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436A - 복수 명령 실행 장치, 그 실행 방법 및 그 등록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명령 실행 장치, 그 실행 방법 및 그 등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436A
KR20180032436A KR1020160121673A KR20160121673A KR20180032436A KR 20180032436 A KR20180032436 A KR 20180032436A KR 1020160121673 A KR1020160121673 A KR 1020160121673A KR 20160121673 A KR20160121673 A KR 20160121673A KR 20180032436 A KR20180032436 A KR 20180032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buttons
input
stored
fun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6712B1 (ko
Inventor
신동수
이정엄
현동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7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K2350/1004
    • B60K2350/1008
    • B60K2350/1024
    • B60K2350/1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명령 실행 장치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버튼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버튼 감지부; 상기 복수개의 버튼의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를 저장하는 기능 저장부; 상기 버튼 감지부에 의해 복수개의 버튼의 동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기능 저장부에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기능 저장부에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능 순서에 따라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 명령 실행 장치, 그 실행 방법 및 그 등록방법{APPARATU AND METHOD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INSTRUCTIONSIN AND METHOD FOR STORAGING THEREOF}
본 발명은 복수 명령 실행 장치, 그 실행 방법 및 그 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버튼이 동시에 입력될 때 이를 해석하고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음악, 라디오, 네비게이션, 시동, 기어조작, 윈도우, 시트, 사이드 미러, 백미러 등등의 조절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버튼이 구비된다.
이러한 버튼을 통해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순차적으로 버튼을 눌러 기능을 실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라디오 6번 채널을 듣기 위해서는 라디오를 켜고, 6번 채널로 바꾸는 버튼을 눌러야 한다. 또한 풍량을 3단으로 하려면 송풍을 켜고 바람을 3단으로 변경해야 한다.
이처럼 종래에는 차량 내 기능 수행을 위해 일일이 사용자가 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야만 기능을 실행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내 복수개의 버튼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버튼을 판별하고 두 버튼의 의존성 및 순서를 분석하여 순차적으로 복수개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 명령 실행 장치, 그 실행 방법 및 그 등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명령 실행 장치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버튼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버튼 감지부; 상기 복수개의 버튼의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를 저장하는 기능 저장부; 상기 버튼 감지부에 의해 복수개의 버튼의 동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기능 저장부에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기능 저장부에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능 순서에 따라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능 저장부는, 상기 복수개의 버튼의 각각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을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저장부에 상기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 후, 상기 기능 저장부에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 각각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이 저장되어 있는 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능 실행부는,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때,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 각각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에 따라 기능을 실행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능 저장부에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된 조건에 따라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에 대한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우선순위 판단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우선순위 판단부는,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간의 의존관계, 중요도, 구동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판단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우선순위 판단부는, 상기 의존관계와 관련하여, 전원 관련 기능이거나 사전 수행 가능한 기능의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중요도와 관련하여, 상기 중요도가 높은 차량의 주행 및 안전성과 관련된 기능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구동 시간과 관련하여, 기능이 구동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짧은 경우를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능 순서 및 상기 사용자 속성의 등록을 위한 등록 버튼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등록 버튼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기능 순서 또는 사용자 속성을 입력받아 상기 기능 저장부에 등록하는 기능 등록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버튼 감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버튼의 ID를 이용하여 각 버튼의 기능을 식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명령 실행 방법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버튼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버튼이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능 순서에 따라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후,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때,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별 사용자 속성에 따라 실행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후, 상기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된 조건에 따라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에 대한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간의 의존관계, 중요도, 구동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판단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단계 후,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때,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별 사용자 속성에 따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버튼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버튼의 ID를 이용하여 각 버튼의 기능을 식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명령 등록 방법은 등록 버튼이 입력되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 순서 등록을 위해 기능 순서를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기능 순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등록된 기능 순서 또는 상기 사용자 속성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차량 내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개의 버튼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미리 정한 기능순서 또는 미리 정한 조건에 따라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기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명령 실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기능 버튼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등록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명령 기능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명령 기능 순서 및 사용자 속성 등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명령 실행 방법을 적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명령 실행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기능 버튼의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등록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명령 실행 장치는 버튼부(110), 버튼 감지부(120), 기능 저장부(130), 우선순위 판단부(140), 기능 실행부(150), 제어부(160), 기능 등록부(170), 입력부(180), 통신부(190)를 포함한다.
