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375A -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375A
KR20180035375A KR1020160125359A KR20160125359A KR20180035375A KR 20180035375 A KR20180035375 A KR 20180035375A KR 1020160125359 A KR1020160125359 A KR 1020160125359A KR 20160125359 A KR20160125359 A KR 20160125359A KR 20180035375 A KR20180035375 A KR 20180035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er
uni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성현
박재걸
김형우
임상섭
박판종
최창영
김남돈
강광운
한만교
Original Assignee
(주)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25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5375A/ko
Priority to PCT/KR2016/014221 priority patent/WO2018062626A1/ko
Publication of KR2018003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7/3086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의 다양한 센서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데이터를 측정시점(언제), 측정장소(어디서), 측정주체(누가), 측정대상(무엇을), 측정방법(어떻게), 측정장비(어떻게), 측정목적(왜)의 육하원칙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어떤 센서장치에 의한 측정데이터도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 중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센서장치 각각의 고유값인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에 대해서는 식별정보로 저장하고, 각 식별정보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하여 식별자에 의해 측정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종 도메인에 대한 지식체계, 용어체계의 학습 없이도 신속하고 정확한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A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Obtaining Measurement Data between Heterogeneous Domains of Io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의 다양한 센서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데이터를 측정시점(언제), 측정장소(어디서), 측정주체(누가), 측정대상(무엇을), 측정방법(어떻게), 측정장비(어떻게), 측정목적(왜)의 육하원칙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어떤 센서장치에 의한 측정데이터도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 중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센서장치 각각의 고유값인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에 대해서는 식별정보로 저장하고, 각 식별정보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하여 식별자에 의해 측정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종 도메인에 대한 지식체계, 용어체계의 학습 없이도 신속하고 정확한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란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하는데, 기존의 유선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로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한다. 사물인터넷은 정보의 처리에 사람의 개입이 필요하지 않아 정보처리의 정확성 및 경제성을 구현할 수 있어 최근 널리 각광받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스마트폼, 교통통제, 보안관리, 환경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기능이 확장되고 있으며, 그 기반이 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에 대한 고도화 요과 또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최근 빅데이터 기술의 확산 추세와 맞물리면서 도 1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 플랫폼 위주의 수직적 모델에서 도 1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랫폼이 상호 통합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평적 모델로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복수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수의 장치, 센서 등이 사물인터넷에 연결되어 다수의 플랫폼을 통합하여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392868호(2014. 04. 30. 등록)"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그러나 이종 도메인(플랫폼)의 통합이 가능하도록 최근 개발되는 사물인터넷의 플랫폼들은 네트워크의 통합 및 확장에 그 기능이 중점되어 있고, 각 도메인간의 데이터 교환이나 획득에 관해서는 업데이트 버전, 용량 정보 등 기본적인 정보의 조회만이 가능한 상황이다. 특히, 사물인터넷의 필수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는 센서장치는 사물인터넷의 수평적 모델로의 진화와 함께 다양한 도메인을 갖는 장치가 하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에 포함되는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어야만 통합적인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각각의 도메인은 자원의 계층구조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이종 도메인간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각 도메인의 자원체계와 용어체계를 모두 학습하고 각 도메인별로 정보를 검색하여 획득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의 검색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얻을 수 없어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각 센서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데이터에 관하여 이종 도메인 간의 데이터에 관해서도 신속한 검색과 획득, 교환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센서장치가 결합된 통합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랫폼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종 도메인에 대한 지식체계, 용어체계의 학습 없이도 신속한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하는 측정데이터를 정확하고 신속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식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정확한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육하원칙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센서장치에 의한 어떠한 측정데이터도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확한 식별자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센서 장치에 관한 등록 및 식별자의 지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센서 장치의 변동에 따른 식별정보의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식별정보에 따른 정확한 검색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효한 식별정보에 대한 검색정보의 입력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은 다수의 센서장치에 의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데이터획득부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매칭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측정데이터관리부와;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에 의하여 저장되는 데이터에 관한 식별정보와 식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식별자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식별자관리부와;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에 검색정보를 제공하고, 검색되는 측정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는 상기 식별자관리부에 의해 설정된 식별자를 측정데이터와 함께 저장하여, 식별자에 의한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는 다수의 센서장치에 의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측정시간, 측정위치와 함께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의해 저장되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를 측정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도록 하는 식별자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저장부는 측정데이터의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저장부는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의해 저장되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식별자관리부로 전송하는 식별정보전송모듈과, 상기 식별자관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식별정보에 관한 식별자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자수신모듈과, 상기 식별자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식별자를 해당 측정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도록 하는 식별자정보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는 상기 데이터획득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검색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측정데이터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측정데이터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데이터제공부는 상기 데이터획득부로부터 측정데이터에 관한 검색정보를 수신하는 검색정보수신부와, 상기 검색정보수신부에 의하여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식별자관리부에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자획득부와, 상기 검색정보수신부 및 식별자획득부에 의해 수신된 검색정보 및 식별자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측정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검색부와, 상기 데이터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측정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획득부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색정보수신부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모듈과,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모듈과,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시간정보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검색부는 상기 위치정보수신모듈 및 시간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따른 검색조건을 지정하여 질의를 생성하는 질의생성모듈과, 상기 식별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식별자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식별자정보를 