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730A - Gui를 이용한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Gui를 이용한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730A
KR20180034730A KR1020160122946A KR20160122946A KR20180034730A KR 20180034730 A KR20180034730 A KR 20180034730A KR 1020160122946 A KR1020160122946 A KR 1020160122946A KR 20160122946 A KR20160122946 A KR 20160122946A KR 20180034730 A KR20180034730 A KR 20180034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seat
seat
gui
control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래
이준호
이성훈
김장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22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4730A/ko
Publication of KR20180034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4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memory of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96Central command actuator to selectively switch on or engage one of several special purpose circuits or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전동 시트의 제어 변수 또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GUI가 디스플레이 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에서 입력된 전동 시트의 제어 변수를 사용자 항목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 변수에 해당하도록 전동 시트의 구동을 요청하는 GUI 제어부; 및 전동 시트에 마련되고, 상기 GUI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전동 시트를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GUI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기 저장된 사용자 항목에서 제어 변수를 호출하여 전동 시트의 구동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GUI를 전동 시트의 제어 방법으로 연계하여 편리하고 GUI 제어부가 운전자가 입력하는 제어 변수를 사용자 항목으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이 때, 제어 변수는 수치화 되어 저장되며, 사용자는 한번 입력한 자신의 전동 시트 설정 상태와 정확히 동일한 상태로 전동 시트 상태를 호출하여 일관성 있는 운전 환경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GUI를 이용한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SYSTEM FOR CAR SEAT CONTROL BY USING GRAPHICAL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와 동승자가 선택한 전동 시트의 상태를 편리하고 일관성 있게 반영할 수 있는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석 전동 시트는, 시트와 엑셀, 브레이크 간의 거리가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합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 요구로 인하여, 자동차의 시트가 기존의 기계적 동작을 벗어나 모터(actuator)를 이용한 자세 변경 및 이동이 가능토록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중저가의 보급형 차량의 전동 시트에도 전자 제어의 개념이 적용되어 시트의 전/후진을 조절하거나 시트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할 때에도 모터가 이용되고 있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고가로 보급되는 고급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주변에 전동 시트의 형상과 유사하고 제어되는 각 부분을 모형화한 물리적 스위치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스위치의 시트 형상을 기호에 따라서 앞뒤로 조작하고, 모형화된 스위치의 동작에 대응되어 차량의 전동 시트가 제어된다.
차량의 성능이 유사한 상황에서, 현재는 위의 예시처럼 사용자 편의성이나 디자인이 융합된 조작 스위치 등의 인터페이스가 차량의 이미지나 선호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보다 깔끔하고 편리한 디자인이나 제어 방법 등을 제시하기 위한 융합기술의 개발이 활발하다.
그 일 예시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113674호(이하, ‘선행특허’라 약칭한다)는 차량의 시트 제어 스위치로서, 중앙 콘솔 바디에 결합되는 마운팅부와; 상기 마운팅부에 결합된 조작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패널부는, 사용자의 터치후 좌우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시트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 및 상기 시트에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기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된 난방 모드 조절 바와; 사용자의 터치후 좌우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시트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 및 상기 시트에 냉풍을 공급하는 송풍기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된 냉방 모드 조절 바를 포함하는 차량의 시트 제어 스위치를 개시한다.
상기 선행특허는 차량의 시트 조작 패널에 냉온 조절 기능을 융합하고, 냉방이나 히터 조절이 손쉽도록 드래그 바로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전동 시트를 조작 패널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 못하다. 상기 선행특허는 전동 시트의 조작 스위치 상에 냉난방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비한 것이지, 전동 시트를 보다 편리하고, 보다 일관성 있게 제어하는 방법을 개시하지는 않는다.
