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942A - 사출성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942A
KR20180032942A KR1020160122278A KR20160122278A KR20180032942A KR 20180032942 A KR20180032942 A KR 20180032942A KR 1020160122278 A KR1020160122278 A KR 1020160122278A KR 20160122278 A KR20160122278 A KR 20160122278A KR 20180032942 A KR20180032942 A KR 20180032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take
injection
injection molding
mai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진
김용훈
박대진
서광신
박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2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2942A/ko
Publication of KR2018003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2045/4031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driven by a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45/420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and driven by the movable mould part
    • B29C2045/4216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and driven by the movable mould part releasable drive connections between the robot and the movabl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6Sealing devices, e.g. packaging for pistons or pip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2Household appliances
    • B29L2031/7622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언더컷을 포함하는 사출물을 성형하는 사출성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을 제공한다.
사출성형장치는 사출물의 일 측을 형성하는 제1메인코어 및 상기 제1메인코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사출물의 타 측을 형성하는 제2메인코어를 포함하는 메인코어, 상기 제1메인코어와 상기 제2메인코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사출물의 외측 언더컷을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 및 상기 제2메인코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취출코어 및 상기 제1취출코어와 함께 상기 사출물의 내측 언더컷을 형성하는 제2취출코어를 포함하는 취출코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출성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INJECTION MOLDING APPARATUS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언더컷을 포함하는 사출물을 성형하는 사출성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공법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성형재료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성형재료를 가열 용융하여, 사출성형금형의 캐비티 내로 성형재료를 가압 및 충전시키고, 성형재료를 고화 또는 경화하여 사출물을 생산하는 성형 방법이다.
반면, 압축성형공법은 성형재료를 금형에 넣고, 압력 및 가열과정을 통해 성형재료를 연화시킨 후, 경화 시간을 거쳐 금형으로부터 성형물을 이형시키는 성형 방법이다.
사출성형은 압축성형 시 성형재료를 금형에 넣고 가열하는 단계에서 성형재료가 금형의 형상 바깥으로 빠져 나올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사출성형은 압축성형에 비해 사출물의 형상이 상대적으로 정확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출성형은 사출물을 취출 한 후에 사출물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사출성형장치의 사출 금형은 성형재료를 금형의 캐비티 내에 사출, 충진시켜 사출물을 얻기 위한 캐비티부 및 용융된 성형재료를 성형기의 노즐로부터 캐비티까지 인도하는 유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출 금형은 사출물을 금형으로부터 이형시키기 위한 이젝터 기구 및 금형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출 금형은 금형과 사출성형장치의 부착을 위한 부착부 및 금형과 사출성형장치의 부착을 유지하기 위한 몰드베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출 금형은 크게 고정부와 가동부로 나누어질 수 있다. 고정부에는 스프루, 로케이팅 링, 냉각관 및 가이드 부지 혹은 가이드 핀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가동부에는 코어, 가이드 부시 혹은 가이드 핀, 냉각관, 리턴 핀, 이젝터 핀과 이젝터 판 및 스프루 풀러 핀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금형 사출물의 취출 과정에서 캐비티로부터 금형 사출물의 분리를 어렵게 하는 턱이나 돌기 등의 장애 요소를 언더컷이라 정의할 수 있다. 사출물에 언더컷이 있거나, 중간 구멍이 있어 단순히 양쪽 열림 금형으로는 사출물의 추출이 불가능한 경우에 슬라이드 코어나 회전 코어 등 가동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가동코어를 금형의 왕복 운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앵귤러 핀과 슬라이더 블록 또는 랙과 피니언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리콘소재를 이용한 압축성형공법을 통해 제작하는 제품을, TPE소재를 이용한 사출성형공법을 통해 대체 제작할 수 있는 사출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중 언더컷이 있는 사출물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사출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금형에서 완전히 이형되기 어려운 내측 언더컷의 구조를 가진 사출물을, 내측 언더컷 부분의 손상 없이 취출로봇에 의해 취출할 수 있는 사출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는 사출물의 일 측을 형성하는 제1메인코어 및 상기 제1메인코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사출물의 타 측을 형성하는 제2메인코어를 포함하는 메인코어, 상기 제1메인코어와 상기 제2메인코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사출물의 외측 언더컷을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 및 상기 제2메인코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취출코어 및 상기 제1취출코어와 함께 상기 사출물의 내측 언더컷을 형성하는 제2취출코어를 포함하는 취출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취출코어의 돌출부는 상기 제1취출코어의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사출물의 상기 내측 언더컷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코어는 상기 제2메인코어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사출물의 상기 외측 언더컷으로부터 이형 될 수 있다.