상기 질의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질의에 삽입하는 식별자삽입모듈과, 상기 질의생성모듈 및 식별자삽입모듈에 의해 생성된 질의에 따른 측정데이터 검색을 실시하는 질문수행모듈과, 상기 질문수행결과에 의해 검색된 측정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매칭데이터획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검색부는 상기 검색정보수신부에 의해 측정데이터의 시간정보, 위치정보만이 수신된 경우 질의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질의만으로 질문수행모듈이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검색정보수신부에 의해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만이 수신된 경우 상기 식별자삽입모듈에 의해 삽입된 질의만으로 질문수행모듈을 실행하도록 하며, 상기 검색정보수신부에 의해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 시간정보, 위치정보가 모두 수신된 경우 상기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따라 생성된 질의에 상기 식별자삽입모듈에 의한 식별자를 삽입하여 질문수행모듈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관리부는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에 의해 전송되는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식별자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식별자검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검색부는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에 의해 전송되는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모듈과, 상기 식별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식별자정보를 검색하는 매칭식별자검색모듈과, 상기 매칭식별자검색모듈에 의해 검색되는 식별자를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로 전송하는 식별자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관리부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식별정보등록부와, 상시 식별정보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식별정보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하여 저장하는 식별자지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정보등록부는 센서장치의 소유주체, 관리주체에 관한 측정주체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측정주체등록모듈과, 강우량, 유속, 풍향과 같은 측정대상정보를 등록하는 측정대상등록모듈과, 측정방법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측정방법등록모듈과, 측정장비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측정장비등록모듈과, 측정목적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측정목적등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식별자지정부는 상기 식별정보등록부에 의해 등록되는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에 관한 각각의 식별자를 지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관리부는 상기 식별정보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식별정보를 데이터획득부로 제공하는 식별정보제공부와, 상기 식별정보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제공하는 유효정보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획득부는 상기 식별정보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부와, 상기 식별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식별정보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정보표시부는, 상기 식별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식별정보의 목록을 표시하는 식별정보목록표시모듈과, 상기 식별정보목록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각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표시하는 유효여부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획득부는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에 의해 저장된 측정데이터를 검색할 검색정보를 입력하는 검색정보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정보입력부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식별정보입력모듈과, 측정위치정보를 입력하는 위치정보입력모듈과, 측정시간정보를 입력하는 시간정보입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식별정보입력모듈은 상기 식별정보제공부 및 유효정보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갱신되는 식별정보의 목록을 제공하여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플랫폼 전체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측정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종 도메인에 대한 지식체계, 용어체계의 학습 없이도 신속한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측정데이터의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과 같은 식별정보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하여 측정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측정데이터를 정확하고 신속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식별자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획득부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정보에 따라 측정데이터관리부에 의해 저장된 측정데이터를 검색하여 데이터획득부에 제공하도록 하고, 측정데이터관리부는 데이터획득부에 의해 식별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식별자관리부로부터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정보를 제공받아 측정데이터의 검색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식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를 검색정보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위치정보, 시간정보에 따른 검색조건을 지정하여 질의를 생성하도록 하며, 검색정보로 식별정보가 입력될 경우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를 질의에 삽입하여 질의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식별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검색정보로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만이 제공되는 경우 식별자의 획득없이 측정데이터를 검색하도록 하고, 검색정보로 식별정보만이 제공되는 경우 식별자를 획득하여 식별자에 대한 측정데이터 전체가 검색될 수 있도록 하며, 검색정보로 위치정보, 시간정보, 식별정보가 함께 제공되는 경우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획득 후, 위치정보, 시간정보, 식별자에 의한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측정데이터관리부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매칭되는 식별자를 검색, 제공하는 식별자관리부를 포함하여, 정확한 식별자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식별정보등록부와,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를 지정하여 저장하는 식별자지정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센서 장치에 관한 등록 및 식별자의 지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센서 장치의 변동에 따른 식별정보의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별정보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식별정보를 데이터획득부로 제공하여 식별정보에 따른 검색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별정보의 제공과 함께 식별정보의 유효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유효한 식별정보에 대한 검색정보의 입력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진화 동향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식별정보등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2의 식별자검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2의 식별정보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2의 데이터저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2의 식별자저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2의 측정데이터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8의 검색정보수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8의 식별자획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8의 데이터검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2의 식별정보수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2의 식별정보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2의 검색정보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도 2의 검색데이터수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관리시스템의 데이터 획득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자원관리시스템은 다수의 센서장치에 의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데이터획득부(5)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매칭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측정데이터관리부(3)와;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의하여 저장되는 데이터에 관한 식별정보와 식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식별자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식별자관리부(1)와;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검색정보를 제공하고, 검색되는 측정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획득부(5);를 포함한다.