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111A -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직물형 스탠드히터 - Google Patents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직물형 스탠드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111A
KR20180033111A KR1020170123718A KR20170123718A KR20180033111A KR 20180033111 A KR20180033111 A KR 20180033111A KR 1020170123718 A KR1020170123718 A KR 1020170123718A KR 20170123718 A KR20170123718 A KR 20170123718A KR 20180033111 A KR20180033111 A KR 20180033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eat generating
stand
unit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752B1 (ko
Inventor
유상신
Original Assignee
유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신 filed Critical 유상신
Publication of KR2018003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22Switches actuated by changing weight, level or centre of gr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75Heating of spaces, e.g. rooms, wardrobes
    • H05B1/0277Electric radi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05B3/347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woven fab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4Heaters using resistive wires or cables not provided for in H05B3/54
    • H05B2203/015Heater wherein the heating element is interwoven with the texti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by radiation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직물형 스탠드히터 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탄소섬유로 구성된 직물을 이용하여 벽걸이형이나 직립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시키고, 일측에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히터가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히터의 발열 작동이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히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직물형 스탠드히터{Fabric type standing heater detecting tilted state to turn off}
본 발명은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직물형 스탠드히터 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탄소섬유로 구성된 직물을 이용하여 벽걸이형이나 직립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시키고, 일측에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히터가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히터의 발열 작동이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히터에 관한 것이다.
히터는 겨울철 캠핑과 같은 야외활동 및 집안에서 내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치이다. 이러한 히터는 기존의 가스, 석유를 사용하는 제품과 금속형 히터 등을 사용하는 대신 예기치 못한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발열 부분이 직물로 구성된 제품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사용하는 위치에 따라 세워두는 스탠드히터도 있고, 벽걸이형 및 천장형도 있다. 이러한 스탠드히터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히터가 기울어져 넘어지는 것을 대비하여 히터가 기울어졌을 시 자동적으로 히터의 발열 부분의 전원이 차단되어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제품이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스탠드히터가 사용자의 부주의로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스탠드히터가 넘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도 무분별하게 발열 부분의 발열 작동이 중단되기도 하고,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세워서 사용할 때에는 스탠드히터가 오작동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스탠드히터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765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스탠드히터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질 때 구비된 센서가 감지하는 기울기가 설정범위를 벗어났을 시에만 자동적으로 스탠드히터의 발열 부분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히터는 탄소섬유로 구성되어 소정의 면적이 형성되고,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발열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의 상단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발열부의 상단을 고정시키는 상단거치틀; 상기 발열부의 하단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발열부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하단거치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단거치틀 또는 상기 하단거치틀 내부에 상기 발열부의 발열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상단거치틀 또는 상기 하단거치틀 내부에 가속도센서 및 기울기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발열부가 기울어지는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각도 범위 설정 후 상기 발열부가 90도 이상 기울어졌을 시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발열부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히터는 상기 상단거치틀 또는 상기 하단거치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가속도 및 경사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의 경사각이 소정범위 이상 변하거나, 가속도가 소정범위 이상 변할 시 상기 발열부의 발열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히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화재 발생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탠드히터와 같은 히터는 실내의 협소한 공간이나 캠핑 등과 같은 야외활동 중일 때 근처에 거치해두거나 놓아둠으로써 사용자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스탠드히터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넘어지거나 기울어졌을 때 화재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탠드히터의 내부에 센서가 구비되어 스탠드히터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졌을 시 자동적으로 스탠드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스탠드히터가 넘어지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화재 발생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장소에 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탠드히터를 바닥에 놓을 수 있는 지지대뿐만 아니라 지지대를 제거하고 걸개를 걸어 벽면 등에도 거치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히터에 장착된 센서가 히터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곧바로 히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설정되어 있어 천장에 수평으로 거치시키는 것과 같이 히터를 거치시키기 위해 기울어진 장소에는 사용하기가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탠드히터가 기울어지더라도 일정 기울기범위에서는 스탠드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스탠드히터를 다양한 장소에 거치시킬 수 있다.
셋째, 탄소섬유를 사용하여 화재 발생 위험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본 발명에서는 발열부분이 탄소섬유로 제작된 직물이 사용된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가스, 석유 및 금속으로 제작된 히터가 아니기 때문에 스탠드히터가 넘어졌을 시 스탠드히터의 발열부분으로 인해 다른 물질이 연소되는 가능성이 낮아 화재 발생 위험이 적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히터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스탠드히터의 배면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스탠드히터에서 히터본체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히터의 블록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탠드히터가 일정 각도 기울어졌을 시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히터가 천장에 거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히터에 가속도 및 경사감지부가 설치되어 벽에 거치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히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스탠드히터의 배면사시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스탠드히터에서 히터본체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히터의 블록도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직물형 스탠드히터(이하 '스탠드히터'라 함)는 히터본체(1) 및 히터지지대(2)를 포함한다.
