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012A -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012A
KR20180036012A KR1020160126018A KR20160126018A KR20180036012A KR 20180036012 A KR20180036012 A KR 20180036012A KR 1020160126018 A KR1020160126018 A KR 1020160126018A KR 20160126018 A KR20160126018 A KR 20160126018A KR 20180036012 A KR20180036012 A KR 20180036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ompressed air
backrest
blower
dischar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상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6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6012A/ko
Publication of KR20180036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좌대; 상기 좌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기립상태로 설치되고,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등받이;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내장되고, 상기 좌대의 하부 및 상기 등받이의 후방을 차폐하는 하드케이스; 및 상기 하드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를 통풍시키는 블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블로워는, 서로 상이한 유량의 압축공기를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로 제각기 양분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로워를 통해 필요에 따라 좌대나 등받이 중 어느 한곳에 보다 많은 양의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SEAT-VENTILATION SYSTE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좌대 및 등받이에 제각기 통풍용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에어컨과 히터로 이루어진 냉난방 장치가 구비되어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냉난방 장치에는 자동차 시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하절기인 경우에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에어컨을 가동시켜 실내의 온도를 낮춘다 하더라도, 시트는 상대적으로 냉각이 늦어질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체온이 작용하므로,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에 땀이 차서 땀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절기인 경우에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히터를 가동시켜 실내의 온도를 높인다 하더라도, 히터 가동 전까지의 시간 동안 시트가 차가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탑승자는 엉덩이와 등을 통해 한기나 추위를 느끼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동차 생산시 시트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냉난방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기도 한다.
이는 통상 자동차의 공조시스템에 연결된 공기 공급 파이프를 자동차 시트에 내장하여, 상기 공조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공기 공급 파이프를 통하여 자동차 시트의 표면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냉난방 장치가 구비된 종래의 통풍시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통풍시트는 공기 토출구(1a)가 형성된 시트패드(1)의 전면에 스펀지 패드(2)가 결합되고, 상기 스펀지패드(2)를 포함한 시트패드(1)를 시트커버(미도시)가 감싸서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패드(1)에는 공기 토출구(1a)와 연결된 가이드홈(1b)이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홈(1b)은 공기의 흐름을 시트패드(1)의 상,하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통풍시트는 탑승자의 착좌시 그 하중이 과도하게 작용하게 되는 경우 시트의 스펀지패드(2)가 가압되며(도 2의 화살표 F1), 그 하부에 위치한 공기 토출구(1a) 및 가이드홈(1b)과 같은 통풍 유로가 무너지면서 통풍시트의 통기 성능을 현저하게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차용 통풍시트는 탑승자의 착좌시, 시트패드(1) 및 스펀지패드(2)로 구성된 좌대(10)로는 통기가 원활하지 못하고, 등받이(20)로는 원활하게 통기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통풍시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에 내장되어 압축공기를 좌대(10) 및 등받이(20)를 통해 좌대 통기공(10a) 및 등받이 통기공(20a)으로 공급하는 블로워(30)가, 이론상 좌대(10) 및 등받이(20)에 대략 60 : 40의 비율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좌대 토출구(31) 및 등받이 토출구(33)를 통해 압축공기를 동일한 유량으로 분할하여 공급한다. 하지만, 시트는 착좌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10)보다 등받이(20)로 압축공기가 더 많이 공급되어 좌대(10) 및 등받이(20)에 압축공기가 대략 30 : 70의 비율로 공급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자동차용 통풍시트는 불쾌감이 더 높은 좌대(10)로 더 많은 압축공기를 공급해야 하지만 등받이(20)로 더 많은 압축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탑승자가 사실상 시트 통풍에 의한 온도저하를 체감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KR 20-2016-25096 (공개특허)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좌대 및 등받이에 서로 상이한 비율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좌대 및 등받이의 상태에 적합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좌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량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좌대로 등받이보다 더 많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좌대 및 등받이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효율적인 분배를 통해 사용전압을 낮출 수 있고, 작동시의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좌대; 상기 좌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기립상태로 설치되고,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등받이;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내장되고, 상기 좌대의 하부 및 상기 등받이의 후방을 차폐하는 하드케이스; 및 상기 하드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를 통풍시키는 블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블로워는, 상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팬이 내장되고,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로 