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빅데이터 기술 확산과 함께 다양한 플랫폼(도메인)을 통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개발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기능에 치중되어 있으며, 데이터의 통합에 관해서는 아주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개발되는 플랫폼의 확장이 가능한 플랫폼 기술에 의하더라도 각 플랫폼(도메인)은 각자의 자유로운 계층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도메인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각 도메인의 지식체계, 용어체계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며, 데이터를 찾기 위해 각 도메인의 체계를 학습하고 각 도메인별로 데이터를 검색해야 하므로 데이터의 활용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의 필수구성요소인 센서장치는 복수 플랫폼의 통합과 함께 다양한 센서 장치가 하나의 사물인터넷 내에 포함되며, 이에 따라 각각 다른 도메인을 갖는 센서 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획득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센서 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데이터는 측정시간, 측정장소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값을 가지게 되며,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를 갖게 되므로, 이종의 도메인에 대해 측정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사물인터넷의 데이터 활용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의 센서 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데이터를 위치정보, 시간정보와 함께 저장되도록 하면서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을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메타데이터)로 활용하도록 하고,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를 측정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도록 하여 식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측정데이터의 시간(언제), 위치(어디서), 측정주체(누가), 측정대상(무엇을), 측정방법(어떻게), 측정장비(어떻게), 측정목적(왜)은 육하원칙에 따라 측정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값으로 사용되며, 측정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조건으로 사용되도록 하여, 모든 센서 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데이터 값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측정시간, 위치에 관한 정보는 시시각각 변하는 정보이므로, 측정데이터와 함께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도록 하고, 측정주체, 대상, 방법, 장비, 목적에 대한 정보는 변하지 않는 정보이므로 식별정보로 관리되어 효율적인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관리부(1)는 측정데이터에 관한 식별정보와 식별자정보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을 식별정보로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관리부(1)에 의해 관리되는 식별정보는 측정데이터에 관한 속성정보로 관리되어 식별정보에 따라 측정데이터가 저장되고 식별정보의 입력을 통해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센서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데이터는 각각이 독립된 상황에 대한 정보이며, 독립된 상황에 관한 정보인 측정데이터를 육하원칙에 의해 표현하여 저장하고 검색하도록 함으로써 측정데이터에 관한 정확한 검색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관리부(1)에서 식별정보로 설정되는 측정주체, 대상, 방법, 장비, 목적에 관한 정보는 시시각각 변하는 시간정보, 위치정보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며, 이미 정해진 값으로 서로 통일된 값으로 저장되어 관리될 필요가 있다. 만약 측정주체, 대상, 방법, 장치, 목적과 같은 정보가 속성정보로 통일되어 관리되지 못할 경우, 동일한 속성의 데이터 값들을 한번에 찾아낼 수 없고, 각 도메인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학습하여 각각의 검색을 실시해야 하는바, 검색효율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별자관리부(1)는 센서 장치에 의하여 측정되는 측정데이터에 대한 식별정보를 통일시켜 관리되도록 하고, 식별정보에 따라 저장 및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종 도메인을 통합한 사물인터넷 플랫폼에서도 학습이나 반복적 검색의 필요 없이 원하는 측정데이터를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식별자관리부(1)는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정보를 제공하여 식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며, 데이터획득부(5)에 식별정보에 관한 목록을 제공하여 데이터 이용자가 원하는 식별정보를 선택하여 측정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관리부(1)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식별정보등록부(11)와, 상시 식별정보등록부(11)에 의해 등록된 식별정보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하여 저장하는 식별자지정부(13)와,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의해 전송되는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식별자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식별자검색부(15)와, 상기 식별정보등록부(11)에 의해 등록된 식별정보를 데이터획득부(5)로 제공하는 식별정보제공부(17)와, 상기 식별정보제공부(17)에 의해 제공되는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제공하는 유효정보제공부(19)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정보등록부(11)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관리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식별정보를 분류하여 등록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센서장치의 추가, 제거, 변경 등에 의해 식별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변경되는 식별정보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별정보에 의해 측정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이 항상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별정보등록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주체를 등록하는 측정주체등록모듈(111), 측정대상을 등록하는 측정대상등록모듈(112), 측정방법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측정방법등록모듈(113), 측정장비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측정장비등록모듈(114), 측정목적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측정목적등록모듈(115)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주체등록모듈(111)은 센서장치의 소유주체, 관리주체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측정데이터의 주체에 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도메인이 통합되는 사물인터넷에 있어 동일한 소유주체, 관리주체에 관한 정보는 동일한 명칭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측정데이터의 측정주체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데이터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측정주체에 의한 센서 장치가 사용되더라도 특정 주체에 의한 측정데이터를 한번에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정대상등록모듈(112)은 센서장치의 측정대상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강우량, 유속, 풍속 등 환경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도록 할 수 있고, 측정의 대상이 되는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든 등록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측정대상등록모듈(112)은 측정대상에 대해 시스템 전체에 동일한 명칭을 사용함으로써 측정대상에 대한 신속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정방법등록모듈(113)은 측정방법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센서장치의 측정방법, 예를 들어 레이더, 압력감지 등의 정보를 등록하도록 한다. 상기 측정방법등록모듈(113)은 측정방법을 분류하여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도록 등록하며, 이에 따라 측정방법에 의한 다양한 측정데이터들이 한번에 검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정장비등록모듈(114)은 센서장치의 장비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장치의 모델명을 등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장치를 구별하고 분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정목적등록모듈(115)은 측정의 목적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하천감시, 산불감시와 같은 목적을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정목적등록모듈(115)은 측정목적에 대하여 통일된 용어를 사용하여 각각의 데이터가 등록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측정목적에 대한 다양한 센서장치의 측정데이터를 한번에 검색하여 찾아낼 수 있다.
상기 식별자지정부(13)는 상기 식별정보등록부(11)에 의해 등록된 각 식별정보의 식별자를 지정하는 구성으로, 각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에 관한 식별자를 지정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사물인터넷 플랫폼에서 데이터의 검색 및 획득은 기본적으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형식의 '주소지정방식'이 이용되는데, 이와 같은 경로 URI에 검색조건을 부가하여 시스템에 질의함으로써 데이터의 검색 및 획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지정부(13)에 의하여 지정되는 식별자는 각 식별정보에 의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측정데이터에 부여되어 자원명으로 저장되고, 측정데이터의 검색시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를 질의에 삽입하여 질문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식별자에 매칭되는 정보들이 검색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각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측정데이터들이 검색될 수 있다.
상기 식별자검색부(15)는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의해 전송되는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식별자를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식별자지정부(13)에 의해 지정된 식별자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검색부(15)는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의 후술할 식별자저장부(33)에 의해 전송되는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정보를 제공하여 식별자가 부여된 측정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의 후술할 식별자획득부(352)에 의해 전송되는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정보를 제공하여 식별자에 의한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검색부(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의해 전송되는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모듈(151)과, 상기 식별정보수신모듈(151)에 의해 수신되는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식별자정보를 검색하는 매칭식별자검색모듈(152)과, 상기 매칭식별자검색모듈(152)에 의해 검색되는 식별자를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로 전송하는 식별자전송모듈(153)을 포함한다.
상기 식별정보수신모듈(151)은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며, 더욱 정확하게는 후술할 식별자저장부(33)의 식별정보전송모듈(331)과 식별자획득부(352)의 식별정보전송모듈(352a)에 의해 전송되는 식별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식별정보수신모듈(151)에 의해 수신되는 식별정보는 통일된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에 관한 용어들이며 상기 매칭식별자검색모듈(152)로 전달되어 매칭되는 식별자를 검색하도록 한다.
