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837A - 중공사형 막 모듈 - Google Patents

중공사형 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837A
KR20180034837A KR1020160124541A KR20160124541A KR20180034837A KR 20180034837 A KR20180034837 A KR 20180034837A KR 1020160124541 A KR1020160124541 A KR 1020160124541A KR 20160124541 A KR20160124541 A KR 20160124541A KR 20180034837 A KR20180034837 A KR 20180034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housing
membrane module
concentr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홍진
최경규
구영림
민규홍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4837A/ko
Publication of KR2018003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03Membrane bonding or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8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concentrate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4Qual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01D2313/025Specific membran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01D2313/201Closed housing, vessels 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Abstract

중공사형 막 모듈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중공사형 막 모듈은, 중공사형 막이 수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되어 하우징과 연통되며 원수유입구가 설치되는 제1캡부와,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되어 하우징과 연통되며, 처리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제2캡부와, 제2캡부를 관통하여 하우징과 연통되며, 농축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제3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공사형 막 모듈{HOLLOW FIBER TYPE MEMBRANE MODULE}
본 발명은 중공사형 막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원수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중공사형 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막은 분자의 크기 또는 분자와 분리막 간의 반발력 등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구성으로, 압력, 농도 또는 전위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분리력에 의하여 작용한다.
분리막을 분리공정에 이용하는 경우, 자동화가 간편하고, 상변화와 고온처리 등이 수반되지 않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환경오염방지시설 또는 화학공업의 분리공정들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분리막은, 역삼투막, 나노여과막, 한외여과막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 중에서 중공사형 막은 내부가 비어있는 실 형태로 형성되는데, 단위 용적 당 유효 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정밀 여과, 수처리, 가스 분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중공사형 막 모듈은 역세척 과정에서 역세수 및 공기 등의 유체 공급 시 공급 방향, 진행 경로가 비대칭으로 구비되므로, 위치 별로 오염물질이 제거되는 정도가 상이하고, 중공사형 막이 일측으로 치우치거나, 중공사형 막이 변형,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61849호(2016.05.27 공개, 발명의 명칭: 중공사막 모듈)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역세척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하우징 내부의 특정 위치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중공사형 막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중공사형 막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형 막 모듈은: 중공사형 막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연통되며 원수유입구가 설치되는 제1캡부;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연통되며, 처리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제2캡부; 및 상기 제2캡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연통되며, 농축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제3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캡부는, 상기 제2캡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농축수연결관부; 및 상기 농축수연결관부와 연통되며, 상기 농축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제3챔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농축수연결관부는, 상기 중공사형 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농축수연결관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호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농축수연결관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동일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수유입구와, 상기 농축수연결관부와, 상기 농축수배출구는 직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형 막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중공사형 막이 결합되어 상기 중공사형 막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하는 포팅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팅층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중공사형 막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팅층부는, 상기 중공사형 막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포팅층; 및 상기 제1포팅층에 대하여 상기 중공사형 막의 길이 방향 중심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포팅층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로 형성되는 제2포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형 막 모듈은, 복수 개의 농축수배출관이 배열되어 역세수 및 공기가 하우징에 균일하게 유입되도록 하므로, 오염물질의 제거 정도가 향상되고, 오염물질이 특정 위치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축수배출구, 농축수연결관부 및 원수유입구가 직렬로 연결되므로, 역세척 등의 과정에서 역세수 및 공기의 유입에 따라 중공사형 막이 특정 방향으로 편위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공사형 막이 파손, 변형되는 것을 줄이고, 또한 중공사형 막이 서로 얽히는 것을 방지하여 중공사형 막에 의한 여과 성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형 막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농축수연결관부가 4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형 막 모듈에서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형 막 모듈을 역세척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형 막 모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형 막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중공사형 막 모듈(1)은 하우징(100), 제1캡부(200), 제2캡부(300) 및 제3캡부(400)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고, 처리수를 배출한다.
하우징(100)에는 중공사형 막(10)이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복수 개의 중공사형 막(10)이 수용된다.
제1캡부(200)는 하우징(100)의 일단에 결합되어 하우징(100)과 연통되며, 원수유입구(23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캡부(200)는 하우징(100)의 하단부(도 1 기준)에 위치한 개구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캡부(200)는 제1챔버부(210), 원수유입구(230) 및 제1캡결합부(250)를 포함한다.
제1챔버부(210)는 하우징(100)의 일단부(도 1 기준 하단부)에 위치하며, 원수유입구(2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원수가 수용되고, 하우징(100)과 연통되어, 내부에 수용된 원수를 하우징(100) 내부로 전달한다.
