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882A -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882A
KR20180033882A KR1020160123401A KR20160123401A KR20180033882A KR 20180033882 A KR20180033882 A KR 20180033882A KR 1020160123401 A KR1020160123401 A KR 1020160123401A KR 20160123401 A KR20160123401 A KR 20160123401A KR 20180033882 A KR20180033882 A KR 20180033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oxidant
ignition
coal
thermocou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화
이현동
김재관
박석운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60123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3882A/ko
Publication of KR2018003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02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changes of state or changes of phase; by investigating sin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는: 내부에 석탄시료를 수용하고, 석탄시료의 자연발화가 이루어지는 발화반응기; 발화반응기를 감싸며, 발화반응기를 석탄시료의 탄종에 따른 발화온도 조건과 부합되는 온도로 축열시키는 퍼니스; 퍼니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발화반응기의 상부와 측부로 산화제를 공급하는 산화제 주입관; 및 발화반응기의 하부를 관통하는 하부 열전대와, 발화반응기의 상부를 관통하는 상부 열전대를 포함하고, 하부 열전대와 상부 열전대가 석탄시료에 삽입되어 석탄시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전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MEASURING APPARATUS FOR SPONTANEOUS IGNITION OF COAL}
본 발명은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탄장 조건을 모사한 실험 장치를 통해 각 탄종별로 자연발화 특성을 측정, 평가하는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용 에너지원 중의 하나인 석탄은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보일러로 주입되기 전에 석탄을 저장하는 저탄장에서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자연 연소반응(자연발화)을 일으킨다. 이러한 석탄의 자연발화 현상은 일산화탄소(CO)와 같은 유해한 불완전 연소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저탄장 작업자들의 건강을 위협할 뿐 아니라 석탄 이송이나 미분과정에서 화재나 폭발을 일으킬 수 있어 작업장 안전을 저해하고 있다. 또한 자연발화에 의해 발생되는 연무나 분진은 저탄장 주변의 대기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의 하나로서 지역 민원의 소지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형편이다.
최근 국내에서는 저급탄의 도입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이들 저등급 석탄은 수분과 휘발분의 함량이 높아 자연발화의 우려가 상대적으로 크다.
현재 석탄의 자연발화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살수(撒水)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석탄의 종류나 산지에 따라 자연발화 특성이 다르고 저탄장이 입지한 곳의 풍향, 온도 등 자연발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많아 적절한 살수 방법이 수립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탄종별, 저탄장 입지 조건별로 적절한 살수 방법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탄종과 저탄장 입지 조건에 따른 자연발화 경향을 정확히 측정, 예측하여 물이나 기타 방지제 주입 위치를 합리적으로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석탄의 자연발화는 수분함량이나 휘발분함량과 같은 석탄 고유의 특성뿐만 아니라, 저탄장의 형상, 저탄장 주변 대기의 조건, 저탄장이 입지한 곳의 평균 온도 변화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8052호(2016.07.04 등록, 발명의 명칭: 분사모듈을 포함하는 석탄층 자연발화 방지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탄장 조건을 모사한 실험 장치를 통해 각 탄종별로 자연발화 특성을 측정, 평가하는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는: 내부에 석탄시료를 수용하고, 상기 석탄시료의 자연발화가 이루어지는 발화반응기; 상기 발화반응기를 감싸며, 상기 발화반응기를 상기 석탄시료의 탄종에 따른 발화온도 조건과 부합되는 온도로 축열시키는 퍼니스; 상기 퍼니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화반응기의 상부와 측부로 산화제를 공급하는 산화제 주입관; 및 상기 발화반응기의 하부를 관통하는 하부 열전대와, 상기 발화반응기의 상부를 관통하는 상부 열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열전대와 상기 상부 열전대가 상기 석탄시료에 삽입되어 상기 석탄시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전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화반응기는, 상기 하부 열전대가 삽입되는 하부공이 형성되는 하부 반응기; 상기 하부 반응기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석탄시료가 수용되는 시료홀더; 상기 하부 반응기의 상부에 장착되고, 측부에 상기 산화제 주입관으로부터 산화제를 