상기 제1취출코어는 상기 슬라이드코어의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메인코어로부터 상기 사출물을 이형 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취출코어는 상기 제1취출코어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취출코어로부터 상기 사출물을 이형 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취출코어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사출물의 상기 내측 언더컷으로 인해, 상기 사출물을 걸림 지지할 수 있다.
취출로봇이 상기 사출물을 취출할 수 있다.
상기 사출물은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사출물은 냉장고 용 디스펜서의 실링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출성형방법은 성형재료가 제1메인코어 및 제2메인코어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에 주입되어 사출물을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 상기 제1메인코어와 상기 제2메인코어가 분리되고, 상기 사출물의 외측 언더컷을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가 상기 사출물로부터 분리되는 이형단계, 상기 제2메인코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취출코어가 상기 제2메인코어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사출물을 상기 제2메인코어로부터 이형시키는 제1취출단계 및 상기 제1취출코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취출코어가 상기 제1취출코어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사출물의 내측 언더컷을 상기 제1취출코어로부터 이형 시키는 제2취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취출코어의 돌출부는 상기 제1취출코어의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사출물의 상기 내측 언더컷을 형성할 수 있다.
취출로봇이 상기 제2취출코어의 상기 돌출부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사출물을 취출하는 제3취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출물은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성형공법은 TPE소재를 이용하여, 기존의 실리콘소재를 이용한 압축성형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한 형상을 가진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성형공법은 압축성형공법과 달리 취출로봇에 의한 사출물의 취출이 가능하고, 취출 후 사출물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후 가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품 생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제품 생산 및 취출 공정의 무인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언더컷 구조를 포함하여 취출이 용이하지 않은 복잡한 형상의 사출물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출물이 금형으로부터 완전히 이형되기 어려운 내측 언더컷 구조를 가진 경우에도, TPE소재의 탄성력을 이용함으로써 취출로봇이 사출물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단면도에서, 금형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로부터 성형되는 사출물의 사시도 및 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사출물의 성형 및 취출 과정을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제1메인코어와 제2메인코어의 분리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슬라이드코어가 사출물로부터 이형 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취출코어가 제2메인코어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취출코어가 제2메인코어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제2취출코어가 제1취출코어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제2취출코어가 제1취출코어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사출물이 제2취출코어로부터 취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사출물이 제2취출코어로부터 취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사출물이 이용되는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단면도에서, 금형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출성형장치(1)는 상부금형(11) 및 하부금형(12)을 포함하는 금형(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금형(11)과 하부금형(12)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금형(11)과 하부금형(12)의 내부에는 사출성형장치(1)로부터 성형되는 사출물(200)을 형성하는 코어(100)가 위치할 수 있다.
코어(100)는 사출물(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코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코어(100)는 상부금형(11)에 조립되고 사출물(200)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는 제1메인코어(111) 및 하부금형(12)에 조립되고 사출물(200)의 하부 외형을 형성하는 제2메인코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코어(111)와 제2메인코어(112)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메인코어(111)와 제2메인코어(112)가 결합되면, 사출물(2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성형재료가 주입될 수 있는 캐비티(113)를 형성할 수 있다.
코어(100)는 제1메인코어(111)와 제2메인코어(1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드코어(120) 및 취출코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출성형장치(1)는 제1메인코어(111)와 제2메인코어(112)가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사출물(200)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나, 언더컷(210) 구조를 포함하여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사출물(200)의 경우는 제1메인코어(111) 및 제2메인코어(112)뿐만 아니라, 슬라이드코어(120)가 추가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출물(200)에 언더컷(210)이 포함될 경우에는 사출물(200)의 성형 및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코어(120)를 사용할 수 있다.