버튼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시트 조절, 시트 쿨링/히트, 스티어링 휠 히팅, 미러 조절, 윈도우 조절, 썬루프 조절, 에어컨, AVN, 헤드라이트, 사이드브레이크 등의 차량 내 기능을 각각 수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 및 기능 순서 등록을 위한 등록버튼(도 3의 111)을 구비될 수 있다.
버튼 감지부(120)는 버튼부(110)의 눌림을 감지하고, 한 개의 버튼이 입력되었는지 복수개의 버튼이 동시에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이때, 각 버튼은 고유의 ID를 가지며, 버튼 감지부(120)는 눌려진 버튼으로부터 입력되는 고유의 ID 정보를 이용하여 눌려진 버튼의 기능을 식별한다.
기능 저장부(130)는 복수개의 버튼별 기능이 실행되는 기능 순서와 각 기능별 사용자 속성을 저장한다.
우선순위 판단부(140)는 눌려진 복수개의 버튼 간의 상호 관계 및 우선 순위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현재 눌려진 A와 B버튼은 동시에 실행될 수 없는 기능임을 알려주거나, B와 A의 순서대로 실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판단해 준다.
또한 우선순위 판단부(140)는 버튼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들의 ID와 상태에 따라 각 버튼 간의 우선 순위 및 배타성을 판단하고 기능의 아이디와 실행 순서를 정하여 기능 실행부(150)로 전달한다.
이때, 우선 순위 판단을 위한 조건은 아래 표 1과 같이 의존관계, 중요도, 구동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순위 판단 조건 구체화
의존관계 전원, 사전 수행 여부
중요도 주행 및 안전과의 연관성
구동시간 시스템 부하
기능이 구동되기 위해 필요한 시간
의존관계는 복수개의 버튼 간의 관계로서,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 중 우선적으로 실행해야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등의 관계를 의미한다 의존관계로서, 예를 들어, 전원버튼이 다른 기능 버튼과 동시에 눌려진 경우, 전원버튼이 최우선적으로 실행된 후 다른 기능 버튼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우선순위 판단부(140)는 버튼의 기능 중 주행 및 안전과 연관성이 높은 기능의 중요도를 높게 설정하여 우선적으로 실행하도록 한다. 우선순위 판단부(140)는 각 버튼의 구동시간을 고려하여 구동시간이 짧은 기능을 먼저 실행할 수 있도록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한다.
이와 같이, 우선순위 판단부(140)는 의존관계, 중요도, 구동시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중요도를 최우선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능 실행부(150)는 입력된 복수 버튼 조합에 따른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저장된 기능 순서에 따라, 또는 우선순위 판단부(140)로부터 받은 기능의 순서에 따라 기능별 모듈과 연동하여 기능 수행을 요청한다. 즉, 기능 실행부(150)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네비게이션 장치로 기능 수행을 요청하고, 뮤직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뮤직장치로 기능 수행을 요청한다.
이때 기능 실행부(150)는 순서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최우선순위의 기능을 먼저 실행 요청을 하고 해당 기능의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최우선순위의 기능이 정상 동작한 경우, 기능 실행부(150)는 차순위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능 실행부(150)는 기능을 순서대로 실행해야 하지만, 이전 기능과 연관 관계가 없는 기능은 이전 명령어가 완료되는 것과 상관없이 동시에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능 실행부(150)는 복수개의 버튼이 눌렸을 때, 해당 버튼의 조합에 맵핑되어 있는 순서정보가 기능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으면 순서대로 기능이 수행되도록 각 기능 모듈로 기능 수행을 요청하고, 기능 저장부(130)에 순서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우선순위 판단부(140)에 의해 판단된 순서에 따라 기능이 수행되도록 각 기능 모듈로 기능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실행부(150)는 버튼의 기본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이 기능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다면 저장된 속성에 맞게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반면 사용자 속성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속성 디폴트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버튼과 네비게이션 버튼이 동시에 눌려졌다고 가정하자. 라디오 버튼과 네비게이션 버튼 조합의 경우 라디오 기능 실행 후 목적지를 회사로 설정하도록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저장된 순서정보에 따라 음악을 틀고 네비게이션 목적지를 회사로 정하도록 해당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반면, 기능 순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고, 라디오와 네비게이션 버튼에 사용자 속성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라디오의 사용자 속성이 EBS 채널이고, 네비게이션의 사용자 속성이 집으로 가능 가장 빠른 길인 경우, 각 기능의 우선 순위를 판단하여 라디오는 EBS 채널로 틀고, 집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을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순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고, 라디오와 네비게이션에 사용자 속성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시스템 출고시 정해져 있는 라디오의 디폴트 기능과, 네비게이션의 디폴트 기능의 우선 순위를 판별 후 실행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버튼 감지부(120)에 의해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복수개의 버튼의 조합에 따른 기능 순서정보 또는 사용자 속성정보가 기능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각 구성들의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한다.
