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406A -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406A
KR20180032406A KR1020160121594A KR20160121594A KR20180032406A KR 20180032406 A KR20180032406 A KR 20180032406A KR 1020160121594 A KR1020160121594 A KR 1020160121594A KR 20160121594 A KR20160121594 A KR 20160121594A KR 20180032406 A KR20180032406 A KR 20180032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pattern
pattern
wol
arp
interru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2119B1 (ko
Inventor
변성원
권은정
김정학
박현호
이용태
정의석
이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2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119B1/ko
Priority to US15/478,575 priority patent/US10248433B2/en
Publication of KR2018003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8Suspend and resume; Hibernate and aw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04L67/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interrup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9Details regarding the setting of the power status of a node according to activity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10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 H04L61/103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across network layers, e.g. resolution of network layer into physical layer addresses or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네트워크 상에서 원격의 기기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해 WOL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써 검출 패턴 생성부, 원격상태 제어부, 웨이크업 원인 분석부를 포함하고, IP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지의 비활성화 상태의 PC를 WOL을 이용하여 활성화 시킴으로써 PC뿐 아니라 IP망을 통해 연동되는 다른 IT기기의 상태를 제어하여 불필요하게 기기를 켜 놓을 필요가 없이 비활성화시킨 후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 줄이고 기기의 사용 기간을 연장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network management apparatus and for remote control of the state about IT machine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에 대한 것으로, IP네트워크 상에서 원격의 기기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해 WOL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T 기기들이 사용하는 인터넷 망은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등의 계층으로 구성된다.
TCP, UDP등의 프로토콜은 layer4, IP프로토콜은 layer3, Ethernet 프로토콜은 layer2에 해당된다.
각 계층(layer)에는 통신을 수행하는 주체인 소스 노드(source node)와 데스티네이션 노드(destination node)가 있으며 이들은 각 계층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인터넷에 연결된 임의의 기기가 다른 인터넷 상의 다른 기기와 통신을 하려면 layer3 이상에서 연결되므로 인터넷 상의 다른 기기와 연결되려면 IP 프로토콜의 사용 필요하며 여기에 더하여 연결방식에 따라 layer 4의 TCP,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된다.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원격의 요청을 받아 시스템을 활성화한 후 본격적인 동작과 네트워크 연동이 이루어지는 기기의 경우 비활성화 상태에서 가능한 작은 자원을 사용해야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어 CPU와 대부분의 IO장치에 제공되는 전력을 off시킨다.
PC의 경우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비활성화 상태의 PC를 활성화 상태로 진입시키는WOL(Wake On LAN)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WOL은 LAN 포트와 컨트롤러만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LAN포트로 들어오는 특정패턴의 비트 스트림(bit stream을) 감지하여 동작된다.
WOL은 layer2에서 동작됨으로 layer2 계층에서 직접 연결된 같은 서브넷(subnet)내의 노드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 있으며, 서브넷 외부의 원격 노드에서 WOL을 이용하는 경우에 목표가 되는 기기에 대한 연결성이 담보되지 않으므로 적용에 어려움 있다.