취출코어(130)는 제2메인코어(112)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취출코어(131) 및 제1취출코어(131)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취출코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메인코어(112)는 취출코어(1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로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40)는 취출코어(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로부터 성형되는 사출물의 사시도 및 단면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출성형장치(1)로부터 성형되는 사출물(200)은 전체적으로 모서리가 둥글게 처리된 직사각형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출물(200)은 비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출물(200)은 A부분과 B부분의 단면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사출물(200)은 언더컷(21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출물(200)은 이중 언더컷(210)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중 언더컷(210) 구조는 외측 언더컷(211) 및 내측 언더컷(21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출물(200)은 이중 언더컷(210) 구조로 인해, 사출성형장치(1)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외측 언더컷(211)의 경우, 슬라이드코어(120)를 이용하여 사출물(200)을 이형 시킬 수 있다.
반면, 내측 언더컷(212)의 경우는 구조에 따라서 슬라이드코어(120) 또는 이젝터(미 도시) 등으로 사출물(200)을 코어(100)로부터 완전히 이형 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사출물(200)은 냉장고(500)의 디스펜서(550) 용 실링 또는 패킹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사출물(200)은 실링 또는 패킹 부재의 특성 상 밀폐성이 뛰어난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또는 패킹 부재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한 압축성형공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사출물(200)은 사출성형장치(1)를 통해 TPE 소재를 이용한 사출성형공법으로 생산될 수 있다. 여기서, TPE 소재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소재를 정의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소재는 실온에서는 고무의 기능을 갖지만, 고온에서는 가소화되어 각종 성형 가공이 가능한 고분자 재료이다. 따라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소재는 실리콘 소재 또는 고무 부품 등의 대체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링 또는 패킹 부재를 실리콘 소재를 이용한 압축성형공법으로 생산하는 경우, 성형재료 입고, 원료 혼합, 프레스 압축, 열기류를 통한 가열, 제품 이형, 제품 시상, 제품의 2차 기류, 검사 및 출하를 통한 9가지의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사출물(200)을 TPE 소재를 이용한 사출성형공법으로 생산하는 경우, 성형재료 입고, 원료 혼합, 제품 사출, 제품의 자동 취출, 검사 및 출하를 통해 6가지의 공정만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TPE 소재를 이용한 사출성형공법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실리콘 소재를 이용한 압축성형공법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보다 제품 생산 사이클 타임이 약 50% 이상 단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사출물의 성형 및 취출 과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사출물(200)이 사출성형장치(1)를 통해 성형 및 취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출물(200)의 성형재료가 메인코어(110)의 캐비티(113) 내에 주입되어 사출물(200)이 성형될 수 있다. (S1단계)
제1메인코어(111)가 제2메인코어(112)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성형된 사출물(200)과 이형될 수 있다. (S2단계)
제1메인코어(111) 및 제2메인코어(112) 사이에 위치하고, 외측 언더컷(211)을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120)가 제2메인코어(112)의 경사면(114)을 따라 이동하여 사출물(200)의 외측 언더컷(211)으로부터 이형될 수 있다. (S3단계)
취출코어(130)가 제2메인코어(112)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사출물(200)을 제2메인코어(112)로부터 이형시킬 수 있다. (S4단계)
제2취출코어(132)가 제1취출코어(13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제1취출코어(131)와 제2취출코어(132) 사이에서 형성되는 사출물(200)을 제1취출코어(131)로부터 이형 시킬 수 있다. (S5단계)
취출로봇(미 도시)이 제2취출코어(132)로 접근하여, 사출물(200)의 내측 언더컷(212)에 의해 제2취출코어(132)에 걸림 결합되고 있는 사출물(200)을 취출할 수 있다. (S6단계)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1)는 한 번의 사이클동작을 통하여 내, 외측의 다양한 각도의 복잡한 언더컷(210) 구조를 가진 사출물(200)의 취출이 순차적인 연속 동작을 통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제1메인코어와 제2메인코어의 분리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 된 제1메인코어(111)와 제2메인코어(112)는 분리될 수 있다. 제1메인코어(111)가 제2메인코어(112)와 분리 됨으로써, 제1메인코어(111)는 사출물(200)의 상부 외형으로부터 이형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출물(200)의 상부 외형이 코어(100)로부터 이형 될 수 있다.
