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324A -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324A
KR20180033324A KR1020160121796A KR20160121796A KR20180033324A KR 20180033324 A KR20180033324 A KR 20180033324A KR 1020160121796 A KR1020160121796 A KR 1020160121796A KR 20160121796 A KR20160121796 A KR 20160121796A KR 20180033324 A KR20180033324 A KR 20180033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rectional
information
signal devic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to KR102016012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3324A/ko
Publication of KR2018003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G01S7/4026Antenna bores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은,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어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로부터 송출되어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비동기 수신하여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에서 송신한 신호정보와 상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대한 신호수신강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신호정보와 신호수신강도 및 자기를 고유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통해 근거리로 비동기 송출하는 N(N≥1)개의 지향성 신호장치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 중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에서 비동기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여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무선랜 통신을 통해 지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망연동 신호장치와, 상기 i개의 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 중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해 적어도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망연동 신호장치로 비동기 수신된 적어도 j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k(k≥1)회 확인된 j개의 처리정보를 기반으로 j개의 지향성 신호장치 별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지정된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를 결정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Location Regionally by using Asynchronous Local Network}
본 발명은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된 N(N≥1)개의 지향성 신호장치가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로부터 송출되어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비동기 수신하고 이동형 신호장치와의 근접도를 산출하기 위한 처리정보를 구성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통해 근거리로 비동기 송출하면,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망연동 신호장치가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여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무선랜 통신을 통해 지정된 서버로 i개의 처리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서버가 i개의 처리정보 중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한 적어도 j(1≤j≤i)개의 처리정보를 기반으로 j개의 지향성 신호장치 별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지정된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체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3개의 기지국(또는 위성)을 필요로 하며, 이동체와 각 기지국 사이에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도달 각도 차이(Angle of Arrival, AOA), 도달 시간 차이(Time of Arrival, TOA), 도달 시간 지연(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삼각측량법으로 이동체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무선신호의 도달 각도나 시간 등을 정밀하게 센싱할 수 있는 고가의 장비를 필요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종래의 무선신호 기반의 삼각측량법을 이용하는 위치 인식은 실외에서 대략적인 위치를 측위하는데는 비교적 용이한 반면, 무선신호의 전달을 방해하는 방해요소가 불특정하게 발생하는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이동체의 위치를 정밀 인식하기에는 기술적으로 난해한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
한편 이동체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이동체의 이동 중에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체가 멈춘 상태에서 제공하는 것이라면, 이동체가 이동하는 이동 위치를 모두 측위할 필요 없이, 이동체가 멈춘 위치를 선택적으로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이나, 종래에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삼각측량법 방식을 통해서는 무선신호의 전달을 방해하는 방해요소가 불특정하게 발생하는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서 이동체의 위치를 정밀 인식하기에 기술적으로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된 N(N≥1)개의 지향성 신호장치가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로부터 송출되어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비동기 수신하고 이동형 신호장치와의 근접도를 산출하기 위한 처리정보를 구성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통해 근거리로 비동기 송출하면,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망연동 신호장치가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여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무선랜 통신을 통해 지정된 서버로 i개의 처리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서버가 i개의 처리정보 중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한 적어도 j(1≤j≤i)개의 처리정보를 기반으로 j개의 지향성 신호장치 별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지정된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를 결정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은,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어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로부터 송출되어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비동기 수신하여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에서 송신한 신호정보와 상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대한 신호수신강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신호정보와 신호수신강도 및 자기를 고유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통해 근거리로 비동기 송출하는 N(N≥1)개의 지향성 신호장치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 중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에서 비동기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여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무선랜 통신을 통해 지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망연동 신호장치와, 상기 i개의 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 중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해 적어도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망연동 신호장치로 비동기 수신된 적어도 j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k(k≥1)회 확인된 j개의 처리정보를 기반으로 j개의 지향성 신호장치 별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지정된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를 결정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는 차량에 탑재되거나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어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기반으로 지정된 신호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송출강도로 비동기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호정보는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를 고유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이동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정보는 상기 신호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이동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식별정보는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에 구비된 고정식별정보,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에 고유하게 설정(또는 할당)된 고유식별정보,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에서 자신의 식별을 위해 동적으로 결정(또는 생성)한 동적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는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를 통해 송출되어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비동기 수신하는 지향성 안테나와,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 비동기 송출하거나 비동기 수신하는 무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비동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처리하여 신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정보를 근거로 구성된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근거리로 비동기 송출되도록 처리하는 신호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동기 송출은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의 사전 페어링 없이 송신 측에서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동기 수신은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의 사전 페어링 없이 송신 측에서 송출한 무선신호를 수신 측에서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한 무선신호를 수신 측에서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호모듈은 상기 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가 지정된 기준강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무선신호를 판독한 신호정보를 유효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호모듈은 상기 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확인된 신호정보와 상기 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와 자기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또는 생성)된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 비동기 송출하거나 비동기 수신하는 무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신호처리하여 처리정보를 확인하는 신호처리모듈와, 상기 신호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 중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모듈와, 무선랜 통신용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안테나와,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를 상기 무선랜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랜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는 근거리의 무선랜 중계기를 통해 IP기반 통신망에 접속하는 장치로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는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연결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연결정보를 통해 IP기반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랜모듈을 구비한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와, 내부의 무선랜모듈을 통해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의 무선랜모듈과 무선랜 통신하는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처리정보는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로부터 송출되어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어 지정된 기준강도 이상의 신호수신강도로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 중 불특정하게 발생한 피크값을 제외하고 확인된 신호수신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하여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j개의 처리정보에 근거하는 j개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하여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j개의 처리정보에 근거하는 j개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 비율 감소하는 중에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변화패턴 중에 수렴하는 특정값이 가장 큰 지향성 신호장치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는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의 입구측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기 설치된 지정된 기구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는 나머지 지향성 신호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i개의 처리정보 중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망연동 신호장치로 비동기 수신된 입구측 처리정보에 포함된 신호수신강도를 기반으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한 유효강도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유효강도범위가 결정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하여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j개의 처리정보에 근거하는 j개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상기 