상기 매칭식별자검색모듈(152)은 상기 식별정보수신모듈(151)에 의해 수신된 식별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식별자를 검색하는 구성으로, 상기 식별정보등록부(11)에 의해 등록된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의 식별정보들의 용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식별정보를 검색하도록 하며, 검색된 식별정보에 대해 지정되어 저장된 식별자를 상기 식별자전송모듈(153)에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전송모듈(153)은 상기 매칭식별자검색모듈(152)에 의해 검색된 식별자정보를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전송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식별자저장부(33) 또는 상기 식별자획득부(352)에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전송모듈(153)에 의해 전송된 식별자는 측정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에 이용되어 식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식별정보제공부(17)는 상기 식별정보등록부(11)에 의해 등록된 식별정보를 상기 데이터획득부(5)에 제공하는 구성으로, 등록된 식별정보의 목록을 제공하여 식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데이터이용자는 상기 식별정보제공부(17)에 의해 제공되는 식별정보의 목록을 토대로 원하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종 도메인의 여부에 관계없이 원하는 식별정보에 대한 측정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해진다. 상기 식별정보제공부(1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주체정보제공모듈(171), 측정대상정보제공모듈(172), 측정방법정보제공모듈(173), 측정장비정보제공모듈(174), 측정목적정보제공모듈(175)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주체등록모듈(111), 측정대상등록모듈(112), 측정방법등록모듈(113), 측정장비등록모듈(114), 측정목적등록모듈(115)에 의해 등록된 식별정보가 각각 제공되도록 하며, 각 식별정보에 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상기 유효정보제공부(19)는 상기 식별정보제공부(17)에 의해 제공되는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시스템에서 제거되거나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센서장치에 관한 식별정보를 인지하여 데이터획득부(5)에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유효정보제공부(19)는 상기 식별정보등록부(11)에 의해 등록된 식별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일정 주기로 인식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이용자가 유효하지 않은 식별정보를 측정데이터의 검색에 이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검색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는 다수의 센서장치에 의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데이터획득부(5)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매칭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측정데이터를 위치정보, 시간정보와 함께 저장하여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측정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식별자관리부(1)에 의하여 등록되는 식별정보에 따라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를 측정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는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31), 상기 데이터저장부(31)에 의해 저장되는 측정데이터에 식별자를 부여하여 함께 저장되도록 하는 식별자저장부(33), 상기 데이터획득부(5)에 의하여 입력되는 검색정보에 따라 측정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측정데이터제공부(35)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저장부(31)는 센서장치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센서장치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수신하는 측정데이터수신모듈(311), 측정데이터에 대한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시간정보저장모듈(312), 측정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모듈(313), 측정정보를 저장하는 측정정보저장모듈(314)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데이터수신모듈(311)은 센서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센서장치로부터 일정 주기로 측정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측정데이터수신모듈(311)에 의해 수시된 데이터는 시간정보, 위치정보, 측정정보 등을 포함하며 각 센서장치의 식별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상기 식별자저장부(33)에 의해 식별자의 지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시간정보저장모듈(312)은 상기 측정데이터수신모듈(311)에 의해 수신된 측정데이터의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수신된 데이터가 측정된 시각을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시간정보저장모듈(312)에 의해 저장되는 시간정보는 측정정보, 위치정보와 같이 시시각각 변하는 정보로, 위치정보와 함께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획득부(5)의 후술할 시간정보입력모듈(553)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시간정보에 매칭되는 측정데이터가 검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치정보저장모듈(313)은 상기 측정데이터수신모듈(311)에 의해 수시된 측정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수신된 데이터가 측정된 장소를 저장하도록 한다. 각 센서장치는 일정 위치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으나, 지속적으로 변하는 위치에 대해 데이터를 측정하는 이동형 장치의 경우 시시각각으로 위치정보가 갱신되므로, 위치정보를 식별정보로 간주할 경우 시시각각 변하는 위치정보마다 질의를 생성해야 하므로 검색효율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치정보저장모듈(313)에 의하여 위치정보를 시간정보, 측정데이터와 함께 측정데이터로 저장하도록 하여, 시시각각 변하는 위치정보에 대해서도 검색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저장모듈(313)은 GPS를 이용한 좌표정보와, 우편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획득부(5)의 후술할 검색정보입력부(55)에서 GPS를 이용한 좌표정보 또는 우편번호를 입력하여 위치정보를 이용한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정보저장모듈(313)은 좌표정보를 저장하는 좌표정보저장모듈(313a)과, 우편번호정보를 저장하는 우편번호정보저장모듈(313b)을 포함한다.
상기 좌표정보저장모듈(313a)을 GPS를 이용한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센서장치에 의해 측정한 위치에 대한 위도정보와 경도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장치는 GPS를 이용하여 측정데이터가 측정된 위치에 관한 위도정보와 경도정보를 측정데이터관리부(3)로 전달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우편번호정보저장모듈(313b)은 우편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각 센서장치에서 데이터를 측정하는 위치에 관한 우편번호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측정데이터관리부(3)로 전달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우편번호정보와 함께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측정정보저장모듈(314)은 상기 시간정보저장모듈(312). 위치정보저장모듈(313)에 의해 저장되는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에 대하여 각 시간 및 위치에 대한 측정데이터 값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획득부(5)를 통해 입력되는 검색조건에 의해 검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측정정보저장모듈(314)은 상기 식별자저장부(33)에 의해 저장되는 식별자정보와 함께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획득부(5)를 통해 입력되는 식별자 및 시간정보, 위치정보가 질의로 생성되어 매칭되는 측정데이터가 검색된다.
상기 식별자저장부(33)는 상기 데이터저장부(31)에 의해 저장되는 측정정보 및 측정정보의 시간, 위치정보와 함께 식별자정보가 저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식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저장부(33)는 센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자관리부(1)로 전송하여 매칭되는 식별자를 검색하도록 하며, 검색된 식별자정보를 수신하여 측정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식별자저장부(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식별정보전송모듈(331), 검색된 식별자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자수신모듈(332), 수신된 식별자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자정보저장모듈(333)을 포함한다.
상기 식별정보전송모듈(331)은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자관리부(1)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측정데이터수신모듈(311)에 의하여 센서장치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수신할 때, 식별정보를 함께 수신하도록 하고, 수신된 식별정보는 상기 식별자관리부(1)로 전송되어 상기 식별자검색부(15)에 의해 매칭되는 식별자가 검색되며, 검색된 식별자정보는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로 전송되어 상기 식별자수신모듈(332)에 의해 수신된다. 센서장치는 상기 식별정보등록부(11)에 의해 등록된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과 동일한 식별정보를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전달하도록 하여, 정확한 식별자정보의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수신모듈(332)은 상기 식별자관리부(1)로부터 검색된 식별자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식별정보전송모듈(331)에 의해 전송된 식별정보에 따라 검색된 식별자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며, 식별자정보를 상기 식별자정보저장모듈(333)에 전달하여 측정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정보저장모듈(333)은 상기 식별자수신모듈(332)에 의해 수신된 식별자정보를 해당 측정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가 함께 저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식별자정보저장모듈(333)에 의해 저장되는 식별자정보는 후술할 데이터검색부(353)에 의하여 조건에 매칭되는 측정데이터를 검색할 때, 식별자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식별정보를 이용한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측정데이터제공부(35)는 상기 데이터획득부(5)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정보를 수신하여 검색정보에 매칭되는 측정데이틀 검색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육하원칙에 따른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고, 측정주체, 대상, 방법, 장치, 목적에 관한 식별정보를 등록하여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가 지정되도록 하므로, 이종 도메인간의 경우에도 타 도메인의 지식체계, 용어체계, 구조 등을 전혀 알 필요 없이 원하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와 시간정보, 위치정보만을 이용하여 모든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측정데이터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의 활용과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무한한 확장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측정데이터제공부(3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획득부(5)로부터 검색정보를 수신하는 검색정보수신부(351), 상기 검색정보수신부(351)에 의해 수신되는 검색정보에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를 획득하는 식별자획득부(352), 상기 검색정보수신부(351)에 의해 수신되는 검색정보 및 식별자획득부(352)에 의해 획득되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측정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검색부(353), 검색된 데이터를 데이터획득부(5)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354)를 포함한다.