기능 등록부(170)는 복수개의 버튼 조합별 기능 순서정보 및 기능별 사용자 속성을 등록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버튼(111)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기능 들을 나열하고 사용자에 의해 순차적으로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선택된 순서대로 기능 순서가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등록버튼(111)을 통해 기능 선서 및 사용자 속성을 등록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터치, 음성 등을 통해 기능 순서 및 사용자 속성의 등록도 가능하다. 이 때,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차량의 이동과 관련된 기능의 입력 시엔 차량이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전화의 경우 AVN(Audio video navigation)이나 음성을 통해 사용자 속성을 집으로 전화하는 것으로 등록하거나 네비게이션은 집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로 등록할 수 있다.
최초 기능 순서정보 또는 사용자 속성 등록을 위해 등록버튼(111)을 길게 누르면 등록 모드가 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순서의 등록이 완료되면 등록된 기능들이 도 3과 같이 화면에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이 후, 등록버튼(111)이 다시 한번 길게 누름으로써 최종 승인되어 등록이 완료된다. 이때, 도 3에서는 시트쿨링/히팅, 스티어링 휠 히팅, 시트 위치조절, 미러 조절, 썬루프 조절, 윈도우 오픈여부, 에어컨 설정온도,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탐색, 헤드라이트, 사이드 블레이크 등의 기능별 온오프 및 속성정보가 등록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의 차량 탑승 후 시동버튼과 함께 녹화버튼이 눌려지거나, 시동버튼이 눌려진 후 녹화버튼이 짧게 눌려지는 경우, 미리 등록해둔 기능 순서정보 및 사용자 속성에 따라 기능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시동버튼과 함께 녹화버튼이 눌려지거나, 시동버튼이 눌려진 후 녹화버튼이 짧게 눌려지는 경우, 시트 쿨링이나 히팅의 온오프가 제어되고, 스티어링 휠 힛팅의 온오프가 제어되고, 시트 위치가 조정이 되고, 사이드랑 백미러가 조정되고, 썬루프의 오픈이 제어되고, 윈도우가 열리던가 닫히고, 에어컨이 설정 온도로 켜지고, 네이게이션이 켜지면서 특정 목적지를 탐색하고, 헤드라이트가 켜지고, 사이드 브레이크가 풀리는 상태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입력부(180)는 터치, 음성 등으로 사용자로부터 기능 순서, 사용자 속성 정보 등을 선택 또는 입력받을 수 있다.
표시부(190)는 도 3과 같이 기능 순서 또는 사용자 속성등이 표시된다. 또한, 복수의 버튼 입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기능에 대해 순차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어떤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명령 실행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버튼 감지부(120)는 복수개의 버튼이 동시에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하고(S101), 하나의 버튼이 입력된 경우 기능 실행부(150)는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하는 기능 모듈과 연동하여 기능을 수행한다(S102). 이때 기능 실행부(150)의 기능 수행은 해당 모듈로 기능 수행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한편 버튼 감지부(120)에 의해 복수개의 버튼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60)는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들의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정보가 기능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3).
기능 순서정보가 기능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기능별 사용자 속성이 기능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4).
