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929A -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929A
KR20220070929A KR1020200158002A KR20200158002A KR20220070929A KR 20220070929 A KR20220070929 A KR 20220070929A KR 1020200158002 A KR1020200158002 A KR 1020200158002A KR 20200158002 A KR20200158002 A KR 20200158002A KR 20220070929 A KR20220070929 A KR 20220070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iot
data mode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053B1 (ko
Inventor
김영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렉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렉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렉터
Priority to KR1020200158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0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9Object oriented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와,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의 동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에 대해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가 설치된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속성값을 정의하여 표준 데이터 모델로 생성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러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동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동작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러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들로부터 수집된 환경 또는 동작 정보 데이터를 표준 모델에 저장함으로써, 플랫폼의 종류와 무관하게 수집된 데이터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고, 표준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의 동작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하고 생성하여 장치의 제어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DEVICE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USING DATA MODEL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
본 발명은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로부터 수신된 환경 또는 동작 정보 데이터를 표준화된 규격의 데이터 모델에 저장하여 플랫폼의 종류와 무관하게 다양한 환경에서의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란, 각종 사물에 센서 및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독립 장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물들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사물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되어 독자적인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가진 센서가 센싱 값을 인터넷을 통해 중앙의 서버에 전송하면, 사용자는 서버에 접속하여 센싱 정보의 검색, 수집, 분석 및 가공과 같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IoT 기술에서 IoT 기반 장치들의 기계 사이의 통신(Machine-to-Machine; M2M)을 위해서는 미리 각 장치를 프로그래밍하고 장비 상호 간의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을 일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러한 통신방식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분석하기 위한 플랫폼을 새롭게 제작해야 하거나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537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들로부터 수집된 환경 또는 동작 정보 데이터를 표준 데이터 모델에 저장함으로써, 플랫폼의 종류와 무관하게 수집된 데이터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준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의 동작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하고 생성하여 장치의 제어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와,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의 동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에 대해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가 설치된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속성값을 정의하여 표준 데이터 모델로 생성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러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동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동작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러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는, 상기 환경 정보와 상기 동작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 및 상기 객체의 속성값을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는,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와 상기 객체의 속성값을 피봇하여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는, 외부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공공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공공데이터를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 또는 속성값에 결합하여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모델을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 모델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시각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날씨 정보 또는 공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와,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의 동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에 대해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가 설치된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속성값을 정의하여 표준 데이터 모델로 생성하고 저장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와;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의 상기 객체 및 상기 속성값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를 제어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에 적용할 최적화 알고리즘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최적화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의 제어 또는 관리를 위한 명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시각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날씨 정보 또는 공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가 하나 이상의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 또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의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가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에 대해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가 설치된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속성값을 정의하여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의 데이터 모델 정의 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와 상기 객체의 속성값을 피봇하여 새로운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외부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공공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공공데이터를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 또는 속성값에 결합하여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모델을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 모델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가 하나 이상의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 또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의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가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에 대해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가 설치된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속성값을 정의하여 표준 데이터 모델로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로부터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의 상기 객체 및 상기 속성값을 수신하여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를 제어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관리 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에 적용할 최적화 알고리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상기 최적화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의 제어 또는 관리를 위한 명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면,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들로부터 수집된 환경 또는 동작 정보 데이터를 표준 모델에 저장함으로써, 플랫폼의 종류와 무관하게 수집된 데이터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면, 표준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의 동작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하고 생성하여 장치의 제어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준 데이터 모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한 변수를 입력받는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의 데이터 모델 정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시설물(10)의 상태를 감지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와,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와, 정보 제공 서버(40)와, 사용자 장치(50)를 포함한다.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는 시설물(10) 내의 냉방 또는 난방을 조절하는 공기조절장치나, 시설물(10) 내의 조명을 조절하는 조명 장치, 또는 시설물(10)의 실내 채광을 조절하는 차양 장치 등과 같이 에너지를 소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