히터본체(1)는 발열과 발열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써, 발열부(30), 상단거치틀(10), 하단거치틀(20), 제어모듈(40) 및 전원부(80)를 포함한다.
발열부(30)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열부(30)는 다수의 탄소섬유로 소정 면적의 직물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단거치틀(10)은 직선의 봉이나 막대기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하단이 가로길이를 따라 절개되어 있다. 따라서 발열부(30)의 상단을 상단거치틀(10)에 끼움으로써 발열부(30)는 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단거치틀(20)은 상단거치틀(10)과 동일하게 직선의 봉이나 막대기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상단이 가로길이를 따라 절개되어 있다. 따라서 상단거치틀(10)과는 반대로 발열부(30)의 하단을 하단거치틀(20)에 끼움으로써 발열부(30)는 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어모듈(40)은 히터본체(1)의 기울기 및 속도를 감지하여 발열부(30)의 발열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감지부(50), 통신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감지부(50)는 발열부(30)가 외력에 의해 기울어졌을 시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기울기감지센서 및 가속도센서가 조합되어 발열부(30)가 넘어질 때의 기울기와 그 시점의 속도를 체크한다. 이러한 감지부(50)는 상단거치틀(10) 또는 하단거치틀(20) 내부에 설치된다.
통신부(60)는 근거리에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 구성으로,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단말기 등으로 통신부(60)에 명령을 전달하여 발열부(30)의 발열온도 및 발열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 등으로 히터본체(1)의 기울기 정도를 설정하여 입력하면 통신부(60)가 이를 입력받아 제어부(70)로 전달하여 히터본체(1)의 발열부(30)가 기울어졌을 시 발열 작동이 중단되는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60)는 상단거치틀(10) 또는 하단거치틀(20) 내부에 설치된다.
제어부(70)는 감지부(50)에서 감지한 발열부(30)의 기울기 정보에 따라 발열부(30)가 일정 범위의 기울기를 초과하였을 때 발열부(30)의 발열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통신부(60)에서 전달받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발열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70)는 상단거치틀(10) 또는 하단거치틀(20) 내부에 설치된다.
전원부(80)는 발열부(30), 감지부(50), 통신부(60) 및 제어부(70)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히터지지대(2)는 대략 'ㄷ'자로 형성되어 히터본체(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히터본체(1)는 회전되고, 이에 따라 발열부(30)가 열을 발산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탠드히터가 일정 각도 기울어졌을 시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히터가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전원이 차단되어 발열 작동이 중단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히터는 바닥이나 협소한 공간에 세워두고 난방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스탠드히터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진다면 스탠드히터는 자동적으로 발열 작동을 중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스탠드히터의 상단거치틀(10) 또는 하단거치틀(20)의 내부에는 기울기감지센서와 가속도센서가 구비되어 히터본체(1)의 기울기 및 기울어지는 시점의 속도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최초에 스탠딩히터가 서있는 각도를 0도라 설정하고, 스탠딩히터 전체가 기울어져 발열부(30) 또한 전후좌우 어디로든 90도 이상 기울어졌을 시에는 제어부(70)가 발열부(30)의 발열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감지부(50)와 제어부(70)를 설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는 90도 이상 발열부(30)가 기울어졌다면 중력에 의해 발열부(30)가 바닥으로 넘어지는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열부(30)가 90도 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기울기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70)로 전달하고, 제어부(70)는 발열부(30)가 발열 중단 설정각도인 90도를 넘었기 때문에 발열부(30)를 제어하여 발열 작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또한, 발열부(30)가 기울어져 넘어질 때는 지면으로 향하는 동안 속도가 발생되기 때문에 가속도센서는 발열부(30)가 넘어지는 속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70)로 전달하고, 제어부(70)는 발열부(30)가 발열 중단 설정속도를 넘게 되면 발열부(30)를 제어하여 발열 작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기울기감지센서 및 가속도센서가 감지하는 설정범위 이탈을 모두 충족해야 발열부(30)가 넘어진 상태라 간주하게 된다.