상기 검색정보수신부(351)는 상기 데이터획득부(5)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모듈(351a),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모듈(351b),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시간정보수신모듈(351c)을 포함한다.
상기 식별정보수신모듈(351a)은 상기 데이터획득부(5), 더욱 정확하게는 후술할 식별정보입력모듈(551)에 의해 입력되는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에 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상기 식별정보등록부(11)에 의해 등록된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식별정보수신모듈(351a)에 의해 수신된 식별정보는 상기 식별자획득부(352)로 전달되어 식별자정보를 획득하는데 이용되고, 수신된 식별정보와 획득한 식별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검색부(353)에 의해 질의를 생성함으로써 매칭되는 측정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정보수신모듈(351b)은 상기 데이터획득부(5)의 후술할 위치정보입력모듈(552)에 의해 입력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좌표정보입력모듈(552a)에 의해 입력되는 위도, 경도 및 반경에 관한 정보 또는 우편번호정보입력모듈(552b)에 의해 입력되는 우편번호의 범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수신모듈(351b)에 의해 수신되는 위치정보는 상기 데이터검색부(353)에 의해 하나의 조건으로 질의를 생성하여 위치정보에 맞는 측정데이터가 검색되도록 한다.
상기 시간정보수신모듈(351c)은 상기 데이터획득부(5)의 후술할 시간정보입력모듈(553)에 의해 입력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측정시간에 관한 범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검색부(353)에 의해 해당 시간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획득부(352)는 상기 식별정보수신모듈(351a)에 의해 수신되는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으로, 상기 식별자관리부(1)에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매칭되는 식별자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획득부(352)는 상기 데이터획득부(5)의 식별정보입력모듈(551)에 의해 입력되어 상기 식별정보수신모듈(351a)에 의해 수신된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하며, 획득된 식별자는 상기 데이터검색부(353)의 후술할 식별자삽입모듈(353b)에 의해 질의에 삽입되어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획득부(35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식별정보전송모듈(352a), 식별자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자수신모듈(352b), 식별자정보를 상기 데이터검색부(353)에 전달하는 식별자전달모듈(352c)을 포함한다.
상기 식별정보전송모듈(352a)은 상기 검색정보수신부(351)에 의해 수신된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자관리부(1)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식별정보를 전송받은 식별자관리부(1)는 식별자검색부(15)에 의해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식별자를 검색하여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로 전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검색정보수신부(351)에 의해 수신된 식별정보가 측정주체에 관한 키워드인 경우, 해당 키워드는 상기 측정주체등록모듈(111)에 의해 식별자관리부(1)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식별자검색부(15)는 측정주체에 해당하는 식별자를 검색하여 측정데이터관리부(3)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식별자관리부(1)로부터 전송되는 식별자정보는 상기 식별자수신모듈(352b)에 의해 수신된다.
상기 식별자수신모듈(352b)은 상기 식별자관리부(1)에 의해 검색된 식별자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식별자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식별자정보는 상기 식별자전달모듈(352c)에 의해 데이터검색부(353)로 전달된다.
상기 식별자전달모듈(352c)은 상기 식별자수신모듈(352b)에 의해 수신된 식별자정보를 상기 데이터검색부(353)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전달된 식별자정보는 후술할 식별자삽입모듈(353b)에 의해 질의에 삽입되어 측정데이터를 검색하는 질문으로 사용되며,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측정데이터가 검색되어 식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검색부(353)는 상기 검색정보수신부(351)에 의해 수신된 검색정보, 다시 말해 상기 데이터획득부(5)에 의해 입력된 검색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측정데이터를 검색하는 구성으로, 상기 식별정보수신모듈(351a), 위치정보수신모듈(351b), 시간정보수신모듈(351c)에 의해 수신되는 식별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를 키워드로 하여 매칭되는 측정데이터를 검색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검색부(353)는 검색하고자 하는 경로 URI에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를 붙여서 질의하는 방식으로 측정데이터를 검색하도록 하며, 본 발명에서는 위치정보의 범위, 예를 들어 위도, 경도와 반경을 이용한 범위, 우편번호정보를 이용한 범위, 그리고 시간정보와 식별정보에 대한 키워드를 이용하여 질의를 생성하고 매칭되는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으며, 특히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질의에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각 식별정보에 대한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검색부(35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정보에 따른 질의를 생성하는 질의생성모듈(353a), 상기 질의생성모듈(353a)에 의해 생성된 질의에 식별자를 삽입하는 식별자삽입모듈(353b), 상기 질의생성모듈(353a) 및 식별자삽입모듈(353b)에 의해 생성된 질의에 따라 질문을 수행하는 질문수행모듈(353c), 질문수행모듈(353c)에 의해 검색되는 측정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매칭데이터획득모듈(353d)을 포함한다.
상기 질의생성모듈(353a)은 측정데이터를 검색하는 질의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검색정보수신부(351)에 의해 수신되는 검색정보에 따라 질의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질의생성모듈(353a)은 기본적으로 검색정보로 입력되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로 질의를 생성하도록 하며, 예를 들어 일정 장소에서 측정된 데이터, 일정 시간에 측정된 데이터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의하여 저장되는 측정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저장부(31)에 의해 위치정보, 시간정보에 따라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므로, 시시각각 변하는 위치정보, 시간정보에 대해서도 신속하게 측정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의생성모듈(353a)에 의해 생성되는 질의에는 상기 식별자삽입모듈(353b)에 의해 식별자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별정보에 대한 측정데이터가 이종 도에인을 통틀어 한번에 검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삽입모듈(353b)은 상기 질의생성모듈(353a)에 의해 생성된 질의에 식별자를 삽입하여 식별정보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식별자획득부(352)에 의해 획득된 식별자를 질의에 삽입하도록 한다. 상기 질의생성모듈(353a)에 의해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에 따른 질의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질의생성모듈(353a)에 의해 생성된 질의에 상기 식별자획득부(352)에 의해 획득한 식별자가 삽입되어 해당 식별자를 갖는 데이터가 검색되고, 그 중에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에 매칭되는 측정데이터가 검색된다. 만약, 상기 검색정보수신부(351)에 의해 식별정보만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질의는 식별자와 식별정보만에 의해 생성되며, 해당 식별자를 갖는 식별정보가 검색된다.