는,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는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 장치나, 충전된 전력을 다른 부하에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정의하지 않는 한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는 에너지의 소모 또는 생산에 의하여 시설물(10)의 에너지 환경에 영향을 미치면서 사물 인터넷 기반의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임의의 장치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의 관리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장비 또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장비일 수 있고, 전술한 예시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는 제1통신부(31)와, 데이터베이스(32)와, 데이터 프로파일러(33) 및 제어부(34)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 "장치" 및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2에서 제1통신부(31), 데이터베이스(32)와, 데이터 프로파일러(33) 및 제어부(34)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변환 서버(30)를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부(unit)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부가 다른 부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각 부는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제1통신부(31)는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로부터 환경 정보 및/또는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의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는 날씨 센서, 재실 센서 또는 전기설비 센서와 같은 환경 측정 센서일 수 있다. 날씨 센서는 시설물(10)의 실외 온도, 습도, 강우, 풍량, 풍향, 공기질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재실 센서 실내 온도, 습도, 광량 등을 측정하거나, 실내의 인원 수 또는 각 인원의 활동량과 같은 재실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전기설비 센서는 시설물(10)의 부하 전류, 전압 및 전력 상태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의 환경 정보는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포함하고,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의 동작 정보는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의 에너지 생산량 정보, 또는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의 에너지 소모량 정보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와, 정보 제공 서버(40)와,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 및 사용자 장치(50) 사이의 통신 방법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와, 정보 제공 서버(40)와,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 및 사용자 장치(50) 사이의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Lora(Long Range),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32)는 제1통신부(31)로부터 수신된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 프로파일러(33)는 제1제어부(34)에 의해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에 대해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20)가 설치된 시설물(10) 또는 시설물(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정의하고, 시설물(10) 또는 시설물(10)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속성값을 정의하여 표준 데이터 모델로 생성한다. 데이터 프로파일러(33)가 생성하는 표준 데이터 모델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준 데이터 모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시설물(10) 또는 시설물(10)의 위치정보를 키(key) 값으로 정의하고, 시설물(10)의 상태 정보를 속성(value) 값으로 정의한 표준 데이터 모델의 구조이다. 여기서, 시설물(10)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속성(value) 값은 복수 개로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b는 도 3a와 반대로 시설물(10)의 상태 정보를 키(key) 값으로 정의하고, 시설물(10) 또는 시설물(10)의 위치정보를 속성(value) 값으로 정의한 데이터 모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관리자의 관리 대상이 시설물(10) 자체가 아닌 일정 범위의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시설물(10)의 상태 정보가 키 값으로 정의된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시설물(10) 및 이에 대한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c는 키(key) 값에 객체의 식별정보와 함께 외부의 데이터 포털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공공데이터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공공데이터는 시설물(10)이 설치된 위치의 날씨, 강수량, 태풍이나 폭우, 지진, 풍향, 풍속, 유동 인구, 유동 차량 등에 대한 정보로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객체의 속성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 정의된 표준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베이스(32)에 모델 자체 뿐만 아니라 시설물(10)에 따라 각 속성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레코드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데이터 모델은 관계형 데이터를 일예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관계형 데이터 뿐만 아니라 노드(Node)와, 엣지(Edge) 및 프로퍼티(Property)로 정의되는 그래프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를 표준 데이터 모델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준 데이터 모델이 그래프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로 정의되는 경우, 노드는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에 의해 측정된 수치를 저장하고, 엣지는 이렇게 저장된 노드를 연결하며, 그 프로퍼티는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가 설치된 시설물 등의 식별정보 및 측정 시간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는 이러한 관계형 데이터와 그래프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 간의 변환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를 이용하면 관리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포맷의 데이터 모델을 정의할 수 있고, 정의된 데이터 모델에 시설물(10) 및 시설물(10)의 속성값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이렇게 정의된 표준 데이터 모델의 구조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모델 형태의 데이터를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로 업로드하거나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자신이 사용하는 시설물 관리 플랫폼에 로드하여 적용함으로써, 관리 또는 제어 대상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제어 및/또는 관리 명령을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모델을 구성하는 키 값과, 속성 값을 관리 대상의 종류에 맞게 정의할 수 있으며, 자신이 생성한, 커스터마이즈된 표준 데이터 모델을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에 업로드하거나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로써 시설물의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데이터 모델을 정의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데이터 모델을 검색하고 이를 시설물 관리 플랫폼에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에 의해 교환이나 매매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는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정보 중 에너지 최적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만을 표준 데이터 모델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에너지 관리를 위해 필요한 최소 필수정보만을 추출하여 트래픽에 대한 부담 없이 실시간으로 정보 수집 및 제어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4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40)는 제2통신부(41)와, 데이터베이스(42)와, 분석부(43)와, 제2제어부(44)를 포함한다.