유효강도범위에 속하면서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유효강도범위가 결정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하여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j개의 처리정보에 근거하는 j개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상기 유효강도범위에 속하면서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 비율 감소하는 중에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된 지향성 신호장치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망연동 신호장치를 포함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하여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서 무선신호의 전달을 방해하는 방해요소가 불특정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도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서 이동형 신호장치를 탑재한 차량(또는 이동형 신호장치를 소지한 사용자)의 위치를 저비용/저전력으로 정밀 인식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의 삼각측량을 이용하지 않고 지향성 신호장치를 통해 이동형 신호장치를 탑재한 차량(또는 이동형 신호장치를 소지한 사용자)이 상기 지향성 안테나를 지향한 특정 방향의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정밀 인식하여 상기 차량(또는 사용자)이 상기 특정 방향의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함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지향성 신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망연동 신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국지형 위치 탐지를 위한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형 신호장치의 위치를 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형 신호장치의 위치를 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이동형 신호장치의 위치 탐지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서버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신호장치 측에 구현하고 서버 측에서 이를 참조하는 실시예, 또는 반대로 하기의 실시예에서 신호장치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서버 측에 구현하고 신호장치에서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된 N(N≥1)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송출되어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비동기 수신하고 이동형 신호장치(100)와의 근접도를 산출하기 위한 처리정보를 구성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통해 근거리로 비동기 송출하면,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망연동 신호장치(300)가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여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무선랜 통신을 통해 지정된 서버(130)로 i개의 처리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서버(130)가 i개의 처리정보 중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대한 적어도 j(1≤j≤i)개의 처리정보를 기반으로 j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별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지정된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결정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은,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되어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지향 수신 및/또는 무지향 송수신하는 N(N≥1)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되어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무지향 송수신 및/또는 무선랜 통신하는 M(M≥1)개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부에서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진입/존재하는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로 지향 수신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신호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불특정하게 존재/이동하는 수많은 방해요소를 극복하면서(및/또는 저전력으로)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서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존재/위치하는 위치 기준점(예컨대,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설치된 위치나 기구)과 방향(예컨대,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지향한 특정 방향) 및/또는 각도 범위(예컨대,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수신 가능한 입사각 범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치요소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향성 신호장치(200)는,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를 통해 송출되어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비동기 수신하는 지향성 안테나(105)와,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 비동기 송출하거나 비동기 수신하는 무지향성 안테나(110)와,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비동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처리하여 신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정보를 근거로 구성된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근거리로 비동기 송출되도록 처리하는 신호모듈(205)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는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어 지정된 신호 규격에 따른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어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 송수신 가능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 또는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신호가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예컨대, 블루투스 규격 4.0 이후의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 무선신호 등)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에서 송수신 가능한 신호 규격의 무선신호라면 어떠한 무선신호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다만 본 발명은 편의상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상세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되는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는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의 입구측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200a)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기 설치된 지정된 기구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는 나머지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주유소(=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다면, 상기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는 주유소로 차량이 진입하는 입구측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며, 나머지 지향성 신호장치(200)는 주유소 내의 주유기(=지정된 기구)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는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지향성 안테나(105)로 수신될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차량에 구비되거나 차량에 설치되거나 차량의 시가잭삽입구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량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면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면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는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지향성 안테나(105)로 수신될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는 차량에 탑재되거나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어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기반으로 지정된 신호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송출강도로 비동기 송출하는 신호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에 탑재되거나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저전력 모드의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송출할 경우 상기 전력 모드의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는 차량 차체를 이루는 금속재질이나 차량 유리창에 부착된 필름재질 등에 의해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까지 도달하기 난해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신호장치(100)는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기반으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강도를 지정된 강도로 증폭하여 비동기 송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는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다.
한편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하는 신호송출강도를 일정하게 관리하고자 하더라도 실제로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에 도달하는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는 측정할 때마다 제각각일 수 있다. 예를들어, 동일한 크기의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일한 신호송출강도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도록 설계 제작된 이동형 신호장치(100)라고 하더라도, 해당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탑재/삽입되는 차량 차체의 금속재질의 두께, 유리창에 필름재질의 부착 여부, 차량 내에 탑승한 사람의 수와 위치, 차량이 특정한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특정 방향을 지나치거나 머무를 때 차량 창문의 개폐여부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에 도달하는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는 제각각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형 신호장치(100)를 탑재/삽입한 차량이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진입 시점에 상기 차량에 적용된 다양한 변수에 의해 상기 차량에 탑재/삽입된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지정된 신호송출강도로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에 도달하는 신호강도는 제각각일 것이므로, 본 발명은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의 입구측에 적어도 하나의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200a)를 설치하고, 상기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200a)를 통해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진입하는 차량에 탑재/삽입된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신호정보와 신호수신강도를 확인하여 이를 기반으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대한 유효강도범위를 결정함으로써,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송출되어 특정 지향성 신호장치(200)로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가 상기 유효강도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근접한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후보군에서 배제시켜 시간 지연이나 오류 발생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상기 유효강도범위에 포함된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에서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유효강도범위는 최소값 및/또는 최대값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조건에서 반복 측정된 레퍼런스를 참조하여 구성된 각도와 거리의 함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200a)를 통해 결정되는 유효강도범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차량에 탑재/삽입된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200a) 사이의 거리/각도 변화에 따른 신호수신강도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의 입구측은 차량 1대가 통과할 수 있는 좁은 경로를 포함하거나 또는 차량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송신하는 신호정보는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를 고유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이동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식별정보는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구비된 고정식별정보(예컨대,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고정ID정보, 고정 MAC주소 등),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고유하게 설정(또는 할당)된 고유식별정보(예컨대,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사용자에게 제공된 후 할당(됨과 동시에 지정된 서버(130)에 등록)된 고유ID정보 등),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자신의 식별을 위해 동적으로 결정(또는 생성)한 동적식별정보(예컨대,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고정식별정보나 고유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은닉(또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동적값(예컨대, 시간값 및/또는 난수값 등)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회용ID(One Time ID), 동적 MAC주소 등) 중 하나 이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정보는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를 고유 식별하는 이동식별정보 이외에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송출한 용도/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신호정보는 일회용 인증을 위해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나 일회용 비밀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한다는 것은,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의 사전 페어링 없이 송신 측에서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및/또는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무선호를 방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비동기 송출은 일방향 송출이므로 송출과 동시(또는 직후)에 어느 수신 측에서 무선신호를 수신했는지 확인할 수 없다. 