초기 접촉 위치(P1)로부터 정규의 접촉 위치(P2)까지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한 번, 기판(2, 4)끼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에서 진동한 후는 플러그 접촉부(11e)와 소켓 접촉부(10c)는 서로 정규의 접촉 위치(P2)에서 압압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후, 제 2 기판(4)이, 진동의 반동으로 약간의 시간만 진동이 생기기 전의 평판상이 된다(도 17 분도(d)에서 나타내는 「끼워맞춤 상태」). 이 경우, 소켓 커넥터(5)도 연동하여 제 1 기판(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변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접촉부(11e)와 소켓 접촉부(10c)가 서로 위치가 어긋나기 위해 필요한 부하보다도, 가동부(11c)가 삽발 방향에서 탄성 변형하기 위해 필요한 부하쪽이 작다. 따라서, 소켓 접촉부(10c)가 정규의 접촉 위치(P2)에서 플러그 접촉부(11e)에 대하여 위치 어긋나지 않고 접촉한 채로 추종하고, 가동부(11c)가 신장하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변형한다. 이에 따라, 가동 하우징(8)은 고정 하우징(7)에 대하여,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상측을 향해 상대 변위한다. 이에 따라, 가동 하우징(8)은 제 1 기판(2)으로부터 뜬 상태가 되고, 가동 하우징(8)과 제 1 기판(2)의 사이에는 가동 간극(S4)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 하우징(8)은 기판(2, 4)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가 되고, 소켓 접촉부(10c)에 의한 홀딩력으로 매달린 것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 1 기판(2)의 측으로 탄성 변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후, 제 2 기판(4)이 제 1 기판(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휘고, 제 2 기판(4'')의 상태가 됨으로써, 이번에는 소켓 커넥터(5)도 연동하여 제 1 기판(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변위한다. 이 경우, 플러그 접촉부(11e)가 소켓 접촉부(10c)에 정규의 접촉 위치(P2)에서 위치 어긋나지 않고 접촉한 채로 추종한다. 또, 가동 하우징(8)은 들어 올려지도록 제 2 기판(4)의 측을 향하여 변위한다. 이에 따라, 가동 하우징(8)과 제 1 기판(2)의 사이의 가동 간극(S4)은 더욱 커진다(도 17 분도(e)에서 나타내는 「진동 상사점 상태」).
상기와 같이, 끼워맞춤 작업의 초기 단계에서 도 17 분도(a)부터 분도 (b)에서 나타내는 「초기 끼워맞춤 상태」가 되고, 한 번 공진 등에 의해 제 2 기판(4)이 제 1 기판(2)에 가까워지도록 진동한 후는(도 17 분도(c)에서 나타내는 「진동 하사점 상태」), 제 2 기판(4)의 진동에 의해, 도 17 분도(d)에서 나타내는 「끼워맞춤 상태」, 도 17 분도(e)에서 나타내는 「진동 상사점 상태」가 되며, 또 「끼워맞춤 상태」(도 17 분도(d), (f))로부터 「진동 하사점 상태」(도 17 분도(c))로 돌아온다는 움직임을 반복한다. 즉, 플러그 접촉부(11e)와 소켓 접촉부(10c)의 슬라이딩은 「초기 끼워맞춤 상태」로부터 「끼워맞춤 상태」로 이행할 때의 1회뿐이다. 그 후는 슬라이딩이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일 없이, 기판(2, 4)에 생기는 공진 등의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큰 진동에도 대응하여, 접촉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초기 끼워맞춤 상태」와, 「진동 하사점 상태」와, 「끼워맞춤 상태」와, 「진동 상사점 상태」에 대해, 전기 커넥터(1)의 단면도를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끼워맞춤 전 상태에서는, 가동 하우징(8)과 제 1 기판(2)의 사이에는,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도 18). 그러나, 끼워맞춤 작업에 따라 소켓 커넥터(5)에 의해 가동 하우징(8)이 제 1 기판(2)의 측을 향하여 압압됨으로써, 끼워맞춤 작업 직후에 플러그 커넥터(3)와 소켓 커넥터(5)가 끼워 맞춰져 있는 「초기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가동 하우징(8)은 제 1 기판(2)과 접촉하고, 그들의 사이에는 간극이 거의 설치되지 않는다. 이 「초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3)의 끼워맞춤 벽부(8f)의 선단부(8f1)와, 소켓 하우징(9)의 끼워맞춤실(9e)의 저부(9e1)와의 사이에는 끼워맞춤 간극(S1)이 형성된다(도 19). 또, 이 상태에 있어서, 소켓 하우징(9)의 천면부(9d)와 플러그 커넥터(3)에 있어서의 가동 하우징(8)의 끼워맞춤실(8d)의 저부(8d1)와의 사이에는 끼워맞춤 간극(S2)이 형성된다(도 19). 또한 걸림부(8g)의 상단과 오목부(7g)의 내연(7g1)과의 사이에는 끼워맞춤 간극(S3)이 형성된다(도 5. 단, 도 5에서 나타내는 것은 「끼워맞춤 상태」의 전기 커넥터(1)이기 때문에, 「초기 끼워맞춤 상태」의 전기 커넥터(1)의 끼워맞춤 간극(S3)은 도 5에서 나타내는 것보다도 높이 방향(Z)이 길다.).