즉, 비활성화 상태의 목표 기기가 서브넷 외부의 노드에는 layer3 이상에서 연결되지 않으므로 외부의 노드에서 보낸 메시지는 별도의 게이트웨이가 이를 Layer2에서 중계하지 않는 한 서브넷 내부의 비활성화된 노드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이유로 WOL은 동일한 서브넷을 갖는 게이트웨이를 두고 이를 통해 WOL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서브넷 내의 모든 노드에 WOL 메시지를 전달하는 형식으로 적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목표 IT기기가 WOL을 기다리는 대기상태에 들어가면 기기는 비활성화되어 네트워크에서 들어오는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게 되며 비활성화 상태에서 PC는 CPU가 정지되는 저전력의 상태로 최소의 전력을 소모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랜 장치에 부분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에 들어간 후 일정 시간(수초~ 수분)이 경과되면 최종 라우터(router)의 라우팅 정보에서 목표 기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가 지워지며 이후 목표 기기에 대한 IP 네트워크의 전송이 중단될 수 있으며, 라우팅 정보가 지워지는 것을 막기 위해 라우팅 정보를 영구히 유지하는 기능도 있으나 네트워크 관리의 복잡성, 보안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WOL이 셋팅된 비활성화된 IT기기가 IP네트워크 연결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브넷 외부의 원격에서 IP망을 통해 송출된 WOL을 이용하여 목표 PC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는 검출하고자 하는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생성하는 검출 패턴 생성부; 연결된 IT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분석하여 상기 검출 패턴과 동일한 비트 배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일한 비트 패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IT기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상기 동일한 비트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럽트를 생성하는 원격상태 제어부; 및 상기 인터럽트에 의한 IT기기의 웨이크업 이후 상기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에 따라 웨이크업 원인을 분석하여 상기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웨이크업 원인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 패턴 생성부는, 상기 ARP 비트 패턴은 IP주소와 MAC주소만으로 구성된 비트 패턴을 검출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 패턴 생성부는, 상기 WOL bit 패턴은 네트워크 장치의 MAC 주소가 특정형태로 반복되는 비트 패턴을 검출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상태 제어부는,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분석하여 획득한 입력 비트 패턴을 스트림 버퍼에 저장하는 비트 스트림 입력부; 상기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저장하는 패턴 저장부; 상기 저장된 검출 패턴에 상기 입력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패턴 매칭부; 상기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IT기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인터럽트를 생성하는 인터럽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 매칭부는, 상기 저장된 검출 패턴에 상기 입력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지 않으면 입력 버퍼의 내용을 1 바이트씩 시프트 시키면서 새로운 입력 데이터를 채워 비교를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웨이크업 원인 분석부는, 상기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ARP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상기 IT기기의 CPU를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ARP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WOL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WOL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IT기기의 웨이크업 이후 ARP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과 동시에 미리 지정된 프로토콜과 포트 번호에 대해 WOL 패킷을 대기하며 상기 포트로 WOL패킷이 도착하면 이를 검출하여 IT기기의 활성화하는 IP계층 WOL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검출하고자 하는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연결된 IT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분석하여 상기 검출 패턴과 동일한 비트 배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일한 비트 패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IT기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상기 동일한 비트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럽트에 의한 IT기기의 웨이크업 이후 상기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에 따라 웨이크업 원인을 분석하여 상기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ARP 비트 패턴은 IP주소와 MAC주소만으로 구성된 비트 패턴을 검출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WOL bit 패턴은 네트워크 장치의 MAC 주소가 특정형태로 반복되는 비트 패턴을 검출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터럽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분석하여 획득한 입력 비트 패턴을 스트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검출 패턴에 상기 입력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IT기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인터럽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검출 패턴에 상기 입력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지 않으면 입력 버퍼의 내용을 1 바이트씩 시프트 시키면서 새로운 입력 데이터를 채워 비교를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ARP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상기 IT기기의 CPU를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ARP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WOL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WOL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IT기기의 웨이크업 이후 ARP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과 동시에 미리 지정된 프로토콜과 포트 번호에 대해 WOL 패킷을 대기하며 상기 포트로 WOL패킷이 도착하면 이를 검출하여 IT기기의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활성화 상태의 PC에 IP 계층의 패킷을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일반적인 인터넷 환경에서 라우터, 게이트웨이 등 네트워크 인프라의 수정없이 웨이크업 의 대상인 PC에 추가적인 기능 제공을 통해 구현이 가능하며, IP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지의 비활성화 상태의 PC를 WOL을 이용하여 활성화 시킴으로써 PC뿐 아니라 IP망을 통해 연동되는 다른 IT기기의 상태를 제어하여 불필요하게 기기를 켜 놓을 필요가 없이 비활성화시킨 후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 줄이고 기기의 사용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원격상태 제어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장치와 연결된 장치들간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장치와 연결된 장치들간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은 외부 노드, 최종 라우터, PC와 같은 IT기기로 네트워크 환경을 구현됨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의 대상이 되는 PC와 같은 IT기기는 3가지의 상태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로 활성화 상태는 IT기기가 일반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CPU와 주변 장치들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두 번째로 비활성화 상태는 IT기기 CPU가 서스펜드(suspend)된 상태로 절전을 위해 보조장치들도 전원이 차단되거나 최소의 전력만 소비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네트워크로부터 원격제어 메시지를 검출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치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세 번째로 웨이크업(wakeup)상태는 CPU에 전원을 공급하고, CPU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를 관리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웨이크업 상태에서는 PC는 CPU와 네트워크 장치가 활성되며 다른 IO장치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부 노드와 IT기기는 최종 라우터를 통해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넷에 연결된 PC와 같은 일반적인 IT기기의 동작환경과 동일하며 이러한 환경의 구성요소 중 IT기기에서 제공되는 추가적인 기능을 통해 원격지의 외부 노드로부터 발생한 상태천이 메시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IT기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하면 PC는 CPU가 정지된 상태로 IP (layer3)계층의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없다.