한편, 아직 활발히 보급되지는 않았으나, 차량에 추가적인 센서를 구비하여 운전자의 앉은키, 발의 위치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센서 정보에 근거하여 전동 시트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법 또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동 시트 제어 방식은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준다는 편의성은 있으나, 사용자의 주관적인 선호도를 반영하지 못한다. 즉, 운전자에 따라서 키나 다리 길이에 상관없이 운전석과 밀착되도록 시트를 조절하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으며, 배가 나오거나 몸집이 큰 운전자는 다른 사람들 보다 시트를 더 크게 기울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주관적인 선호도를 고려한다면 센서의 일관적인 측정 정보로 시트를 제어하는 것은 그 적용에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의 변경시마다 전동 시트를 수동적으로 다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동승자와 함께하는 장거리 운전시, 운전자는 일정 시간 운전 후 서로 교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동승자와의 교대시에, 백미러의 각도, 시트의 위치, 시트의 기울임 등은 다시 조절되어야 한다. 이러한 불편함에 더하여, 초기 설정했던 자신의 전동 상태가 동승자에 의해서 변경된 이상, 이후 전동 시트의 상태를 이전에 세팅했던 상태로 다시 정확히 조절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3674호
본 발명은, 운전자의 변경으로 전동 시트 상태가 변경될 지라도, 자신이 설정했던 이전의 전동 시트 상태로 일관되게 조절할 수 있는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 시트의 제어를 수치적으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전동 시트의 제어 변수 또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GUI가 디스플레이 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에서 입력된 전동 시트의 제어 변수를 사용자 항목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 변수에 해당하도록 전동 시트의 구동을 요청하는 GUI 제어부; 및 전동 시트에 마련되고, 상기 GUI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전동 시트를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GUI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기 저장된 사용자 항목에서 제어 변수를 호출하여 전동 시트의 구동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패널은 차량의 헤드 유닛 또는 AVN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패널은 전동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슬라이드 변수, 전동 시트의 기울임을 조절하는 리클라인 변수, 또는 전동시트의 전후방 높낮이 변수를 상기 제어 변수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슬라이드 변수, 상기 리클라인 변수, 또는 상기 높낮이 변수가 드래그 바(drag bar)로 표현된 GUI가 내장되고, 상기 드래그 바의 드래깅 정보를 수치화하여 제어 변수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GUI 제어부는 전동 시트의 종류와 사용자 항목 별로 상기 제어 변수를 입력 받아 저장, 삭제, 조회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GUI를 전동 시트의 제어 방법으로 연계하여 편리하고 GUI 제어부가 운전자가 입력하는 제어 변수를 사용자 항목으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이 때, 제어 변수는 수치화 되어 저장되며, 사용자는 한번 입력한 자신의 전동 시트 설정 상태와 정확히 동일한 상태로 전동 시트 상태를 호출하여 일관성 있는 운전 환경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GUI와 데이터베이스로 제어되는 전동 시트의 설정 상태는 저장 개수에 한계가 없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주로 동승하게 되는 운전자 별로 시트 설정이 저장되고, 운전자의 변동시에도 단 한번의 조작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전동 시트의 상태를 호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터치 패널에 내장되는 GUI의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1)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1)은 터치 패널(5), GUI 제어부(10), 구동 제어부(30) 및 데이터베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5)은 전동 시트(3)의 제어 변수 또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GUI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1)은 물리적 스위치 없이 전동 시트(3)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로, 터치 패널(5)은 사용자가 전동 시트를 제어하게 되는 조작부로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동 시트(3)를 제어하게 되는 전자제어장치(ECU)는 양산을 고려하여 제작되므로, 그 개수와 저장 공간에 한계가 있다. 또한, 물리적 스위치는 사용자의 주관적인 조작으로 시트가 변형되는 정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하면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5)은 상기의 불편사항을 해결하고자 구현되는 스위치의 형태이며, GUI를 통해 전동 시트(3)의 제어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터치 패널(5)은 차량의 헤드 유닛 또는 AVN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의 헤드유닛은 대쉬보드에 있는 카세트, CDP, 라디오 기능을 갖는 데크를 말한다. AVN은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네비게이션(Navigation)의 약자로 헤드 유닛 상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GUI를 통해 전동 시트(3)의 스위치를 구현하게 되면, 전동 시트(3)의 주변으로 각각 물리적인 스위치를 구비시킬 필요없이, 차량의 헤드 유닛이나 