공급받는 측부공이 형성되는 중간 반응기; 및 상기 중간 반응기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산화제 주입관으로부터 산화제를 공급받는 상부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열전대가 삽입되는 상부 반응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화반응기는, 상기 시료홀더의 외주면을 감싸는 내부단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 반응기에는 상기 측부공에 대향되고, 다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부공으로부터 유입되는 산화제를 분산시키는 수직 다공판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반응기에는 상기 상부공에 대향되고, 다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으로부터 유입되는 산화제를 분산시키는 수평 다공판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반응기에는 상기 수평 다공판이 거치되는 압입링이 압입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 반응기에는 상기 측부공의 반대편에 상기 측부공보다 더 크게 개구되어 유입된 산화제를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화반응기는, 상기 시료홀더에 안착되고,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다공성 필터 재질로 이루어지는 유동안정화 캡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화제 주입관은, 상기 중간 반응기에 산화제를 공급하는 제1분지관; 및 상기 상부 반응기에 산화제를 공급하는 제2분지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분지관과 상기 제2분지관에는 산화제의 공급을 조절하는 밸브가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퍼니스는, 상기 발화반응기에 외부로부터 열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발화조건에 맞게 온도를 유지시키는 외부단열부; 및 상기 외부단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화반응기에 상기 석탄시료의 발화조건에 맞게 온도를 제공하는 열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는 주어진 저탄장 조건하에서의 특정 탄종의 자연발화 조건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을 통해 탄종별, 저탄장 조건별 자연발화 경향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탄종이 주어진 저탄장 조건하에서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를 분석함으로써, 자연발화를 일으킬 가능성을 사전에 파악하고, 자연발화의 여지가 높은 저탄장의 위치, 계절, 대기 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와 시점에 물 또는 기타 자연발화 방지제를 살포하여 자연발화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한 위치와 시점에 자연발화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자연발화 방지제 살포량을 최적화하고 방지제 살포에 따르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반응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가 장착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반응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가 장착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100)는 발화반응기(10), 퍼니스(20), 산화제 주입관(30), 열전대(40)를 포함한다.
발화반응기(10)는 내부에 석탄시료(1)를 수용하고, 석탄시료(1)의 자연발화가 이루어진다. 석탄시료(1)는 측정 대상물로서, 측정에 따라 탄종별, 저탄장 조건별로 선정되어 발화반응기(10)에 수용된다.
퍼니스(20)는 발화반응기(10)를 감싸며, 발화반응기(10)를 석탄시료(1)의 탄종에 따른 발화온도 조건과 부합되는 온도로 축열시킨다. 즉, 발화반응기(10)는 퍼니스(20)의 내부에 수용되고 감싸지며, 퍼니스(20)는 발화반응기(10)의 내부 온도를 발화온도 조건에 부합되도록 온도를 승온시키거나 보온한다. 퍼니스(20)는 외부단열부(21)와 열선(23)을 포함한다.
외부단열부(21)는 내부 공간에 발화반응기(10)을 수용한다. 외부단열부(21)의 내부는 열선(23)에 의해 발화반응기(10) 내부의 온도를 승온시킬 수 있도록 수용홈(미도시)가 형성되어, 발화반응기(10)의 내부에 수용된 석탄시료(1)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인 석탄더미의 내부 조건과 유사하게 할 수 있다.
열선(23)은 외부단열부(21)에 설치되고, 발화반응기(10)에 석탄시료(1)의 발화조건에 맞는 온도를 제공한다.
산화제 주입관(30)은 퍼니스(20)의 내부에 설치되고, 발화반응기(10)의 상부와 측부로 산화제를 공급한다. 산화제는 공기와 산소, 수분의 혼합기체를 사용한다. 산소의 유량과, 수분공급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모사하고자 하는 저탄장 대기의 성분과 동일하게 만든다.
산화제 주입관(30)은 제1분지관(31)과 제2분지관(33)을 포함한다. 제1분지관(31)은 발화반응기(10)의 중간 반응기(15)에 산화제를 공급한다. 제2분지관(33)은 발화반응기(10)의 상부 반응기(18)에 산화제를 공급한다.
제1분지관(31)과 제2분지관(33)에는 산화제의 공급을 조절하는 밸브(31a, 33a)가 각각 설치된다. 제1분지관(31)에는 제1밸브(31a)가 설치되고, 제2분지관(33)에는 제2밸브(33a)가 설치되어, 측정 조건에 따라 제1밸브(31a) 및 제2밸브(33a)가 개폐되면서 제1분지관(31)과 제2분지관(33)에서 배출되는 산화제의 유량이 조절된다.
열전대(40)는 발화반응기(10)의 하부를 관통하는 하부 열전대(41)와, 발화반응기(10)의 상부를 관통하는 상부 열전대(43)를 포함한다. 열전대(40)의 하부 열전대(41)와 상부 열전대(43)는 석탄시료(1)의 표면부와 심부에 각각 삽입되어 석탄시표(1)의 표면부와 심부에서의 온들 측정한다.