이때, 최종 라우터는 PC의 IT기기 주소(layer3의 주소)와 PC에 장착된 네트워크 장치가 갖는 mac 주소(layer2의 주소)를 매핑시키는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기본적인 ARP 정보는 (129.254.63.101, 78:24:af:88:dc:9b)와 같이 IP 주소와 MAC주소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RP 정보는 일정 시간의 수명(수분 이하)을 가지며 이 수명이 지난 후에는 유효하지 않은 정보로 취급되어 버려지게 된다.
PC에 대한 ARP 정보가 버려진 후에는 최종 router에 목표 PC의 IP주소에 대한 IP패킷이 도착해도 라우팅 정보가 없으므로 더 이상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는 IT기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최종 라우터와 IT기기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면 그 위치는 IT기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한 없이 위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는 검출 패턴 생성부(100), 원격상태 제어부(200), 웨이크업 원인 분석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 패턴 생성부(100)는 검출하고자 하는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RP 비트 패턴은 전체 ARP 패킷의 비트 패턴을 검출대상으로 할 수도 있으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P주소와 MAC주소만으로 구성된 비트 패턴을 검출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WOL bit 패턴은 네트워크 장치의 MAC 주소가 특정형태로 반복되는 비트 패턴을 검출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상태 제어부(200)는 패턴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패턴 저장소에 생성한 검출 패턴에 포함된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원격상태 제어부(200)는 연결된 IT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분석하여 검출 패턴과 동일한 비트 배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한 비트 패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IT기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동일한 비트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럽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럽트는 ARP 요청(ARP request)신호로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상태 제어부(200)가 ARP 요청(ARP request)신호로 발생된 인터럽트를 IT기기에 송신하여, 이를 수신한 IT기기를 웨이크업할 수 있으며, 상기 ARP요청에 대응하는 ARP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원격상태 제어부(200)는 도 4를 참조하며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웨이크업 원인 분석부(300)는 인터럽트에 의한 IT기기의 웨이크업 이후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에 따라 웨이크업 원인을 분석하여 상기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ARP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ARP 응답을 전송하고 상기 IT기기의 CPU를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WOL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WOL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IT기기의 CPU를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최종 라우터는 삭제 정보를 되살리기 위해 서브넷 내에 ARP 요청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다.
이때, IT기기는 자신이 할당 받은 IP주소에 대한 ARP 요청을 검출하여 웨이크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럽트를 분석하여 획득한 웨이크업의 원인이 ARP요청으로 분석되면 ARP 응답을 생성하여 송출한다(335).
ARP 응답 송출 후 다시 비활성화 상태에 진입한다(336).
외부Node(31)이 WOL 패킷을 전송하면 IP망 내의 최종router에 도착하며 최종 router는 ARP 정보를 이용하여 PC(33)로 WOL 패킷을 전달한다(337).
PC는 WOL에 의해 wakeup 및 활성화를 수행한다(338).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의 구성요소에 IP계층 WOL 검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P계층 WOL 검출부(400)는 IT기기의 웨이크업 이후 ARP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과 동시에 미리 지정된 프로토콜과 포트 번호에 대해 WOL 패킷을 대기하며 상기 포트로 WOL패킷이 도착하면 이를 검출하여 IT기기의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최종 라우터에서 ARP 정보의 수명이 만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ARP 요청을 수행하지 않아 ARP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WOL이 도착하는 예외적인 경우를 위하여 IP계층 WOL 검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ARP 요청으로 wakeup 된 상태에서 WOL을 수신하기 위해 IP계층 WOL 검출부가 동작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원격상태 제어부(2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원격상태 제어부(200)는 비트 스트림 입력부(210), 패턴 저장부(220), 패턴 매칭부(230), 인터럽트 생성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트 스트림 입력부(210)는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분석하여 획득한 입력 비트 패턴을 스트림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패턴 저장부(220)는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은 검출 패턴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검출 패턴을 의미한다.