상기 팬의 압축공기를 제각기 공급하는 좌대 토출구 및 등받이 토출구가 양측에 제각기 마련되며, 상기 팬으로 외부의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구를 갖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좌대 토출구 및 상기 등받이 토출구를 통해 서로 상이한 유량의 압축공기를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로 제각기 양분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등받이 토출구 및 상기 좌대 토출구의 단면적 중 어느 하나가 더 크게 형성되어 비대칭으로 단면적이 형성됨에 따라 서로 상이한 유량의 압축공기를 양분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등받이 토출구보다 상기 좌대 토출구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좌대로 압축된 공기가 더 많이 제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좌대 토출구 및 상기 등받이 토출구 중 어느 하나의 내경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됨에 따라 단면적이 감소되고, 감소된 단면적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를 교축하여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로워는, 상기 좌대 토출구 또는 상기 등받이 토출구를 구성하는 토출구의 벽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내경이 협소하게 형성되면서 단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상기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좌대 토출구보다 상기 등받이 토출구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로 압축된 공기가 더 많이 제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대 및 상기 블로워는, 상기 통기공의 수량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대는, 상기 등받이보다 더 많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등받이보다 상기 통기공가 더 많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블로워의 케이스에 구비된 좌대 토출구 및 등받이 토출구가 서로 상이한 유량으로 압축공기를 제각기 송풍하므로 필요시 좌대나 등받이 중 어느 쪽에 더 많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블로워의 케이스에 구비된 등받이 토출구나 좌대 토출구의 단면적을 통해 좌대나 등받이로 공급되는 블로워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좌대 토출구나 등받이 토출구의 유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좌대 토출구의 단면적이 등받이 토출구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어 좌대로 압축공기를 더 많이 공급하도록 구성될 경우, 종래에 비해 좌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량을 증량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석시에도 좌대에 충분한 압축공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좌대를 원활하게 통풍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트의 온도를 신속하게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좌대 토출구 또는 등받이 토출구가 출구측으로 갈수록 병목과 같은 상태로 단면적이 감소됨에 따라 압축공기를 교축시켜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단면적의 감소에 의해 실질적으로 압축공기의 유량이 감소되어도 원활하게 압축공기를 좌대나 등받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좌대 및 등받이에 형성된 통기공의 수량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됨에 따라 좀더 많은 양의 압축공기가 필요한 부분에 좀더 원활하게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좌대의 통기공이 등받이보다 많이 형성될 경우 좌대 토출구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좌대의 온도를 좀더 효율적으로 강하시킬 수 있다.
아울러, 좌대 및 등받이의 착좌특성에 알맞게 압축공기가 분배되므로 블로워의 효율적인 구동이 가능함에 따라 블로워의 작동전압 및 작동시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시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시트의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시트의 통풍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에 적용된 블로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이 적용된 시트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적용된 블로워의 사시도; 및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케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10), 등받이(20) 및 블로워(50)를 포함한다.
좌대(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기공(10a)이 형성된다.
좌대(10)는 탑승자가 착좌하도록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유로를 갖는 시트패드 및 스펀지패드가 설치된다.
등받이(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10)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기립상태로 설치된다.
등받이(20)는 좌대(10)와 동일하게 시트패드 및 스펀지패드가 설치되며, 다수의 통기공(20a)이 형성된다.
블로워(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좌대(10) 및 등받이(20)에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블로워(50)는 미도시된 통상의 덕트를 통해 좌대(10) 및 등받이(2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블로워(50)는 좌대(10) 및 등받이(20)를 통풍시킨다.
하드케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10)의 하부 및 등받이(20)의 후방을 차폐하는 통상의 플라스틱 커버이다.
그리고, 하드케이스는 좌대(10) 및 등받이(20)를 지지하는 통상의 금속재 프레임이 내장된다.
이러한 하드케이스 및 프레임에 대해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블로워(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팬 및 케이스로 구성된다.
팬은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압축공기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팬은 예컨대, 원통형의 시로코팬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10) 및 등받이(20)로 팬의 압축공기를 제각기 공급하는 좌대 토출구(51) 및 등받이 토출구(53)가 양측에 제각기 마련된다.
그리고, 케이스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팬으로 외부의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급기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51, 53)과 직교하는 케이스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는 후술되는 하드케이스에 전술한 덕트와 함께 내장되어 은폐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블로워(50)는 압축공기를 서로 상이한 유량으로 양분하여 좌대(10) 및 등받이(20)에 공급한다.
