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735A - 단일 단으로 구성된 메인 ofa 포트 및 사이드 ofa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 - Google Patents

단일 단으로 구성된 메인 ofa 포트 및 사이드 ofa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735A
KR20180033735A KR1020160123053A KR20160123053A KR20180033735A KR 20180033735 A KR20180033735 A KR 20180033735A KR 1020160123053 A KR1020160123053 A KR 1020160123053A KR 20160123053 A KR20160123053 A KR 20160123053A KR 20180033735 A KR20180033735 A KR 20180033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ofa
combustion furnace
mai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우철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3735A/ko
Publication of KR2018003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2Structural details of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8Disposition of burners
    • F23C5/10Disposition of burners to obtain a flame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23C7/02Disposition of air supply not passing through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apparatu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ir;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C2900/07021Details of l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단일 단으로 구성된 메인 OFA 포트 및 사이드 OFA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로(100)는,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네 개의 측벽(101, 102, 103, 104)을 구비하는 사각기둥 형태의 연소로(furnace, 100)로서, 상기 연소로(100)를 구성하고 있는 측벽에 형성된 버너(105)의 최상부 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단일 단(row)으로 형성되고, 연소로(100) 내부로 공기를 투입하는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0); 및 상기 메인 OFA 포트(110)의 양단 포트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양단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며, 연소로(100) 내부로 공기를 투입하는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소로에 따르면, 배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단 연소에서 OFA포트(Over Fire Air Port)의 배치를 종래 2열 배치에서 1열 배치로 변경함과 동시에, 종래 2열 배치와 동일한 수준의 배출성능을 달성할 수 있고, NOx 형성을 줄이며, 화로벽면과 버너열 사이에 존재하는 데드존(dead zone)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일 단으로 구성된 메인 OFA 포트 및 사이드 OFA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Furnace Having Single Row Main Over Fire Air Port and Side Over Fire Air Port, And Power Plant Boil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소로 내부에 OFA(Over Fire Air)를 주입하는 OFA 포트(Over Fire Air Port)를 포함하는 연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단으로 구성된 메인 OFA 포트 및 사이드 OFA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력발전 플랜트는 화석연료를 연소시켜 발전소 또는 산업용으로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 경우, 화력발전 플랜트 내부에 마련되는 버너에는 복수개의 노즐이 삽입되어, 버너 내부에서 미분탄을 연소시키며 상기 미분탄을 연소시켜 얻은 열에너지로 증기를 발생시키고 터빈을 가동시키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네 개의 측벽을 구비하는 사각기둥 형태의 연소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연소로에서 하나의 측벽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소로(10)의 경우, 네 개의 측벽(11, 12, 13, 14) 중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벽(12, 14)에 다수의 열로 구성된 버너(burner, 16)가 설치되고, 버너의 최상단 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OFA 포트(Over Fire Air Port, 15)가 두 개의 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소로(10)는, 버너 내부에서 미분탄을 보다 효과적으로 연소시키고, 이와 동시에 생성되는 NOx 및 CIA(carbon in ash)의 양을 저감시키기 위해, 두 개의 단을 OFA 포트를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소로(10)는 두 개의 단으로 설치된 다수의 OFA 포트가 필요하여 제작시 고가의 제작비용이 소요되며, 운용에 있어서, 다수의 OFA 포트를 운용해야 하므로 많은 양의 운용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연소로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미국공개특허 US2004-0221777 (2004년 11월 11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단 연소에서 OFA포트(Over Fire Air Port)의 배치를 종래 2열 배치에서 1열 배치로 변경함과 동시에, 종래 2열 배치와 동일한 수준의 배출성능을 달성할 수 있고, NOx 형성을 줄이며, 화로벽면과 버너열 사이에 존재하는 데드존(dead zone)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소로는,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네 개의 측벽을 구비하는 사각기둥 형태의 연소로(furnace)로서, 상기 연소로를 구성하고 있는 측벽 중 서로 대향하는 임의의 두 개의 측벽에 형성된 버너의 최상부 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단일 단(row)으로 형성되고, 연소로 내부로 공기를 투입하는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및 상기 메인 OFA 포트의 양단 포트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양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며, 연소로 내부로 공기를 투입하는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OFA 포트의 위치는, 버너의 상하 배열 간격의 평균값 대비 100 내지 150 %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OFA 포트의 위치는, 버너의 최상부 단으로부터 1.0 내지 2.0 m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의 측방향 위치는,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들 사이의 평균 이격거리 대비 50 내지 150%의 거리만큼 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의 상하방향 위치는,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와 버너의 최상부 단 사이의 이격거리 대비 10 내지 90%의 거리만큼 버너의 최상부 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는, 상기 사이드 OFA 포트와 인접하여 측벽에 장착되고, 사이드 OFA 포트의 폭방향 또는 상하방향 장착위치를 변경하는 사이드포트 위치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는, 상기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와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로부터 투입되는 공기의 분사량 및 분사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를 통해 OFA(Over Fire Air) 전체 공급량의 35 내지 40 %가 연소로 내부로 공급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및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는, 