이에 송신 측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일한 무선신호를 일정 시간(또는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송출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다른 정보를 포함하게 될 때까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일한 무선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한다는 것은,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지향성 신호장치(200)와 사전 페어링 없이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수신될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는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지향성 안테나(105)는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지향하고 있는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설치하는 높이(h)는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특정 방향의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하는 조건에서 지표면 아래 높이(h<0), 지표면(h=0), 지표면 위의 일정 높이(h>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는 상기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 중 지정된 입사각 범위 이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설계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는 안테나 면의 법선을 기준으로 30° 이내의 입사각(단, 입사각의 수치는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배치하는 간격에 따라 가변 가능)으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설계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는 지정된 입사각 범위 이내로 입사되는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무선신호를 유효 수신할 특정 방향에는 무선신호를 투과하는 재질을 구비하고, 상기 특정 방향의 지정된 입사각 이외의 부분에는 무선신호를 차단하는 재질을 구비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는 안테나 면의 법선을 기준으로 무선신호를 수신할 특정 방향에는 안테나 면보다 넓은 다각형의 면이나 원형의 면을 구비하고 반대 방향에는 특정 방향의 면보다 좁은 면을 구비하며 상기 특정 방향의 넓은 면과 반대 방향의 좁은 면을 연결하는 빗면의 기울기가 상기 지정된 입사각에 대응하도록 제작된 하우징 내에 배치하여 제작되되, 상기 하우징의 특정 방향에는 무선신호를 투과하는 재질을 구비하는 대신에 상기 빗면과 반대 방향의 면에는 무선신호를 차단(또는 흡수)하는 재질의 구비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특정 방향에서 송출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 중 지정된 입사각 범위 이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는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방향을 특정함과 동시에,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유효 수신할 입사각 범위를 특정(또는 제한)함으로써,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 내의 어느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어느 방향의 어느 범위 내에 존재/위치하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지정된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하는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의 특정 방향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이동하는 중에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의 특정 방향 영역을 이동(또는 머무름)하는 경우,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는 상기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비동기 송출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는 상기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비동기 송출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 중 정된 입사각 범위 이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비동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한다는 것은,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의 사전 페어링 없이 송신 측에서 송출한 무선신호를 수신 측에서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및/또는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한 무선신호를 수신 측에서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비동기 송출은 일방향 송출로서 본 발명의 송신 측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일한 무선신호를 일정 시간(또는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송출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수신 측은 동일한 송신 측에서 반복 송출하는 동일한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반복 수신)할 수 있으며, 비동기 수신되는 무선신호 중에서 어느 한 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또는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 측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일한 무선신호에 대한 일정 시간의 신호수신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가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한다는 것은,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를 구비한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사전 페어링 없이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 내지 판독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각종 정보를 인식하여 이용하거나, 및/또는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 내지 판독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각종 정보를 인식하여 이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하면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비동기 송출된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여 이용함으로써,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는 복수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를 사전에 페어링하여 미리 식별/등록하지 않고도 불특정한 임의의 수많은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비동기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 내지 판독하여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각종 정보를 인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블루투스 페어링의 경우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사전에 페어링을 하여 동기식으로 통신 가능한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수는 최대 8개로 제한된다. 반면 본 발명은 비동기식으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 가능한 장치의 수 제한이나 복잡한 사전 식별/등록 절차 없이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비동기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는 전방향으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및/또는 전방향으로부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구비한다.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무지향성 안테나(110)는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와 지정된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유효 도달 범위)의 근거리에 위치한 망연동 신호장치(300)에서 수신될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으로 송출하며,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는 상기 지향성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근거리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수신된다. 한편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는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망연동 신호장치(300)를 특정하여 송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는 상기 지향성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지정된 일정 거리 이내의 근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들어, 특정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는 해당 지향성 신호장치(200)와 가장 근접한 망연동 신호장치(300)에서 비동기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의 경우 특정 지향성 신호장치(200)와 가장 근접한 망연동 신호장치(300) 사이에 무선신호의 전달을 방해하는 방해요소(예컨대, 금속 재질의 차량, 자외선 차단 필름이 부착된 유리 등)가 불특정하게 발생하더라도 특정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는 가장 근접한 망연동 신호장치(300) 이외에 근처의 다른 망연동 신호장치(300)(심지어 다른 지향성 신호장치(200))에도 비동기 수신되므로, 특정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해당 정보를 최종 수신할 국지적 위치영역 내의 최종목적지(예컨대,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만 제대로 설정되어 있다면, 설령 특정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송출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가 저전력 모드로 송출되더라도 해당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서 불특정하게 발생하는 다양한 전파 방해요소에도 불구하고 지정된 최종목적지까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신호모듈(205)은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와 연결하여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의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 수신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송신한 신호정보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신호수신강도를 확인하는 기능, 상기 신호정보와 신호수신강도를 기반으로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통해 근거리로 송신할 처리정보를 구성하는 기능,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와 연결하여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근거리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상기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근거리의 전방향으로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기능과 연계되거나 부가된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전방향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 비동기 송출하거나 비동기 수신하는 무지향성 안테나(110)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신호처리하여 처리정보를 확인하는 신호처리모듈(305)과, 상기 신호처리모듈(305)을 통해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모듈(315)과, 무선랜 통신용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안테나(115)와, 상기 제어모듈(315)을 통해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를 상기 무선랜 안테나(115)를 통해 지정된 서버(130)로 전송하는 무선랜모듈(310)을 구비한다.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되어 지정된 신호 규격에 따른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무선랜 통신을 처리하는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 송수신 가능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예컨대, IEEE 802.11)에 따라 무선랜 통신을 처리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가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신호가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예컨대, 블루투스 규격 4.0 이후의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 무선신호 등)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에서 송수신 가능한 신호 규격의 무선신호라면 어떠한 무선신호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다만 본 발명은 편의상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망연동 신호장치(300)가 설치되는 국지적 위치영역에는 무선랜을 통해 IP기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랜 중계기(120)가 설치 운영되며,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되는 M개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근거리의 무선랜 중계기(120)를 통해 IP기반 통신망에 접속하는 장치(예컨대, 무선랜단말기)로 인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되는 M개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 무선랜단말기처럼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여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i개의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응용정보를 구성하여 무선랜 통신을 통해 지정된 서버(13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무선랜 중계기(120)를 통해 IP기반 통신망에 접속하도록 설정된 무선랜모듈(310)을 구비한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와, 상기 무선랜모듈(310)을 통해 IP기반 통신망에 접속하지 않는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와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의 구별은 