상기 질문수행모듈(353c)은 상기 질의생성모듈(353a) 및 식별자삽입모듈(353b)에 의해 생성된 질의를 수행하여 매칭되는 측정데이터를 검색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시간정보,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측정데이터가 검색되며, 식별정보의 검색을 위해 상기 식별자삽입모듈(353b)에 의해 식별자가 삽입되어 질문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매칭데이터획득모듈(353d)은 상기 질문수행모듈(353c)에 의해 검색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저장된 측정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전송부(354)에 의해 상기 데이터획득부(5)로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전송부(354)는 상기 데이터검색부(353)에 의해 검색되어 저장된 측정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획득부(5)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데이터획득부(5)에 전송된 측정데이터는 데이터 이용자에게 표시되는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시스템상에서 사물의 특정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로 활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획득부(5)는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의해 저장된 측정데이터의 검색을 위해 검색정보를 입력하고, 검색된 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획득하는 구성으로, 측정데이터의 위치정보, 시간정보, 식별정보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종 도메인 간에도 검색정보의 입력만으로 원하는 정보를 한번에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측정데이터는 데이터 이용자에게 표시되어 정보 자체로 활용되도록 하거나, 사물의 동작과 연관되도록 설정하여 다양한 센서장치를 통한 사물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물인터넷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획득부(5)는 상기 식별자관리부(1)로부터 등록된 식별정보에 관한 목록과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전달받으며, 이를 통해 올바른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식별정보에 따른 정확한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획득부(5)는 상기 식별자관리부(1)로부터 등록된 식별정보와 유효성여부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부(51), 상기 식별정보수신부(51)에 의해 수신된 식별정보의 목록 및 유효성여부를 표시하는 식별정보표시부(53), 측정데이터의 검색을 위한 검색정보를 입력하는 검색정보입력부(55),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의해 검색되어 전송되는 측정데이터를 수신하는 검색데이터수신부(57)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정보수신부(51)는 상기 식별자관리부(1)의 식별정보제공부(17) 및 유효정보제공부(19)로부터 등록된 식별정보 및 식별정보의 유효성여부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식별정보수신부(51)에 의해 수신되는 식별정보 및 유효성정보는 상기 식별정보표시부(53)에 의해 데이터이용자에게 표시되어 정확한 식별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식별정보수신부(51)는 측정주체정보수신모듈(511), 측정대상정보수신모듈(512), 측정방법정보수신모듈(513), 측정장비정보수신모듈(514), 측정목적정보수신모듈(515)을 포함하여, 각 식별정보에 대해 등록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며, 유효정보수신모듈(516)을 포함하여 각 식별정보의 유효성 여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정주체정보수신모듈(511), 측정대상정보수신모듈(512), 측정방법정보수신모듈(513), 측정장비정보수신모듈(514), 측정목적정보수신모듈(515)은 상기 식별정보등록부(11)에 의해 등록된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수신된 식별정보는 상기 식별정보표시부(53)의 후술할 식별정보목록표시모듈(531)에 의해 각 식별정보별로 등록된 키워드가 표시되어 정확한 식별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유효정보수신모듈(516)은 상기 식별자관리부(1)의 유효정보제공부(19)에 의해 제공되는 식별정보의 유효성여부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시스템에서 제거되거나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센서장치에 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유효정보수신모듈(516)에 의해 수신된 유효성 정보는 상기 식별정보표시부(53)의 후술할 유효여부표시모듈(532)에 의해 데이터 이용자에게 표시된다.
상기 식별정보표시부(53)는 상기 식별정보수신부(51)에 의해 수신된 식별정보 및 식별정보의 유효성여부를 데이터이용자에게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물인터넷이 구성된 사물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데이터 이용자 단말기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정보표시부(53)는 식별정보의 목록을 표시하는 식별정보목록표시모듈(531)과, 식별정보의 유효여부를 표시하는 유효여부표시모듈(532)을 포함한다.
상기 식별정보목록표시모듈(531)은 상기 측정주체정보수신모듈(511), 측정대상정보수신모듈(512), 측정방법정보수신모듈(513), 측정장비정보수신모듈(514), 측정목적정보수신모듈(515)에 의해 수신되는 각 식별정보의 등록된 키워드들을 목록 형태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등록된 식별정보의 목록을 통해 원하는 측정데이터의 설정과 검색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효여부표시모듈(532)은 상기 식별정보목록표시모듈(531)에 의해 표시되는 등록된 식별정보의 목록에 대한 유효성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목록형태로 제공되는 식별정보에 대해 각각의 유효성여부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유효하지 않은 식별정보를 통해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방지하여 측정데이터 검색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다.
상기 검색정보입력부(55)는 측정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검색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입력된 검색정보는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로 전송되어 매칭되는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이루어지고, 검색된 측정데이터는 다시 상기 데이터획득부(5)로 전송되어 원하는 측정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검색정보입력부(55)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를 검색정보로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는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으로 분류되어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의해 저장되는 측정데이터는 위치정보, 시간정보와 함께 저장되며,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가 지정되어 저장되므로, 식별정보의 입력을 통해 매칭되는 식별정보의 측정데이터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획득부(5)는 상기 식별정보표시부(53)를 포함하여 등록된 식별정보를 데이터 이용자에게 표시하도록 하며, 정확한 식별정보의 입력을 통해 식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별정보입력모듈(551)은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에 관한 키워드를 입력하여 식별정보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식별정보입력모듈(55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식별자관리부(1)에 등록된 식별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획득부(5)는 상기 식별정보표시부(53)를 통해 등록된 식별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며, 식별정보의 유효성 여부도 함께 표시하여 효율적인 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입력모듈(551)은 더욱 정확한 식별정보의 입력을 위해 등록된 식별정보를 선택하는 형태로 식별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식별정보입력모듈(551)은 상기 식별정보수신부(51)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등록되고 유효한 식별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고 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식별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등록되지 않거나 유효하지 않은 식별정보를 선택할 위험성을 없애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입력모듈(552)은 획득하고자 하는 측정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데이터가 측정된 장소를 입력하여 입력된 장소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치정보입력모듈(552)은 위치의 좌표 또는 우편번호의 범위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에는 상기 위치정보저장모듈(313)에 의해 좌표 또는 우편번호와 함께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므로 좌표 또는 우편번호를 이용하여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해진다. 상기 위치정보입력모듈(552)은 좌표정보를 입력하는 좌표정보입력모듈(552a)과 우편번호정보를 입력하는 우편번호정보입력모듈(552b)을 포함한다.