AVN 상에 통합적으로 전동 시트(3)의 제어 스위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한정된 차량 공간과 창문, 락킹 등 조작되어야 할 스위치들이 다수 구비되어야 하는 운전자 시트의 주변 환경을 보다 깔끔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터치 패널(5)은 전동 시트(3)의 위치를 조절하는 슬라이드 변수, 전동 시트의 기울임을 조절하는 리클라인 변수, 또는 전동시트의 전후방 높낮이 변수를 제어 변수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2는 터치 패널(5)에 내장되는 GUI의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패널(5)은 슬라이드 변수, 리클라인 변수, 또는 높낮이 변수가 드래그 바(drag bar)로 표현된 GUI가 내장되고, 드래그 바의 드래깅 정보를 수치화하여 제어 변수로 입력 받을 수 있다. GUI 디자인은 입력받은 드래깅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된 전동 시트가 반응하여 가시적으로 제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직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터치 패널(5)에는 전동 시트 모형의 그래픽 하단으로, 전동 시트(3)가 운전석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되는 슬라이드 변수를 드래그 바로 표현한다. 또한, 터치 패널(5)에는 전동 시트 모형의 등받이의 상단에, 등받이의 기울임 정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인 변수를 드래그 바로 표현한다.
사용자는 슬라이드 변수, 리클라인 변수, 또는 높낮이 변수를 각각 수치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으나, 도 2와 같이 드래그 바의 일 영역으로 터치하여 전동 시트(3)를 조작할 수 있다. 터치 패널(5)의 GUI에서 드래그 바는 일정 마디로 규격화되어 수치화된다.
GUI 제어부(10)는 전동 시트의 종류와 사용자 항목 별로 상기 제어 변수를 입력 받아 저장, 삭제, 조회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50)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 패널(5)의 GUI에서 수치 정보는 각 드래그 바의 상단에 병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드래깅 영역은 드래그 바의 상단에 변환된 수치로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으며, 변환된 수치 정보가 GUI 제어부(1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될 수 있다.
터치 패널(5)의 GUI는 운전석의 전동 시트(3) 뿐만 아니라, 보조석이나 후방 좌석에 해당하는 전동 시트(3)를 각각 항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동 시트(3)를 선결적으로 선택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조작할 수 있다.
GUI 제어부(10)는 터치 패널(5)에서 입력된 전동 시트(3)의 제어 변수를 사용자 항목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제어 변수에 해당하도록 전동 시트(3)의 구동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항목이란, 사용자의 이름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항목의 설정은 전술한 터치 패널(5)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터치 패널(5)은 전동 시트(3)의 제어 화면 출력시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 패널(5)은 입력받은 사용자의 정보를 GUI 제어부(10)로 전송할 수 있다. GUI 제어부(10)는 사용자 정보를 항목으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GUI 제어부(10)는 사용자의 이름 별로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패널(5)에서 사용자 정보(이름)의 입력 또는 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선택한 이후, 제어하게 되는 전동 시트(3)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와, 전동 시트의 종류가 결정되면, 이후 터치 패널(5)의 GUI는 도 2의 그림과 같이 제어 변수를 입력받는다. GUI 제어부(10)는 입력 받은 제어 변수를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의 이름과, 전동 시트 종류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GUI 제어부(10)는 터치 패널(3)에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기 저장된 사용자 항목에서 제어 변수를 호출하여 전동 시트(3)의 구동을 요청할 수 있다. GUI 제어부(10)는 데이터베이스(50)와 연계되어 저장하게 되는 사용자 항목에 거의 제한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차량을 사용하게 되는 다수의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GUI 제어부(10)는 각각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탱의 전동 시트(3)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GUI 제어부(10)는 한번 설정한 전동 시트(3)의 상태를 수치화하여 사용자 항목 별로 저장하고, 추후 전동 시트(3)의 조절 상태가 변동될 지라도, 해당 수치를 호출하여 이전 상태로 정확하게 전동 시트(3)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 제어부(30)는 전동 시트(3)에 마련되고, GUI 제어부(30)의 요청에 따라 전동 시트(3)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 제어부(30)는 GUI 제어부(30)에서 요청하는 제어 변수의 형태(리클라인, 슬라이드, 높낮이)에 따라 엑추에이터(Actuator)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30)는 각각의 전동 시트(3)상에 마련되며, GUI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전동 시트(3)의 구동 제어부(30)로 제어 변수에 해당하는 구동을 요청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
3: 전동 시트
5: 터치 패널
10: GUI 제어부
30: 구동 제어부