패턴 매칭부(230)는 저장된 검출 패턴에 입력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턴 매칭부(230)는 저장된 검출 패턴에 상기 입력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지 않으면 입력 버퍼의 내용을 1 바이트씩 시프트 시키면서 새로운 입력 데이터를 채워 비교를 반복할 수 있다.
인터럽트 생성부(240)는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IT기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인터럽트를 생성하여 상기 IT기기의 CPU 및 웨이크업 원인 분석부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성한 인터럽트를 매칭 결과 저장소로 송신할 수 있으나, 매칭 결과 저장소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스트림 버퍼로 송신하여 해당 인터럽트를 저장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장치(1000)와 연결된 장치들간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IT기기의 상태가 절전 등의 필요에 의해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331).
IT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이므로 IT기기로부터 어떠한 네트워크 데이터도 생성되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최종 라우터의 ARP 정보가 수명을 다해 삭제될 수 있다(332).
최종 라우터는 삭제 정보를 되살리기 위해 서브넷 내에 ARP 요청(인터럽트가 ARP 요청으로 구현된 실시 예에 따르면)을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333).
이때, IT기기는 연결된 네트워크 관리 장치(1000)를 통하여 해당 IT기기가 할당 받은 IP주소에 대한 ARP 요청을 검출하여 IT기기의 웨이크업을 수행할 수 있다(334).
네트워크 관리 장치(1000)의 웨이크업 원인 분석부(300)을 통하여 웨이크업의 원인이 ARP요청으로 분석되면 ARP 응답을 생성하여 최종 라우터에 송신할 수 있다(335).
ARP 응답 송신 후 IT기기는 다시 비활성화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336).
외부 노드가 WOL 패킷을 전송하면 IP망 내의 최종 라우터에 도착하며 최종 라우터는 ARP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 장치(1000)를 거쳐 IT기기로 WOL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337).
IT기기는 WOL에 의해 웨이크업 및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338).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장치(1000)와 연결된 장치들간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최종 라우터에서 ARP 정보의 수명 만기에 ARP 요청을 수행하지 않아 ARP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WOL이 도착하는 경우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장치와 연결된 장치들간의 데이터 흐름이 나타나 있다.
IT기기가 비활성화된 후(431) 일정 시간 후 ARP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432).
이때, 외부 노드가 IP망을 통해 WOL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433).
이 경우 최종 라우터는 더 이상 IT기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가 없으므로 자신의 서브넷 내에 해당 IP에 대한 ARP 요청을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IT기기에 네트워크 관리 장치(1100)는 ARP요청을 검출하여(434) IT기기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435).
네트워크 관리 장치(1100)는 IT기기의 웨이크업 원인을 판별하여 ARP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436).
최종 라우터는 ARP 응답을 받아 ARP 정보를 갱신하며 도착 후 전달을 대기하고 있는 WOL 패킷을 네트워크 관리 장치(1100)를 거쳐 IT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437).
송신된 WOL을 통해 IT기기는 활성화될 수 있다(438).
이때, 전달된 WOL패킷은 이미 IT기기가 웨이크업된 상태에 있으므로 네트워크 장치의 WOL 검출을 통해 전달되지 아니하며 이런 예외적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IP계층 WOL 검출부(400)는 IP 계층에서 WOL로 전달된 패킷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P계층 WOL 검출부(400)는 웨이크업 이후 ARP 응답과 함께 수행되며 미리 지정된 프로토콜과 포트 번호에 대해 WOL 패킷을 대기하며 해당 포트로 WOL패킷이 도착하면 이를 검출하여 PC의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노드가 목표 PC의 IP주소에 (UDP, 포트번호 4010)으로 WOL 패킷을 송신하고 IT기기에 연결된 네트워크 관리 장치(1100)의 IP계층 WOL 검출부(400)도 상기 포트로 응답을 대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비활성화 상태에 들어가기 전 비활성화 상태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생성한다(7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검출하고자 하는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RP 비트 패턴은 전체 ARP 패킷의 비트 패턴을 검출대상으로 할 수도 있으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P주소와 MAC주소만으로 구성된 비트 패턴을 검출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WOL bit 패턴은 네트워크 장치의 MAC 주소가 특정형태로 반복되는 비트 패턴을 검출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저장한다(72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은 상술한 단계에서 생성된 검출 패턴을 의미한다.