기능별 사용자 속성이 기능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기능 실행부(150)는 저장된 기능 순서에 따라 저장된 속성을 적용하여 기능을 실행한다(S105). 예를 들어, 사용자 속성은 네비게이션 기능의 경우 목적지를 집으로 설정한다던지,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특정 각도로 설정한다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정 S104에서 기능별 사용자 속성이 기능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능 실행부(150)는 저장된 기능 순서에 따라 기능을 실행하되 속성은 디폴트로 수행한다(S106). 예를 들어, 속성의 디폴트는 네비게이션 기능의 경우 목적지 없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정 S103에서 복수개의 버튼 입력에 대한 기능 순서가 기능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우선순위 판단부(140)는 우선순위를 판별한다(S107). 이때, 우선순위는 중요도, 의존관계, 구동시간 등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및 안전과 관련된 기능의 중요도가 높으므로, 차량의 주행 및 안전과 관련된 기능과 사이드 미러 등의 조절에 대한 기능에 대한 버튼이 동시에 입력된 경우, 우선순위 판단부(140)는 차량의 주행 및 안전과 관련된 기능의 버튼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60)는 우선순위의 판별이 완료되면 기능별 사용자 속성이 기능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S108), 기능별 사용자 속성이 기능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기능 실행부(150)는 판별된 순서 및 저장된 속성에 따라 기능을 실행한다(S109).
반면 기능별 사용자 속성이 기능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경우, 기능 실행부(150)는 판별된 순서에 따라 기능을 실행하되 속성 디폴트로 실행한다(S110).
일예로, 네비게이션 버튼과 라디오 버튼의 조합에 대한 기능 선수가, 라디오 버튼을 1순위, 네비게이션 기능을 2순위로 등록되어 있고, 네비게이션 버튼에 대한 사용자 속성으로 목적지를 집으로 설정하고 도착시간을 특정 사람의 핸드폰으로 문자 전송하도록 등록해놓고, 라디오 버튼의 사용자 속성으로 특정 채널의 라디오를 켜도록 설정해놓은 경우를 가정한다.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버튼과 라디오 버튼을 동시에 입력하면, 기능 실행부(150)는 라디오 기능을 먼저 온 시킨 후 특정 채널로 설정한 후 네비게이션 기능을 온 시켜 목적지를 집으로 설정하고 도착시간을 특정 사람의 핸드폰으로 문자 전송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명령 기능 순서 및 사용자 속성 등록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등록버튼(111)이 입력되면(S301), 기능 등록부(17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순서의 등록을 요청받은 것인지 판단한다(S302).
이에, 기능 순서의 등록을 요청 받은 경우, 기능 등록부(17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순서를 입력받아 기능 저장부(130)에 저장한 후 화면에 표시한다(S303). 이때 화면에 표시되는 기능 순서는 도 3과 같이, 복수개의 기능이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기능순서를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기능 등록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속성 등록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고(S304) 사용자 속성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속성을 입력받아 기능 저장부(130)에 등록한다(S305). 이때, 사용자 속성의 입력은, 도 3과 같이 나열된 기능 중 원하는 기능을 클릭 또는 터치하면, 해당 기능에 대한 속성의 종류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그 중에서 원하는 사용자 속성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조절 기능의 경우 사용자 속성으로서, 90도, 100?, 110도, 180도 가 나열되어 표시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선택하면 해당 각도가 사용자 속성으로 등록될 수 있다.
이어 표시부(190)에는 기능 순서 및 기능 별 사용자 속성이 표시된다(S306). 이때, 사용자 속성은 도 3의 기능 순서에 따라 나열된 기능들 중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기능의 상세 화면이 표시되며 상세 화면상에 해당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명령 실행 방법을 적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버튼부
120 : 버튼 감지부
130 : 기능 저장부
140 : 우선 순위 판단부
150 : 기능 실행부
160 : 제어부
170 : 기능 등록부
180 : 입력부
190 : 표시부

Claims (19)

  1.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버튼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버튼 감지부;
    상기 복수개의 버튼의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를 저장하는 기능 저장부;
    상기 버튼 감지부에 의해 복수개의 버튼의 동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기능 저장부에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기능 저장부에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능 순서에 따라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
    를 포함하는 복수 명령 실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저장부는,
    상기 복수개의 버튼의 각각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명령 실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저장부에 상기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 후, 상기 기능 저장부에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 각각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이 저장되어 있는 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명령 실행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능 실행부는,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때,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 각각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에 따라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명령 실행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저장부에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된 조건에 따라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에 대한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우선순위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복수 명령 실행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판단부는,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간의 의존관계, 중요도, 구동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명령 실행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판단부는,
    상기 의존관계와 관련하여, 전원 관련 기능이거나 사전 수행 가능한 기능의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중요도와 관련하여, 상기 중요도가 높은 차량의 주행 및 안전성과 관련된 기능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구동 시간과 관련하여, 기능이 구동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짧은 경우를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명령 실행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순서 및 상기 사용자 속성의 등록을 위한 등록 버튼을 더 포함하는 복수 명령 실행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등록 버튼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기능 순서 또는 사용자 속성을 입력받아 상기 기능 저장부에 등록하는 기능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복수 명령 실행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 감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버튼의 ID를 이용하여 각 버튼의 기능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명령 실행 장치.