원수유입구(230)는 제1챔버부(210)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원수가 제1챔버부(210)의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캡결합부(250)는 제1챔버부(21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클램프 등으로 예시되어 제1챔버부(210)를 하우징(100)의 상단부에 고정한다. 제1캡결합부(250)는 클램프 형식뿐만 아니라, 금속 링, 체결볼트 등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제1캡결합부(250)를 하우징(100)에 고정하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고정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2캡부(300)는 하우징(100)의 타단에 결합되어 하우징(100)과 연통되며, 처리수배출구(3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캡부(300)는 제2챔버부(310), 처리수배출구(330) 및 제2캡결합부(350)를 포함한다.
제2챔버부(310)는 하우징(100)의 타단부(도 1 기준 상단부)에 위치하며, 처리수배출구(330)와 연결되어, 중공사형 막(10)을 거치면서 이물질이 분리된 처리수가 수용되고, 수용된 처리수가 처리수배출구(3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처리수배출구(330)는 제2챔버부(310)에 연결되어, 제2챔버부(310)에 수용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처리수배출구(330)는 제2챔버부(310)의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처리수를 배출하는데, 이러한 처리수배출구(330)의 장착 위치, 장착 개수 등은 처리수의 양, 제2챔버부(310)의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캡결합부(350)는 제2챔버부(31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클램프 등으로 예시되어 제2챔버부(310)를 하우징(100)의 상단부에 고정한다. 제2캡결합부(350)는 클램프 형식뿐만 아니라, 금속 링, 체결볼트 등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제2캡결합부(350)를 하우징(100)에 고정하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고정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3캡부(400)는 제2캡부(300)를 관통하여 하우징(100)과 연통되며, 농축수배출구(4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캡부(400)는 제3챔버부(410), 농축수연결관부(450) 및 제3챔버부(410)를 포함한다.
제3챔버부(410)는 제2챔버부(310)의 상측(도 1 기준)에 위치하며, 농축수연결관부(450)를 매개로 하우징(100)과 연통되고, 하우징(100) 내부의 농축수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챔버부(410), 구체적으로 제3챔버부(410)의 상측 대략 중심에는 농축수배출구(430)가 연결되어, 제3챔버부(410) 내부의 농축수가 농축수배출구(4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농축수연결관부(450)는 제2캡부(300)를 관통하여 하우징(100)에 삽입되어 제3챔버부(410)와 하우징(100) 내부를 연통시켜, 농축수가 제3챔버부(41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농축수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역세척 시, 하우징공간부(110)로 유입되는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제3챔버부(410)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농축수연결관부(450)는 중공사형 막(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호 평행하게 구비되어 역세수 및 공기가 복수의 지점에 동시에 진입되어 하우징(100) 또는 중공사형 막(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농축수연결관부(450)는 하우징(100)의 중심축(C)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동일 간격으로 배열되므로, 역세수, 특히 역세공기가 하우징공간부(110)의 내부에서 특정 위치에 편중되지 않고, 복수 개의 중공사형 막(10)에 고르게 전달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위치에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복수 개의 농축수연결관부(450)에 형성된 유로의 단면적의 총합은, 농축수배출구(430)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게 하여, 제3챔버부(410)에 오염물질 등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역세수 및 역세공기의 배압을 낮춰 역세 시 중공사형 막(10)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도 3에서 농축수연결관부가 4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농축수연결관부(450)의 개수는 도 3에서의 3개 이외에도 2개, 4개 등의 다른 개수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농축수연결관부(450)의 개수 및 배치는 하우징(100)의 직경, 중공사형 막(10)의 배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수유입구(230)와, 농축수연결관부(450)와 농축수배출구(430)는 직렬로 배열되므로, 측면에서 원수가 유입될 때, 특정 중공사형 막(10)에만 원수가 여과되는 것을 방지하여 여과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중공사형 막 모듈(1)은 역세수 또는 역세공기가 유입될 때, 유입된 공기가 중공사형 막(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중공사형 막(1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므로 중공사형 막(10)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하여 중공사형 막(10)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고, 역세수 및 공기가 특정위치에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정도를 줄인다.