제1메인코어(111)와 제2메인코어(112)가 분리되는 방법은 금형(1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메인코어(111)가 이동하여 제2메인코어(112)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제2메인코어(112)가 이동하여 제1메인코어(1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메인코어(111)와 제2메인코어(112) 모두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분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슬라이드코어가 사출물로부터 이형 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슬라이드코어(120)는 제1메인코어(111)와 제2메인코어(112)의 사이에서 사출물(200)의 외측 언더컷(211)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코어(120)는 사출물(200)의 외측 언더컷(211)으로부터 제1메인코어(111)와 제2메인코어(112)가 분리되는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메인코어(1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슬라이드코어(120)는 제2메인코어(112)에 형성된 경사면(11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코어(120)의 경사면(114)을 따른 이동 방향은 제1메인코어(111)의 이동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출물(200)의 외측 언더컷(211)은 코어(100)로부터 이형 될 수 있다. 제2메인코어(112)와 슬라이드코어(120)가 분리되는 방법은 금형(1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취출코어가 제2메인코어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취출코어가 제2메인코어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메인코어(112)는 취출코어(130)를 제2메인코어(112)로부터 분리 시킬 수 있는 로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취출코어(130)는 로드(140)에 의해 제2메인코어(112)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사출물(200)을 제2메인코어(112)로부터 이형 시킬 수 있다. 취출코어(130)는 제1메인코어(111)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취출코어(130)는 슬라이드코어(120)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드(140)는 취출코어(130)를 이동 시킬 수 있는 제1로드(140a) 및 제2취출코어(132)도 제1취출코어(131)와 분리시킬 수 있는 제2로드(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로드(140a)는 한 개로 구성될 수 있고, 제2로드(140b)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로드(140b)는 세 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네 개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로드(140)가 작동되는 방법은 금형(1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제2취출코어가 제1취출코어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제2취출코어가 제1취출코어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취출코어(132)는 제2로드(140b)에 의해 제1취출코어(131)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취출코어(132)는 제2로드(140b)에 의해 제1취출코어(131)의 이동 거리보다 더 크게 이동할 수 있다.
제1로드(140a)는 제1취출코어(131)를 이동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제2로드(140b)는 제2취출코어(132)만을 더 크게 이동시켜, 제2취출코어(132)와 제1취출코어(131)를 분리 시킬 수 있다. 제2로드(140b)는 제1취출코어(131)을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취출코어(132)는 제2로드(140b)에 의해 제1취출코어(131)로부터 사출물(200)의 내측 언더컷(212)을 이형 시킬 수 있다. 사출물(200)은 제2로드(140b)에 의해 제2취출코어(132)에만 지지될 수 있다.
취출코어(130)의 이동을 통해 사출물(200)을 제2메인코어(112)로부터 이형 시킴에 있어, 제1취출코어(131) 및 제2취출코어(132)를 제1로드(140a) 및 제2로드(140b)를 통해 각각 이동할 수 있으므로, 외측 언더컷(211)의 구조에도 불구하고 사출물(200)의 취출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사출물이 제2취출코어로부터 취출 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사출물이 제2취출코어로부터 취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취출로봇(미 도시)은 제2취출코어(132)에 걸림 결합되고 있는 사출물(200)을 취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장치(1)는 사출물(200)이 슬라이드코어(120) 또는 이젝터(미 도시) 등에 의해 코어(100)로부터 완전히 이형 되면, 취출로봇(미 도시)과 같은 취출 장치를 통해 사출물(200)을 취출할 수 있다.
취출로봇(미 도시)은 코어(100)로부터 분리된 사출물(200)을 파지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암(arm)(미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취출 장치는 일반적인 취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그 외에 이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생각해낼 수 있는 취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사출물(200)은 복잡한 내측 언더컷(212)의 구조로 인해, 코어(100)로부터 완전히 분리 되지 못하고, 제2취출코어(132) 등의 코어(100)에 걸림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취출코어(132)의 돌출부(134)가 제1취출코어(131)의 오목부(133)에 삽입됨으로써, 사출물(200)의 복잡한 내측 언더컷(212)이 형성될 수 있다.