무선랜모듈(310)에 설정된 기능이나 무선랜모듈(310)을 이용하는 용도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별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와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의 H/W적 구성은 동일하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의 무선랜모듈(310)은 근거리의 무선랜 중계기(120)를 통해 IP기반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의 무선랜모듈(310)은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의 무선랜모듈(310)과 무선랜 통신 가능한 반면, 상기 서버(130)와 통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의 무선랜모듈(310)은 지정된 서버(130)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연결정보를 구비하며, 근거리의 무선랜 중계기(120)와 무선랜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세션을 연결(또는 무선구간을 형성)한 후, 상기 서버연결정보를 통해 무선랜 중계기(120)와 IP기반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의 무선랜모듈(310)은 서버연결정보를 구비하지 않거나 구비하더라도 이용하지 않으며, 다만 무선랜모듈(310)을 통해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의 무선랜모듈(310)과 무선랜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의 제어모듈(315)은 신호처리모듈(305)을 통해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응용정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의 무선랜모듈(310)은 무선랜 중계기(120)를 통해 IP기반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130)로 상기 구성된 응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랜모듈(310)은 IP기반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130)로 상기 응용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서버(130)로부터 상기 응용정보에 대한 제공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의 제어모듈(315)은 신호처리모듈(305)을 통해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응용정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의 무선랜모듈(310)은 무선랜 통신을 통해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로 상기 응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의 무선랜모듈(310)은 상기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의 무선랜모듈(310)에서 전송한 응용정보를 확인하고, 무선랜 중계기(120)를 통해 IP기반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130)로 상기 확인된 응용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IP기반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130)로 상기 응용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서버(130)로부터 상기 응용정보를 대한 제공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공정보를 해당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로 전달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130)는,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망연동 신호장치(300)를 통해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35)와,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부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 중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200a)에서 송신한 입구측 처리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진입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에 대한 유효강도범위를 결정하는 유효강도 결정부(140)와,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부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 중 유효강도범위가 결정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대하여 적어도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송신한 적어도 j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145)와,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k(k≥1)회 확인된 j개의 처리정보를 판독하여 지정된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결정하는 근접장치 판정부(150)와,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결정되면 상기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또는 이동형 신호장치(100)를 탑재/삽입한 차량)가 존재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부(155)와, 상기 서비스 절차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지향성 신호장치(200)나 망연동 신호장치(300)와 연동하거나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연동하여 처리되는 경우,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 지향성 신호장치(200), 망연동 신호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장치의 서비스 동작을 위한 제공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에서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고 신호처리하여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응용정보를 구성하여 무선랜 통신을 통해 IP기반 통신망을 경유하여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부(135)는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응용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35)를 통해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부터 i개의 처리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유효강도 결정부(140)는 상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 중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200a)에서 송신한 입구측 처리정보를 판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효강도 결정부(140)는 상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 중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200a)의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입구측 처리정보를 판별한다. 만약 입구측 처리정보가 판별되면, 상기 유효강도 결정부(140)는 일정 시간 동안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200a)로부터 수신된 입구축 처리정보에 포함된 신호정보(예컨대, 이동식별정보)를 근거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대한 적어도 s(s≥2)개의 입구측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s개의 입구측 처리정보에 포함된 신호수신강도를 기반으로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진입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에 대한 유효강도범위를 결정한다. 상기 유효강도범위는 최소값 및/또는 최대값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조건에서 반복 측정된 레퍼런스를 참조하여 구성된 각도와 거리의 함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효강도 결정부(140)는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신호정보(예컨대, 이동식별정보)와 유효강도범위를 매핑하여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한다.
한편 상기 정보 수신부(135)를 통해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부터 i개의 처리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45)는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신호정보(예컨대, 이동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처리정보를 근거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대하여 적어도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송신한 적어도 j개의 처리정보를 확인(또는 그룹핑)하고, 상기 근접장치 판정부(150)는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대하여 j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비동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신호처리하여 확인(또는 그룹핑)된 j개의 처리정보를 근거로 확인된 j개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또는 증가하다가 일정 비율 감소하는 중에)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200)로 결정한다. 한편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또는 증가하다가 일정 비율 감소하는 중에)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근접장치 판정부(150)는 상기 변화패턴 중에 수렴하는 특정값이 가장 큰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수신부(135)를 통해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부터일정 시간 동안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유효강도 확인부를 통해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진입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에 대한 유효강도범위가 결정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145)는 유효강도범위가 결정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신호정보(예컨대, 이동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처리정보를 근거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대하여 적어도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송신한 적어도 j개의 처리정보를 확인(또는 그룹핑)하고, 상기 근접장치 판정부(150)는 유효강도범위가 결정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대하여 j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비동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신호처리하여 확인(또는 그룹핑)된 j개의 처리정보를 근거로 확인된 j개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상기 유효강도범위에 속하면서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또는 증가하다가 일정 비율 감소하는 중에)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200)로 결정한다. 한편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또는 증가하다가 일정 비율 감소하는 중에)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근접장치 판정부(150)는 상기 변화패턴 중에 수렴하는 특정값이 상기 유효강도범위 내에서 가장 큰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근접장치 판정부(150)를 통해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결정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부(155)는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상기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또는 이동형 신호장치(100)를 탑재/삽입한 차량)가 존재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절차를 수행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부(155)는 별도의 서비스제공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부(155)를 통해 수행되는 서비스 절차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연동하여 처리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제공부(160)는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이동식별정보를 최종목적지식별정보로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절차와 연계된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서비스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공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제공하며, 상기 제공정보는 상기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최종목적지에 대응하는 이동형 신호장치(100)로 전달되어 지정된 서비스 동작에 이용된다.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부(155)를 통해 수행되는 서비스 절차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지향성 신호장치(200)와 연동하여 처리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제공부(160)는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장치식별정보를 최종목적지식별정보로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절차와 연계된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서비스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공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제공하며, 상기 제공정보는 상기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최종목적지에 대응하는 지향성 신호장치(200)로 전달되어 지정된 서비스 동작에 이용된다.