이들의 끼워맞춤 간극(S1∼S3)의 높이 방향(Z)의 길이는, 높이 방향(Z)의 제 2 기판(4)의 공진 등에 의한 최대의 휨 가능한 길이보다도 더욱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진 등에 의해 제 2 기판(4)이, 제 1 기판(2)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크게 변형해도, 소켓 커넥터(5)와 플러그 커넥터(3)가 끼워맞춤 간극(S1∼S3)을 좁히도록 이동하여, 서로 끼워맞춤 위치가 깊어지는 방향으로 충분히 상대 변위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초기 끼워맞춤 상태」로부터 「진동 하사점 상태」로 이행한다(도 19, 도 20). 그때, 접촉부(10c, 11e)끼리는 슬라이딩하면서 초기 접촉 위치(P1)에서부터 정규의 접촉 위치(P2)까지 이동한다. 또한 기판(2, 4)의 양쪽이 공진하는 경우에는, 끼워맞춤 간극(S1∼S3)의 높이 방향(Z)의 길이를, 높이 방향(Z)의 기판(2, 4)의 공진 등에 의한 최대의 휨 가능한 길이의 합계보다도 더욱 길게 설정함으로써,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진동 하사점 상태」에서는, 접촉부(10c, 11e)끼리가 정규의 접촉 위치(P2)에서 도통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 하우징(8)은 제 1 기판(2)과 접촉하고 있고, 그들의 사이에는 간극이 거의 설치되어 있지 않다(도 20). 또, 제 2 기판(4)이 제 1 기판(2)의 측을 향하여 휜 만큼의 길이만 끼워맞춤 간극(S1∼S3)이 짧아져 있다.
「진동 하사점 상태」로부터, 제 2 기판(4)이 제 1 기판(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변형함으로써, 「끼워맞춤 상태」가 된다(도 21). 그때, 소켓 커넥터(5)가 제 1 기판(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가동 하우징(8)이 그것에 추종하여, 제 1 기판(2)으로부터 떠오르도록 변위한다. 걸림부(8g)의 하단과 제 1 기판(2)의 기판면과의 사이에는 가동 간극(S4)이 형성된다(도 5, 도 21). 이 가동 간극(S4)은 「초기 끼워맞춤 상태」 및 「진동 하사점 상태」에서는 설치되지 않고, 「끼워맞춤 상태」에서 형성된다. 「초기 끼워맞춤 상태」 및 「진동 하사점 상태」에서는 가동 하우징(8)이 제 1 기판(2)에 접촉하고, 그들의 사이에는 간극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진동 하사점 상태」로부터 제 2 기판(4)이 제 1 기판(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하고, 상기와 같이 가동 하우징(8)이 제 2 기판(4)의 측으로 변위함으로써, 비로소 가동 간극(S4)이 설치되기 때문이다. 이 가동 간극(S4)이 설치됨으로써, 가동 하우징(8)이 제 1 기판(2)의 측을 향하여 상대 변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5)가 플러그 커넥터(3)에 가까워지는 방향, 즉 삽입 방향에서 상대 변위하면, 가동부(11c)가 상기 삽입 방향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플러그 접촉부(11e)와 소켓 접촉부(10c)가 위치 어긋나는 일 없이 정규의 접촉 위치(P2)에 있어서의 압압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도 20, 도 21).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제 2 기판(4)이 제 1 기판(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하면, 소켓 커넥터(5)가 연동하여 제 1 기판(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소켓 접촉부(10c)도 제 2 기판(4)과 같은 방향을 향하여 변위한다. 그때, 플러그 접촉부(11e)가 소켓 접촉부(10c)에 정규의 접촉 위치(P2)에서 도통 접촉한 상태에서 위치 어긋나지 않고 추종한다. 그때, 가동 하우징(8)도 또한, 플러그 접촉부(11e)에 추종하여 더욱 떠오르도록 상대 변위한다(도 22에서 나타내는 「진동 상사점 상태」). 이후, 제 2 기판(4)이 제 1 기판(2)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재차 변형함으로써, 전기 커넥터(1)는 「끼워맞춤 상태」로 돌아온다(도 21). 이 이후, 공진 등의 진동이 생겨 제 2 기판(4)이 변형하면, 「진동 하사점 상태」, 「끼워맞춤 상태」, 「진동 상사점 상태」를 반복한다. 이렇게 하여 가동부(11c)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접촉부(10c, 11e)끼리가 서로 슬라이딩하는 일 없이 정규의 접촉 위치(P2)에서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에 의하면, 폭 방향(X)이나 전후 방향(Y)에 더하여, 높이 방향(Z)의 진동도 플러그 단자(11), 소켓 단자(10)의 마모를 발생시키지 않고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자동차용 전장품 등, 특히 진동에 대한 내성을 필요로 하는 부품에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접속 신뢰성이 높은 전기 커넥터(1)로 할 수 있다. 또, 기판(2, 4)의 공진에 의해서 특히 큰 진동이 생기는 경우라도, 그 진동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1)로 할 수 있다.
