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037A - 펌프 효율 산출방법 - Google Patents

펌프 효율 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037A
KR20180036037A KR1020160126072A KR20160126072A KR20180036037A KR 20180036037 A KR20180036037 A KR 20180036037A KR 1020160126072 A KR1020160126072 A KR 1020160126072A KR 20160126072 A KR20160126072 A KR 20160126072A KR 20180036037 A KR20180036037 A KR 20180036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motor
fluid
calculating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888B1 (ko
Inventor
강성기
채장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앤디
Priority to KR102016012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8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4/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04C14/28Safety arrangements;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1/00Testing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88Test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1Testing thereof; Determination or sim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Stall or surge detection, e.g. condition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3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5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0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8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9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20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83Testing, e.g. methods, components or 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펌프 효율 산출방법은 펌프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모터의 출력 토크를 검출하여, 방법을 적용하여 검출한 모터의 출력 토크를 이용함으로써, 펌프 효율 산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펌프 제작, 펌프 설치, 펌프 시운전, 펌프 유지보수 등의 과정에서 펌프의 효율뿐만 아니라 모터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모터와 펌프의 유지보수 시점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프 효율 산출방법{pump efficiency measuring method}
본 발명은 펌프 효율 산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펌프 모터 권선의 저항값과 펌프 모터에 공급되는 순시전압값과 순시 전류값에 의한 펌프 모터의 출력 토크와, 모터 회전축 또는 펌프 회전축에 장착된 회전속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펌프 모터의 회전속도에 의해 펌프의 운전상의 실제 펌프모터의 축동력을 산출하도록 하여 정확한 펌프 효율을 산출할 수 있는 펌프 효율 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펌프는 대부분이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며, 사용하고자 하는 유체의 종류, 유량, 펌핑양정에 따라 선정되어 사용된다.
사용자는 펌프의 성능이나 에너지 효율 등에 따라 그에 맞는 적합한 펌프를 사용하여야 한다.
펌프 효율(%)은 (펌프의 수동력/모터의 축동력)×100 이고, 펌프의 수동력(㎾)은 밀도(kg/㎥) x 중력가속도(9.8m/sec²) x 유량(㎥/sec) x 양정(m)에 의해 산출된다.
모터의 축동력(kW)은 모터 전력 입력값(kW) x 모터 효율에 의해 산출할 수 있으나, 모터 효율은 제작사가 제공하는 값을 사용하거나 산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값을 사용하여 모터의 축동력을 산출한다.