본 실시예에서 농축수연결관부(450)의 일단부(도 1 기준 상단부)는 제3캡부(400)에 연결되며, 타단부(도 1 기준 하단부)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되, 하단부의 위치가 후술할 포팅층부(500)의 하단면(도 1 기준 상측 포팅층부(500)의 하단면)까지만 연장되도록 하여, 역세 과정에서 중공사형 막(10)이 유동될 때, 중공사형 막(10)이 농축수연결관부(450)에 끼이거나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중공사형 막 모듈(1)은 포팅층부(500)를 더 포함한다. 포팅층부(5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중공사형 막(10)이 내부에 고정되어 중공사형 막(10)을 하우징(100) 내부에서 고정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포팅층부(500)는 하우징(10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중공사형 막(10)의 양단부를 고정, 하우징공간부(110)에 역세공기 등이 유입될 때, 중공사형 막(10)의 양단부가 유동되는 정도를 줄여 중공사형 막(10)이 서로 꼬이거나, 일측으로 편중되는 것을 줄인다. 본 실시예에서 포팅층부(500)는 제1포팅층(510) 및 제2포팅층(530)을 포함한다.
제1포팅층(510)은 중공사형 막(10)의 단부에 결합되며 제2포팅층(530)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중공사형 막(10)의 양단부를 하우징(1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제2포팅층(530)은 제1포팅층(510)에 접하며, 제1포팅층(510)을 기준으로 중공사형 막(10)의 길이 방향 중심에 근접한 방향에 위치하고, 제1포팅층(510)보다 낮은 경도를 갖도록 구성되어 중공사형 막(10)이 원수 또는 세정수의 투입에 의하여 유동될 때, 제2포팅층(530)이 일정 정도 변형되면서 유동되는 힘을 흡수하고, 중공사형 막(10)이 파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측에 위치하는 포팅층부(500)에는 관통홀부가 형성되어 제1챔버부(20)에 유입된 원수, 역세공기 등이 하우징공간부(110)의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상측에 위치하는 포팅층부(500)는 홀부 등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제2챔버부(310)와 하우징공간부(110)를 분리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형 막 모듈(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형 막 모듈에서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공사형 막 모듈(1)에서 원수를 여과하는 경우, 원수가 원수유입구(230)를 통하여 제1챔버부(210)에 집수된 후, 관통 홀이 형성된 하측 포팅층부(500)를 통하여 하우징공간부(110)로 입력된다.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중공사형 막(10)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중공사형 막(10)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 기공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여과된다.
오염물질이 분리된 처리수는 중공사형 막(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제2챔버부(310)에 집수된 후 처리수배출구(3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미여과된 농축수는 농축수연결관부(450)를 통하여 제3챔버부(410)에 수용된 후 농축수배출구(4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형 막 모듈을 역세척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공사형 막 모듈(1)에서 역세척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처리수배출구(330)를 통하여 역세수가 유입되고, 원수유입구(230)를 통하여 역세공기가 유입된다. 처리수배출구(330)를 통하여 유입되는 역세수는 중공사형 막(10)의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중공사형 막(10)의 내부에 진입된다.
중공사형 막(10)의 내부로 진입되는 역세수는, 하우징공간부(110)의 내부에서 중공사형 막(10)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중공사형 막(10)의 기공에 부착된 이물질을 중공사형 막(10)으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원수유입구(230)를 통하여 유입되는 역세공기는, 중공사형 막(10)의 하단부를 고정한 포팅층부(500)를 관통하는 홀부를 통하여 하우징공간부(110)에 진입되고, 중공사형 막(10)을 유동시켜, 중공사형 막(10)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내고, 이물질 및 역세수 등과 함께 하우징공간부(110)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결국 중공사형 막(10)의 외부로 이물질과 함께 배출된 역세수와, 중공사형 막(10)을 유동시키며 중공사형 막(10)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세공기는, 농축수연결관부(450)를 통하여 제3챔버부(410)로 진입되고 농축수배출구(4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형 막 모듈(1)은, 역세척 시, 원수유입구(230)를 통하여 유입되는 역세공기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중공사형 막(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농축수연결관부(450) 및 농축수배출구(4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역세공기가 특정 방향으로 편중되지 않고, 전 영역에 걸쳐 중공사형 막(1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고르게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형 막 모듈(1)은, 역세공기가 복수 개의 중공사형 막(10)에 고르게 공급되어 중공사형 막(10)을 유동시키므로, 중공사형 막(10)이 일측으로 편위되거나,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여 중공사형 막(10)이 변형,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중공사형 막(10)의 여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오염물질이 특정 위치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역세공기의 공급압력, 공급량, 공급 시간 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중공사형 막 모듈(1)은 포팅층부(500) 사이에 베플 등이 위치하지 않으며, 농축수연결관부(450)의 최하단부가 상측에 형성된 포팅층부(500)의 하단면보다 같거나 높게 위치하므로, 역세공기 등에 의하여 중공사형 막(10)에 유동이 발생될 때, 베플, 또는 농축수연결관부(450)에 중공사형 막(10)이 끼이거나, 부딪쳐 중공사형 막(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중공사형 막 모듈 10: 중공사형 막
100: 하우징 110: 하우징공간부
200: 제1캡부 210: 제1챔버부
230: 원수유입구 250: 제1캡결합부
300: 제2캡부 310: 제2챔버부
330: 처리수배출구 350: 제2캡결합부
400: 제3캡부 410: 제3챔버부
430: 농축수배출구 450: 농축수연결관부
500: 포팅층부 510: 제1포팅층
530: 제2포팅층 C: 하우징의 중심축

Claims (9)