1: 전기 커넥터 2: 제 1 기판
3: 플러그 커넥터 4: 제 2 기판
5: 소켓 커넥터 6: 플러그 하우징
9: 소켓 하우징 S: 기판 간 접속구조

Claims (6)

  1.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대향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판에 고정하는 커넥터와 상기 제 2 기판에 고정하는 접속 대상물을 도통 접속하는 기판 간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속 대상물과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상기 제 1 기판에 고정하는 기판측 하우징과,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끼워 맞춘 상기 접속 대상물과 도통 접촉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상기 기판측 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가동편을 갖는 제 1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이 상기 제 1 기판에 대한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상기 접속 대상물 중 어느 한쪽에,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기판 간 거리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휘어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의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제 1 기판에 의해 밀어 넣어짐으로써 상기 어느 다른쪽과의 끼워맞춤 위치가 깊어지는 끼워맞춤 간극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상기 접속 대상물과의 끼워맞춤 방향 및 발거(拔去) 방향에서 휘면, 상기 제 1 접촉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에 대한 접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가동편이 상기 제 1 기판과 연동하는 상기 기판측 하우징의 변위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간 접속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과의 사이에 가동 간극을 갖는 기판 간 접속구조.
  3.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대향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판에 고정하는 커넥터와 상기 제 2 기판에 고정하는 접속 대상물을 도통 접속하는 기판 간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속 대상물과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상기 제 1 기판에 고정하는 기판측 하우징과,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끼워 맞춘 상기 접속 대상물과 도통 접촉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상기 기판측 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가동편을 갖는 제 1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이 상기 기판측 하우징에 대한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상기 접속 대상물 중 어느 한쪽에,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기판 간 거리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휘어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의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기판측 하우징에 의해 밀어 넣어짐으로써 상기 어느 다른쪽과의 끼워맞춤 위치가 깊어지는 끼워맞춤 간극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과 상기 접속 대상물과의 끼워맞춤 방향 및 발거 방향에서 휘면, 상기 제 1 접촉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에 대한 접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가동편이 상기 제 1 기판과 연동하는 상기 기판측 하우징의 변위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간 접속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측 하우징과 상기 끼워맞춤측 하우징과의 사이에 가동 간극을 갖는 기판 간 접속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은,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상기 기판 간 거리가 확대되는 방향으로 휘었을 때에, 상기 기판측 하우징의 변위를 탄성 지지하는 기판 간 접속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은,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상기 기판 간 거리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휘었을 때에, 상기 기판측 하우징의 변위를 탄성 지지하는 기판 간 접속구조.
KR1020160126684A 2016-09-30 2016-09-30 기판 간 접속구조 KR20180036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684A KR20180036289A (ko) 2016-09-30 2016-09-30 기판 간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684A KR20180036289A (ko) 2016-09-30 2016-09-30 기판 간 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289A true KR20180036289A (ko) 2018-04-09

Family

ID=6197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684A KR20180036289A (ko) 2016-09-30 2016-09-30 기판 간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62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804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と接続対象物との接続構造
US9088113B2 (en) Connector
KR101241686B1 (ko) 보드간 컨넥터
KR101514373B1 (ko) 커넥터
US10454202B2 (en) Plug connector with a movable housing including a fitting portion inserted and fitted to a fitting portion of a mating connector
KR101514372B1 (ko) 커넥터
CN106981754B (zh) 连接器
US639082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viding floating movement between connectors
US10763617B2 (en) Movable connector
JP2007287589A (ja) 電気コネクタ
US20100003869A1 (en) Contact and connector including the contact
JP2017216179A (ja) コネクタ及びプラグコネクタ
KR20180036289A (ko) 기판 간 접속구조
US6244883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viding floating movement between connectors
JP6338744B2 (ja) コネクタ
JP4350669B2 (ja) コネクタ
KR102395625B1 (ko) 리지드 얼라인먼트 기능을 갖는 고속 신호 전송 커넥터
JP2022099899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02343466A (ja) プリント配線基板間結合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