실제 펌프 운전시 모터 효율은 모터 제작 공정, 펌프의 사용시간 경과에 따른 모터의 열화, 모터의 유지보수나 정비 결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모터의 효율을 가정하고 모터의 축동력을 산출하는 경우 많은 오차를 포함하게 되므로 모터의 축동력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펌프운전에 따른 실제 모터의 축동력을 산출할 수 있으며, 실제 모터의 축동력은 측정한 모터 토크(kN·m) x 측정 모터 회전수(rad/sec)에 의해 산출한다. 이러한 실제 모터의 축동력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모터 회전축과 펌프 회전축 사이에 토크 센서를 장착하고, 모터 회전축 또는 펌프 회전축에 회전 속도 측정 센서를 장착하여, 직접 펌프 모터의 출력 토크와 회전 속도를 측정한 후, 모터의 출력 토크와 회전 속도를 곱하여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1832호 "전동펌프 성능 시험장치"(공개일자 : 2009.07.29)에는 모니터부를 이용하여 전동펌프의 모터를 제어하여 전동펌프를 구동시키고, 이 후 유체센서, 모터센서, 펌프내의 회전자의 회전토크 검출을 위한 토크센서와 회전자의 회전율을 검출하는 알피엠센서 등을 이용하여 전동펌프의 구동에 따른 유체의 이송량, 압력, 온도, 펌프의 회전자의 토크, 회전수를 검출하여 전동펌프의 동작상태 데이터로서 신호처리부를 통해 수신하는 전동펌프 성능 시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모터의 토크를 직접 측정하여 실제 모터의 축동력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모터 회전축과 펌프 회전축 사이에 토크 센서를 장착하여야 하나, 이러한 토크 센서는 고가이고, 베드에 안착되어 있는 모터와 펌프 사이에 토크 센서를 장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펌프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모터 회전축, 토크 센서 회전축 및 펌프 회전축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설치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토크 센서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교정해야 하는데, 매교정시 마다 토크 센서의 분리, 재설치 및 축 중심 맞추기 작업을 반복해야 하므로, 이와 같은 작업은 비용과 인력이 많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펌프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토크 센서를 현장의 펌프에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1832호 "전동펌프 성능 시험장치"(공개일자 : 2009.07.29)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 모터에 공급되는 순시 전압 측정값과, 순시 전류 측정값과, 모터 권선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검출한 모터의 출력 토크와, 모터 회전축 또는 펌프 회전축에 회전속도센서를 장착하여 측정한 측정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모터의 축동력을 산출하여 모터 회전축과 펌프 회전축의 설계변경 없이 모터의 축동력과 펌프 효율 계산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펌프 효율 산출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펌프 효율 산출방법은, 모터로 기동되는 펌프의 펌프 효율 산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운전 정지시 상기 모터 권선의 평균 저항과, 상기 펌프의 흡입구 높이와 흡입구 직경과, 상기 펌프의 토출구 높이와 토출구 직경을 측정하는 펌프기동전 측정단계; 상기 펌프의 운전 동작시 상기 펌프의 후단측으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유량과, 상기 펌프 전단의 전단유체압력과 전단유체온도와, 상기 펌프 후단의 후단유체압력과 후단유체온도와,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순시 전압과 순시 전류와, 상기 모터의 모터회전속도를 측정하는 펌프운전중 측정단계; 상기 전단유체압력과 전단유체온도에 의해 상기 펌프 전단의 전단유체밀도를 산출하고, 상기 후단유체압력과 후단유체온도에 의해 상기 펌프 후단의 후단유체밀도를 산출하는 유체밀도 산출단계; 상기 토출유량과, 전단유체밀도와, 후단유체밀도에 의해 상기 펌프로 유입되는 유입유량을 산출하는 유입유량 산출단계; 상기 유입유량과 토출유량과, 흡입구 직경과, 토출구 직경에 의해 상기 펌프 흡입구의 흡입구 유체속도와, 상기 펌프 토출구의 토출구 유체속도를 산출하는 유체속도 산출단계; 상기 전단유체밀도와, 후단유체밀도와, 전단유체압력과, 후단유체압력과, 흡입구 높이와, 토출구 높이와, 흡입구 유체속도와, 토출구 유체속도와 중력가속도에 의해 상기 펌프의 펌프양정을 산출하는 펌프양정 산출단계; 상기 후단유체밀도와, 토출유량과, 펌프양정과 중력가속도에 의해 상기 펌프의 펌프 수동력을 산출하는 펌프수동력 산출단계; 상기 모터 권선의 평균 저항과,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순시 전압과 순시 전류에 의해 모터출력토크를 산출하는 모터출력토크 산출단계; 상기 모터출력토크와 모터회전속도에 의해 상기 모터의 모터 축동력을 산출하는 모터축동력 산출단계; 및 상기 펌프 수동력과 모터 축동력에 의해 상기 펌프의 펌프 효율을 산출하는 