연소로 내부로 OFA(Over Fire Air)를 공급하도록,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는 관상형 구조의 프라이머리 포트; 및 상기 프라이머리 포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단면상 도넛 형태의 OFA(Over Fire Air) 유동로를 제공하는 세컨더리 포트;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연소로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소로에 따르면, 특정구조의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및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를 구비함으로써, 단일 단으로 구성된 OFA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로에 따르면, 메인 OFA 포트의 위치와 사이드 OFA 포트의 위치를 특정 위치로 제한함으로써, 종래 2열 배치와 동일한 수준의 배출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대비 설계 및 설비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로에 따르면, 메인 OFA 포트의 위치와 사이드 OFA 포트의 위치를 특정 위치로 제한함으로써, 프라이머리 존(primary zone)에서 공기비를 낮추어 NOx 형성을 줄일 수 있고, 연소공기를 다단으로 공급하여 프라이머리 존(primary zone)에서 미분탄의 리지던스 타임(residence time)을 늘려 CIA(carbon in ash)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화로벽면과 버너열 사이에 존재하는 데드존(dead zone)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로에 따르면,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와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에 공급되는 OFA(Over Fire Air) 공급량 비율을 특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종래 2열 배치와 동일한 수준의 배출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로에 따르면, 메인포트 방향변경수단 및 사이드포트 방향변경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2열 배치와 동일한 수준의 배출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네 개의 측벽을 구비하는 사각기둥 형태의 연소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소로에서 하나의 측벽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 개의 측벽을 구비하는 사각기둥 형태의 연소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로의 측벽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OFA 포트 및 사이드 OFA 포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메인 OFA 포트와 사이드 OFA 포트의 위치를 서로 달리한 여러 대조군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배출 가스량, 질소산화물(NOx) 수치와 탄소분(CIA, carbon in ash) 수치를 비교한 표이다.
도 7은 메인 OFA 포트와 사이드 OFA 포트로부터 투입되는 공기의 비율을 서로 달리한 여러 대조군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배출 가스량, 질소산화물(NOx) 수치와 탄소분(CIA, carbon in ash) 수치를 비교한 표이다.
도 8은 메인 OFA 포트와 사이드 OFA 포트의 위치를 서로 달리한 여러 대조군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질소산화물(NOx) 수치와 탄소분(CIA, carbon in ash)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메인 OFA 포트와 사이드 OFA 포트로부터 투입되는 공기의 비율을 서로 달리한 여러 대조군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탄소분(CIA, carbon in ash)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 개의 측벽을 구비하는 사각기둥 형태의 연소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로의 측벽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로(100)는,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네 개의 측벽(101, 102, 103, 104)을 구비하는 사각기둥 형태의 연소로(furnace)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소로보다 감소된 수량의 OFA 포트(over fire air port)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OFA 포트는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0) 및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0)는, 연소로(100)를 구성하고 있는 측벽 중 서로 대향하는 임의의 두 개의 측벽에 형성된 버너(105)의 최상부 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단일 단(row)으로 형성되고, 연소로(100) 내부로 공기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는, 메인 OFA 포트(110)의 양단 포트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양단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며, 연소로(100) 내부로 공기를 투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로(100)는 메인 OFA 포트(110)와 사이드 OFA 포트(120)의 위치를 특정 위치로 제한함으로써, 종래 2열 배치와 동일한 수준의 배출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대비 설계 및 설비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OFA 포트(110)와 사이드 OFA 포트(120)의 위치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OFA 포트(110)의 위치는, 버너(105)의 상하 배열 간격(h1, h2)의 평균값 대비 100 내지 150 %의 거리(h3)만큼 이격된 위치임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메인 OFA 포트(110)의 위치는, 버너(105)의 최상부 단으로부터 1.0 내지 2.0 m 거리(h3)만큼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한편,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의 측방향 위치는,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0)들 사이의 평균 이격거리(w1) 대비 50 내지 150%의 거리(w2)만큼 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의 상하방향 위치는,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0)와 버너(105)의 최상부 단 사이의 이격거리(h3) 대비 10 내지 90%의 거리(h4)만큼 버너(105)의 최상부 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임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사이드포트 위치변경수단을 추가로 장착하여, 사이드 OFA 포트(120)의 폭방향 또는 상하방향 장착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포트 위치변경수단의 장착위지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사이드 OFA 포트(120)와 인접하여 측벽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OFA 포트 및 사이드 OFA 포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0) 및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는, 두 개의 관상형 구조가 겹져진 구조로서 단면서 도넛 형상을 이루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OFA 포트(110, 120)는 프라이머리 포트(122) 및 세컨더리 포트(123)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프라이머리 포트(primary port, 122)는 연소로 내부로 OFA(Over Fire Air)를 공급하도록,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는 관상형 구조이다. 또한, 세컨더리 포트(secondary port, 123)는 프라이머리 포트(12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단면상 도넛 형태의 OFA(Over Fire Air) 유동로를 제공하는 구조이다.