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부(155)를 통해 수행되는 서비스 절차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망연동 신호장치(300)와 연동하여 처리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제공부(160)는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장치식별정보를 최종목적지식별정보로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절차와 연계된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서비스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공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제공하며, 상기 제공정보는 상기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최종목적지에 대응하는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전달되어 지정된 서비스 동작에 이용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지향성 안테나(105)와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구비하고,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비동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처리하여 신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정보를 근거로 구성된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근거리로 비동기 송출되도록 처리하는 신호모듈(205)을 구비한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는,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를 통해 송출되어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비동기 수신하는 지향성 안테나(105)를 구비하고,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으로 비동기 송출하거나 비동기 수신하는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구비하며,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비동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처리하여 신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정보를 근거로 구성된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근거리로 비동기 송출되도록 처리하는 신호모듈(205)을 구비하며, 상기 신호모듈(205)과 지향성 안테나(105) 및 무지향성 안테나(110)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210)(또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신호모듈(205)과 지향성 안테나(105) 및 무지향성 안테나(110) 등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모듈(205)은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와 연결되며,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지향하는 특정 방향(또는 지향성 안테나(105)가 지향하는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 중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의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수신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대한 신호수신강도를 확인한다. 예를들어, 상기 신호모듈(205)은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의 신호수신강도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일정 시간 동안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노이즈나 불특정하게(또는 순간적으로) 발생한 피크값(예컨대, +피크, -피크 등) 등을 확인한 후,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 중 상기 신호수신강도를 확인하는 중에 불특정하게 발생한 피크값을 제외하고, 일정 시간 동안의 신호수신강도가 기 설정된 기준강도 이상이면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하거나 또는 지정된 범위의 비율로 증가(또는 감소)하는 패턴을 보이며, 및/또는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무선신호의 노이즈나 피크값 등이 허용된 범위의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또는 감소하는 패턴을 보이는 무선신호를 유효 수신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모듈(205)은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의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비동기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신호모듈(205)은 상기 상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유효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통해 송신한 신호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모듈(205)은 상기 신호정보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대한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의 신호수신강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신호수신강도가 지정된 기준강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판독한 신호정보를 유효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강도는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나 판독하는 과정에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신호정보를 확ㅇ니하는 과정의 기준강도가 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모듈(205)은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의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어 비동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신호정보를 비동기식으로 확인(예컨대, 반복 수신되는 동일 무선신호 중 어느 한 무선신호의 신호정보를 유효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신호모듈(205)은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신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정보에 포함된 각종 정보 중 적어도 상기 이동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하여 근거리로 송출할 지 결정한다. 예를들어, 상기 신호모듈(205)은 특정 신호정보에 대응하는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가 지정된 기준강도 이상이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안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량이 지정된 변화량 이상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하여 근거리로 송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신호모듈(205)은 신규 신호정보가 확인되거나 또는 지정된 횟수 미만으로 수신된 신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하여 근거리로 송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정보는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를 고유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이동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정보는 상기 신호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이동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모듈(205)은 특정한 신호정보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대한 신호수신강도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예컨대, 이동식별정보 등)와 상기 신호수신강도를 판별하는 정보(또는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확인된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을 판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자기를 고유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신호모듈(205)은 상기 신호수신강도가 지정된 기준강도 이상이거나 일정 시간 동안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량이 지정된 변화량 이상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신호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신호수신강도를 판별하는 정보(또는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확인된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을 판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자기를 고유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식별정보는 상기 신호모듈(205)에 구비된 장치식별정보(예컨대, 신호모듈(205)의 메모리에 기 저장된 식별정보), 상기 신호모듈(205)을 식별하기 위해 할당된 장치식별정보(예컨대, 신호모듈(205)이 동작 개시한 후 지정된 절차에 따라 신호모듈(205)에 할당된 식별정보), 상기 신호모듈(205)을 구비한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장치식별정보(예컨대,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지정된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하기 전, 중, 후의 일 시점에 신호모듈(205)에 할당된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또는 둘 이상 조합)의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모듈(205)은 상기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신측식별정보(예컨대, 근거리의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의 장치식별정보, 또는 근거리의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의 장치식별정보 등)를 구비(또는 설정)하며, 상기 수신측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측식별정보는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중 상기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장치를 어떤 장치인지 식별하는 정보이며, 주지의 동기식 통신에서 사용하는 수신주소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모듈(205)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서 상기 처리정보를 최종적으로 수신해야할 최종목적지(예컨대,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를 식별하는 최종목적지식별정보(예컨대,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의 장치식별정보 등)를 구비(또는 설정)하며, 상기 최종목적지식별정보(예컨대,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의 장치식별정보 등)를 더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종목적지식별정보는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장치가 어떤 장치 든 상기 처리정보가 최종 전달되어야 할 장치를 식별하는 정보로서, 주지의 동기식 통신에서 사용하는 수신주소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모듈(205)은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가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높이, 방향 중 하나 이상을 식별하는 지향정보를 더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향정보는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설치하는 과정 중에 지정된 절차에 따라 신호모듈(205)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모듈(205)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상기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근거리의 전방향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모듈(205)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상기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근거리의 전방향으로 비동기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신호모듈(205)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일정 시간(또는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송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모듈(205)을 통해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는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근거리에 설치되거나 위치하는 다양한 신호장치로 수신될 수 있으며, 이 중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근거리에 설치된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상기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유효 수신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근거리에 위치하는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상기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는 상기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무효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근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지향성 신호장치에서 상기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무효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유효 수신한 후 상기 처리정보를 복사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통해 비동기 송출하여 지정된 최종목적지까지 전달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무지향성 안테나(110)와 무선랜 안테나(115)를 구비하며,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신호처리하여 처리정보를 확인하는 신호처리모듈(305)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처리모듈(305)을 통해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모듈(315)과, 상기 제어모듈(315)을 통해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를 상기 무선랜 안테나(115)를 통해 지정된 서버(130)로 전송하는 무선랜모듈(310)을 구비한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으로 비동기 송출하거나 비동기 수신하는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구비하고, 무선랜 통신용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안테나(115)를 구비하며,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신호처리하여 처리정보를 확인하는 신호처리모듈(305)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처리모듈(305)을 통해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모듈(315)과, 상기 제어모듈(315)을 통해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를 상기 무선랜 안테나(115)를 통해 지정된 서버(130)로 전송하는 무선랜모듈(310)을 구비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305)과 무지향성 안테나(110) 및 상기 무선랜모듈(310)과 무선랜 안테나(115)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또는 배터리 또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서버(130)는 상기 i개의 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 중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대해 적어도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비동기 수신된 적어도 j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k(k≥1)회 확인된 j개의 처리정보를 판독하여 지정된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결정한다. 한편 본 도면3의 제어모듈(315)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본 도면3의 제어모듈(315)에 구비되는 기능 구성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신호처리모듈(305)에 구비되거나 및/또는 무선랜모듈(310)에 구비되거나 및/또는 지정된 서버(130)에 구비되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렇게 변형되는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소정의 처리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거나, 및/또는 특정한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수신 가능한 정보(예컨대, 특정한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이동식별정보를 수신측식별정보(또는 최종목적지식별정보)로 포함하거나, 또는 특정한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장치식별정보를 수신측식별정보(또는 최종목적지식별정보)로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하는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구비한다.