펌프효율 산출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펌프 효율 산출방법은 펌프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모터의 출력 토크를 검출하여, 방법을 적용하여 검출한 모터의 출력 토크를 이용함으로써, 펌프 효율 산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펌프 제작, 펌프 설치, 펌프 시운전, 펌프 유지보수 등의 과정에서 펌프의 효율뿐만 아니라 모터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모터와 펌프의 유지보수 시점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펌프 효율 산출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펌프 효율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센서들의 위치를 나타낸 펌프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펌프 효율 산출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펌프 효율 산출방법은, 펌프(10)의 운전 정지시 모터(20) 권선의 평균 저항(R)과, 펌프(10)의 흡입구 높이(h1)와 흡입구 직경(D1)과, 펌프(10)의 토출구 높이(h2)와 토출구 직경(D2)을 측정하는 펌프기동전 측정단계(S10)와, 펌프(10)의 운전 동작시 펌프(10)의 후단측으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유량(Q2)과, 펌프(10) 전단의 전단유체압력(P1)과 전단유체온도(T1)와, 펌프(10) 후단의 후단유체압력(P2)과 후단유체온도(T2)와, 모터(20)에 공급되는 순시 전압(V1, V2, V3)과 순시 전류(C1, C2, C3)와, 모터(20)의 모터회전속도(w)를 측정하는 펌프운전중 측정단계(S20)와, 전단유체압력(P1)과 전단유체온도(T1)에 의해 펌프(10) 전단의 전단유체밀도(ρ1)를 산출하고, 후단유체압력(P2)과 후단유체온도(T2)에 의해 펌프(10) 후단의 후단유체밀도(ρ2)를 산출하는 유체밀도 산출단계(S30)와, 토출유량(Q2)과, 전단유체밀도(ρ1)와, 후단유체밀도(ρ2)에 의해 펌프(10)로 유입되는 유입유량(Q1)을 산출하는 유입유량 산출단계(S40)와, 유입유량(Q1)과 토출유량(Q2)과, 흡입구 직경(D1)과, 토출구 직경(D2)에 의해 펌프(10) 흡입구의 흡입구 유체속도(Vin)와, 펌프(10) 토출구의 토출구 유체속도(Vout)를 산출하는 유체속도 산출단계(S50)와, 전단유체밀도(ρ1)와, 후단유체밀도(ρ2)와, 전단유체압력(P1)과, 후단유체압력(P2)과, 흡입구 높이(h1)와, 토출구 높이(h2)와, 흡입구 유체속도(Vin)와, 토출구 유체속도(Vout)와 중력가속도(g)에 의해 펌프(10)의 펌프양정(H)을 산출하는 펌프양정 산출단계(S60)와, 후단유체밀도(ρ2)와, 토출유량(Q2)과, 펌프양정(H)과 중력가속도(g)에 의해 펌프(10)의 펌프 수동력(Pwr_H)을 산출하는 펌프수동력 산출단계(S70)와, 모터(20) 권선의 평균 저항(R)과, 모터(20)에 공급되는 순시 전압(V1, V2, V3)과 순시 전류(C1, C2, C3)에 의해 모터출력토크(Tq)를 산출하는 모터출력토크 산출단계(S80)와, 모터출력토크(Tq)와 모터회전속도(w)에 의해 모터(10)의 모터 축동력(Pwr_M)을 산출하는 모터축동력 산출단계(S90)와, 펌프 수동력(Pwr_H)과 모터 축동력(Pwr_M)에 의해 펌프(10)의 펌프 효율(η_P)을 산출하는 펌프효율 산출단계(S100)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펌프 효율 산출방법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기동전 측정단계(S10)는 펌프(10)의 운전 정지시 모터(20) 권선의 평균 저항(R)과, 펌프(10)의 흡입구 높이(h1)와 흡입구 직경(D1)과, 펌프(10)의 토출구 높이(h2)와 토출구 직경(D2)을 측정한다.
펌프운전중 측정단계(S20)는 모터(10)에 3상의 교류전압을 인가하여 모터(10)를 기동시켜 펌프(10)가 운전 동작을 하게 되면, 펌프(10)의 후단측으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유량(Q2)과, 펌프(10) 전단의 전단유체압력(P1)과 전단유체온도(T1)와, 펌프(10) 후단의 후단유체압력(P2)과 후단유체온도(T2)와, 모터(20)에 공급되는 순시 전압(V1, V2, V3)과 순시 전류(C1, C2, C3)와, 모터(20)의 모터회전속도(w)를 측정한다.
펌프운전중 측정단계(S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0)와 유체가 저장된 탱크(30) 사이의 배관측, 즉 펌프(10)의 전단에는 배관을 통해 펌프(10) 전단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과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펌프(10)의 운전 동작시 압력센서와 온도센서에 의해 펌프(10) 전단의 유체압력인 전단유체압력(P1)과 유체 온도인 전단유체온도(T1)를 검출한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펌프(20) 후단에 압력센서와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펌프(10)의 운전 동작시 펌프(20) 후단의 후단유체압력(P2)과 후단유체온도(T2)를 검출한다.