  11.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버튼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버튼이 동시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조합에 대한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능 순서에 따라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수 명령 실행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후,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수 명령 실행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때,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별 사용자 속성에 따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명령 실행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후,
    상기 기능 순서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된 조건에 따라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에 대한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수 명령 실행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간의 의존관계, 중요도, 구동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명령 실행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단계 후,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때, 상기 입력된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별 사용자 속성에 따라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수 명령 실행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버튼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버튼의 ID를 이용하여 각 버튼의 기능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명령 실행 방법.
  18. 등록 버튼이 입력되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버튼의 기능 순서 등록을 위해 기능 순서를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기능 순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기능에 대한 사용자 속성을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수 명령 등록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기능 순서 또는 상기 사용자 속성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수 명령 등록 방법.
KR1020160121673A 2016-09-22 2016-09-22 복수 명령 실행 장치, 그 실행 방법 및 그 등록방법 KR10184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673A KR101846712B1 (ko) 2016-09-22 2016-09-22 복수 명령 실행 장치, 그 실행 방법 및 그 등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673A KR101846712B1 (ko) 2016-09-22 2016-09-22 복수 명령 실행 장치, 그 실행 방법 및 그 등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436A true KR20180032436A (ko) 2018-03-30
KR101846712B1 KR101846712B1 (ko) 2018-04-06

Family

ID=6190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673A KR101846712B1 (ko) 2016-09-22 2016-09-22 복수 명령 실행 장치, 그 실행 방법 및 그 등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7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8471A (zh) * 2020-07-09 2020-09-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控件处理方法和相关装置
US20220083201A1 (en) * 2020-09-15 2022-03-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9762A (ja) 2003-01-15 2004-08-05 Calsonic Kansei Corp 車載用入力制御装置
KR101339833B1 (ko) 2012-10-19 2013-12-2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터치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능동형 설명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8471A (zh) * 2020-07-09 2020-09-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控件处理方法和相关装置
CN111708471B (zh) * 2020-07-09 2022-01-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控件处理方法和相关装置
US20220083201A1 (en) * 2020-09-15 2022-03-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712B1 (ko)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4119B2 (en) Electronic device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thereof
US716782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d through touch screen or voice recognition and instruction executing method thereof
EP2625821B1 (en) Mobile telephone hosted meeting controls
US8947220B2 (en) Speech recognition functionality in a vehicle through an extrinsic device
JP7269930B2 (ja) コンテキスト認識ボタンフリーのスクリーン関節動作
CN107906699B (zh) 立式空调器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70140642A1 (en) Remote controller for vehicl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thereof
US20150148018A1 (en) Vehicle operator specific user device management
KR101846712B1 (ko) 복수 명령 실행 장치, 그 실행 방법 및 그 등록방법
CN111722780B (zh) 显示快速操作栏的方法、装置、车机设备及存储介质
CN104866088A (zh) 汽车娱乐主机、汽车娱乐主机控制方法及装置
MX2014011450A (es) Compensacion de ruido de soplador.
KR20220052468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2127B1 (ko) 위치정보에 따라 홈 화면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제공방법
US113287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voice in a vehicle
TW202022570A (zh) 使用者介面整合方法和車載裝置
US20160229263A1 (en) Automotive air-conditioning system with different user-selectable operating profiles
KR102030019B1 (ko) Avn 기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시스템 장치
US113341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KR101992574B1 (ko) 위치정보에 따라 홈 화면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15840521A (zh) 车辆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5230625A (zh) 音频播放的控制方法、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WO2021253425A1 (zh) 输入法调用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7090668A (zh) 车辆排气声音调节方法、装置及车辆
KR2019005439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