상기 좌표정보입력모듈(552a)은 획득하고자 하는 측정데이터의 좌표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위도정보와 경도정보, 그리고 반경정보를 입력하여 특정 범위 내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우편번호정보입력모듈(552b)은 획득하고자 하는 측정데이터가 측정되는 장소의 우편번호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우편번호의 범위를 입력하는 특정 장소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정보입력모듈(553)은 획득하고자 하는 측정데이터의 시간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측정된 시간에 관한 범위를 입력하여 특정 시간에 측정된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검색데이터수신부(57)는 상기 검색정보입력부(55)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의 측정데이터제공부(35)에 의해 검색되어 제공되는 측정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수신된 측정데이터는 데이터 이용자에게 측정데이터 자체로 제공되어 활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정 조건에 따른 측정데이터를 사물의 작동에 적용하여 자동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원관리시스템은 다수의 센서장치가 통합되어 이종 도메인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에 있어서도 다수의 센서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데이터를 특정 조건에 따라 손쉽게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교환 및 획득에 관한 경계를 없애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검색데이터수신부(57)는 검색데이터를 표시하는 검색데이터표시모듈(571)과, 검색데이터를 사물에 적용하는 검색데이터적용모듈(572)을 포함한다.
상기 검색데이터표시모듈(571)은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의해 전송되는 검색데이터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사물인터넷이 구성된 사물 자체에 표시하도록 하거나 데이터 이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색데이터표시모듈(571)은 검색된 측정데이터 자체를 데이터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여 측정데이터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검색데이터적용모듈(572)은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에 의해 전송되는 검색데이터를 수신하여 사물인터넷이 구성된 사물의 동작에 관한 시스템에 적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검색데이터적용모듈(572)은 특정 조건에 매칭되는 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달하고 자동으로 사물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센서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데이터에 따라 작동하는 다양한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의 데이터 획득 과정에 관하여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검색정보입력부(55)에 의해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만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의 질의생성모듈(353a)에 의해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에 관한 조건이 포함된 질문이 생성되어 매칭되는 데이터를 검색하게 되고, 검색된 측정데이터는 상기 데이터획득부(5)로 전달되어 데이터이용자에게 표시되거나 사물의 작동에 적용된다. 또한, 상기 검색정보입력부(55)에 의해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에 관한 식별정보만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의 식별자획득부(352)에 의해 식별정보가 상기 식별자관리부(1)로 전송되어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식별자가 얻어지고, 얻어진 식별자는 질의에 삽입되어 해당 식별자에 매칭되는 측정데이터가 검색되며, 식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는 상기 데이터획득부(5)로 전달되어 데이터이용자에게 표시되거나 사물의 작동에 적용된다. 또한, 상기 검색정보입력부(55)에 의해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와 함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정보는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3)의 식별자획득부(352)에 의해 식별자관리부(1)로 전송되어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가 획득되고, 획득된 식별자는 검색정보로 입력된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에 따라 생성된 질의에 삽입되어 함께 질문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 해당 식별자를 가진 식별정보의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측정데이터가 검색된다. 검색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획득부(5)로 전달되어 표시되거나 동작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식별자관리부
11: 식별정보등록부
111: 측정주체등록모듈 112: 측정대상등록모듈 113: 측정방법등록모듈
114: 측정장비등록모듈 115: 측정목적등록모듈
13: 식별자지정부
15: 식별자검색부
151: 식별정보수신모듈 152: 매칭식별자검색모듈 153: 식별자전송모듈
17: 식별정보제공부
171: 측정주체정보제공모듈 172: 측정대상정보제공모듈
173: 측정방법정보제공모듈 174: 측정장치정보제공모듈
175: 측정목적정보제공모듈
19: 유효정보제공부
3: 측정데이터관리부
31: 데이터저장부
311: 측정데이터수신모듈 312: 시간정보저장모듈 313: 위치정보저장모듈
313a: 좌표정보저장모듈 313b: 우편번호정보저장모듈
314: 측정정보저장모듈
33: 식별자저장부
331: 식별정보전송모듈 332: 식별자수신모듈 333: 식별자정보저장모듈
35: 측정데이터제공부
351: 검색정보수신부 351a: 식별정보수신모듈
351b: 위치정보수신모듈 351c: 시간정보수신모듈
352: 식별자획득부
352a: 식별정보전송모듈 352b: 식별자수신모듈 352c: 식별자전달모듈
353: 데이터검색부 353a: 질의생성모듈 353b: 식별자삽입모듈
353c: 질문수행모듈 353d: 매칭데이터획득모듈 354: 데이터전송부
5: 데이터획득부
51: 식별정보수신부
511: 측정주체정보수신모듈 512: 측정대상정보수신모듈
513: 측정방법정보수신모듈 514: 측정장비정보수신모듈
515: 측정목적정보수신모듈 516: 유효정보수신모듈
53: 식별정보표시부
531: 식별정보목록표시모듈 532: 유효여부표시모듈
55: 검색정보입력부
551: 식별정보입력모듈 552: 위치정보입력모듈 552a: 좌표정보입력모듈
552b: 우편번호정보입력모듈 553: 시간정보입력모듈
57: 검색데이터수신부
571: 검색데이터표시모듈 572: 검색데이터적용모듈

Claims (10)

  1. 사물인터넷의 센서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데이터에 관한 자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센서장치에 의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데이터획득부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매칭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측정데이터관리부와;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에 의하여 저장되는 데이터에 관한 식별정보와 식별정보에 따른 측정데이터의 식별자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식별자관리부와;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에 검색정보를 제공하고, 검색되는 측정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는 상기 식별자관리부에 의해 설정된 식별자를 측정데이터와 함께 저장하여, 식별자에 의한 측정데이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는
    다수의 센서장치에 의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측정시간, 측정위치와 함께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의해 저장되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를 측정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도록 하는 식별자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저장부는 측정데이터의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저장부는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의해 저장되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식별자관리부로 전송하는 식별정보전송모듈과, 상기 식별자관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식별정보에 관한 식별자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자수신모듈과, 상기 식별자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식별자를 해당 측정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도록 하는 식별자정보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는
    상기 데이터획득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검색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측정데이터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측정데이터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데이터제공부는,
    상기 데이터획득부로부터 측정데이터에 관한 검색정보를 수신하는 검색정보수신부와, 상기 검색정보수신부에 의하여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식별자관리부에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식별정보에 따른 식별자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자획득부와, 상기 검색정보수신부 및 식별자획득부에 의해 수신된 검색정보 및 식별자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측정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검색부와, 상기 데이터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측정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획득부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정보수신부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모듈과,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모듈과,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시간정보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검색부는,