또한, 펌프(20)의 후단의 배관측에 유량센서(Q)를 장착하여 유량센서(Q)에 의해 펌프(10)의 운전 동작시 펌프(10)의 후단측으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유량(Q2)을 검출하고, 모터(10)에는 3상의 교류전압이 인가되어 모터(10)가 기동되므로, 펌프(10)의 운전 동작시 3상의 교류전압의 순시치인 순시 전압(V1, V2, V3)과 각각의 순시 전압(V1, V2, V3)에 의한 순시 전류(C1, C2, C3)를 검출한다.
또한, 모터(20)의 회전축 또는 펌프(10)의 회전축에는 회전속도 센서를 장착하여 펌프(10)의 운전 동작시 모터(20)의 모터회전속도(w)를 검출한다.
유체밀도 산출단계(S30)는 전단유체압력(P1)과 전단유체온도(T1)를 이용하여 열역학적 상태량 표에 따라 펌프(10) 전단의 전단유체밀도(ρ1)를 산출하고, 후단유체압력(P2)과 후단유체온도(T2)를 사용하여 펌프(10) 후단의 후단유체밀도(ρ2)를 산출한다.
유입유량(Q1)은 토출유량(Q2) × (후단유체밀도(ρ2)/ 전단유체밀도(ρ1)) 이므로, 유입유량 산출단계(S40)는 토출유량(Q2)과, 전단유체밀도(ρ1)와, 후단유체밀도(ρ2)에 의해 펌프(10)로 유입되는 유입유량(Q1)을 산출한다.
토출구 유체속도(Vout)는 토출유량(Q2)/(π x 토출구 직경(D2)²/ 4)이고, 흡입구 유체속도(Vin)는 유입유량(Q1)/(π x 유입구 직경(D1)²/ 4)이므로, 유체속도 산출단계(S50)는 펌프(10) 흡입구의 흡입구 유체속도(Vin)와, 펌프(10) 토출구의 토출구 유체속도(Vout)를 각각 산출한다.
펌프양정(H)은 P2 / (ρ2 × g)- P1 / (ρ1 × g) + (h2-h1) + (Vin²+Vout²) / (2 × g)이므로, 펌프양정 산출단계(S60)는 전단유체밀도(ρ1)와, 후단유체밀도(ρ2)와, 전단유체압력(P1)과, 후단유체압력(P2)과, 흡입구 높이(h1)와, 토출구 높이(h2)와, 흡입구 유체속도(Vin)와, 토출구 유체속도(Vout)와 중력가속도(g)에 의해 펌프(10)의 펌프양정(H)을 산출한다.
펌프 수동력(Pwr_H)은 ρ2 × g × Q2 × H이므로, 펌프수동력 산출단계(S70)는 후단유체밀도(ρ2), 토출유량(Q2), 펌프양정(H), 중력가속도(g)에 의해 펌프(10)의 펌프 수동력(Pwr_H)을 산출한다.
모터출력토크 산출단계(S80)는 모터(20) 권선의 평균 저항(R)과, 모터(20)에 공급되는 순시 전압(V1, V2, V3)과 순시 전류(C1, C2, C3)에 의해 모터출력토크(Tq)를 산출한다.
모터 축동력(Pwr_M)은 모터출력토크(Tq)×모터회전속도(w)이므로, 모터축동력 산출단계(S90)는 모터 축동력(Pwr_M)을 산출한다.