IT기기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환시키고 비활성화 상태에서 검출할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분석하여 획득한 입력 비트 패턴을 스트림 버퍼에 저장한다(7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분석하여 획득한 입력 비트 패턴을 스트림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검출 패턴에 상기 입력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74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된 검출 패턴에 입력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된 검출 패턴에 상기 입력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지 않으면 입력 버퍼의 내용을 1 바이트씩 시프트 시키면서 새로운 입력 데이터를 채워 비교를 반복할 수 있다.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IT기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인터럽트를 생성한다(75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IT기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인터럽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성한 인터럽트를 매칭 결과 저장소로 송신할 수 있으나, 매칭 결과 저장소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스트림 버터로 송신하여 해당 인터럽트를 저장하게 할 수 있다.
웨이크업 원인을 분석하여(760) 분석결과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ARP 요청의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ARP 응답을 송신(770)하고 CPU를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럽트에 의한 IT기기의 웨이크업 이후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에 따라 웨이크업 원인을 분석하여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ARP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ARP 응답을 전송하고 상기 IT기기의 CPU를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웨이크업 원인을 분석하여 분석결과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WOL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WOL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한다(78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WOL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WOL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검출 패턴 생성부 200 : 원격상태 제어부
300 : 웨이크업 원인 분석부 400 : IP계층 WOL 검출부
1000 : 네트워크 관리 장치

Claims (14)

  1. 검출하고자 하는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생성하는 검출 패턴 생성부;
    연결된 IT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분석하여 상기 검출 패턴과 동일한 비트 배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일한 비트 패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IT기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상기 동일한 비트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럽트를 생성하는 원격상태 제어부; 및
    상기 인터럽트에 의한 IT기기의 웨이크업 이후 상기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에 따라 웨이크업 원인을 분석하여 상기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웨이크업 원인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패턴 생성부는,
    상기 ARP 비트 패턴은 IP주소와 MAC주소만으로 구성된 비트 패턴을 검출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패턴 생성부는,
    상기 WOL bit 패턴은 네트워크 장치의 MAC 주소가 특정형태로 반복되는 비트 패턴을 검출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상태 제어부는,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분석하여 획득한 입력 비트 패턴을 스트림 버퍼에 저장하는 비트 스트림 입력부;
    상기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저장하는 패턴 저장부;
    상기 저장된 검출 패턴에 상기 입력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패턴 매칭부; 및
    상기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IT기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인터럽트를 생성하는 인터럽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매칭부는,
    상기 저장된 검출 패턴에 상기 입력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지 않으면 입력 버퍼의 내용을 1 바이트씩 시프트 시키면서 새로운 입력 데이터를 채워 비교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원인 분석부는,
    상기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ARP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상기 IT기기의 CPU를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ARP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WOL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WOL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IT기기의 웨이크업 이후 ARP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과 동시에 미리 지정된 프로토콜과 포트 번호에 대해 WOL 패킷을 대기하며 상기 포트로 WOL패킷이 도착하면 이를 검출하여 IT기기의 활성화하는 IP계층 WOL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8. 검출하고자 하는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연결된 IT기기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분석하여 상기 검출 패턴과 동일한 비트 배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일한 비트 패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IT기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상기 동일한 비트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럽트에 의한 IT기기의 웨이크업 이후 상기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에 따라 웨이크업 원인을 분석하여 상기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ARP 비트 패턴은 IP주소와 MAC주소만으로 구성된 비트 패턴을 검출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WOL bit 패턴은 네트워크 장치의 MAC 주소가 특정형태로 반복되는 비트 패턴을 검출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분석하여 획득한 입력 비트 패턴을 스트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ARP 비트 패턴과 WOL 비트 패턴을 포함하는 검출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검출 패턴에 상기 입력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IT기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인터럽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검출 패턴에 상기 입력 비트 패턴에 해당하는 비트 패턴이 존재하지 않으면 입력 버퍼의 내용을 1 바이트씩 시프트 시키면서 새로운 입력 데이터를 채워 