여기서, 기울기감지센서 및 가속도센서가 발열 중단에 설정범위를 감지하는 이유는 발열부(30)가 넘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발열을 중단시키지 않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외력이 가해져 발열부(30)가 넘어질 수도 있지만, 그 외력이 약하게 되면 발열부(30)가 넘어지지 않기 때문에 굳이 제어부(70)가 발열부(30)의 발열을 중단시킬 필요는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탠드히터가 기울어질 때 무조건적으로 발열 작동이 중단되는 것이 아닌 스탠드히터가 넘어지는 상황만을 선별하여 발열 작동이 중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종래에는 야외에서 스탠드히터를 바닥에 세워둘 때에도 바닥이 고르지 못한 부분에서는 스탠드히터가 전후좌우로 기울어질 수밖에 없는데, 이 때 기울어진 정도를 파악하지 않고 무조건적으로 발열 작동을 중단시킨다면 바닥이 고른 상태에서만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활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기울기의 범위를 설정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짐에 대해서는 발열 작동을 중단시키지 않으므로 활용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직물형 스탠드히터의 경우 바닥에 놓아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집안의 천장에 거치하여 사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발열부(30)가 일정 각도 기울어지는 정도에 대해 감안할 필요가 있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본체(1)의 상단거치틀(10) 및 하단거치틀(20)에 별도의 히터걸개(3)를 장착시키고, 천장 또한 걸개를 끼우거나 연결시킬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된다면 히터본체(1)만을 천장에 설치하여 난방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열부(30)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되므로, 종래의 방식 중 단순히 기울어짐을 감지방식으로는 발열부(30)가 발열 작동이 불가능하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히터는 발열부(30)의 기울기 각도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천장에 히터본체(1)를 설치하여도 발열부(30)의 발열 작동이 중단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본체(1)의 걸개 한쪽이 천장에서 떨어지면 발열부(30)의 기울기가 변화하게 되므로 기울기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70)로 신호를 보내 제어부(70)가 발열부(30)의 발열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아울러, 히터본체(1)의 히터걸개(3) 양쪽이 동시에 천장에서 떨어질 시에는 히터본체(1)가 천장으로부터 일자로 떨어지게 되어, 발열부(30)의 기울기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기울기감지센서가 기울기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해 발열부(30)의 발열 작동을 중단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가속도센서가 중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큰 속도가 발생되는 발열부(30)의 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70)로 보내고, 이에 따라, 제어부(70)는 발열부(30)를 제어하여 발열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천장에 히터본체(1)를 설치하여도 동일하게 발열부(30)의 발열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히터에 가속도 및 경사감지부가 설치되어 벽에 거치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히터는 가속도 및 경사감지부(4)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및 경사감지부(4)는 상단거치틀(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발열부(30)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상태의 경사각에 맞게 회전하여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본체(1)의 상단거치틀(10)에 별도의 히터걸개(3)를 장착하여 벽에 연결시키고, 하단거치틀(20)을 벽에 설치된 별도의 받침대(5)에 받침으로써, 히터본체(1)를 벽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설치하여 난방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발열부(30)가 벽면과 이루는 경사각에 맞게 가속도 및 경사감지부(4)를 회전시켜 고정하게 되면, 현재 발열부(30)가 벽면과 이루는 경사각을 정확히 감지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히터본체(1)에서 히터걸개(3)가 떨어져 발열부(30)가 벽과 이루는 경사각이 현재 가속도 및 경사감지부(4)에 의해 감지되고 있는 경사각에서 소정범위 이상 변화하게 되면, 발열부(30)의 발열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가속도 및 경사감지부(4)에서 발열부(30)가 바닥으로 떨어짐에 따른 가속도의 변화도 동시에 감지하여 가속도가 소정범위 이상 변할 시에도 발열부(30)의 발열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단거치틀(10)에 가속도 및 경사감지부(4)가 설치된 상태에서 히터본체(1)를 벽면에 설치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천장이나, 평평한 바닥, 기울어지거나, 고르지 못한 바닥 등에 다양한 경사각도로 히터본체(1)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상단거치틀(10)에 가속도 및 경사감지부(4)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하단거치틀(2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스탠드히터의 넘어지는 기울기를 설정하여 해당 기울기 설정범위에서는 스탠드히터가 넘어지지 않기 때문에 스탠드히터의 발열 작동이 중단되지 않지만 이를 이탈하였을 때는 발열 작동을 중단시키고, 또한 기울어질 때의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속도가 설정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스탠드히터가 넘어지는 것으로 간주하여 발열 작동을 중단시킨다.