제2통신부(41)는 제2제어부(44)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로부터 수신된 표준 데이터 모델을 수신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2통신부(41)는 암호화된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의 제1통신부(31)와 제2통신부(41) 사이의 통신에 종단간(end-to-end) 암호화를 적용함으로써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패킷(packet)에 대한 공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권원 없는 다른 사용자가 정보를 복호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2)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로부터 수신된 표준 데이터 모델 및 데이터 모델에 저장된 객체 및 이에 대한 속성값을 저장한다.
분석부(43)는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부(43)는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20)가 에너지 최적화 및/또는 사고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최적 알고리즘을 기초로 한 일련의 제어 또는 관리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부(43)는 데이터 모델에 저장된 환경 조건(예컨대, 시간대, 온도, 습도, 날씨, 공간 등)에 상응하는 에너지 소모량 또는 에너지 생산량이나 진동수 또는 균열 상태의 속성값을 이용하여 에너지 소모량 또는 에너지 생산량이나 사고 가능성을 비교한 결과, 최적 알고리즘을 기초로 한 일련의 제어 명령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분석부(43)는 제2제어부(44)의 제어에 의해 서로 상이한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적용된 결과를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시나리오에 따른 알고리즘이 적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시뮬레이션 대상 알고리즘을 정의하기 위해 분석부(43)에 전송하는 정보는, 최적화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알고리즘 자체의 종류에 대한 선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또한 최적화 시뮬레이션을 연산하기 위한 대상 장치, 시나리오 적용을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 등 시뮬레이션 관련 변수에 대한 선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40)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한 변수를 입력받는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로서, 사용자 장치(50)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40)에 접속할 경우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50)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는 장치가 표시되는 영역(501)을 포함한다. 영역(501)에는 하나 이상의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510)가 그래픽 요소의 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 장치 상에 표시되는 UI는 하나 이상의 기능 도구가 표시되는 도구 영역(502) 및 시뮬레이션의 제어 흐름이 표시되는 시뮬레이션 영역(503)을 포함한다. 기능 도구는 스크립트(script), 메시지(message), 디버그(debug), 함수(function) 및 연산(math)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20)에 상응하는 그래픽 요소 또는 이들에 의해 실행될 기능 도구에 상응하는 그래픽 요소들을 드래그-앤-드롭(drag-and-drop) 방식으로 시뮬레이션 영역(503)에 배치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행할 시뮬레이션을 정의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영역(503)은 적용할 최적화 알고리즘을 선택하기 위한 그래픽 요소(504)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해당 그래픽 요소(504)를 클릭하여 적용할 알고리즘을 선택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40)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로부터 수신된 표준 데이터 모델의 객체 및 이에 대한 속성값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를 제어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위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클라우드 서버(미도시)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의 데이터 모델 정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가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20)로부터 환경 정보와 동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한다(S10).
그리고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가 단계 S10에서 수신된 환경 정보와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시설물 또는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객체의 식별정보로 정의하고,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객체의 속성값으로 정의하여 표준 데이터 모델로 생성한다(S11).
여기서, 단계 S11은 객체의 식별정보와 객체의 속성값을 피봇하여 새로운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단계 S11은 외부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공공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수신된 공공데이터를 객체의 식별정보 또는 속성값에 결합하여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의 데이터 모델 정의 방법은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표준 데이터 모델을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표준 데이터 모델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에 의해 생성된 표준 데이터 모델을 사용자 또는 장치 간에 자유롭게 업로드 및 다운로드, 교환, 매매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정보 제공 서버(40)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30)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모델에 저장된 객체의 식별정보 및 이에 대한 속성값을 분석한다(S12). 여기서, 단계 S12는 그 이전에 정보 제공 서버(40)에 의해 데이터 모델에 저장된 객체의 식별정보 및 이에 대한 속성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40)는 단계 S12에서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를 제어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명령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S13).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의 데이터 모델 정의방법 또는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장치의 관리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의 데이터 모델 정의방법 또는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장치의 관리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시설물 20 :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
30 : 정보 제공 서버 31 : 제1통신부
32 : 데이터베이스 33 : 데이터 프로파일러
34 : 제1제어부 40 : 정보 제공 서버
41 : 제2통신부 42 : 데이터베이스
43 : 분석부 44 : 제2제어부
50 : 사용자 장치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와,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의 동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에 대해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가 설치된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속성값을 정의하여 표준 데이터 모델로 생성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러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동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동작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러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는,
    상기 환경 정보와 상기 동작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 및 상기 객체의 속성값을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는,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와 상기 객체의 속성값을 피봇하여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는,
    외부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공공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공공데이터를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 또는 속성값에 결합하여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모델을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 모델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시각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날씨 정보 또는 공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7.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와,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의 동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에 대해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가 설치된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속성값을 정의하여 표준 데이터 모델로 생성하고 저장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와;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의 상기 객체 및 상기 속성값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를 제어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에 적용할 최적화 알고리즘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최적화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의 제어 또는 관리를 위한 명령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시각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날씨 정보 또는 공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시스템.