퍼니스(20) 내부에서 산화제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맞추기 위해, 산화제 주입관(30)에는 발화반응기(10)의 하부에 나선형으로 감겨서 발화반응기(10) 내부의 온도도 평형을 이루게 하는 열교환 영역(35)이 형성된다. 열교환 영역(35)이 나선형으로 감겨 있어, 제한된 공간에 최대 면적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발화반응기(10)는 하부 반응기(11), 시료홀더(13), 중간 반응기(15), 상부 반응기(18)를 포함한다.
하부 반응기(11)는 하부 열전대(41)가 삽입되는 하부공(11a)가 형성된다. 하부 반응기(11)는 내부 공간에 시료홀더(13)가 장착되고, 하부공(11a)을 통해 하부 열전대(41)가 삽입된다. 하부 열전대(41)는 시료홀더(13)에 수용된 석탄시료(1)의 하부에 삽입된다.
시료홀더(13)는 하부 반응기(11)에 장착되고, 내부에 석탄시료(1)를 수용한다. 시료홀더(13)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막혀 있는데, 이는 저탄장 심부의 조건을 반영한다.
중간 반응기(15)는 하부 반응기(11)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하가 개구된 몸체부(15d)의 측부에 산화제 주입관(30)의 제1분지관(31)으로부터 산화제를 공급받는 측부공(15a)가 형성된다. 중간 반응기(15)의 몸체부(15d)에는 측부공(15a)의 반대편에 배출부(15c)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배출부(15c)는 측부공(15c)을 통해 공급받는 산화제가 자연스런 흐름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측부공(15a)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부 반응기(18)은 중간 반응기(15)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부에 산화제 주입관(30)의 제2분지관(33)으로부터 산화제를 공급받는 상부공(18a)이 형성되며, 상부 열전대(43)가 삽입된다. 상부 열전대(43)는 시료홀더(13)에 수용된 석탄시료(1)의 상부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화반응기(10)는 내부단열부(12)는 더 포함한다. 내부단열부(12)는 시료홀더(13)의 외주면을 감싸고, 단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저탄장 표면의 석탄은 주변 석탄으로의 열전달이 불가하므로, 이러한 조건을 모사하기 위해, 시료홀더(13)의 외주면을 단열재질을 포함하는 내부단열부(12)로 감싼다.
중간 반응기(15)에는 측부공(15a)에 대향되고, 다공형으로 형성되며, 측부공(15a)으로부터 유입되는 산화제를 분산시키는 수직 다공판(15b)이 배치된다. 수직 다공판(15b)은 측부공(15a)으로 유입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면으로 고르게 균일한 속도로 산화제가 분포되게 한다.
또한 상부 반응기(18)에는 상부공(18a)에 대향되고, 다공형으로 형성되며, 상부공(18a)으로부터 유입되는 산화제를 분산시키는 수평 다공판(18b)이 배치된다. 수평 다공판(18b)은 상부공(18a)으로 유입되는 방향에 대해 수평면으로 고르게 균일한 속도로 산화제가 상부에서 하부로 분포되게 한다.
즉, 저탄장 표면에 흐르는 공기의 방항에 따라 수직과 수평으로 흐르는 산화제가 고르게 분포된다.
상부 반응기(18)에 수평 다공판(18b)이 장착되고, 압입링(16)이 수평 다공판(18b)의 하부를 거치한 상태에서 상부 반응기(18)에 압입 결합된다. 압입링(16)의 외경은 상부 반응기(18)의 하부 내경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압입링(16)이 상부 반응기(18)에 압입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화반응기(10)는 유동안정화 캡(14)을 더 포함한다. 유동안정화 캡(14)은 시료홀더(13)의 상부에 안착되고,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다공성 필터 재질로 이루어진다. 유동안정화 캡(14)은 반구형의 다공질 재질로 형성되어, 유동안정화 캡(14)을 통해 석탄시료(1)의 상부를 통해 균일한 산화제가 공급된다.
유동안정화 캡(14)은 산화제의 유량이 높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난류의 영향을 배재하기 위하여 시료홀더(13)의 상부에 장착되어 석탄시료(1)의 표면으로 균일하게 산화제가 흐르게 유도한다. 유동안정화 캡(14)은 두께가 매우 얇은 다공성 필터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산화제 주입관(30)에 공급되는 산화제는 공기, 산소, 수분의 혼합기체를 사용한다. 공기는 공기흡입부(201)를 통해서 유입되고, 산소는 산소 탱크(203)를 통해 공급받고, 수분은 수분 공급기(205)를 통해 공급받는다. 산소 탱크(203)의 배출 유량과 수분공급기(205)의 온도를 조절하여 모사하고자 하는 저탄장 대기의 성분과 동일하게 만든다.