블로워(50)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등받이 토출구(53)보다 좌대 토출구(51)의 단면적(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좌대(10)로 압축된 공기가 더 많이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블로워(50)는 좌대 토출구(51) 및 등받이 토출구(5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대략 70 : 30의 비율로 토출되도록 좌대 토출구(51) 및 등받이 토출구(53)의 단면적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블로워(50)는 좌대(10)에 비대칭적으로 더 많은 양의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이와 달리, 블로워(50)는 등받이 토출구(53)의 단면적이 좌대 토출구(51)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어 등받이(20)로 더 많은 양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등받이(20)는 착용자가 착석하여도 좀더 많은 양의 압축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원활하게 공기를 배출하여 착좌 온도를 강하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블로워(50)는 좌대 토출구(51) 또는 등받이 토출구(53)의 단면적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블로워(50)는 좌대 토출구(51) 또는 등받이 토출구(53)를 구성하는 유로의 형상이 거꾸로된 나팔관과 같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브로워(50)는 좌대 토출구(51) 또는 등받이 토출구(53)의 형상을 출구측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도록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블로워(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 토출구(51) 또는 등받이 토출구(53)를 형성하는 케이스의 벽두께, 즉 좌대 토출구(51) 또는 등받이 토출구(53)의 벽두께가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짐에 따라 출구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블로워(50)는 좌대 토출구(51) 또는 등받이 토출구(53)의 외관을 대칭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반면, 내부의 형상을 비대칭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로워(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대 토출구(51) 또는 등받이 토출구(53)의 벽두께를 점차 두껍게 형성하여 단면적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대 토출구(51) 또는 등받이 토출구(5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출구측이 협소하게 형성될 경우 압축공기를 교축하여 토출할 수 있다.
즉, 좌대 토출구(51) 또는 등받이 토출구(53)는 출구측으로 갈수록 병목과 같은 상태로 단면적이 감소됨에 따라 압축공기를 교축시켜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단면적의 감소에 의해 실질적으로 압축공기의 유량이 감소되어도 원활하게 압축공기를 좌대(10)나 등받이(20)로 공급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좌대(10) 및 등받이(20)는 통기공(10a, 20a)의 수량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좌대(10)가 등받이(20)보다 통기공(10a)가 더 많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좌대(10)는 등받이(20)보다 더 많은 양의 압축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하며, 전술한 좌대 토출구(51)에 의해 압축공기의 공급량이 증가하여도 압축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한다.
이와 달리, 등받이(20)가 좌대(10)보다 통기공(20a)가 더 많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등받이(20)는 좌대(10)보다 더 많은 양의 압축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전술한 등받이 토출구(53)에 의해 압축공기의 공급량이 증가하여도 압축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에 있어서 좌대 토출구(51)의 단면적이 등받이 토출구(53)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것과 좌대(10)의 통기공(10a)이 등받이(20)의 통기공(20a)보다 더 많이 형성된 것만을 그 예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블로워(50)의 작동에 의해 압축공기가 좌대(10) 및 등받이(20)로 공급된다. 즉, 블로워(50)는 팬을 작동시켜서 케이스의 급기구로 급기되는 공기를 압축하여 좌대 토출구(51) 및 등받이 토출구(53)로 토출한다.
이때, 블로워(50)는 좌대 토출구(51)의 단면적이 등받이 토출구(53)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좌대 토출구(51)로 더 많은 양, 즉 등받이 토출구(53)보다 약 2배 이상의 압축공기를 토출한다.
하지만, 좌대(10)는 착좌로 인하여 다수의 통기공(10a)이 폐쇄되므로 도 5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20)와 거의 유사한 정도로 압축공기가 배출된다.
따라서, 좌대(10)는 더 많은 압축공기가 공급되면서 착좌에 의해 다소 압축공기가 손실되어도 등받이(20)와 거의 유사한 정도의 압축공기가 배출되므로 충분히 착좌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을 정도로 통풍된다.
한편, 전술한 등받이 토출구(53)는 출구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됨에 따라 압축공기를 교축하여 등받이(20)에 공급한다.
이때, 압축공기는 교축작용에 의해 다소 압력이 높이짐에 따라 좀더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등받이(20)에 공급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좌대(10)보다 등받이(20)에 좀더 적은 양의 압축공기가 공급되어도 이를 크게 느끼지 못한다.
다른 한편, 좌대(10)에 등받이(20)보다 통기공(10a)가 더 많이 형성될 경우, 좌대(10)는 블로워(50)의 좌대 토출구(51)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충분히 배출한다.