프라이머리 포트(122)를 통해서 일직선 방향으로 토출되는 OFA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컨더리 포트(123) 내부에는 와류생성수단(121)이 장착되어 있어 회전되며 토출되는 OFA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직선 방향으로 토출되는 OFA와 함께 회전하며 토출되는 OFA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머리 포트(122)와 세컨더리 포트(123)로부터 토출되는 OFA의 양을 제어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로(100)의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0) 및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를 통해 공급되는 OFA(Over Fire Air)의 비율을 적절히 제어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를 통해 OFA(Over Fire Air) 전체 공급량의 35 내지 40 %가 연소로(100) 내부로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38 %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로(100)는,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0)와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로부터 투입되는 공기의 분사량 및 분사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100)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메인 OFA 포트와 사이드 OFA 포트의 위치를 서로 달리한 여러 대조군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배출 가스량, 질소산화물(NOx) 수치와 탄소분(CIA, carbon in ash) 수치를 비교한 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에 대한 그래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OFA 포트(Over Fire Air Port)의 위치를 버너(105)의 최상부 단으로부터 1.5 m 거리만큼 이격시킬 경우(case 9a) CIA(carbon in ash)의 발생량이 가장 낮다.
도 7에는 메인 OFA 포트와 사이드 OFA 포트로부터 투입되는 공기의 비율을 서로 달리한 여러 대조군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배출 가스량, 질소산화물(NOx) 수치와 탄소분(CIA, carbon in ash) 수치를 비교한 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에 대한 그래프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를 통해 OFA(Over Fire Air) 전체 공급량의 38 %가 연소로(100) 내부로 공급될 경우(case 6) CIA(carbon in ash)의 발생량이 가장 낮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소로에 따르면, 특정구조의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및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를 구비함으로써, 단일 단으로 구성된 OFA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로에 따르면, 메인 OFA 포트의 위치와 사이드 OFA 포트의 위치를 특정 위치로 제한함으로써, 종래 2열 배치와 동일한 수준의 배출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대비 설계 및 설비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로에 따르면, 메인 OFA 포트의 위치와 사이드 OFA 포트의 위치를 특정 위치로 제한함으로써, 프라이머리 존(primary zone)에서 공기비를 낮추어 NOx 형성을 줄일 수 있고, 연소공기를 다단으로 공급하여 프라이머리 존(primary zone)에서 미분탄의 리지던스 타임(residence time)을 늘려 CIA(carbon in ash)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화로벽면과 버너열 사이에 존재하는 데드존(dead zone)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로에 따르면,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와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에 공급되는 OFA(Over Fire Air) 공급량 비율을 특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종래 2열 배치와 동일한 수준의 배출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로에 따르면, 메인포트 방향변경수단 및 사이드포트 방향변경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2열 배치와 동일한 수준의 배출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연소로
11: 12, 13, 14: 측벽
15: OFA 포트(Over Fire Air Port)
16: 버너(burner)
100: 연소로
101, 102, 103, 104: 측벽
105: 버너(burner)
110: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1: 와류생성수단
112: 프라이머리 포트(primary port)
123: 세컨더리 포트(secondary port)
120: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1: 와류생성수단
122: 프라이머리 포트(primary port)
123: 세컨더리 포트(secondary port)

Claims (10)

  1.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네 개의 측벽(101, 102, 103, 104)을 구비하는 사각기둥 형태의 연소로(furnace, 100)로서,
    상기 연소로(100)를 구성하고 있는 측벽 중 서로 대향하는 임의의 두 개의 측벽에 형성된 버너(105)의 최상부 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단일 단(row)으로 형성되고, 연소로(100) 내부로 공기를 투입하는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0); 및