펌프 효율(η_P)은 (펌프 수동력(Pwr_H)/모터 축동력(Pwr_M))×100 이므로, 펌프효율 산출단계(S100)는 펌프 효율(η_P)을 산출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펌프 효율 산출방법은 펌프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모터출력토크 산출단계(S80)에서 모터(20)의 모터출력토크(Tq)를 검출하고, 검출된 모터출력토크(Tq)에 의해 펌프효율 산출단계(S100)에서 펌프 효율(η_P)을 산출함에 따라 펌프 효율 산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확하게 산출된 펌프 효율(η_P)에 근거하여 펌프 제작, 펌프 설치, 펌프 시운전, 펌프 유지보수 등의 과정에서 펌프의 효율뿐만 아니라 모터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모터와 펌프의 유지보수 시점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Claims (1)

  1. 모터(20)로 기동되는 펌프(10)의 펌프 효율 산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프(10)의 운전 정지시 상기 모터(20) 권선의 평균 저항(R)과, 상기 펌프(10)의 흡입구 높이(h1)와 흡입구 직경(D1)과, 상기 펌프(10)의 토출구 높이(h2)와 토출구 직경(D2)을 측정하는 펌프기동전 측정단계(S10);
    상기 펌프(10)의 운전 동작시 상기 펌프(10)의 후단측으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유량(Q2)과, 상기 펌프(10) 전단의 전단유체압력(P1)과 전단유체온도(T1)와, 상기 펌프(10) 후단의 후단유체압력(P2)과 후단유체온도(T2)와, 상기 모터(20)에 공급되는 순시 전압(V1, V2, V3)과 순시 전류(C1, C2, C3)와, 상기 모터(20)의 모터회전속도(w)를 측정하는 펌프운전중 측정단계(S20);
    상기 전단유체압력(P1)과 전단유체온도(T1)에 의해 상기 펌프(10) 전단의 전단유체밀도(ρ1)를 산출하고, 상기 후단유체압력(P2)과 후단유체온도(T2)에 의해 상기 펌프(10) 후단의 후단유체밀도(ρ2)를 산출하는 유체밀도 산출단계(S30);
    상기 토출유량(Q2)과, 전단유체밀도(ρ1)와, 후단유체밀도(ρ2)에 의해 상기 펌프(10)로 유입되는 유입유량(Q1)을 산출하는 유입유량 산출단계(S40);
    상기 유입유량(Q1)과 토출유량(Q2)과, 흡입구 직경(D1)과, 토출구 직경(D2)에 의해 상기 펌프(10) 흡입구의 흡입구 유체속도(Vin)와, 상기 펌프(10) 토출구의 토출구 유체속도(Vout)를 산출하는 유체속도 산출단계(S50);
    상기 전단유체밀도(ρ1)와, 후단유체밀도(ρ2)와, 전단유체압력(P1)과, 후단유체압력(P2)과, 흡입구 높이(h1)와, 토출구 높이(h2)와, 흡입구 유체속도(Vin)와, 토출구 유체속도(Vout)와 중력가속도(g)에 의해 상기 펌프(10)의 펌프양정(H)을 산출하는 펌프양정 산출단계(S60);
    상기 후단유체밀도(ρ2)와, 토출유량(Q2)과, 펌프양정(H)과 중력가속도(g)에 의해 상기 펌프(10)의 펌프 수동력(Pwr_H)을 산출하는 펌프수동력 산출단계(S70);
    상기 모터(20) 권선의 평균 저항(R)과, 상기 모터(20)에 공급되는 순시 전압(V1, V2, V3)과 순시 전류(C1, C2, C3)에 의해 모터출력토크(Tq)를 산출하는 모터출력토크 산출단계(S80);
    상기 모터출력토크(Tq)와 모터회전속도(w)에 의해 상기 모터(10)의 모터 축동력(Pwr_M)을 산출하는 모터축동력 산출단계(S90); 및
    상기 펌프 수동력(Pwr_H)과 모터 축동력(Pwr_M)에 의해 상기 펌프(10)의 펌프 효율(η_P)을 산출하는 펌프효율 산출단계(S1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효율 산출방법.