    상기 위치정보수신모듈 및 시간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따른 검색조건을 지정하여 질의를 생성하는 질의생성모듈과, 상기 식별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식별자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식별자정보를 상기 질의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질의에 삽입하는 식별자삽입모듈과, 상기 질의생성모듈 및 식별자삽입모듈에 의해 생성된 질의에 따른 측정데이터 검색을 실시하는 질문수행모듈과, 상기 질문수행결과에 의해 검색된 측정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매칭데이터획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검색부는
    상기 검색정보수신부에 의해 측정데이터의 시간정보, 위치정보만이 수신된 경우 질의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질의만으로 질문수행모듈이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검색정보수신부에 의해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만이 수신된 경우 상기 식별자삽입모듈에 의해 삽입된 질의만으로 질문수행모듈을 실행하도록 하며, 상기 검색정보수신부에 의해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 시간정보, 위치정보가 모두 수신된 경우 상기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따라 생성된 질의에 상기 식별자삽입모듈에 의한 식별자를 삽입하여 질문수행모듈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관리부는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에 의해 전송되는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식별자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식별자검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검색부는,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에 의해 전송되는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모듈과, 상기 식별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식별자정보를 검색하는 매칭식별자검색모듈과, 상기 매칭식별자검색모듈에 의해 검색되는 식별자를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로 전송하는 식별자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관리부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식별정보등록부와, 상시 식별정보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식별정보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하여 저장하는 식별자지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정보등록부는,
    센서장치의 소유주체, 관리주체에 관한 측정주체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측정주체등록모듈과, 강우량, 유속, 풍향과 같은 측정대상정보를 등록하는 측정대상등록모듈과, 측정방법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측정방법등록모듈과, 측정장비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측정장비등록모듈과, 측정목적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측정목적등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식별자지정부는 상기 식별정보등록부에 의해 등록되는 측정주체, 측정대상, 측정방법, 측정장비, 측정목적에 관한 각각의 식별자를 지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관리부는
    상기 식별정보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식별정보를 데이터획득부로 제공하는 식별정보제공부와, 상기 식별정보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제공하는 유효정보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획득부는 상기 식별정보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부와, 상기 식별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식별정보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정보표시부는,
    상기 식별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식별정보의 목록을 표시하는 식별정보목록표시모듈과, 상기 식별정보목록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각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표시하는 유효여부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획득부는
    상기 측정데이터관리부에 의해 저장된 측정데이터를 검색할 검색정보를 입력하는 검색정보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정보입력부는,
    측정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식별정보입력모듈과, 측정위치정보를 입력하는 위치정보입력모듈과, 측정시간정보를 입력하는 시간정보입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식별정보입력모듈은 상기 식별정보제공부 및 유효정보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갱신되는 식별정보의 목록을 제공하여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KR1020160125359A 2016-09-29 2016-09-29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KR20180035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359A KR20180035375A (ko) 2016-09-29 2016-09-29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PCT/KR2016/014221 WO2018062626A1 (ko) 2016-09-29 2016-12-06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359A KR20180035375A (ko) 2016-09-29 2016-09-29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375A true KR20180035375A (ko) 2018-04-06

Family

ID=61760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359A KR20180035375A (ko) 2016-09-29 2016-09-29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35375A (ko)
WO (1) WO20180626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929A (ko)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그렉터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025B1 (ko) * 2006-12-05 2008-03-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이질적인 센서 데이터통합방법 및 장치
CN103377252B (zh) * 2012-04-28 2018-03-27 国际商业机器公司 在物联网中进行数据过滤的方法和装置
KR102047927B1 (ko) * 2013-02-27 2019-11-25 주식회사 케이티 대규모 m2m 디바이스 환경에서 필터링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101471362B1 (ko) * 2013-12-23 2014-12-24 (주)엔텔스 M2m 네트워크 시스템 및 m2m 단말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를 m2m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표준화하는 방법
KR20160071601A (ko) * 2014-12-12 2016-06-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 및 카메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929A (ko)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그렉터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2626A1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117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 navigation service
CN104914457B (zh) 用于自适应定位的方法和装置
KR20180049634A (ko) IoT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10375171B2 (en) Iterative learning for reliable sensor sourcing systems
JP2008217612A (ja) センサデ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センサデータ制御方法
KR101365993B1 (ko) 데이터처리방법,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수집방법, 및 정보제공방법
WO2011142225A1 (ja) 特徴点検出システム、特徴点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96761A (ko) 센서 데이터 수집
EP3265968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track wire or cable reels in an inventory storage environment using a mobile device
JPWO2016157271A1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11741524A (zh) 定位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Shangguan et al. Towards accurate object localization with smartphones
US10264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escriptive location of a user device
Bobek et al. Indoor microlocation with BLE beacons and incremental rule learning
KR101773982B1 (ko) 업무용 이동기기를 활용한 핑거프린트 위치 라벨링 방법 및 라벨링 시스템
JP6406341B2 (ja) センシングデータ流通システムとその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35375A (ko)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KR20190029411A (ko)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이미지 검색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713266B1 (ko) 측위 시스템 및 측위 방법
Sergi et al. A literature review on outdoor localization systems based on the bluetooth technology
KR102112715B1 (ko)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JP6503984B2 (ja) 発信機検出システム、サーバ、発信機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95902A (ko) 통신 단말기, 장소 관리 서버 및 장소 정보 검출 방법
EP3475722A1 (en) Indoor radio map verification
CN109298390B (zh) 一种基于无线信号强度的室内定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