비교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ARP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상기 IT기기의 CPU를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ARP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인터럽트에 포함된 비트 패턴이 WOL 비트 패턴인 경우에는 WOL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IT기기의 CPU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IT기기의 웨이크업 이후 ARP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과 동시에 미리 지정된 프로토콜과 포트 번호에 대해 WOL 패킷을 대기하며 상기 포트로 WOL패킷이 도착하면 이를 검출하여 IT기기의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KR1020160121594A 2016-09-22 2016-09-22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532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594A KR102532119B1 (ko) 2016-09-22 2016-09-22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15/478,575 US10248433B2 (en) 2016-09-22 2017-04-04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state of I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594A KR102532119B1 (ko) 2016-09-22 2016-09-22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406A true KR20180032406A (ko) 2018-03-30
KR102532119B1 KR102532119B1 (ko) 2023-05-15

Family

ID=6162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594A KR102532119B1 (ko) 2016-09-22 2016-09-22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48433B2 (ko)
KR (1) KR102532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1038A (zh) * 2018-09-05 2019-01-04 浙江树人学院 一种绿色视频监控系统服务器集群系统及其实现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3438A (ko) * 2007-01-01 2008-07-04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웨이크업 패킷 패턴 정의를 통한 네트워크에 연결된컴퓨터의 대기모드 유지와 원격 깨우기 제공 방법
US20080301322A1 (en) * 2007-05-30 2008-12-04 Kabushiki Kaisha Toshiba Network controlle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wake-up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996B1 (ko) * 2001-09-05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의 NIC(Network InterfaceCard)에 복수개의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방법 및이에 적합한 장치
US7447927B2 (en) * 2005-08-23 2008-11-0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aking up a sleeping system
KR101431712B1 (ko) 2007-07-25 2014-08-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이크 온 랜 기능의 설정 상태를 알려 주는 장치 및 방법
KR100895688B1 (ko) 2007-12-17 2009-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 라우터에서 링크 트리거신호를 이용한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
KR101001558B1 (ko) 2008-11-10 2010-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기식 기반 센서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3438A (ko) * 2007-01-01 2008-07-04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웨이크업 패킷 패턴 정의를 통한 네트워크에 연결된컴퓨터의 대기모드 유지와 원격 깨우기 제공 방법
US20080301322A1 (en) * 2007-05-30 2008-12-04 Kabushiki Kaisha Toshiba Network controlle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wake-up control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ungwon Byon et al., "An Implementation of PC State Management in IP Network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CT Convergence 2015, p912-914, (2015.10.3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119B1 (ko) 2023-05-15
US10248433B2 (en) 2019-04-02
US20180081698A1 (en)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7712B2 (en) Static neighbor wake on local area network
US9104406B2 (en) Network presence offloads to network interface
JP3436012B2 (ja) コンピュータステーションの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パワー管理方法及び装置
CN102577233B (zh) 用于网络交换机的深度休眠模式管理
US7903596B2 (en) Control of low power wireless networks for power conservation
EP22243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savings through emulation of wake on lan in energy efficient ethernet
US9413549B2 (en) Method for activating a network component of a motor vehicle network system
US83401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reduction in network
JP2008301077A (ja) ネットワークコントローラ、情報処理装置およびウェイクアップ制御方法
JP201316138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92284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80032406A (ko) It 기기의 원격 상태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08481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5618243B2 (ja) 制御装置、それにおい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制御装置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
JP5150695B2 (ja) 通信装置、起動ノード及びシステム
US1058742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WI559154B (zh) 網路交換器上的淹漫禁能
KR20180080547A (ko) 복수의 it 기기 원격 웨이크업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ITTO20110317A1 (it) Procedimento per gestire una rete di sensori senza fili , e relativo nodo sensore, rete di sensori e prodotto informatico
JP5994226B2 (ja) ネットワークコントローラ、ウェイクアップ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27903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復帰方法
TWI538447B (zh) 封包檢視以決定目的地節點
KR20140086353A (ko) 라우터에서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라우터
TWI830350B (zh) 用於路由資料封包的方法及電子設備
JP2009159583A (ja) ノンビーコン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電力消耗最小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