50: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전동 시트의 제어 변수 또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GUI가 디스플레이 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에서 입력된 전동 시트의 제어 변수를 사용자 항목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 변수에 해당하도록 전동 시트의 구동을 요청하는 GUI 제어부; 및
    전동 시트에 마련되고, 상기 GUI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전동 시트를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GUI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기 저장된 사용자 항목에서 제어 변수를 호출하여 전동 시트의 구동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차량의 헤드 유닛 또는 AVN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전동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슬라이드 변수, 전동 시트의 기울임을 조절하는 리클라인 변수, 또는 전동시트의 전후방 높낮이 변수를 상기 제어 변수로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슬라이드 변수, 상기 리클라인 변수, 또는 상기 높낮이 변수가 드래그 바(drag bar)로 표현된 GUI가 내장되고, 상기 드래그 바의 드래깅 정보를 수치화하여 제어 변수로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UI 제어부는,
    전동 시트의 종류와 사용자 항목 별로 상기 제어 변수를 입력 받아 저장, 삭제, 조회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
KR1020160122946A 2016-09-26 2016-09-26 Gui를 이용한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 KR20180034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946A KR20180034730A (ko) 2016-09-26 2016-09-26 Gui를 이용한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946A KR20180034730A (ko) 2016-09-26 2016-09-26 Gui를 이용한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730A true KR20180034730A (ko) 2018-04-05

Family

ID=6197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946A KR20180034730A (ko) 2016-09-26 2016-09-26 Gui를 이용한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47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8703A (zh) * 2020-04-30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座椅调节方法、装置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8703A (zh) * 2020-04-30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座椅调节方法、装置及系统
CN112638703B (zh) * 2020-04-30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座椅调节方法、装置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8146B2 (en) Vehicle microclimat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9085270B2 (en) Dynamic geometry support for vehicle components
JP2007505778A (ja) 自動車用操作システム
US9751380B2 (en) Air vent assembly with integral air vent and control head
US20140343796A1 (en) Detect Driver Persona in a Vehicle
JP7421493B2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空調機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0285148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介して車両機能を制御するインターフェース
EP1228917A1 (en) A control arrangement
US20100327070A1 (en) Touch sensitive interface for heating or air conditioning a vehicle, and method for adjusting same
JP6464869B2 (ja) 操作システム
US9428055B2 (en) Vehicle,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US10308192B2 (en) Seating assembly to support a mobil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of supporting the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the seating assembly
EP3670237B1 (en) Vehicle-mounted device operation system
US20170255280A1 (en) SmartKnob
JP2018184024A (ja) ディスプレイ可動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可動装置
KR20180034730A (ko) Gui를 이용한 차량의 전동 시트 제어 시스템
JP2011148450A (ja) 車両用シート調整装置
US20220066548A1 (en) Vehicle comprising a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US20220250477A1 (en) Control system,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at a vehicle for controlling the views of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by a vehicle occupant
US20240109418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oper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having an operating device
JP6939451B2 (ja) 入力装置
JP2013127705A (ja) 車両用入力装置
JP2010023767A (ja) 操作装置
WO2022254664A1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10593132B2 (en) System for controlling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control command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