KR1020160126072A 2016-09-30 2016-09-30 펌프 효율 산출방법 KR102141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72A KR102141888B1 (ko) 2016-09-30 2016-09-30 펌프 효율 산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72A KR102141888B1 (ko) 2016-09-30 2016-09-30 펌프 효율 산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037A true KR20180036037A (ko) 2018-04-09
KR102141888B1 KR102141888B1 (ko) 2020-08-06

Family

ID=6197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072A KR102141888B1 (ko) 2016-09-30 2016-09-30 펌프 효율 산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8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5311A (zh) * 2020-06-15 2020-09-22 哈尔滨电气动力装备有限公司 两相工况下核主泵随空泡份额的降级函数分析方法
CN114165471A (zh) * 2021-12-15 2022-03-11 上海交通大学 密布型轻量化造风装置及其实现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547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필드솔루션 펌프의 효율을 예측하는 방법
KR20240045505A (ko) 2022-09-30 2024-04-08 주식회사 필드솔루션 인공지능을 이용한 펌프 유량을 산출하는 엣지 컴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240045504A (ko) 2022-09-30 2024-04-08 주식회사 필드솔루션 인공지능 기반의 펌프 유량 탐지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832A (ko) 2008-01-25 2009-07-29 주식회사 재원엠앤에스 전동펌프 성능 시험장치
KR20140002294A (ko) * 2012-06-29 2014-01-08 해동엔지니어링(주) 펌프 효율 측정 시스템
KR20140023997A (ko) * 2011-04-19 2014-02-27 플로우서브 매니지먼트 컴퍼니 펌프의 성능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434919B1 (ko) * 2013-03-27 2014-08-28 주식회사 에스티 Wsn 기반 산업제조공정의 모터펌프설비 운전효율 분석시스템 및 분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832A (ko) 2008-01-25 2009-07-29 주식회사 재원엠앤에스 전동펌프 성능 시험장치
KR20140023997A (ko) * 2011-04-19 2014-02-27 플로우서브 매니지먼트 컴퍼니 펌프의 성능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2294A (ko) * 2012-06-29 2014-01-08 해동엔지니어링(주) 펌프 효율 측정 시스템
KR101434919B1 (ko) * 2013-03-27 2014-08-28 주식회사 에스티 Wsn 기반 산업제조공정의 모터펌프설비 운전효율 분석시스템 및 분석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5311A (zh) * 2020-06-15 2020-09-22 哈尔滨电气动力装备有限公司 两相工况下核主泵随空泡份额的降级函数分析方法
CN111695311B (zh) * 2020-06-15 2023-12-05 哈尔滨电气动力装备有限公司 两相工况下核主泵随空泡份额的降级函数分析方法
CN114165471A (zh) * 2021-12-15 2022-03-11 上海交通大学 密布型轻量化造风装置及其实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888B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6037A (ko) 펌프 효율 산출방법
CN101627532B (zh) 一种控制方法和电动机启动器设备
US10066631B2 (en) Direct power control for constant airflow control
US20110223038A1 (en) Controller-integrated motor pump
CN107762954B (zh) 通风机的体积流量控制方法
BRPI1007672B1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determinar e/ou monitorar um ponto de operação de uma máquina de trabalho e/ou de um motor assíncrono que a aciona o último
Gevorkov et al. Simulink based model for flow control of a centrifugal pumping system
US11035337B2 (en) Hydroelectric system
EP2657499B1 (en) Fluid supply device
JP2010025042A (ja) ポンプ流量推定システムおよびポンプ流量推定方法
EP4006362B1 (en) Hydraulic unit
US74549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hydraulic flow rate in a pump driven by a synchronous electric motor
Tarhan et al. Determination and functional implementation of operating point of a centrifugal pump with BLDC motor
CN106685300A (zh) 工业计量泵专用数字变频控制器的动态补偿方法
Safin et al. Interpolation and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a synchronous reluctance electric drive at various load points of a fan profile
JP2013096284A (ja) 遠心式電動送風機
JP6759392B2 (ja) 給水装置
JP6665232B2 (ja) 給水装置
US20110056710A1 (en) Method of Operating a Servo Motor in a Fire-Extinguishing System
AU2015400261B2 (en) Determining the phase composition of a fluid flow
JPH10205483A (ja) ポンプの推定末端圧力一定制御装置
EP2910787A1 (en) Water supply device
US20230175515A1 (en) Method of setting up an electrical motor speed control in a fluidic system
KR20150102628A (ko) Bldc모터를 장착한 펌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RU2498116C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урбоагрегат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