또한, 발열부(30)의 경사각이 현재 가속도 및 경사감지부(4)에 의해 감지되고 있는 경사각에서 소정범위 이상 변화하거나, 가속도가 소정범위 이상 변하게 되면, 발열부(30)의 발열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히터는 화재 발생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탠드히터와 같은 히터는 실내의 협소한 공간이나 캠핑 등과 같은 야외활동 중일 때 근처에 거치해두거나 놓아둠으로써 사용자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스탠드히터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넘어지거나 기울어졌을 때 화재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탠드히터의 내부에 센서가 구비되어 스탠드히터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졌을 시 자동적으로 스탠드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스탠드히터가 넘어지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화재 발생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장소에 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탠드히터를 바닥에 놓을 수 있는 지지대뿐만 아니라 지지대를 제거하고 걸개를 걸어 벽면 등에도 거치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히터에 장착된 센서가 히터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곧바로 히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설정되어 있어 천장에 수평으로 거치시키는 것과 같이 히터를 거치시키기 위해 기울어져만 장소에는 사용하기가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탠드히터가 기울어지더라도 일정 기울기범위에서는 스탠드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스탠드히터를 다양한 장소에 거치시킬 수 있다.
아울러, 탄소섬유를 사용하여 화재 발생 위험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본 발명에서는 발열부(30)분이 탄소섬유로 제작된 직물이 사용된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가스, 석유 및 금속으로 제작된 히터가 아니기 때문에 스탠드히터가 넘어졌을 시 스탠드히터의 발열부(30)분로 인해 다른 물질이 연소되는 가능성이 낮아 화재 발생 위험이 적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히터본체
10 : 상단거치틀
20 : 하단거치틀
30 : 발열부
40 : 제어모듈
50 : 감지부
60 : 통신부
70 : 제어부
80 : 전원부
2 : 히터지지대
3 : 히터걸개
4 : 가속도 및 경사감지부
5 : 받침대

Claims (3)

  1. 탄소섬유로 구성되어 소정의 면적이 형성되고,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발열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의 상단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발열부의 상단을 고정시키는 상단거치틀;
    상기 발열부의 하단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발열부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하단거치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거치틀 또는 상기 하단거치틀 내부에 상기 발열부의 발열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상단거치틀 또는 상기 하단거치틀 내부에 가속도센서 및 기울기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발열부가 기울어지는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각도 범위 설정 후 상기 발열부가 90도 이상 기울어졌을 시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발열부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히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히터는 상기 상단거치틀 또는 상기 하단거치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가속도 및 경사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의 경사각이 소정범위 이상 변하거나, 가속도가 소정범위 이상 변할 시 상기 발열부의 발열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히터.
KR1020170123718A 2016-09-23 2017-09-25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직물형 스탠드히터 KR102009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1893 2016-09-23
KR1020160121893 2016-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111A true KR20180033111A (ko) 2018-04-02
KR102009752B1 KR102009752B1 (ko) 2019-08-12

Family

ID=6197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718A KR102009752B1 (ko) 2016-09-23 2017-09-25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직물형 스탠드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7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782Y1 (ko) * 2001-08-28 2001-11-26 김시정 두루마리형 다목적 전기히터
KR200442152Y1 (ko) * 2007-07-20 2008-10-14 이동하 온풍 겸용 선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782Y1 (ko) * 2001-08-28 2001-11-26 김시정 두루마리형 다목적 전기히터
KR200442152Y1 (ko) * 2007-07-20 2008-10-14 이동하 온풍 겸용 선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752B1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1859B (zh) 显示器安装组件
US8993938B2 (en) Heater with a level switch safety mechanism
US8905705B2 (en) Omni-directional fan device
TW201238825A (en) Bicycle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JP6301634B2 (ja) 空気調和機
KR20180033111A (ko)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직물형 스탠드히터
US7122766B1 (en) Range anti-tip device and method
KR102016028B1 (ko) 소화기 거치대
JP2019027635A (ja) 加熱調理装置、調理器具、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JP2010175181A (ja) 暖房装置
KR20060089994A (ko) 에어컨의 자동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621116A (zh) 一种活动挡烟垂壁及其方法
JP3032467B2 (ja) 据置定置したロボット式消火法及びその装置。
JP2000274827A (ja) 暖房機
US10619850B2 (en) Automatic candle extinguisher
JP2020185256A (ja) 可搬式火災感知・消火装置
CN107300209A (zh) 具有置物平台的取暖器
TW202209269A (zh) 廚房安全監控系統
JP2008185312A (ja) 異常検出機能を備えた暖房機
JP2008111573A (ja) 電気ストーブ
JP2007139354A (ja) 画像モニター用加湿装置
JP3254332B2 (ja) 床暖房制御方法
JP2008111572A (ja) 電気ストーブ
KR102653654B1 (ko) 착탈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동 책상
JP2006162187A (ja) 天吊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