  10.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가 하나 이상의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 또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의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가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에 대해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가 설치된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속성값을 정의하여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의 데이터 모델 정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와 상기 객체의 속성값을 피봇하여 새로운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의 데이터 모델 정의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외부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공공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공공데이터를 상기 객체의 식별정보 또는 속성값에 결합하여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의 데이터 모델 정의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모델을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 모델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의 데이터 모델 정의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의 데이터 모델 정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15.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가 하나 이상의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 또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의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가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에 대해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가 설치된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식별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시설물 또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환경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속성값을 정의하여 표준 데이터 모델로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로부터 상기 표준 데이터 모델의 상기 객체 및 상기 속성값을 수신하여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를 제어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에 적용할 최적화 알고리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상기 최적화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의 제어 또는 관리를 위한 명령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관리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의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58002A 2020-11-23 2020-11-23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14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02A KR102514053B1 (ko) 2020-11-23 2020-11-23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02A KR102514053B1 (ko) 2020-11-23 2020-11-23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929A true KR20220070929A (ko) 2022-05-31
KR102514053B1 KR102514053B1 (ko) 2023-03-24

Family

ID=8178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002A KR102514053B1 (ko) 2020-11-23 2020-11-23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0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375A (ko) 2016-09-29 2018-04-06 (주)섬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KR101885037B1 (ko) * 2017-09-26 2018-08-02 전자부품연구원 IoT DIY 시스템/서비스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20980A (ko) * 2019-04-08 2020-10-23 주식회사 컴퓨터메이트 스마트공장 운영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375A (ko) 2016-09-29 2018-04-06 (주)섬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의 이종 도메인간 측정데이터 획득을 위한 자원관리시스템
KR101885037B1 (ko) * 2017-09-26 2018-08-02 전자부품연구원 IoT DIY 시스템/서비스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20980A (ko) * 2019-04-08 2020-10-23 주식회사 컴퓨터메이트 스마트공장 운영 시스템 및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 Chamath Hettiarachchi et al., A Secure and Intelligent Smart Home Controlling System 2022 IEEE *
M. Celik et al., Gps Predictive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Journal of New Results in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s (202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053B1 (ko)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351B1 (ko)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91126B1 (ko) IoT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에지-클라우드 협업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US10544953B2 (en) Real-time control of highly variable thermal loads
Gaetani et al. A stepwise approach for assessing the appropriate occupant behaviour modelling in building performance simulation
KR20180072468A (ko) 빅데이터기반 사용자의 지능형 냉방 및 난방 서비스 제공 방법
US9958291B1 (en) Self-service connection, data collection, and automation of metering and building systems, controls, and devices
KR102182506B1 (ko) 사물 데이터를 이용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서비스 인지 시스템
US11682903B2 (en) Building load modification responsive to utility grid events using robotic process automation
US10474768B2 (en) Sensor-based facility energy modeling
KR101795745B1 (ko) 다중상황 기반 에너지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Alsalemi et al. Boosting domestic energy efficiency through accurate consumption data collection
Traboulsi et al. Towards implementation of an IoT analysis system for buildings environmental data and workplace well-being with an IoT open software
KR102514053B1 (ko)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프로파일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Nishi et al. IoT-based monitoring for smart community
CN111123778A (zh) 监控车辆使用状况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958570A (zh) 无线物联网数据通信方法及相关装置
Tulenkov et al. Evaluation and selection of IoT service for Smart House system big data processing
KR20220127734A (ko) 센서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서버
CA2863186C (en) Methods and systems in an automation system for viewing a current value of a point identified in code of a corresponding point control process
Huchuk et al. Data-driven identification of occupant-thermostat interactions in small commercial buildings
Ouf et al. On the simulation of occupant-centric control for building operations
Aravindan et al. Smart homes using Internet of Things
KR102523745B1 (ko) 스마트 공장에 적용되는 자동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0598916A (zh) 一种用户行为模型的构建方法及系统
Florea et al. Smart lighting in multipurpose outdoor environments: Energy efficient solution using network of cooperating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