또한, 좌대(10)는 더 많은 통기공(10a)로 인하여 일부의 통기공(10a)가 착좌에 의해 폐쇄되어도 나머지 통기공(10a)를 통해 충분히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착좌 온도를 좀더 하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은, 디스트리뷰터가 블로워의 압축공기를 좌대로 더 많이 공급하므로 좌대의 착석시에도 충분한 압축공기를 제공하여 좌대를 통풍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트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블로워의 좌대 토출구 단면적이 등받이 토출구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디스트리뷰터가 구성되므로 좌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량을 종래에 비해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좌대측 공급량을 증량할 수 있다.
또, 등받이 토출구가 출구측으로 갈수록 병목과 같은 상태로 단면적이 감소되어 압축공기를 교축시켜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압축공기의 유량이 감소되어도 원활하게 압축공기를 등받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좌대의 통기공이 등받이보다 많이 형성됨에 따라 좌대 토출구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좌대의 온도를 좀더 효율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아울러, 좌대 및 등받이의 착좌특성에 알맞게 압축공기가 분배되므로 블로워의 효율적인 구동이 가능함에 따라 블로워의 작동전압 및 작동시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좌대
20: 등받이
10a, 20a: 통기공
50: 블로워
51: 좌대 토출구
53: 등받이 토출구

Claims (7)

  1.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좌대;
    상기 좌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기립상태로 설치되고,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등받이;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내장되고, 상기 좌대의 하부 및 상기 등받이의 후방을 차폐하는 하드케이스; 및
    상기 하드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를 통풍시키는 블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블로워는,
    상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팬이 내장되고,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로 상기 팬의 압축공기를 제각기 공급하는 좌대 토출구 및 등받이 토출구가 양측에 제각기 마련되며, 상기 팬으로 외부의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구를 갖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좌대 토출구 및 상기 등받이 토출구를 통해 서로 상이한 유량의 압축공기를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로 제각기 양분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등받이 토출구 및 상기 좌대 토출구의 단면적 중 어느 하나가 더 크게 형성되어 비대칭으로 단면적이 형성됨에 따라 서로 상이한 유량의 압축공기를 양분하여 공급하는 것을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등받이 토출구보다 상기 좌대 토출구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좌대로 압축된 공기가 더 많이 제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좌대 토출구 및 상기 등받이 토출구 중 어느 하나의 내경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됨에 따라 단면적이 감소되고, 감소된 단면적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를 교축하여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좌대 토출구보다 상기 등받이 토출구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로 압축된 공기가 더 많이 제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 및 상기 블로워는,
    상기 통기공의 수량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는,
    상기 등받이보다 더 많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등받이보다 상기 통기공가 더 많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KR1020160126018A 2016-09-30 2016-09-30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KR20180036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18A KR20180036012A (ko) 2016-09-30 2016-09-30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18A KR20180036012A (ko) 2016-09-30 2016-09-30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012A true KR20180036012A (ko) 2018-04-09

Family

ID=6197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018A KR20180036012A (ko) 2016-09-30 2016-09-30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60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852140U (zh) 车辆座椅总成及车辆
JP6845867B2 (ja) 高アスペクト比通気口を有する熱システム
JP4469390B2 (ja) 車両用シート
US9533609B2 (en) Vehicle seat with a ventilating device
JP200421574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1341518A (ja) 車両用空調装置
US10744915B2 (en) Ventilated seat
JP2007520288A (ja) 車両シート
CN104723834B (zh) 用于车辆的空气调节装置
JP200720379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6264550A (ja) パームレスト部の構造
JP2018043727A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9044184A1 (ja) 後席用送風装置
US20090127894A1 (en) Vehicle Seat with a Ventilation Device
KR100778593B1 (ko) 자동차용 냉난방 통풍시트의 열전소자 장착구조
JP493551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01077B1 (ko) 차량의 시트 하부 통풍 장치
KR20180036012A (ko)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US20180126819A1 (en) Motor Vehicle
KR100836349B1 (ko) 헤드라이닝에 설치된 에어 벤틸레이터 덕트 구조
JP2006137362A (ja) 座席用空調装置
US9469228B2 (en) Seat climate control assembly and seat employing the same
JP5176588B2 (ja) シート送風装置
JP2018024342A (ja) 車両用コンソール
KR101251137B1 (ko) 차량 시트의 냉난방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