사출물(200)은 제1취출코어(131)로부터 분리된 제2취출코어(132)의 돌출부(134)를 통해 제2취출코어(132)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제2취출코어(132)는 취출로봇(미 도시)이 사출물(200)에 접근하여 사출물(200)을 취출할 수 있도록 사출물(200)을 지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출물(200)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성형재료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성형재료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물은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이 가진 정도의 탄성력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취출로봇(미 도시)이 복잡한 내측 언더컷(212) 구조를 가진 사출물(200)을 취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사출물(200)은 TPE 소재로 성형되어 상온에서는 고무의 성질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고무 등이 가지는 정도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취출로봇(미 도시)은 사출물(2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사출물(200)의 내측 언더컷(212)을 손상하지 않고, 사출물(200)을 제2취출코어(132)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서, 사출물이 이용되는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출물(200)이 이용되는 모습을 살펴본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500)는 저장실(520)을 갖는 본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520)은 중간격벽(511)에 의해 구획되는 냉동실(520a)과 냉장실(520b)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500)는 본체(5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저장실(520)을 개폐하는 도어(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530)는 냉동실(520a)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530a)와 냉장실(520b)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530b)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500)는 본체(510)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고 압축기(미 도시)등을 포함하는 기계실(580) 및 저장실(5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재(560)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520b)은 냉장실(520b)에 저장되는 물건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선반(570)을 포함할 수 있다.
냉동실(520a)의 내부에는 제빙유닛(540)이 마련될 수 있다. 제빙유닛(540)은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541)와, 제빙기(541)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빙기(541)에서 분리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유닛(542)을 포함할 수 있다. 얼음저장유닛(542)은 얼음저장유닛(542)에 저장된 얼음을 디스펜서(550)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543)과 이송유닛(543)의 단 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얼음을 분쇄할 수 있는 얼음분쇄유닛(544)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500)는 얼음저장유닛(542)을 통해 공급된 얼음을 인출하기 위한 디스펜서(5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550)는 얼음저장유닛(542)의 얼음배출공(545)과 연통된 얼음토출구(548)를 갖는 디스펜서케이싱(551), 디스펜서케이싱(551)의 얼음토출구(548)를 개폐하는 커버부재(549) 및 커버부재(549)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키는 가압부재(55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격벽(511)에는 제빙유닛(540)에서 제조된 얼음을 디스펜서(550)로 배출하는 얼음배출통로(546)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케이싱(551)의 상부 면에는 얼음이 얼음배출공(545)에서 얼음배출통로(546)를 거쳐 얼음토출구(548)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얼음토출관(547)이 장착될 수 있다.
얼음토출관(547)은 제빙유닛(540)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서, 얼음토출관(547)의 내부는 저온 상태이고, 커버부재(549)의 외부는 상온 상태이므로 커버부재(549)에는 내 외부의 온도 차에 의한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커버부재(549)는 실리콘, 고무(rubber)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커버부재(549)가 얼음토출구(548)와 확실히 밀착됨으로써, 얼음토출관(547)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성형장치(1)에 의해 성형되는 사출물(200)은 얼음토출관(547)의 냉기 누출 및 이슬 맺힘 현상 등으로 인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커버부재(549)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사출성형장치 10 : 금형
11 : 상부금형 12 : 하부금형
100 : 코어 110 : 메인코어
111 : 제1메인코어 112 : 제2메인코어
113 : 캐비티 114 : 경사면
120 : 슬라이드코어 130 : 취출코어
131 : 제1취출코어 132 : 제2취출코어
133 : 오목부 134 : 돌출부
140 : 로드 140a : 제1로드
140b : 제2로드 200 : 사출물
210 : 언더컷 211 : 외측 언더컷
212 : 내측 언더컷 500 : 냉장고
550 : 디스펜서 549 : 커버부재

Claims (13)

  1. 사출물의 일 측을 형성하는 제1메인코어 및 상기 제1메인코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사출물의 타 측을 형성하는 제2메인코어를 포함하는 메인코어;
    상기 제1메인코어와 상기 제2메인코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사출물의 외측 언더컷을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 및
    상기 제2메인코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취출코어 및 상기 제1취출코어와 함께 상기 사출물의 내측 언더컷을 형성하는 제2취출코어를 포함하는 취출코어;를 포함하는 사출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취출코어의 돌출부는 상기 제1취출코어의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사출물의 상기 내측 언더컷을 형성하는 사출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코어는 상기 제2메인코어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사출물의 상기 외측 언더컷으로부터 이형 되는 사출성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취출코어는 상기 슬라이드코어의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메인코어로부터 상기 사출물을 이형 시키는 사출성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취출코어는 상기 제1취출코어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취출코어로부터 상기 사출물을 이형 시키는 사출성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취출코어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사출물의 상기 내측 언더컷으로 인해, 상기 사출물을 걸림 지지하는 사출성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취출로봇이 상기 사출물을 취출할 수 있는 사출성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소재로 성형되는 사출성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냉장고 용 디스펜서의 실링부재로 사용될 수 있는 사출성형장치.