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무지향성 안테나(110)는 지정된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유효 도달 범위)의 근거리에 위치한 지향성 신호장치(200)(및/또는 다른 망연동 신호장치(300))에서 전방향으로 비동기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근거리에 위치한 지향성 신호장치(200)(및/또는 다른 망연동 신호장치(300))에서 비동기 수신 가능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으로 비동기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처리하여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송신한 처리정보를 확인하는 신호처리모듈(305)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근거리에 위치한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어느 한 망연동 신호장치(300)를 특정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신호처리모듈(305)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자신이 처리해야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수신측식별정보(또는 최종목적지식별정보)가 자신의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신호처리모듈(305)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자신이 처리해야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처리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제어모듈(315)로 상기 확인된 처리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수신측식별정보가 자신의 장치식별정보가 아니더라도 상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최종목적지식별정보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어느 한 망연동 신호장치(300)(예컨대,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신호처리모듈(305)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자신이 처리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최종목적지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전달해야 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처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처리모듈(305)은 상기 확인된 처리정보를 무선랜모듈(310)로 제공(또는 제어모듈(315)을 경유하여 무선랜모듈(3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랜모듈(310)은 무선랜 안테나(115)를 통해 상기 처리정보를 상기 최종목적지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최종목적지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무선랜모듈(310)은 무선랜 통신을 통해 상기 ㅓ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최종목적지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제어모듈(315)은 상기 처리정보를 자기가 처리해야할 처리정보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모듈(305)이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비동기 수신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신호처리하여 확인한 처리정보를 제공(및/또는 무선랜모듈(310)이 무선랜 통신을 통해 수신된 처리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제어모듈(315)은 상기 신호처리모듈(305)(및/또는 무선랜모듈(310))로부터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응용정보를 구성하여 무선랜모듈(310)로 제공한다.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근거리의 무선랜 중계기(120) 또는 근거리의 다른 망연동 신호장치(300)와 무선랜 통신용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안테나(115)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랜 안테나(115)를 통해 근거리의 무선랜 중계기(120) 또는 근거리의 다른 망연동 신호장치(300)와 무선랜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세션을 연결(또는 무선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무선랜 중계기(120)를 통해 IP기반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130)와 통신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망연동 신호장치(300)와 무선랜 통신하는 무선랜모듈(310)을 구비한다.
상기 무선랜모듈(310)은 상기 제어모듈(315)로부터 i개의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응용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무선랜 안테나(115)를 통해 상기 응용정보를 근거리로 송신하며, 상기 응용정보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130)로 전달된다.
상기 서버(130)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망연동 신호자이?M 무선랜모듈(310)이 송신한 응용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 중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대해 적어도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비동기 수신된 적어도 j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k(k≥1)회 확인된 j개의 처리정보를 판독하여 지정된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결정한다.
만약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확인되면, 상기 서버(130)는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상기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또는 이동형 신호장치(100)를 탑재/삽입한 차량)가 존재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또는 이동형 신호장치(100)를 탑재/삽입한 차량)가 존재함에 대응하는 서비스 절차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지향성 신호장치(200)나 망연동 신호장치(300)와 연동하거나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연동하여 처리되는 경우, 상기 서버(130)는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 지향성 신호장치(200), 망연동 신호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장치의 서비스 동작을 위한 제공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무선랜모듈(310)은 지정된 서버(130)로부터 자신을 수신측으로 하는 제공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무선랜모듈(310)은 제공정보를 제어모듈(315)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모듈(315)은 상기 제공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동작을 수행할 모듈로 상기 제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무선랜모듈(310)이 지정된 서버(130)로부터 특정한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수신 가능한 제공정보(예컨대, 특정한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이동식별정보를 수신측식별정보(또는 최종목적지식별정보)로 포함하거나, 또는 특정한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장치식별정보를 수신측식별정보(또는 최종목적지식별정보)로 포함하는 제공정보)를 신호처리모듈(305)로 제공하면, 상기 신호처리모듈(305)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상기 제공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하도록 처리한다. 이 경우 상기 제공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는 해당 제공정보를 수신해야할 지향성 신호장치(200)(또는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비동기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에서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지향성 신호장치(200)(및/또는 다른 망연동 신호장치(300))를 특정하여 송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는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의 지정된 일정 거리 이내의 근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및/또는 다른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들어, 특정 망연동 신호장치(300)에서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는 해당 망연동 신호장치(300)와 가장 근접한 지향성 신호장치(200)(및/또는 다른 망연동 신호장치(300))에서 비동기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의 경우 특정 망연동 신호장치(300)와 가장 근접한 지향성 신호장치(200)(및/또는 다른 망연동 신호장치(300)) 사이에 무선신호의 전달을 방해하는 방해요소(예컨대, 금속 재질의 차량, 자외선 차단 필름이 부착된 유리 등)가 불특정하게 발생하더라도 특정 망연동 신호장치(300)에서 비동기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는 가장 근접한 지향성 신호장치(200)(및/또는 다른 망연동 신호장치(300)) 이외에 근처의 다른 지향성 신호장치(200)(및/또는 다른 망연동 신호장치(300))에도 비동기 수신되므로, 특정 망연동 신호장치(300)에서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해당 정보를 최종 수신할 국지적 위치영역 내의 최종목적지(예컨대, 특정한 망연동 신호장치(300), 특정한 지향성 신호장치(200), 또는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존재/위치하는 특정한 이동형 신호장치(100) 등)만 제대로 설정되어 있다면, 설령 특정 망연동 신호장치(300)에서 비동기 송출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가 저전력 모드로 송출되더라도 해당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서 불특정하게 발생하는 다양한 전파 방해요소에도 불구하고 지정된 최종목적지까지 전달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국지형 위치 탐지를 위한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와 M개의 망연동 신호장치(300)가 설치된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에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진입/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비동기 수신하여 신호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신호정보를 근거로 소정의 처리정보를 구성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통해 전방향으로 비동기 송출하면,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근거리에 위치한 망연동 신호장치(300)에서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여 상기 처리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 동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이동형 신호장치(100)는 지정된 신호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하며(400),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200a) 포함)는 지향성 안테나(105)가 지향하고 있는 특정 방향으로부터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405). 만약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는 상기 지향성 안테나(105)를 통해 특정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송신한 신호정보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신호정보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를 확인한다(410).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는 상기 신호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예컨대, 이동식별정보 등)와 상기 신호수신강도를 판별하는 정보(또는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확인된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을 판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자기를 고유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하고(415),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0)를 통해 상기 구성된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으로 비동기 송출한다(420).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설치한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M개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통해 전방향으로 비동기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가 비동기 수신되는지 확인하며(425), 상기 M개의 망연동 신호장치(300) 중 상기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한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근거리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전방향의 근거리로 비동기 송출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신호처리하여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구성한 처리정보를 확인한다(430).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위치를 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에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진입한 경우에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비동기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로 비동기 수신한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찾아 상기 특정 이동형 장치의 위치를 판정하는 기준점으로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위치를 탐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5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와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 중 어느 망연동 신호장치(300)라도 무방하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의 경우 무선랜 중계기(120)를 통해 직접 서버(130)와 통신하는 반면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의 경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를 경유하여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다.