전체적인 산화제 주입량은 산화제 공급펌프(207)의 부하를 변화시킴으로서 조절하며, 산송 탱크(203)에 설치된 산소유량 제어밸브(209)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산화제 중의 산소 농도를 조절한다. 또한 수분공급기(205)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산화제 중의 수분 농도를 조절한다. 이렇게 조절된 최종 산화제의 유량은 유량계(211)에서 측정된다.
가스분석기(213)는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100)에서 소모된 산화제와 석탄시료(1)의 연소가스의 성분을 분석한다. 이 산화제와 연소가스의 분석 결과는 중앙제어장치(215)에 제공된다. 중앙제어장치(215)는 산화제의 유량, 석탄시료(1)의 표면부와 심부의 온도, 산화제와 석탄시료(1) 연소가스의 화학 성분을 입력 값으로 받고, 연산을 통해 산화제 공급펌프(207)의 유량, 산소유량 제어밸브(209)의 개도, 수분공급기(205)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석탄시료(1) 상부를 지나는 산화제의 농도, 온도, 유량을 저탄장 대기와 유사한 조건에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산화제 주입관(30)에서 제1밸브(31a)와 제2밸브(33a)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석탄시료(1) 위로 흐르는 산화제의 방향을 저탄장이 입지한 곳에서의 풍향 조건에 맞게 모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100)는 주어진 저탄장 조건하에서의 특정 탄종의 자연발화 조건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을 통해 탄종별, 저탄장 조건별 자연발화 경향에 대한 중앙제어장치(215)에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탄종이 주어진 저탄장 조건하에서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를 분석함으로써, 자연발화를 일으킬 가능성을 사전에 파악하고, 자연발화의 여지가 높은 저탄장의 위치, 계절, 대기 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와 시점에 물 또는 기타 자연발화 방지제를 살포하여 자연발화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한 위치와 시점에 자연발화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자연발화 방지제 살포량을 최적화하고 방지제 살포에 따르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석탄시료 10: 발화반응기
11: 하부 반응기 11a: 하부공
12: 내부단열부 13: 시료홀더
14: 유동안정화 캡 15: 중간 반응기
15a: 측부공 15b: 수직다공판
15c: 배출부 15d: 몸체부
16: 압입링 18: 상부 반응기
18a: 상부공 18b: 수평 다공판
20: 퍼니스 21: 외부단열부
23: 열선 30: 산화제 주입관
31: 제1분지관 31a: 제1밸브
33: 제2분지관 33a: 제2밸브
35: 열교환 영역 40: 열전대
100: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201: 공기흡입부 203: 산소 탱크
205: 수분 공급기 207: 산화제 공급펌프
209: 산소유량 제어밸브 211: 유량계
213: 가스분석기 215: 중앙제어장치

Claims (10)

  1. 내부에 석탄시료를 수용하고, 상기 석탄시료의 자연발화가 이루어지는 발화반응기;
    상기 발화반응기를 감싸며, 상기 발화반응기를 상기 석탄시료의 탄종에 따른 발화온도 조건과 부합되는 온도로 축열시키는 퍼니스;
    상기 퍼니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화반응기의 상부와 측부로 산화제를 공급하는 산화제 주입관; 및
    상기 발화반응기의 하부를 관통하는 하부 열전대와, 상기 발화반응기의 상부를 관통하는 상부 열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열전대와 상기 상부 열전대가 상기 석탄시료에 삽입되어 상기 석탄시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전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반응기는,
    상기 하부 열전대가 삽입되는 하부공이 형성되는 하부 반응기;
    상기 하부 반응기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석탄시료가 수용되는 시료홀더;
    상기 하부 반응기의 상부에 장착되고, 측부에 상기 산화제 주입관으로부터 산화제를 공급받는 측부공이 형성되는 중간 반응기; 및
    상기 중간 반응기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산화제 주입관으로부터 산화제를 공급받는 상부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열전대가 삽입되는 상부 반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반응기는,
    상기 시료홀더의 외주면을 감싸는 내부단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반응기에는 상기 측부공에 대향되고, 다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부공으로부터 유입되는 산화제를 분산시키는 수직 다공판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반응기에는 상기 상부공에 대향되고, 다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으로부터 유입되는 산화제를 분산시키는 수평 다공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응기에는 상기 수평 다공판이 거치되는 압입링이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반응기에는 상기 측부공의 반대편에 상기 측부공보다 더 크게 개구되어 유입된 산화제를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발화 측정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반응기는,
    상기 시료홀더에 안착되고,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다공성 필터 재질로 이루어지는 유동안정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 주입관은,
    상기 중간 반응기에 산화제를 공급하는 제1분지관; 및
    상기 상부 반응기에 산화제를 공급하는 제2분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지관과 상기 제2분지관에는 산화제의 공급을 조절하는 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니스는,
    상기 발화반응기에 외부로부터 열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발화조건에 맞게 온도를 유지시키는 외부단열부; 및