  1. 중공사형 막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연통되며 원수유입구가 설치되는 제1캡부;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연통되며, 처리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제2캡부; 및
    상기 제2캡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연통되며, 농축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제3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형 막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캡부는,
    상기 제2캡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농축수연결관부; 및
    상기 농축수연결관부와 연통되며, 상기 농축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제3챔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형 막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수연결관부는,
    상기 중공사형 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형 막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수연결관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호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형 막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수연결관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동일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형 막 모듈.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구와, 상기 농축수연결관부와, 상기 농축수배출구는 직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형 막 모듈.
  7.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중공사형 막이 결합되어 상기 중공사형 막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하는 포팅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형 막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팅층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중공사형 막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형 막 모듈.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팅층부는,
    상기 중공사형 막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포팅층; 및
    상기 제1포팅층에 대하여 상기 중공사형 막의 길이 방향 중심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포팅층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로 형성되는 제2포팅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형 막 모듈.
KR1020160124541A 2016-09-28 2016-09-28 중공사형 막 모듈 KR20180034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541A KR20180034837A (ko) 2016-09-28 2016-09-28 중공사형 막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541A KR20180034837A (ko) 2016-09-28 2016-09-28 중공사형 막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37A true KR20180034837A (ko) 2018-04-05

Family

ID=6197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541A KR20180034837A (ko) 2016-09-28 2016-09-28 중공사형 막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483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5896A1 (en) * 1998-05-14 2000-06-07 Daicen Menbrane-Systems Ltd Hollow fiber type membrane module
JP2003080037A (ja) * 2001-09-10 2003-03-18 Terumo Corp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39112A (ko) * 2014-09-30 2016-04-08 주식회사 휴비스워터 수처리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5896A1 (en) * 1998-05-14 2000-06-07 Daicen Menbrane-Systems Ltd Hollow fiber type membrane module
JP2003080037A (ja) * 2001-09-10 2003-03-18 Terumo Corp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39112A (ko) * 2014-09-30 2016-04-08 주식회사 휴비스워터 수처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20956A1 (en)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Having Fluid Channel Formed On Side Surface Thereof
KR101940471B1 (ko) 액체 회수 필터
JP2000051669A (ja) 下部キャップ付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20140114149A (ko) 중앙 배플과 이를 포함하는 가압식 중공사 분리막 모듈 및 이의 세정방법
KR101382473B1 (ko) 중공사 분리막 모듈의 유체 분배 장치
KR101508763B1 (ko)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역세척 방법
KR20120007946A (ko)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 장치
KR101402399B1 (ko)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의 하부집수 조립체
KR20190129834A (ko)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 방법 및 중공사막 여과 장치
KR101402528B1 (ko)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
KR101741775B1 (ko) 역삼투막 시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수용하는 역삼투막 필터
KR20180034837A (ko) 중공사형 막 모듈
KR101935595B1 (ko) 다단 정수 필터
KR20180033902A (ko) 중공사형 막 모듈
WO2013129227A1 (ja) 濾過装置
CN210057907U (zh) 一种膜组件
KR101685356B1 (ko)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
KR102018808B1 (ko) 원수와 역세수의 유량 분배성이 우수한 가압식 막 모듈
KR102328967B1 (ko) 여과 장치
KR20120083977A (ko) 중공사막여과기모듈
KR102146130B1 (ko) 수명 연장용 정수처리장치
CN210150771U (zh) 一种内外压一体式超滤装置
US20160207002A1 (en) Spiral aerator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aving same
JPH0824590A (ja) 高濃度有機液の濾過方法
KR20210047535A (ko) 정수기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