도면5를 참조하면,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고 신호처리하여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한다(500).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응용정보를 구성한 후(505), 무선랜 통신을 통해 지정된 서버(130)로 상기 구성된 응용정보를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한다(510). 만약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가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라면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는 지정된 서버연결정보를 근거로 무선랜 중계기(120)와 IP기반 통신망을 경유하는 무선랜 통신을 통해 지정된 서버(130)로 상기 응용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510),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가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라면 상기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는 무선랜 통신을 통해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로 상기 응용정보를 전송하며(510),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는 무선랜 중계기(120)를 통해 상기 응용정보를 지정된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30)는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부터 무선랜 통신을 통해 송신된 응용정보를 수신하고(515), 상기 응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한다(520).
상기 서버(130)는 상기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 중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예컨대, 처리정보에 포함된 특정한 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대하여 적어도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송신한 적어도 j개의 처리정보(예컨대, 같은 신호정보를 포함하되 장치식별정보가 다른 j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525), 상기 확인된 j개의 처리정보에 근거하는 j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별 신호수신강도의 변화값들을 확인하고(530), 상기 확인된 j개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또는 증가하다가 일정 비율 감소하는 중에)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확인하고(535), 상기 확인된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가장 근접한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로 결정한다(540). 한편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또는 증가하다가 일정 비율 감소하는 중에)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130)는 상기 변화패턴 중에 수렴하는 특정값이 가장 큰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가장 근접한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결정되면, 상기 서버(130)는 상기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존재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한다(545).
도면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위치를 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에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진입한 경우에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입구측에 설치된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200a)가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로 비동기 수신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근거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송출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에 대한 유효강도범위를 결정한 후,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상기 유효강도범위가 결정된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100)에서 비동기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로 비동기 수신한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찾아 상기 특정 이동형 장치의 위치를 판정하는 기준점으로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위치를 탐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6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와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 중 어느 망연동 신호장치(300)라도 무방하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의 경우 무선랜 중계기(120)를 통해 직접 서버(130)와 통신하는 반면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의 경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를 경유하여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다.
도면6을 참조하면,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중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고 신호처리하여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한다(600).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는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응용정보를 구성한 후(605), 무선랜 통신을 통해 지정된 서버(130)로 상기 구성된 응용정보를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한다(610). 만약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가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라면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는 지정된 서버연결정보를 근거로 무선랜 중계기(120)와 IP기반 통신망을 경유하는 무선랜 통신을 통해 지정된 서버(130)로 상기 응용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610),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가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라면 상기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는 무선랜 통신을 통해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로 상기 응용정보를 전송하며(610),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는 무선랜 중계기(120)를 통해 상기 응용정보를 지정된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30)는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300)로부터 무선랜 통신을 통해 송신된 응용정보를 수신하고(615), 상기 응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망연동 신호장치(300)로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한다(620).
상기 서버(130)는 상기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 중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200a)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입구측 처리정보를 확인하고(625), 상기 확인된 입구측 처리정보에 포함된 신호수신강도를 근거로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진입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확인 가능한 신호수신강도의 유효강도범위를 결정한다(630). 만약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확인 가능한 신호수신강도의 유효강도범위가 결정되면, 상기 서버(130)는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신호정보와 상기 유효강도범위를 매핑하여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한다(635).
한편 상기 서버(130)는 상기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 중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200a)로부터 수신된 처리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유효강도범위가 결정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에 대하여 적어도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에서 비동기 송신한 적어도 j개의 처리정보(예컨대, 같은 신호정보를 포함하되 장치식별정보가 다른 j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640), 상기 확인된 j개의 처리정보에 근거하는 j개의 지향성 신호장치(200) 별 신호수신강도의 변화값들을 확인하고(645), 상기 확인된 j개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로부터 확인 가능한 유효강도범위에 속하면서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또는 증가하다가 일정 비율 감소하는 중에)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확인하고(650), 상기 확인된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가장 근접한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로 결정한다(655). 한편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또는 증가하다가 일정 비율 감소하는 중에)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130)는 상기 변화패턴 중에 수렴하는 특정값이 상기 유효강도범위 내에서 가장 큰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가장 근접한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가 결정되면, 상기 서버(130)는 상기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존재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한다(660).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위치 탐지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상기 도면5 또는 도면6의 과정을 통해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결정되어 상기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존재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 상의 신호장치 중 특정한 신호장치와 연동해야 하는 경우 상기 서버(130)에서 특정 신호장치에서 최종 수신하여 처리할 제공정보를 생성하여 응답하면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 상의 최종목적지로 제공정보가 전달되어 서비스 동작에 이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이동형 신호장치(100)의 위치 탐지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5 또는 도면6의 과정을 통해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를 결정되어 상기 서버(130)가 상기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존재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 상의 신호장치 중 특정한 신호장치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버(130)는 상기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존재함에 대응하는 서비스 동작을 위한 제공정보를 생성하고(700), 상기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 상의 신호장치 중 상기 제공정보를 최종 수신하여 처리할 최종목적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공정보를 상기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 상의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로 전송하면(705),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는 무선랜 통신을 통해 상기 지정된 서버(130)루터 전송된 제공정보를 수신한다(710).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는 상기 수신된 제공정보의 최종목적지를 확인한다(715). 만약 상기 제공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자기라면,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는 상기 제공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존재함에 대응하는 서비스 동작 절차를 처리한다(720).
한편 상기 제공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특정한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라면,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는 무선랜 통신을 통해 상기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로 상기 제공정보를 전송하고(725), 상기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300b)는 무선랜 통신을 통해 상기 제공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존재함에 대응하는 서비스 동작 절차를 처리한다(730).
한편 상기 제공정보의 최종목적지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설치된 특정한 지향성 신호장치(200)이거나 또는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에 잠시 위치하고 있는 특정한 이동형 신호장치(100)인 경우,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300a)는 상기 제공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하며(735),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최종목적지에 해당하는 지향성 신호장치(200)(또는 이동형 신호장치(100))는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여 제공정보를 확인하고(740), 상기 제공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지향성 신호장치(200)의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100)가 존재함에 대응하는 서비스 동작 절차를 처리한다(745).