    상기 외부단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화반응기에 상기 석탄시료의 발화조건에 맞게 온도를 제공하는 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KR1020160123401A 2016-09-26 2016-09-26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KR20180033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401A KR20180033882A (ko) 2016-09-26 2016-09-26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401A KR20180033882A (ko) 2016-09-26 2016-09-26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882A true KR20180033882A (ko) 2018-04-04

Family

ID=6197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401A KR20180033882A (ko) 2016-09-26 2016-09-26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388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040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포스코 석탄의 점탄성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1076838A (zh) * 2019-12-30 2020-04-28 兰州理工大学 一种煤自燃隐患区域精准判定的温敏示踪定位方法
CN112083026A (zh) * 2019-06-12 2020-12-15 株式会社岛津制作所 自燃试验装置
CN113670980A (zh) * 2021-07-26 2021-11-19 中煤科工集团沈阳研究院有限公司 确定煤最短自然发火期的方法
WO2022047835A1 (zh) * 2020-09-01 2022-03-10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煤自燃特征参数测定实验平台
KR20220073285A (ko) * 2020-11-26 2022-06-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미분탄 반응성 평가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040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포스코 석탄의 점탄성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2083026A (zh) * 2019-06-12 2020-12-15 株式会社岛津制作所 自燃试验装置
CN111076838A (zh) * 2019-12-30 2020-04-28 兰州理工大学 一种煤自燃隐患区域精准判定的温敏示踪定位方法
WO2022047835A1 (zh) * 2020-09-01 2022-03-10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煤自燃特征参数测定实验平台
KR20220073285A (ko) * 2020-11-26 2022-06-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미분탄 반응성 평가 장치
CN113670980A (zh) * 2021-07-26 2021-11-19 中煤科工集团沈阳研究院有限公司 确定煤最短自然发火期的方法
CN113670980B (zh) * 2021-07-26 2023-09-01 中煤科工集团沈阳研究院有限公司 确定煤最短自然发火期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3882A (ko) 석탄의 자연발화 측정장치
Ko et al. Emissions and efficiency of a domestic gas stove burning natural gases with various compositions
FI89204C (fi) Panna
Jones Inflammation Limits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in Hazardous Industrial Operations.
US6946101B1 (en) Burner for producing carbon black
ES478842A1 (es) Procedimiento e instalacion para la regulacion del nivel de carbono en una mezcla de gas que reacciona dentro del recinto de un horno.
EP25379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continuous-cycle thermo-chemical decomposition of a biomass
US3002819A (en) Apparatus for testing fuels
CA1117404A (en) Detection of gases
ES420742A2 (es) Perfeccionamientos de seguridad para aparato de gas.
US2772952A (en) Gas generator and method
CN104854195A (zh) 烟尘发生器
Liang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fuel combustion under external irradiance
Mihaescu et al.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biogas generated in the leather industry on combustion quality
CN104897722A (zh) 一种微型量热仪
Valoy et al. Effect of ventilation on carbon monoxide and soot particles emissions in a confined and mechanically-ventilated fire
Holm XXII. On the ignition of explosive gaseous mixtures by small flames
US3865707A (en) Combustible mixture analyzer
Sergeyev et al. Researches of air and fuel rate influence on oxygen level in emissions of new type medium power coal boiler
Gas Combustion engineering and gas utilisation
Sato Extinction of counterflow diffusion flame in high pressures
Trofimenko et al. Electrical structure of the jet of a gas mixture flame
JPS56127680A (en) Coke quenching apparatus
JPS572833A (en) Supplying device of inert gas to heat treatment furnace
CN113990171B (zh) 一种模拟核电站严重事故氢气爆燃环境的试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