  10. 성형재료가 제1메인코어 및 제2메인코어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에 주입되어 사출물을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
    상기 제1메인코어와 상기 제2메인코어가 분리되고, 상기 사출물의 외측 언더컷을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가 상기 사출물로부터 분리되는 이형단계;
    상기 제2메인코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취출코어가 상기 제2메인코어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사출물을 상기 제2메인코어로부터 이형시키는 제1취출단계; 및
    상기 제1취출코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취출코어가 상기 제1취출코어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사출물의 내측 언더컷을 상기 제1취출코어로부터 이형 시키는 제2취출단계;를 포함하는 사출성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취출코어의 돌출부는 상기 제1취출코어의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사출물의 상기 내측 언더컷을 형성하는 사출성형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취출로봇이 상기 제2취출코어의 상기 돌출부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사출물을 취출하는 제3취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출성형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소재로 성형되는 사출성형방법.
KR1020160122278A 2016-09-23 2016-09-23 사출성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KR20180032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278A KR20180032942A (ko) 2016-09-23 2016-09-23 사출성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278A KR20180032942A (ko) 2016-09-23 2016-09-23 사출성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942A true KR20180032942A (ko) 2018-04-02

Family

ID=6197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278A KR20180032942A (ko) 2016-09-23 2016-09-23 사출성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29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1960A (zh) * 2020-05-17 2020-08-25 宁波正佳模塑有限公司 一种错齿卡环塑件成型模具的脱模机构及其脱模方法
US11432630B2 (en) 2018-07-13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device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2630B2 (en) 2018-07-13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device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CN111571960A (zh) * 2020-05-17 2020-08-25 宁波正佳模塑有限公司 一种错齿卡环塑件成型模具的脱模机构及其脱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8044B2 (ja) 往復移動を用いる成形物品移送機構
PT1560694E (pt) Método para fabricar produtos a partir de uma massa de material termoplástico
RU24734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формованных изделий
CN104254436B (zh) 对注塑模制品的模制后冷却
US7309227B2 (en) Polymeric injection mold with retractable bars for producing re-entrant molded surfaces
KR20180032942A (ko) 사출성형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CN107116762A (zh) 用于注塑板件的模具及其注塑方法
KR20090048093A (ko)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KR101537011B1 (ko) 탄성 재질의 언더컷성형링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CN116461054A (zh) 一种家电生产用可自动脱模的模具及其使用方法
US3827856A (en) Apparatus for loading inserts onto insert receiving seats of a mold
RU2004138797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безлитникового формования термореактивной смолы и резины
JP2009143009A (ja) 2色成形方法
KR101655987B1 (ko) 수축, 확장되는 다수의 언더컷성형코어를 갖는 사출금형
CN213291160U (zh) 一种用于球型产品注塑的注塑模具
KR20160040964A (ko)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KR100882291B1 (ko) 언더컷이 없는 사출물품을 위한 금형조립체
US3574896A (en) Molding apparatus
KR101558248B1 (ko) 핫 러너 압축 매니폴드를 이용한 사출압축팽창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RU2330756C1 (ru) Автома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нжекционным формованием газифицируемых моделей
US20110001269A1 (en) Device for producing pin-shaped end products by the injection-molding process
JP2003127187A (ja) バルブゲート式金型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成形方法
CN216299959U (zh) 一种带多模腔组件的注塑模具
CN220242292U (zh) 一种注塑管件组合件模具脱模结构
CN108673841B (zh) 防变形侧向抽芯注塑模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