    상기 메인 OFA 포트(110)의 양단 포트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양단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며, 연소로(100) 내부로 공기를 투입하는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OFA 포트(110)의 위치는, 버너(105)의 상하 배열 간격의 평균값 대비 100 내지 150 %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OFA 포트(110)의 위치는, 버너(105)의 최상부 단으로부터 1.0 내지 2.0 m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의 측방향 위치는,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0)들 사이의 평균 이격거리 대비 50 내지 150%의 거리만큼 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의 상하방향 위치는,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0)와 버너(105)의 최상부 단 사이의 이격거리 대비 10 내지 90%의 거리만큼 버너(105)의 최상부 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100)는,
    상기 사이드 OFA 포트(120)와 인접하여 측벽에 장착되고, 사이드 OFA 포트(120)의 폭방향 또는 상하방향 장착위치를 변경하는 사이드포트 위치변경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100)는,
    상기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0)와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로부터 투입되는 공기의 분사량 및 분사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를 통해 OFA(Over Fire Air) 전체 공급량의 20 내지 30 %가 연소로(10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OFA 포트(Main Over Fire Air Port, 110) 및 사이드 OFA 포트(Side Over Fire Air Port, 120)는,
    연소로 내부로 OFA(Over Fire Air)를 공급하도록,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는 관상형 구조의 프라이머리 포트(122); 및
    상기 프라이머리 포트(12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단면상 도넛 형태의 OFA(Over Fire Air) 유동로를 제공하는 세컨더리 포트(1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소로(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보일러.
KR1020160123053A 2016-09-26 2016-09-26 단일 단으로 구성된 메인 ofa 포트 및 사이드 ofa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 KR20180033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053A KR20180033735A (ko) 2016-09-26 2016-09-26 단일 단으로 구성된 메인 ofa 포트 및 사이드 ofa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053A KR20180033735A (ko) 2016-09-26 2016-09-26 단일 단으로 구성된 메인 ofa 포트 및 사이드 ofa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735A true KR20180033735A (ko) 2018-04-04

Family

ID=6197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053A KR20180033735A (ko) 2016-09-26 2016-09-26 단일 단으로 구성된 메인 ofa 포트 및 사이드 ofa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37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1423A (zh) * 2019-05-15 2019-08-02 哈尔滨锅炉厂有限责任公司 一种满足中小煤粉锅炉超低负荷工况运行的煤粉燃烧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1423A (zh) * 2019-05-15 2019-08-02 哈尔滨锅炉厂有限责任公司 一种满足中小煤粉锅炉超低负荷工况运行的煤粉燃烧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469B2 (en) Combustion burner and boiler including the same
CN102563634A (zh) 单火球八角直流燃烧器煤粉浓淡分离布置结构
EP2233833B1 (en) Boiler structure
CN110486722B (zh) 一种低氧低NOx的底部气体燃烧器
US20130255551A1 (en) Biomass Combustion
JP2018173177A (ja) 複合燃焼炉及び複合燃焼ボイラ
EP2781834B1 (en) Oil-fired burner, solid fuel-fired burner unit and solid fuel-fired boiler
RU2661993C1 (ru) Горелка для сжигания и котел, оснащенный такой горелкой для сжигания
CN204388044U (zh) 一种适用于煤粉锅炉对冲燃烧系统的新型二次风箱
US20060275724A1 (en) Dynamic burner reconfiguration and combustion system for process heaters and boilers
US5329866A (en) Combined low NOx burner and NOx port
KR20180033735A (ko) 단일 단으로 구성된 메인 ofa 포트 및 사이드 ofa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
KR102330238B1 (ko) 인-스트림 버너 모듈
CN108954317B (zh) 一种壁挂炉用的负压低NOx燃烧器
ES2322522A1 (es) "sistema separado de aire de sobrecombustion con un ajuste elevado para las calderas de combustion con carbon pulverizado".
CN115875663A (zh) 氨煤混燃的火力发电锅炉
CN206112931U (zh) 一种二次风燃气锅炉燃烧器
JP5501198B2 (ja) 低NOx・低煤塵燃焼方法およびボイラ燃焼室
JP5271680B2 (ja) 旋回燃焼ボイラ
JP4772881B2 (ja) バーナ装置および二段燃焼式バーナ装置
EP3479021B1 (en) Bubbling fluidized bed furnace
KR20180037463A (ko) 단일 단으로 구성된 ofa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
US11988378B2 (en) Burner and assembly of compact burners
KR20180134592A (ko) 측벽 포트를 포함하는 연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설비
DK3034942T3 (en) Bio-oil burner and oil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