100 : 이동형 신호장치 105 : 지향성 안테나
110 : 무지향성 안테나 115 : 무선랜 안테나
120 : 무선랜 중계기 130 : 서버
135 : 정보 수신부 140 : 유효강도 결정부
145 : 정보 확인부 150 : 근접장치 판정부
155 : 서비스 제공부 160 : 정보 제공부
200 : 지향성 신호장치 200a :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
205 : 신호모듈 210 : 배터리부
300 : 망연동 신호장치 300a :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
300b :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 305 : 신호처리모듈
310 : 무선랜모듈 315 : 제어모듈
320 : 전원부

Claims (20)

  1. 지정된 국지적 위치영역의 지정된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어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로부터 송출되어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비동기 수신하여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에서 송신한 신호정보와 상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에 대한 신호수신강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신호정보와 신호수신강도 및 자기를 고유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통해 근거리로 비동기 송출하는 N(N≥1)개의 지향성 신호장치;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 중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에서 비동기 송출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여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무선랜 통신을 통해 지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망연동 신호장치; 및
    상기 i개의 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 중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해 적어도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망연동 신호장치로 비동기 수신된 적어도 j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k(k≥1)회 확인된 j개의 처리정보를 기반으로 j개의 지향성 신호장치 별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지정된 특정 방향의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를 결정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는,
    차량에 탑재되거나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어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기반으로 지정된 신호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송출강도로 비동기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정보는,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를 고유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이동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정보는, 상기 신호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이동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별정보는,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에 구비된 고정식별정보,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에 고유하게 설정(또는 할당)된 고유식별정보, 상기 이동형 신호장치에서 자신의 식별을 위해 동적으로 결정(또는 생성)한 동적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신호장치는,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를 통해 송출되어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비동기 수신하는 지향성 안테나;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 비동기 송출하거나 비동기 수신하는 무지향성 안테나; 및
    상기 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비동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처리하여 신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정보를 근거로 구성된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근거리로 비동기 송출되도록 처리하는 신호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송출은,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의 사전 페어링 없이 송신 측에서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수신은,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의 사전 페어링 없이 송신 측에서 송출한 무선신호를 수신 측에서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한 무선신호를 수신 측에서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상기 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가 지정된 기준강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무선신호를 판독한 신호정보를 유효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상기 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확인된 신호정보와 상기 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와 자기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또는 생성)된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전방향 비동기 송출하거나 비동기 수신하는 무지향성 안테나;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를 비동기 신호처리하여 처리정보를 확인하는 신호처리모듈;
    상기 신호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설치된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 중 적어도 i(1≤i≤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i개의 처리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모듈;
    무선랜 통신용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안테나; 및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확인된 i개의 처리정보를 상기 무선랜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랜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11. 제 1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는,
    근거리의 무선랜 중계기를 통해 IP기반 통신망에 접속하는 장치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망연동 신호장치는,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연결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연결정보를 통해 IP기반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랜모듈을 구비한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 및
    내부의 무선랜모듈을 통해 상기 메인 망연동 신호장치의 무선랜모듈과 무선랜 통신하는 서브 망연동 신호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정보는,
    지정된 특정 방향의 이동형 신호장치로부터 송출되어 지정된 입사각 범위 내로 입사되어 지정된 기준강도 이상의 신호수신강도로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신호의 신호수신강도 중 불특정하게 발생한 피크값을 제외하고 확인된 신호수신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하여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j개의 처리정보에 근거하는 j개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하여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j개의 처리정보에 근거하는 j개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 비율 감소하는 중에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16. 제 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변화패턴 중에 수렴하는 특정값이 가장 큰 지향성 신호장치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는,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의 입구측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와,
    상기 국지적 위치영역 내에 기 설치된 지정된 기구 위치의 지정된 높이에 지정된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설치되는 나머지 지향성 신호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i개의 처리정보 중 입구측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망연동 신호장치로 비동기 수신된 입구측 처리정보에 포함된 신호수신강도를 기반으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한 유효강도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유효강도범위가 결정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하여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j개의 처리정보에 근거하는 j개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상기 유효강도범위에 속하면서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유효강도범위가 결정된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에 대하여 j(1≤j≤i)개의 지향성 신호장치로부터 비동기 수신된 j개의 처리정보에 근거하는 j개의 신호수신강도의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상기 유효강도범위에 속하면서 신호수신강도의 평균적 변화패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 비율 감소하는 중에 특정값에 수렴하는 패턴을 지닌 지향성 신호장치를 상기 특정 이동형 신호장치와 가장 근접한 제n(1≤n≤N) 지향성 신호장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KR1020160121796A 2016-09-23 2016-09-23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KR20180033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796A KR20180033324A (ko) 2016-09-23 2016-09-23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796A KR20180033324A (ko) 2016-09-23 2016-09-23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324A true KR20180033324A (ko) 2018-04-03

Family

ID=6197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796A KR20180033324A (ko) 2016-09-23 2016-09-23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33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0935B1 (en) Positioning system with wireless beacons that vary transmission power levels
KR101779767B1 (ko) 신호 분석을 통한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MXPA04000347A (es) Sistema y metodo para determinacion automatica de la direccion azimutal y elevacional de antenas y calibracion de las mismas.
US11463857B2 (en) Apparatus for secure local access to an asset and validation with a mobile device, system comprising it and method
US11433854B2 (en) Access control method for persons and vehicles and syste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7336514B2 (ja) 多重アンテナスイッチングを用いたデバイス位置判断方法及び装置
KR20180033324A (ko)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KR20180033322A (ko)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KR20180033318A (ko)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KR20180033323A (ko)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형 위치 탐지 시스템
JP2009239745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CN111935719B (zh) 一种伪基站识别定位方法及车载系统
KR20180033320A (ko)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한 지향성 신호장치
KR20180033317A (ko) 블루투스 기반 비동기식 로컬 네트워크 시스템
KR102602765B1 (ko)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의 위치 측위 장치 및 방법
KR20160057759A (ko) V2i 시스템 및 그 긴급 구조 요청 방법
KR20200059803A (ko)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KR20180033321A (ko)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한 지향성 신호장치
US20080287159A1 (en) Communicating with visible person
US20230132783A1 (en) Automatic gate system
KR20180033316A (ko)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한 지향성 신호장치
KR20180033315A (ko)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한 지향성 신호장치
US117648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connecting to a device in a vehicle
KR20180033319A (ko) 일회용코드를 이용한 이동형 신호장치 인증 방법
KR20120027694A (ko)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